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총론 4
내포의 역사와 문화 성격 / 이해준 5
01. 내포의 지리 5
02. 내포지역의 다양한 문화특성들 8
03. 블루오션, 미래자원 '내포문화' 15
제1장 지리적 환경 18
비산(非山) 비야(非野)의 내포평야 / 홍제연 19
01. 내포의 자연경관 19
02. 택리지의 저자 이중환이 극찬한 내포 20
03. 고대 사람들도 살기 좋았던 곳 22
04. 충청도 제일의 곡창지대 23
05. 천하의 명당 25
06. 사대부의 터전 26
07. 국가 목장과 소나무 숲 27
내포의 바다 / 강성복 29
01. 내포 바다의 지리적 특징 29
02. 고기잡이의 지표가 되는 물때의 주기 31
03. 내포를 살찌운 풍요로운 황금의 바다 33
04. 생태계의 오염으로 신음하는 내포의 바다 36
내포 뱃길과 포구 / 오석민 38
01. 내포 뱃길과 운하 39
02. 내포 해안 포구의 흥망성쇠 47
제2장 내포의 역사 56
내포의 선사문화 / 이창호 57
01. 선사시대 내포의 입지와 환경 57
02. 내포지역의 구석기 및 신석기시대 58
03. 내포지역의 청동기시대 66
04. 내포지역의 초기철기시대 75
05. 내포지역의 선사문화 78
백제시대의 내포 / 강종원 79
01. 내포지역의 백제영역화 80
02. 백제 지방통치체제의 정비와 내포 84
03. 백제시대 내포지역의 성격 89
신라~고려의 내포 / 윤용혁 94
01. 내포의 거점, 홍주의 등장 94
02. 연안 해로의 발달과 굴포운하 96
03. 민란과 반란 99
04. 몽고전란과 왜구 101
05. 내포의 불교문화 103
조선시대 내포와 홍주 / 김경수 105
01. 내포의 개념과 지역 범위 106
02. 홍주목의 연혁 111
03. 내포지역의 외관 파견과 홍주목사 117
내포의 근현대사 / 정내수 125
01. 한말의 사회·경제적 조건 125
02. 일제의 침략과 국권회복운동 128
03. 독립운동과 광복 132
제3장 선진 문화의 창구 136
대중국 교류의 창 / 김추윤 137
01. 황해의 해류 및 대 중국황해해로 138
02. 해로를 통한 이주 및 군사적 사례 146
내포에서 발원한 백제의 마애불 / 박재용 152
01. 백제 최고(最古)의 마애불, 태안 마애삼존불입상 153
02. 백제의 미소, 서산 마애여래삼존상 155
03. 또 하나의 경이로운 불상, 예산 사면석불 158
04. 백제의 마애불이 내포지역에서 발원한 이유는? 159
내포의 천년고찰, 가야사 / 이경복 163
01. 재발견되는 가야사 163
02. 백제시대 가야산과 내포불교 164
03. 통일신라시대 가야사와 내포불교 165
04. 고려시대 가야사와 내포불교 167
05. 조선시대 가야사와 내포불교 170
성리학 수용과 내포인 / 황의동 174
내포 천주교의 유래 / 김정환 183
01. 수용의 배경 183
02. 내포의 천주교 수용 186
03. 천주교 정착과 박해 190
제4장 살아있는 역사의 현장 194
내포의 백제부흥운동 / 심정보 195
01. 주류성 196
02. 임존성 197
03. 임존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 201
내포의 관방편제와 관방시설 / 곽호제 205
01. 내포지역의 자연환경과 외세의 침입 205
02. 조선 전기 내포지역의 관방편제 208
03. 조선 후기 내포지역의 관방편제와 관방시설 214
내포의 동학격전지와 한말의병전투지 / 정을경 225
천주교 박해기의 순교성지 / 김성태 234
01. 내포 천주교회의 위상 234
02. 내포 천주교 삶의 자리 236
03. 내포 신앙을 증거하는 자리 242
제5장 내포의 다양성과 배타성 248
내포의 다양한 학풍(學風)과 학맥(學脈) / 최근묵 249
01. 학풍과 학맥 249
02. 내포의 역사성 250
03. 다양한 학풍의 학맥 252
남당과 외암의 호락논쟁 / 김문준 258
01. 남당과 외암 258
02. 호락논쟁의 근본문제 261
03. 인간 본성의 두 양상-본연지성과 기질지성 263
04. 논쟁의 전개 264
05. 인물성 논쟁의 이론 근거 266
06. 인물성 논쟁의 의의 268
내포의 성호가학 / 임선빈 270
01. 여주이씨의 내포 덕산 거주 270
02. 덕산과 안산의 내왕을 상징하는 『섬사편』 272
03. 성호문집의 편찬과 서암강학회 274
04. 덕산 성호가학의 학풍 278
내포의 동학 / 신영우 281
01. 동학의 내포 전파와 장내리집회 282
02. 청일전쟁의 발발과 내포지역의 동학 284
03. 내포 동학농민군의 반일봉기와 홍주의 민보군 286
04. 일본군과 경군 장위영의 내포 동학농민군 진압 289
내포의 독립운동 / 김상기 294
01. 한말 국권회복운동 294
02.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298
03. 내포인의 자주독립정신 306
제6장 생활과 민속 308
내포의 당제 - 해안 및 도서 지역을 중심으로 - / 이필영 309
01. 내포의 어촌 동제(洞祭)인 당제(堂祭) 309
02. 내포 당제의 일반적 구조와 성격 310
03. 내포의 대표적 당제들 314
천수만과 대호지만의 간척 사업에 따른 어업의 변화양상 / 남향 323
01. 천수만의 어업 변화 : 황도와 창리의 사례 326
02. 대호지만의 변화 : 서산 명천리 창말의 사례 332
내포의 법사와 앉은굿 / 오선영 337
01. 내포 무속의 여러 갈래 337
02. 신풀이 : 법사의 입무식(入巫式) 339
03. 법당과 신령 342
04. 앉은굿의 경문·경청·독경 345
내포의 보부상의 유래와 문화유산 / 유병덕 352
01. 보부상이란? 352
02. 내포 보부상의 유래 356
03. 내포 보부상의 문화유산 365
내포의 공예 - 무형문화재 장인을 중심으로 - / 장경희 371
01. 조선시대 내포 장인의 종별 372
02. 내포지역 무형문화재의 공예 375
부록 386
미주 387
참고문헌 396
판권기 403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069817 | 951.973 -15-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