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걷기를 활용한 임도의 치유적 활용에 관한 연구 [전자자료] / 산림청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산림청, 2015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 통계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267
제어번호
MONO1201552231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충남대학교
주관연구책임자: 박범진
영문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4

SUMMARY 7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3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14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14

제3절 연구개발의 범위 15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7

제1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 18

제2절 국외 기술개발 현황 18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20

제1절 임도와 등산로의 걷기 비교 21

1. 임도와 등산로의 걷기 비교에 관한 연구 21

2. 치유환경인자 측정에 관한 연구 47

제2절 중ㆍ장년층 임도 걷기모델 개발 72

1. 임도 걷기 에 관한 연구 72

제3절 청년층 임도 걷기모델 개발 119

1. 청년층 체력별 걷기모델 개발 119

2. 경사도와 보행속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128

제4절 걷기모델 현장검증실험 131

1. 걷기모델 현장검증실험에 관한 연구 131

제5절 걷기모델 현장적용 가능성 평가 149

1. 조사대상 및 분석절차 149

2. 분석결과 150

3. 결론 152

제6절 다기능 임도 현황분석 및 인식조사 153

1. 걷기모델 현장검증실험에 관한 연구 153

2. 산림치유 측면에서의 임도의 활용 방안 158

3. 임도의 이용자인식 조사 및 평가 168

제7절 산림치유 측면에서의 임도 유형화 183

1. 걷기모델 개발을 위한 임도의 종단선형 취득 및 선형 분석 183

2. 임도의 종단선형 취득 및 유형 구분 197

제8절 임도의 인식전환 및 정책제안 218

1. 임도의 걷기 모델 적용을 위한 유형화 218

2. 임도의 치유적 활용방법에 따른 인식 변화 검토 224

3. 임도의 치유적 활용방법에 따른 정책제안 238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242

제1절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243

제2절 관련분야의 기술발전에의 기여도 244

1. 논문게재 실적 244

2. 논문발표 실적 244

3. 홍보실적 245

4. 시책건의 248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249

제1절 활용계획 250

제2절 추가연구의 필요성 250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251

제1절 임도에서의 걷기를 통한 건강증진 효과 해외 연구사례 252

제2절 임도의 치유적 활용에 관한 해외 기술사례 252

제7장 참고문헌 254

표 1-1. 임도 걷기 피험자 기초 자료 23

표 1-2. 등산로 걷기 피험자 기초 자료 24

표 1-3. 임도와 등산로 피험자의 신체조건 비교 검증(나이, 체중) 24

표 1-4. 임도와 등산로 피험자의 신체조건 비교 검증(신장, BMI) 25

표 1-5. 체질량지수 기준표 27

표 1-6.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쾌적감의 비교 30

표 1-7.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자연감의 비교 31

표 1-8.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안정감의 비교 32

표 1-9.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긴장-불안의 비교 33

표 1-10.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우울의 비교 34

표 1-11.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분노의 비교 35

표 1-12.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활기의 비교 36

표 1-13.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피로의 비교 37

표 1-14.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혼란의 비교 38

표 1-15.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종합감정장해의 비교 39

표 1-16.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LF/HF 값의 비교 42

표 1-17.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HF 값의 비교 43

표 1-18.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수축기 혈압의 비교 44

표 1-19.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확장기 혈압의 비교 45

표 1-20.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맥박수의 비교 46

표 1-21. 장동 산림욕장 임도 조사지 개요 47

표 1-22. 계룡산 등산로 조사지 개요 48

표 1-23. 문헌연구을 통한 NVOCs분석항목의 선정 49

표 2-1. R8 GNSS 수신기의 주요 제원 75

표 2-2. 실험참여 피험자 수 77

표 2-3. 체질량지수 기준표 77

표 2-4. 3분 스텝테스트 검사 후 회복 심장박동수에 대한 남성용 기준표 82

표 2-5. 3분 스텝테스트 검사 후 회복 심장박동수에 대한 여성용 기준표 82

표 2-6. 실험 임도 구간별 경사도 85

표 2-7. 체력검사 참여 피험자의 BMI 조사 86

표 2-8. 피험자 체력검사 결과 88

표 2-9. 체력별 임도의 치유적 활용을 위한 걷기 실험 데이터 확보 피험자 자료 90

표 2-10. 체력 등급 상 집단과 중 집단 차이 검증 91

표 2-11. 체력 등급 중 집단과 하 집단 차이 검증 91

표 2-12. 체력 등급 하 집단과 상 집단 차이 검증 92

표 2-13. 체력등급 상, 중, 하 집단에 따른 회복 심박수에 대한 일원배치 분산분석 92

표 2-14. 피험자별 적정 운동강도(목표심박수) 계산 결과 93

표 2-15. 체력등급 상 집단 피험자의 구간별 보행시간 94

표 2-16. 체력등급 상 집단 피험자의 구간별 분당 보행속도 95

표 2-17. 체력등급 중 집단 피험자의 구간별 보행시간 96

표 2-18. 체력등급 중 집단 피험자의 구간별 분당 보행속도 97

표 2-19. 체력등급 하 집단 피험자의 구간별 보행시간 98

표 2-20. 체력등급 중 집단 피험자의 구간별 분당 보행속도 99

표 2-21. 경사도와 분당 보행속도 상관분석(상 집단) 100

표 2-22. 경사도와 분당 보행속도 상관분석(중 집단) 101

표 2-23. 경사도와 분당 보행속도 상관분석(하 집단) 102

표 2-24. 상 집단과 중 집단 등급간 분당 보행속도의 차이 검증 103

표 2-25. 중 집단과 하 집단 등급간 분당 보행속도의 차이 검증 103

표 2-26. 하 집단과 상 집단 등급간 분당 보행속도의 차이 검증 104

표 2-27. 체력등급 상, 중, 하 집단에 따른 분당 보행속도에 대한 일원배치 분산분석 104

표 2-28. 60~70대를 위한 체력등급별 건강증진에 효과적인 보행속도와 유사한 박자의 음악 예시 106

표 3-1. 체력별 임도의 치유적 활용을 위한 걷기 실험 데이터 확보 피험자 자료 119

표 3-2. 체력등급 상, 중, 하 집단에 따른 회복 심박수에 대한 일원배치 분산분석 120

표 3-3. 체력 등급 상 집단과 중 집단 차이 검증 121

표 3-4. 체력 등급 중 집단과 하 집단 차이 검증 121

표 3-5. 체력 등급 하 집단과 상 집단 차이 검증 121

표 3-6. 피험자별 적정 운동강도(목표심박수) 계산 결과 122

표 3-7. 체력등급 상 집단 피험자의 구간별 보행시간 123

표 3-8. 체력등급 상 집단 피험자의 구간별 분당 보행속도 124

표 3-9. 체력등급 하 집단 피험자의 구간별 보행시간 125

표 3-10. 체력등급 하 집단 피험자의 구간별 분당 보행속도 127

표 3-11. 경사도와 분당 보행속도 상관분석(상 집단) 128

표 3-12. 경사도와 분당 보행속도 상관분석(하 집단) 129

표 3-13. 상 집단과 하 집단 등급간 분당 보행속도의 차이 검증 130

표 4-1. 현장검증실험 임도의 경사도 131

표 4-2. 연령대별 체력별 보행속도 예측모델 134

표 4-3. 현장검증실험 임도의 경사도별 예상 보행속도 134

표 4-4. 피험자의 연령대 및 체력등급 135

표 4-5. 연령대별 체력별 보행속도 예측모델 136

표 5-1. 설문조사 대상자의 경력 및 나이 149

표 6-1. 대전광역시 인근의 주요 임도 현황 153

표 6-2. 산악마라톤 동호회 일부의 회원수 증감 161

표 6-3. 산악자전거 동호회 일부의 회원수 증감 162

표 6-4. 치유길의 규격 167

표 6-5. 임도의 만족도 현황 173

표 7-1. 임도의 종단선형 취득에 사용된 GPS의 주요 제원 184

표 7-2. GPS를 이용한 임도의 선형취득(GeoXr, 6H) 185

표 7-3. GPS를 이용한 임도의 선형취득(XRT, SB) 187

표 7-4. 임도의 수평위치와 수직위치 정확도 189

표 7-5. 임도의 수평정확도와 수직정확도 190

표 7-6. 대응점에 의한 정확도 평가(RMSE) 193

표 7-7. 측점의 천공률 분포 현황 194

표 7-8. GPS를 활용한 임도의 종단선형 취득 197

표 7-9. 경기도 가평(문배마을 진입로) 임도(point data) 200

표 7-10. 제주도 제주시(사려니길) 임도(6point data) 201

표 7-11. 대전시 대덕구 임도(point data) 202

표 7-12. 대전시 유성구 임도(point data) 203

표 7-13. 계룡산 탐방로 204

표 7-14. 강원도 화천군 임도(point data) 205

표 7-15. 전라남도 장성군 임도(point data) 208

표 7-16.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임도의 물리환경(정읍 1) 209

표 7-17.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임도의 물리환경(정읍 2) 210

표 7-18.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임도의 물리환경(정읍 2) 211

표 7-19. 임도의 설계속도에 따른 종단기울기 212

표 8-1. 대전광역시 대덕구(장동 삼림욕장) 임도의 유형 218

표 8-2. 대전광역시 유성구(방동 삼림욕장) 임도의 유형 219

표 8-3. 경기도 가평군(문배마을) 임도의 유형가평군 임도의 종단선형 유형화 분류 220

표 8-4. 제주도 사려니길 임도의 유형 221

표 8-5. 종단선형에 따른 임도의 유형화 222

표 8-6. 버퍼폭 5 % 이하 구간에 대한 재분류 및 유형화 223

표 8-7. 임도개설 정책 확대에 대한 견해 227

표 8-8. 연령별 산림 방문 시 주요 참여활동 230

그림 1-1. 장동 임도 위성사진 21

그림 1-2. 장동 임도 거리에 따른 고도 변화 22

그림 1-3. 계룡산 등산로 위성사진 22

그림 1-4. 계룡산 등산로 거리에 따른 고도 변화 23

그림 1-5. 착용 심박 센서 26

그림 1-6. 심박 센서 착용 이미지 26

그림 1-7. 임도 걷기 실험 방법 사진 28

그림 1-8. 등산로 걷기 실험 방법 사진 29

그림 1-9.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쾌적감의 변화 30

그림 1-10.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자연감의 변화 31

그림 1-11.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안정감의 변화 32

그림 1-12.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긴장-불안의 변화 33

그림 1-13.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우울의 변화 34

그림 1-14.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분노의 변화 35

그림 1-15.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활기의 변화 36

그림 1-16.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피로의 변화 37

그림 1-17.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혼란의 변화 38

그림 1-18.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종합감정장해의 변화 39

그림 1-19. 최대심박수와 목표심박수 산출 순서 40

그림 1-20. 임도와 등산로 걷기 시 심박수의 변화 비교 그래프 41

그림 1-21.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LF/HF 값의 변화 42

그림 1-22.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HF 값의 변화 43

그림 1-23.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수축기 혈압의 변화 44

그림 1-24.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확장기 혈압의 변화 45

그림 1-25. 임도와 등산로에서 보행에 있어서 맥박수의 변화 46

그림 1-26. 장동 산림욕장 임도의 조사지 위치 47

그림 1-27. 계룡산 등산로의 조사지 위치 48

그림 1-28.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 장비 51

그림 1-29. PMV, PPD 측정 장비 52

그림 1-30. 장동 산림욕장 임도 Site 1의 피톤치드 53

그림 1-31. 장동 산림욕장 임도 Site 2의 피톤치드 54

그림 1-32. 장동 산림욕장 임도 Site 3의 피톤치드 54

그림 1-33. 장동 산림욕장 임도 Site 1의 온도 55

그림 1-34. 장동 산림욕장 임도 Site 1의 습도 55

그림 1-35. 장동 산림욕장 임도 Site 1의 이슬점 56

그림 1-36. 장동 산림욕장 임도 Site 1의 풍속 56

그림 1-37. 장동 산림욕장 임도 Site 1의 PMV 57

그림 1-38. 장동 산림욕장 임도 Site 1의 PPD 57

그림 1-39. 장동 산림욕장 임도 Site 2의 온도 58

그림 1-40. 장동 산림욕장 임도 Site 2의 습도 58

그림 1-41. 장동 산림욕장 임도 Site 2의 이슬점 59

그림 1-42. 장동 산림욕장 임도 Site 2의 풍속 59

그림 1-43. 장동 산림욕장 임도 Site 2의 PMV 60

그림 1-44. 장동 산림욕장 임도 Site 2의 PPD 60

그림 1-45. 장동 산림욕장 임도 Site 3의 온도 61

그림 1-46. 장동 산림욕장 임도 Site 3의 습도 61

그림 1-47. 장동 산림욕장 임도 Site 3의 이슬점 62

그림 1-48. 장동 산림욕장 임도 Site 3의 풍속 62

그림 1-49. 장동 산림욕장 임도 Site 3의 PMV 63

그림 1-50. 장동 산림욕장 임도 Site 3의 PPD 63

그림 1-51. 계룡산 등산로 Site 1의 피톤치드 64

그림 1-52. 계룡산 등산로 Site 2의 피톤치드 65

그림 1-53. 계룡산 등산로 Site 1의 온도 65

그림 1-54. 계룡산 등산로 Site 1의 습도 66

그림 1-55. 계룡산 등산로 Site 1의 이슬점 66

그림 1-56. 계룡산 등산로 Site 1의 풍속 67

그림 1-57. 계룡산 등산로 Site 1의 PMV 67

그림 1-58. 계룡산 등산로 Site 1의 PPD 68

그림 1-59. 계룡산 등산로 Site 2의 온도 68

그림 1-60. 계룡산 등산로 Site 2의 습도 69

그림 1-61. 계룡산 등산로 Site 2의 이슬점 69

그림 1-62. 계룡산 등산로 Site 2의 풍속 70

그림 1-63. 계룡산 등산로 Site 2의 PMV 70

그림 1-64. 계룡산 등산로 Site 2의 PPD 71

그림 2-1. 성북동 임도 위성사진 72

그림 2-2. 실험 임도 현장사진 73

그림 2-3. 실험임도 측량 현장사진 74

그림 2-4. Trimble社의 R8 GNSS 장비 76

그림 2-5. VRS를 통한 임도의 정밀측량 방법 76

그림 2-6. 폴라 수신부(위)와 송신부(아래) 78

그림 2-7. 스텝테스트 방법 81

그림 2-8. 걷기 실험 현장 모습 84

그림 2-9. 경사도에 따른 분당 보행속도의 분산 분포도(상 집단) 100

그림 2-10. 경사도에 따른 분당 보행속도의 분산 분포도(중 집단) 101

그림 2-11. 경사도에 따른 분당 보행속도의 분산 분포도(하 집단) 102

그림 2-12. 성북동 산림욕장 임도 Site 1의 피톤치드 농도 107

그림 2-13. 성북동 산림욕장 임도 Site 2의 피톤치드 농도 108

그림 2-14. 성북동 산림욕장 임도 Site 3의 피톤치드 농도 109

그림 2-15. 성북동 산림욕장 임도 Site 1의 온도 109

그림 2-16. 성북동 산림욕장 임도 Site 1의 습도 110

그림 2-17. 성북동 산림욕장 임도 Site 1의 이슬점 110

그림 2-18. 성북동 산림욕장 임도 Site 1의 풍속 111

그림 2-19. 성북동 산림욕장 임도 Site 1의 PMV 111

그림 2-20. 성북동 산림욕장 임도 Site 1의 PPD 112

그림 2-21. 성북동 산림욕장 임도 Site 2의 온도 112

그림 2-22. 성북동 산림욕장 임도 Site 2의 습도 113

그림 2-23. 성북동 산림욕장 임도 Site 2의 이슬점 113

그림 2-24. 성북동 산림욕장 임도 Site 2의 풍속 114

그림 2-25. 성북동 산림욕장 임도 Site 2의 PMV 114

그림 2-26. 성북동 산림욕장 임도 Site 2의 PPD 115

그림 2-27. 성북동 산림욕장 임도 Site 3의 온도 115

그림 2-28. 성북동 산림욕장 임도 Site 3의 습도 116

그림 2-29. 성북동 산림욕장 임도 Site 3의 이슬점 116

그림 2-30. 성북동 산림욕장 임도 Site 3의 풍속 117

그림 2-31. 성북동 산림욕장 임도 Site 3의 PMV 117

그림 2-32. 성북동 산림욕장 임도 Site 3의 PPD 118

그림 3-1. 현장실험 사진 119

그림 3-2. 경사도에 따른 분당 보행속도의 분산 분포도(상 집단) 128

그림 3-3. 경사도에 따른 분당 보행속도의 분산 분포도(하 집단) 129

그림 4-1.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도웅리 산 30-1 위성사진 131

그림 4-2. 연구대상 임도의 종단물매(GPS정밀측량 결과) 133

그림 4-3. 연구대상 임도의 종단물매(GPS정밀측량 결과를 사거리 100m 단위로 재구성) 133

그림 4-4. YMCA 스텝테스트 135

그림 4-5.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임도 Site 1의 피톤치드 농도 137

그림 4-6.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임도 Site 2의 피톤치드 농도 138

그림 4-7.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임도 Site 3의 피톤치드 농도 139

그림 4-8.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임도 Site 1의 온도 140

그림 4-9.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임도 Site 1의 습도 140

그림 4-10.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임도 Site 1의 이슬점 141

그림 4-11.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임도 Site 1의 풍속 141

그림 4-12.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임도 Site 1의 PMV 142

그림 4-13.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임도 Site 1의 PPD 142

그림 4-14.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임도 Site 2의 온도 143

그림 4-15.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임도 Site 2의 습도 143

그림 4-16.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임도 Site 2의 이슬점 144

그림 4-17.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임도 Site 2의 풍속 144

그림 4-18.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임도 Site 2의 PMV 145

그림 4-19.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임도 Site 2의 PPD 145

그림 4-20.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임도 Site 3의 온도 146

그림 4-21.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임도 Site 3의 습도 146

그림 4-22.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임도 Site 3의 이슬점 147

그림 4-23.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임도 Site 3의 풍속 147

그림 4-24.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임도 Site 3의 PMV 148

그림 4-25.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임도 Site 3의 PPD 148

그림 5-1. 설문조사 대상자의 성별 및 직업 149

그림 5-2. 걷기모델에 대한 이해도 관련 설문조사 결과 150

그림 5-3. 걷기모델에 대한 만족도 관련 설문조사 결과 151

그림 5-4. 걷기 모델의 현장적용가능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151

그림 5-5. 걷기 모델의 현장적용 시 보완해야할 사항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152

그림 6-1. 임도에서의 걷기 및 산악마라톤 사례 154

그림 6-2. 계족산임도의 주요 노선 154

그림 6-3. 장동산림욕장내의 임도 종단선형 155

그림 6-4. 계족산 임도의 주요 노선 156

그림 6-5. 계족산 임도의 종단선형 156

그림 6-6. 성북동 임도의 주요 노선 157

그림 6-7. 성북동 임도의 종단선형 157

그림 6-8. 임도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축제와 꽃길 조성 159

그림 6-9. 임도 주변에 설치된 전망대 159

그림 6-10. 임도주변에서의 숲속 음악회(대전 계족산) 159

그림 6-11. 임도에서의 산책 및 걷기 160

그림 6-12. 임도에서의 산악마라톤(대전 계족산) 161

그림 6-13. 임도 내에서의 산악자전거(MTB) 162

그림 6-14. 임도주변에서 이루어지는 행/패러글라이딩(의령 한우산) 163

그림 6-15. 임도 내에서의 산악승마(양평ㆍ산음자연휴양림) 164

그림 6-16. 임도의 지역별 분포 현황 164

그림 6-17. 아름다운 임도 100선의 지역별 분포 165

그림 6-18. 노선별 총연장 분포현황(아름다운 임도 100선) 165

그림 6-19. 임도의 활용가능성(좌 : 레포츠, 우 : 테마) 166

그림 6-20. 임도의 사면 및 노면 구조개량 횡단면도 166

그림 6-21. 임도에서 이루어지는 산악스키(북부지방산림청) 167

그림 6-22. '임도' 단어 인식정도 168

그림 6-23. 임도의 개설목적 168

그림 6-24. 임도의 개설 필요성 169

그림 6-25. 임도의 방문횟수(좌) 및 체류시간(우) 170

그림 6-26. 임도의 방문 목적 및 선호 활동 170

그림 6-27. 임도의 활용 주체자 171

그림 6-28. 임도의 활용 우선순위 171

그림 6-29. 산림치유(치유의 숲) 인식 및 정보 접근 172

그림 6-30. 산림치유에서의 주요요소 및 선호활동 172

그림 6-31. 임도의 노면재료에 대한 선호도 174

그림 6-32. 장동산림욕장의 임도 이용시 불만사항 174

그림 6-33. 산악형 등산로의 방문횟수 175

그림 6-34. 걷기 측면에서의 선호도 및 이유 175

그림 6-35. 걷기 측면에서의 임도에 대한 만족도(좌)와 필요성(우) 176

그림 6-36. 설문응답자의 특성 176

그림 6-37. 산의 소유여부(좌)와 임도의 인식정도(우) 177

그림 6-38. 산주의 임도 인식정도 177

그림 6-39. 임도개설의 목적(좌) 및 필요성(우) 178

그림 6-40. 임도의 연간 이용횟수(좌) 및 체류시간(우) 178

그림 6-41. 임도의 주요 방문 목적(좌) 및 선호활동(우) 179

그림 6-42. 임도의 활용주체(좌) 및 개설, 유지관리 비용의 부담 주체(우) 179

그림 6-43. 임도의 활용 우선순위 180

그림 6-44. 산악형 등산로의 방문횟수(좌) 및 선호도(우) 180

그림 6-45. 산림치유(치유의 숲) 인식(좌) 및 정보접근(우) 181

그림 6-46. 산림치유에서의 주요요소 및 선호활동 181

그림 6-47. 응답자 특성 182

그림 7-1. 대응점에 의한 정확도 평가 방법 192

그림 7-2. Gap Light Analyzer2.0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천공률 측정 194

그림 7-3. 천공률에 따른 정확도(2D) 195

그림 7-4. 천공률에 따른 정확도(3D) 195

그림 7-5. 천공률에 따른 정확도(Z값) 196

그림 7-6. 종단선형 취득에 따른 정확도 비교 197

그림 7-7. 임도의 종단선형 취득 지역(장동 삼림욕장) 198

그림 7-8. 임도의 종단선형 취득 지역(방동 삼림욕장) 198

그림 7-9. 임도의 종단선형 취득 지역(사려니길) 199

그림 7-10. 임도의 종단선형 취득 지역(문배마을) 199

그림 7-11.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임도의 종단선형 취득 206

그림 7-12. GIS를 이용한 임도의 종단선형 취득 207

그림 7-13. 간선임도의 종단물매 주요패턴(도달임도형) 213

그림 7-14. 임도 종단경사 214

그림 7-15. 시작점과 종점이 같은 고도값을 갖는 임도 215

그림 7-16. 임도의 종단물매 계산 방안 215

그림 7-17. 임도의 구간별(100m) 유형 분류 217

그림 8-1. 대전광역 대덕구(장동 삼림욕장) 임도의 고저 변화(nonscale) 218

그림 8-2. 대전광역시 유성구(방동 삼림욕장) 임도의 고저 변화(nonscale) 219

그림 8-3. 경기도 가평군(문배마을) 임도의 고저 변화(nonscale) 220

그림 8-4. 제주도 사려니길 임도의 고저 변화(nonscale) 220

그림 8-5. 버퍼폭에 따른 벡터형 자료의 비교 방안 222

그림 8-6. '임도' 용어에 대한 인식정도 225

그림 8-7. 산림휴양을 위한 임도의 개설 필요성 225

그림 8-8. 환경보전적 측면에서의 임도 문제점 여부 226

그림 8-9. 임도의 산림휴양 기여여부 228

그림 8-10. 산 방문 동기 228

그림 8-11. 산에서 하는 휴양활동과 향후 선호 휴양활동 비교 229

그림 8-12. 산림치유에 대한 인식정도 231

그림 8-13. 숙박시설의 필요성 232

그림 8-14. 산림치유를 이용하는데 있어 주요 고려사항 232

그림 8-15. 대분류에 의한 항목별 기사 건수 234

그림 8-16. 연도별 임도 관련 기사 건수 235

그림 8-17. 대분류에 의한 항목별 기사 건수 236

그림 8-18. 연도별 산림치유 관련 기사 건수 237

그림 8-19. 아름다운 임도 100선 238

그림 8-20. 아름다운 임도 100선 주요 내용 239

그림 8-21. 정사항공사진과 수치임도망도의 오차 240

그림 8-22. 임도 걷기모델 어플리케이션 예시 241

수식목차

식 1) 최대심박수 = 220-연령 79

식 2) 목표심박수 = (220-연령) X 0.6~(220-연령) X 0.75 79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