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한국인의 신발, 화혜(靴鞋) / 최공호 외 지음 인기도
발행사항
파주 : 미진사, 2015
청구기호
391.4130951 -15-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00 p. : 삽화 ; 26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40805046
제어번호
MONO1201534035
주기사항
대등표제: Hwa-Hye : Korean traditional shoes
지은이: 박계리, 고우리, 진유리, 김소정
부록: 문헌 자료 ; 도판 목록
참고문헌(p. 193-197)과 색인 수록

목차보기더보기


머리말

1장_왕가의 신, 석
왕실 권위의 상징, 석
쓰임을 고려한 구조
신목이 달린 왕의 적석
-『국조오례의』 1기의 석
-『국조오례의』 2기의 석
-『국조상례보편』 1기의 석
-『국조상례보편』 2기의 석
적의에 맞춰 신던 왕비의 석

2장_관료의 신, 화
목이 긴 신, 화
-말 타는 신에서 유래한 화
조선 이전의 화
-신분에 따라 다르게 신다
-관복에 갖춰 신다
조선 시대의 화
-절기에 진상하던 화
-관료의 신, 흑피화
-당상관의 신, 협금화
-무관의 신, 수화자
-화를 대표하는 이름의 등장
-서양인의 눈에 비친 부츠

3장_반가의 가죽신, 혜
격조 있는 고급 신, 혜
-혜는 언제부터 신었을까
규제를 부른 성행 풍조
-권위를 자랑하던 신, 삽혜
-추운 날의 덧신, 투혜와 분투혜
형형색색 다른 신
-무늬로 멋을 내던 태사혜와 당혜, 운혜
-스타일을 뽐내던 녹비혜와 흑피혜
-종묘사직제에 신던 제혜
-궂은 날에 신던 유혜
호사를 누리다
-패션의 완성은 혜
-왕실의 당혜와 태사혜

4장_서민의 발, 짚신
스스로 삼아 신던 짚신
-짚신은 언제부터 신었을까
짚신 삼기
-풍속화 속 짚신 삼기
-짚신의 구조와 삼기
가죽신에 버금가는 다양성
-왕골 짚신과 미투리
-겨울나기, 둥구미신과 설피
-소에게 신겼던 쇠짚신
짚신에 얽힌 일화
-『백범일지』의 옥치 이야기
-짚신 장수 덕에 역을 면한 마을
-정성 가득 미투리
-선교사도 애용한 짚신의 성능

5장_비 오는 날의 나막신
나막신의 종류와 유래
시대에 따라 다른 모양
나막신에 쓰인 나무
나막신의 굽
남녀유별의 신
누가 신었을까
남산골 딸깍발이
깎고 다듬는 연장들

6장_귀천을 묻지 않던 혼례신
인륜지대사, 혼례신
혼수의 필수품, 가죽신
귀천을 묻지 않던 혼례신
-서민에게도 허용된 목화와 혜
-마을 단위의 대여소

7장_무희의 신, 비두리와 무우리
고구려의 무희신
조선 궁중의 무희신
-궁중 무희는 어떤 신을 신었을까
춤추는 신, 비두리와 무우리
-날아갈 듯, 비두리
-근심을 떨치는 무우리

8장_망자를 위한 습신
망자와 동행한 습신
『사례편람』으로 본 조선의 습신
-남자의 습신, 흑리
-여자의 습신, 채혜
유물에 얽힌 습신 이야기
-황후가 신은 금선단 습신
-정성으로 누빈 밀창군 습신

9장_당혜 만들기
재료
연장
당혜 만들기
화혜장의 작품

부록
주석
문헌 자료
도판 목록
참고 문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51557 391.4130951 -15-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51558 391.4130951 -15-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우리 전통 신발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그 아름다움을 보여 주는 책

    화혜란 목이 있는 신발인 화(靴)와 목이 없는 신발 혜(鞋)를 뜻하는 말로, 왕가나 양반층이 주로 신었던 전통 가죽신을 일컫는다.
    이 책은 화혜를 비롯한 우리 전통 신발들에 대해 소개한다. 왕실의 최상위 권력을 표상하는 의례용 신이었던 석, 관료가 공복에 갖춰 신던 화, 반가의 남녀가 일상에서 신던 혜, 서민의 발을 대신했던 짚신, 궂은 날에 요긴하게 신었던 나막신, 서민에게도 특별히 허용되었던 혼례신, 왕실 잔치의 격에 맞춘 무희들의 비두리와 무우리, 그리고 망자를 위한 습신이 그것이다. 우리 전통 화혜의 아름다움을 같이 누리고자 풍부한 도판을 함께 수록하였고, 무형문화재 화혜장이 직접 시연한 제작 과정도 만나볼 수 있다.

    그동안 신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여타 복식사의 연구와 자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비하였기에, 이 책의 출간은 무척 의미 있다.
    다양하고 복잡한 전통 신들의 종류와 명칭에 대해 사료와 선행 연구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정리를 시도한다.


    이 책은 모두 9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왕실의 최상위 권력을 표상하는 의례용 신인 석, 2장에서는 관료가 공복에 갖춰 신던 화, 3장에서는 반가의 남녀가 일상에서 신던 혜, 4장에서는 서민의 발 노릇을 담당한 짚신, 5장에서는 궂은 날에 요긴했던 나막신, 6장에서는 서민에게도 특별히 허용된 혼례신, 7장에서는 왕실 잔치의 격에 맞춘 무희들의 비두리와 무우리, 8장에서는 망자를 위한 습신에 대해 각각 소개한다. 각 장은 풍부한 유물 도판, 문헌 자료, 풍속화, 일화 등을 함께 살피고 있어 무엇보다도 흥미롭고, 재미있다. 9장에서는 무형문화재 화혜장의 시연으로 대표적인 일상의 신인 당혜를 제작하는 과정을 상세히 소개하고 있고, 화혜장이 만든 작품들 또한 만나볼 수 있다. 부록에 수록된 문헌 자료에서는 어떻게 전통 신들이 기록되어 있고 묘사되어 있는지 볼 수 있다.

    고급스러운 소재, 매혹적인 색감, 날렵하고 세련된 형태, 뛰어난 실용성 등 우리 전통 신발이 지닌 매력은 우리에게 많은 영감을 줄 것이며, 그 아름다움에 흠뻑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 책속에서 (알라딘 제공)











    신은 한 사람의 삶의 무게를 대신한다. 가장 낮은 자리에서 온몸을 떠받치는 처지가 그러하고, 주인이 살아온 자취와 성품도 고스란히 표상하는 탓이다. ‘누군가를 평가하려면 그 사람의 신을 신어보라’는 인디언 속담은 속 깊은 신발의 가치를 새삼 일깨운다.
    우리에게도 신은 예사 물건이 아니었다. 입성의 마지막 치레인 신에 세상의 이치를 빗댄 속담과 격언이 넘쳐난다. ‘가죽신을 신으면 편안하고, 나막신을 신으면 위태롭다. 그래도 방심하기 보다는 위태로워 조심하는 편이 낫다.’ 조선 말기 어느 문인이 어린 아들의 나막신에 새겨준 글귀다. 무심할 것 같은 조선 선비의 자식 사랑이 애틋하다 -머리말에서

    진나라晋, 265~316 때 편찬된 『고금주古今注』에는 석이 겹으로 된 바닥을 가지게 된 까닭을 알 수 있는 구절이 등장하는데, 그 내용이 참으로 흥미롭다. 석은 신 아래에 나무를 대었기 때문에 신발이 질퍽한 땅에 젖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축축한 바닥으로부터 신이 젖는 것을 막아 발을 보호하기 위해 바닥에 나무를 덧대어 만들었다는 것인데, 이 구절은 석이 주로 어떤 상황에서 신었던 신이었는지 생각해 보면 쉽게 이해된다. 석은 의례가 진행되는 긴 시간 동안 신던 신이다. 복잡한 왕실의 의례에서는 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흙바닥 위에 서 있어야 했으며, 의식에 따라서는 걸어서 이동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때, 진흙에 발이 젖거나 땅에서 올라오는 찬 기운을 피하기 위해서 나무를 바닥에 덧대어 만들었던 것이다. 이처럼 바닥에 나무를 댄 석의 구조는 의례에 사용되는 석의 쓰임에 맞게 고안된 매우 실용적인 구조였음을 알게 된다. -본문에서

    운혜雲鞋는 신의 앞코에 구름문이 새겨져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앞코가 제비부리같이 생겼다고 해서 제비부리신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운혜는 여자의 신으로 알려져 있고, 유물도 여자의 혜만 남아 있다. 그러나 문헌에는 남자가 신었던 운혜에 대한 기록이 전하고, 남자가 운혜를 신고 있는 모습이 풍속화에서도 포착된다. 결국, 운혜는 남녀가 함께 신었던 신이었다.
    신윤복의 [월하정인]에 등장하는 남자는 흰색 바탕에 옥색으로 앞코와 뒤축에 색을 넣은 운혜를 신고 있는데, 신의 색감이 매우 생생하게 표현되었다.
    운혜를 신은 남자아이의 모습을 그린 그림을 살펴보자. 엘리자베스 키스Elizabeth Keith, 1887~1956의 [정월 초하루 나들이]라는 그림에는, 새해 나들이를 하는 두 명의 아이와 엄마로 보이는 여자가 묘사되어 있다. 등장인물 모두 운혜를 신고 있는데, 저마다 다른 색을 띄고 있다. 남자아이는 연두 바탕에 살구색으로 꾸민 운혜를, 엄마는 연한 푸른색 바탕에 이보다 진한 푸른색으로 장식한 운혜를, 여자아이는 분홍 바탕에 연두색으로 장식한 운혜를 각각 신었다. 엄마와 여자아이가 왼쪽에 서 있는 남자아이를 지그시 내려다보고 있으며, 배경으로 멀리 광화문과 해태상이 보인다. 머리에는 쓰개인 풍차와 남바위를 착용하고 있는데, 차림새로 보아 한눈에도 나들이 나온 가족 풍경이다. 이 그림은 어른들뿐만 아니라 상류층의 아이들도 운혜를 즐겨 신었음을 알게 한다. -본문에서

    서양 선교사가 짚신을 신어 보고 남긴 소회는 색다르게 다가온다. 한국에 포교와 교육 활동을 위해 파견되었던 독일 신부 노르베르트 베버Norbert Weber, 1870~1956는 두 번의 조선 방문 기간에 여러 지역을 여행하면서 보고 들었던 당시의 조선 풍경을 기록하여 책 『고요한 아침의 나라』를 펴냈다. 한국의 상징으로 널리 알려진 이 책에서 짚신을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짚신은 가볍고 편해서 도보 여행에 좋고, 특히 자갈투성이 험한 산길에 제격이다. 산행이 가볍고 잘 미끄러지지도 않는다.” 몸소 도보 여행에 신어 본 짚신의 성능을 상찬한 것이다. 그의 짚신 사랑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1925년 그가 우리나라에 두 번째 방문하여 금강산을 여행할 때도 짚신과 관련된 일화가 다시 등장한다. 이 여행에 동행했던 독일인 크누트 신부가 짚신을 신지 않고 서양식 신을 고집하는 바람에 바위에서 미끄러져 물웅덩이에 빠진 일화를 소개하면서, 자신은 짚신 덕분에 편하게 등산을 할 수 있었다고 술회하였다. 한국을 방문했을 때 찍은 베버 신부 일행의 사진을 보자. 다른 신부들과 함께 마루에 걸터앉아 있고, 왼쪽에 앉은 신부의 발이 살짝 보이는데, 짚신을 신었다. 이국의 낯선 문화에 대한 단순한 호기심은 아니었던 듯 꽤나 친숙해 보인다. 이처럼 누구나 삼을 수 있었던 짚신은 남녀노소 모두가 일상 속에서 즐겨 신었던 서민의 발이었다.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바로 만들어 신는 효용성이 가장 큰 이유였을 것이다. 이런 탓에 우리나라에 온 서양인의 눈에 가장 먼저 띠었던 신도 짚신이었으며, 한 번쯤 신어 본 경험은 보기와 다른 그 효용성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다. 짚신이 대표적인 전통 신으로 오랫동안 자리하였던 이유도 이와 다르지 않을 것이다. -본문에서

    아름다운 혼례복에 목화와 혜를 신을 수 있었다고 해도 가난한 민가에서 준비하려면 부담이 만만치 않았을 것이다. 집안에 관직자가 있으면 그나마 형편이 나은 편이었다. 관직을 지낸 선대의 의관을 물려 입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가난한 집안에서는 이마저도 여의치 않아 남에게 빌려 입는 대의貸衣 풍속이 일반적이었다. 이 때문에 혼례복은 관아에서 빌려주는 것이 오랜 풍습의 하나였다. 그러나 1900년에 관복이 양복으로 바뀌면서 공복과 사모관대의 숫자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또 길일에는 여러 집의 혼례날이 겹쳐 빌려 입을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었다. 이렇게 되자 혼례함에 넣고 온 치마와 저고리 감을 꺼내서 입거나, 마을에서 혼례복을 만들어 공동으로 이용하는 지혜를 발휘하게 되었다. 여자 혼례복은 특히 귀했다. 남자가 관복을 구하기도 여의치 않았지만 여자는 원삼을 구하기가 더욱 어려웠다. 관복은 등청 때 매일 입고 나가는 옷이므로 겨울과 여름에 따라 다른 옷감으로 만들어 여유분이 더러 있었지만, 여자의 원삼은 의례 때나 사용하는 옷이어서 그 수가 매우 적었다. 마을 공동체가 마련되지 않은 곳은 빌려 입기도 여의치 않았는데, 이럴 때는 수의壽衣로 만들어 둔 것을 꺼내어 사용하기도 하였다. “수의로 만든 원삼을 시집가는 색시에게 세 번 빌려주면 극락에 간다”라는 말이 생긴 것도 여기서 비롯하였다. -본문에서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