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머리말 / 신용선
목차
어린이통학버스 등에 대한 안전교육의 효율성 제고 방안 / 황윤상 4
요약문(Summary) 8
I. 서론 16
1. 연구의 목적 16
2. 연구의 방법 17
3. 연구의 제한점 18
II. 이론적 배경 19
1. 어린이 교통사고 19
2. 어린이통학버스 등에 대한 안전교육 25
III. 교육생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30
1. 일반적 특성 분석 30
2. 교통법규 관련 지식 42
3. 유아용 보호 장구 관련 46
4. 어린이 교통사고에 대한 인식 48
5. 어린이 통학버스 등에 대한 안전교육 관련 51
IV. 결론 및 제언 57
참고문헌 62
부록(설문지) 63
운전 중 습관적인 휴대전화 사용을 고려한 안전운전 방향성 제고 / 손동연 68
요약문(Summary) 72
I. 서론 77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77
2. 연구의 범위 78
3. 연구의 접근 방법 79
4. 연구의 제한점 80
II. 휴대전화에 관한 일반 이론 81
1. 휴대전화의 개념과 정의 81
2. 교통사고의 요인분석과 운전 중 휴대전화사용의 상관관계 84
3. 교통행동과정에 휴대전화 사용이 미치는 영향 86
4.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시 법적처벌 관계 88
5.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단속과 교통사고 실태 89
III. 운전 중 습관적인 휴대전화 사용 실태 결과분석 90
1. 조사대상자의 특성 90
2.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경험 여부 92
3.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시 교통사고 위험에 대한 경험 여부 93
4.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시 핸즈프리 사용 여부 94
5. 운전 중 휴대전화사용 시 핸즈프리 사용을 하지 않는 이유 94
6.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시 가장 많이 하게 되는 통화 내용 95
7. 운전 중 휴대전화사용 시 단속과 처벌기준이 강화 되었을 때의 행동 상에 변화 여부 96
8. 운전 중 습관적인 휴대전화사용 개선을 위해 현실적인 선행 과제 97
IV. 결론 98
참고문헌 101
부록(설문지) 102
이화방어기제 검사를 활용한 상습 음주운전자의 방어기제 특성분석 / 정월영 108
요약문(Summary) 112
I. 서론 115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15
2. 연구목적 117
II. 이론적 배경 118
1. 방어기제의 이해 118
2. 음주운전자의 방어기제에 대한 선행 연구 127
III. 연구 설계 128
1. 연구대상 128
2. 측정도구 128
3.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130
IV. 연구결과 130
1.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음주량 분석 130
2. 결과 분석 132
V. 결론 134
1. 결론 및 논의 134
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136
참고문헌 137
부록 139
부록1. 이화방어기제 검사 139
부록2. 음주운전자 재발자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147
사업용 차량운전자의 고령화에 따른 교통사고 저감대책에 관한 연구 / 김경수 150
I. 서론 158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58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60
II. 선행연구 고찰 및 사업용 차량의 교통사고 현황 161
1. 국내·외 사업용 운전자 선행연구 고찰 161
2. 택시 운전자의 연구 착안점 164
3. 사업용 차량별 현황 164
4. 사업용 차량 교통사고 현황 167
5.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현황 168
III. 분석방법 고찰 및 택시운전자 의식조사 171
1. 다중대응분석(Correspondence analysis) 171
2. 택시운전자의 의식조사 172
3. 택시운전자의 교차분석 대상별 특성 177
4. 비고령자와 고령자의 의식에 따른 다중대응분석 183
IV. 다중대응분석의 종합적 결과 190
V.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192
참고문헌 194
1. 국내문헌 194
2. 국외문헌 196
3. 인터넷 자료 197
부록(설문지) 198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적용범위에 관한 연구 / 박재범 202
요약문(Summary) 206
I. 서론 209
1. 연구 목적 209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10
II. 이론적 배경 211
1.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구성요소 211
2. 엄격한 법적용에 따른 구분의 필요성 215
III.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적용범위에 따른 문제점 218
1. 교통에 대한 해석의 확대 218
2. 도로교통법상 운전의 의미 218
3. 자동차손해배상법상 운행의 의미 219
IV.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적용에 있어서의 효율성 제고방안 222
1.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제2조 제3호, 제4호 신설 222
2. 교통사고조사 매뉴얼 보완 222
3.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보상기준 정립 224
V. 결론 226
참고문헌 227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운전면허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이성근 228
요약문(Summary) 232
I. 서론 236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36
2. 연구의 방법 및 순서 237
II. 이론적 고찰 238
1. 고령자의 정의 및 고령인구 추세 238
2. 고령자의 행동특성 239
III.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현황 및 분석 241
1. 고령자의 운전면허 소지 추세 241
2.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현황 및 추세 243
3.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분석 244
IV. 고령운전자 운전면허적성검사 제도 고찰 250
1. 외국의 고령운전자 운전면허 적성검사 제도 250
2. 우리나라의 고령운전자 운전면허 적성검사 제도 251
V. 결론 255
참고문헌 257
음주 및 스트레스와 운전스트레스의 연관성 / 이선주 258
요약문(Summary) 262
I. 서론 265
II. 이론적 배경 268
1. 음주행동 및 음주관련문제 268
2. 스트레스 269
3. 스트레스가 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271
III. 연구1: 음주와 운전 스트레스의 관계 274
1. 조사지역 및 조사 대상자 274
2. 조사도구 275
3. 연구결과 276
IV. 연구2: 스트레스와 운전 스트레스의 연관성 277
1. 조사지역 및 조사 대상자 277
2. 조사도구 277
3. 연구결과 278
V. 종합 논의 283
참고문헌 286
부록(설문지) 292
단순음주운전자와 상습음주운전자 운전성향 비교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보완 - Q 분석 기법을 중심으로 - / 박상호 300
요약문(Summary) 304
I. 서론 309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09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10
II. 이론적 고찰 312
1. 음주운전 성향에 대한 기존 연구 고찰 312
2. Q분석 방법론 313
3. 음주운전성향 분석을 위한 Q-set 제작 317
4. 음주운전자 교통안전교육 교과과정 319
III. 상습 음주운전자의 운전성향 분석 및 교육적 대책 마련 322
1.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분석 322
2. 음주운전성향 분석 324
3. 음주운전 성향별 교육적 대책 마련 343
IV.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349
참고문헌 351
부록(설문지) 354
교통약자 보행교통사고 감소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지역 교통약자 보행교통사고 다발지역을 중심으로 - / 양성영 360
요약문(Summary) 363
I. 서론 368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68
2. 연구의 범위 369
3. 연구조사 및 방법 370
II.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371
1. 교통약자 관련 선행연구의 고찰 371
2. 이론적 배경 374
III. 교통약자 보행교통사고 다발지역 선정 및 조사 방법 386
1. 교통약자 보행교통사고 다발지역 선정 386
2. 교통약자 보행교통사고 다발지점 분석 방법 389
IV. 교통약자 보행교통사고 다발지역 분석 및 결과 390
1. 보행교통사고 다발지역 체크리스트 분석 390
2. 보행환경과 보행교통사고의 상관관계 분석 392
V. 교통약자 보행교통사고 감소방안 394
1. 보행자도로 개선방안 394
2. 교통약자 중심의 보행교통안전교육 개선방안 395
3. 기타 보행환경 개선방안 396
VI.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397
1. 결론 및 조사연구의 요약 397
2. 향후 연구과제 398
참고문헌 399
부록(설문지) 402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특성에 따른 사고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 박혜원 404
요약문(Summary) 408
I. 서론 412
1. 연구배경 412
2. 연구 목적 414
3. 연구 방법 및 범위 415
II. 연구의 이론적 배경 416
1. 고령화 추세 416
2. 고령 운전자의 특성 418
3.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특성 분석 420
III. 고령자 교통안전 대책 검토 432
1. 국내·외 고령 운전자 교통안전 정책 비교 432
2. 국내·외의 운전면허 관리 현황 비교 440
3. 국내 고령 운전자 관련 법령 검토 444
IV. 결론 및 논의 447
1. 제도적 측면의 개선 방안 447
2. 교통 환경적 측면의 개선 방안 448
참고문헌 450
고령자 교통사고 감소방안 / 이남수 452
요약문(Summary) 456
I. 서론 460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460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60
II. 고령운전자 교통실태 462
1. 고령운전자 정의 및 현황 462
2. 고령운전자 운전관련 신체특성 465
III.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특성분석 471
1. 고령운전자 사고추이 471
2.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특성분석 473
3. 요약 및 시사점 477
IV.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예방 대책 478
1. 운전면허제도 보완 478
2. 교통안전교육 강화 479
3. 고령자를 배려한 도로시설 개선 480
4. 대체교통수단강화를 통한 고령운전자 운전수요 감소 481
V. 결론 482
참고문헌 484
음주운전자의 일반적 특성과 음주행태에 따른 상습음주운전 감소방안에 관한 연구 / 유지인 486
요약문(Summary) 490
I. 서론 494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494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95
II. 음주운전의 이론적 배경 496
1. 음주운전의 개념 및 법적요건 496
2. 음주운전 규제에 관한 이론적 배경 498
III. 음주운전 규제정책 현황 502
1. 음주운전 현황 502
2. 음주운전 규제정책과 운전자 교육정책 506
IV. 음주운전자의 일반적 특성과 음주행태 실증분석 514
1. 연구방법 514
2. 연구 분석 514
3. 연구결과 522
V. 결론 523
참고문헌 525
부록(설문지) 526
노인 교통사고 사상자 감소방안에 대한 연구(노인운전자 교통사고를 중심으로) / 김만수 528
요약문(Summary) 532
I. 서론 536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536
2. 연구의 방법 537
II. 노인의 개념과 신체적 심리적 특성 538
1. 노인의 개념 및 연령구분 538
2. 노인의 신체적·기질적 특성 539
3. 노인운전자의 행동특성 541
III. 노년층 운전자 현황 및 교통사고 실태 542
1. 노인의 운전자 현황 542
2. 노인 운전자의 교통사고 실태 545
IV. 노인 운전자 교통사고의 원인 및 예방대책 549
1. 노인 운전자 교통사고의 특징 549
2. 노인 운전자 교통사고의 예방대책 551
V. 결론 및 제언 560
1. 결론 및 제언 560
2.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 561
참고문헌 563
부록(설문지) 564
판권기 566
어린이통학버스 등에 대한 안전교육의 효율성 제고 방안 / 황윤상 14
[그림 1] 최근 5년간 어린이 교통사고 추세 20
[그림 2] 성별 30
[그림 3] 연령 31
[그림 4] 직업 32
[그림 5] 소지면허 33
[그림 6] 근무지 34
[그림 7] 1회 평균 운행 시간 35
[그림 8] 1일 평균 운행 시간 36
[그림 9] 교통안전에 대한 자체교육 및 교양실시 여부 37
[그림 10] 교통안전에 대한 자체교육 및 교양 실시 빈도 38
[그림 11] 교통안전에 관련된 교육 수강 여부 39
[그림 12] 과거에 교육을 받은 이유 40
[그림 13] 과거에 정지처분이나 취소처분을 받은 경험 41
[그림 14] 교육 받기 전 교통법규와 안전에 관한 지식 정도 42
[그림 15] 교육 받기 전 어린이통학버스 운영자 등의 의무에 관한 지식 정도 43
[그림 16] 교육 받은 후 교통법규와 안전에 관한 지식 정도 44
[그림 17] 교육 받은 후 어린이통학버스 운영자 등의 의무에 관한 지식 정도 45
[그림 18] 유아용 보호 장구 설치 사용 46
[그림 19] 유아용 보호 장구를 설치 운영하지 않은 이유 47
[그림 20] 교통사고의 원인 48
[그림 21] 교통법규를 위반하는 이유 49
[그림 22] 교통사고 감소 대책 50
[그림 23] 교육이 제도화된 것에 대한 생각 51
[그림 24] 교육 실시주기에 대한 생각 52
[그림 25] 교육시간에 대한 생각 53
[그림 26] 교육진행 방법에 대한 생각 54
[그림 27] 오늘 받은 교육에 대한 생각 55
[그림 28] 유익했던 교육내용 56
이화방어기제 검사를 활용한 상습 음주운전자의 방어기제 특성분석 / 정월영 114
[그림 1] 경찰 전체사고에 대한 음주운전사고 점유율 추세 116
사업용 차량운전자의 고령화에 따른 교통사고 저감대책에 관한 연구 / 김경수 157
[그림 1] 택시 종사자 연령별 증가추세 158
[그림 2] 사업용 차량 교통사고 비율 159
[그림 3] 연구의 흐름도 160
[그림 4] 자가용과 영업용차량 증가추이 165
[그림 5] 사업용차량 운수종사자 연령별 분포도 166
[그림 6] 택시운수종사자 연령대별 변화추이 166
[그림 7] 전체 교통사고 대비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추세 169
[그림 8] 고령운전자별 교통사고 변화추이 169
[그림 9] 택시종별 연령별 분포 174
[그림 10] 연령별 자각 건강상태 176
[그림 11] 범주 포인트의 결합도표 188
[그림 12] 변수 주성분 정규화 189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운전면허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이성근 235
[그림 1] 연구 순서도 237
[그림 2] 전체 운전면허소지자 대비 65세 이상 운전면허소지자 비율 242
[그림 3] 전체교통사고 사망자 대비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사망자 비율 244
단순음주운전자와 상습음주운전자 운전성향 비교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보완 - Q 분석 기법을 중심으로 - / 박상호 308
[그림 1] 음주운전 단속 현황 309
[그림 2] 연구방법의 순서도 311
[그림 3] Cattell의 공변도(Covariation Chart) 316
[그림 4] 분류 분포 319
교통약자 보행교통사고 감소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지역 교통약자 보행교통사고 다발지역을 중심으로 - / 양성영 367
〈그림 1〉 연구조사 방법 개괄 370
〈그림 2〉 체크리스트 389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특성에 따른 사고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 박혜원 411
[그림 1] 총인구 대비 연령계층별 고령인구 구성비, 2010-2060 417
[그림 2] 고령운전자 교통사고의 점유율 추이 426
[그림 3] 인구 10만 명당 운전자 연령층별 시간대별 사망사고 발생건수 429
[그림 4] 인구 10만 명당 운전자 연령층별 도시규모별 사망사고 발생건수 429
[그림 5] 인구 10만 명당 운전자 연령층별 사고 직전 행동유형별 사망사고 발생건수 430
[그림 6] 인구 10만 명당 운전자 연령층별 도로종류별 사망사고 발생건수 431
[그림 7] 인구 10만 명당 운전자 연령층별 도로 폭별 사망사고 발생건수 431
[그림 8] 뉴질랜드의 고령 운전자 운전면허 갱신 과정 439
[그림 9] 현행 운전면허 취득절차 441
노인 교통사고 사상자 감소방안에 대한 연구(노인운전자 교통사고를 중심으로) / 김만수 535
[그림 1] 연령대별 인구추이 542
[그림 2] 인구에 따른 교통사고 발생건수 544
[그림 3] 월별 노인운전자 교통사고 구성비 545
[그림 4] 시간대별 노인운전자 교통사고 구성비 546
[그림 5] 사고유형별 노인운전자교통사고 발생구성비 546
[그림 6] 차종별 노인운전자사고 구성비 547
[그림 7] 연령층별 교통사고 사망자수와 부상자수 547
[그림 8] 연령층별 보행자 사망자수와 부상자수 548
표제지
머리말 / 신용선
목차
지역사회의 특성을 고려한 고령보행자 교통안전에 관한 연구 / 정광원 570
I. 서론 575
1. 문제제기 및 목적 575
2. 연구문제 576
3. 용어의 정의 576
4. 연구의 제한점 577
II. 이론적 배경 578
1. 고령자의 개념 578
2. 고령자의 범위 578
3. 고령자 행동 및 심리적 특성 - (인용문) 579
III. 고령자 교통사고 추세 581
1. 고령자 인구분포 581
2. 고령자 교통사고 현황 583
3. 충북지역 고령자 교통사고 분석 592
IV. 교통약자 교통안전 정책동향 594
1. 우리나라 지역별 교통약자 교통안전 정책 594
2. 외국의 고령자 교통안전대책 595
V. 고령보행자 교통안전 정책 제안 598
1. 교육홍보 측면 598
2. 교통안전 시설 측면 600
3. 법제도적 측면 602
VI. 결론 603
참고문헌 605
차내소란행위 예방을 위한 법적·제도적인 고찰 및 승객행동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임소연 606
요약문(Summary) 610
I. 서론 615
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615
II. 이론적 배경 618
1. 차내소란행위의 위험성 618
2. 차내소란행위 620
3. 승객의 차내소란행위 결정요인 627
III. 연구방법 631
1. 연구대상 631
2. 연구절차 631
3. 측정도구 631
4. 자료분석방법 632
5. 연구의 한계 632
IV. 연구결과 633
1. 기초 분석 및 신뢰도 분석 633
2.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634
3. 가설검증 635
V. 결론 및 제언 638
참고문헌 640
부록(설문지) 641
무인단속장비 단속 자료를 활용한 운전자의 신호위반 및 과속 특성분석 - 청주시를 중심으로 - / 박기훈 644
요약문(Summary) 648
I. 서론 652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652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652
II. 이론적 배경 654
1. 신호위반 654
2. 과속 658
3. 연구의 차별성 663
III. 신호위반 및 과속의 특성분석 664
1. 무인단속장비의 운영원리 664
2. 자료수집 및 정리 664
3. 신호위반 특성분석 666
4. 과속위반 특성분석 677
IV.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688
1. 결론 688
2. 향후연구과제 689
참고문헌 691
교통사고 야기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양상과 외상 후 부정적 인지 경험 / 정현미 694
요약문(Summary) 698
I. 서론 702
II. 이론적 배경 704
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704
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외상 후 인지 경험과의 관계 705
III. 연구과제 706
IV. 연구 방법 707
1. 연구대상 707
2. 측정도구 707
3. 분석방법 709
V. 연구결과 710
1. 운전자 및 교통사고 정보에 대한 기술통계치 710
2. 교통사고 야기자의 PTSD 진단 및 증상 양상 714
3. 교통사고 특성과 PTSD 고위험군의 진단 715
4. 교통사고 특성과 PTSD 증상의 관계 716
5. PTSD 고위험 진단군과 비진단군의 외상 후 부정적 인지 717
6. 교통사고 야기자의 외상 후 부정적 인지 경험과 PTSD와의 관계 718
7. 외상 후 부정적 인지가 교통사고 야기자의 PTSD 증상에 미치는 영향 719
VI. 논의 721
1.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본 연구의 의의 721
2.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723
참고문헌 724
명절연휴일수와 교통사고 관계분석 / 박현배 728
요약문(Summary) 732
I. 서론 735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735
2. 연구목적 735
3. 연구방법 736
4. 연구대상의 제한 738
II. 명절교통사고 739
1. 최근 20년 전체 교통사고 739
2. 명절교통사고 740
III. 명절연휴일수에 따른 교통사고와의 관계 746
1. 명절(설 및 추석) 연휴일수 현황 746
2. 명절교통사고 점유율(전체교통사고 대비) 747
3. 명절연휴일수와 명절교통사고와의 관계분석 749
IV. 명절연휴일수 증가에 따른 교통사고 감소대책 753
1. 교통참여자 의식개선 기회의 제공 753
2. 준법의식 제고를 위한 다각적 노력 754
3. 음주운전 예방을 위한 홍보 및 단속강화 755
4. 야간 교통안전을 위한 방안 강구 756
5. 교통사고 발생 시 피해감소 유인책 강구 757
V. 결론 758
VI. 한계 758
참고문헌 759
음주운전 재발요인에 관한 고찰과 추적연구 / 고윤경 760
요약문(Summary) 764
I. 서론 767
1. 연구문제 767
2. 연구목적 및 가설 769
3. 이론적 배경 770
II. 연구방법 773
1. 연구대상 및 절차 773
2. 연구도구 773
III. 결과 775
IV. 논의 782
참고문헌 785
부록(설문지) 786
청소년 이륜차 운전자 특성분석을 통한 안전대책 향상방안 연구 / 윤형석 792
요약문(Summary) 796
I. 서론 800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800
II. 연구의 방법 및 범위 801
1. 연구의 제한점 801
III. 청소년 운전자 및 이륜차의 특성 802
1. 청소년 운전자의 일반특성 802
2. 이륜차의 일반특성 803
IV. 청소년 이륜차 운전자 교통사고 현황 807
1. 청소년 이륜차 운전자 교통사고 현황 807
V. 청소년 이륜차 운전자 성향 분석 결과 811
1. 설문조사 개요 811
2. 청소년 이륜차 운전자에 대한 설문 조사 분석 811
VI. 결론 819
VII. 제언 821
참고문헌 823
부록(설문지) 824
고령운전자의 인지지각검사(CPAD)결과 분석 - 연령을 중심으로 - / 김희영 828
요약문(Summary) 832
I. 서론 835
1. 연구배경 및 목적 835
II. 이론적 배경 837
1. 용어의 정의 837
2. 고령운전자 관련 선행연구 837
3. 고령운전자의 운전관련 특성 838
III. 연구 방법 및 분석 결과 840
1.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840
2. 연구도구 및 내용 841
3.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841
4. 자료 분석 결과 842
IV. 결론 846
1.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846
2. 연구의 제한점 및 의의 846
참고문헌 848
운전자의 생활습관이 음주운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기형 850
요약문(Summary) 854
I. 서론 858
1.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858
2. 음주운전 실태 860
3. 음주운전의 개념 및 법적요건 862
II.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 864
1. 음주운전자의 특성 864
2. 억제이론 864
3. 수치이론 866
4. 음주운전과 계획된 행동이론 867
5. 음주운전 행동 설명에 중요한 다른 요인들 868
III. 도로교통법의 음주운전 규제정책과 그 한계 871
1. 음주운전 규제정책 871
2. 운전자 규제정책과 그 한계 873
3. 스키너의 강화이론과 운전면허 정책 875
IV. 도로교통공단의 음주운전 교육정책 878
1. 음주운전교육의 변화 878
2. 음주운전 교육과 교육내용 878
V. 음주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과 건강요인 880
1. 연구방법 880
2. 자료분석방법 887
3. 연구결과 887
VI. 결과요약 및 논의 896
참고문헌 897
부록(설문지) 901
구미시 교통사고의 특성 및 안전시설 개선의 효과분석 / 황상섭 906
요약문(Summary) 910
I. 서론 913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13
II. 이론적 논의 914
1. 구미시의 교통여건 914
2. 구미시의 교통사고 잦은 곳 915
3. 구미시 교통사고 잦은 상위지점의 특성분석 922
III. 연구의 방법 925
1. 조사 설계 925
2. 분석방법 926
3. 교통사고 개선사업의 효과 분석결과 928
IV. 연구의 결과 932
참고문헌 934
위험감수성 척도의 개발과 위험감수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이순열 936
요약문(Summary) 940
I. 서론 943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43
2. 위험감수성과 교통사고 944
3. 위험감수성 구성요소 945
4. 운전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947
5. 위험감수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 947
II. 연구문제 949
III. 연구 1 - 위험감수성 척도(Risk Sensitivity Scale: RSS)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950
1. 연구목적 950
2. 연구문제 950
3. 방법 951
4. 연구결과 953
5. 논의 959
IV. 연구 2 - 위험감수성 향상을 위한 운전자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961
1. 연구목적 961
2. 연구문제 961
3. 방법 961
4. 연구결과 964
5. 논의 966
V. 종합논의 968
참고문헌 970
운전자의 음주 문제, 음주 기대가 음주 운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김묘수 972
요약문(Summary) 976
I. 서론 979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79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검토 980
3. 연구 문제 983
4. 연구의 제한점 983
II. 연구 방법 984
1. 연구 대상 984
2. 측정 도구 984
3.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985
III. 결과 및 논의 986
1. 조사자의 일반적 특성 986
2. 음주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의 상관 관계 987
IV. 결과 및 논의 992
참고문헌 994
부록(설문지) 995
교통안전교육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음주운전 1회반'을 중심으로) / 조용수 998
요약문(Summary) 1002
I. 서론 1006
1. 연구의 목적 1006
2. 연구문제 1008
3. 용어의 정의 1008
II. 연구의 방법 1009
1. 연구대상 1009
2. 연구도구 1009
3. 타당도와 신뢰도 1009
4.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1010
5. 연구의 제한점 1010
III. 이론적 배경 1011
1. 특별교통안전교육의 근거 1011
2. 특별교통안전교육의 체계 1011
3. 음주운전 정지 및 취소처분자 교육의 운영실태 1012
4. 교육만족도의 개념과 중요성 1014
IV. 음주운전 면허행정처분자 교육생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1015
1. 설문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 1015
2. 교통안전교육 이수 후 개인의 인식 1022
3. 특별교통안전교육에 대한 만족도 분석 1023
V. 결론 및 제언 1029
참고문헌 1030
부록(설문지) 1031
교통사고 가해자에 대한 형사처벌이 운전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 / 홍순재 ; 정미숙 1040
요약문(Summary) 1044
I. 서론 1047
1. 연구의 의의 및 목적 1047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048
3. 연구 수행 절차 1049
II. 이론적 고찰 1050
1. 선행연구 조사 1050
2. 가해 운전자 처벌에 대한 관련 법 검토 1051
3. 교통소양교육 교통사고자반 교육과정 분석 1056
4.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1058
III. 실증 분석 1062
1. 연구 대상 1062
2. 연구 절차 1062
3. 측정 도구 1062
4. 연구가설 1063
IV. 분석 결과 1064
1. 기술통계량 1064
2. 형사처벌 유무와 PTSD 정도와의 관계 분석 1064
3. 형사처벌 유무와 PTSD 진단유무 교차분석 1066
V. 결론 및 제언 1068
참고 문헌 1070
부록(설문지) 1072
판권기 1073
차내소란행위 예방을 위한 법적·제도적인 고찰 및 승객행동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임소연 614
[그림 1] 5년간 월별 교통사고 건수 및 사상자수(2008~2012) 616
[그림 2] 인간 지각의 정보 처리 모델 618
무인단속장비 단속 자료를 활용한 운전자의 신호위반 및 과속 특성분석 - 청주시를 중심으로 - / 박기훈 651
[그림 1] 연구수행 흐름도 653
[그림 2] 월별 신호위반 단속비교 667
[그림 3] 시간대별 신호위반 단속비교 668
[그림 4] 연령별 신호위반 단속비교 669
[그림 5] 성별 신호위반 단속비교 670
[그림 6] 연령별 - 월별 신호위반 단속비교 673
[그림 7] 연령별 - 시간대별 신호위반 단속비교 674
[그림 8] 성별 - 연령별 신호위반 단속비교 676
[그림 9] 월별 과속 단속비교 678
[그림 10] 시간대별 과속 단속비교 679
[그림 11] 연령별 과속 단속비교 680
[그림 12] 성별 과속 단속비교 681
[그림 13] 연령별 - 월별 과속 단속비교 683
[그림 14] 연령별 - 시간대별 과속 단속비교 684
[그림 15] 성별 - 연령별 과속 단속비교 686
교통사고 야기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양상과 외상 후 부정적 인지 경험 / 정현미 701
[그림 1] 운전자의 차종 및 직업군 710
[그림 2] 교통사고 유형 및 인명피해 유형 711
[그림 3] 부상자 및 사망자 유형 711
[그림 4] 교통사고로 인한 운전자의 피해 특성 713
운전자의 생활습관이 음주운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857
〈그림 1〉 Ajzen의 TPB 모형 868
〈그림 2〉 음주운전교통사고점유비와 음주운전처벌 강화 875
〈그림 3〉 스키너의 강화이론과 운전면허정책 877
〈그림 4〉 성별분포 880
〈그림 5〉 연령분포 880
〈그림 6〉 학력분포 881
〈그림 7〉 결혼여부 881
〈그림 8〉 운전경력분포 881
〈그림 9〉 차종 881
구미시 교통사고의 특성 및 안전시설 개선의 효과분석 912
[그림 1] 구미시 자동차대수 및 인구의 연도별 추이 915
위험감수성 척도의 개발과 위험감수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942
[그림 1] (좌) 교육용 차량 시뮬레이터, (우) 시뮬레이터 실행 화면 962
교통사고 가해자에 대한 형사처벌이 운전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 1046
[그림 1] 연구 수행 절차 1049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051341 | 363.12 -15-3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051342 | 363.12 -15-3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051343 | 363.12 -15-3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051344 | 363.12 -15-3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