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4) KRIVET 정책연구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KRIVET, 2015
청구기호
331.2592 -16-15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vi, 300 p. : 삽화 ; 26 cm
총서사항
연구자료 ; 2015-5-1
제어번호
MONO1201533769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2014 KRIVET 정책연구』를 발간하며 2

제1장 2014 정책연구 방향 및 성과 6

2014 정책연구 방향 7

2014 정책연구 성과 8

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 강화 8

고용률 제고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정책의 혁신 10

학습-일자리 연계를 위한 평생 직업ㆍ진로교육의 정착 13

국가역량체계 구축 및 자격제도 내실화 15

제2장 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 강화 17

2-1. 창조경제 핵심 인력 육성정책 연구-SW산업과 광고산업을 중심으로 18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8

II. 주요 연구 내용 19

III. 정책 제언 23

2-2. 대학 및 전문대학 졸업자의 직종별 수요 추정-직업사전을 활용하여 25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5

II. 주요 연구 내용 26

III. 정책 제언 30

2-3. 인적자원정책 인프라 진단 및 정비 방안 32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2

II. 주요 연구 내용 33

III. 정책 제언 : 인적자원정책 인프라 정비 방안 37

2-4. 산학협력을 통한 지방대학 특성화 전략 39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9

II. 주요 연구 내용 40

III. 정책 제언 44

2-5. HRD-Index(인적자원개발지수) 구축 및 활용 46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46

II. 주요 연구 내용 47

III.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52

제3장 고용률 제고를 위한 직업능력개발 정책의 혁신 53

3-1. 기업의 지식과 좋은 일 54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54

II. 주요 연구 내용 55

III. 정책 제언 62

3-2. 다문화가족 경제적 역량 강화를 위한 직업능력개발과 일자리 지원 방안 연구-여성 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63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63

II. 주요 연구 내용 63

III. 정책 제언 64

3-3. 근로빈곤층 자립지원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연계 방안 연구 66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66

II. 주요 연구 내용 66

III. 정책 제언 71

3-4.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직업능력개발 연구 73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73

II. 주요 연구 내용 74

III. 정책 제언 78

3-5. 기업과 구직자의 무형적 요구분석을 통한 청년층 노동시장 분석 81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81

II. 주요 연구 내용 82

III. 정책 제언 85

3-6. 「맞춤형 취업지원」을 통한 직업능력개발 강화 방안 86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86

II. 주요 연구 내용 87

III. 정책 제언 90

3-7. 대학 창업교육훈련 생태계 조성 방안 93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3

II. 주요 연구 내용 93

III. 정책 제언 95

3-8. 사회적 경제 확산을 통한 사회적기업의 고용창출 활성화 방안 연구 98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8

II. 주요 연구 내용 99

III. 정책 제언 102

3-9. FTA 시대 HRD 전략 연구 104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04

II. 주요 연구 내용 104

III. 정책 제언 108

3-10. 정년연장과 기업의 직업능력개발 112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2

II. 주요 연구 내용 112

III. 정책 제언 117

3-11. 직장 따돌림의 실태조사와 방지 방안 연구 : 제조업을 중심으로 120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0

II. 주요 연구 내용 121

III. 정책 제언 123

3-12. NCS를 활용한 공공기관의 직무역량모델 개발 : 2개 공공기관의 사례 126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6

II. 주요 연구 내용 127

III. 정책 제언 130

3-13. 직업능력개발훈련기관 인증 방안 연구 132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2

II. 주요 연구 내용 133

III. 정책 제언 135

3-14. NCS를 활용한 훈련과정 개발 지원 및 심사ㆍ평가 연계 방안 138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8

II. 주요 연구 내용 139

III. 정책 제언 144

3-15. 중소기업 사업주 위탁훈련의 질 제고를 위한 훈련성과 평가모델 개발 152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52

II. 주요 연구 내용 153

III. 정책 제언 157

3-16. 국가기간ㆍ전략산업직종훈련과 직업능력개발계좌제의 효율적 통합 운영방안 160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60

II. 주요 연구 내용 161

III. 정책 제언 164

제4장 학습-일자리 연계를 위한 평생직업ㆍ진로교육의 정착 168

4-1. 진로탐색 중심의 자유학기제 성공요인 및 지원 방안 169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69

II. 주요 연구 내용 170

III. 정책 제언 179

4-2. 진로정보의 현장 활용실태와 개선 방안 183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83

II. 주요 연구 내용 184

III. 정책 제언 189

4-3.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진로정보서 발간 사업 (2013-2017) 191

I. 사업의 배경 및 목적 191

II. 주요 사업 내용 193

III. 향후 추진 방향 198

IV. 사업 경험에 기초한 정책 제언 199

4-4. 한국의 직업지표 연구(2014) 201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01

II. 주요 연구 내용 202

III. 정책 제언 206

4-5.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2014) 208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08

II. 주요 연구 내용 208

III. 정책 제언 214

4-6.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직무능력평가제 운영 기반지원 연구-특성화고졸 취업자를 대상으로 216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16

II. 주요 연구 내용 217

III. 정책 제언 222

4-7.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직업교육훈련체제 개편 방안 연구 224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24

II. 주요 연구 내용 225

III. 정책 제언 231

4-8. 고졸 취업자 후진학 계속교육 실태분석 및 내실화 방안 233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33

II. 주요 연구 내용 234

III. 정책 제언 236

4-9. 고등직업교육기관의 통합 방안 :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241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41

II. 주요 연구 내용 242

III. 정책 제언 244

4-10. 전문대학에서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 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248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48

II. 주요 연구 내용 249

III. 정책 제언 253

제5장 국가역량체계 구축 및 자격제도 내실화 257

5-1. 평생직업능력개발 촉진을 위한 국가역량체계 (NQF) 운영 방안 258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58

II. 주요 연구 내용 259

III. 정책 제언 263

5-2.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활용 방안 연구 266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66

II. 주요 연구 내용 267

III. 정책 제언 271

5-3. 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 개발 관리 체계화 방안 272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72

II. 주요 연구 내용 273

III. 학습모듈 개발 관리 기본 방향 277

5-4.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학습성과 표기 방안 279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79

II. 주요 연구 내용 279

III. 정책 제언 281

5-5.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의한 자격제도 개편 방안 282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82

II. 주요 연구 내용 283

III. 정책 제언 289

5-6. 주요국 자격제도의 성과와 한계-독일ㆍ영국ㆍ호주를 중심으로 290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90

II. 주요 연구 결과 291

III. 정책 제언 296

판권기 300

〈표 2-1〉 학력별 필요 인력과 실제 인력 27

〈표 2-2〉 40세 이하의 학력별 필요인력과 실제 취업인력 27

〈표 2-3〉 매칭 가능한 소분류 직업과 소분류 전공의 사례 29

〈표 2-4〉 K-means 군집 분석결과 41

〈표 2-5〉 전략군 간 정부 재정지원액 차이 42

〈표 2-6〉 전략 유형별 방안 45

〈표 2-7〉 HRD-Index의 구성 48

〈표 2-8〉 HRD-Index 추이 51

〈표 2-9〉 HRD-Index의 증감 유형별 분포 51

〈표 3-1〉 기업 차원 지표 56

〈표 3-2〉 취업 상태에 따른 근로능력빈곤층의 구성 67

〈표 3-3〉 근로빈곤층의 사회ㆍ경제적 특성 68

〈표 3-4〉 상대빈곤선에 따른 빈곤층 및 근로빈곤층 추정 규모 69

〈표 3-5〉 교육훈련의 생산성 효과 및 임금 효과의 파급효과 106

〈표 3-6〉 정년제 도입 사업체 현황 113

〈표 3-7〉 정년연장으로 기업이 예상하는 문제 114

〈표 3-8〉 정년연장 이후 장년근로자에 대한 직업훈련 필요성 114

〈표 3-9〉 숙련 하락 이유에 대한 인식 115

〈표 3-10〉 숙련 하락 이유에 대한 인식 116

〈표 3-11〉 한국남동발전주식회사와 대한지적공사 비 129

〈표 3-12〉 인증을 위한 항목별 조사 내용 135

〈표 3-13〉 국내 NCS 활용 사례 비교 139

〈표 3-14〉 호주와 영국의 사례 비교 142

〈표 3-15〉 훈련과정 개발 지원 및 심사⋅평가 연계 로드맵 145

〈표 3-16〉 훈련과정 심사의 심사기준 개편(안) 147

〈표 3-17〉 훈련기관 평가의 평가기준(집체훈련) 개편(안) 149

〈표 4-1〉 진로탐색 중심 자유학기제 성공을 위한 각 영역별 시사점 172

〈표 4-2〉 2014 진로정보 세부내용 및 정보원 195

〈표 4-3〉 기초 직업지표 상ㆍ하위 10개 세분류 직업(현재) 203

〈표 4-4〉 기초 직업지표의 상ㆍ하위 10개 세분류 직업(10년 후) 204

〈표 4-5〉 2006~2014년 일 중요성에 대한 인식변화(5점 척도) 209

〈표 4-6〉 2006~2014년 전반적인 윤리 수준 차이 210

〈표 4-7〉 NCS 기반 직무능력평가제 운영을 위한 주요 설문 결과 218

〈표 4-8〉 능력 중심 직업교육훈련체제 개편의 추진과제 전체 가중치 228

〈표 4-9〉 현장실습 및 실습학기제 인프라 구축 현황 249

〈표 4-10〉 현장실습 및 실습학기제에 대한 대학의 문제점 인식 252

〈표 5-1〉 NQF 적용 기반 분석 영역 및 주요 분석 사항 261

〈표 5-2〉 NCS기반 교육과정 개편 방식 269

〈표 5-3〉 NCS기반 교육과정 개편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270

〈표 5-4〉 NCS 학습모듈이 수행해야 할 역할 270

〈표 5-5〉 NCS와 학습모듈 개발ㆍ관리체계 비교 273

〈표 5-6〉 외국의 NCS와 학습교재 개발 사례 비교 275

〈표 5-7〉 학습모듈 개발 및 수정ㆍ보완의 기본 방향 278

〈표 5-8〉 국가별 자격제도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요약 비교 296

[그림 2-1] 고등교육 팽창의 원인과 결과 30

[그림 2-2] 대학 특성화와 산학협력 지표의 구성 40

[그림 2-3] 대학 특성화와 산학협력 간 상관 산포도 41

[그림 3-1] 기업의 지식, 숙련노동 수요, 좋은 일자리 경영 관행의 제도적 상보성(1) 55

[그림 3-2] 기업의 지식, 숙련노동 수요, 좋은 일자리 경영 관행의 제도적 상보성(2) 58

[그림 3-3] 기업의 지식, 숙련노동 수요, 좋은 일자리 경영 관행의 제도적 상보성(3) 59

[그림 3-4] 중소기업의 낮은 지식 및 숙련 수준과 대기업의 고임금 59

[그림 3-5] 인적자본, 기술, 숙련노동 수요 간 제도적 상보성의 현실과 이상향 60

[그림 3-6] 지식, 숙련노동 수요, 좋은 일자리의 기업 간 상보성의 현실과 이상향 61

[그림 3-7] 구직자 분류 근거 및 제공 서비스 흐름도 91

[그림 3-8] 직무수행능력 115

[그림 3-9] 정년연장 대비 장년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 방향 118

[그림 3-10] NCS의 훈련과정 개발과 심사ㆍ평가의 연계체계 144

[그림 3-11] 훈련성과 평가모델 개발 프로세스 155

[그림 3-12] 훈련성과 평가모델 단계별 평가내용 156

[그림 3-13] 중소기업 사업주 위탁훈련 훈련성과 평가 최종 모델 156

[그림 3-14] 중소기업 훈련 질 제고를 위한 훈련성과 평가모델 활용 절차 157

[그림 3-15] 국가기간ㆍ전략훈련과 실업자계좌제의 통합 운영 모형 164

[그림 4-1] 진로탐색 중심 자유학기제 활성화 기본 방향 및 추진 영역 173

[그림 4-2] 교육과정 영역 중요도 및 시급도 교차 비교 174

[그림 4-3] 수업 영역 중요도 및 시급도 교차 비교 175

[그림 4-4] 평가 및 환류 영역 중요도 및 시급도 교차 비교 176

[그림 4-5] 인적자원 영역 중요도 및 시급도 교차 비교 177

[그림 4-6] 체험 인프라 영역 중요도 및 시급도 교차 비교 178

[그림 4-7] 지원체제 및 환경 영역 중요도 및 시급도 교차 비교 178

[그림 4-8] 진로탐색 중심 자유학기제 활성화 추진 과제-국가단위 179

[그림 4-9] 진로탐색 중심 자유학기제 활성화 추진 과제-지역단위 180

[그림 4-10] 진로탐색 중심 자유학기제 활성화 추진 과제-학교단위 181

[그림 4-11] 국가 단위 진로정보 전달체계(경로) 개념도 186

[그림 4-12] 진로정보 유형별 필요도 및 충분도 187

[그림 4-13] 2차년도(2014년) 사업 방법 및 주요 내용 192

[그림 4-14] 2014년 진로정보서 수록 직업 선정 절차 194

[그림 4-15] 2014년 진로정보 개발을 위한 접근 틀 194

[그림 4-16] 향후 사업 추진 방향 198

[그림 4-17] 2006~2014년 직업선택 요인 변화 210

[그림 4-18] 소명지표와 일에 대한 만족도 212

[그림 4-19] 우리 사회의 능력중심 사회 이행에 대한 인식 분포 213

[그림 4-20] NCS-ICDP 시스템(가칭) 메뉴 구성도 220

[그림 4-21] NCS-ICDP 시스템(가칭)의 ICDP에 따른 직무능력표준이력서(가칭) 세부 구성 내용 221

[그림 4-22] 능력중심사회에서 직업교육훈련체제의 역할 및 기능 229

[그림 4-23]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직업교육훈련체제 개편 방향 230

[그림 4-24] 미래지향적 전문대학 발전 모형(안) 243

[그림 4-25] 미래의 이원적 학제 운영 구상(안) 247

[그림 5-1] 자격제도 개편 절차 286

[그림 5-2] 연구 분석틀 292

[그림 5-3] 자격제도의 노동시장과의 긴밀성 정도와 효과 294

[그림 5-4] 국가별 산업체의 참여 정도 및 사회적 파트너십에 따른 자격제도의 성과 294

[그림 5-5] 자격제도의 성과 제고에 영향을 주는 요인(배경) 295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20419 331.2592 -16-1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