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표제: Clinical training guide for the student music therapist 참고문헌(p. 375-406)과 색인 수록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역자 서문 저자 서문
chapter 01 음악치료하기: 탐색 chapter 02 참여 수준 높이기 chapter 03 음악치료 계획 과정 chapter 04 클라이언트 진단평가 chapter 05 목적 및 목표 chapter 06 음악치료 전략 계획하기 chapter 07 세션 구성하기 chapter 08 즉흥연주 경험 chapter 09 연주 혹은 재창조 경험 chapter 10 작곡 경험 chapter 11 감상 경험 chapter 12 계획 시 추가 고려 사항 chapter 13 클라이언트의 반응 이끌어 내기 chapter 14 음악의 역할 chapter 15 그룹치료 chapter 16 개별치료 chapter 17 문서 작성 기술 chapter 18 음악치료사를 위한 자기평가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음악치료 전공자를 위한 임상 훈련 가이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49950
615.85154 -15-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49951
615.85154 -15-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음악치료가 국내에 소개된 지도 거의 20여년이 되어 가고, 이제 한국의 음악치료는 태동기를 벗어나 발전기로 도약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음악치료음악치료가 국내에 소개된 지도 거의 20여 년이 되어 가고, 이제 한국의 음악치료는 태동기를 벗어나 발전기로 도약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음악치료 분야에서는 다양한 이론서와 기술 서적을 출판해 왔지만, 아쉽게도 임상 실습 중에 있는 학생 음악치료사를 위한 정보는 거의 없다. 이런 측면에서 이 책은 실제 음악치료 실습을 하는 데 필요한 유용한 정보와 지식을 학생 및 슈퍼바이저에게 제공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음악치료는 임상 현장에서 다양한 필요를 지니는 클라이언트를 대면하고 그들의 변화를 돕는 직무이기 때문에 학생은 임상 실습 없이 음악치료사로서의 전문성을 갖추기 어렵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학생 음악치료사가 음악치료 임상 실습 과정 동안 학습하고 경험해야 할 지침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데에 그 의의를 지닌다. 또한 이런 지침을 단순히 이론적으로만 소개하지 않고, 실제 임상 현장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함으로써 학생이 자신의 경험 안에서 그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학생 음악치료사는 어떠한 대상을 위해서라도 일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춰야 하므로, 이 책 역시 진단, 치료, 평가에 걸친 음악치료의 과정을 장애아동, 노인, 의료 환자 등 다양한 대상의 특성에 맞추어 설명함으로써 학기별로 다른 대상과 실습하는 음악치료 전공 학생에게 유용한 학습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특정 클라이언트 집단을 위한 예시도 제공하고 있으며, 음악치료 전공 학생의 변화하는 필요와 학습 내용을 고려하여 장마다 3단계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학생이 자신의 수준에 맞는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통해 입문 단계의 음악치료 전공 학생뿐만 아니라 임상 경험이 쌓인 음악치료사 역시 이 책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분야에서는 임상에서 일하고 있는 전문 음악치료사뿐 아니라 음악치료를 전공하는 학생을 위한 다양한 이론서와 기술 서적을 출판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