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광복 70주년 기념)겨레말 통합을 위한 국제학술회의 [전자자료] : 우리말 문화유산의 정비와 통합을 위한 과제 / 국립국어원, 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 주최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립국어원, 2015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209
제어번호
MONO1201540627
주기사항
일시: 2015년 8월 14일(금) 10:00∼18:00, 장소: 국립한글박물관 강당(지하 1층)
본문은 한국어, 중국어가 혼합수록됨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기조연설] 남북한 언어문화의 현실과 통합 방안 / 권재일 12

1. 머리말 13

2. 남북한의 언어 차이 14

2.1. 개관 14

2.2. 음운 15

2.3. 문법 16

2.4. 어휘 16

2.5. 화법 18

2.6. 어문규범 19

3. 남북한의 어휘 다듬기 활동 20

3.1. 개관 20

3.2. 남한의 어휘 다듬기 활동 20

3.3. 북한의 어휘 다듬기 활동 22

4. 남북한의 언어 통합을 위한 노력 23

4.1. 국립국어원과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의 교류 24

4.2. 남북 공동 겨레말큰사전 편찬 25

4.3. 컴퓨터 용어와 체육 용어 단일화 33

5. 남북한 지역어 조사 34

6. 남북한 언어 통합을 위한 방안 36

참고문헌 38

[주제발표 1] 「중화어문대사전」의 양안 공동 편찬 과정과 성과 / 리싱젠 39

[중국어원문] 40

1. 「중화어문대사전」 양안 공동 편찬 개요 50

2. 양안의 어문 현황 51

3. 양안에서 용례 차이가 자주 나타나는 어휘의 유형 52

(1) 같은 말, 다른 뜻 52

(2) 같은 뜻, 다른 말(대륙-대만) 53

(3) 일방의 고유어 53

(4) 단어 호응 및 뉘앙스의 차이 53

4. 한 가족으로 나아가는 양안 협력 54

(1) 양안의 언어 및 문자에 대한 정확한 규정 54

(2) 진정성 있는 협력과 상호 존중 54

(3) 공동의 노력, 서로의 강점 존중 55

(4) 관념 차이를 보이는 어휘의 주석 문제 56

5. 몇 가지 소회 56

참고문헌 59

[붙임] 본문에서 인용한 대만 고유어에 관한 설명 60

[주제발표 2] 통일 독일의 언어 통합 / 최경은 61

1. 동서독 독일어의 분리 과정 62

1.1. 동서독 언어, 하나의 국어인가 - 두 개의 국어인가? 62

1.2. 언어조작과 언어조정 63

1.3. 동서독 언어의 특징 65

1.4. 동서독 언어의 차이 65

2. 동서독 언어 통합을 위한 전제 66

3. 서독어 중심의 일방통행적 언어 통합 68

4. 언어 통합에 대한 동독인의 반응 70

5. 의사소통의 갈등 71

5.1. 대화에 임하는 자세의 차이 71

5.2. 어휘와 의사소통 관례의 변화 72

5.3. 화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의미적인 차이 73

5.4. 상이한 정치 사회 경제 체제 73

5.5. 정치 경제 분야의 주요 개념에 대한 상이한 평가 74

6. 맺는 말 75

참고문헌 79

[주제발표 3] 재일동포 언어 교육과 남북 언어 문제 / 조의성 81

1. 들어가기 82

1.1. 목적 82

1.2. 재일동포 82

2. 재일동포 민족교육의 역사 83

2.1. 해방 직후의 민족교육 83

2.2. 민족교육에 대한 탄압 84

2.3. 재일본 조선인 총연합회 결성과 민족학교 85

3. 민족학교의 현황 86

3.1. 학교수와 학생수 86

3.2. 남한계 학교의 개략 87

3.3. 북한계 학교의 개략 88

4. 민족학교에서의 민족어 교육 89

4.1. 민족어 수업 89

4.2. 교원 90

4.3. 교과서 91

5. 그 외의 민족어 교육 92

6. 재일동포의 민족어 교육에 관련된 문제들 92

6.1. 남북 분단과 민족어 교육 92

6.2. 이중언어 교육과 민족어 교육 93

6.3. 민족 의식 양성과 민족어 교육 94

7. 마무리 95

참고문헌 96

관련자료 98

[자료1A] 북한계 학교(각종학교) 초급부의 과목별 수업 시간수 98

[자료1B] 동경한국학교(각종학교) 초등부 과목별 수업 시간수(2014년도) 98

[자료1C] 금강학원(1조교) 소학교의 과목별 수업 시간수 98

[자료1D] 일본 소학교(1조교)의 표준 수업 시간수 99

[자료2] 북한계 학교 초급부 '국어'(2001년판) 차례 (朴校熙 2013에서 인용) 99

[자료3] 북한계 학교 초급2학년 '국어(2003년판)의 일부 (申昌洙熙 2005에서 인용) 101

[자료4] 총련 성인학교용 교재 '朝鮮語'(1981년판)의 일부 102

[주제발표 4] 북한 언어문화의 변모 양상과 전망 / 전영선 103

Ⅰ. 서론 104

Ⅱ. 북한의 언어관 106

1. 혁명수단으로서 언어 106

2. 민족상징으로서 언어 107

3. 단일계통의 민족 언어 108

Ⅲ. 북한의 언어정책과 언어문화 110

1. 북한의 언어정책 110

1) 언어의 정치성 110

2) 언어의 민족성 112

3) 언어의 인민성 113

4) 언어의 실용성 114

2. 북한 언어문화의 특성 115

1) 명시성 강조 115

2) 직접 화법 중심 116

3) 명령어 중심의 언어 117

3. 북한 대중문화 속의 언어문화 118

1) 외래어 사용 자제 : 〈버릇탓인가?〉 118

2) 위치에 맞는 바른 언어 : 〈과장이 된 후에〉 119

3) 직장에서의 언어 예절 : 〈그 동무가 온 후〉 120

4) 친구 사이의 언어 예절 : 〈례절 없는 청년〉 121

5) 전화예절 : 〈병은 네가 걸렸어〉, 〈통화중〉, 〈전화소동〉 122

6) 핸드폰 사용 예절 : 〈철이 아버지였군요〉 124

Ⅳ. 나가는 말 125

[주제발표 5] 남북 언어 자료 구축과 정비 방안 / 소강춘 127

1. 서론 128

2. 말뭉치 구축 현황 131

2.1. 남한의 말뭉치 구축 현황 131

2.2. 북한의 말뭉치 구축 현황 136

3. 원시 말뭉치 구축 형태 비교 152

3.1. 남한의 형태 152

3.2. 북한의 형태 157

3.3. 통합을 위한 방안 160

4. 주석 말뭉치 구축 형태 비교 161

4.1. 분석표지 161

4.2. 분석 형태 166

4.3. 통일을 위한 방안 168

5. 구문분석 말뭉치 169

6. 결론 및 제언 174

1. 헤더 파일 정보 테이블 174

2. 원시 말뭉치 테이블 175

3. 형태 주석 말뭉치 테이블 175

4. 말뭉치 통합 175

참고문헌 176

[주제발표 6] 남북 전문용어 통합의 경제적 효과 / 김용태 178

남북 간 용어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구분이 가능합니다 179

개성공단에서 기업을 운영하면서 느낀 남북 간 용어의 차이를 앞서 밝힌 구분에 따라 설명하겠습니다 180

[주제발표 7] 남북 언어 통합 사업의 현황과 과제 / 이대성;한용운 184

국립국어원 남북 언어 통합 사업의 현황과 과제 / 이대성 185

1. 서론 185

2. 현황 186

(1) 북한어 실태 조사 및 남북 언어 비교 186

(2) 남북 언어 통합을 위한 학술회의 192

(3) 북한이탈주민 언어 적응 지원 193

3. 과제 및 계획 194

《겨레말큰사전》 편찬 사업의 현황과 과제 / 한용운 197

1. 머리말 197

2. 《겨레말큰사전》 소개 198

1) 편찬 목적과 전망 198

2) 공동 편찬 요강 199

3) 남과 북의 편찬위원 202

3. 《겨레말큰사전》 편찬 현황 203

4. 남은 과제 205

5. 맺음말 207

[주제발표 3] 재일동포 언어 교육과 남북 언어 문제 / 조의성 85

〈표 1〉 조선인 학교의 수(朴慶植 1989:322) 85

〈표 2〉 민족학교의 수 86

〈표 3〉 남한계 학교의 종류 87

[주제발표 5] 남북 언어 자료 구축과 정비 방안 / 소강춘 131

〈표 1〉 세종계획 말뭉치 구축 현황 131

〈표 2〉 세종계획 이외의 말뭉치 132

〈표 3〉 광복 이전의 음반 제작 현황 135

〈표 4〉 음반의 내용 분류 135

〈표 5〉 사회과학원 제공 북한 원시 말뭉치 137

〈표 6〉 세종계획 북한 원시 말뭉치 139

〈표 7〉 북한 어휘항목 조사 결과 146

〈표 8〉 북한 구술발화 조사 결과 147

〈표 9〉 파일명 부착 방법 152

〈표 10〉 남한의 형태 주석 말뭉치 분석표지 162

〈표 11〉 북한의 형태 주석 말뭉치 분석표지 163

국립국어원 남북 언어 통합 사업의 현황과 과제 / 이대성 188

〈표 1〉 교과서 학술 용어의 항목별 차이 비율 : 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188

〈표 2〉 교과서 학술 용어의 항목별 차이 비율 : 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189

〈표 3〉 남북 언어 관련 사업 결과 보고서 목록 191

〈표 4〉 남북 언어 통합을 위한 국제학술회의 목록 193

〈표 5〉 남북 언어 통합 종합 계획 개요 195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