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농인을 위한 문화 정보 및 문해 교육 지원 체계 기초 조사 / 국립국어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립국어원 : 한국농아인협회, 2014
청구기호
371.914 -15-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533 p. : 삽화 ; 26 cm
총서사항
국립국어원 ; 2014-01-54
제어번호
MONO1201539368
주기사항
연구기관: 사단법인 한국농아인협회
연구책임자: 변승일
부록: 설문지 ; 설문지 동영상 ; 문화시설 수어기반 정보 접근 환경 조사표 외
참고문헌 수록
국립국어원의 용역비로 수행한 '농인을 위한 문화 정보 및 문해 교육 지원 체계 기초 조사'의 결과물을 발간한 것임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출문 2

머리말 4

연구 I. 수어 기반 문화 정보 접근 환경 지원 기초 조사 5

국문 초록 6

목차 8

1. 서론 13

1.1. 연구의 의의와 목적 13

1.2. 연구 내용 18

1.2.1. 농인의 문화시설 이용 실태 및 문화 정보 욕구 조사 18

1.2.2. 주요 문화시설 및 관광지, 체육시설 이용에 필요한 문화 정보 접근 환경 조사 18

1.2.3. 농인을 위한 문화 정보 수어 동영상 표본 제작 및 제작 지침 수립 19

1.2.4. 농인을 위한 문화 정보 접근권 보장을 위한 정책 제언 19

1.3. 연구 기대효과 20

1.3.1. 농인의 문화시설 이용 및 문화 정보 접근 환경 구축 기반 마련 20

1.3.2. 농인을 위한 문화 정보 수어 동영상 제작 지침 수립 20

1.3.3. 실질적인 한국수어 선택권 보장 및 농인의 일자리 창출 20

1.3.4. 농인을 위한 문화 정보 접근환경 구축을 위한 정책 제언 및 중장기 계획 마련 21

1.4. 연구 추진 체계 21

2. 연구 방법 23

2.1. 연구 대상 23

2.1.1. 농인의 문화시설 이용 실태 및 문화 정보 욕구 23

2.1.2. 농인 문화시설 정보 접근 환경 24

2.1.3. 문화 정보 수어 동영상 표본 제작 및 제작 지침 수립 26

2.2. 연구 도구 27

2.2.1. 농인의 문화시설 이용 실태 및 문화 정보 욕구 27

2.2.2. 농인 문화시설 정보 접근 환경 28

2.2.3. 문화 정보 수어 동영상 표본 제작 및 제작 지침 수립 28

2.3. 연구 절차 29

2.3.1. 농인의 문화시설 이용 실태 및 문화 정보 욕구 29

2.3.2. 농인 문화시설 정보 접근 환경 30

2.3.3. 문화 정보 수어 동영상 표본 제작 및 제작 지침 수립 31

2.4. 자료 처리 32

2.4.1. 농인의 문화시설 이용 실태 및 문화 정보 욕구 32

2.4.2. 농인 문화시설 정보 접근 환경 32

2.4.3. 문화 정보 수어 동영상 표본 제작 및 제작 지침 수립 32

3. 연구 결과 및 논의 34

3.1. 농인의 문화시설 이용 실태 및 문화 정보 욕구 34

3.1.1. 농인의 문화시설 이용 실태 및 문화 정보 욕구 설문조사 결과 34

3.1.2. 농인의 문화시설 이용 실태 및 문화 정보 욕구 초점집단 인터뷰 결과 89

3.2. 농인 문화시설 정보 접근 환경 92

3.2.1. 문화 정보 접근 현황 92

3.2.2. 농인 문화시설 체험단 문화시설 방문 98

3.2.3. 독일의 농인 문화시설 정보 접근 환경 101

3.3. 문화 정보 수어 동영상 표본 제작 및 제작 지침 수립 106

3.3.1. 문화 정보 수어 동영상 표본 제작 및 제작 지침 FGI와 자문회의 분석 결과 106

3.3.2. 수어 해설 동영상 표본 제작 122

4. 결론 및 제언 128

4.1. 결론 128

4.2. 정책 제안 137

4.3.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141

참고문헌 143

Abstract 145

부록 146

1. 설문지 146

2. 설문지 동영상(시디 수록) 153

3. 문화시설 수어기반 정보 접근 환경 조사표 154

4. 농인 방문체험단 면담 질문지 156

5. 농인 문화시설 체험단 방문 체험 보고서 157

6. 자문회의 내용 165

7. 초점집단인터뷰(FGI) 전사 내용 173

연구 II. 수어 기반 문해 교육 지원 체계 조사 및 설계 211

국문 초록 212

목차 214

1. 서론 216

1.1. 연구의 목적 216

1.2. 연구의 필요성 216

2. 연구 방법 220

1. 연구 추진 경위 220

2.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223

2.2.1. 문헌 조사 223

2.2.2. 면담 조사 225

2.2.3. 관찰 및 실험 조사 226

3. 국내 문해 교육 프로그램 심층 분석 227

3.1. 심층면담 조사 및 분석 227

3.1.1. 조사 방법 227

3.1.2. 조사 결과 분석 233

3.1.3. 요약 252

3.2. 수업 관찰 조사 및 분석 254

3.2.1. 조사 방법 254

3.2.2. 조사 결과 분석 255

3.2.3. 요약 268

3.3. 문해 교육 교재 분석 270

3.3.1. 분석 방법 270

3.3.2. 분석 결과 277

3.3.3. 요약 283

4. 해외 문해 교육 프로그램 심층 분석 286

4.1. 심층면담 조사 및 분석 286

4.1.1. 조사 방법 286

4.1.2. 조사 결과 분석 287

4.2. 방문 조사 및 분석 290

4.2.1. 조사 방법 290

4.2.2. 조사 결과 분석 290

4.3. 문해 교육 교재 분석 291

4.3.1. 분석 방법 291

4.3.2. 분석 결과 291

5. 수어 기반 문해 교육 단계별 교재 및 프로그램 기본 설계 302

5.1. 실험 조사 및 분석 303

5.1.1. 조사 대상 및 방법 303

5.1.2. 실험조사 수업안 304

5.1.3. 조사 결과 분석 309

5.2. 교재 기본 설계 312

5.2.1. 교재 설계 시 주안점 312

5.2.2. 교재 기본 설계안 315

5.3. 프로그램 기본 설계 317

(1) 프로그램명 317

(2) 목표 318

(3) 학습대상자 318

(4) 수업 참여 동기 부여 319

(5) 교육 기간 319

(6) 교사 319

(7) 문해 교육 연계 프로그램 진행 319

(8) 수료식 행사 개최 320

5.4. 교재 개발을 위한 연차별 계획 320

(1) 연차별 설계 개요 320

(2) 연차별 목표 321

(3) 연차별 세부 계획 321

6. 교사·수어 통역사용 농인 문해 교육 편람 소책자 제작 기초 조사 324

6.1. 조사 방법 324

6.2. 조사 결과 325

6.2.1. 소책자 제작 필요성 325

6.2.2. 소책자 내용 구성 326

6.2.3. 소책자 제작 방향 331

7. 결론 및 제언 333

7.1. 문해 교육 프로그램 333

(1) 프로그램 운영 333

(2) 교육 목표 설정 333

(3) 학습 대상자 334

(4) 참여 동기 334

(5) 교육 기간 및 교육 시간 335

(6) 교사 335

(7) 문해 교육 연계 프로그램 335

(8) 학습 조건 336

7.2. 문해 교재 336

7.3. 사전 제작의 필요성 338

(1) 농인을 위한 국어사전 개발 338

(2) 농인을 위한 국어사전의 내용 구성 339

참고문헌 340

Abstract 348

부록집 350

부록집 1. 심층면담 전사 351

제1차 심층면담 전사(완주군 수화통역센터) 352

제2차 심층면담 전사(안동시 수화통역센터) 364

제3차 심층면담 전사(완주군 수화통역센터 2차) 397

제4차 심층면담 전사(홍천군 수화통역센터) 417

제5차 심층면담 전사(팔복주민센터 작은도서관) 444

제6-1차 심층면담 전사(서울시립서대문농아인복지관) 448

제6-2차 심층면담 전사(서울시립서대문농아인복지관) 452

제6-3차 심층면담 전사(서울시립서대문농아인복지관) 457

제7차 심층면담 전사(전주시 평생학습센터) 464

제8차 심층면담 전사(청음회관) 473

제9차 심층면담 전사(소보사) 483

제10차 심층면담 전사(전주주부학교) 496

해외조사 심층면담 전사(중국 국가수어점자연구센터) 504

부록집 2. 수업관찰 전사 515

제1차 수업관찰 전사(완주군 수화통역센터) 516

제2차 수업관찰 전사(안동시 수화통역센터) 523

제3차 수업관찰 전사(안동시 수화통역센터) 526

제4차 수업관찰 전사(완주군 수화통역센터) 534

제5차 수업관찰 전사(서대문농아인복지관) 539

제6차 수업관찰 전사(청음회관) 546

판권기 554

연구 I. 수어 기반 문화 정보 접근 환경 지원 기초 조사 10

〈표1-1〉 참여연구원의 역할과 특성 22

〈표2-1〉 초점집단 인터뷰 참여자 23

〈표2-2〉 문화 정보 접근 현황 조사 기관 24

〈표2-3〉 1차 자문위원 26

〈표2-4〉 2차·3차 자문위원 26

〈표2-5〉 농인의 문화시설 이용 실태 및 문화 정보 욕구 FGI 질문 내용 27

〈표2-6〉 문화 정보 수어 동영상 표본 제작 및 제작 지침 수립 FGI 질문 내용 28

〈표2-7〉 수어 모델 인적사항 33

〈표3-1〉 응답자 연령 34

〈표3-2〉 응답자 성별 34

〈표3-3〉 응답자 현재 거주지 35

〈표3-4〉 응답자 최종 학력 35

〈표3-5〉 응답자 사용 언어 36

〈표3-6〉 최근 1년간 문화시설별 방문 빈도 36

〈표3-7〉 연별대별 최근 1년간 문화시설 방문 빈도 38

〈표3-8〉 성별 최근 1년간 문화시설 방문 빈도 42

〈표3-9〉 현재 거주지별 최근 1년간 문화시설 방문 빈도 45

〈표3-10〉 최종학력별 최근 1년간 문화시설 방문 빈도 48

〈표3-11〉 사용 언어별 최근 1년간 문화시설 방문 빈도 54

〈표3-12〉 문화시설별로 필요한 지원 57

〈표3-13〉 현재 문화시설에서 제공하고 있는 농인을 위한 서비스 인지 정도 61

〈표3-14〉 농인을 위한 서비스 확인 방법 63

〈표3-15〉 농인에 필요한 정보의 적절한 제공 여부 65

〈표3-16〉 농인에게 필요한 정보 접근기기의 적절한 제공 여부 67

〈표3-17〉 홈페이지 접근환경의 적절성 여부 68

〈표3-18〉 기본 문화시설 이용 만족도 70

〈표3-19〉 수화통역사 배치 문화시설 이용 경험 여부 72

〈표3-20〉 기존 문화시설 배치 수화통역 서비스의 불편 사항 74

〈표3-21〉 문화시설 해설 방법 76

〈표3-22〉 더 자주 이용하고 싶은 문화시설 78

〈표3-23〉 가장 많이 이용하고 싶은 문화시설(1순위) 79

〈표3-24〉 가장 많이 이용하고 싶은 문화시설(3가지 다중선택 처리) 82

〈표3-25〉 가장 이용하고 싶은 문화시설(순위별 가중 처리 결과) 84

〈표3-26〉 문화시설 이용 지원 정보 얻는 방법 87

〈표3-27〉 농인의 문화시설 이용 실태 및 문화 정보 욕구 FGI 분석 결과 89

〈표3-28〉 문화시설 설립별 비상경보등 설치 여부 92

〈표3-29〉 비상경보등 미설치 이유 93

〈표3-30〉 문화시설 설립별 음성 정보 전광판 설치 여부 94

〈표3-31〉 전광판 미설치 이유 94

〈표3-32〉 의사소통 기기나 수어통역, 대체텍스트 제공 여부 95

〈표3-33〉 제공하는 편의 제공 유형 95

〈표3-34〉 기기, 통역, 대체텍스트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보조인력 제공 여부 96

〈표3-35〉 장애인 전담직원 배치 여부 97

〈표3-36〉 홈페이지 장애인 시설 활용 정보 제공 여부 97

〈표3-37〉 홈페이지 장애인 시설 활용 정보 제공하지 않는 이유 98

〈표3-38〉 수어 해설 동영상 제작 방식의 주요 내용 106

〈표3-39〉 수어 해설 동영상 표본 제작 지침 119

〈표3-40〉 수어 방식에 따른 동영상 제작 122

〈표3-41〉 편집 방법에 따른 동영상 제작 123

〈표4-1〉 농인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고 싶은 문화시설 134

연구 II. 수어 기반 문해 교육 지원 체계 조사 및 설계 215

〈표 2-1〉 연구 추진 경위 220

〈표 2-2〉 자문위원 및 통역 223

〈표 2-3〉 세미나 진행 과정 224

〈표 3-1〉 심층면담 및 수업 관찰 조사 기관 선정·불선정 사유 228

〈표 3-2〉 심층면담 조사 대상 230

〈표 3-3〉 심층면담 설문지 내용 구성 231

〈표 3-4〉 심층면담 조사 과정 232

〈표 3-5〉 수업 관찰 조사 과정 254

〈표 3-6〉 COLT 분석 항목 255

〈표 3-7〉 문해 교육 교재 사전 분석 271

〈표 3-8〉 최종 분석 교재 목록 275

〈표 3-9〉 개별 교재 분석 틀 276

〈표 4-1〉 해외 조사 국가 및 조사 방법 286

〈표 4-2〉 해외 심층면담 조사 대상 286

〈표 4-3〉 해외 방문 조사 기관 290

〈표 4-4〉 해외 방문 조사 수집 자료 290

〈표 4-5〉 분석 교재명 291

〈표 5-1〉 실험 조사 과정 303

〈표 5-2〉 교재 설계 시 주안점 312

〈표 5-3〉 초급 수업 시수 315

〈표 5-4〉 단원 구성 예 316

〈표 5-5〉 문식성의 개념 318

〈표 5-6〉 연차별 설계 개요 320

〈표 5-7〉 소책자 제작 기초 조사 대상자 325

연구 I. 수어 기반 문화 정보 접근 환경 지원 기초 조사 12

〈그림1-1〉 연구추진 체계 21

〈그림2-1〉 수어 해설 동영상 표본 제작 절차 31

〈그림3-1〉 오디오가이드 안내판과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볼록판 102

〈그림3-2〉 농인을 상징하는 마크와 독일수어통역을 뜻하는 DGS 102

〈그림3-3〉 수어 영상 해설 기기의 모습 103

〈그림3-4〉 베를린 타어와 그 앞의 국제무역센터, 베를린 돔(대성당)에... 103

〈그림3-5〉 연방의회 의사당 홈페이지의 독일수어메뉴 104

〈그림3-6〉 연방의회 의사당 홈페이지의 배리어프리 가이드에 대한 홍보영상 104

〈그림3-7〉 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 105

〈그림3-8〉 목록을 클릭하는 방식 105

〈그림3-9〉 홀로코스트 메모리얼에서 수어 해설 서비스를 받는 모습1 105

〈그림3-10〉 홀로코스트 메모리얼에서 수어 해설 서비스를 받는 모습2 105

〈그림3-11〉 홀로코스트 메모리얼 홈페이지 수어 안내 서비스 10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63878 371.914 -15-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63879 371.914 -15-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