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산촌의 자원적 특성을 활용한 귀산촌 활성화 방안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전자자료] / 산림청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산림청, 2015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300
제어번호
MONO1201552084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관연구책임자: 김재현
영문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보고서 요약서 3

요약문 4

SUMMARY 10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25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26

1. 공동자원(Commons)로서의 산림의 역할과 기능, 관리 주체의 변화 26

2. 우리나라 산림관리 정책의 변화와 방향 29

제2절 연구목표 35

제3절 연구대상 및 수행방법 37

1. 현장연구 사이트 선정 37

2. 문헌 및 자료 수집 분석 39

3. 현장 지역자원조사 및 주민 설문조사 실시 39

4. 지역 주민 대상 심층인터뷰 진행 40

5. 지역주민 대상 귀산촌 활성화 프로그램(주민역량강화교육) 실시 41

제2장 국내외 연구동향 43

제1절 농산촌 지역개발 흐름 44

제2절 귀농귀촌 인력을 활용한 농산촌 지역개발 45

제3절 산림정책에 있어 지역자원과 커뮤니티 47

1. 산림경영정책에서의 지역자원과 커뮤니티 47

2. 산촌개발정책에서의 지역자원과 커뮤니티 48

제4절 커뮤니티, 지역자산 중심의 지역발전 연구 동향 51

1. 커뮤니티, 지역 자산 중심의 지역발전 51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63

제1절 귀산촌 현장연구의 개요 64

1. 귀산촌의 개념정의 64

2. 귀산촌과 커뮤니티개발이론의 적용 65

제2절 괴산군 지역자원조사 66

1. 조사개요 66

2. 괴산군의 지역자원 현황 및 특징 68

제3절 귀농귀촌인 실태 조사 93

1. 괴산군의 귀농귀촌 실태 93

2. 도시민 조사결과 110

3. 집단별 비교분석 결과 120

4. 괴산군 귀농귀촌 공동체 계보 128

제4절 산림자원을 활용한 커뮤니티 개발 137

1. 괴산군 산림자원 활용 현황 및 여건분석 137

2. 공감대 확산 및 커뮤니티 형성 141

3. 전략적 계획 수립 147

제5절 커뮤니티비즈니스 시범사업 실행 156

1. 산림자원을 활용한 비즈니스 실행 지원 157

2. 성과와 한계 167

제6절 괴산의 숲길비즈니스 발굴을 위한 프로세스 168

1. 괴산군 숲길 비즈니스의 추진 168

2. 주민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169

제7절 귀산촌 활성화 모델 194

1. 귀산촌 활성화와 전략적 계획 프로세스 194

2. 프랑스 지역산림계획(Charte forestière territoriale)의 전략적 계획 프로세스 199

3. LEADER의 지역발전전략(Local Development Strategy) 220

4. CFT와 LDS 전략계획 사례의 시사점 230

제8절 정책적 제언 237

1. 귀산촌 활성화 조직의 설립 : 커뮤니티의 구축점이자 사업전략을 실행할 조직의 형태 237

2. 전략적 지역산림계획 수립을 통한 귀산촌지원정책의 모색 240

3. 귀산촌 모델 적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실행 방안 245

4. 귀산촌 모델 활성화를 위한 주체별 역할 247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251

제1절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 253

제2절 관련분야에서의 기여도 254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255

제1절 활용계획 256

제2절 추가연구의 필요성 257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258

오스트리아 농산촌개발정책 및 사례 (LEADER Programme) 259

1. 오스트리아 259

2. 오스트리아 지역개발 260

1) EU의 농산촌 지역개발 정책 261

2) 오스트리아 지역개발 정책 267

3) 오스트리아 산업과 지역개발 270

3. 오스트리아 지역개발의 협력체계 273

1) Network Land 273

2) LFI (Landiches Fortbildungs Institut) 277

3) Umweltdachverband0 279

4. 오스트리아 지역개발 사례 281

1) 오버의스터라이히 주(Upper austria), "Donau Bomerwald" 281

2) Tyrol 사례 – Landeck 지역개발 285

제7장 참고문헌 293

[표 1] 연구목표 및 내용 35

[표 2] 현장조사 개요 39

[표 3] 설문조사 개요 40

[표 4] 현장 워크숍 및 인터뷰 개요 40

[표 5] 이론적 배경수립을 위해 사용된 핵심 이론과 접근법들 정리 52

[표 6] 필요중심적 관점과 자산중심적 관점의 차이(UN HABITAT, 2008) 53

[표 7] 전통적 농산촌 발전정책과 LEADER 접근법의 특성 비교 59

[표 8] 조사 개요 67

[표 9] 지역자산의 유형 구분 68

[표 10] 괴산군 내 산촌진흥지역 현황 69

[표 11] 괴산군 인구변화 추이 70

[표 12] 괴산군 읍면별 인구현황 71

[표 13] 괴산군 읍면별 귀농귀촌인 현황 72

[표 14] 괴산군 읍면별 토지이용 현황 73

[표 15] 소유별 임야면적 75

[표 16] 임상별 산림면적 76

[표 17] 연간 용재 생산량 및 생산액 76

[표 18] 2011년도 괴산군 및 인근시군의 용재 생산량 및 생산액 77

[표 19] 연간 수실 생산량 및 생산액 78

[표 20] 연간 산나물 생산량 및 생산액 78

[표 21] 연간 버섯 생산량 및 생산액 79

[표 22] 연간 수액 생산량 및 생산액 79

[표 23] 연간 약용식물 생산량 및 생산액 80

[표 24] 연간 조경재 생산량 및 생산액 81

[표 25] 분재 연간 생산량 및 생산액 81

[표 26] 야생화 연간 생산량 및 생산액 81

[표 27] 괴산군 산업구조의 변화(생산액 기준) 89

[표 28] 산업대분류별 괴산군 산업구조 90

[표 29] 괴산군 농가인구추이 90

[표 30] 괴산군 농가인구 91

[표 31] 2011년 도내 귀농귀촌 현황 94

[표 32] 괴산군 귀농귀촌자 지원 정책 95

[표 33] 설문조사 개요 96

[표 34] 괴산군 귀농귀촌인 설문응답자 특성 97

[표 35] 괴산군 귀농귀촌인의 출생지 99

[표 36] 일반 도시민 설문응답자 특성 111

[표 37] 귀촌 의향자들의 사회경제적 변수별 향후 예상 귀촌시기 116

[표 38] 귀촌의향자, 귀촌 비의향자 및 귀촌인 간 삶의 만족도 차이 124

[표 39] 삶의 만족도 던컨검증 124

[표 40] 귀촌의향자, 귀촌 비의향자 및 귀촌인 간 SOC 차이 125

[표 41] SOC의 던컨검증 125

[표 42] 귀촌의향자, 귀촌 비의향자 및 귀촌인 간 내적 개인가치 차이 126

[표 43] 내적 개인가치의 던컨검증 126

[표 44]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4개 변수의 회귀분석 127

[표 45]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3개 변수의 회귀분석 127

[표 46] 괴산군 현장조사 개요 130

[표 47] 괴산군 귀농역사 요약 133

[표 48] 산림자원활용 현황 유형 구분 137

[표 49] 휴양 및 관광 자원 활용(및 계획) 주요 현황 138

[표 50] 임산물 생산·마케팅 활용(및 계획) 주요 현황 139

[표 51] 괴산군 커뮤니티비즈니스 아이디어 공모전 프로세스 142

[표 52] 괴산군 커뮤니티비즈니스 아이디어 공모전 내용 및 지원내역 143

[표 53] 괴산군 커뮤니티비즈니스 아이디어 공모전 내용 및 지원내역 144

[표 54] 아이디어 선정 및 평가 기준 145

[표 55] 최종 선정된 아이디어의 개요 146

[표 56] 괴산군 산림커뮤니티비즈니스 발굴을 위한 주민역량강화 프로그램 내용 147

[표 57] 괴산군 주민역량강화 프로그램 - 1차. 오리엔테이션 148

[표 58] 괴산군 주민역량강화 프로그램 - 찾아가는 현장조사(현장 멘토링) 149

[표 59] 괴산군 주민역량강화 프로그램 - 2차. 창업시나리오 작성 150

[표 60] 괴산군 주민역량강화 프로그램 - 3차. 창업목표 설정 151

[표 61] 괴산군 주민역량강화 프로그램 - 4차. 사업모델 만들기 & 단계별 추진계획 수립 152

[표 62] 괴산군 주민역량강화 프로그램 - 5차. 결과보고회 153

[표 63] 괴산군 산림자원을 활용한 커뮤니티비즈니스 도출 결과 154

[표 64] 주민역량강화교육 대한 참여자 평가 155

[표 65] 멘토링 및 컨설팅 지원 내용 159

[표 66] 멘토링 및 컨설팅 지원 내용 165

[표 67] 숲길체험지도사의 정의 170

[표 68] 본 연구에서 숲길체험지도사의 정의 172

[표 69] 괴산군 숲길 교육프로그램 175

[표 70] 숲길의 조성과 관리의 흐름 180

[표 71] 응답자의 특성 182

[표 72] 숲길과 괴산 지역자원에 대한 인식 183

[표 73] 숲길의 활용성에 대한 질의 184

[표 74] 괴산의 자연자원의 실태 184

[표 75] 응답자의 특성 185

[표 76] 숲길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 185

[표 77] 귀농ㆍ귀촌 교육프로그램으로 숲길교육의 활용성 186

[표 78] OECD의 새로운 농산촌 지역정책 패러다임 (OECD 2006 : 4) 195

[표 79] 적절성 분석표 사례 212

[표 80] 외적 일관성 분석표 사례 213

[표 81] 2차년도 연구과정에서 진행된 괴산군 산림자원활용 방식 234

[표 82] 지속가능한 지역개발의 의사소통 6원칙 (최현선ㆍ이현주, 2012) 242

[표 83] 다양한 지역사회 커뮤니케이션 수단과 채널 243

[그림 1] 산림의 역할과 기능의 변화 단계 28

[그림 2] 산림정책의 패러다임 변화(박광국 외, 2009; 염종호, 2006; 최인화 외, 2007 참고) 32

[그림 3] 연구 대상지 - 충청북도 괴산 38

[그림 4] 연구대상지 '괴산군'의 특징 38

[그림 5] 현장워크숍 모습 41

[그림 6] 주민역량강화교육 41

[그림 7] 연구추진프로세스 42

[그림 8] 귀농귀촌 단계별 지원 프로세스 (농림수산식품부, 2009) 46

[그림 9] ABCD 프로세스 (장주연 외, 2015) 55

[그림 10] 귀산촌 활성화 모델 프로세스 66

[그림 11] 괴산군 행정구역 및 정주생활권 (괴산군 장기종합발전계획 참고) 68

[그림 12] 괴산군의 지형 69

[그림 13] 괴산군 지목별 점유율 72

[그림 14] 괴산군 공동생활시설 분포 현황 74

[그림 15] 괴산군 공공편익시설 분포 현황 74

[그림 16] 괴산군 지역의 주요 숲길 83

[그림 17] 괴산군 휴양시설 분포 현황 84

[그림 18] 괴산군 상업시설 분포 현황 84

[그림 19] 괴산군 관광시설 분포 현황 84

[그림 20] 휴양시설 & 상업시설 84

[그림 21] 괴산군 내 농특산물 86

[그림 22] 괴산군 귀농귀촌 변화 추이 93

[그림 23] 괴산군 귀농귀촌인 응답자 특성 98

[그림 24] 귀촌 전 직업 99

[그림 25] 귀촌경과년수 100

[그림 26] 한집 동거 여부와 동거 형태 100

[그림 27] 귀농ㆍ귀촌의 동기 101

[그림 28] 괴산으로 귀촌한 이유 (복수응답) 102

[그림 29] 괴산 선택의 중요요소 : 귀촌 전과 귀촌 후 103

[그림 30] 귀촌인의 직업 104

[그림 31] 영농 규모별 작목 현황 105

[그림 32] 괴산군 귀농귀촌인의 자영업 종류 105

[그림 33] 지역활동 참여 여부 106

[그림 34] 참여 지역활동의 종류 106

[그림 35] 월간 지역사회활동 참여횟수 107

[그림 36] 1주일 간 활동 참여자와의 개인적 만남횟수 107

[그림 37] 귀촌 만족도 108

[그림 38] 귀촌 후 정착의 애로사항 (복수응답) 108

[그림 39] 마을 발전/개선을 위한 제안 (복수 응답) 109

[그림 40] 마을 발전/개선의 위협요인 (복수 응답) 110

[그림 41] 일반 도시민 응답자 특성 112

[그림 42] 도시민 응답자의 현 직업 113

[그림 43] 도시민 응답자의 거주지 113

[그림 44] 도시민의 귀촌의향 114

[그림 45] 응답자 특성에 따른 귀촌의향자, 귀촌비의향자의 비율 115

[그림 46] 귀촌을 하려는 이유(복수응답) 117

[그림 47] 희망하는 귀촌생활의 형태 118

[그림 48] 귀촌을 망설이는 이유 119

[그림 49] 주변인의 귀촌반대에 대한 인식 119

[그림 50] 귀촌인 출생지 121

[그림 51] 귀농귀촌 동기에 대한 집단별 비교 122

[그림 52] 귀농귀촌을 망설이는 원인과 실제 귀농귀촌시 애로사항의 차이 123

[그림 53] 괴산군에서 조사된 공동체들의 관계도 136

[그림 54] 괴산군 산림자원 활용(및 계획)현황 140

[그림 55] 괴산군 산림자원을 활용한 CB 아이디어공모전 지원신청서 145

[그림 56] 사업추진 및 실행지원 체계 156

[그림 57] 마을 멘토링, 컨설팅 지원 모습 158

[그림 58] 파로호 느릅마을 견학 모습 160

[그림 59] 한드미 마을 견학모습 161

[그림 60] 산림농업 시험지 견학 모습 161

[그림 61] 마을홍보 및 상품판매, 도농교류 모습 162

[그림 62] 황암마을 멘토링 및 교육 모습 166

[그림 63] 성공적인 지역 산림 비즈니스를 위한 필요조건 168

[그림 64] 괴산군 숲길체험지도사 직무분석 결과 173

[그림 65] 괴산군 숲길체험지도사 직무분석 174

[그림 66] 숲길 교육 홍보 176

[그림 67] 숲길 교육프로그램 177

[그림 68] 1차 교육 178

[그림 69] 등산로와 임도 이용객의 심박수 변화추이(출처; 전용준, 2011) 178

[그림 70] 정상 지향형 산행문화 179

[그림 71] 속리산 권역 길의 형태 187

[그림 72] 교육 프로그램 적용 방식 190

[그림 73]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지역 전문가 양성과정 191

[그림 74] 교육 도서관 프로그램 192

[그림 75] 귀산촌 개념 정립과 활성화 모델구축을 위한 연구단계 196

[그림 76] Bryson(1997)의 전략적 기획의 개념도 198

[그림 77] 전략적 기획수립과 집행 프로세스 199

[그림 78] 지역산림계획(CFT)의 일반적인 네트워크 거버넌스 체계 219

[그림 79] LDS의 기본 개념도. 출처 : ENRD 사이트 222

[그림 80] EU가 제시하는 LDS의 SWOT과 이해관계자분석 템플리트 226

[그림 81] PTA (problem tree analysis) 분석기법의 개념도 227

[그림 82] LEADER와 LDS 계획을 통한 지역 네트워크 거버넌스 체계 229

[그림 83] 1, 2차년도 연구과정에서 진행된 괴산군 자산조사의 영역 234

[그림 84] ABCD 기법을 활용한 괴산군 CB 공모사업과 전략적 계획 235

[그림 85] 귀산촌 전략계획의 프로세스와 주요 평가요소 236

[그림 86] 귀산촌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여건 244

[그림 87] 교육지원프로세스 246

[그림 88] 단계별 지원 프로세스 246

[그림 89] 귀산촌 활성화 지원체계 247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