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출연(연) 역량 강화를 위한 산·학·연 인력유동성 활성화 방안 [전자자료]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14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정책연구 ; 2013-02
면수
125
제어번호
MONO1201540162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주관연구책임자: 이장재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6

제1장 서론 16

제1절 연구의 배경 16

제2절 연구의 필요성 19

제2장 출연(연)의 진화과정과 인력운영 실태 분석 21

제1절 출연(연)의 진화과정 21

1. 출연(연) 거버넌스의 변화 21

2. 출연(연)에 대한 사회적 요구 변화 26

제2절 출연(연)의 인력운영 실태 분석 27

1. 출연(연)의 인력교류 관련 연구 현황 27

2. 출연(연)의 인력교류 실태 분석 28

제3절 민간부문의 이공계 박사인력 현황 32

1. 기업의 박사인력 고용 현황 32

2. 비정규직 현황 35

제4절 출연(연) 연구인력 관리체계의 과제 36

1. 출연(연)내 인력유동성의 과제 36

2. 기업에 대한 연구ㆍ인력 지원 관련 과제 38

제3장 독일의 공공연구기관 및 연구인력 실태 분석 41

제1절 독일 공공연구기관의 시스템 및 정책 41

제2절 독일 4대 연구협회 43

1. 막스플랑크 연구협회 44

2. 프라운호퍼 연구협회 45

3. 헬름홀츠 연구협회 47

4. 라이프니츠 연구협회 48

5. 연방정부(Federal Institute) 연구소 49

제3절 독일의 연구인력 운영 실태 분석 50

1. 연구개발인력 현황 50

2. 4대 연구협회 연구인력 분포 50

제4장 국내외 신규 박사인력 지원제도 분석 : Post-Doc 제도를 중심으로 52

제1절 Post-Doc 지원제도의 의의 52

1. Post-Doc의 정의 52

2. Post-Doc 지원제도의 정책적 의의 53

제2절 국내 Post-Doc 지원제도 현황 55

1. 기술혁신형 중소ㆍ중견기업 인력지원사업 55

2. 핵심연구분야 우수인력발굴사업 56

3. 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 57

4. 글로벌 박사 펠로우십사업 57

5. 미래기초과학핵심리더양성사업 58

제3절 해외 Post-Doc 지원제도 현황 60

1. 독일 60

2. 일본 64

3. 미국 67

[별첨 1] Max Planck 연구회 운영 실태 현지조사 71

1. Max Plank Gesellschaft (MPG) 현황 및 예산 71

(1) Mission 및 주요 원칙 71

(2) MPG 현황 71

(3) 조직 구조 73

(4) 예산 구조 및 결정과정 75

2. Max Plank Gesellschaft (MPG) 운영정책의 시사점 78

1) 인재확보를 위한 개방적 지원 78

2) 연구몰입 극대화를 위한 지원 81

3) 내외부와의 소통 83

제5장 연구인력 유동성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85

제1절 출연(연)의 고용형태와 박사후 인력 85

제2절 출연(연)의 연구인력 유동성 활성화 사례 : 한국화학(연) 87

1. 중소기업 부설연구소 육성센터(S-MIRAI 센터) 개요 87

2. 인력유동성 확보 및 연구역량 강화(안) 89

제3절 국가연구인력 플랫폼 구축 : 출연(연) 중심 91

1. 국가 연구인력 유연 플랫폼 구축 방안(안) 91

2. 국가 연구인력 유연 플랫폼 운영 방안 94

3. 국가 연구인력 유연 플랫폼 관련 정책 제안 96

제6장 결론 98

[별첨 2] 연구인력 유동성 활성화 방안 전문가 토론회 100

I. [주제발표1] 국가 연구인력 유연 platform 구축 : 출연(연)의 박사후 제도 중심으로 100

가. 배경 100

나. 박사후 제도의 실태 100

다. 국가 연구인력 유연 플랫폼 구축 전략 101

II. [주제발표2] 출연(연) 기업연계 연구인력 유동성 제고방안 : 화학(연)의 중소기업 부설연구소 육성사업을 중심으로 103

가. 들어가는 말 103

나. 기업부설연구소 육성을 통한 중소기업 연구역량 강화 필요성 104

다. 출연(연)의 중소기업 지원 이슈와 문제점 104

라. 화학(연)의 기업부설연구소 육성사업과 연구인력 유동성 활성화 방안 105

마. 결언 및 정책 제언 107

III. 패널토론 109

가. 민철구, STEPI 선임연구위원 109

나. 박문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미래전략본부 본부장 110

다. 박태웅, ETRI 연구위원 112

라. 박철우,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수 113

마. 오영제, 출연(연) 연구발전협의회 총연합회 회장 114

바. 이석봉, 대덕넷 대표 116

사. 최희천, 화학벤처기업협회 회장 117

아. 하성도, KIST 기술정책연구소 소장 118

자. 이장재, 한국과총 부성 정책연구소 소장 121

차. 고영주, 한국화학연구원 미래전략본부 본부장 122

IV. 종합토론 123

가. 박성렬, 대덕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123

나. 안화용, 한국연구재단 124

다. 이은우,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총장 125

〈표 2-1〉 연도별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현황 21

〈표 2-2〉 출연(연) 예산 및 협동연구비 추이(2009~2012년) 28

〈표 2-3〉 출연(연)의 협력형태별 정부연구비 28

〈표 2-4〉 국내 교류ㆍ파견 현황(기초기술연구회 소속 출연(연)) 29

〈표 2-5〉 국내 교류ㆍ파견 현황(산업기술연구회 소속 출연(연)) 30

〈표 2-6〉 국내 박사학위자의 국내부문간 유동성 현황(1994~2006) 37

〈표 3-1〉 독일 4대 연구협회 개요(2011 기준) 43

〈표 3-2〉 독일 과학기술 종사자 분표 현황 50

〈표 3-3〉 과학기술 종사자 산학연 분포 현황 50

〈표 3-4〉 독일 4대 연구협회 인력구성 비교 51

〈표 3-5〉 독일 공공연구협회별 대학과 공동임용 51

〈표 4-1〉 주요국의 Post-Doc 제도 54

〈표 4-2〉 국내 박사학위 배출 규모 55

〈표 4-3〉 국내 Post-Doc 지원제도 요약 59

〈표 4-4〉 해외연구 Post-Doc 지원 60

〈표 4-5〉 박사과정지도 Post-Doc 지원 61

〈표 4-6〉 선도연구 Post-Doc 지원 62

〈표 4-7〉 홈볼트재단의 Post-Doc 지원제도 63

〈표 4-8〉 독일의 Post-Doc 지원제도 요약 64

〈표 4-9〉 일본의 특별연구원 제도 요약 65

〈표 4-10〉 일본의 Post-Doc 지원제도 요약 65

〈표 4-11〉 재취업지원(RPD : Restart Post-Doc Fellowship)제도 요약 66

〈표 4-12〉 대기물리학 분야 Post-Doc 지원 68

〈표 4-13〉 수학분야 Post-Doc 지원 69

〈표 4-14〉 기타 NSF의 지원프로그램 69

〈표 5-1〉 화학(연)의 S-미래(MIRAI) 센터의 입주기업 현황 88

〈그림 1-1〉 창조경제 혁신생태계 구축 프레임워크 18

〈그림 2-1〉 1999년 연구회체제 출범 시 출연(연) 거버넌스 22

〈그림 2-2〉 연구회 체제 도입배경 23

〈그림 2-3〉 2004년 개편된 출연(연) 거버넌스 23

〈그림 2-4〉 2008년 개편된 출연(연) 거버넌스 24

〈그림 2-5〉 출연(연)체제의 진화과정 25

〈그림 2-6〉 출연(연) 거버넌스의 현황(2014년 3월) 25

〈그림 2-7〉 출연(연) 거버넌스 진화과정 27

〈그림 2-8〉 해외기관과의 출연(연) 인력 규모 비교 31

〈그림 2-9〉 이화학연구소 직원수 추이 32

〈그림 2-10〉 박사인력 고용업체 비중 : 기업규모별 32

〈그림 2-11〉 연구개별활동 분야별 분포 : 연구분야별 33

〈그림 2-12〉 인력충원 및 수요 : 기업규모별 33

〈그림 2-13〉 인력충원과 수요 : 연구분야별 34

〈그림 2-14〉 연구개발인력 구성 : 기업규모별 34

〈그림 2-15〉 연구개발인력 구성 : 연구분야별 35

〈그림 2-16〉 비정규직 현황 : 기업규모별 36

〈그림 2-17〉 비정규직 현황 : 기업규모별 36

〈그림 2-18〉 출연(연) 연구원 이직 현황(2008~2012년) 38

〈그림 3-1〉 독일 연구개발 추진체계 42

〈그림 4-1〉 Post-Doc 제도의 개념도 53

〈그림 4-2〉 Post-Doc 신청 및 채용 추이 66

〈그림 5-1〉 국내 박사후 지원 제도 현황 85

〈그림 5-2〉 출연(연)의 연구인력 고용 형태 86

〈그림 5-3〉 국내 박사후 경험 연구인력 실태조사 주요내용(1) 86

〈그림 5-4〉 국내 박사후 경험 연구인력 실태조사 주요내용(2) 87

〈그림 5-5〉 화학(연)의 S-미래(S-MIRAI) 센터의 개요 88

〈그림 5-6〉 화학(연)의 S-미래(MIRAI) 센터의 역할 90

〈그림 5-7〉 출연(연) 중심 국가 연구인력 플랫폼 구축 전략(안) 93

〈그림 5-8〉 국가 연구인력 플랫폼 운영방안(안) 94

〈그림 5-9〉 출연(연) 소속 기업연구센터의 기능과 역할 95

〈그림 5-10〉 국가 연구인력 유연 플랫폼 관련 정책 제안 97

〈표-주1〉 MPG 인력현황 72

〈표-주2〉 분야별 MPI 선정현황 73

〈표-주3〉 2011, 2012년 MPG 수입지출 현황 73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