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동아시아는 미래를 어떻게 준비하는가 / 박상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박상은 의원실, [201-]
청구기호
328.331 -15-167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430 p. : 삽화, 표 ; 23 cm
총서사항
정책연구자료집
제어번호
MONO1201532783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prologue : 동아시아 평화질서의 조건 2

동아시아는 미래를 어떻게 준비하는가 6

동아시아는 미래를 어떻게 준비하는가? - 세계 자본주의 체제변동과 동아시아 지역질서의 변화 8

1. '동아시아'의 발견 8

2. 20세기, 동아시아 역사에 대한 회고 9

3. 무엇이 문제인가? 10

4. 동아시아는 미래를 어떻게 준비하는가? 11

5. 동아시아 지역질서와 평화 13

미래지향적 한중관계의 새로운 모색 16

1.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현재 16

2.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한중관계의 변화 18

3. 미래지향적 한중관계 설정을 위한 과제 21

21세기 공공외교의 중요성 24

한·미 FTA와 경제·안보적 영향 26

1. 들어가면서 26

2. 한·미 FTA: 경제냐? 안보냐? 26

3. 한·미 FTA와 한미동맹 28

4. 한·미 FTA의 국내적 영향 29

5. 결언 32

이념지형의 변동과 안보 34

대외정책 결정과 정치적 소통구조의 형성 -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수용과정에서의 사례 36

1. 들어가면서 36

2.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수용과정 37

3.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수용과 정치적 리액션(reaction) 42

4. 결언: 시민사회와의 정치적 소통의 단절 51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의 정치동학 56

제1절 전시작전통제권 이슈의 대두 56

제2절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정 62

제3절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정치적 리액션 70

제4절 소결: 시민사회에 대한 이념적 동원 78

이념지형의 변동과 안보 86

안보정책결정에 있어서 동원과 포섭 92

동맹과 자주의 기회비용 98

전시작전통제권; 자주와 동맹의 이분법 100

한국의 군사원조, 외교적 전망 104

1. 들어가면서 104

2. 군사원조(軍事援助)의 개념 105

3. 원조의 이론적 배경 106

4. 한국의 군사원조 109

5. 한국 군사원조외교 전망 112

무기체계 산업의 구조진단 및 혁신전략 114

1. 산업구조조정과 경쟁시장구조로의 전환 114

2. 기술개발투자 확대와 수출경쟁력 강화 115

강압의 이론, 실제, 전망 116

1. 강압의 조건 116

2. 이론: 강압전략의 구성요소 117

3. 실제: 미국의 강압전략 121

4. 전망: 강압의 원칙 124

'민족공조'와 '한미동맹'의 기회비용 128

동북아시아는 평화를 어떻게 만들어 가는가 136

동북아 전략환경의 변화와 균형외교 138

1. '동북아 균형자'와 '협력적 자주국방' 138

2. 국방개혁과 군 구조개선 141

동북아 안보환경의 변화와 주변국 군사력 동향 144

1. 급변하는 동북아의 안보환경 144

2. 한반도 주변국의 군사력 동향 147

3. 한미동맹 재조정과 한반도 방위전력구조의 개편 153

4. 결언 161

동아시아는 평화를 어떻게 만들어가는가? 164

국제정치적 질서(order)의 제문제 166

동아시아를 둘러싼 국제질서 168

동아시아 지역질서의 역사적 변동 170

반동적 질서의 역사성과 동아시아 172

제국적 질서의 역사성과 동아시아 173

다자적 질서의 역사성과 동아시아 174

대립적 질서의 역사성과 동아시아 177

동아시아는 평화를 어떻게 만들어가는가? 178

니들이 에르메스 켈리를 알어? 182

자본주의, 미국, 사회화된 무한권력 - 문화와 권력의 민속기술지 184

1. 무엇이 우리를 지배하는가? - 우리를 지배하는 것들 184

2. 니들이 '에르메스' 켈리를 알어? 185

3. 우리의 일상은 안녕한가? 186

4. 구별짓기와 팔아먹기, 구별지어 팔아먹기 187

5. 주눅들기와 우쭐거림의 근거 189

5. 그래, 나에게도 권력은 있다! - 내가 억압하고 있는 것들 189

6. 자본이 만들어내는 문화권력 190

7. 전방위로 들이대는 자본 191

8. 불가능한 것을 요구하라! 192

여가의 재구조화와 공론의 재조직화 193

1. 한국사회에서 '디지털 디바이드'가 의미하는 것 193

2. "지금 필요한 건 뭐?" - 인터넷 속도와 '여가(餘暇)'의 재구조화 194

3. "이 모든 것이 다 노무현 탓이다" - 인터넷 유희와 사회적 공론 196

4. 그러나 바로 여기에 함정이 있다. 197

5. "너 초딩이지?" - 인터넷 민주주의와 담론투쟁 198

6. 문제는 다시 민주주의다! 200

68년 5월, 파리의 추억 202

1. Thesis 11th 202

2. 20세기에 대한 회고 203

3. 20세기는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205

4. 무모한 도전 206

5. 맑스를 넘어 206

사회주의적 전체주의와 자유의 문제 207

1. 배경적 논의; 동유럽 정치지형 변화의 배경 207

2. 관료사회주의 체제가 가져왔던 문제들 208

3. 더 많은 사회주의 210

4. 페레스트로이카로부터 비롯되어진 '자유'의 문제 211

5. 페레스트로이카의 이념;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 213

6. '인간적이고 민주적인 사회주의를 전 인류적 관점으로' 214

공동체 만들기 217

계몽의 종말 222

계몽의 종말 - 20세기 철학지형의 변동에 대한 역사주의적 접근 224

0. 들어가는 말 224

1. 역사의 위기 225

2. 철학지형: 역사적 접근 229

3. 보수주의자들의 대반전 230

4. 이념의 종말 231

5. 다시 읽는 맑스주의자들의 철학사 234

철학은 아직도 필요한가? 239

1. 철학은 어디에 있는가? 239

2. 우리는 철학을 하는가? 240

3. 철학과 역사의 문제 242

4. 철학은 아직도 필요한가? 243

역사는 끝났는가? 244

철학에서 벗어나 철학하기 246

1. 철학...? 참담한 현실 246

2. 그럼에도 불구하고 247

3. 왜 철학인가? 247

4. 철학, 그리고 방법론 248

5. 철학은 어디에 있는가? 248

6. 우리는 철학을 하는가? 249

7. 철학이라는 것 249

8. 다시 철학으로!!! 250

9. 서글픔 250

10. 철학에서 벗어나 철학하기 251

사회과학이냐, 철학이냐? - 전환기 사회학의 전망 253

0. 이성의 위기 253

1. 인문(과)학과 사회(과)학 256

2. 사회학과 철학 260

3. 사회과학이냐, 철학이냐? 262

효율과 형평의 경계를 넘어 268

세계화시대의 국가와 자본 270

1. 세계화와 주권국가의 미래 270

2. 세계화시대의 국가와 자본 272

신자유주의; 자본전략의 전환과 전망 276

1. 자본의 위기 276

2. 새로운 전략 279

3. 전환과 전망 283

4. 결론에 대신하여 - 축적체계의 변화와 상부구조의 변동 285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노동계급의 파편화 291

사회운동 노조주의와 국제주의 291

한국의 노동계급은 민주노동당을 지지하는가? 292

국제주의에 대한 착각 293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노동계급의 파편화 293

(보론) 노동계급의 자아정체성 296

우리시대의 화두, 경제민주화를 말한다 298

복지국가와 자본주의, 양립할 수 있다 300

지속가능한 복지, 어떻게 만들 것인가? 302

지속가능한 복지 302

성장과 함께하는 복지 303

미시적 안전망 구축 304

나오면서 306

87년 체제를 넘어서 308

한국에서 시민사회의 형성과 시민운동 310

0. 들어가면서 310

1. 한국에서 민중적 담론으로부터 시민적 담론으로의 이행 312

2. 한국에서 정치-사회적 변동 : 87년 노동자 대투쟁에서 97년 총파업 대투쟁으로 317

3. 한국에서 시민사회의 형성과 시민운동 322

한국정치의 민주주의 전환에 있어서 사회운동의 역할 326

I. 한국의 정치변동과 사회운동, 1987~1997 326

II. 이론적 배경 및 방법론적 모색 329

III. 대당적 세력관계 분석에 있어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들에 관하여 333

IV. 한국에서 정치적 지배구조의 성격변화와 사회운동 348

V. 결론: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359

87년 체제를 넘어서 363

1. 정치지형과 권력구조 363

2. '87년 체제'와 참여정부 364

3. 연정이냐, 개헌이냐 366

4. 연정과 개혁헤게모니 368

5. 참여정부 연정구상과 '대통령정치'의 강화 370

6. 첨언 372

헤게모니 프로젝트와 국가-자본-노동관계의 재구조화 374

1. 축적전략(accumulation strategy)과 헤게모니 프로젝트 374

2. 1997년 한국의 경제위기와 국가 376

3. 김영삼 정부에서 국가-자본-노동 관계의 재정립 380

4. 김영삼 정부의 헤게모니 프로젝트와 국가자율성의 재강화 385

5. 사회적 합의의 형성과 국가자율성의 재강화 389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392

민주화 이전의 민주주의,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398

정치적 소통구조와 정치지형의 형성 - '계급정당'과 '인터넷정당'을 통한 정책정당의 견인 400

1. 정보기술의 발달과 정치적 소통구조의 활성화 400

2. 인터넷정당의 출현과 정치적 노선분화 402

3. 경로분석 404

4. 정치적 소통구조와 정치지형의 형성 409

자본주의 발전과 민주주의 412

1. "부르조아 없이 민주주의 없다"(no bourgeois, no democracy) 412

2. "프롤레타리아 없이 민주주의 없다"(no proletariat, no democracy) 414

사회운동과 사회적 운동의 정치학 416

1. 자원동원이론과 신사회운동론의 이론적 위상, 분류 416

2. 자원동원이론과 신사회운동론의 이론적 한계, 비판 418

3. 새로운 민주주의...급진성과 다원성 420

4. 급진 민주주의 프로젝트와 헤게모니 422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425

1.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나의 죽음을 헛되이 하지 말라" 425

2. 민주화 이전의 민주주의 426

3. 주류와 비주류의 경계를 넘어 427

4.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427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52732 328.331 -15-16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52733 328.331 -15-16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