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4)기능평가도구의 타당성 검증과 활용체계 개발 /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2015
청구기호
615.82 -15-16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 238 p. : 삽화, 표 ; 26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8101052
제어번호
MONO1201541802
주기사항
연구책임자: 호승희
"보이스아이" 바코드 수록
참고문헌: p. 234-238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요약문

목차

제1장 연구 개요 14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4

1. 연구 배경 14

2. 연구 필요성 17

제2절 연구 목적 18

제3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9

1. 연구 내용 19

2. 연구 방법 20

제4절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22

1. 기대성과 22

2. 활용방안 23

제2장 재활영역 기능평가도구 24

제1절 기능평가도구 개발과정 24

1. 연차별 기능평가도구 개발내용 24

2. 영역별 기능평가도구 개발내용 26

제2절 기능평가도구 Beta version II 56

1. 기능평가도구 적용방향 56

2. 기능평가도구 구성 및 점수체계 59

3. 기능적 수행(Functional performance) 67

4. 기능적 능력(Functional capacity) 89

제3장 재활영역 기능평가도구 시범확대 운영 114

제1절 운영 개요 114

1. 목적 114

2. 연구 대상 114

3. 시범확대 운영 절차 및 방법 115

4. 시범확대 운영 진행과정 119

제2절 운영 결과 120

1. 연구 대상자의 특성 120

2. 영역별 기능수준 125

제4장 재활영역 기능평가도구 타당성 검증 129

제1절 신뢰도 분석 129

1. 내적 일관성(Internal consistency) 129

2. 평가자간 신뢰도(Inter-rater reliability) 131

제2절 타당도 분석 134

1. 구성 타당도(Construct validity) 134

2. 준거 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 139

제3절 Rasch 분석 147

1. 적합도 분석(Fit statistics) 147

2. 난이도 분석(Difficulty statistics) 149

3. 평정척도 분석(Rating scale analysis) 150

4. 분리 신뢰도(Separation reliability) 152

제5장 재활영역 기능평가 점수체계 및 결과도출 시스템 구축 153

제1절 기능평가 점수체계 구축 153

1. 목적 153

2. 구성 및 내용 153

3. 점수체계 구축과정 154

제2절 기능평가도구 결과도출 시스템 175

1. 목적 175

2. 구성 및 내용 175

3. 사용 방법 176

4. 결과도출의 확인 181

5. 결과도출의 로짓 185

제6장 기능평가도구 기반의 재활환자분류체계 190

제1절 기능평가도구 Beta version I 기반의 재활환자분류체계 190

1. 개발 개요 190

2. 개발 결과 196

제2절 기능평가도구 Beta version II 기반의 재활환자분류체계 236

1. 개발 목적 및 내용 236

2.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238

제7장 고찰 및 결론 241

참고문헌 247

판권기 252

〈표 2-1〉 기능평가도구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영역 개발내용 27

〈표 2-2〉 몸단장하기 항목의 개발내용 29

〈표 2-3〉 목욕하기 항목의 개발내용 30

〈표 2-4〉 식사하기 항목의 개발내용 31

〈표 2-5〉 상의 입고 벗기 항목의 개발내용 32

〈표 2-6〉 하의 입고 벗기 항목의 개발내용 33

〈표 2-7〉 배뇨관리 항목의 개발내용 34

〈표 2-8〉 배변관리 항목의 개발내용 35

〈표 2-9〉 용변처리 항목의 개발내용 36

〈표 2-10〉 침상이동 항목의 개발내용 37

〈표 2-11〉 이동 항목의 개발내용 38

〈표 2-12〉 보행 항목의 개발내용 40

〈표 2-13〉 휠체어 항목의 개발내용 42

〈표 2-14〉 계단 오르내리기 항목의 개발내용 44

〈표 2-15〉 관절가동범위 항목의 개발내용 45

〈표 2-16〉 근력 항목의 개발내용 46

〈표 2-17〉 경직 항목의 개발내용 47

〈표 2-18〉 협응력 항목의 개발내용 48

〈표 2-19〉 서기 균형 항목의 개발내용 48

〈표 2-20〉 기능평가도구 감각영역의 개발내용 50

〈표 2-21〉 기능평가도구 인지영역의 개발내용 52

〈표 2-22〉 기능평가도구 심리사회영역의 개발내용 55

〈표 2-23〉 기능평가도구 적용대상 질환 58

〈표 2-24〉 일상생활수행능력 구성 및 점수체계 60

〈표 2-25〉 운동영역 구성 및 점수체계 61

〈표 2-26〉 감각영역 구성 및 점수체계 62

〈표 2-27〉 인지영역 구성 및 점수체계 63

〈표 2-28〉 심리사회영역 구성 및 점수체계 63

〈표 2-29〉 단계별 독립성 수준과 척도 71

〈표 2-30〉 몸단장하기 항목의 척도 72

〈표 2-31〉 목욕하기 항목의 척도 74

〈표 2-32〉 식사하기 항목의 척도 75

〈표 2-33〉 상의 입고 벗기 항목의 척도 76

〈표 2-34〉 하의 입고 벗기 항목의 척도 77

〈표 2-35〉 배뇨관리 항목의 척도 79

〈표 2-36〉 배변관리 항목의 척도 81

〈표 2-37〉 용변처리 항목의 척도 82

〈표 2-38〉 침상이동 항목의 척도 83

〈표 2-39〉 이동 항목의 척도 84

〈표 2-40〉 보행 항목의 척도 85

〈표 2-41〉 휠체어 항목의 척도 86

〈표 2-42〉 계단 오르내리기 항목의 척도 87

〈표 2-43〉 관절가동범위 평가 기준 각도 90

〈표 2-44〉 견관절(Shoulder) 관절가동범위 평가방법(예시) 91

〈표 2-45〉 뇌손상 근력 평가방법(예시) 93

〈표 2-46〉 척수손상(C5) 근력 평가방법(예시) 94

〈표 2-47〉 ASIA sensory 주요 지점(key point) 102

〈표 3-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120

〈표 3-2〉 뇌손상 환자의 임상적 특성 122

〈표 3-3〉 척수손상 환자의 임상적 특성 123

〈표 3-4〉 뇌손상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기능수준 125

〈표 3-5〉 척수손상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기능수준 125

〈표 3-6〉 뇌손상 환자의 운동영역 기능수준 126

〈표 3-7〉 척수손상 환자의 운동영역 기능수준 126

〈표 3-8〉 뇌손상 환자의 감각영역 기능수준 127

〈표 3-9〉 척수손상 환자의 감각영역 기능수준 127

〈표 3-10〉 뇌손상 환자의 인지영역 기능수준 128

〈표 3-11〉 뇌손상 환자의 심리사회영역 기능수준 128

〈표 3-12〉 척수손상 환자의 심리사회영역 기능수준 128

〈표 4-1〉 뇌손상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내적 일관성 130

〈표 4-2〉 척수손상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내적 일관성 130

〈표 4-3〉 뇌손상 환자의 인지영역 내적 일관성 131

〈표 4-4〉 뇌손상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평가자간 신뢰도 132

〈표 4-5〉 척수손상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평가자간 신뢰도 133

〈표 4-6〉 뇌손상 환자의 인지영역의 평가자간 신뢰도 133

〈표 4-7〉 뇌손상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요인분석 135

〈표 4-8〉 척수손상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요인분석 136

〈표 4-9〉 운동영역의 요인분석 137

〈표 4-10〉 감각영역의 요인분석 137

〈표 4-11〉 뇌손상 환자의 인지영역의 요인분석 138

〈표 4-12〉 심리사회영역의 요인분석 139

〈표 4-13〉 뇌손상 환자의 기능평가도구 일상생활수행능력과 K-MBI의 상관관계 140

〈표 4-14〉 척수손상 환자의 기능평가도구 일상생활수행능력과 KSCIM-R의 상관관계 140

〈표 4-15〉 뇌손상 환자의 기능평가도구 인지영역과 K-MMSE의 상관관계 141

〈표 4-16〉 뇌손상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민감도 142

〈표 4-17〉 척수손상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민감도 144

〈표 4-18〉 뇌손상 환자의 인지영역의 민감도 146

〈표 4-19〉 기능평가도구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적합도 분석 148

〈표 4-20〉 기능평가도구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평정척도 분석 151

〈표 4-21〉 기능평가도구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대상자 분리 신뢰도 152

〈표 4-22〉 기능평가도구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항목 분리 신뢰도 152

〈표 5-1〉 기능평가도구 뇌손상 버전의 원 점수체계 155

〈표 5-2〉 기능평가도구 척수손상 버전의 원 점수체계 156

〈표 5-3〉 기능평가도구 뇌손상 버전의 Functional capacity 점수 표준화 157

〈표 5-4〉 기능평가도구 척수손상 버전의 Functional capacity 점수 표준화 158

〈표 5-5〉 운동영역 세부 항목별 가중치 159

〈표 5-6〉 운동영역 세부 항목별 가중치 적용 160

〈표 5-7〉 감각영역 세부 항목별 가중치 162

〈표 5-8〉 감각영역 세부 항목별 가중치 적용 163

〈표 5-9〉 인지영역 세부 항목별 가중치 적용 164

〈표 5-10〉 심리사회영역 세부 항목별 가중치 적용 165

〈표 5-11〉 Functional capacity 영역별 가중치 165

〈표 5-12〉 Functional capacity 영역별 가중치 적용 166

〈표 5-13〉 Functional performance의 점수 표준화 168

〈표 5-14〉 Functional performance와 Functional capacity의 기능비교 169

〈표 5-15〉 뇌졸중 환자의 기능평가도구 원점수 예시 170

〈표 5-16〉 뇌졸중 환자의 Functional capacity 점수의 표준화 예시 171

〈표 5-17〉 뇌졸중 환자의 Functional capacity 세부 항목의 가중치 적용 예시 172

〈표 5-18〉 뇌졸중 환자의 Functional capacity 영역의 가중치 적용 예시 173

〈표 5-19〉 뇌졸중 환자의 Functional performance 점수의 표준화 예시 173

〈표 5-20〉 뇌졸중 환자의 Functional performance와 Functional capacity 기능 비교 예시 174

〈표 6-1〉 의료기관의 최소 기본자료 세트 191

〈표 6-2〉 미국 IRF-PAI와 K-RPAI 안 비교 193

〈표 6-3〉 미국 RIC를 활용한 재활손상군 194

〈표 6-4〉 미국 IRF-PAI와 기능평가도구 DB를 활용한 재활환자평가도구(안) 197

〈표 6-5〉 미국 RIC 및 IGC를 활용한 재활손상군코드(안) 215

〈표 6-6〉 우리나라의 재활손상군으로 선정된 K-RIC(안) 221

〈표 6-7〉 미국의 환자구성 그룹(Case-mix Group, CMG) 223

〈표 6-8〉 재활환자의 영역별 데이터베이스 224

〈표 6-9〉 뇌손상 재활환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26

〈표 6-10〉 뇌손상 재활환자의 임상적 특성 227

〈표 6-11〉 뇌손상 재활환자를 대상으로 한 의사결정나무분석 이익도표 230

〈표 6-12〉 뇌손상 재활환자를 대상으로 한 의사결정나무분석 위험도표 230

〈표 6-13〉 척수손상 재활환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31

〈표 6-14〉 척수손상 재활환자의 임상적 특성 232

〈표 6-15〉 척수손상 재활환자를 대상으로 한 의사결정나무분석 이익도표 235

〈표 6-16〉 척수손상 재활환자를 대상으로 한 의사결정나무분석 위험도표 235

[그림 1-1] 연구수행 체계 21

[그림 2-1] 연차별 기능평가도구 개발내용 25

[그림 2-2] 기능평가도구 평가영역 57

[그림 2-3] 기능평가도구 Beta versionII(Full version) 64

[그림 2-4] 기능평가도구 Beta versionII(Brain injury version) 65

[그림 2-5] 기능평가도구 Beta versionII(SCI version) 66

[그림 2-6] 고유수용성 감각 검사방법 105

[그림 3-1] 평가내용 및 시기 117

[그림 3-2] 시범확대 운영 절차 118

[그림 3-3] 시범확대 운영 진행과정 119

[그림 4-1] 대상자와 항목 분포도 150

[그림 4-2] 6점 리커트척도의 반응범주확률곡선 151

[그림 5-1] 기능평가도구 점수체계의 구축과정 154

[그림 5-2] 구글 크롬 실행 후 주소 입력 176

[그림 5-3] 로그인 화면 177

[그림 5-4] 로그인 후 접속 화면 178

[그림 5-5] 대상자 검색 및 선택 179

[그림 5-6] 대상자의 질환 선택 180

[그림 5-7] Functional performance와 Functional capacity의 점수분포 181

[그림 5-8]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점수분포 182

[그림 5-9] 운동영역의 점수분포 183

[그림 5-10] 감각영역의 점수분포 183

[그림 5-11] 인지영역의 점수분포 184

[그림 5-12] 심리사회영역의 점수분포 184

[그림 5-13] 원점수 결과 시트 185

[그림 5-14] Functional capacity 점수의 표준화 결과 시트 186

[그림 5-15] Functional capacity 세부 항목별 가중치 적용 결과 시트 187

[그림 5-16] Functional capacity 평가 영역별 가중치 적용 결과 시트 188

[그림 5-17] Functional performance 점수의 표준화 결과 시트 189

[그림 6-1] 재활환자분류체계 개발 설계 190

[그림 6-2] 재활환자분류체계 개발 절차 192

[그림 6-3] 재활환자분류체계 개발 영역 192

[그림 6-4] 재활환자 분류 알고리즘 195

[그림 6-5] 재활환자평가도구 개발 방법 196

[그림 6-6] 뇌손상 재활환자의 환자구성 그룹 Decision tree 229

[그림 6-7] 척수손상 재활환자의 환자구성 그룹 Decision tree 234

[그림 6-8] 재활환자분류체계 개발 과정 및 내용 237

[그림 6-9] 분류체계 검증을 위한 단계 238

[그림 6-10] 데이터 질 관리의 프레임웍 240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68898 615.82 -15-1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68899 615.82 -15-1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EM0000058633 615.82 -15-16 전자자료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