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머리말 / 이종화

목차

카타르 헌법 10

제1장 국가와 통치 원칙 10

제2장 사회의 기본 구성요성 26

제3장 공적 권리와 의무 38

제4장 권력기관 54

제1절 총칙 54

제2절 아미르 58

제3절 입법부 72

제4절 행정부 112

제5절 사법부 128

제5장 최종 조항 138

주석 146

카타르, 바다 진주잡이 나라에서 검은 진주의 나라로! 151

1. 개관(약사) 152

1) 바레인과 오스만제국의 식민시기 154

2) 영국 식민시기와 독립 158

2. 사니 가문의 통치권 형성과 정치변동 161

3. 헌법 체계와 권력구조 166

4. 경제 발전 168

5. 한-카타르 관계 176

주석 179

참고문헌 183

찾아보기 184

판권기 188

이용현황보기

카타르 헌법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66270 LM 342.56863 -15-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66271 LM 342.56863 -15-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중동국가헌법번역 HK총서시리즈 네 번째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HK(Humanities Korea, 인문한국) 해외지역 연구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중동국가헌법번역 HK총서>시리즈 역시 이 사업의 일환으로 현대 중동 국민국가의 정체성과 방향성, 이슬람적 언표(言表)를 정확히 읽어내고자 중동국가의 근간인 헌법을 현지어 원문에서 우리말로 연구, 번역하여 출간하고 있다.
『카타르 헌법』은 『사우디아라비아 통치기본법』, 『쿠웨이트 헌법』, 『아랍에미리트 헌법』에 이은 네 번째 책이다.
세계 각국의 헌법을 비교·고찰하는 것은 그 나라를 이해하는 첩경이며, 나아가 우리나라의 현재를 재인식하는 계기가 된다. 카타르는 오랜 기간 영국의 지배를 받아왔던 반도국으로 우리나라와 역사와 환경에서 유사한 면이 많기에 한국 헌법과의 비교는 더욱 가치 있다 할 것이다.

카타르, 영국의 통치령에서 세계 3위의 부유국으로

카타르는 아랍에미리트의 수장국 중 하나였으나 1916년 영국에 의해 지배되었으며, 1971년 영국통치령에서 벗어나 독립하였다.
우리나라의 경기도 크기 정도의 작은 크기로 20세기 초에는 진주, 낙타, 고기잡이에 의존하는 가난한 나라였으나, 풍부한 석유 자원을 바탕으로 성장을 거듭, 2013년 기준 1인당 국민소득 세계 3위에 이르는 부유국이며, 2006년 수도 도하에서 아시안게임을 개최하였고, 2011년 아시안컵, 그리고 중동국가로는 최초로 2022 FIFA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

국왕에게 많은 권한 부여된 입헌군주 체제

카타르의 헌법은 독립한 후 1971년 임시헌법을 제정, 1972년 개정하여 유지되어 오다가, 1996년 개정을 통해 겸직하고 있던 국가원수와 수상을 분리하였으며, 2003년 유권자 96% 찬성으로 영구헌법이 제정되었다.
5장 150조로 구성된 영구헌법에는 카타르가 이슬람을 국교로 하는 독립 주권 아랍국가이며, 입법, 사업, 행정부가 분립된 민주국가를 지향하고 있음을 명시하고 있다. 카타르 국왕은 헌법 기구들의 수장으로 입법권과 집행권, 총리 및 장관 임명과 해임, 군통수권 등 많은 권한을 보유하고 있다.

카타르와 한국과의 관계

우리나라와 카타르는 1974년 수교하였다. 1984년 칼리파 국왕, 2014년 타밈 국왕 등 주요 인사들이 꾸준히 방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노무현 대통령(2007), 이명박 대통령(2012), 박근혜 대통령(2013) 등 국가원수와 주요 인사들이 꾸준히 카타르를 방문하며 긴밀한 유대 관계를 유지해 왔다.
우리나라는 카타르로부터 LNG와 원유를 비롯한 많은 자원을 수입하고 있고, 선박, 자동차, 전자제품 등을 수출하고 있으며, 많은 건설사업을 수주하였으며, 반기문 UN 사무총장 입후보시와 평창동계올림픽과 인천 아시안게임 선정시에도 우리나라에 호의적인 입장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중동국가헌법번역HK총서


이 번역 총서는 HK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우리가 흔히 중동이라고 부르는 지역 내 국민국가(Nation-State)의 가장 근간이 되는 헌법을 통해 현대 중동 국민국가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적확하게 읽어내고자 기획되었다. 중동 각국의 헌법을 현지어 원문에서 우리말로 연구ㆍ번역하여 출간함으로써 내실 있는 중동 연구에 일조하고, 나아가 국익과 사회적 공익에도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