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원격측정기술 기반연구를 위한 동북아지역 에어로졸 광학특성연구. 2 [전자자료] / 국립환경과학원 인기도
발행사항
인천 : 국립환경과학원, 2013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 통계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NIER-SP ; 2013-243
면수
150
제어번호
MONO1201555238
주기사항
연구기관: 서울대학교
연구책임자: 김상우
영문 초록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4

Abstract 15

Ⅰ. 서론 24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4

제2절 연구의 목적 25

Ⅱ. 연구내용 및 방법 26

제1절 연구개발의 내용 26

1. 에어로졸 광학특성 (AOP; Aerosol Optical Property) 관측 및 분석 26

2. 원격측정 광학장비로서 라이다 (LIDAR)를 이용한 AOP의 연직분포 특성 측정 및 AERONET sun/sky radiometer 측정결과와의 비교 분석 26

3. AERONET sun/sky radiometer, 위성, 라이다 그리고 환경부의 in-situ 에어로졸 데이터와의 연계분석을 통한 3차원 에어로졸 광학 특성 조사 27

제2절 연구추진체계 28

제3절 연구 방법 29

1. sun/sky radiometer 관측 및 AOP 산출 29

2. 라이다 관측을 통한 에어로졸 연직 분포 파악 30

3. 인공위성, in-situ 관측 자료와의 연계분석 32

Ⅲ. 연구결과 및 고찰 34

제1절 에어로졸 광학특성 (AOP; Aerosol Optical Property) 관측 및 분석 34

1. 국내 AERONET 관측소 운영 현황 및 관측 결과 34

2. 2012년 DRAGON 캠페인 기간의 관측 자료 분석 35

제2절 원격측정 광학장비로서 라이다 (LIDAR)를 이용한 AOP의 연직분포 특성 측정 및 AERONET Sun/sky radiometer 측정결과와의 비교 분석 40

1. 백령도 PAP 'POLLY' LIDAR system의 자료 처리 및 분석 프로그램 개발 40

2. 라이다와 Sun/sky radiometer의 연계 분석 및 황사/오염물질 구별 기법 개발 47

제3절 AERONET Sun/sky radiometer, 위성, 라이다 그리고 환경부의 in-situ 에어로졸 데이터와의 연계분석을 통한 3차원 에어로졸 광학 특성 조사 50

1. 지상 및 위성 관측자료를 이용한 DRAGON 캠페인 기간 동안 PM10과 AOD의 시ㆍ공간 분포 특성 분석 50

2. 강원지역 대류권 에어로졸의 중소규모 변동성 63

3. DRAGON 캠페인 기간 입자상 무기이온의 일변화 패턴 74

4. PANDORA와 Brewer 분광 광도계 및 OMI의 오존 전량 비교 분석 90

5. 라이다와 Sun/sky radiometer의 비교 분석을 통한 라이다 상수 산출 101

6. DRAGON 캠페인 시기동안의 중국으로부터의 인위적 기원 장거리 수송이 한반도 에어로졸 광학두께에 미치는 영향 연구 113

7. DRAGON 관측 자료를 활용한 3차원 광화학 모델의 검증 및 자료동화 125

Ⅳ. 결론 134

Ⅴ. 기대성과와 활용방안 139

제1절 기대성과 139

제2절 활용방안 139

Ⅵ. 참고문헌 140

[부록] 국내 연구진 연구 현황 및 향후 논문투고 계획 148

Table 3-1. 2013년 국내 AERONET 관측소에서 관측된 에어로졸 광학두께와 옹스트롬 지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 36

Table 3-2. 백령도 PAP 'POLLY' 라이다 시스템 사양 41

Table 3-3. PM 농도 예측을 위한 다양한 경험적 선형상관관계 모델 56

Table 3-4. DRAGON campaign 기간 동안 서울 지역에서 관측이 수행되었던 AERONET 지점의 공간적 특성 분류와 제공되는 AERONET data level 57

Table 3-5. DRAGON campaign 기간동안 서울지역에서 얻어진 AERONET과 MODIS 관측자료를 다양한 경험적 선형 상관관계 모델에 적용하여 예측한 PM10 농도와 실제 관측 PM10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 58

Table 3-6. 그룹별 평균 농도와 기상 특성 81

Table 3-7. 그룹별 화학 조성 81

Table 3-8. 2012년 겨울 일변화 패턴별 이온 농도, 조성과 기상 특성 88

Table 3-9. Characteristics of OMI and GEMS 93

Fig. 2-1. 제주 고산 관측소에서 2001~2011년 AERONET sun/sky radiometer를 이용하여 관측한 월평균 에어로졸 광학두께와 옹스트롬 지수, 단산란 알베도의 월변화 27

Fig. 2-2. 연구 추진 체계의 모식도 29

Fig. 2-3. DRAGON 캠페인 기간 동안 서울 및 한반도 전역에 설치된 AERONET sun/sky radiometer 관측소 위치 30

Fig. 2-4. 라이다의 관측 원리를 나타낸 도식도 31

Fig. 3-1. 2013년 관측이 수행된 국내 AERONET 관측소 35

Fig. 3-2. 2013년 국내 AERONET 관측소에서 측정된 Level 1.5 에어로졸 광학두께(675 nm)의 일평균 시계열 37

Fig. 3-3. 2013년 국내 AERONET 관측소에서 측정된 Level 1.5 옹스트롬 지수(440-870 nm)의 일평균 시계열 38

Fig. 3-4. 2012년 3~5월 서울대 AERONET 관측소 (Seoul_SNU)에서 관측된 Level 2.0 에어로졸 광학두께 (AOD)와 옹스트롬 지수 (α)의 일평균 시계열 39

Fig. 3-5. 2012년 3~5월 서울대 AERONET 관측소 (Seoul_SNU)에서 관측된 Level 1.5 에어로졸 광학두께 (AOD)와 옹스트롬 지수 (α)의 일평균 시계열 39

Fig. 3-6. 백령도의 PAP 다파장 편광 라이다 시스템 40

Fig. 3-7. 2012년 6월 1~3일 백령도 라이다로 관측된 (a)후방산란강도, (b)편광소멸도, (c)에어로졸 소산계수 46

Fig. 3-8. 2012년 3월 15~20일 백령도 라이다와 Sun/sky radiometer로 관측된 (a)후방산란강도, (b)편광소멸도, (c)황사/오염층, (d) 에어로졸 광학두께 및 옹스트롬 지수 48

Fig. 3-9. Fig. 3-8과 동일. 2012년 3월 31일~4월 1일 관측 결과 49

Fig. 3-10. 미국 IMPROVE에서 관측한 평균 PM2.5 농도 (아래) 와 위성으로부터 산출한 PM10 (위) (Van Donkelaar et al., 2010) 51

Fig. 3-11. 미국에서 측정한 PM2.5와 MODIS 위성으로부터 산출한 AOD와의 상관관계의 지역적 분포 52

Fig. 3-12. DRAGON-NE Asia 2012 캠페인기간 중 배치된 AERONET 설치 지점과 가장 가까운 환경부의 PM10 관측지점 53

Fig. 3-13. 서울대학교에서 MPL로 관측한 후방산란강도 54

Fig. 3-14. AERONET에서 관측한 550nm AOD와 MODIS의 30km 및 10km AOD와의 상관계수 54

Fig. 3-15. PM10 농도 예측을 위한 다양한 경험적 선형 상관관계 모델의 공간적 특성 (NS, TU, RA)에 따른 상관관계 59

Fig. 3-16. Fig. 3-15의 다중 선형 회귀모델인 M6에 AERONET 관측 자료를 적용하여 예측한 PM10 농도와 실제 관측한 PM10농도 사이의 산포도 59

Fig. 3-17. DRAGON campaign 기간 동안 서울 지역에서의 경험적 선형 상관관계 모델의 기울기와 절편값의 공간적 분포 60

Fig. 3-18. MODIS AOD로부터 예측한 서울 지역에서의 시간 평균 PM10 농도의 공간적 분포 61

Fig. 3-19. 강릉원주대학교에 설치된 AERONET과 2 대의 Microtops로 관측한 440, 675, 870nm 파장에서의 에어로졸 광학두께 산포도 66

Fig. 3-20. AERONET 및 Microtops의 관측 지점 69

Fig. 3-21. Fig. 3-20에 나타낸 강릉시 주변에서 두 Microtops과 AERONET으로 관측된 2013년 2월 20일 저농도 에어로졸 사례 (위)와 2013년 3월 8일 고농도 에어로졸 사례 (아래)에서의 440 nm 에어로졸 광학두께 시계열.... 69

Fig. 3-22. Microtops으로 관측된 440, 675, 870 nm에서의 AOD와 옹스트롬 지수, 가강수량의 자기상관계수. 위/아래의 그림은 각각 case 1과 case 2에서의 결과를 나타냄 70

Fig. 3-23. 2013년 3월 26일 옅은 구름이 분포한 사례에서 Microtops와 AERONET 관측으로 산출된 440 nm 에어로졸 광학두께의 시계열 (Case 3으로 명명) 71

Fig. 3-24. 세 사례에서의 440 nm 에어로졸 광학두께의 자기상관계수 71

Fig. 3-25. (a) 2012년 10월 19일 MODIS 550 nm AOD, (b) Fig. 3-25(a)의 점선을 따라 나타낸 AOD (c) Fig. 3-25(a)의 점선을 따라 나타낸 AOD의 자기상관계수. (d~f) Fig. 3-25(a~c)와 동일. 2013년 3월 8일의 결과 73

Fig. 3-26. DRAGON 캠페인 기간 Hankuk_UFS AERONET site. 가운데 아래의 십자는 수원 기상대 위치로 Hankuk_UFS site에서 서남서쪽으로 약 26 km떨어짐 75

Fig. 3-27. PILS와 필터 측정 비교. 점선은 1:1, 실선은 best-fit line 78

Fig. 3-28. 이온합 상위 10%와 하위 10%의 일변화 80

Fig. 3-29. 2012년 봄 전형적 패턴과 고농도 패턴의 일변화. ( )는 전체 일수 대비 분율 84

Fig. 3-30. 2012년 봄 날짜별 일변화 패턴. 가로선은 각각 상위 10%와 하위 10% 농도를 표시 85

Fig. 3-31. 2012년 봄 DRAGON 캠페인 기간 일변화와 비교한 겨울철 일변화 87

Fig. 3-32. 2012년 겨울 날짜별 일변화 패턴. 봄철과 비교를 위하여 봄철의 상위 10%와 하위 10% 농도를 표시 87

Fig. 3-33. R-λ correction 96

Fig. 3-34. Initial 오존은 복사모델로부터 Nvalue와 오존전량의 선형관계를 찾은뒤, 관측 값 Nm이 대응하는 오존을 찾음으로써 구할 수 있다 (왼). Initial 오존 프로파일은 앞서 계산된 initial 오존 값에 해당하는... 97

Fig. 3-35. 서울과 부산에서 PANDORA와 Brewer로 측정된 오존 전량 값 비교 98

Fig. 3-36. 서울지역에서 두 알고리즘 V9 (파랑)과 V8.5 (빨강)으로부터 산출된 오존과 PANDORA로 측정된 오존전량 비교 99

Fig. 3-37. 부산지역에서 두 알고리즘 V9 (파랑)과 V8.5 (빨강)으로부터 산출된 오존과 PANDORA로 측정된 오존전량 비교 100

Fig. 3-38. 서울지역에서 V9과 Brewer의 오존전량 비교 100

Fig. 3-39. 2012년 DRAGON 캠페인 기간 동안 AERONET과 NIES 라이다의 공동관측이 수행된 관측소. 붉은색으로 나타낸 관측소는 캠페인 이전부터 공동관측 수행 101

Fig. 3-40. CALIPSO에서 사용하고 있는 에어로졸 종류에 따른 입경별 부피분포와 532 nm에서의 라이다 상수 (Omar et al., 2004) 103

Fig. 3-41. 라이다와 Sun/sky radiometer를 이용한 라이다 상수 산출 알고리즘 104

Fig. 3-42. 2012년 4월 26~30일 (a)서울, (b)푸쿠에, (c)오사카, (d)츠쿠바에서 라이다 관측으로 산출된 후방산란 강도 105

Fig. 3-43. Fig. 3-42와 동일. 편광소멸도를 나타낸 그림 106

Fig. 3-44. 2012년 3~5월 서울에서 라이다와 AERONET 관측 결과로부터 산출된 라이다 상수의 빈도 분포 107

Fig. 3-45. Fig. 3-44와 동일. 오사카의 관측 결과 107

Fig. 3-46. Fig. 3-44와 동일. 츠쿠바의 관측 결과 108

Fig. 3-47. 2012년 4월 26~30일 서울에서 라이다와 Sun/sky radiometer로 관측된 (a)후방산란강도, (b)편광소멸도, (c)라이다 상수 및 옹스트롬 지수. 보라색과 주황색 선은 CALIPSO에서 사용되는 오염물질과 황사... 110

Fig. 3-48. Fig. 3-47과 동일. 오사카의 관측 결과 111

Fig. 3-49. Fig. 3-47과 동일. 츠쿠바의 관측 결과 112

Fig. 3-50. FlexAOD 프로그램에서 에어로졸 광학두께를 생산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114

Fig. 3-51. 중국 지역을 나타낸 그림 (왼쪽)과 중국에서의 인위적 배출원만으로 이루어진 지표 에어로졸 농도 (오른쪽). 오른쪽 그림의 단위는 μg m-³ 115

Fig. 3-52. DRAGON 캠페인 기간 동안 500 nm (왼쪽)와 674 nm (오른쪽)의 AERONET과 모델에서 모의한 에어로졸 광학두께 비교. 상관계수 (R)와 회귀분석 기울기 (S)를 우측 상단에 나타냄 116

Fig. 3-53. Fig. 3-52와 동일. 550 nm의 Terra (왼쪽)와 Aqua (오른쪽)의 결과 116

Fig. 3-54. DRAGON 관측 기간 (2월15일~5월31일)동안 대한민국의 각 관측지에서의 관측 (검정색 동그라미)과 모델 (붉은색 실선)의 시간별 비교 그래프 117

Fig. 3-55. Fig. 3-54와 동일. 국내 여러 다른 관측소에서의 관측 결과 118

Fig. 3-56. Fig. 3-54와 동일. 국내 여러 다른 관측소에서의 관측 결과 118

Fig. 3-57. 모델과 관측의 상관 계수를 모든 관측지에 대해서 정리한 그래프. 파란색 값은 중국의 인위적 에어로졸 배출원을 제거했을 때의 모델 결과와 관측과의 상관 계수, 파란색과 빨간색이 합쳐진 값은... 119

Fig. 3-58. 중국에서 수송되어오는 인위적 에어로졸의 지표 에어로졸 농도에 대한 기여도. 화살표는 지표면 근처의 바람장을 나타냄 120

Fig. 3-59. 중국에서 수송되어오는 인위적 에어로졸의 연직 적분 에어로졸 농도에 대한 기여도 121

Fig. 3-60. 중국에서 수송되어오는 인위적 에어로졸의 에어로졸 광학두께에 대한 기여도 121

Fig. 3-61. 백령도와 서울, 고산에서의 에어로졸의 지표 농도, 연직 적분 농도, 광학두께의 절대량 (왼쪽) 및 기여도 (오른쪽). 빨간색은 중국에서의 인위적배출 에어로졸에 의한 효과, 파란색은 중국에서의... 123

Fig. 3-62. Fig. 3-61의 세 관측 지점에서의 에어로졸의 연직 적분 농도 의 절대량(왼쪽) 및 기여도(오른쪽)를 상세한 분류로 나타낸 그림. 막대 그래프 가운데 검정색 점선 위쪽은 소수성 에어로졸, 아래쪽은... 124

Fig. 3-63. 상대 습도와 황산염 에어로졸의 크기와의 관계. Seinfeld and Pandis (2006)에서 발췌 124

Fig. 3-64. DRAGON-NE Asia 캠페인을 겨냥한 (a) CMAQ의 모델링 영역 및 (b) 정지궤도위성 센서인 GOCI의 관측 영역 126

Fig. 3-65. AERONET AOD와 Park et al. (2011), Chin et al. (2002), OPAC 모델의 질량소산효율을 적용하여 CMAQ으로부터 산출된 AOD의 비교 127

Fig. 3-66. 서울과 오사카에서의 LIDAR 관측 소산계수와 Park et al. (2011), Chin et al. (2002), OPAC 모델의 질량소산효율을 적용하여 CMAQ으로부터 산출된 소산계수의 연직 비교 128

Fig. 3-67. 각 관측지점에서의 모델 비 및 경험식에 의해 산출된 PM10 자료와 관측 자료간의 비교 129

Fig. 3-68. 정지궤도위성 AOD를 사용한 AOD 및 PM10 Hindcast 연구 흐름도 130

Fig. 3-69. Hindcast 분석 대상인 수도권 지역 및 AERONET, PM10 관측 지점 분포 130

Fig. 3-70. 2012년 4월 20일 PM10 12시간 hindcast 모의 결과 131

Fig. 3-71. 2012년 4월 20일 서울대학교 라이다 자료와 모델의 소산계수 비교 132

Fig. 3-72. 2012년 5월 10일 AOD 12시간 hindcast 모의 결과 132

Fig. 3-73. 2012년 5월 10일 PM10 12시간 hindcast 모의 결과 133

Fig. 3-74. 2012년 5월 10일 서울대학교 라이다 자료와 모델의 소산계수 비교 133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