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전통 금사와 직금 / 국립문화재연구소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청구기호
677.02862 -15-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386 p. : 삽화, 표 ; 30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9905385
제어번호
MONO1201540418
주기사항
참고문헌: p. 378-383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일러두기

목차

Contents 4

제1장 연구개요(Research Overview) 7

2011년 : 전통 금사 제작 기술 복원을 위한 문헌 연구 8

2012년 : 전통 금사 제작 기술 복원을 위한 유물의 과학적 분석 및 기술 조사 8

2013년 : 전통 금사 제작 기술 복원을 위한 전통 금사 재현 9

2014년 : 금사를 이용한 전통 직금 직물 제작 기술 재현 9

제2장 기록을 통해 본 금사(Gold Thread on Records) 15

1. 삼국시대 15

1) 직조 15

2) 자수 16

3) 재료 및 장인 16

2. 고려시대 17

1) 직조 17

2) 자수 19

3) 재료 및 장인 19

3. 조선시대 21

1) 직조 21

2) 자수 26

3) 재료 및 장인 28

4. 중국과 일본의 금사 제작 관련 문헌 기록 34

1) 중국 34

2) 일본 36

제3장 유물을 통해 본 금사의 특징(Insp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Gold Thread with Artifacts) 41

1. 중국 한국·일본의 금사 비교 분석 41

2. 금은사의 형태적 특징 44

1) 재료 44

2) 형태 51

3) 금사의 금속 성분 분석 57

3. 한국과 중국의 직금 비교 61

1) 한국 직금의 제직 특성 61

2) 중국 직금의 제직 특성 67

3) 한국과 중국의 직금 제직 특성 비교 70

국내 소장 73

국외 소장 158

제4장 금사 제작 기술 조사 및 복원(Examination and Restoration of Gold Thread Making Technique) 199

1. 중국의 금사 제작기술 199

1) 재료와 도구 199

2) 금사 제작 202

2. 일본의 금사 제작기술 205

1) 재료와 도구 205

2) 금사 제작 206

3. 한국의 금사 제작기술 추론 211

1) 재료 211

2) 금사 제작 방법 213

제5장 금사의 재현(Restoration of Gold Thread) 219

1. 재료의 요건 219

1) 배지 219

2) 접착제 242

3) 금박 256

2. 제작 방법 258

1) 편금사 제작 258

2) 연금사 제작 264

제6장 우리나라 직금 제직 기술 복원(Restoration of Korean Jik-geum Making Technique) 271

1. 전통 문직기의 역사와 복원 271

1) 문직기의 역사 271

2) 전통 수공문직기의 복원 및 구조 275

3) 자카드 수공문직기의 복원 및 구조 285

2. 전통 수공문직기를 이용한 고려시대 직금 복원 292

1) 1346년 〈남색원앙문직금능〉 조사·분석 292

2) 편금사 재현 300

3. 자카드 수공문직기를 이용한 조선시대 직금 복원 325

1) 16세기 〈금원문직금능〉 직금 복원 325

2) 조선시대 연화문직금단 직금 복원 359

참고문헌(References) 382

영문초록(Abstract) 388

판권기 391

표 2.1. 고려시대 문헌에 기록된 금사를 이용한 직조 사례 18

표 2.2. 고려시대 문헌에 기록된 금사를 이용한 자수 사례 19

표 2.3. 고려시대 문헌에 기록된 금박 사례 20

표 2.4. 조선시대 문헌에 기록된 금사를 이용한 직조 사례 21

표 2.5. 조선시대 문헌에 기록된 금사를 이용한 자수 사례 27

표 2.6. 『대명회전』에 기록된 금·금사 활용 35

표 3.1. 국내 소장 조사 유물 목록(총 37건) 41

표 3.2. 국외 소장 조사 유물 목록(총 31건 소장처에서 명명한 유물명칭 사용) 43

표 3.3. 금은사의 분류 현황 51

표 3.4. 한국·중국·일본의 편사 크기 53

표 3.5. 금박연금사 55

표 3.6. 한국·중국·일본의 연사용 편사 크기 56

표 3.7. 금합금의 색과 성분의 관계 61

표 4.1. 중국 난징의 금박 제작 공정 200

표 4.2. 한국·중국·일본의 금사 재료 비교 212

표 4.3. 한국·중국·일본의 금사 제작기술 비교 215

표 4.4. 한국·중국·일본의 편금사가 말아 감긴 형태 216

표 5.1. 수덕사 근역성보관 소장 편사 배지 특성 220

표 5.2. 편사와 연사용 편사의 너비 및 두께 비교 220

표 5.3. 배지의 초지 조건에 따른 공정 설계 223

표 5.4. 배지 초지 과정 225

표 5.5. 배지의 초지 조건 226

표 5.6. 배지의 물리적 특성 227

표 5.7. 배지의 강도적 특성 227

표 5.8. 비교 대상 직금 두께 228

표 5.9. 시직용 직금 두께 229

표 5.10. 시직용 직금의 표면 및 편금사의 상태 230

표 5.11. 2차 초지 조건 231

표 5.12. 2차 배지의 초지공정 조건 232

표 5.13. 2차 초지 배지의 도침 가공 및 두께 분석 232

표 5.14. 2차 초지된 배지의 물리적·강도적 특성 233

표 5.15. 1·2차 초치된 의사시료의 구분 및 종류 233

표 5.16. 2차 금박지 의사시료의 내절도 변화 236

표 5.17. 1·2차 금박지 의사시료의 내절도 변화 238

표 5.18. 1·2차 금박지 의사시료의 횡 강성 변화 238

표 5.19. 3차 배지의 초지공정 조건 239

표 5.20. 3차 초지된 배지의 물리적·강도적 특성 240

표 5.21. 아교·옻칠·주칠 의사시료의 표면 관찰 243

표 5.22. 비교 대상 유물 직물 목록 244

표 5.23. 접착제 종류에 따른 형태적 비교, 100배율 244

표 5.24. 비교 대상 유물 단면 관찰 광학현미경, 200배율 245

표 5.25. 의사시료 단면 관찰, 200배율 245

표 5.26. 직금에 대한 금사의 EDS 분석 결과 246

표 5.27. 의사시료 EDS 분석 결과 248

표 5.28. 금박지 의사시료 제작 조건 249

표 5.29. 금박 제조 조건에 따른 내절도 변화 251

표 5.30. 고온열화 전·후 형태적 변형 254

표 5.31. 한국·중국·일본 금사의 금박 표면 특징 256

표 5.32. 금니와 금박의 표면 차이 257

표 5.33. 배지처리 과정 259

표 5.34. 배지처리 유무에 따른 배지의 상태 비교 259

표 5.35. 솜과 마노를 이용한 야광작업 전·후 비교 262

표 6.1. 전통 수공문직기의 구조 세부 설명 280

표 6.2. 직기 설치 과정 282

표 6.3. 전통 수공문직기 조립도 283

표 6.4. 자카드 수공문직기의 구조 세부 설명 290

표 6.5. 자카드 수공문직기 설치 과정 291

표 6.6. 〈남색원앙문직금능〉 섬유 분석 292

표 6.7. 〈남색원앙직금능〉 세부 조직도 293

표 6.8. 원앙문 조직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 297

표 6.9. 고려시대 금탑자 직물 298

표 6.10. 문양 상하 간격 비교 299

표 6.11. 2013년 "전통금사 제작 기술 복원을 위한 전통금사 재현" 편금사 재료 요건 300

표 6.12. 2013년 "전통금사 제작 기술 복원을 위한 전통금사 재현" 편금사 제작 요건 300

표 6.13. 2013·2014년 금박 올리는 방법 비교 302

표 6.14. 2013·2014년 배지 크기 비교 302

표 6.15. 경·위사 굵기 선정 비교 305

표 6.16. 경·위사 굵기 선정 306

표 6.17. 경·위사 색 샘플 307

표 6.18. 경·위사 색 선정 308

표 6.19. 경·위사 제작 공정 309

표 6.20. 화본 제작 순서 314

표 6.21. 화본 작동 원리 317

표 6.22. 〈남색원앙문직금능〉과 2차 시직직물 문양크기 비교 318

표 6.23. 〈남색원앙문직금능〉과 시직직물 원앙크기 비교 319

표 6.24. 〈남색원앙문직금능〉과 4차 시직직물 조직 비교 320

표 6.25. 화본 교체 과정 320

표 6.26. 5차 시직-의장 수정 전·후 비교 321

표 6.27. 〈남색원앙문직금능〉과 제직직물 섬유 비교 322

표 6.28. 〈남색원앙문직금능〉과 제직직물 조직 비교 323

표 6.29. 〈남색원앙문직금능〉과 제직직물 문양크기 비교 323

표 6.30. 〈금원문직금능〉 섬유 분석 327

표 6.31. 〈금원문직금능〉 세부 조직도 329

표 6.32. 문양크기 분석표 334

표 6.33. 붉은색 접착제 339

표 6.34. 은박 붙이는 과정 340

표 6.35. 〈금원문직금능〉 편금사와 편은사 추정 너비 341

표 6.36. 〈금원문직금능〉과 1차 시직직물 섬유 비교 342

표 6.37. 직금 시직 공정 343

표 6.38. 제직에 사용된 경·위사 종류와 굵기 344

표 6.39. 정경 순서 345

표 6.40. 문지 작업 과정 348

표 6.41. 통사 설치 과정 349

표 6.42. 통사와 종광 연결 과정 349

표 6.43. 경사 연결 과정 350

표 6.44. 〈금원문직금능〉과 2차 시직직물 조직 비교 351

표 6.45. 〈금원문직금능〉과 2차 시직직물 섬유 비교 352

표 6.46. 〈금원문직금능〉과 3차 시직직물 조직 비교 352

표 6.47. 〈금원문직금능〉과 3차 시직직물 문양크기 비교 353

표 6.48. 제직과정 355

표 6.49. 〈금원문직금능〉과 제직직물 섬유 비교 356

표 6.50. 〈금원문직금능〉과 제직직물 조직 비교 357

표 6.51. 〈금원문직금능〉과 제직직물 문양크기 비교 357

표 6.52. 조선시대 만초연화문의 사례 359

표 6.53. 제직에 사용된 경·위사 종류와 굵기 361

표 6.54. 경·위사 준비 과정 361

표 6.55. 제직직물 섬유 363

표 6.56. 제직직물 조직 364

그림 3.1. 〈赤色雲寶紋織金綾〉, 고려 말 44

그림 3.2. 〈紫赤金線緞〉, 1800년 44

그림 3.3. 〈義親王妃唐衣補〉, 19세기 말 44

그림 3.4. 〈綠色雜寶雲紋織金緞〉, 명대 44

그림 3.5. 〈遮面〉, 조선후기 45

그림 3.6. 〈多紅色織金緞〉, 1649년 45

그림 3.7. 〈翟衣〉 선단, 대한제국 45

그림 3.8. 〈縫遠山紋織金紗袈娑〉, 19세기 45

그림 3.9. 〈靑色小花紋織銀綾〉, 1346년 46

그림 3.10. 〈竹經帙〉 1, 고려 말 46

그림 3.11. 〈紫赤金線緞〉, 1800년 47

그림 3.12. 접착제로 아교를 사용한 금사 의사시료의열화 처리 후 모습 47

그림 3.13. 〈경전표지(조각보-F-1)〉, 고려 말 47

그림 3.14. 〈綠金線緞(6)〉, 1845년 47

그림 3.15. 〈黃色寶相花紋織金緞〉, 청대 47

그림 3.16. 〈地平金糸鑑鳳凰紋袈裟〉, 19세기 47

그림 3.17. 현재 중국에서 생산되는 금사 48

그림 3.18. 〈黃色寶相華紋織金莊花緞〉, 청대 48

그림 3.19. 〈監色鴛鴦紋織金綾〉 금사 배면, 1346년 49

그림 3.20. 문수사 금동아미타불복장 한지, 1346년 49

그림 3.21. 〈曲水地團鳳織金雙鶴胸背〉, 명대 50

그림 3.22. 〈騎羊人物椿梅折枝紋金襴〉, 명대 50

그림 3.23. 〈雙鳥紋織金錦〉, 원대 50

그림 3.24. 〈織金綾〉, 원대 50

그림 3.25. 〈龜甲文織金錦帶〉, 8~9세기 52

그림 3.26. 〈朱黃色石榴紋莊金紗〉, 1346년 52

그림 3.27. 〈織鳳凰紋織金紗袈裟〉, 19세기 52

그림 3.28. 〈藍色鴛鴦紋織金綾〉, 1346년 53

그림 3.29. 〈擎雲大師 袈裟〉, 19세기 초 54

그림 3.30. 〈竹經株〉, 고려 말 54

그림 3.31. 〈雙鶴紋刺繡胸背〉, 19세기 말 54

그림 3.32. 〈花紋織金錦〉, 원대 54

그림 3.33. 〈組紬金泥妙法蓮華經〉 2권, 1880년 55

그림 3.34. 〈雙龍紋刺繡袍〉, 청대 55

그림 3.35. 편사의 너비 및 두께 56

그림 3.36. 연사용 편사의 너비 및 두께 56

그림 3.37. P-XRF의 원리 57

그림 3.38. P-XRF의 적용(예-벽화) 57

그림 3.39. 금속 성분에 따른 분류 57

그림 3.40. 동아시아 유물의 성분 비교 58

그림 3.41. 시대 및 제작 방법에 따른 성분 분류 59

그림 3.42. 금사 성분 분석 결과 - 〈義親王妃 唐衣補〉 59

그림 3.43. 은사 성분 분석 결과 - 〈竹經帙〉 60

그림 3.44. 기타 성분 분석 결과 - 〈雙鶴紋刺繡胸背〉 60

그림 3.45. 〈藍色鴛鴦紋織金綾〉, 1346년 62

그림 3.46. 〈경전표지 조각보(A-2-l)〉, 고려 말 62

그림 3.47. 〈경전표지 조각보(G-l)〉, 고려 말 62

그림 3.48. 〈淡紅色鳥紋織銀綾〉, 1346년 62

그림 3.49. 〈金圓紋織金綾 장저고리〉, 16세기 63

그림 3.50. 〈綠金線緞(8)〉, 1840년 63

그림 3.51. 〈경전표지 조각보(C-2)〉, 고려 말 63

그림 3.52. 〈경전표지 조각보(D-l)〉, 고려 말 63

그림 3.53. 〈綠金線緞(6)〉, 1845년 64

그림 3.54. 〈紅色蔓草寶相花紋織金緞〉, 19세기 말 64

그림 3.55. 〈紅色雲龍紋織金緞〉, 19세기 말 64

그림 3.56. 〈綠色芽花鳳紋織金緞〉 뒷면, 1639년 64

그림 3.57. 〈경전표지 조각보(F-3)〉, 고려 말 65

그림 3.58. 〈黃色卍字圓龍紋錦緞〉, 19세기 65

그림 3.59. 〈竹經秩〉, 고려 말 66

그림 3.60. 〈白紙墨書金剛經最勝王經〉 권제 10, 1662년 66

그림 3.61. 〈朱黃色石榴紋粧金紗〉, 1346년 67

그림 3.62. 〈黃色四葉窠龍紋紗〉, 1346년 67

그림 3.63. 〈作土形草花文樣金爛〉 뒷면, 송대 67

그림 3.64. 〈騎羊人物椿梅折枝文樣金襴〉 뒷면, 명대 67

그림 3.65. 〈藍色纏枝蓮龍紋織金緞〉, 명대 68

그림 3.66. 〈褐色卷草雜寶團龍紋織金緞〉, 명대 68

그림 3.67. 〈紅色織金粧花緞〉 뒷면, 청대 68

그림 3.68. 〈黃色寶相花紋織金緞〉, 청대 68

그림 3.69. 〈明大紅地花卉紋織金錦〉 뒷면, 명대 69

그림 3.70. 〈靑色龍紋織金錦〉 뒷면, 명대 69

그림 3.71. 〈一重蔓朱丹唐草文樣金羅〉, 명대 69

그림 3.72. 〈二重蔓朱丹唐草鳳凰文樣金紗〉 뒷면, 명대 69

그림 3.73. 〈紗地平金糸縫鳳凰紋袈裟〉 뒷면, 19세기 70

그림 3.74. 〈紗地平金糸縫遠山紋袈裟〉 뒷면, 19세기 70

그림 3.75. 〈擎雲大師 袈裟〉, 19세기 초 71

그림 3.76. 〈二色雲紋織金粧花鍛〉, 1837년 71

그림 3.77. 〈경전표지 조각보(G-l-2)〉, 고려 말 72

그림 3.78. 〈경전표지 조각보(A-l-2)〉, 고려 말 72

그림 3.79. 〈紗地平金糸縫遠山紋袈裟〉, 19세기 72

그림 3.80. 〈경전표지 조각보(A-2-l)〉, 고려 말 72

그림 4.1. 중국의 금사 배지 종류 201

그림 4.2. 〈曲水地團鳳織金雙鶴胸背〉의 배지 201

그림 4.3. 배지에 접착제 바르기 202

그림 4.4. 배지 처리 후 건조하기 202

그림 4.5. 금박의 한쪽 부분을 잘라 준비 203

그림 4.6. 금박을 겹쳐 정리하기 203

그림 4.7. 처리된 배지를 덮기 203

그림 4.8. 금박이 접착된 배지를 뒤집기 203

그림 4.9. 금박이 떨어진 부분 보수하기 203

그림 4.10. 금박된 배지를 건조하기 203

그림 4.11. 야광대에 올려 문지르는 작업 203

그림 4.12. 마노로 된 봉으로 문질러 야광 203

그림 4:13. 나무판 사이에 금박지를 넣기 204

그림 4.14. 쇠칼로 재단하기 204

그림 4.15. 심사와 편금사를 맞잡기 204

그림 4.16. 방추차 갈퀴에 금사를 걸어 고정 204

그림 4.17. 방추차를 손으로 밀어 돌리기 204

그림 4.18. 무두질 작업 205

그림 4.19. 금박 작업 시 사용되는 종이 205

그림 4.20. 일본의 금박 재단 206

그림 4.21. 배지에 옻 바르기 206

그림 4.22. 바른 옻을 문질러 고르게 처리 206

그림 4.23. 지하 공간에 마련된 건조장 207

그림 4.24. 처리된 배지에 옻을 바르기 207

그림 4.25. 금박을 올리기 207

그림 4.26. 금박 위를 솜으로 눌러 문지르기 207

그림 4.27. 눌려진 금박과 솜의 모습 207

그림 4.28. 배지포수 횟수에 따른 금박지의 표면 광택 차이 208

그림 4.29. 칼을 사용한 재단 작업 208

그림 4.30. 금박지 앞뒤로 종이 깔기 209

그림 4.31. 압착한 후 가장자리를 접어 고정 209

그림 4.32. 기계로 자르기 209

그림 4.33. 접어 고정한 가장자리 이외에 재단 209

그림 4.34. 근대 연금사용 롤지 210

그림 4.35. 현대 금박된 롤지 210

그림 4.36. 근대 연금사용 재단준비 210

그림 4.37. 연금사 제작용 거치대 210

그림 4.38. 방추차 갈퀴에 감긴 모습 210

그림 4.39. 나무막대로 방추차를 돌려 심사에 편금사 말아 감기 210

그림 4.40. 〈赤色雲寶紋織金綾〉, 고려 말 214

그림 4.41. 〈黃色織金緞〉, 1649년 214

그림 5.1. 〈藍色鴛鴦紋織金綾〉의 배지, 1346년 221

그림 5.2. 문수사 금동아미타불상 복장 한지, 1346년 221

그림 5.3. 문수사 금동아미타불상 복장 『妙法蓮華經』, 1346년 221

그림 5.4. 잿물을 끓이는 작업 222

그림 5.5. 잿물 내리는 작업 222

그림 5.6. 물에 불린 황촉규 뿌리 223

그림 5.7. 황촉규근 점액 223

그림 5.8. 티 고르기 224

그림 5.9. 지통에 닥과 황촉규근 점액 풀기 224

그림 5.10. 배지 초지 224

그림 5.11. 초지된 배지와 베개머리 224

그림 5.12. 종이 두께별 광택도 안정성 227

그림 5.13. 도침·미도침지 광택도 안정성 227

그림 5.14. 시직용 직금과 비교 대상 직금 두께 측정 228

그림 5.15. 두께 80㎛ 배지를 사용한 연사 231

그림 5.16. 두께 80㎛ 배지의 연결부분 231

그림 5.17. 두께 40㎛ 배지를 사용한 연사 231

그림 5.18. 두께 40㎛ 배지의 연결부분 231

그림 5.19. 1·2차 초지한 연사용 배지 두께 234

그림 5.20. 1·2차 초지한 연사용 배지 밀도 234

그림 5.21. 1·2차 초지한 연사용 배지 인장강도 234

그림 5.22. 1·2차 초지한 연사용 배지 내절도 234

그림 5.23. 1·2차 초지한 편금용 배지 두께 235

그림 5.24. 1·2차 초지한 편금용 배지 밀도 235

그림 5.25. 1·2차 초지한 편사용 배지 내절도 235

그림 5.26. 1·2차 초지한 편사용 배지 인장강도 235

그림 5.27. 2차 연사용 의사시료 배지 밀도 236

그림 5.28. 2차 편사용 의사시료 배지 밀도 236

그림 5.29. 2차 연사용 의사시료 배지 내절도 237

그림 5.30. 2차 편사용 의사시료 배지 내절도 237

그림 5.31. 2차 초지된 연사용 의사시료 휨 강성 237

그림 5.32. 2차 초지된 편사용 의사시료 횡 강성 237

그림 5.33. 2차 초지된 연사용 의사시료 압축강도 237

그림 5.34. 2차 초지된 편사용 의사시료 압축강도 237

그림 5.35. 1·2·3차 초지한 연사용 배지의 두께변화 240

그림 5.36. 1·2·3차 초지한 배지 중 연금사용 배지의 밀도 변화 240

그림 5.37. 1·2·3차 연사용 배지의 내절도 변화 241

그림 5.38. 1·2·3차 연사용 배지의 인장강도 변화 241

그림 5.39. 1·2·3차 초지한 편사용 배지의 두께 변화 241

그림 5.40. 1·2·3차 초지한 편사용 배지의 밀도 변화 241

그림 5.41. 1·2·3차 초지한 편사용 배지의 내절도 변화 241

그림 5.42. 1·2·3차 초지한 편사용 배지의 인장강도 변화 241

그림 5.43. 〈壽字靈芝紋織金緞〉 단면 243

그림 5.44. 옻칠 표준시편의 단면 사진 243

그림 5.45. 주칠 표준시편의 단면 사진 243

그림 5.46. 현재 중국에서 생산되는 금사 단면 246

그림 5.47. 〈壽字靈芝紋織金緞〉 금사 측면 246

그림 5.48. 〈黃色寶相花紋織金緞〉 화학적 분석-Mapping 247

그림 5.49. 〈靑色龍紋織金緞〉 화학적 분석-Mapping 247

그림 5.50. 아교 10% 의사시료 화학적 분석 248

그림 5.51. 아교 10%+주토 1.5% 의사시료 화학적 분석 248

그림 5.52. 접착제별 색도L, a, b 249

그림 5.53. 접착제별 광택도 249

그림 5.54. 아교 5% 첨가 시 밀도 차이 250

그림 5.55. 아교 15% 첨가 시 밀도 차이 250

그림 5.56. 아교 5%, 15% 시 내절도 변화 250

그림 5.57. 아교 농도 및 초지 종류에 따른 휨 강성 변화 252

그림 5.58. 아교 농도 및 초지 종류에 따른 압축강도 변화 252

그림 5.59. 접착제 농도 및 첨가제별 색도L, a, b 253

그림 5.60. 접착제 농도 및 첨가제별 광택도 253

그림 5.61. 아교 접착제 의사시료의 열화 전·후 색도 변화 253

그림 5.62. 주토 첨가 의사시료의 열화 전·후 색도 변화 253

그림 5.63. 접착제 농도별 인공열화 후 명도 변화 254

그림 5.64. 접착제 농도별 인공열화 후 광택도 변화 254

그림 5.65. 아교 농도 5% 255

그림 5.66. 아교 농도 10% 255

그림 5.67. 아교 농도 15% 255

그림 5.68. 금박 박락 255

그림 5.69. 아교 농도에 따른 시직 직금의 말림 현상... 255

그림 5.70. 기름종이에 금박 옮기기 260

그림 5.71. 접착제 도포 260

그림 5.72. 금박 올리기 260

그림 5.73. 솜으로 금박 붙이기 260

그림 5.74. 솜으로 야광 261

그림 5.75. 야광대 작업 261

그림 5.76. 마노로 야광 261

그림 5.77. 겹쳐진 금박 부분 광택 262

그림 5.78. 한국·중국의 야광 후 비교 262

그림 5.79. 편금사 재단 263

그림 5.80. 눈금자 263

그림 5.81. 편금사 밑단 재단 263

그림 5.82. 〈藍色鴛鴦紋織金綾〉, 1346년 264

그림 5.83. 〈多紅色織金緞〉, 1649년 264

그림 5.84. 시직된 직금의 편사 264

그림 5.85. 일본의 연사 작업대 264

그림 5.86. 제작한 연사 작업대 264

그림 5.87. 일본의 방추차 264

그림 5.88. 제작한 방추차 264

그림 5.89. 심사에 편금사 말아 감기 265

그림 5.90. 편금사와 편금사 연결 265

그림 5.91. 편금사 연결 후 말아 감기 265

그림 5.92. 방추차 회전 방향 265

그림 5.93. 방추차 반대로 돌려 꼬임 풀기 265

그림 5.94. 유물의 연사와 심사 굵기 266

그림 5.95. 제작한 연금사와 심사의 굵기 266

그림 5.96. 연사 제작용 심사 266

그림 5.97. 심사에 꼬임에 따른 엉킴 현상 266

그림 5.98. 편사용 80~100㎛ 배지 사용 266

그림 5.99. 편사용 80~100㎛ 배지 연결부분 266

그림 5.100. 연사용 40~60㎛ 배지 사용 266

그림 5.101. 연사용 40~60㎛ 배지 연결부분 266

그림 5.102. 편사 너비 0.4㎜ 267

그림 5.103. 편사 너비 0.7㎜ 267

그림 5.104. 편사 너비 1㎜ 267

그림 5.105. 무연사 심사, 보통 높이 268

그림 5.106. 무연사 심사, 2배 높이 268

그림 5.107. 제작 높이에 따른 엉킴 현상 268

그림 5.108. 약한 힘 조절로 작업 시 금사 간격 268

그림 5.109. 적당한 힘 조절로 작업 시 금사 간격 268

그림 6.1. 수직식 직기 모형도 271

그림 6.2. 광주 신창동 유적 목방직구 일괄 271

그림 6.3. 원시종간직기 모형도 272

그림 6.4. 선제반종직기 모형도 273

그림 6.5. 다종광다섭기 모형도 273

그림 6.6. 죽편화본식화기 모형도 273

그림 6.7. 장족 죽편화본식화기 273

그림 6.8. 일인식문인기 모형도 273

그림 6.9. 일인식문인기 273

그림 6.10. 소화루문인기 274

그림 6.11. 다화본직기 274

그림 6.12. 대화루문인기 모형도 274

그림 6.13. 대화루문인기 274

그림 6.14. 『임원경제지』에 그려진 화기 276

그림 6.15. 『천공개물』에 그려진 전통 수공문직기 277

그림 6.16. 『明治十年内国勧業博覽會出品解説』 10冊에 그려진 전통 수공문직기 277

그림 6.17. 중국 南京雲金硏究所의 전통 수공문직기 277

그림 6.18. 화본과 종광장치 구조 278

그림 6.19. 전통 베틀에 의거한 전통 수공문직기 명칭 279

그림 6.20. 중국 수공문직기 명칭 279

그림 6.21. 전통 수공문직기 설치 완료 281

그림 6.22. 대화루와 소화루를 겸용할 수 있는 청대 문직기 282

그림 6.23. 17세기 유럽의 수공문직기 285

그림 6.24. 1725년 바실 부숑의 기계장치 286

그림 6.25. 1745년 자크 드 보캉송의 기계장치 286

그림 6.26. 19세기 초 자카드의 기계장치 286

그림 6.27. 일본 川島織物 자카드 수공문직기(大正, 1912~1926년) 286

그림 6.28. 직조과장 지장, 대한제국(1906년 이전) 287

그림 6.29. 궁내부 어용직물 287

그림 6.30. 전자동 자카드 문직기 288

그림 6.31. 수공 제직(금사투입) 288

그림 6.32. 자카드 수공문직기 구조 289

그림 6.33. 자카드 기계장치 구조 및 명칭 289

그림 6.34. 자카드 수공문직기 설치 완료 291

그림 6.35. 경사 굵기 292

그림 6.36. 위사 굵기 292

그림 6.37. 지위사 3올이 빠진 모습 293

그림 6.38. 지위사 3올이 뒤에서 떠있는 모습 293

그림 6.39. 〈남색원앙문직금능〉 문양크기 296

그림 6.40. 〈남색원앙문직금능〉 문양 296

그림 6.41. 일본 本國寺 〈鴛鴦紋織金綾〉, 원대 296

그림 6.42. 일본 本國寺 〈鴛鴦紋織金綾〉 문양 세부 296

그림 6.43. 〈담홍색조문직은능〉 296

그림 6.44. 〈남색원앙문직금능〉 문양 및 조직복원 297

그림 6.45. 〈남색원앙직금능〉 원앙문 추정복원 299

그림 6.46. 포수액 도포 301

그림 6.47. 배지에 습기 첨가 301

그림 6.48. 가장자리 풀칠 301

그림 6.49. 건조판에서 2차 건조 301

그림 6.50. 금박 올리는 과정 303

그림 6.51. 솜으로 금박 표면 정리 304

그림 6.52. 야광대로 야광하기 304

그림 6.53. 금사 샘플과 유물의 편금사 너비 비교 304

그림 6.54. 편금사 재단 304

그림 6.55. 경사 밀도 비교 306

그림 6.56. 위사 3올 병사가 확인되지 않는 모습 306

그림 6.57. 경·위사 색 차이 확인 307

그림 6.58. 유물과 시직직물의 경·위사 색 비교 307

그림 6.59. 구반설치 312

그림 6.60. 식서를 제외한 문종 통과 312

그림 6.61. 종광 아래 대나무 통과 312

그림 6.62. 대나무 통과 구조 312

그림 6.63. 구각과 문종 연결 312

그림 6.64. 경사 통과 순서 312

그림 6.65. 경사 통과 모습 312

그림 6.66. 바디칼을 이용하여 바디 통과 313

그림 6.67. 바디 통과된 모습 313

그림 6.68. 일완전 확대 313

그림 6.69. 조직정 찾기 313

그림 6.70. 의장 컴퓨터 작업 314

그림 6.71. 의장 일부 확대 314

그림 6.72. 충천개에 화본 설치 315

그림 6.73. 설치 완료된 화본 315

그림 6.74. 문도로 금사 투입 316

그림 6.75. 전통 수공문직기 제직 모습 316

그림 6.76. 반직법으로 제직되는 모습 316

그림 6.77. 답목 밟는 순서 317

그림 6.78. 위사 3올 부직 시 개구 상태 317

그림 6.79. 제직직물 경사 굵기 322

그림 6.80. 제직직울 위사 굵기 322

그림 6.81. 제직직물 편금사 너비 322

그림 6.82. 제직직물 문양 크기 323

그림 6.83. 〈남색원앙문직금능〉 제직·복원 324

그림 6.84. 〈금원문직금능〉 사용 예측도(길·깃·섶) 325

그림 6.85. 〈금원문직금능〉 경사 굵기 326

그림 6.86. 〈금원문직금능〉 지위사 굵기 326

그림 6.87. 〈금원문직금능〉 지조직 부분(앞면) 327

그림 6.88. 〈금원문직금능〉 문조직 부분(앞면) 327

그림 6.89. 〈금원문직금능〉의 지위사 3올이 빠진 모습(앞면) 328

그림 6.90. 〈금원문직금능〉의 지위사 3올이 빠진 모습(뒷면) 328

그림 6.91. 〈금원문직금능〉 뒷면 328

그림 6.92. 〈청색소화문직은능〉 뒷면 328

그림 6.93. 금사가 소실되어 지위사가 드러난 문조직 모형도(현재 직물의 상태) 329

그림 6.94. 금사를 직입했을 때의 문조직을 재현한 모형도 329

그림 6.95. 〈금원문직금능〉 문양크기 334

그림 6.96. 일본 〈靑色金圓紋織金綾〉 문양크기 334

그림 6.97. 폭 측정 335

그림 6.98. 일본 〈靑色金圓紋織金綾〉 식서부분 확대 335

그림 6.99. 〈금원문직금능〉 직조 예상도 336

그림 6.100. 박익 묘 북서쪽 장벽의 여인 337

그림 6.101. 〈安樂國太子傳變相圖〉 337

그림 6.102. 〈감로탱〉, 1589년 337

그림 6.103. 〈금원문직금능〉의 편금사 표면과 배지 상태 339

그림 6.104. 송으로 은박 표면처리 340

그림 6.105. 마노로 금박 야광하기 340

그림 6.106. 마노로 은박 야광하기 340

그림 6.107. 편은사 재단 341

그림 6.108. 문양 부분 설계 342

그림 6.109. 유물과 시직직물의 경·위사 굵기 및 밀도 비교 342

그림 6.110. 21중 4합과 비교 343

그림 6.111. 21중 5합과 비교 343

그림 6.112. 21중 6합과 비교 343

그림 6.113. 〈금원운직금능〉 부분 확대(앞) 344

그림 6.114. 시직직물 부분 확대(앞) 344

그림 6.115. 〈금원문직금능〉 부분 확대(뒤) 344

그림 6.115. 시직직물 부분 확대(뒤) 344

그림 6.116. 일완전 문양 346

그림 6.117. 일완전 운양 의장 346

그림 6.118. 문양조직 확인 및 분석 346

그림 6.119. 문양조직 확인 및 분석 346

그림 6.120. 의장부분 확대 346

그림 6.121. 의장부분 확대 346

그림 6.122. 〈금원문직금능〉 추정복원 의장도 347

그림 6.123. 2차 시직직물 문양(금사 사용) 351

그림 6.124. 2차 시직직물 문양(견색사 사용) 351

그림 6.125. 유물과 시직직물 경·위사 굴기 및 밀도 비교 351

그림 6.126. 〈금원문직금능〉 문양 353

그림 6.127. 3차 시직직물 문양 353

그림 6.128. 〈금원문직금능〉 문양 353

그림 6.129. 4차 시직직물 문양(금사 사용) 353

그림 6.130. 4차 시직직물 문양(견색사 사용) 353

그림 6.131. 문도 354

그림 6.132. 문도의 끝처리 354

그림 6.133. 금사 넣는 공간 354

그림 6.134. 금사가 뒤집어진 모습 354

그림 6.135. 자카드 수공문직기 제직 모습 355

그림 6.136. 유물과 제직직물 경·위사 굵기 및 밀도 비교 356

그림 6.137. 제직직물 문양크기 및 간격 357

그림 6.138. 16세기〈금원문직금능〉 제직·복원 358

그림 6.139. 일완전 문양 362

그림 6.140. 일완전 문양 의장 362

그림 6.141. 의장부분 확대 362

그림 6.142. 의장부분 확대 362

그림 6.143. 연화문직금단 추청복원 의장도 362

그림 6.144. 제직직물 경사 굵기 363

그림 6.145. 제직직물 위사 굵기 363

그림 6.146. 제직직물 편금사 너비 363

그림 6.147. 제직직물 문양크기 364

그림 6.148. 연화문직금단 제직·복원 365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67153 677.02862 -15-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67154 677.02862 -15-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