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4년 제주해역)해중림 조성사업 보고서 / 제주특별자치도 [편] 인기도
발행사항
제주 :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제주지사, 2015
청구기호
639.89 -15-28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iv, 168 p. : 삽화, 표 ; 30 cm
총서사항
FIRA-PR ; 2015-017
제어번호
MONO1201538490
주기사항
수행기관: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제주지사
사업책임자: 윤장택
참고문헌: p. 167-168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

목차

I. 서론 17

II. 사업개요 19

1. 사업목적 19

2. 사업시간 및 예산 19

3. 2014년도 해중림 조성사업 총괄표 19

III. 해중림 조성 21

1. 적지 및 인공어초 선정 21

가. 적지선정 21

나. 인공어초 선정 22

다. 사업설명회(사랑방좌담회) 24

2. 신도리 해역 특성 25

가. 해저지형 특성 25

나. 생태환경 특성 41

3. 시설적지 조사 61

가. 조사방법 61

나. 조사결과 61

4. 해중림 조성 63

가. 테트라형어초 시설 63

나. 육각패널H범어초 시설 68

다. 하우스형어초 시설 74

IV. 조성관리 81

1. 1차 조성관리 81

가. 목적 81

나. 범위 81

다. 방법 82

라. 결과 83

2. 2차 조성관리 87

가. 목적 87

나. 범위 87

다. 결과 87

3. 해조류 이식 보강 90

가. 2005년 애월 해중림 조성해역 90

나. 2012년 신산 해중림 조성해역 96

V. 해중림 조성효과 103

1. 개요 103

가. 목적 103

나. 조사범위 103

다. 조사내용 103

2. 재료 및 방법 104

가. 조사어장 104

나. 해양환경 105

다. 생태적 특성 105

라. 해중림 조성해역 현황 112

마. 해중림 시설예정지 생태적 특성 112

3. 결과 및 고찰 112

가. 해양환경 112

나. 생태적 특성 115

다. 해중림 조성해역 시설현황 164

라. 해중림 시설예정지 생태적 특성 176

VI. 참고문헌 183

판권기 185

표 1. 2014년 제주 해중림 조성사업 적지선정 평가표 22

표 2. 2014년 제주 해중림 조성사업 인공어초 3배수 추천 목록 23

표 3. 2014년 제주 해중림 조성사업 선정 인공어초 23

표 4. 신도리 해역의 해저면 분포현황 30

표 5. 신도리 해역의 상세 해저면영상 32

표 6. 신도리 해역의 정점 위치 및 입도유형 37

표 7. 신도리 해역 퇴적물의 조성 및 퇴적물유형 37

표 8. 신도리 해역 함수율 및 강열감량 39

표 9. 우리나라 주변해역 강열감량 측정치(문헌조사) 40

표 10. 미국환경보호국(EPA)의 강열감량 환경기준 40

표 11. 대정읍 신도리 해역의 해양환경 조사정점 좌표 41

표 12. 대정읍 신도리 해역의 해양환경 분석결과 43

표 13. 대정읍 신도리 해역의 탐침조사 결과 44

표 14. 대정읍 신도리 해역의 서식생물상 조사정점 좌표 47

표 15. 대정읍 신도리 해역 저서동물의 조사결과 48

표 16. 대정읍 신도리 해역 저서동물의 수심별 생태 지수 51

표 17. 대정읍 신도리 해역 해조류의 조사결과 52

표 18. 대정읍 신도리 해역 해조류의 수심별 중요도 54

표 19. 대정읍 신도리 해역 감태의 전장 및 경장 측정결과 56

표 20. 갯녹음 판정기준 및 판정 58

표 21. 대정읍 신도리 해역의 피도에 의한 갯녹음 판정 58

표 22. 테트라형어초 자재 반입목록 63

표 23. 육각패널H빔어초 자재 반입목록 68

표 24. 하우스형어초 자재 반입목록 74

표 25. 2014년 제주 해중림 조성해역의 해중림초 시설좌표 80

표 26. 해중림 조성관리 1차 대상해역 81

표 27. 제주 해중림 10개 해역 시설상태 83

표 28. 제주 해중림 10개 해역 1차 폐기물 수거 및 조식동물 구제물량 85

표 29. 제주 해중림 11개 해역 2차 폐기물 수거 및 조식동물 구제물량 88

표 30. 애월해역 해중림 보강시설 방법 및 물량 92

표 31. 애월해역 해중림 보강시설 결과 93

표 32. 신산해역 해중림 보강시설 방법 및 물량 98

표 33. 신산해역 해중림 보강시설 결과 98

표 34. 2014년 해중림 조성사업 효과조사 추진일정 104

표 35. 감태(E. cava)의 전장과 생물량을 이용한 생체량 추정식의 비교 107

표 36. 2014년 제주연안 북서부와 남동부 수온 및 염분분포 113

표 37. 2014년 8월 해중림 조성사업지의 해양환경 조사결과 114

표 38. 2014년 11월 해중림 조성사업지의 해양환경 조사결과 115

표 39. 2014년 해중림 효과조사에 출현한 해조류 출현종수 및 연도별 비교 117

표 40. 조사어장별 생체량 우점종 124

표 41. 어장별 해중림 유지가능 지수(SSI) 126

표 42. 각 해역 어장별 단위면적(m²) 당 감태(E. cava)의 평균 부착밀도 127

표 43. 해조류 피도를 기준으로 한 SA:CA Status 평가 결과 135

표 44. 생태학적 지수에 의한 군집안정도와 환경조건의 평가기준 139

표 45. 해중림 조성해역의 어장별 생태학적 지수 139

표 46. 2014년 해중림 효과조사에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수 및 연도별 비교. 142

표 47. 조사어장별 개체수에서 우점하는 상위 10종의 저서무척추동물 147

표 48. 어장별 생체량 우점 상위 10종의 저서무척추동물 152

표 49. 저서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주요 우점종 및 출현비율 153

표 50. 어장별 저서무척추동물의 생체량을 기준으로한 생태학적 지수 155

표 51. 어초어장과 자연암반에서 관찰된 어류군집의 비교 159

표 52. 인공어초 어장에 출현한 주요 어류의 개체수 및 출현비율 160

표 53. 자연암반에 출현한 주요 어류의 개체수 및 출현비율 161

그림 1. 2014년 제주 해중림 조성사업 후보지 해역도. 21

그림 2. 2014년 제주 해중림 조성사업 설명을 위한 사랑방좌담회. 24

그림 3. 신도리 조사해역 전경. 25

그림 4. 멀티빔 수심조사 항적도. 26

그림 5. 신도리 격자수심도. 26

그림 6. 신도리 2D 수심도. 27

그림 7. 신도리 3D 수심도. 27

그림 8. 신도리 경사분포도. 28

그림 9. 신도리 주요 횡단면도(위치는 그림 6 참조). 29

그림 10. 해저면 영상조사 항적도. 30

그림 11. 신도리 모자이크 영상 및 상세영상 위치도. 31

그림 12. 신도리 해역의 저질 분포도. 33

그림 13. 신도리 지층탐사 항적도. 34

그림 14. 신도리 지층탐사 단면도 해석예시(위치는 그림 13 참조). 35

그림 15. 신도리 해역 등층후도. 35

그림 16. 신도리 해역의 표층 퇴적물 채취 위치도. 36

그림 17. 신도리 해역 퇴적물 시료 사진촬영. 38

그림 18. 신도리 해역 퇴적물의 삼각다이어그램. 39

그림 19. 대정읍 신도리 해역의 해양환경 조사 정점도. 41

그림 20. 대정읍 신도리 해역의 조사정점별 해양환경 분포. 44

그림 21. 대정읍 신도리 해역의 탐침조사 사진. 46

그림 22. 대정읍 신도리 해역의 서식생물상 조사 라인 위치도. 47

그림 23. 대정읍 신도리 해역의 저서동물 출현종수(좌) 및 서식밀도(우) 분포. 49

그림 24. 대정읍 신도리 해역 저서동물의 우점종 출현현황 및 종의 형태. 50

그림 25. 대정읍 신도리 해역 저서동물의 집괴분석 결과 수지도. 52

그림 26. 신도리 해역의 해조류 수심별(좌) 및 라인별(우) 출현종수 분포. 53

그림 27. 대정읍 신도리 해역의 해조류 우점종의 형태. 56

그림 28. 대정읍 신도리 해역의 수심별 감태 전장(좌) 및 경장(우) 분포. 57

그림 29. 대정읍 신도리 해역의 수심별 갯녹음 현황. 59

그림 30. 대정읍 신도리 해역의 출현 어종 사진. 60

그림 31. 2014년 제주 해중림 조성해역 및 구조물 시설적지 조사구역도. 62

그림 32. 2014년 제주 해중림 조성해역의 구조물 시설적지 저질상태. 62

그림 33. 테트라형어초 반입자재 검수. 63

그림 34. 테트라형어초 제작공정 및 검수. 64

그림 35. 테트라형어초 해조종묘 이식 및 수중시설. 66

그림 36. 테트라형어초 이용 해중림 조성 완성. 67

그림 37. 육각패널H빔어초 반입자재 검수. 69

그림 38. 육각패널H빔어초 제작공정 및 검수. 70

그림 39. 육각패널H빔어초 해조종묘 이식 및 수중시설. 72

그림 40. 육각패널H빔어초 수중 설치 및 해조 이식. 73

그림 41. 하우스형어초 반입자재 검수. 75

그림 42. 하우스형어초 제작 감독 및 검수. 76

그림 43. 하우스형어초 해조종묘 이식 및 수중시설. 78

그림 44. 하우스형어초 수중설치 및 해조 이식. 79

그림 45. 2014년 제주 해중림 조성해역의 해중림초 시설배치도. 80

그림 46. 해중림 조성관리 1차 대상 해역도. 82

그림 47. 해중림 조성관리 해역의 소라 각고 비교도. 86

그림 48. 해중림 조성관리 해역의 폐기물 수거 및 조식동물 구제작업. 86

그림 49. 해중림 조성관리 2차 대상 해역도. 87

그림 50. 제주 해중림 11개 해역 조식동물 개체수. 89

그림 51. 애월 해중림 보강시설 해역도. 90

그림 52. 해중림 보식용 감태 운반 및 제단. 91

그림 53. 애월 해중림 보강시설 이전 모습. 93

그림 54. 애월 해중림 해역 감태종묘 보식작업 모습. 94

그림 55. 애월 해중림 해역 감태종묘 보식작업 완료 모습. 95

그림 56. 해중림 조성해역의 태풍(너구리) 피해복구 해역. 96

그림 57. 해중림 태풍(너구리) 피해복구용 곰피 운반. 97

그림 58. 신산해역 해중림 태풍 피해실태 모습(상;십자형, 하; 하우스형). 99

그림 59. 신산 해중림 해역 곰피 보식작업(상; 십자형, 하; 하우스형). 100

그림 60. 신산 해중림 해역 십자형어초 곰피 보식작업 완료. 101

그림 61. 신산 해중림 해역 하우스형어초 곰피 보식작업 완료. 102

그림 62. 2014년 해중림 조성사업 효과조사 해역도. 105

그림 63. 해중림 어장과 자연암반의 조사정점 모식도. 106

그림 64. 감태(E. cava)의 전장과 생물량을 이용한 이론적 현존량 추정식. 107

그림 65. 해중림 유지가능 지수의 산출흐름. 109

그림 66. SA:CA Status를 이용한 해조류 군집안정도 평가표. 110

그림 67. 저서생물 군집 및 시설상태에 대한 수중조사 모습. 111

그림 68. 2014년 해중림 조성사업지의 수온과 염분 분포 특성. 113

그림 69. 2014년 해중림 효과조사에 출현한 해조류 총 출현종수. 116

그림 70. 어장별 해조류 출현종수 및 연도별 비교. 116

그림 71. 각 해역별 해조류 출현종수의 비교. 118

그림 72. 2014년 해중림 효과조사에 출현한 해조류 생체량. 121

그림 73. 조사시기별 해조류 분류군별 생체량. 121

그림 74. 각 해역별 해조류 생체량의 비교. 122

그림 75. 인공어초 어장의 해조류 특성에 따른 피도의 변화. 125

그림 76. 2013년과 2014년 해중림 조성해역의 감태(E. cava) 밀도의 비교. 128

그림 77. 우도면 서광해역(좌)과 고산해역(우)의 감태(E. cava) 전장분포. 130

그림 78. 태흥해역(좌)과 신산해역(우)의 감태(E. cava) 전장분포. 130

그림 79. 서귀해역(좌)과 비양해역(우)의 감태(표 cava) 전장분포. 132

그림 80. 종달해역(좌)과 동귀, 용수해역(우)의 감태(E. cava) 전장분포. 133

그림 81. 해역별 해중림초의 SA, CA 및 기타 부착물의 피도. 134

그림 82. 각 해역 해중림초 해조류 군락의 SA:CA Status 평가. 136

그림 83. 인공어초어장 해조류 피도기준의 한 다척도 분석(MDS) 결과. 136

그림 84. 해역별 자연암반의 SA, CA 및 기타 부착물의 조성관계. 137

그림 85. 해역별 자연암반 해중림 군락의 SA:CA Status 평가. 138

그림 86. 2014년 해중림 효과조사에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수. 140

그림 87. 조사시기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140

그림 88. 조사어장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141

그림 89. 조사어장별 저서무척추동물의 개체수. 143

그림 90. 각 해역의 조사어장별 저서무척추동물의 개체수. 145

그림 91. 서광 하우스형어초와 종달 외해 자연암반의 저서무척추동물 군집. 146

그림 92. 2014년 해중림 효과조사에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 구성비. 148

그림 93. 어장별 저서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생체량의 비교. 148

그림 94. 해역 및 어장별 저서무척추동물의 생체량. 150

그림 95. 2014년 해중림 효과조사에서 관찰된 어류군집의 분류군별 구성비. 157

그림 96. 각 해역별 어류군집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57

그림 97. 인공어초와 자연암반의 시기별 관찰된 어류군집의 비교. 158

그림 98. 해중림 조성단지의 어류위집 상태(2014년 8월). 162

그림 99. 해중림 조성단지의 어류위집 상태(2014년 11월). 163

그림 100. 제주 해중림 조성해역 시설현황-1. 169

그림 101. 제주 해중림 조성해역 시설현황-2. 175

그림 102. 신도해역에 출현한 분류군별 해조류 출현종의 구성비. 176

그림 103. 신도해역의 수심별 해조류 출현양상. 177

그림 104. 신도해역에 출현한 분류군별 해조류 생체량의 구성비. 177

그림 105. 신도해역에 출현한 해조류의 생체량 구성비. 178

그림 106. 신도해역에 출현한 해조류 특성에 따른 생체량. 179

그림 107. 신도해역에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수. 179

그림 108. 수심 및 조사시기별 저서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출현종수. 180

그림 109. 신도해역의 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수. 181

그림 110. 신도해역에 출현한 해조류의 생체량 구성비. 181

그림 111. 신도해역의 수심별 해저지형 및 서식생물상. 18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63270 639.89 -15-2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63271 639.89 -15-2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