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지진시 사면붕괴 등 지반피해 예측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prediction method for ground failure including earthquake induced slope failures / 국민안전처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민안전처, 2015
청구기호
363.3495 -15-30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iv, ii, 415 p. : 삽화, 서식, 지도, 표 ; 27 cm
총서사항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단
자연피해예측및저감연구개발사업
MPSS-자연 ; 2012-66
제어번호
MONO1201549944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관연구책임자: 박인준
부록: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서 ; 기술 요약서
참고문헌: p. 402-406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용어정리 38

제1장 액상화 대응 시스템 개발 40

1.1. 액상화 현상 40

1.2. 액상화 피해 41

1.3. 액상화 평가 방법 42

1.4. 국내 적합한 액상화 평가 방법 45

1.4.1. 국내 설계지진규모 45

1.4.2. 국내 액상화 평가기법 45

1.5. 액상화 평가 프로그램 47

1.6. 액상화 평가 프로그램 현장적용 58

1.6.1. 지반 물성입력 58

1.6.2. 지반응답해석 입력자료 58

1.6.3. 지반응답해석 조건 60

1.7. 지반응답해석 및 액상화 평가 결과 64

1.8. 국내 액상화 위험도 작성기법 87

1.9. 액상화 평가방법 비교 및 지반계수 적용성 검토 89

1.10. 광역지역 액상화 위험도 작성 기법 94

1.10.1. 지반 DB로부터 정보추출 및 지반분류 95

1.10.2. 액상화 예비평가 97

1.10.3. 액상화 간편예측법과 LPI결정 101

1.11. 광역지역 액상화 위험도 작성을 위한 지반분류 및 LPI지수산정 Simulation 104

1.12. 서울·경기·인천지역 시나리오별 액상화 위험도 작성 112

1.12.1. 추출 된 LPI 현황분석 및 범례 설정 112

1.12.2. 서울·경기·인천지역 액상화 위험도 작성 113

1.12.3. Kriging기법을 활용한 지반정보 불충분 지역의 보간 120

1.13. 전국단위 시나리오별 액상화 위험도 작성 127

1.13.1. 지반정보 추출 및 LPI 산출을 통한 전국단위 액상화 위험도 작성 127

1.13.2. 보간법을 활용한 시나리오별 전국단위 액상화 위험도 작성 134

1.14. 실시간 액상화 위험도 작성을 위한 경향성 분석 143

1.14.1. 진도분포에 따른 위치별 LPI 관계식 산정 143

1.14.2. 위치별 관계식 제안 150

1.14.3. 서울·경기·인천지역 액상화 Excel프로그램 LPI와 관계식 LPI 액상화 위험도 비교 및 관계식 검증 155

1.15. 지진재해대응시스템 모의평가(실시간 액상화 위험도 작성) 165

1.16. 국내 액상화 위험도 작성기법에 대한 소결론 176

제2장 지진시 산사태 대응 시스템 개발 177

2.1. 개요 177

2.2. 기하학적 증폭계수 및 영구변위 산정 방법 177

2.3. 전국 주요도시 최대지반가속도 산정 181

2.3.1. 지반정수 선정 182

2.3.2. 입력지진파 선정 183

2.3.3. HD-Track의 증폭계수 187

2.3.4. MD-Track의 증폭계수 200

2.3.5. 증폭계수 경향성 분석 203

2.3.6. 증폭계수에 대한 추정식 제안 206

2.4. 지진시 산사태 위험도 209

2.4.1. 지진시 산사태 위험도 작성 필요성 209

2.4.2. 기본이론 211

2.4.3. GIS 기반 위험도 작성 기법 216

2.5. GIS 기반 지진시 산사태 위험도 작성 결과 220

2.5.1. 산사태 위험도 작성 대상지역 221

2.5.2. 전국 주요도시지역 동적변위 위험도 결과 229

2.6. 지진시 산사태 예측 프로그램 개발 355

2.6.1. 프로그램 개발 개요 355

2.6.2. 기존 관련 프로그램 문헌연구 357

2.6.3. 지진시 산사태 재해도 평가 프로그램 알고리즘 359

2.6.4. 지진시 산사태 예측 프로그램 DB 설계안 363

2.6.5. 지진시 산사태 재해도 평가 시스템 시안 367

2.6.6. 개발 시스템의 현장적용성 평가 371

제3장 통합 지진재해대응 시스템 구축 376

3.1. 서론 376

3.2. 전차년도 연구 성과요약 378

3.2.1. 자료 수집 및 주제도별 GIS map 작성 378

3.2.2. 주제도 통합 380

3.3. 지진재해대응시스템 구축 현황 382

3.3.1. 개요 382

3.3.2. 진도분포도 산출 모델 383

3.4. 지반 액상화 위험도 작성 기법 389

3.4.1. 지반 액상화 위험도 보간기법 적용 390

3.4.2. 전국 단위 시추자료 현황 분석 405

3.4.3. 지반 액상화 위험도 보간법 적용 414

3.5. 산사태 위험도 작성 기법 426

3.6. 통합지진재해대응시스템 구축 429

3.6.1. 지진재해대응시스템 현황 429

3.6.2. 지반 액상화 및 산사태 위험도 적용 431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방향 439

참고문헌 441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서 446

〈표 1.1〉 국내 및 일본의 연평균 지진발생빈도 45

〈표 1.2〉 서울특별시 지반 조사자료에 대한 개요 61

〈표 1.3〉 지반응답해석조건 62

〈표 1.4〉 입력지진 62

〈표 1.5〉 지반응답해석 및 액상화 가능성 판정 지표결과 65

〈표 1.6〉 지반응답해석결과 및 액상화 가능성 판정 지표결과 66

〈표 1.7〉 지반응답해석결과 및 액상화 가능성 판정 지표결과 67

〈표 1.8〉 지반응답해석결과 및 액상화 가능성 판정 지표결과 68

〈표 1.9〉 지반응답해석결과 및 액상화 가능성 판정 지표결과 69

〈표 1.10〉 지반응답해석결과 및 액상화 가능성 판정 지표결과 70

〈표 1.11〉 지반응답해석결과 및 액상화 가능성 판정 지표결과 71

〈표 1.12〉 지반응답해석결과 및 액상화 가능성 판정 지표결과 72

〈표 1.13〉 액상화 평가방법별 특징 89

〈표 1.14〉 수집된 서울시 지반정도 90

〈표 1.15〉 지반조사DB 및 Vs를 이용한 지반분류[이미지참조] 95

〈표 1.16〉 지반의 분류 96

〈표 1.17〉 예비평가 97

〈표 1.18〉 액상화 평가생략기준 97

〈표 1.19〉 액상화 위험도 작성시 예비 평가기준 98

〈표 1.20〉 표준관입시험의 N치에 대한 보정계수 100

〈표 1.21〉 최대전단응력비 산정 101

〈표 1.22〉 액상화 전단저항비 및 액상화 평가안전율과 LPI(z) 산정 102

〈표 1.23〉 세립질 함유량을 고려한 보정계수 102

〈표 1.24〉 범례별 조사 Hole 개수 112

〈표 1.25〉 각 보간기법의 특징비교 120

〈표 1.26〉 2차함수 관계식 145

〈표 1.27〉 상관관계 분석 및 순위 149

〈표 1.28〉 상관관계 분석 및 순위 150

〈표 1.29〉 Hyperbolic & Logarithm 상관관계 분석 및 순위 151

〈표 2.1〉 N-φ 관계식 182

〈표 2.2〉 N-Vs 관계식 182

〈표 2.3〉 입력지진파에 대한 정보 186

〈표 2.4〉 특정 지진파에 대한 수치해석 메트릭스 188

〈표 2.5〉 CASE별 선정된 항복가속도 189

〈표 2.6〉 Ofunato 지진파에 대해 산정된 증폭계수 190

〈표 2.7〉 Whittier narrow-Mt. Wilson 지진파에 대해 산정된 증폭계수 191

〈표 2.8〉 Loma Prieta-Gilroy Array 지진파에 대해 산정된 증폭계수 192

〈표 2.9〉 Northridge-Pacoima Dam 지진파에 대해 산정된 증폭계수 193

〈표 2.10〉 Hollister-Gilroy Array 지진파에 대해 산정된 증폭계수 194

〈표 2.11〉 Northridge-Lake Hughes 지진파에 대해 산정된 증폭계수 195

〈표 2.12〉 Northridge-Burbank Howard Rd. 지진파에 대해... 196

〈표 2.13〉 Northridge-Vasquez Rocks Park 지진파에 대해... 197

〈표 2.14〉 Whittier Narrows-Pasadena 지진파에 대해 산정된 증폭계수 198

〈표 2.15〉 Loma Prieta-So. San Francisco 지진파에 대해... 199

〈표 2.16〉 MD-Track에 대한 메트릭스 201

〈표 2.17〉 다양한 입력지진파를 고려한 MD-Track에 대한 증폭계수 Matrix 202

〈표 2.18〉 지진에 의한 사면의 피해 사례 212

〈표 2.19〉 제안자별 입력변수 214

〈표 2.20〉 전국 주요도시 지역산사태 위험도 작성 대상지역 위치 223

〈표 2.21〉 서울, 경기 지역 산사태 위험도 작성을 위해 사용한 수치지도... 225

〈표 2.22〉 대전, 충남, 충북, 전북, 전남, 광주 지역 산사태 위험도 작성을... 226

〈표 2.23〉 대구, 부산, 울산, 경북, 경남, 제주 지역 산사태 위험도 작성을... 227

〈표 2.24〉 지진시 산사태 위험도 작성을 위한 대상지역의 추정 내부마찰각 228

〈표 2.25〉 증폭계수와 사면경사각의 관계 229

〈표 2.26〉 LISA에서 활용된 미국 유타주의 경사도-토층두께 상관관계 230

〈표 2.27〉 연구 추진상황 356

〈표 2.28〉 산사태 타입별 피해 정도와 영향인자 358

〈표 2.29〉 프로그램 개발 환경 361

〈표 2.30〉 프로그램 Geodatabase 구조 364

〈표 2.31〉 수치지도 정보(T_Digital_map)의 세부 항목 365

〈표 2.32〉 지진산사태 위험 예측 정보(T_Landslid_Risk)의 세부 항목 366

〈표 3.1〉 지형분류 386

〈표 3.2〉 LPI 지수별 위험도 수준 398

〈표 3.3〉 최대지반가속도 매칭 결과 434

〈표 3.4〉 최대지반가속도와 LPI 지수 관계식 적용 결과 434

〈그림 1.1〉 액상화 발생과정에 따른 사질토 입자배열변화 모식도 40

〈그림 1.2〉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의 액상화 피해 41

〈그림 1.3〉 도로 및 보도 등의 액상화 피해 42

〈그림 1.4〉 건물의 액상화 피해 42

〈그림 1.5〉 액상화 간편예측법 44

〈그림 1.6〉 국내 액상화 평가 흐름도 46

〈그림 1.7〉 액상화 간편예측법 흐름도 46

〈그림 1.8〉 액상화 상세예측법 흐름도 47

〈그림 1.9〉 HS_LIQ MAIN 화면 48

〈그림 1.10〉 입력초기화면 49

〈그림 1.11〉 입력 초기화면 - 지반 층수 입력 49

〈그림 1.12〉 Input Motion 화면 50

〈그림 1.13〉 Input Motion Time History 50

〈그렴 1.14〉 Dynamic Soil Properties 입력 화면 51

〈그림 1.15〉 입력화면 - 완료상태 52

〈그림 1.16〉 지반응답해석 후 화면 53

〈그림 1.17〉 지반응답해석 결과 - Amax, Tmax 54

〈그림 1.18〉 액상화 간편예측법 main 화면 55

〈그림 1.19〉 SPT-N값, 세립분 함유량 입력화면 55

〈그림 1.20〉 액상화 평가결과 - 수정 Seed & Idriss 방법(Table) 56

〈그림 1.21〉 액상화 평가결과 - 수정 Seed & Idriss 방법(graph) 57

〈그렴 1.22〉 액상화 평가결과 - 수정 Seed & Idriss 방법(graph) 57

〈그림 1.23〉 서울특별시 지반조사 지점 구역 60

〈그림 1.24〉 장주기파 지진기록 63

〈그림 1.25〉 단주기파 지진기록 63

〈그림 1.26〉 강남구 액상화 평가 결과(장주기파) 73

〈그림 1.27〉 강동구 액상화 평가 결과(장주기파) 73

〈그림 1.28〉 강북구 액상화 평가 결과(장주기파) 73

〈그림 1.29〉 강서구 액상화 평가 결과(장주기파) 74

〈그림 1.30〉 관악구 액상화 평가 결과(장주기파) 74

〈그림 1.31〉 광진구 액상화 평가 결과(장주기파) 74

〈그림 1.32〉 구로구 액상화 평가 결과(장주기파) 75

〈그림 1.33〉 금천구 액상화 평가 결과(장주기파) 75

〈그림 1.34〉 노원구 액상화 평가 결과(장주기파) 75

〈그림 1.35〉 도봉구 액상화 평가 결과(장주기파) 76

〈그림 1.36〉 동대문구 액상화 평가 결과(장주기파) 76

〈그림 1.37〉 동작구 액상화 평가 결과(장주기파) 76

〈그림 1.38〉 마포구 액상화 평가 결과(장주기파) 77

〈그림 1.39〉 서초구 액상화 평가 결과(장주기파) 77

〈그림 1.40〉 성동구 액상화 평가 결과(장주기파) 77

〈그림 1.41〉 송파구 액상화 평가 결과(장주기파) 78

〈그림 1.42〉 양천구 액상화 평가 결과(장주기파) 78

〈그럼 1.43〉 영등포구 액상화 평가 결과(장주기파) 78

〈그림 1.44〉 종로구 액상화 평가 결과(장주기파) 79

〈그림 1.45〉 중랑구 액상화 평가 결과(장주기파) 79

〈그림 1.46〉 강남구 액상화 평가 결과(단주기파) 80

〈그림 1.47〉 강동구 액상화 평가 결과(단주기파) 80

〈그림 1.48〉 강북구 액상화 평가 결과(단주기파) 80

〈그림 1.49〉 강서구 액상화 평가 결과(단주기파) 81

〈그림 1.50〉 관악구 액상화 평가 결과(단주기파) 81

〈그림 1.51〉 광진구 액상화 평가 결과(단주기파) 81

〈그림 1.52〉 구로구 액상화 평가 결과(단주기파) 82

〈그림 1.53〉 금천구 액상화 평가 결과(단주기파) 82

〈그림 1.54〉 노원구 액상화 평가 결과(단주기파) 82

〈그림 1.55〉 도봉구 액상화 평가 결과(단주기파) 83

〈그림 1.56〉 동대문구 액상화 평가 결과(단주기파) 83

〈그럼 1.57〉 동작구 액상화 평가 결과(단주기파) 83

〈그림 1.58〉 마포구 액상화 평가 결과(단주기파) 84

〈그림 1.59〉 서초구 액상화 평가 결과(단주기파) 84

〈그림 1.60〉 성동구 액상화 평가 결과(단주기파) 84

〈그림 1.61〉 송파구 액상화 평가 결과(단주기파) 85

〈그림 1.62〉 양천구 액상화 평가 결과(단주기파) 85

〈그림 1.63〉 영등포구 액상화 평가 결과(단주기파) 85

〈그럼 1.64〉 종로구 액상화 평가 결과(단주기파) 86

〈그림 1.65〉 중랑구 액상화 평가 결과(단주기파) 86

〈그림 1.66〉 각 지진별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서울특별시) 86

〈그림 1.67〉 연구의 목표 87

〈그림 1.68〉 연구의 흐름도 88

〈그림 1.69〉 서울시 지반정보 획득 위치 90

〈그림 1.70〉 서울 SD지반에 대한 지반응답해석결과 91

〈그림 1.71〉 서울 SD지반에 대한 지반응답해석결과 91

〈그림 1.72〉 서울 SD지반에 대한 확률분석결과 92

〈그림 1.73〉 서울 SD지반에 대한 확률분석결과 92

〈그림 1.74〉 서울 SE지반에 대한 확률분석결과 93

〈그림 1.75〉 서울 SE지반에 대한 확률분석결과 93

〈그림 1.76〉 국내 액상화위험도 작성을 위한 지표(LPI)산정 알고리즘(Macro) 94

〈그림 1.77〉 액상화 간편예측법 흐름도 101

〈그림 1.78〉 액상화 관련 지반정보 DB 예시 104

〈그림 1.79〉 SPT-N value DB 예시 104

〈그림 1.80〉 통합정보 추출 예시DB 104

〈그림 1.81〉 통합정보 입력 예시 105

〈그림 1.82〉 1단계 지반분류 예시 105

〈그림 1.83〉 결과값 Sheet 입력창 예시(시추공 No : B308288078) 106

〈그림 1.84〉 최대전단응력비산출 예시(시추공 No : B308288078) 107

〈그림 1.85〉 액상화전단저항비산출 예시(시추공 No : B308288078) 107

〈그림 1.86〉 LPI 추출 예시(시추공 No : B308288078) 108

〈그림 1.87〉 LPI지수 추출 매크로 예시(1) 108

〈그림 1.88〉 LPI지수 추출 매크로 예시(2) 109

〈그림 1.89〉 매크로 시작 버튼 예시 109

〈그림 1.90〉 LPI값 Sheet 예시 110

〈그림 1.91〉 지반 가속별 LPI지수 추출 샘플 111

〈그림 1.92〉 경기지역 시추정보 113

〈그림 1.93〉 GIS에 따른 서울인천경기 지역 격자그리드 샘플1 113

〈그림 1.94〉 GIS에 따른 서울인천경기 지역 격자그리드 샘플2 114

〈그림 1.95〉 보유 시추공 데이터 현황 114

〈그림 1.96〉 서울, 경기지역 액상화 위험도(0.06g) 115

〈그림 1.97〉 서울, 경기지역 액상화 위험도(0.10g) 116

〈그림 1.98〉 서울, 경기지역 액상화 위험도(0.14g) 116

〈그림 1.99〉 서울, 경기지역 액상화 위험도(0.18g) 117

〈그럼 1.100〉 서울, 경기지역 액상화 위험도(0.22g) 117

〈그림 1.101〉 서울, 경기지역 액상화 위험도(0.26g) 118

〈그림 1.102〉 서울, 경기지역 액상화 위험도(0.30g) 118

〈그림 1.103〉 서울, 경기지역 액상화 위험도(0.34g) 119

〈그림 1.104〉 서울, 경기지역 액상화 위험도(0.38g) 119

〈그림 1.105〉 IDW 121

〈그림 1.106〉 Kriging 121

〈그림 1.107〉 Spline 121

〈그림 1.108〉 Natural Neighbor 121

〈그림 1.109〉 Kriging을 이용한 서울·경기·인천지역 액상화 위험도(0.06g) 122

〈그림 1.110〉 Kriging을 이용한 서울·경기·인천지역 액상화 위험도(0.10g) 122

〈그림 1.111〉 Kriging을 이용한 서울·경기·인천지역 액상화 위험도(0.14g) 123

〈그림 1.112〉 Kriging을 이용한 서울·경기·인천지역 액상화 위험도(0.18g) 123

〈그림 1.113〉 Kriging을 이용한 서울·경기·인천지역 액상화 위험도(0.22g) 124

〈그림 1.114〉 Kriging을 이용한 서울·경기·인천지역 액상화 위험도(0.26g) 124

〈그림 1.115〉 Kriging을 이용한 서울·경기·인천지역 액상화 위험도(0.30g) 125

〈그림 1.116〉 Kriging을 이용한 서울·경기·인천지역 액상화 위험도(0.34g) 125

〈그림 1.117〉 Kriging을 이용한 서울·경기·인천지역 액상화 위험도(0.38g) 126

〈그림 1.118〉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의 전국단위 시추공 현황 127

〈그림 1.119〉 전국단위 시추공 Data(SPT-N값) 127

〈그림 1.120〉 전국단위 시추공 Data(좌표 및 시추정보) 128

〈그림 1.121〉 추출 한 전국단위 시추공 Data 128

〈그림 1.122〉 전국 지역 액상화 위험도(0.06g) 129

〈그림 1.123〉 전국 지역 액상화 위험도(0.10g) 130

〈그림 1.124〉 전국 지역 액상화 위험도(0.14g) 130

〈그림 1.125〉 전국 지역 액상화 위험도(0.18g) 131

〈그림 1.126〉 전국 지역 액상화 위험도(0.22g) 131

〈그림 1.127〉 전국 지역 액상화 위험도(0.26g) 132

〈그림 1.128〉 전국 지역 액상화 위험도(0.30g) 132

〈그림 1.129〉 전국 지역 액상화 위험도(0.34g) 133

〈그림 1.130〉 전국 지역 액상화 위험도(0.38g) 133

〈그렴 1.131〉 보간 된 전국단위 지반 액상화 위험도(0.06g) 134

〈그림 1.132〉 보간 된 전국단위 지반 액상화 위험도(0.10g) 135

〈그럼 1.133〉 보간 된 전국단위 지반 액상화 위험도(0.14g) 136

〈그림 1.134〉 보간 된 전국단위 지반 액상화 위험도(0.18g) 137

〈그림 1.135〉 보간 된 전국단위 지반 액상화 위험도(0.22g) 138

〈그림 1.136〉 보간 된 전국단위 지반 액상화 위험도(0.26g) 139

〈그림 1.137〉 보간 된 전국단위 지반 액상화 위험도(0.30g) 140

〈그림 1.138〉 보간 된 전국단위 지반 액상화 위험도(0.34g) 141

〈그림 1.139〉 보간 된 전국단위 지반 액상화 위험도(0.38g) 142

〈그림 1.140〉 진앙지에 따른 최대지반가속도의 변화 143

〈그림 1.141〉 진앙지에 따른 진도분포 변화 143

〈그림 1.142〉 각 관계식 경향성 분석 145

〈그림 1.143〉 Hyperbolic Fitting(쌍곡선 함수식) 결정계수 146

〈그림 1.144〉 Linear Fitting(선형함수) 결정계수 146

〈그럼 1.145〉 Log Fitting(로그함수식) 결정계수 147

〈그림 1.146〉 Root Fitting(루트함수식) 결정계수 147

〈그럼 1.147〉 Log함수식 분산 그래프 148

〈그림 1.148〉 Hyperbolic함수식 분산 그래프 148

〈그림 1.149〉 Hyperbolic Function 결정계수 그래프 151

〈그림 1.150〉 Logarithm Function 결정계수 그래프 151

〈그림 1.151〉 Excel LPI와 Calculation LPI 비교 그래프(0.06g) 152

〈그림 1.152〉 Excel LPI와 Calculation LPI 비교 그래프(0.10g) 152

〈그림 1.153〉 Excel LPI와 Calculation LPI 비교 그래프(0.14g) 152

〈그림 1.154〉 Excel LPI와 Calculation LPI 비교 그래프(0.18g) 153

〈그림 1.155〉 Excel LPI와 Calculation LPI 비교 그래프(0.22g) 153

〈그림 1.156〉 Excel LPI와 Calculation LPI 비교 그래프(0.26g) 153

〈그림 1.157〉 Excel LPI와 Calculation LPI 비교 그래프(0.30g) 154

〈그림 1.158〉 Excel LPI와 Calculation LPI 비교 그래프(0.34g) 154

〈그림 1.159〉 Excel LPI와 Calculation LPI 비교 그래프(0.38g) 154

〈그림 1.160〉 최대지반 가속도 0.06g 156

〈그림 1.161〉 최대지반 가속도 0.10g 157

〈그림 1.162〉 최대지반 가속도 0.14g 158

〈그림 1.163〉 최대지반 가속도 0.18g 159

〈그림 1.164〉 최대지반 가속도 0.22g 160

〈그림 1.165〉 최대지반 가속도 0.26g 161

〈그림 1.166〉 최대지반 가속도 0.30g 162

〈그림 1.167〉 최대지반 가속도 0.34g 163

〈그림 1.168〉 최대지반 가속도 0.38g 164

〈그림 1.169〉 홍성지진 모의 평가(서울·경기·인천지역) 166

〈그림 1.170〉 오대산지진 모의 평가(서울·경기·인천지역) 167

〈그림 1.171〉 오대산지진 모의 평가(규모 6.0) 168

〈그림 1.172〉 오대산지진 모의 평가(규모 6.5) 169

〈그림 1.173〉 오대산지진 모의 평가(규모 7.0) 170

〈그림 1.174〉 오대산지진 모의 평가(규모 7.5) 171

〈그림 1.175〉 홍성지진 모의 평가(규모 6.0) 172

〈그림 1.176〉 홍성지진 모의 평가(규모 6.5) 173

〈그림 1.177〉 홍성지진 모의 평가(규모 7.0) 174

〈그림 1.178〉 홍성지진 모의 평가(규모 7.5) 175

〈그림 2.1〉 예상 활동파괴면 비교(a) 178

〈그림 2.2〉 예상 활동파괴면 비교(b) 178

〈그림 2.3〉 예상 활동면에 접하는 요소에서의 응력계산 모식도 179

〈그림 2.4〉 산사면의 기하학적 증폭계수 선정 알고리즘 181

〈그림 2.5〉 해석에 적용된 입력지진파의 가속도-시간이력곡선 및... 185

〈그림 2.6〉 해석에 적용된 지진파들의 평균 응답스펙트럼 및... 186

〈그림 2.7〉 HD-Track에 적용된 산사면 모델 단면 187

〈그림 2.8〉 서울 및 경기지역에 대한 경사도와 토층두께 관계 200

〈그럼 2.9〉 입력지진파의 평균 응답스펙트럼 및 설계응답스펙트럼 201

〈그림 2.10〉 사면 경사도 및 토층두께에 따른 증폭계수의 경향성 203

〈그림 2.11〉 토층 고유주기(TS)에 따른 증폭계수의 경향성 204

〈그림 2.12〉 입력지진파의 크기에 따른 증폭계수의 경향성 205

〈그림 2.13〉 토층 고유주기에 대한 증폭계수 및 증폭계수 추정식과의 비교 206

〈그림 2.14〉 지진파 종류에 따른 증폭계수 추정식의 정확도 208

〈그림 2.15〉 미국 Califonia 지진시 산사태 위험도 예 210

〈그림 2.16〉 Newmark 활동블록이론의 개념도 213

〈그림 2.17〉 항복가속도비와 영구변위 215

〈그림 2.18〉 무한사면의 정적안전율 216

〈그림 2.19〉 해석 대상 지역 수치지도 선택 예 218

〈그림 2.20〉 수치지도를 통한 shape파일 생성 예 218

〈그림 2.21〉 TIN 생성 예 219

〈그림 2.22〉 DEM 생성 예 219

〈그림 2.23〉 음영기복도 생성 예 219

〈그림 2.24〉 사면 경사 결과 예 219

〈그림 2.25〉 DEM 생성 예 220

〈그림 2.26〉 지진시 산사태 위험도 작성을 위한 전체 흐름도 221

〈그림 2.27〉 전국 주요도시 지역 산사태 위험도 작성 대상지역 위치 224

〈그림 2.28〉 서울·경기지역의 경사도-토층두께와의 상관관계와 미국... 230

〈그림 2.29〉 동적변위(관악산, 삼성산) 232

〈그림 2.30〉 동적변위(대모산) 233

〈그림 2.31〉 동적변위(청계산) 234

〈그림 2.32〉 동적변위(검단산, 용마산) 235

〈그림 2.33〉 동적변위(불암산) 236

〈그림 2.34〉 동적변위(북한산, 노고산, 인왕산) 237

〈그림 2.35〉 동적변위(수락산) 238

〈그림 2.36〉 동적변위(남산) 239

〈그림 2.37〉 동적변위(광교산) 240

〈그림 2.38〉 동적변위(우면산) 241

〈그림 2.39〉 동적변위(설봉산) 242

〈그림 2.40〉 동적변위(연인산, 용추산, 구나무산) 243

〈그림 2.41〉 동적변위(죽엽산) 244

〈그림 2.42〉 동적변위(천견산) 245

〈그림 2.43〉 동적변위(천마산) 246

〈그림 2.44〉 동적변위(유명산, 대부산, 판전산) 247

〈그림 2.45〉 동적변위(양자산) 248

〈그림 2.46〉 동적변위(바가프미산) 249

〈그림 2.47〉 동적변위(수리산) 250

〈그림 2.48〉 동적변위(보현산) 251

〈그림 2.49〉 동적변위(소래산) 252

〈그림 2.50〉 동적변위(계룡산) 253

〈그림 2.51〉 동적변위(금병산) 254

〈그림 2.52〉 동적변위(만인산) 255

〈그림 2.53〉 동적변위(장태산) 256

〈그림 2.54〉 동적변위(가래산) 257

〈그림 2.55〉 동적변위(도고산) 258

〈그림 2.56〉 동적변위(덕산) 259

〈그림 2.57〉 동적변위(칠갑산) 260

〈그림 2.58〉 동적변위(고덕산) 261

〈그림 2.59〉 동적변위(모악산) 262

〈그림 2.60〉 동적변위(백방산) 263

〈그림 2.61〉 동적변위(행군산) 264

〈그림 2.62〉 동적변위(무등산) 265

〈그림 2.63〉 동적변위(상월산) 266

〈그림 2.64〉 동적변위(대밭골산) 267

〈그림 2.65〉 동적변위(삼성산) 268

〈그림 2.66〉 동적변위(안산) 269

〈그림 2.67〉 동적변위(팔공산) 270

〈그림 2.68〉 동적변위(금련산) 271

〈그림 2.69〉 동적변위(금정산) 272

〈그림 2.70〉 동적변위(불모산) 273

〈그림 2.71〉 동적변위(신검산) 274

〈그림 2.72〉 동적변위(장산) 275

〈그림 2.73〉 동적변위(신불산) 276

〈그림 2.74〉 동적변위(천성산) 277

〈그림 2.75〉 동적변위(금오산) 278

〈그림 2.76〉 동적변위(다봉산) 279

〈그림 2.77〉 동적변위(배틀산) 280

〈그림 2.78〉 동적변위(청화산) 281

〈그림 2.79〉 동적변위(계룡산 거제도) 282

〈그림 2.80〉 동적변위(무학산) 283

〈그림 2.81〉 동적변위(연화산) 284

〈그림 2.82〉 동적변위(토함산) 285

〈그림 2.83〉 동적변위(한라산) 286

〈그림 2.84〉 동적안전율(관악산, 삼성산) 288

〈그림 2.85〉 동적안전율(대모산) 289

〈그림 2.86〉 동적안전율(청계산) 290

〈그림 2.87〉 동적안전율(검단산, 용마산) 291

〈그림 2.88〉 동적안전율(불암산) 292

〈그림 2.89〉 동적안전율(북한산, 노고산, 인왕산) 293

〈그림 2.90〉 동적안전율(수락산) 294

〈그림 2.91〉 동적안전율(남산) 295

〈그림 2.92〉 동적안전율(광교산) 296

〈그림 2.93〉 동적안전율(우면산) 297

〈그림 2.94〉 동적안전율(설봉산) 298

〈그림 2.95〉 동적안전율(연인산, 용추산, 구나무산) 299

〈그림 2.96〉 동적안전율(죽엽산) 300

〈그림 2.97〉 동적안전율(천견산) 301

〈그림 2.98〉 동적안전율(천마산) 302

〈그림 2.99〉 동적안전율(유명산, 대부산, 판전산) 303

〈그림 2.100〉 동적안전율(양자산) 304

〈그림 2.101〉 동적안전율(바가프미산) 305

〈그림 2.102〉 동적안전율(수리산) 306

〈그림 2.103〉 동적안전율(보현산) 307

〈그림 2.104〉 동적안전율(소래산) 308

〈그림 2.105〉 동적안전율(계룡산) 309

〈그림 2.106〉 동적안전율(금병산) 310

〈그림 2.107〉 동적안전율(만인산) 311

〈그림 2.108〉 동적안전율(장태산) 312

〈그림 2.109〉 동적안전율(가래산) 313

〈그림 2.110〉 동적안전율(도고산) 314

〈그림 2.111〉 동적안전율(덕산) 315

〈그림 2.112〉 동적안전율(칠갑산) 316

〈그림 2.113〉 동적안전율(고덕산) 317

〈그림 2.114〉 동적안전율(모악산) 318

〈그림 2.115〉 동적안전율(백방산) 319

〈그림 2.116〉 동적안전율(행군산) 320

〈그럼 2.117〉 동적안전율(무등산) 321

〈그림 2.118〉 동적안전율(상월산) 322

〈그림 2.119〉 동적안전율(대밭골산) 323

〈그림 2.120〉 동적안전율(삼성산) 324

〈그림 2.121〉 동적안전율(안산) 325

〈그림 2.122〉 동적안전율(팔공산) 326

〈그림 2.123〉 동적안전율(금련산) 327

〈그림 2.124〉 동적안전율(금정산) 328

〈그림 2.125〉 동적안전율(불모산) 329

〈그림 2.126〉 동적안전율(신검산) 330

〈그림 2.127〉 동적안전율(장산) 331

〈그림 2.128〉 동적안전율(신불산) 332

〈그림 2.129〉 동적안전율(천성산) 333

〈그림 2.130〉 동적안전율(금오산) 334

〈그림 2.131〉 동적안전율(다봉산) 335

〈그림 2.132〉 동적안전율(배틀산) 336

〈그림 2.133〉 동적안전율(청화산) 337

〈그림 2.134〉 동적안전율(계룡산 거제도) 338

〈그림 2.135〉 동적안전율(무학산) 339

〈그림 2.136〉 동적안전율(연화산) 340

〈그림 2.137〉 동적안전율(토함산) 341

〈그림 2.138〉 동적안전율(한라산) 342

〈그림 2.139〉 기존 기준과의 비교 분석을 위한 대상지역 인공위성 사진 343

〈그림 2.140〉 연구대상지역의 사변 경사율 분포 344

〈그림 2.141〉 연구대상지역의 토층두께 분포 344

〈그림 2.142〉 지진가속도에 따른 사면안전율 위험도 346

〈그림 2.143〉 포화도 및 점착력 변화에 따른 위험도 비교 분석을 위한... 347

〈그림 2.144〉 연구대상지역의 사면 경사율 분포 347

〈그림 2.145〉 연구대상지역의 토층두께 분포 348

〈그림 2.146〉 포화도 변화에 따른 연구대상지역의 동적안전율 위험도 351

〈그림 2.147〉 포화도 변화에 따른 연구대상지역의 동적변위 위험도 352

〈그림 2.148〉 점착력 변화에 따른 연구대상지역의 동적안전율 위험도 353

〈그림 2.149〉 점착력 변화에 따른 연구대상지역의 통적변위 위험도 354

〈그림 2.150〉 공간적 산사태 위험도 평가 시스템의 개념도 357

〈그림 2.151〉 지진 산사태 재해도 평가 시스템 359

〈그림 2.152〉 지진시 산사태 예측 프로그램의 구성 360

〈그림 2.153〉 지진시 산사태 예측 프로그램의 구성 361

〈그림 2.154〉 지진시 산사태 재해도 평가의 프로그램 알고리즘 362

〈그림 2.155〉 지진시 산사태 예측 프로그램의 DB 구성 363

〈그림 2.156〉 프로그램 실행 초기화면 367

〈그림 2.157〉 지진시 산사태 예측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메인 관리 모듈) 369

〈그림 2.158〉 수치지도 입출력 모듈 370

〈그림 2.159〉 DEM기반의 지진시 산사태 위험도 평가 모식도 371

〈그림 2.160〉 청계산 평가 대상영역의 위성영상 372

〈그럼 2.160〉 청계산 평가 대상영역의 ArcGIS기반 공간분석 예시 373

〈그림 2.161〉 청계산 평가 대상영역의 동적안전율 374

〈그림 2.162〉 청계산 평가 대상영역의 Newmark 변위 375

〈그림 3.1〉 지진재해대응시스템 업무흐름도 376

〈그림 3.2〉 3차년도 연구계획도 377

〈그림 3.3〉 GIS Map 구축 절차 379

〈그림 3.4〉 GIS 맵 379

〈그림 3.5〉 배경 GIS 맵 작성 380

〈그림 3.6〉 액상화 위험도와 저수지 및 공단 레이어 통합 381

〈그림 3.7〉 지진재해대응시스템 격자상 산의 위치와 산사태 위험도(FS) 382

〈그림 3.8〉 진도분포도 생성 과정 388

〈그림 3.9〉 시추공 위치 현황(좌)과 지진재해대응시스템 격자레이어 매치 결과(우) 390

〈그림 3.10〉 기지점의 분포와 IDW를 이용한 GIS 맵 표출의 예 392

〈그림 3.11〉 IDW 보간법을 적용한 액상화 위험도지도(0.06g) 392

〈그림 3.12〉 크리깅 보간법을 적용한 액상화 위험도지도(0.06g) 394

〈그림 3.13〉 스플라인 보간기법 계산 모식도 395

〈그림 3.14〉 스플라인 보간법을 적용한 액상화 위험도지도(0.06g) 396

〈그림 3.15〉 지반 액상화 위험도 보간기법 비교 397

〈그림 3.16〉 지반 액상화 위험도 보간기법 비교(IDW, 0.06g~0.18g) 399

〈그림 3.17〉 지반 액상화 위험도 보간기법 비교(IDW, 0.26g~0.38g) 400

〈그림 3.18〉 지반 액상화 위험도 보간기법 비교(Kriging, 0.06g~0.18g) 401

〈그림 3.19〉 지반 액상화 위험도 보간기법 비교(Kriging, 0.26g~0.38g) 402

〈그림 3.20〉 IDW와 Kriging 보간기법 비교 403

〈그림 3.21〉 전국단위 시추자료 현황 405

〈그림 3.22〉 전국단위 시추자료 좌표별 빈도수 406

〈그림 3.23〉 GIS 보간법을 적용하기 위한 미지점에 대한... 408

〈그림 3.24〉 GIS 보간법을 적용하기 위한 미지점에 대한 참조데이터 평균거리 409

〈그림 3.25〉 최대지반가속도 0.06g일 때의 지반액상화 위험도 411

〈그림 3.26〉 시나리오별 LPI 지수 빈도수 413

〈그림 3.27〉 특정 LPI 지수의 위치적 특성 414

〈그림 3.28〉 Kriging 보간 기법 적용시 입력화면 415

〈그림 3.29〉 참조데이터 수량에 따른 보간 결과 비교 416

〈그림 3.30〉 지반 액상화 위험도 보간법 적용(PGA : 0.06g) 417

〈그림 3.31〉 지반 액상화 위험도 보간법 적용(PGA : 0.1g) 418

〈그림 3.32〉 지반 액상화 위험도 보간법 적용(PGA : 0.14g) 419

〈그림 3.33〉 지반 액상화 위험도 보간법 적용(PGA : 0.18g) 420

〈그림 3.34〉 지반 액상화 위험도 보간법 적용(PGA : 0.22g) 421

〈그림 3.35〉 지반 액상화 위험도 보간법 적용(PGA : 0.26g) 422

〈그림 3.36〉 지반 액상화 위험도 보간법 적용(PGA : 0.30g) 423

〈그림 3.37〉 지반 액상화 위험도 보간법 적용(PGA : 0.34g) 424

〈그림 3.38〉 지반 액상화 위험도 보간법 적용(PGA : 0.38g) 425

〈그림 3.39〉 지진 시나리오별 산사태 위험도 - 검단산 426

〈그림 3.40〉 래스터 자료 형식 모식도 427

〈그림 3.41〉 산사태 위험도 평가 결과값 428

〈그림 3.42〉 TIN 적용 과정 428

〈그림 3.43〉 ArcGIS Web 서비스 구성도 431

〈그림 3.44〉 지반 액상화 및 산사태 위험도 적용 과정 432

〈그림 3.45〉 가상지진 진도분포도 433

〈그림 3.46〉 지반 액상화 위험도 적용 방식 비교 435

〈그림 3.47〉 지진 액상화 및 산사태 위험도 표출 시스템 436

〈그림 3.48〉 산사태 위험도 표출 화면 437

〈그림 3.49〉 지진발생정보 표출 화면 438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86437 363.3495 -15-3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86438 363.3495 -15-3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