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4)팔공산도립공원 자연자원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편] 인기도
발행사항
대구 : 경상북도, 2015
청구기호
333.783 -15-7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765 p. : 삽화, 지도, 표 ; 30 cm
총서사항
NPRI ; 2015-2
제어번호
MONO1201534735
주기사항
[연구기관]: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연구수행자

[사진]

목차

1. 일반현황 / 한상열 36

가. 자연환경 38

1) 지리적 위치 및 면적 38

2) 기후 38

3) 지형 및 지세 39

나. 사회경제 40

1) 인구 40

2) 토지이용 40

3) 건축물 현황 43

4) 경제 및 산업활동 43

5) 도로 및 교통 46

6) 문화자원 48

다. 공원 현황 50

1) 위치 및 지정현황 50

2) 인구 50

3) 토지 소유 및 이용현황 52

4) 건축물 현황 54

라. 공원 연혁 54

마. 공원시설 현황 55

1) 등산로 55

2) 야영장 56

3) 주차장 56

4) 기타시설 57

2. 지질 / 장윤득 58

가. 조사목적 60

나. 조사 방법 60

1) 조사기간 및 조사지역 60

2) 조사방법 60

다. 결과 및 고찰 61

1) 지질개요 61

2) 형성과정 63

3) 지질각론 63

라. 선행연구결과와 비교 87

마. 참고문헌 87

3. 지형경관 / 전영권 90

가. 조사목적 92

나. 조사 방법 93

1) 조사기간 및 조사지역 93

2) 조사방법 93

다. 팔공산 개요 93

1) 팔공산 지명유래 93

2) 팔공산의 범위 94

3) 팔공산 일대 기후 96

4) 팔공산의 수계와 주능선 99

라. 결과 및 고찰 100

1) 지질개요 100

2) 지형경관 100

마. 선행연구결과와 비교 122

바. 참고문헌 122

4. 식물상 / 박선주 126

가. 조사목적 128

나. 조사 방법 128

다. 결과 및 고찰 129

1) 관속식물의 종조성 129

2) 멸종위기야생식물 131

3) 한국특산식물 133

4)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134

5) 국외반출 승인대상종 139

6) 외래식물 분포 140

7) 생태계교란 야생식물 143

라. 선행연구결과와 비교 144

마. 참고문헌 145

부록 4-1. 출현한 전체 관속식물 목록 147

5. 식생 / 정흥락 194

가. 조사목적 196

나. 조사 방법 196

1) 식생조사 197

2) 현존식생도 작성 197

다. 결과 및 고찰 198

1) 주요 식물군락의 종류 198

2) 현존식생도 211

3) 우점식생의 공간 분포 특성 212

4) 천이과정 및 잠재자연식생 변화 예측 212

라. 선행 연구결과와 비교 214

마. 참고문헌 214

부록 3-1. 현존식생도의 식물군락코드체계 215

부록 3-2. 식생조사표 222

6. 포유류 / 김남철 258

가. 조사목적 260

나. 조사방법 260

1) 조사기간 및 조사지역 260

2) 조사방법(중·대형 포유류) 261

3) 조사방법(소형 포유류 및 박쥐류) 262

다. 결과 및 고찰 263

1) 팔공산에 서식하는 포유류상 263

2) 팔공산의 법정보호종 서식현황 273

라. 선행 연구와의 비교 274

마. 참고문헌 275

부록 6-1. 팔공산 포유류상 목록 276

7. 조류 / 박희천 278

가. 조사목적 280

나. 조사 방법 280

다. 결과 및 고찰 283

1) 전체 종수 283

2) 팔공산 조류의 계절형과 주요종 287

라. 선행 연구결과와 비교 289

마. 참고문헌 293

8. 양서·파충류 / 송재영 294

가. 서론 296

나. 조사일정 및 방법 296

1) 조사지역 및 일정 296

2) 조사지역 296

3) 조사방법 297

다. 결과 및 고찰 299

1) 양서·파충류 현황 299

2) 격자별/지구별 양서·파충류 현황 301

3) 양서·파충류 군집분석 303

4) 법정보호종 현황 304

라. 선행 연구결과와 비교 305

마. 참고문헌 307

9. 담수어류 / 채병수 308

가. 조사목적 310

나. 조사방법 310

1) 조사시기 310

2) 조사지점 311

3) 조사방법 313

4) 군집분석 313

다. 결과 및 고찰 314

1) 조사지 개황 314

2) 어류상 315

라. 선행연구와의 비교 323

마. 참고문헌 324

부록 9-1. 팔공산에 서식하는 어류 326

10. 담수조류 / 김한순 328

가. 조사목적 330

나. 조사 방법 330

1) 조사 지역 및 방법 330

다. 결과 및 고찰 332

1) 이화학적 환경요인 332

2) 담수조류의 총 출현종수 333

3) 식물플랑크톤 333

4) 부착규조류 336

라. 선행 연구결과와의 비교 338

마. 참고문헌 339

부록 10-1. 팔공산에서 조사된 담수조류 목록 340

11. 주간곤충 / 이종욱 350

가. 조사목적 352

나. 조사 방법 352

1) 조사 일정 352

2) 조사방법 354

다. 결과 및 고찰 355

1) 곤충상 355

2) 법정보호종 및 특이곤충 358

3) 국내 미기록종 후보 현황 359

라. 선행연구결과와 비교 360

마. 참고문헌 361

부록 11-1. 지표성 주간곤충 목록 364

12. 야간곤충 / 변봉규 416

가. 조사목적 418

나. 조사 방법 418

1) 조사기간 418

2) 조사방법 418

다. 결과 및 고찰 420

1) 야간곤충 420

2) 지구별 조사 423

3) 법정보호종 및 특이곤충 424

라. 선행연구결과와 비교 425

마. 참고문헌 427

부록 12-1. 팔공산자연자원조사 야간곤충 목록 430

13.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 이종은 444

가. 조사목적 446

나. 조사 방법 446

1) 조사지역 446

2) 조사시기 448

3) 채집시기 및 방법 448

4) 동정 449

5) 군집분석 449

6) 수환경 평가 451

다. 결과 및 고찰 452

1) 서식지 현황 452

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458

3) 개체수 점유율 459

4) 수계별 분포현황 459

5) 수환경 평가 495

6) 주요종의 분포 현황 496

라. 선행연구결과와 비교 497

마. 참고문헌 498

부록 13-1.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과거 및 금년 출현 종 비교 500

부록 13-2. 한천·사창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 종 목록 510

부록 13-3. 남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 종 목록 514

부록 13-4. 가산산성 습지·신령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 종 목록 519

부록 13-5. 동화천·청통천·박사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 종 목록 524

부록 13-6. 구야천·용수천·능성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 종 목록 529

15. 고등륜류 / 최장옥 534

가. 조사목적 536

나. 조사방법 536

1) 조사내용 및 조사지역 536

2) 조사기간 537

3) 조사방법 537

다. 결과 및 고찰 538

1) 고등균류 종다양성 538

2) 고등균류 목록 538

3) 지구(격자)별 분포 및 서식현황 538

4) 월별 출현 종수 비교 550

5) 서식지 환경과 버섯발생 561

라. 선행 연구결과와 비교 561

마. 참고문헌 561

부록 14-1. 고등균류 목록 562

15. 문화자원 / 황선식 586

가. 조사목적 588

나. 조사 방법 589

1) 문헌조사 589

2) 현장조사 589

다. 결과 및 고찰 590

1) 경북지역 595

2) 대구시 지역 611

3) 민속자료(마을 동제) 620

4) 민속자료(마을 신앙문화) 656

라. 참고문헌 667

16. 경제적 가치 평가 / 심규원 670

가.조사목적 672

나. 재료 및 방법 673

1) 탐방객 수 추정 673

2) 경제적 가치평가 673

다. 결과 및 고찰 681

1) 탐방객 수 추정 681

2) 경제적 가치평가 682

라. 참고문헌 686

17. 탐방행태 및 수용력 / 이숙향 688

가.조사목적 690

나.조사방법 690

1) 조사 내용 690

2) 조사 대상 및 범위 690

3) 표본추출방법 692

다. 결과 및 고찰 692

1) 탐방객의 인구통계·사회경제적 특성 692

2) 이용행태 693

3) 탐방만족도 694

4) 사회·심리적 수용력 평가 696

5) 시·공간 탐방집중도 분석 698

라. 참고문헌 700

18. 훼손지·위험지구 / 김명준 702

가. 조사목적 704

나. 조사방법 704

1) 탐방로 훼손지 조사 704

2) 위험지구 조사 706

다. 결과 및 고찰 708

1) 탐방로 훼손지 708

2) 위험지구 현황 738

라. 선행연구결과와 비교 748

마. 참고문헌 750

19. 요약 752

1. 지질 754

2. 지형경관 755

3. 식물상 755

4. 식생 756

5. 포유류 757

6. 조류 757

7. 양서·파충류 758

8. 어류 758

9. 담수조류 759

10. 주간곤충 760

11. 야간곤충 760

1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760

13. 고등균류 761

14. 문화자원 761

15. 경제적 가치 평가 762

16. 탐방행태 및 수용력 762

17. 위험지구 763

20. 종합고찰 766

가. 자연자원 조사결과 종합 768

1) 생물종 현황 768

2) 멸종위기종, 천연기념물 등 주요 생물종 770

나. 분야별 개선방안 775

1) 지질 775

2) 지형경관 776

3) 식물상 777

4) 식생 778

5) 포유류 778

6) 조류 780

7) 양서·파충류 780

8) 어류 782

9) 담수조류 783

10) 주간곤충 784

11) 야간곤충 784

1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786

13) 고등균류 787

14) 문화자원 788

15) 경제적 가치 평가 790

16) 탐방행태 및 수용력 790

17) 위험지구 791

다. 주요 현안 대책 794

1) 공원구역 조정 794

2) 정상부 방송통신 시설 통합 794

3) 가산산성 습지 보호구역 지정 795

4) 특정식물(복수초) 군락지 보호 796

5) 발굴 훼손지 보호 및 복원 796

6) 샛길관리 및 복원 797

7)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및 스토리텔링 개발 798

8) 문화자원 보호 799

9) 지역사회 협력 네트워크 구축 799

10) 깃대종 지정(안) 800

판권기 801

표 1-1. 팔공산 권역의 지역별 인구현황 40

표 1-2. 팔공산 권역의 토지이용현황 41

표 1-3. 주택현황 및 보급률 43

표 1-4. 지역별·산업별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44

표 1-5. 연도별·지역별 자동자 등록대수 및 주자장 면수 46

표 1-6. 연도별·지역별 도로현황 47

표 1-7. 팔공산도립공원 내 문화재 현황 48

표 1-8. 팔공산자연공원 내 문화재 현황 49

표 1-9. 팔공산의 지역별 면적 50

표 1-10. 팔공산 공원구역 내 인구현황 51

표 1-11. 팔공산 공원구역 내 인구현황(경상북도) 51

표 1-12. 팔공산 공원구역 내 인구현황(대구광역시) 52

표 1-13. 팔공산 공원구역 내 토지소유 현황 52

표 1-14. 팔공산 공원구역 내 토지이용 현황 53

표 1-15. 팔공산 공원구역 내 건축물 현황 54

표 1-16. 팔공산도립공원 탐방로 현황 55

표 1-17. 팔공산자연공원 탐방로 현황 56

표 1-18. 야영장 현황 56

표 1-19. 주자장 현황 57

표 1-20. 팔공산도립공원 기타시설 현황 57

표 1-21. 팔공산자연공원 기타시설 현황 57

표 2-1. 조사기간 및 조사지역 60

표 3-1. 조사기간 및 조사지역 93

표 3-2. 대구·영천의 30년간(1981년~2010년) 평균기온 96

표 3-3. 대구·영천의 30년간(1981년~2010년) 평균 강수량 96

표 3-4. 대구·영천의 30년간(1981년~2010년) 평균 최고기온 96

표 3-5. 대구·영천의 30년간(1981년~2010년) 평균 최저기온 96

표 3-6. 대구·영천의 30년간(1981년~2010년) 평균 증발량 97

표 3-7. 대구·영천의 30년간(1981년~2010년) 평균 풍속 97

표 3-8. 대구·영천의 30년간(1981년~2010년) 평균 습도 97

표 3-9. 대구·영천의 30년간(1981년~2010년) 평균 일조시간 98

표 3-10. 대구·영천의 30년간(1981년~2010년) 평균 안개계속시간 98

표 3-11. 대구·영천의 30년간(1981년~2010년) 평균 지면온도 98

표 3-12. 격자별 주요 지형경관 출현 빈도 114

표 4-1. 조사기간 및 조사지역 128

표 4-2. 팔공산 관속식물의 종조성표 130

표 4-3. 희귀식물 목록 131

표 4-4. 한국특산식물 목록 133

표 4-5.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목록 135

표 4-6. 국외반출 승인대상종 목록 139

표 4-7. 외래식물 목록 141

표 4-8. 생태계교란야생식물 목록 143

표 4-9. 팔공산과 관련된 연구 목록 145

표 5-1. 조사기간 및 조사지역 196

표 5-2. 종합상재도표 205

표 5-3. 우점식생의 공간 분포 특성 212

표 6-1. 조사일정 및 조사지점 260

표 6-2. 포유류 서식현황 263

표 6-3. 가산면지구의 포유류 서식현황 265

표 6-4. 가산산성지구 포유류 서식현황 266

표 6-5. 남산리지구 포유류 서식현황 267

표 6-6. 동산리지구 포유류 서식현황 268

표 6-7. 파계사지구 포유류 서석현황 269

표 6-8. 동화사지구 포유류 서식현황 270

표 6-9. 갓바위지구 포유류 서식현황 271

표 6-10. 은해사지구 포유류 서식현황 272

표 6-11. 치산지구 포유류 서식현황 273

표 6-12. 법정보호종 서식현황 274

표 6-13. 팔공산 선행연구와의 포유류상 비교 274

표 7-1. 조사일정 280

표 7-2. 조사지역 281

표 7-3. 조사지구별 출현현황 283

표 7-4. 팔공산 조류의 지구별 종수와 주요 우점종 및 군집지수 285

표 7-5. 주요종 현황 289

표 7-6. 선행조사목록과 본 조사의 조류목록 290

표 8-1. 팔공산 자연자원조사 일정 296

표 8-2. 확인된 양서류 목록 299

표 8-3. 확인된 파충류 목록 300

표 8-4. 격자별 양서류상 302

표 8-5. 격자별 파충류상 303

표 8-6. 양서류 군집분석 결과 및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평가 등급과 비교 303

표 8-7. 파충류 군집분석 결과 및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평가 등급과 비교 304

표 8-8. 팔공산에서 확인된 양서·파충류의 법정보호종 및 생태계교란종 현황 305

표 8-9. 양서·파충류의 현지조사와 문헌조사 결과 비교 306

표 9-1. 조사시기 310

표 9-2. 각 조사지접의 물리적 현황 314

표 9-3. 구역별 출현어종의 목록과 개체수 317

표 9-4. 조사지점별 채집어종의 목록과 개체수 318

표 9-5. 한반도 고유어종과 출현지접 321

표 9-6. 외래종 및 이입종의 출현지점 321

표 9-7. 각 지점의 군집분석 결과 322

표 9-8. 팔공산의 어류상에 대한 선행연구와의 비교 324

표 10-1. 조사 정점 및 조사일자 330

표 10-2. 조사기간 동안 팔공산의 환경요인 332

표 10-3. 식물플랑크론의 분류군별 요약 334

표 10-4. 팔공산에서 조사된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335

표 10-5. 부착규조류의 요약 336

표 10-6. 계절별 부작규조류 출현종 수의 변화 337

표 10-7. 부착규조류의 우점종 338

표 11-1. 조사일정 및 조사지역 352

표 11-2. 지표성 주간곤충상 현황 355

표 11-3. 지역별 지표성 주간곤충상 현지조사 결과 357

표 11-4. 대상공원의 주요종(현지조사) 359

표 11-5. 본 조사에서 확인된 국내 미기록 곤충 359

표 11-6. 팔공산과 국립공원의 곤충상 현황 비교(나방류제외) 360

표 12-1. 조사일정 및 조사지역 419

표 12-2. 팔공산지역 야간곤충(나비목) 과별 현황 420

표 12-3. 월별 야건곤총 종수 및 개체수 422

표 12-4. 조사지구별 야건곤충상 결과 424

표 12-5. 국외반출 승인 대상종 및 고유종 현황 425

표 13-1. 수계별 조사지점 위치 447

표 13-2. 지역별 조사기간 448

표 13-3.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국내외 기준 문헌 449

표 13-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등급 452

표 13-5. 한천 수계 지점별 서식환경 452

표 13-6. 사창천 수계 지점별 서식환경 453

표 13-7. 남천 수계 지점별 서식환경 453

표 13-8. 가산산성 습지의 서석환경 455

표 13-9. 구야천 수계의 서식환경 455

표 13-10. 신령천 수계의 서식환경 455

표 13-11. 용수천 수계 지점별 서식환경 456

표 13-12. 동화천 수계의 서식환경 456

표 13-13. 청통천 수계 지점별 서식환경 457

표 13-14. 박사천 수계 지점별 서식환경 457

표 13-15. 능성천 수계의 서식환경 458

표 13-16. 각 수계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 구성 461

표 13-17. 한천 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62

표 13-18. 사창천 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65

표 13-19. 남천 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69

표 13-20. 가산산성 습지 일원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76

표 13-21. 구야천 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78

표 13-22. 신령천 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80

표 13-23. 용수천 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82

표 13-24. 동화천 수게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86

표 13-25. 청통천 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88

표 13-26. 박사천 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91

표 13-27. 능성천 수게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93

표 13-28. 팔공산 지점별 BMI지수 496

표 13-29. 국외반출승인대상종 및 고유종, 2등급 외래종 출현 지역 496

표 13-30.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교 497

표 14-1. 조사 시기 및 조사 격자 537

표 14-2. 고등균류 종다양성 538

표 14-3. 지구(격자)별 총 출현 종수 539

표 14-4. 고등균류의 격자별 분포 540

표 14-5. 월별 고등균류의 출현 현황 550

표 14-6. 월 평균 강수량, 온·습도, 토양습도 등이 버섯발생에 미치는 영향 550

표 14-7. 고등균류의 월별 출현 현황 551

표 15-1. 조사일정 589

표 15-2. 지정문화재 현황 590

표 15-3. 비지정문화재 현황 593

표 16-1. 행정구역별 주요 조사지점 현황 673

표 16-2. 이용가치와 보존가치에 대한 응답자 반응 680

표 16-3. 조사지점별 활용자료 현황 681

표 16-4. 방문목적에 따른 월별 차량 평균 탑승객 승수 681

표 16-5. 이용가치의 Turnbull 분포무관 추정치 683

표 16-6. 보존가치의 Turnbull 분포무관 추정치 684

표 16-7. 보존가치 할당비율 684

표 16-8. 팔공산의 경제적 가치 평가 결과 685

표 17-1. 주요 지역별 탐방객 점유율 692

표 17-2. 인구통계·사회경제적 특성 693

표 17-3. 탐방 이용행태 694

표 17-4. 탐방만족도 695

표 17-5. 공원환경에 대한 지역별 세부 탐방만족도 696

표 17-6. 지구·계절별 혼잡지각도 및 재방문의사 697

표 17-7. 시·공간적 탐방집중도 698

표 18-1. 탐방로 구분 712

표 18-2. 탐방로 구간별 물리적 특성 713

표 18-3. 탐방로 훼손정도 판단기준 714

표 18-4. 구간별 훼손정도 및 훼손비율 715

표 18-5. 구간별 훼손유형 716

표 18-6. 국립공원 산사태 위험지구 등급 판정 739

표 18-7. 국립공원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기준 및 배점 739

표 18-8. 위험지구 현황 740

표 18-9. 탐방로의 물리적 특성 비교 749

표 18-10. 탐방로 훼손비율 비교 749

표 20-1. 팔공산 생물종 현황 768

표 20-2. 팔공산에 서식하는 법정보호종 및 주요종 770

표 20-3. 탐방로 복구 우선순위 선정기준 791

표 20-4. 팔공산 탐방로 복구 단계 792

표 20-5. 산사태 위험지역내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 등급 793

표 20-6. 위험지구 관리방안 793

표 20-7. 가산산성 습지 일원에서 관찰된 생물종 현황 795

그림 1-1. 팔공산의 표고 39

그림 2-1. 지질도 62

그림 2-2. 가산산성 일대의 화강암내 흰색의 장석반정 65

그림 2-3. 가산산성 일대 화강암의 구조와 다양한 광물 65

그림 2-4. 동봉일대 화강암을 구성하는 결정질 주구성광물.... 66

그림 2-5. 동봉일대 화강암의 구조와 다양한 광물 67

그림 2-6. 관봉일대 화강암의 구조와 다양한 광물 68

그림 2-7. QAP다이어그램에서 동봉(PD21)과 관봉(PT1)일대 화강암의 분류 69

그림 2-8. 화강암을 관입하고 있는 반화강암 70

그림 2-9. 가산산성 일대 반화강암 71

그림 2-10. 편광현미경 하에서 관찰되는 가산산성일대 반화강암의 광물들 71

그림 2-11. 파계사 일대 반화강암 72

그림 2-12. 부인사 및 가산산성일대 페그마타이트 73

그림 2-13. 편광현미경하에서 관찰되는 가산산성일대 페그마타이트 74

그림 2-14. 팔공산자연휴양림 일대 혼펠스 74

그림 2-15. 편광현미경하에서 관찰되는 팔공산자연휴양림일대 혼펠스 75

그림 2-16. 관봉일대 화강암내 장석의 라파기비 조직(Rapakivi texture).... 76

그림 2-17. 관봉일대 화강암내 장석 77

그림 2-18. 관봉일대 화강암내 장석의 라파기비조직의 화학분석.... 78

그림 2-19. 동봉일대 화강암내 석영 79

그림 2-20. 가산산성일대 화강암내 침상의 장석반정 80

그림 2-21. 가산산성일대 화강암내 각섬석 80

그림 2-22. 동봉 및 관봉일대 화강암내 흑운모 82

그림 2-23. 동화사 계곡 일대 맥상의 전기석 83

그림 2-24. 동산계곡 일대 방사형의 전기석 83

그림 2-25. 동화사 계곡 및 동산계곡 일대 화강암내 전기석 84

그림 2-26. 동산계곡 및 동화사계곡일대 화강암에서 나타나는 전기석의 화학분석 85

그림 2-27. 팔공산 풍화토의 구조 및 구성광물 86

그림 3-1. 팔공산의 범위와 지질 95

그림 3-2. 대구지역의 100년간 연평균 강수량과 연평균기온의 추이 98

그림 3-3. 톱날바위능선과 바위병풍 능선 101

그림 3-4. 주능선부의 급애 102

그림 3-5. 관상절리지형 102

그림 3-6. 팔공산에 발달하는 다양한 형태의 토르와 토르군(群) 104

그림 3-7. 석문형태의 토르 104

그림 3-8. 가산산성 내 고위평탄면(왼쪽)과 팔공산 정상부 고위평탄면(오른쪽) 105

그림 3-9. 약사암 주변(왼쪽)과 노적봉에 발달한 풍화동굴 105

그림 3-10. 석굴 형태의 풍화동굴 106

그림 3-11. 만년송 주변의 그루브(왼쪽)와 동봉 정상부의 그루브 106

그림 3-12. 하천거터(왼쪽: 동산계곡, 오른쪽: 운부암골) 107

그림 3-13. 왼쪽부터 신선봉 나마, 염불봉 나마, 산지타포니 107

그림 3-14. 왼쪽부터 태조 왕건과 관련이 있는 일인석, 얼룩바위, 부처님 발이라 불리는 불족암 108

그림 3-15. 수태골(왼쪽)과 가산산성 내에 발달한 암괴류 108

그림 3-16. 팔공산 정상부 공군부대 내에 위지하는 훼손된 습지 109

그림 3-17. 다양한 형태의 폭포, 폭호, 포트홀 112

그림 3-18. 팔공산에 발달하는 소(위: 치산계곡, 가운데: 폭포골, 아래: 동산계곡) 113

그림 3-19. 협곡과 하식애(왼쪽 상단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동산계곡의 협곡, 동산계곡 하식애,... 113

그림 3-20. 치산계곡에 발달하는 대표적인 사력퇴적지 114

그림 4-1. 조사지역 및 식물상 조사경로 129

그림 4-2. 팔공산 지구별 식물상 분포 130

그림 4-3. 팔공산에 자생하는 희귀식물 132

그림 4-4. 팔공산에 자생하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138

그림 4-5. 팔공산에 자생하는 외래식물 142

그림 4-6. 외래식물 분포도 142

그림 4-7. 생태계교란야생식물 분포도 143

그림 4-8. 자생하는 생태계교란야생식물 144

그림 5-1. 식생조사지역 197

그림 5-2. 소나무군락 식생단면도 198

그림 5-3. 신갈나무군락 식생단면도 199

그림 5-4. 굴참나무군락 식생단면도 200

그림 5-5. 졸참나무군락 식생단면도 201

그림 5-6. 상수리나무군락 식생단면도 202

그림 5-7. 서어나무군락 식생단면도 203

그림 5-8. 일본잎갈나무식재림 식생단면도 204

그림 5-9. 주요 식물군락 사진-1 208

그림 5-10. 주요 식물군락 사진-2 209

그림 5-11. 조사지역 전경 210

그림 5-12. 현존식생도 211

그림 5-13. 잠재자연식생도 213

그림 6-1. 수달배설물 261

그림 6-2. 멧토끼 족적 261

그림 6-3. 멧돼지 진흙목욕 흔적 261

그림 6-4. 삵 배설물 261

그림 6-5. 무인 센서카메라 설치 모습 262

그림 6-6. 카메리에 확인된 너구리 262

그림 6-7. 포획된 등줄쥐 262

그림 6-8. 포획된 집쥐 262

그림 6-9. 은점광산 내부 모습 262

그림 6-10. 동굴에서 확인된 관박쥐 262

그림 6-11. 관코박쥐 264

그림 6-12. 검은집박쥐 264

그림 6-13. 큰발윗수염박쥐 264

그림 6-14. 관박쥐 264

그림 6-15. 수달배설물(금화지) 264

그림 6-16. 멧밭쥐 둥지 264

그림 6-17. 너구리(가산습지) 265

그림 6-18. 오소리(가산산성) 265

그림 6-19. 포획된 등줄쥐 266

그림 6-20. 다람쥐 266

그림 6-21. 흰넓적다리붉은쥐(미성체) 267

그림 6-22. 노루 배설물 267

그림 6-23. 담비 배설물 268

그림 6-24. 멧돼지 배설물 268

그림 6-25. 삵 배설물 269

그림 6-26. 오소리 배설물 269

그림 6-27. 담비 270

그림 6-28. 노루(수컷) 270

그림 6-29. 멧돼지 271

그림 6-30.두더지 사체 271

그림 6-31.긴가락박쥐 272

그림 6-32.땃쥐 사체 272

그림 7-1. 조사 지역 282

그림 7-2. 조류분포와 GPS 좌표 282

그림 7-3. 팔공산 조류조사의 군집지수 285

그림 7-4. 주요 우점종 286

그림 7-5. 조류종의 계절형 분포(조류종 수) 287

그림 7-6. 조류종들의 개체수를 중심으로 본 계절형 분포 287

그림 7-7. 주요 철새류 288

그림 8-1. 조사 지역 및 격자 297

그림 8-2. 양서·파충류 분포현황 300

그림 8-3. 현지조사와 문헌조사를 통해 확인된 양서·파충류 분포현황 306

그림 9-1. 어류상 조사지점 311

그림 9-2. 서식하는 어류의 과별 구성 316

그림 9-3. 출현 어종별 상대풍부도와 항존도 320

그림 9-4.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중 팔공산도립공원 인근에서 수행된 조사지역의 도엽으로.... 323

그림 10-1. 팔공산에서 출현한 계절별 식물플랑크론 출현종 수의 변화 334

그림 10-2. 조사지점별 식물플랑크론 출현종 수 336

그림 10-3. 조사지점별 부착규조류 출현종 수 337

그림 11-1. 조사경로 및 트랩 설치 지점 353

그림 11-2. 말레이즈 트랩 설치 모습 354

그림 11-3. 함정 트랩 설치 모습 354

그림 11-4. 지표성 주간곤충상 현황 356

그림 11-5. 전체 지표성 곤충상 분류군별 비중 356

그림 11-6. 지역별 지표성 곤충상 분류군별 현황 358

그림 11-7. 문헌기록과 현지조사 곤충상 비교 현황 361

그림 11-8. 분류군별 문헌과 현지조사 미확인 및 추가종 현황 361

그림 12-1. 현지조사 장면 419

그림 12-2. 팔공산지역 야간곤총(나비목) 과별 출현 종 및 개체수 비중 421

그림 12-3. 월별, 조사지구별 종 및 개체수 현황 421

그림 12-4. 조사지구별 야간곤충(나비목) 과별 현황 423

그림 12-5. 국외반출승인대상종 및 고유종 425

그림 13-1. 조사 지점도. 447

그림 13-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종수 비율 458

그림 13-3.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개체수 비율 459

그림 13-4. 주요 수계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종구성 460

그림 13-5. 수게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평균 출현종수 460

그림 13-6. 한천 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 462

그림 13-7. 격자 4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463

그림 13-8. 격자 4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463

그림 13-9. 격자 12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464

그림 13-10. 격자 12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464

그림 13-11. 사창천 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 465

그림 13-12. 격자 15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466

그림 13-13. 격자 15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467

그림 13-14. 격자 25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467

그림 13-15. 격자 25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468

그림 13-16. 남천 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 468

그림 13-17. 격자 16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469

그림 13-18. 격자 16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470

그림 13-19. 격자 26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470

그림 13-20. 격자 26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471

그림 13-21. 격자 27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472

그림 13-22. 격자 27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472

그림 13-23. 격자 28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473

그림 13-24. 격자 28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473

그림 13-25. 격자 37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474

그림 13-26. 격자 37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474

그림 13-27. 격자 39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475

그림 13-28. 격자 39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476

그림 13-29. 가산산성 습지 일원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 476

그림 13-30. 격자 23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477

그림 13-31. 격자 23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478

그림 13-32. 격자 36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479

그림 13-33. 격자 36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479

그림 13-34. 구야천 수계와 신령전 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 479

그림 13-35. 격자 40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481

그림 13-36. 격자 40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481

그림 13-37. 용수천 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 482

그림 13-38. 격자 46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483

그림 13-39. 격자 46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483

그림 13-40. 격자 48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484

그림 13-41. 격자 48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485

그림 13-42 동화천 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 485

그림 13-43. 격자 49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487

그림 13-44. 격자 49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487

그림 13-45. 격자 51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488

그림 13-46. 격자 15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489

그림 13-47. 격자 52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490

그림 13-48. 격자 52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490

그림 13-49. 청통천, 박사천, 능성천 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 490

그림 13-50. 격자 58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492

그림 13-51. 격자 58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492

그림 13-52. 격자 60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493

그림 13-53. 격자 60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493

그림 13-54. 격자 63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494

그림 13-55. 격자 63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495

그림 14-1. 조사지역 536

그림 14-2. 지구별 출현 종수의 비교 539

그림 14-3. 분류군별(과별) 종 수 비교 539

그림 14-4. 월 평균강수량과 출현종 수의 변화 550

그림 15-1. 선본사 석조 종형부도 595

그림 15-2. 선본사 부도 조사모습 595

그림 15-3. 선본사 석등부재 596

그림 15-4. 법련사 석조부도 598

그림 15-5. 진불암 석불 599

그림 15-6. 진불암 석불조사모습 599

그림 15-7. 진불암부도 2, 3 600

그림 15-8. 진불암부도 2, 3 조사모습 600

그림 15-9. 귀천서원 전경 601

그림 15-10. 신도비기/하마비 601

그림 15-11. 미륵불 전경 601

그림 15-12. 인터뷰(미륵불 관련) 601

그림 15-13. 부귀사 부도 602

그림 15-14. 조사모습 602

그림 15-15. 석탑부재 및 배례석 602

그림 15-16. 석조 삼존불 603

그림 15-17. 신원리 절터 전경 604

그림 15-18. 신원리 절터 조사모습 604

그림 15-19. 석조 광배 근경 605

그림 15-20. 석조 광배 조사모습 605

그림 15-21. 척서정 전경 605

그림 15-22. 석탑 기단부재 606

그림 15-23. 부림흥씨 종택 전경 607

그림 15-24. 대둔사 부도 608

그림 15-25. 부도조사 모습 608

그림 15-26. 부도군 전경 609

그림 15-27. 한티순교성지 전경 610

그림 15-28. 당간지주 모습 611

그림 15-29. 절터 아래 축대 612

그림 15-30. 절터전경 612

그림 15-31. 석탑재 612

그림 15-32. 절터 전경 613

그림 15-33. 석등재(받침석) 613

그림 15-34. 마애불두 614

그림 15-35. 당간지주 모습 615

그림 15-36. 현응대사비 모습 617

그림 15-37. 석조부도 1 618

그림 15-38. 석조부도 2 618

그림 15-39. 이붓골 느티나무(신목) 621

그림 15-40. 가호리 마을 지도 621

그림 15-41. 이붓골 동제 창고 622

그림 15-42. 가실 당산 전경 624

그림 15-43. 가실 당산 근경(서남당) 624

그림 15-44. 선돌 625

그림 15-45. 돌무더기 내부의 촛불 625

그림 15-46. 춘산리 입구 627

그림 15-47. 춘산리 지도 627

그림 15-48. 양지마을 당산 전경 628

그림 15-49. 양지마을 신앙체(확대) 629

그림 15-50. 양지마을 신앙제(전경) 630

그림 15-51. 양지마을 동제 축문 631

그림 15-52. 현창마을 당산 전경 632

그림 15-53. 현창마을 당산 근경 632

그림 15-54. 현창마을 선돌(3기) 633

그림 15-55. 대한리 앞 관광버스 635

그림 15-56. 대한리 솔매기 마을 지도 636

그림 15-57. 대한리 할매나무 636

그림 15-58. 대한리 할배나무 637

그림 15-59. 대한리 당나무 앞 막멀리(진설) 638

그림 15-60. 음양1리 입구 640

그림 15-61. 음양1리 지도 640

그림 15-62. 음양1리 당나무 641

그림 15-63. 음양1리 제단 641

그림 15-64. 음양1리 작목반 사무실 641

그림 15-65. 음양1리 조립식(리어카형) 상여 641

그림 15-66. 음양1리 축문 643

그림 15-67. 법성마을 전경 644

그림 15-68. 기성2리 법성마을 지도 645

그림 15-69. 법성말 동신당 전경 645

그림 15-70. 법성말 동신당 편액 645

그림 15-71. 치산2리 지도 648

그림 15-72. 치산2리 미나리 가판대 650

그림 15-73. 치산 캠핑장 650

그림 15-74. 치산2리 정자나무(당나무) 650

그림 15-75. 치산2리 당나무 650

그림 15-76. 완전1리 지도 652

그림 15-77. 완전1리 당산 전경 653

그림 15-78. 완전1리 당나무 앞 제단 655

그림 15-79. 완전1리 당나무 앞 막걸리 655

그림 15-80. 장군바위 전경 657

그림 15-81. 장군바위 제단 658

그림 15-82. 장군바위 진설상 658

그림 15-83. 명마산 용왕당 660

그림 15-84. 능성동 내릿골 당산 662

그림 15-85. 치성을 드리는 무속인 A씨와 신자 663

그림 15-86. 기자석 663

그림 15-87. 기자석 앞 돌탑 663

그림 15-88. 기생바위 666

그림 15-89. 전왕나무 666

그림 15-90. 기생바우 기도처 진설상 667

그림 16-1. 주요 지점별 탐방객 수 추정 결과 682

그림 17-1. 주요 조사내용 691

그림 17-2. 조사 설계 691

그림 17-3. 조사 대상지역 691

그림 17-4. 시간대별 탐방량 699

그림 17-5. 주요 탐방집중지역별 탐방량 699

그림 17-6. 천분율에 의한 탐방객의 시·공간별 분포도 699

그림 18-1. 탐방로 훼손지 현지조사 양식 705

그림 18-2. 자량통과형 탐방로 위험지구 현지조사 양식 706

그림 18-3. 보행형 탐방로 위험지구 현지조사 양식 707

그림 18-4. 현지조사 도구(좌: GPS, 우: 경사계와 방위계) 708

그림 18-5. 기존의 탐방로 안내지도 708

그림 18-6. 조사구간 탐방로 구분 709

그림 18-7. 가산산성 탐방로 전경 718

그림 18-8. 통행 위험구간 718

그림 18-9. 벌목으로 인한 나지노출 718

그림 18-10. 발굴로 인한 나지노출 718

그림 18-11. 문화재 발굴로 인한 나지노출 718

그림 18-12. 노폭화대 및 나지노출 718

그림 18-13. 탐방로 전경 719

그림 18-14. 암석노출 719

그림 18-15. 하부사면 집식 719

그림 18-16. 대규모 면적의 묘지 719

그림 18-17. 암석노출 720

그림 18-18. 암석노출 및 분기 720

그림 18-19. 판석포장 구간 720

그림 18-20. 문화재 발굴지 720

그림 18-21. 노폭확대 721

그림 18-22. 탐방로 전경 721

그림 18-23. 나지노출 및 암석노출 721

그림 18-24. 묘지 721

그림 18-25. 암석노출 및 뿌리노출 722

그림 18-26. 상부사면 토사유출 722

그림 18-27. 상부사면 침식 722

그림 18-28. 상부사면 붕괴위험 722

그림 18-29. 암석노출 723

그림 18-30. 탐방로 전경 723

그림 18-31. 노폭확대 723

그림 18-32. 탐방로와 인접한 전석 723

그림 18-33. 암석노출로 인한 보행 불편 724

그림 18-34. 암반 구간 724

그림 18-35. 노면침식 및 암석노출 724

그림 18-36. 뿌리노출 724

그림 18-37. 통행 위험 구간 724

그림 18-38. 헬기장으로 인한 나지노출 724

그림 18-39. 탐방로 전경 725

그림 18-40. 암석노출 및 뿌리노출 725

그림 18-41. 탐방로와 인접한 계곡부 725

그림 18-42. 암석노출 725

그림 18-43. 암석노출 726

그림 18-44. 탐방로 전경 726

그림 18-45. 경작지 726

그림 18-46. 상부사면 침식 726

그림 18-47. 탐방로 전경 727

그림 18-48. 노폭확대 및 나지노출 727

그림 18-49. 경작지 727

그림 18-50. 전석지 통과구간 727

그림 18-51. 암석노출 728

그림 18-52. 상부사면 침식 728

그림 18-53. 노면 배수불랑 728

그림 18-54. 노면 세굴 728

그림 18-55. 노폭확대, 분기, 암석노출 729

그림 18-56. 뿌릭노출 및 나지노출 729

그림 18-57. 암석노출 729

그림 18-58. 뿌리노출 및 노폭확대 729

그림 18-59. 뿌리노출 및 암석노출 730

그림 18-60. 상부사면 침식 730

그림 18-61. 노폭확대 및 나지노출 730

그림 18-62. 낙석위험 구간 730

그림 18-63. 노면세굴 731

그림 18-64. 암석노출 731

그림 18-65. 노폭확대 및 암석노출 731

그림 18-66. 뿌리노출 및 나지노출 731

그림 18-67. 헬기장 732

그림 18-68. 노면침식 및 암석노출 732

그림 18-69. 노면침식 및 뿌리노출 732

그림 18-70. 노면 배수불량 732

그림 18-71. 탐방로 전경 733

그림 18-72. 탐방로와 인접한 계곡부 전경 733

그림 18-73. 상부사면 사면침식 733

그림 18-74. 뿌리노출 733

그림 18-75. 계곡부 통과, 다량의 암석 734

그림 18-76. 풍화토 구간 노면침식 734

그림 18-77. 노면침식 및 뿌리노출 734

그림 18-78. 나지노출 734

그림 18-79. 암반노출 구간 735

그림 18-80. 노면 침식 및 뿌리노출 735

그림 18-81. 하부사면 나지노출 735

그림 18-82. 노면 배수불량 735

그림 18-83. 뿌리노출 및 나지노출 736

그림 18-84. 노폭확대 및 분기 발생 736

그림 18-85. 암석노출 및 도복수목 발생 736

그림 18-86. 노폭확대 사면부 나지노출 736

그림 18-87. 콘크리트 포장 구간 737

그림 18-88. 돌게단 구간 737

그림 18-89. 경작지 737

그림 18-90. 경작지 붕괴 위험 737

그림 18-91. 급경사 구간 738

그림 18-92. 사면침식 738

그림 18-93. 암석노출 738

그림 18-94. 노폭확대 및 나지노출 738

그림 18-95. K-1 구간 위험지구 현황 741

그림 18-96. D-1 구간 위험지구 현황 742

그림 18-97. D-3 구간 위험지구 현황 743

그림 18-98. D-8 구간 위험지구 현황 744

그림 18-99. G-1 구간 위험지구 현황 745

그림 18-100. G-3 구간 위험지구 현황 746

그림 18-101. 가산임도 위험지구 현황 747

그림 18-102. 파계사 진입로 위험지구 현황 748

그림 20-1. 팔공산 생물종 분포 769

그림 20-2. 팔공산 특정종(멸종위기종, 천연기념물, 고유종)분포 지역 769

그림 20-3.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분포도 771

그림 20-4. 한국 특산식물 분포도 772

그림 20-5. 멸종위기종 분포도 773

그림 20-6. 천연기념물 분포도 774

그림 20-7. 가산산성 습지와 양서류 산란지(上: 가산산성 습지 전경, 下: 도룡뇽 알, 성채) 781

그림 20-8. 붉은귀거북(左)과 거북류 포획틀(右) 781

그림 20-9.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공원경계 조정 대상지역 782

그림 20-10. 데크 탐방로 예시 783

그림 20-11. 등검은말벌 784

그림 20-12. 나방류 사진 785

그림 20-13. 고사목을 활용한 고등균류 서식처 787

그림 20-14. 팔공산에 서식하는 주요 맹독버섯 787

그림 20-15. 공원구역 조정 개념 예시 794

그림 20-16. 방송통신 시설 794

그림 20-17. 가산산성 습지 전경 796

그림 20-18. 가산산성 일대 복수초 군락지 796

그림 20-19. 가산산성 일대 문화재 발굴지 797

그림 20-20. 공원구역내 샛길 현황 798

그림 20-21. 화강암 지형경관 798

그림 20-22. 문화자원 799

그림 20-23. 문화자원지역사회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참여형 봉사활동 800

그림 20-24. 팔공산 깃대종 지정(안) 800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57427 333.783 -15-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57428 333.783 -15-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