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4∼2015)동북아 군사력과 전략동향 = Strategic trends and military capabilities in Northeast Asia / 지은이: 송화섭, 권보람, 김성걸, 심경욱, 이영학, 전경주, 장혜진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15
청구기호
355.03325 -15-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345 p. : 삽화, 표 ; 30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9781225
제어번호
MONO1201531074
주기사항
한자표제: 東北亞 軍事力과 戰略動向
부록: 1. 동북아 전략 동향 일지 ; 2. 국가별 주요 무기 보유 현황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Ⅰ. 동북아의 군사적 구도와 군사력 건설 추세 7

1. 동북아의 군사적 구도 7

2. 동북아의 군사력 건설 추세 8

Ⅱ. 국가별 전략 동향 27

1. 미국 28

초점: 미국의 아태지역 재균형정책 추진 현황 및 평가 28

안보전략 동향 32

군사전략 동향 56

2. 중국 69

초점: 중국의 아시아 新안보관 69

안보전략 동향 73

군사전략 동향 82

3. 러시아 85

초점: 우크라이나 사태와 러시아 정치ㆍ외교 85

안보전략동향 92

군사전략 동향 102

4. 일본 123

초점: 국가안보전략 제정과 방위계획 대강의 개정 123

안보전략 동향 127

군사전략 동향 137

5. 북한 145

초점: 실질적인 핵국가로의 진입 추구 145

안보전략 동향 150

군사전략 동향 168

Ⅲ. 국가별 군사력 현황과 추이 173

1. 미국 174

군사예산 174

군 지휘체계 및 조직 현황 183

병력 및 무기체계 189

2. 중국 200

군사예산 200

군 지휘체계 및 조직 현황 202

병력 및 무기체계 216

3. 러시아 220

군사예산 220

군 지휘체계 및 조직 현황 225

4. 일본 243

군사예산 243

군 지휘체계 및 조직 현황 246

병력 및 무기체계 252

5. 북한 257

군사예산 257

군 지휘체계 및 조직 현황 260

군사전략 264

병력 및 무기체계 268

Ⅳ. 전략 동향 종합 평가 281

① 동북아에 파급되는 우크라이나 사태의 영향 282

② 미국의 아태지역 재균형정책 282

③ 중국의 새로운 질서 및 동아시아 리더십 추구 283

④ 일본의 보통국가를 향한 대내적 체제 정비 284

⑤ 미일동맹의 심화: 센카쿠 방어 공약과 미일방위협력지침 개정 중간 발표 285

⑥ 대중 견제외교의 강화 286

⑦ 중러 간의 전략적 협력 강화 286

⑧ 모색 중인 미중 간의 신형대국관계 287

⑨ 북한의 새로운 생존전략 288

⑩ 갈등 속의 중일 정상회담 288

[부록 1] 동북아 전략 동향 일지 290

[부록 2] 국가별 주요 무기 보유 현황 302

판권기 345

〈표 Ⅰ-1〉 동북아 국가들의 중ㆍ장거리 타격/투사 및 방어능력 개관 11

〈표 Ⅰ-2〉 중국ㆍ러시아ㆍ북한의 중ㆍ장거리 탄도미사일 보유수 변화 12

〈표 Ⅰ-3〉 중국ㆍ러시아의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 보유수 변화 13

〈표 Ⅰ-4〉 전략잠수함의 변화 추세(1) 14

〈표 Ⅰ-5〉 전략잠수함의 변화 추세(2) 15

〈표 Ⅰ-6〉 항모/구축함의 변화 추세 16

〈표 Ⅰ-7〉 폭격기 변화 추세 18

〈표 Ⅰ-8〉 동북아 국가들의 위성 보유 현황(2014.8.1 현재) 19

〈표 Ⅰ-9〉 중국과 일본이 보유한 주요 함정 20

〈표 Ⅰ-10〉 중국 함정의 명칭 21

〈표 Ⅰ-11〉 중국과 일본이 보유한 주요 잠수함 22

〈표 Ⅰ-12〉 중국 잠수함의 명칭 23

〈표 Ⅰ-13〉 중국과 일본이 보유한 전투기 변화 24

〈표 Ⅰ-14〉 북한 군사력 현황 26

〈표 Ⅱ-1〉 경제 이슈를 가장 중요하다고 뽑는 응답자의 비율 35

〈표 Ⅱ-2〉 오바마 대통령의 대외 정책 평가 36

〈표 Ⅱ-3〉 2014년 10월, 이슈별 오바마 대통령의 지지도 36

〈표 Ⅱ-4〉 대러 제재 주요 일지 37

〈표 Ⅱ-5〉 IS 관련 4대 대응정책 42

〈표 Ⅱ-6〉 이번 중간선거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할 이슈 45

〈표 Ⅱ-7〉 미중 간 주요 정책 이슈 51

〈표 Ⅱ-8〉 역대 미중 전략경제대화의 주요 특징 52

〈표 Ⅱ-9〉 북한군 전력 규모 64

〈표 Ⅱ-10〉 러시아의 전술핵탄두 현황 118

〈표 Ⅱ-11〉/〈표 Ⅱ-10〉 방위대강별 주요 장비 비교 126

〈표 Ⅱ-12〉/〈표 Ⅱ-11〉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이 행사되는 사례 128

〈표 Ⅱ-13〉/〈표 Ⅱ-12〉 중기 방위력정비 5개년 계획 기간(2014-2018년) 도입 장비 138

〈표 Ⅱ-14〉/〈표 Ⅱ-13〉 북한이 주장하는 핵ㆍ경제 병진노선의 차별성 147

〈표 Ⅱ-15〉/〈표 Ⅱ-14〉 예상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핵실험 149

〈표 Ⅱ-16〉/〈표 Ⅱ-15〉 북중 무역 2013-2014년 비교 162

〈표 Ⅱ-17〉/〈표 Ⅱ-16〉 북한의 2014년 발사체 발사 일지 170

〈표 Ⅲ-1〉 국방비 예산 함수 176

〈표 Ⅲ-2〉 미국 국방 관련 예산지출 현황과 추이 177

〈표 Ⅲ-3〉 국방기본예산 구성 비율 178

〈표 Ⅲ-4〉 군별 국방기본예산 179

〈표 Ⅲ-5〉 OCO 예산 구성 비율 180

〈표 Ⅲ-6〉 군별 OCO 예산 180

〈표 Ⅲ-7〉 FY2014 대비 FY2015 전력 구조 변화 182

〈표 Ⅲ-8〉 투자 우선순위 183

〈표 Ⅲ-9〉 미국 본토의 3개 기능별 사령부 187

〈표 Ⅲ-10〉 지역 통합전투사령부의 책임지역 및 임무 188

〈표 Ⅲ-11〉 현역 규모 목표-Base 예산 190

〈표 Ⅲ-12〉 현역 규모 목표: OCO 예산 190

〈표 Ⅲ-13〉 현역 규모 목표: Base + OCO 예산 190

〈표 Ⅲ-14〉 예비역 규모 목표 191

〈표 Ⅲ-15〉 실제 현역 규모 191

〈표 Ⅲ-16〉 작전, 지역, 국가 및 군별 해외비상작전(OCO) 현황 194

〈표 Ⅲ-17〉 전 세계 미군기지(site) 수 195

〈표 Ⅲ-18〉 독일, 일본, 한국의 미군기지 현황 비교 195

〈표 Ⅲ-19〉 일본의 미군기지 현황 196

〈표 Ⅲ-20〉 한국의 미군기지 현황 196

〈표 Ⅲ-21〉 미국 전략무기 유형과 보유량 197

〈표 Ⅲ-22〉 미국 지상무기 유형과 보유량 197

〈표 Ⅲ-23〉 미국 해상무기-주요 전투함정 유형과 보유량 198

〈표 Ⅲ-24〉 미국 해상무기-해군항공 무기 유형과 보유량 198

〈표 Ⅲ-25〉 미국 해병 무기 유형과 보유량 199

〈표 Ⅲ-26〉 미국 공중무기 유형과 보유량 199

〈표 Ⅲ-27〉 최근 10년간 중국의 국방비 추이 201

〈표 Ⅲ-28〉 2000년대 이후 중국 국방비 구성 201

〈표 Ⅲ-29〉 총부체계의 임무 및 기능 205

〈표 Ⅲ-30〉 중앙군사위원회 산하 주요 전군성 의사협조기구 205

〈표 Ⅲ-31〉 18개 집단군의 유형별 분류 210

〈표 Ⅲ-32〉 중국의 국방정책과 군별 군사전략 216

〈표 Ⅲ-33〉 중국 전략무기 유형과 보유량 217

〈표 Ⅲ-34〉 중국 지상무기 유형과 보유량 217

〈표 Ⅲ-35〉 중국 공군무기 유형과 보유량 218

〈표 Ⅲ-36〉 중국 해상무기(해병무기 포함) 유형과 보유량 218

〈표 Ⅲ-37〉 러시아 국방예산 추이 221

〈표 Ⅲ-38〉 러시아 국방부의(국가무장계획 2020) 재정 할당 222

〈표 Ⅲ-39〉 러시아 지상군 및 공수부대 편성 현황 226

〈표 Ⅲ-40〉 러시아 해군 전력의 군관구별 분포 228

〈표 Ⅲ-41〉 러시아군 병충원계획 2013-2020 241

〈표 Ⅲ-42〉 군사예산의 변화 추이 245

〈표 Ⅲ-43〉 자위대의 정원 및 현재 인원(2014. 3. 31.) 247

〈표 Ⅲ-44〉 지상무기 유형과 보유량 255

〈표 Ⅲ-45〉 해상무기(해병무기 포함) 유형과 보유량 255

〈표 Ⅲ-46〉 공중무기 유형과 보유량 256

〈표 Ⅲ-47〉 연도별 북한의 예산지출 증가율 및 국방비 지출 비중 258

〈표 Ⅲ-48〉 북한의 연도별 예산 현황 258

〈표 Ⅲ-49〉『2014 국방백서』와 〈Military Balance 2014〉의 차이점 268

〈표 Ⅲ-50〉 북한군 주요 전력 현황(병력, 부대규모, 장비) 269

〈표 Ⅲ-51〉 북한의 탄도미사일 현황(추정) 273

〈표 Ⅲ-52〉 북한의 탄도미사일 배치 실태 274

〈표 Ⅲ-53〉 북한의 미사일 생산 관련 시설 275

〈표 Ⅲ-54〉 북한의 탄도미사일 기지 현황 275

〈표 Ⅲ-55〉 북한의 생물학 무기 연구 및 생산시설 현황 276

〈표 Ⅲ-56〉 북한의 화학무기 생산시설 및 저장소 현황 277

〈표 Ⅲ-57〉 북한 지상무기 유형과 보유량 277

〈표 Ⅲ-58〉 북한 해상무기 유형과 보유량 278

〈표 Ⅲ-59〉 북한 공중무기 유형과 보유량 279

〈그림 Ⅰ-1〉 동북아의 지전략적 배치도 7

〈그림 Ⅰ-2〉 중국의 잠수함 보유 전망 24

〈그림 Ⅰ-3〉 중국의 수상함 보유 전망 25

〈그림 Ⅱ-1〉 2014년 9월. 중간선거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 37

〈그림 Ⅱ-2〉 2014년 7월. 이라크 개입에 대한 국민들의 견해 43

〈그림 Ⅱ-3〉 IS 격퇴를 목적으로 하는 군사 개입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도 44

〈그림 Ⅱ-4〉 칼리닌그라드 지역에 실전 배치된(이스칸데르-M) 94

〈그림 Ⅱ-5〉 중국의 FDI 사업 건수 추이 및 산업별 구성 163

〈그림 Ⅱ-6〉 SLBM 장착 가능한 북한의 잠수함 171

〈그림 Ⅲ-1〉 미국 국방예산의 변화(1948-2020) 175

〈그림 Ⅲ-2〉 계산 주체에 따른 미 국방부 예산 추이(1945-2018) 176

〈그림 Ⅲ-3〉 미국의 재정지출 및 GDP 대비 국방예산 추이 177

〈그림 Ⅲ-4〉 미국 국방 관련 예산지출 현황과 추이 178

〈그림 Ⅲ-5〉 해외비상작전 예산 동향 179

〈그림 Ⅲ-6〉 미 국방부 국방예산 변화 추이(FY2001-FY2015) 182

〈그림 Ⅲ-7〉 국방부 조직도 및 국방 기구 183

〈그림 Ⅲ-8〉 미군 구조: 합동군제 184

〈그림 Ⅲ-9〉 미 합동참모본부 조직도 185

〈그림 Ⅲ-10〉 육군 조직도 185

〈그림 Ⅲ-11〉 해군 조직도 186

〈그림 Ⅲ-12〉 공군 조직도 186

〈그림 Ⅲ-13〉 지역 통합전투사령부별 책임지역 187

〈그림 Ⅲ-14〉 아프간 주둔 미군 철군 일정 192

〈그림 Ⅲ-15〉 해외비상작전 병력 수준 193

〈그림 Ⅲ-16〉 중국인민해방군 조직 구조 203

〈그림 Ⅲ-17〉 집단군의 군구별 분포 현황 210

〈그림 Ⅲ-18〉 중국 해군의 편제 및 역량 211

〈그림 Ⅲ-19〉 중국군의 각종 항공병사 214

〈그림 Ⅲ-20〉 15년간 일본 방위관계비 추이 246

〈그림 Ⅲ-21〉 방위성 조직도 248

〈그림 Ⅲ-22〉 북한 공표 및 실제 군사비 259

〈그림 Ⅲ-23〉 북한군 지휘체계도 264

〈그림 Ⅲ-24〉 북한의 미사일 사거리(평양 기준, 추정) 274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50036 355.03325 -15-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2014~2015 동북아 군사력과 전략동향

    본 연구는 매년 한반도를 둘러싼 주요국인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더불어 북한의 안보·군사 전략 및 군사력의 동향을 종합·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요 핵심 안보 이슈를 식별하여 이것이 동북아 및 한반도 안보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함을 목적으로 한다.

    2014년의 동북아시아는, 미국의 아태지역 재균형 정책의 지속, 중국에 의한 새로운 질서 및 동아시아 리더십 추구, 일본의 국가안보전략 수립과 집단적 자위권 행사 방침 표명 등으로 크게 특징지어지며, 러시아의 크림공화국 합병의 여파가 지속되는 와중에 중ㆍ러 간의 전략적 협력이 주목을 받았다. 한편, 북한은 다종·다양화된 미사일의 발사 시험을 감행하는 등 군사적 우위를 점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무인기 등 한국에 대한 비대칭 위협을 지속 증가시키고 있다.
    동북아시아 주요국의 전략동향과 새로운 전략구도는 한반도의 안보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북한의 도발이 한국에 대한 직접적인 군사 위협이 됨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미중의 전략적 경쟁이 한국의 안보에 대한 부담으로 이어지는 한편, 미국에 대한 중국 및 러시아의 도전은 미국으로 하여금 동맹국/우호국 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자 하는 동인이 되고 있다. 일본의 보통국가화 움직임은 미일동맹 강화와 연계되고 있으며, 동중국해 및 남중국해에서의 갈등이 고조될 가능성이 있다.
    2004년 이래 11번째로 발간, 공개되는 본 연례보고서는 관련 국가들의 군사력 관련 동향과 자료, 데이터들을 체계적으로 정리, 제공함으로써 이 분야의 실무자들과 연구자들의 참고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들에게 흥미로운 독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