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인적자본정책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종합연구 / 김용성, 이주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한국개발연구원 : KDI, 2014
청구기호
331.11 -15-6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715 p. : 표 ; 25 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 2014-08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80639281
제어번호
MONO1201542461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발간사 3

요약 24

제1부 서론 33

제1장 한국은 인적자본 일등 국가인가? / 이주호;정혁;홍성창 34

제1절 서론 34

제2절 세계에서 가장 빠른 교육팽창 36

제3절 대학과 학교의 질 문제 44

제4절 교육거품의 형성 61

제5절 교육거품과 노동시장의 변화 76

제6절 정책적 함의 및 결론 83

참고문헌 86

제2부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학교의 변화: 도전과 대응 93

제2장 사교육이 학업동기와 비인지적 역량 발달에 미치는 영향 / 강창희;박윤수 94

제1절 서론 94

제2절 실증모형 100

제3절 분석자료 104

제4절 분석 결과 115

1. 추정 예시: 중학교 수학 학업성취도 115

2. 추정 결과: 인지적ㆍ비인지적 교육성과에 대한 영향 119

제5절 결론 128

참고문헌 130

[부록] 132

제3장 학교폭력 현황 분석 및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학생의 인지적ㆍ비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 최재성 137

제1절 서론 137

제2절 선행연구 141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143

1. 분석자료 143

2. 분석방법 148

제4절 분석 결과 150

1. TIMSS를 활용한 분석 150

2. 서울교육종단연구(SELS)를 활용한 분석 157

제5절 요약 및 결론 173

참고문헌 176

제4장 선다형 평가에서 수행평가로 / 이주호;류성창;이삼호 179

제1절 서론 179

제2절 왜 수행평가의 강화를 위한 평가개혁이 필요한가? 182

1. 모형 183

2. 모형의 분석 186

3. 토론과 함의 190

제3절 수행평가는 우리 학교현장에 뿌리내리고 있는가? 191

1. 좋은 수행평가의 기준 191

2. 연구방법 194

3. 연구 결과 195

4. 토론과 함의 204

제4절 어떻게 수행평가를 확산시킬 수 있을까? 206

제5절 결론 221

참고문헌 224

제5장 학교 진로교육은 생애역량 형성에 도움이 되는가? / 김승보;채창균 226

제1절 학교 진로교육과 생애역량 226

제2절 학교 진로교육의 변화 실태 230

1. 학교 진로교육의 맥락과 2009 개정 교육과정 230

2. 학교단위 진로교육 구성체계의 변화 233

3. 평균적 학생 진로성숙도의 변화 241

제3절 진로성숙도가 학업성취 및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 247

1. 분석자료의 기초적 특성 247

2. 진로성숙도와 학업성취도 250

3/2. 진로성숙도와 노동시장 이행 257

제4절 결론 263

참고문헌 266

제3부 혁신생태계의 중심지로서의 대학: 변화와 나아갈 방향 268

제6장 대학구조개혁정책의 현황과 개선방안 / 이영 269

제1절 서론 269

제2절 대학 입학자원과 입학정원의 추이 분석 270

제3절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입학정원 관련 정책 내용과 효과 274

제4절 박근혜 정부의 대학구조개혁정책 현황 281

제5절 박근혜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대학구조개혁정책 비교ㆍ분석 290

제6절 대학구조개혁정책의 발전방안 293

참고문헌 298

제7장 한국 고등교육의 국제화 발전방향 / 백성준 299

제1절 서론 299

제2절 고등교육의 국제화 301

1. 글로벌화(globalization)와 국제화(internationalization) 301

2. 고등교육 국제화 추진의 논리적 근거 303

3. 고등교육의 국제화 추진방식 306

4. 질적 보장 관련 고등교육 국제화 이슈 312

제3절 고등교육 국제화 정책 분석틀 314

제4절 고등교육 국제화 전략 및 정책 분석 315

1. 참여정부(2003~07년) 315

2. 이명박 정부(2008~12년) 324

3. 박근혜 정부(2013~) 338

제5절 한국 고등교육의 국제화 발전방향 342

1. 교육과정과 연구내용의 질적 변화 유도 342

2. 실제 성과를 담보할 수 있는 정책방안의 기획ㆍ추진 343

3. 예측 가능한 정책의 지속적 추진 344

4. 고등교육의 질 관리를 통한 고등교육 경쟁력 제고 345

5. 범정부적 접근 346

참고문헌 348

제8장 국가장학금과 학자금 대출에 대한 실증분석과 정책제언 / 김진영 353

제1절 들어가는 말 353

제2절 이론 및 현실적 배경 356

1. 수요자 지원의 이론적 배경 356

2. 현실적 배경: 고등교육 확대와 대학등록금의 가계부담 360

제3절 장학금 및 대출금의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의 틀 365

1. 고등교육 수요자 지원과 관련한 기존 실증연구 365

2. 본 연구의 실증분석틀 368

제4절 실증분석 371

1. 분석자료 371

2. 실증분석 372

제5절 맺는말 395

참고문헌 398

제9장 지역혁신체제에서 대학의 역할 / 이원영 401

제1절 서론 401

제2절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404

1. 이론적 배경 404

2. 지역혁신체제에서 대학의 역할과 관련한 선행연구 408

제3절 중장기 대학연구비 규모 예측 411

1. 대학연구비 추이와 특징 411

2. 미래전망 414

제4절 한국 기술혁신클러스터 진화과정과 미래 전망 416

1. 한국 혁신클러스터의 진화과정 417

2. 융복합 혁신클러스터 418

3. 산업단지 중심형 클러스터 420

4. 연구기능 중심형 클러스터 422

5. 향후의 전망과 과제 424

제5절 대학의 특성화 발전을 위한 정부지원사업의 현황과 문제점 428

1. 연구중심대학 지원 428

2. 지역혁신 선도대학 육성사업 429

3.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과 수도권 대학 특성화 사업 431

4. 문제점과 과제 432

제6절 정책과제 434

1. 대학의 역할모델 재정립 434

2. 대학과 혁신클러스터 간의 매칭 435

3. 지역혁신시스템의 구심체 역할 부여 437

4. 대학 중심의 혁신클러스터 발전 촉진 438

5.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불균형 해소 440

6. 산학협력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 441

제7절 맺음말 443

참고문헌 446

제10장 한국 대학의 연구생산성과 정책적 함의 / 강창희;홍성창;김원준 448

제1절 서론 448

제2절 현황 및 선행연구 450

1. 대학의 연구 현황 450

2. 선행연구 453

제3절 분석모형 456

1. 연구문제 456

2. 데이터 457

3. 분석모형 461

제4절 분석 결과 462

1. 총 논문 수와 상위 1% 논문 수에 대한 효과 462

2. 특허와 기술료 수입에 대한 효과 469

3. 대학 논문의 양과 질 사이의 관계 473

4. 주요 정책사업 평가: BK21, WCU 사업을 중심으로 476

제5절 요약 및 논의 484

1. 요약 484

2. 논의 및 시사점 486

참고문헌 492

제11장 한국 R&D 종사자 간의 팀워크 / 김진영 497

제1절 R&D 종사자 간 협력의 변화와 본 연구의 방향 497

1. R&D 종사자 간 협력 추세 497

2. R&D 종사자 간 팀워크의 이득 498

3. 팀워크에 관한 기존 연구의 한계 499

4. 본 연구의 연구방향 501

제2절 선행연구 502

1. 연구 팀 규모의 변화 502

2. 연구 팀워크의 결정요인 503

3. 연구 팀워크의 이론적 연구 504

제3절 데이터 설명 505

제4절 분석 결과 506

1. 연구 팀 규모 506

2. 연구 팀 지속성 511

3. 개발자 팀의 연령 분포 513

제5절 정책 함의와 결론 517

참고문헌 519

제12장 한국과 미국의 청년창업 실태와 창업교육 활성화 과제 / 오호영 522

제1절 서론 522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522

2. 선행연구 검토 526

3. 연구내용 529

4. 분석을 위한 개념정의 530

제2절 한국과 미국의 청년창업 533

1. 분석자료 533

2. 한국과 미국의 창업자 현황 535

3. 누가 창업하는가 538

4. 어떤 일을 하는가 554

5. 창업성과는 어떠한가 559

6. 시사점 570

제3절 각국의 창업교육 571

1. 미국 572

2. 한국 580

3. 시사점 585

제4절 결론 및 정책과제 586

참고문헌 591

제4부 사회적 이동성과 인적자본정책 595

제13장 세대 간 계층 이동성과 교육의 역할 / 김희삼 596

제1절 서론 596

제2절 연구 배경 598

제3절 실증분석 605

1. 세대 간 이동성과 교육 605

2. 다음 세대의 상향이동성에 대한 전망 618

3. 교육 격차의 심화 624

제4절 정책방향 634

1. 재능 사장의 방지 635

2. 사회적 배제의 완화 640

3. 성공경로의 다양화 645

제5절 결론 646

참고문헌 650

제14장 세대 내 소득이동성에 대한 연구: 학력계층을 중심으로 / 김용성 653

제1절 서론 653

제2절 국내외 소득이동성에 대한 연구 655

제3절 소득불평등도와 소득이동성의 관계 657

1. 소득불평등도와 소득이동성 간의 관계 657

2. 소득불평등도의 추이와 소득이동성에 대한 함의 660

제4절 소득이동성의 측정과 분석 667

1. 다양한 지표를 통해 본 2000년대 이후 우리 사회의 소득이동성 668

2. 회귀분석을 통해 본 2000년대 이후 우리 사회의 소득이동성 673

제5절 결론 677

참고문헌 678

[부록]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의 설명 681

1.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 681

2. 한국노동패널조사 682

3. 가계동향조사 682

제5부 결론 683

제15장 인적자본정책의 새로운 방향 / 이주호;김용성 684

제1절 서론 684

제2절 교육거품의 형성과 교육다양화 686

1. 교육거품의 형성과 심각성 686

2. 교육의 다양화를 위한 개혁 688

제3절 미래가 요구하는 인재를 길러내는 학교 692

1. 학교현장의 도전과 대응 692

2. 21세기 역량과 학교의 변화 696

제4절 혁신 생태계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대학 700

1. 대학 현장의 도전과 대응 700

2. 혁신 생태계와 대학의 역할 706

제5절 높은 사회적 이동성을 보장하는 인적자본정책 714

제6절 결론 717

참고문헌 719

ABSTRACT 721

판권기 735

〈표 1-1〉 대학의 수직적 차별화: 일반 및 재정(2013년) 51

〈표 1-2〉 대학의 수직적 차별화: 교육 및 연구(2013년) 51

〈표 2-1〉 서울교육종단연구 1~3차연도 조사의 대상 및 시기 104

〈표 2-2〉 기술통계량: 초등학생 표본(사교육, 자기주도학습, 부모의 교육지원) 109

〈표 2-3〉 기술통계량: 중학생 표본(사교육, 자기주도학습, 부모의 교육지원) 111

〈표 2-4〉 기술통계량: 고등학생 표본(사교육, 자기주도학습, 부모의 교육지원) 113

〈표 2-5〉 중학교 수학 학업성취도에 대한 사교육, 자기주도학습, 부모의 교육지원의 효과 116

〈표 2-6〉 국어 학업성취도에 대한 사교육, 자기주도학습, 부모의 교육지원의 영향 비교 120

〈표 2-7〉 수학 학업성취도에 대한 사교육, 자기주도학습, 부모의 교육지원의 영향 비교 120

〈표 2-8〉 영어 학업성취도에 대한 사교육, 자기주도학습, 부모의 교육지원의 영향 비교 121

〈표 2-9〉 학습방법에 대한 사교육, 자기주도학습, 부모의 교육지원의 영향 비교 123

〈표 2-10〉 학습노력에 대한 사교육, 자기주도학습, 부모의 교육지원의 영향 비교 123

〈표 2-11〉 학습할 때의 마음가짐에 대한 사교육, 자기주도학습, 부모의 교육지원의 영향 비교 124

〈표 2-12〉 국어 학교 수업에서의 태도에 대한 사교육, 자기주도학습, 부모의 교육지원의 영향 비교 124

〈표 2-13〉 수학 학교 수업에서의 태도에 대한 사교육, 자기주도학습, 부모의 교육지원의 영향 비교 125

〈표 2-14〉 영어 학교 수업에서의 태도에 대한 사교육, 자기주도학습, 부모의 교육지원의 영향 비교 125

〈표 2-15〉 창의성에 대한 사교육, 자기주도학습, 부모의 교육지원의 영향 비교 126

〈표 2-16〉 자존감에 대한 사교육, 자기주도학습, 부모의 교육지원의 영향 비교 126

〈표 2-17〉 목표의식에 대한 사교육, 자기주도학습, 부모의 교육지원의 영향 비교 127

〈표 2-18〉 교우관계에 대한 사교육, 자기주도학습, 부모의 교육지원의 영향 비교 127

〈표 3-1〉 학교폭력실태조사 결과: 학교폭력 피해를 경험한 학생의 비율 140

〈표 3-2〉 TIMSS 학교폭력 설문 문항 145

〈표 3-3〉 서울교육종단연구 학교폭력 설문 문항 146

〈표 3-4〉 서울교육종단연구 분석에 사용된 비인지적 성취 지표 및 구성 항목 147

〈표 3-5〉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수학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회귀분석 156

〈표 3-6〉 학교폭력 유형별 중복피해 패턴 161

〈표 3-7〉 피해와 가해 중복 경험 및 학교급 상승에 따른 변화 162

〈표 3-8〉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학생의 영어와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166

〈표 3-9〉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비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영향 170

〈표 3-10〉 횡단 자료와 종단 자료를 사용한 분석 결과 비교 172

〈표 4-1〉 수집된 수행평가 도구의 수 194

〈표 4-2〉 수집된 수행평가 도구 분석 195

〈표 4-3〉 채점기준: 집계(계산) 200

〈표 4-4〉 수행평가 도구의 채점방식 202

〈표 4-5〉 교육청에서 제공한 수행평가 도구 및 채점기준 203

〈표 5-1〉 진로성숙도검사 항목에 따른 학생들의 진로의식 변화 244

〈표 5-2〉 특성별 진로성숙도 249

〈표 5-3〉 학업성취도와 진로성숙도 252

〈표 5-4〉 진로성숙도와 학업성취도에 관한 기초통계 254

〈표 5-5〉 진로성숙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정 결과 256

〈표 5-6〉 특성에 따른 취업 여부별 진로성숙도 259

〈표 5-7〉 임금수준과 진로성숙도(월평균임금 이용) 260

〈표 5-8〉 진로성숙도와 노동시장 이행의 관계에 관한 분석자료의 기술통계량 261

〈표 5-9〉 취업 여부에 대한 로짓 분석 결과 262

〈표 5-10〉 월평균임금에 대한 OLS 추정 결과 263

〈표 6-1〉 대학입학정원의 변화: 지역별(2003, 2008, 2013년) 276

〈표 6-2〉 대학입학정원의 변화: 대학 설립별(2004, 2008, 2013년) 276

〈표 6-3〉 국립대학 통ㆍ폐합 지원사업과 구조개혁선도대학사업에 따른 정원감축 278

〈표 6-4〉 사립대학교 통ㆍ폐합 현황 279

〈표 6-5〉 박근혜 정부의 주기별 대학정원 감축목표 282

〈표 6-6〉 2차 공청회에서 발표된 일반대학 1단계 평가의 평가지표와 평가요소 289

〈표 6-7〉 박근혜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대학구조개혁정책 292

〈표 7-1〉 de Wit(2002)이 제시한 고등교육 국제화의 근거 304

〈표 7-2〉 Knight(2008)가 제시한 고등교육 국제화의 근거 305

〈표 7-3〉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국제화 정책 분석틀 315

〈표 7-4〉 우리나라 유학 및 연수 수지(2000~05년) 316

〈표 7-5〉 1단계 Study Korea Project 기간 중 외국인 유학생 변화 추이 318

〈표 7-6〉 정부 초청 외국인 장학생(2003~12년) 319

〈표 7-7〉 참여정부 고등교육의 국제화 전략 분석 323

〈표 7-8〉 우리나라 해외유학생 수 변화 추이(2006~11년) 325

〈표 7-9〉 우리나라 유학 및 연수 수지(2006~11년) 325

〈표 7-10〉 2단계 Study Korea Project 기간 중 외국인 유학생 변화 추이 327

〈표 7-11〉 경제자유구역 외국 대학 국내 개교 및 개교 준비 현황 331

〈표 7-12〉 이명박 정부 고등교육 국제화 추진전략 분석 337

〈표 8-1〉 2013년 심층평가의 분석틀과 분석내용 369

〈표 8-2〉 2012학년도 국가장학금 신청 및 성적 통과 373

〈표 8-3〉 대학별 소득분위 분포 376

〈표 8-4〉 소득분위별 국가장학금 연간 최대 지원금액 381

〈표 8-5〉 대학 특성 변수들 383

〈표 8-6〉 학교 단위 대출자 비중과 국가장학금 수혜자 비중 회귀식(2012년) 385

〈표 8-7〉 장학금과 학자금 대출의 성적효과: 패널 분석과 소득분위 고려 390

〈표 8-8〉 대학별 장학금과 대출의 성적효과 비교 392

〈표 9-1〉 지역대학의 역할 정립과 미래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410

〈표 9-2〉 연구수행 주체별 사용 연구개발비 추이 412

〈표 9-3〉 주요국 주체별 연구개발비 사용 비중 414

〈표 9-4〉 지역혁신 선도사업의 지원분야와 사업내용 430

〈표 9-5〉 권역별 지원대학과 대학의 유형 430

〈표 9-6〉 대학의 역할모델 435

〈표 10-1〉 기술통계량 460

〈표 10-2〉 대학 연구비 규모가 논문의 양과 질에 미치는 효과: 통합자료 OLS 회귀분석법 463

〈표 10-3〉 대학 연구비 규모가 논문의 양과 질에 미치는 효과: 고정효과 회귀분석법 464

〈표 10-4〉 대학 연구비 규모가 논문의 양과 질에 미치는 효과: 연구대학과 비연구대학 표본 466

〈표 10-5〉 대학 연구비 규모가 논문의 양과 질에 미치는 효과: 연구대학 집단 내 상/중/하위권 대학 구분 468

〈표 10-6〉 대학 연구비 규모가 특허와 기술료 수입에 미치는 효과: 고정효과 회귀분석법 470

〈표 10-7〉 대학 연구비 규모가 특허와 기술료 수입에 미치는 효과: 연구대학 집단 내 상/중/하위권 대학 구분 472

〈표 10-8〉 논문의 양과 질 사이의 관계 475

〈표 10-9〉 논문의 양과 질 사이의 관계: 연구대학 집단 내 상/중/하위권 대학 구분 476

〈표 10-10〉 BK21 선정과 지원금의 효과 479

〈표 10-11〉 BK21 선정과 지원금의 효과: 연구대학 집단 내 상/중/하위권 대학 구분 480

〈표 10-12〉 WCU 선정과 지원금의 효과 482

〈표 10-13〉 WCU 선정과 지원금의 효과: 연구대학 집단 내 상/중/하위권 대학 구분 483

〈표 12-1〉 대학 유형별 대학생 창업의향 526

〈표 12-2〉 자영업자의 규모 및 비중 추이 535

〈표 12-3〉 연령별 창업자의 규모 및 비중 추이 536

〈표 12-4〉 청년층(15~39세) 창업자의 성별 규모 및 비중 추이 537

〈표 12-5〉 학력별 청년층(15~39세) 창업자 규모 및 비중 추이 539

〈표 12-6〉 성별ㆍ학력별 청년층(15~39세) 창업자 비중 추이(전 산업) 540

〈표 12-7〉 성별ㆍ학력별 청년층(15~39세) 창업자 비중 추이(주요 산업) 541

〈표 12-8〉 청년창업 요약통계 542

〈표 12-9〉 청년층(15~39세) 창업률 로짓모형 추정 결과 545

〈표 12-10〉 표본규모 및 분석대상 547

〈표 12-11〉 창업 여부별 요약통계 549

〈표 12-12〉 창업률 로짓모형 추정 결과 552

〈표 12-13〉 임금근로자와 창업자 560

〈표 12-14〉 직장만족도 현황 560

〈표 12-15〉 항목별 직장만족도 현황 561

〈표 12-16〉 종사상 지위별 빈도수 563

〈표 12-17〉 월평균소득 현황 564

〈표 12-18〉 요약통계 564

〈표 12-19〉 임금회귀식 추정 결과 568

〈표 12-20〉 미국 대학의 주요 창업 및 기업가정신 교육내용 572

〈표 12-21〉 스탠포드 대학의 기업가센터 575

〈표 12-22〉 비즈쿨 운영실적 581

〈표 12-23〉 대학 내 창업지원 현황 582

〈표 12-24〉 4년제 대졸자의 학생창업 현황 584

〈표 13-1〉 아버지와 아들(딸)의 경제력 탄력성에 대한 교육의 설명력 609

〈표 13-2〉 부의 월평균임금과 아들의 월평균임금 간의 이행행렬 611

〈표 13-3〉 세대 간 이행행렬의 국제비교 613

〈표 13-4〉 고교 유형별 4년제 대학 입학생의 구성비 추이 629

〈표 14-1〉 학력별 하위 20% 대비 상위 20% 임금 배율 664

〈표 14-2〉 소득분산의 요인별 분해 666

〈표 14-3〉 2001~05년 소득의 이행행렬(5분위 기준) 668

〈표 14-4〉 2006~10년 소득의 이행행렬(5분위 기준) 669

〈표 14-5〉 학력별 소득이동성의 지표: mSM 670

〈표 14-6〉 학력별 소득이동성의 지표: mSR과 mFO 672

〈표 14-7〉 소득이동성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676

[그림 1-1] 한국, 미국, 일본, 중국의 평균교육연수(15~64세) 36

[그림 1-2] 한국, 미국, 일본, 중국의 평균교육연수(15~34세) 37

[그림 1-3] 한국, 미국, 일본, 핀란드, 홍콩의 학업성취도(PISA) 추이 38

[그림 1-4] OECD 국가들의 디지털 문해능력 비교 39

[그림 1-5]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독일, 프랑스, 영국의 연구자(인구 백만명당, 전임) 40

[그림 1-6]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규모(수행주체별) 41

[그림 1-7] 아시아 주요 국가들의 대학순위평가 점수 추이 46

[그림 1-8] 서울대학, 하버드 대학, 동경대학, 북경대학의 항목별 평가점수(2013년) 47

[그림 1-9] OECD 국가들의 연구논문과 피인용의 국가 비중 48

[그림 1-10] 한국 논문의 학문분야별 피인용 비중 및 상위 1% 논문 비중 49

[그림 1-11] 주요국 교원의 임금과 자기효용성 58

[그림 1-12] 주요국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교 행복도 60

[그림 1-13] GDP 대비 교육투자 규모 64

[그림 1-14] 학생당 교육비 투자 규모 65

[그림 1-15] 교육단계별 학생 취학률(enrollment rates) 66

[그림 1-16] 연도별 고교 졸업생의 진학 비중 67

[그림 1-17] 연도별 고교 졸업생의 취업 비중 69

[그림 1-18] 연도별 일반계고교 및 실업계고교 졸업자 규모 70

[그림 1-19] 신입생 성적에 따른 십분위 대학그룹별 재학생 증가율 추이(2000~12년) 71

[그림 1-20] 십분위 대학그룹별 신입생의 평균수능성적 변화 추이(1994~2003년) 73

[그림 1-21] 학원산업의 종사자 수와 업체 수의 변화 추이(1993~2012년) 74

[그림 1-22] 임금의 상승과 불평등 및 대졸 프리미엄의 변화 77

[그림 1-23] 고졸 대비 4년제 대졸자 및 전문대졸자 임금분위별 프리미엄 79

[그림 1-24] 학력 그룹별 및 경제 전체 임금소득 지니계수 80

[그림 1-25] 고졸보다 낮은 임금의 4년제 대졸자 및 2년제 대졸자 비중 변화 82

[그림 3-1] 성별에 따른 학교폭력 피해경험 비율 추이 151

[그림 3-2] 성별에 따른 유형별 중복피해경험 비율 추이 152

[그림 3-3]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2학년 학생의 유형별 학교폭력 피해 비율 153

[그림 3-4] 성별에 따른 유형별 학교폭력 경험과 수학성취도의 관계 155

[그림 3-5] 성별과 학년에 따른 유형별 학교폭력 피해 비율 158

[그림 3-6] 성별과 학년에 따른 유형별 학교폭력 가해 비율 159

[그림 3-7] 학교폭력 유형별 중복피해경험 비율 160

[그림 3-8]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따른 그룹별 성취도 변화 163

[그림 3-9] 학교폭력 유형별 피해경험이 남녀 학생의 영어와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165

[그림 3-10]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따른 그룹별 탄력성 변화 168

[그림 3-11] 학교폭력 경험 유형에 따른 그룹별 자아개념 및 교우관계 변화 169

[그림 3-12]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비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영향 171

[그림 4-1] 수행평가 도구의 예: 4학년 과학과 197

[그림 4-2] 수행평가 도구의 예: 중학교 영어과 198

[그림 4-3] 수행평가 도구의 예: 3학년 국어과 199

[그림 4-4] 채점기준: 집계(계산) 201

[그림 4-5] 교육청에서 제공한 수행평가 도구 및 채점기준 203

[그림 5-1] 학교 진로교육의 주요 구성요소 234

[그림 5-2] 학년별 '진로와 직업' 교과 평균배당시수 236

[그림 5-3] 진로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지도 236

[그림 5-4] 커리어넷 활용경험 237

[그림 5-5] 진로교육 직업인사 풀 확보 238

[그림 5-6] 교원ㆍ학부모 진로교육 연수 및 컨설팅 239

[그림 5-7] 진로교육 예산항목 책정 여부 240

[그림 5-8] 구성요소별 비교 242

[그림 5-9] 커리어넷 진로성숙도검사 영역 243

[그림 5-10] 학생 전체의 진로성숙도 변화 246

[그림 5-11] 학년과 학업성취도에 따른 진로성숙도 251

[그림 5-12] 취업 여부별 진로성숙도 258

[그림 5-13] 평균임금 수준별 진로성숙도 258

[그림 6-1] 대학입학자원과 대학입학정원 271

[그림 6-2] 수능응시인원, 고졸자 수, 대학입학정원(1994~2014년) 272

[그림 6-3] 이명박 정부의 대학구조개혁 평가체제 280

[그림 6-4] 정부의 5등급 대학구조평가 284

[그림 6-5] 한국으로의 대학교육단계 유학생 유입규모 285

[그림 6-6] 한국에서 해외로의 대학교육단계 유학생 추이 286

[그림 7-1] 고등교육 국제화 정책 논의의 네 가지 경우 307

[그림 7-2] 고등교육 국제화의 두 영역 310

[그림 8-1] 소득 대비 등록금 비율의 변화 추이(사립대학 인문계열 기준) 361

[그림 8-2] 소득분위별 소득 대비 등록금 비율의 변화 추이 362

[그림 8-3] 고졸자 중 진학희망자의 비율(1990~2013년) 364

[그림 8-4] 대학 재적학생 수의 변화 추이 364

[그림 8-5] A대학의 소득분위별 고등교육비 구성 378

[그림 8-6] B대학의 소득분위별 고등교육비 구성 380

[그림 9-1] 국가기술혁신시스템의 구성요소 406

[그림 9-2] 혁신클러스터의 기본개념 407

[그림 9-3] 지역혁신체제에서 대학의 역할 409

[그림 9-4] 연구수행 주체별 국가연구개발투자 추이(2002~06년) 413

[그림 11-1] 각 해 특허당 평균 개발자 수 507

[그림 11-2] 미국의 각 해 특허당 평균 개발자 수 507

[그림 11-3] 각 해 특허 출원 수 508

[그림 11-4] 전체 특허에서 1인 개발자 특허의 비율 509

[그림 11-5] 개발자 수에 따른 특허 분포 509

[그림 11-6] 출원인 종류에 따른 특허 팀 규모 511

[그림 11-7] 연구 팀이 1년 이내에 다시 특허를 출원할 확률 512

[그림 11-8] 연구 팀이 2개월에서 1년 이내에 다시 특허를 출원할 확률 513

[그림 11-9] 특허당 개발자 팀의 평균연령 514

[그림 11-10] 특허당 개발자 팀의 평균연령: 팀 규모별 변화 515

[그림 11-11] 특허 개발자의 연령 분포: 팀 규모별 516

[그림 12-1]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의 전공별 취업자 중 창업자 비율 550

[그림 12-2] 청년층 창업의 산업별 구성(2012년 기준) 555

[그림 12-3] 장년층 창업의 산업별 구성(2012년 기준) 555

[그림 12-4] 청년층 남자 창업의 산업별 구성(2012년 기준) 557

[그림 12-5] 청년층 여자 창업의 산업별 구성(2012년 기준) 557

[그림 12-6] 청년층 4년제 대졸 창업의 산업별 구성(2012년 기준) 558

[그림 12-7] 청년층 대학원졸 창업의 산업별 구성(2012년 기준) 558

[그림 13-1] 자녀세대 사회경제적 지위의 상향이동에 대한 기대의 변화 599

[그림 13-2] 자녀세대 사회경제적 지위의 상향이동에 대한 연령별 추이 600

[그림 13-3] 성공요인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601

[그림 13-4] 성공의 핵심 요인(가장 중요한 요인은 운이나 연줄이 아니라 열심히 일하는 것이다)에 대한 연령대별 견해 603

[그림 13-5] 시장경제(빈부 격차를 확대하지만 전반적으로는 모두 더 잘살 수 있게 할 수 있다)에 대한 연령대별 견해 604

[그림 13-6] '위대한 개츠비 곡선' 612

[그림 13-7] 세대별 평균교육연수 614

[그림 13-8] 남성 교육수준의 세대 간 상관관계 615

[그림 13-9] 여성 교육수준의 세대 간 상관관계 616

[그림 13-10] 남녀 교육수준의 세대 간 상관관계 617

[그림 13-11] 세대별 평균 사회경제적 지위 619

[그림 13-12] 사회경제적 지위의 세대 간 상관관계 619

[그림 13-13] 연령집단별 사회경제적 지위의 세대 간 상관관계 620

[그림 13-14] 남성의 연령집단별 사회경제적 지위의 세대 간 상관관계 621

[그림 13-15] 각 세대의 계층 이동 사다리로서 교육의 역할에 대한 평가 622

[그림 13-16] 각 세대에서 교육의 계층 이동 사다리 역할에 대한 연령대별 견해 623

[그림 13-17] 사회경제적 지위 분위에 따른 대학 진학률 625

[그림 13-18] 지역별 서울대 입학률 추이(100=전국 평균) 627

[그림 13-19] 서울지역 출신 서울대 입학생의 고교 유형 및 자치구별 구성비 628

[그림 13-20] 서울지역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가정 배경 630

[그림 13-21] 한국에서의 소득불평등(1990~2013년) 632

[그림 13-22] 성적에 대한 사회경제적 배경의 영향력 추이(한국 vs. 미국) 633

[그림 13-23] 가계 교육비 비중의 변화와 계층 간 사교육비 불평등도 추이 633

[그림 13-24] 8~12개월 영아의 인지능력 인자 636

[그림 13-25] 22개월~10세 아동의 초기인지발달 불균등 636

[그림 13-26] 대학 입학 유형별 서울대 학생들의 학점 변화 638

[그림 13-27] 교육수준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크의 차이 640

[그림 13-28] 고교 유형별 졸업생 진로 642

[그림 13-29] 한국의 청년층에서 니트(NEET)의 비율 643

[그림 13-30] 교육수준에 따른 30~34세 남성의 고용률 추세 644

[그림 14-1] 미국과 독일의 소득불평등도와 소득이동성의 추이(1984~2006년) 659

[그림 14-2] 소득불평등도와 소득이동성: 거리효과와 층간효과 660

[그림 14-3] 소득불평등도(지니계수)의 추이 661

[그림 14-4] 전체 소득 대비 상위 20% 이상과 하위 20% 이하 가구의 소득 비중 662

[그림 14-5] 임금불평등도: 전체 및 학력계층 간 분해 결과 663

〈부표 2-1〉 서울교육종단연구의 학습방법에 관한 설문문항 132

〈부표 2-2〉 서울교육종단연구의 학습노력에 관한 설문문항 132

〈부표 2-3〉 서울교육종단연구의 학습할 때의 마음가짐에 관한 설문문항 133

〈부표 2-4〉 서울교육종단연구의 국어 수업 태도에 관한 설문문항 133

〈부표 2-5〉 서울교육종단연구의 수학 수업 태도에 관한 설문문항 134

〈부표 2-6〉 서울교육종단연구의 영어 수업 태도에 관한 설문문항 134

〈부표 2-7〉 서울교육종단연구의 창의성에 관한 설문문항 135

〈부표 2-8〉 서울교육종단연구의 자존감에 관한 설문문항 135

〈부표 2-9〉 서울교육종단연구의 목표의식에 관한 설문문항 136

〈부표 2-10〉 서울교육종단연구의 교우관계에 관한 설문문항 13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86435 331.11 -15-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86436 331.11 -15-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함께보면 좋은 자료 Close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