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권역별 미세먼지(PM2.5) 농도 특성 파악 및 생성과정 연구 : 최종보고서. 3 [전자자료] / 국립환경과학원 인기도
발행사항
인천 : 국립환경과학원, 2013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 통계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NIER-SP ; 2013-194
면수
365
제어번호
MONO1201555276
주기사항
연구기관: 인하대학교 , 경북대학교, 연세대학교, 제주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전남대학교, 에이치시티
책임연구원: 조석연, 김병곤, 임호진, 이동수, 최성득, 강창희, 안진홍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6

Ⅰ. 서론 21

Ⅱ. 연구내용 및 방법 23

1. 과업의 범위 24

2. 연구진 구성 26

3. 연구추진체계 27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9

1. AIM 이온 측정 결과와 AIM 운영방법 개선 30

1.1. AIM 이온 측정 결과 30

1.2. AIM 운영방법 개선 35

1.2.1. IC 교정용액 제조 및 배포 35

1.2.2. Syringe type 'Quartz pre-filter' 제작 및 배포 37

1.2.3. AIM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 표준운용지침) 보완 및 개선 39

1.2.4. Anion 분석 컬럼 수명 연장을 위한 전처리 컬럼 OnGuard P 도입 40

1.3. 결론 및 추후 과제 42

2. 탄소 모니터 개선과 운영 43

2.1. 2012년 탄소 모니터 자료 검증 43

2.1.1. OC-EC 자료 검증 절차 43

2.1.2. BC 자료 검증 절차 45

2.2. 2012년 확정 자료 분석 47

2.2.1. EC와 BC의 상관성 및 농도비 47

2.2.2. 자동측정과 필터측정의 비교 52

2.2.3. 중부권 OC-EC 데이터 분석 58

2.3. 2013년 탄소 모니터 자료 검증 61

2.3.1. OC-EC 자료 검증 절차 61

2.4. 2013년 확정 자료 분석 63

2.4.1. EC와 BC의 상관성 및 농도비 63

2.4.2. 중부권 OC-EC 데이터 분석 70

2.5. 운영방법 개선 71

2.5.1. 표준운용절차 작성 71

2.5.2. 교정 및 검정 방법 개선 71

2.5.3. OC-EC 분리특성 평가 73

2.5.4. 시료 필터 지지체 75

2.5.5. 운영방법 개선을 위한 제안 75

3. 실시간 광학특성 모니터링 77

3.1. 배경 및 필요성 77

3.2. 측정방법 및 자료 검증 78

3.3. 2012년 1~12월간 측정결과 92

3.4. 2013년 1~5월 측정결과 105

3.5. 소산계수를 이용한 시정거리 및 에어로졸 광학두께 산출 111

3.6. 요약 및 결론 113

4. ICP를 이용한 원소 측정자료 검증 114

4.1. 원소성분 ICP 분석 114

4.2. ICP 분석법 QA/QC 119

4.3. ICP, Online XRF, XRF 분석결과 비교 124

5.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측정결과 종합분석 142

5.1. 측정활동 개요 142

5.2. 측정자료 확정 절차와 분석대상 측정 기간 144

5.3. 측정결과 품질관리 145

5.3.1. 여과지 측정결과 품질 관리 146

5.3.2. 반연속 측정결과 품질관리 153

5.4. 미세먼지 조성 측정결과 157

5.4.1. 미세먼지 조성의 연변화 157

5.4.2. 미세먼지 조성의 계절 변화 158

5.4.3. 미세먼지 조성에 수용원 모형 시범 적용 163

5.5. 영남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모니터링 166

5.5.1. 영남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현황 166

5.5.2. 영남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향후 연구계획 169

5.6. 결론 및 추후과제 170

6. 남부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측정자료 심층해석 171

6.1. 2012년 측정 자료 연무현상해석 171

6.1.1. 서론 171

6.1.2. 실험방법 172

6.1.3. 결과 및 고찰 175

6.2. 2013년 측정 자료 해석 195

6.2.1. 준 실시간 측정방법에 의한 미세먼지 화학적 구성성분 특성 195

6.2.2. PM2.5의 일별변동특성 196

6.2.3. 1월 및 5월에 측정된 PM2.5의 화학적 특성의 차이 200

7. 입경분리기 효율성 평가 208

7.1. 적용범위 208

7.1.1. 적용대상 208

7.1.2. 관련근거 208

7.2. 성능평가 208

7.2.1. 성능평가방법 및 절차 208

7.2.2. 기준 측정기 209

7.2.3. 입자 발생기 209

7.2.4. 입자 혼합기 209

7.3. 결과 212

8. PM2.5 등가측정방법 평가 215

8.1. 국외 PM2.5 등가측정 방법 현황 조사 215

8.2. 국외 PM2.5 등가측정방법 인증 217

8.2.1. 미국의 PM2.5 등가측정방법 인증 217

8.2.2. 영국의 PM2.5 등가측정 방법인증 220

8.2.3. 영국의 PM2.5 등가 측정방법 인증 기준 221

8.2.4. 일본의 PM2.5 등가측정 방법인증 223

8.3. PM2.5 등가 측정기 인증안 225

8.3.1. 측정 장소 225

8.3.2. 측정 기간 226

8.3.3. 등가 인증 기준 227

Ⅳ. 결론 228

Ⅴ. 활용방안 및 향후계획 230

향후 추진 과제 제언 231

1.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측정의 지속적인 개선 232

1.1. 여과지를 이용한 PM2.5 조성 측정방법 개선 232

1.2. 반연속 PM2.5 조성 측정방법 개선 235

2. 집중대기 측정소 자료를 이용한 대기 모델링 236

3. 집중대기 측정소와 일반대기 측정소를 연계한 통합 DB 구축 238

Ⅵ. 참고문헌 239

Ⅶ. 부록 244

1. AIM(Ambient Ion Monitor) SOP 245

(A) AIM (Ambient Ion Monitor) SOP 245

(B) Sampler 246

(C) Ion Chromatography (IC) 264

2. Sunset Laboratory 반연속 탄소분석기 표준운용절차(SOP) 295

1. 적용 범위 295

2. 운용 소프트웨어 사용 299

3. 측정 데이터 계산 311

4. 검정과 교정 절차 323

5. 장비 검사, 시험, 유지보수 330

6. 작동 중지 333

3. 대기오염 집중측정소별 Online XRF, XRF, ICP 데이터 성분농도 비교 355

〈Table 2-1〉 본 연구 측정 항목 25

〈Table 2-2〉 대기오염 집중 측정 항목별 책임연구자 27

〈Table 2-3〉 대기오염 집중측정소별 책임연구자 28

〈Table 3-1〉 AIM 이온농도 Flag 할당기준 30

〈Table 3-2〉 2012년도 4~10월 월별 PM2.5 이온농도 MARGA & AIM 비 34

〈Table 3-3〉 양이온, 음이온 교정용액 이온별 농도표 (2012년도 연세대 제작) 35

〈Table 3-4〉 양이온, 음이온 교정용액 이온별 농도표 (2013년도 연세대 제작, NO₂- 제외) 37

〈Table 3-5〉 각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Syringe type hydrophilic nylon 필터 교체시기 38

〈Table 3-6〉 2012년 OC, EC 측정 모니터의 데이터 유효율 45

〈Table 3-7〉 2012년 BC 데이터 유효율 47

〈Table 3-8〉 2013년 OC, EC 측정 모니터의 데이터 유효율 62

〈Table 3-9〉 2013년 BC 데이터 유효율 62

〈Table 3-10〉 검정 및 교정 주기 및 정상상태 판단 기준 73

〈Table 3-11〉 품질 검증 전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서울, 백령도, 대전, 광주)의 2012년 1~12월과 2013년 1~5월간 PM2.5, PM10, σsp 자료 취득률 81

〈Table 3-12〉 품질 검증 후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서울, 백령도, 대전, 광주)의 2012년 1~12월과 2013년 1~5월간 PM2.5, PM10, σsp 자료 취득률 90

〈Table 3-13〉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의 2012년 1~12월간 월별 σsp 평균 및 표준편차 94

〈Table 3-14〉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의 2012년 1~12월간 월별 PM2.5의 평균 및 표준편차 95

〈Table 3-15〉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의 2013년 1~5월간 월별 σsp 평균 및 표준편차 106

〈Table 3-16〉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의 2013년 1~5월간 월별 PM2.5의 평균 및 표준편차 106

〈Table 3-17〉 ICP-OES 기기조건 및 기기검출한계 115

〈Table 3-18〉 ICP-MS 기기조건 및 기기검출한계 116

〈Table 3-19〉 CRM 회수율 측정 결과 (NIST SRM 2584) 121

〈Table 3-20〉 CRM 회수율 측정 결과 (NIST SRM 2711) 122

〈Table 3-21〉 CRM 회수율 측정 결과 (NIST SRM 1646a) 123

〈Table 3-22〉 Online XRF, XRF, ICP에 의한 PM2.5 원소성분 분석농도 126

〈Table 3-23〉 ICP, Online XRF, XRF 분석 데이타 간 상관성 127

〈Table 3-24〉 대기오염 집중측정소별 ICP, Online XRF, XRF 데이타 상관성 128

〈Table 3-25〉 측정 장비별 사업 추진 체제 142

〈Table 3-26〉 QA/QC 수준별 구분 및 주요내용 143

〈Table 3-27〉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DQI와 항목별 DQO 안 145

〈Table 3-28〉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여과지 측정방법 가동률 현황 146

〈Table 3-29〉 이온농도 측정결과의 정도관리 항목 146

〈Table 3-30〉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여과지 측정방법의 이온농도 내부일치도 평가 결과 147

〈Table 3-31〉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여과지 측정방법에서 측정질량과 재구성질량 간 상관성 151

〈Table 3-32〉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에서 2011년과 2012년 주요 이온 DQO 만족률 155

〈Table 3-33〉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에서 2011년과 2012년 탄소성분 DQO 만족률 157

〈Table 3-34〉 2012년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여과지 측정방법 측정결과 158

〈Table 3-35〉 영남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장비운영 현황 (2013년 11월 현재) 168

〈Table 3-36〉 준 실시간 PM2.5의 월 평균 화학적 조성자료 요약 196

〈Table 3-37〉 sampler의 절단입경과 성능평가 값으로 구한 sharpness 213

〈Table 3-38〉 미국, 일본, 영국의 등급 III PM2.5 등가측정방법 현황 216

〈Table 3-39〉 미국의 등가측정방법 인증시 필수 측정지점수, 측정기기수, 측정회수 217

〈Table 3-40〉 미국의 등가측정방법 시험을 위한 측정 지점과 기간 선정 내용 218

〈Table 3-41〉 영국의 등가측정방법 시험을 위한 측정 지점과 기간 선정 내용 221

〈Table 3-42〉 PM2.5 등가인증 시험 장소로 선정된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226

〈Table 3-43〉 등가인증 기준안 227

〈Fig. 2-1〉 연구진 편성표 26

〈Fig. 3-1〉 연도별(2011~2013년)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확정데이터(Flag 1~3 적용) 유효율 31

〈Fig. 3-2〉 연도별(2011~2013년)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확정데이터(Flag 1~5 적용) 유효율 31

〈Fig. 3-3〉 2012년도 6~12월 대기오염 집중측정소별 이온균형 그래프(Flag 1~3 적용, 남부권 11,12월) 32

〈Fig. 3-4〉 2013년도 1~5월 대기오염 집중측정소별 이온균형 그래프(Flag 1~3 적용, 백령도 제외) 33

〈Fig. 3-5〉 2012년 4~10월 수도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PM2.5 이온성분 측정 장비 AIM과 MARGA의 산출농도 비교 34

〈Fig. 3-6〉 냉동보관에 따른 NO₂- 농도변화 36

〈Fig. 3-7〉 중부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AIM-IC(2mm system) 음이온 크로마토그램 40

〈Fig. 3-8〉 중부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AIM-IC(2mm system) 음이온 크로마토그램 41

〈Fig. 3-9〉 2012년 대기오염 집중측정소별 계산 프로그램 인자인 검정용 가스 탄소양(CalConst)와 필터면적(punch area) 값의 변화. (a) 수도권 (b) 남부권 (c) 중부권 (d) 백령도 44

〈Fig. 3-10〉 2012년 수도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의 반연속 탄소분석기의 EC 농도와 Aethalometer BC 농도의 상관관계 48

〈Fig. 3-11〉 2012년 남부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의 반연속 탄소분석기의 EC 농도와 Aethalometer BC 농도의 상관관계 49

〈Fig. 3-12〉 2012년 중부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의 반연속 탄소분석기의 EC 농도와 Aethalometer BC 농도의 상관관계 50

〈Fig. 3-13〉 2012년 백령도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의 반연속 탄소분석기의 EC 농도와 Aethalometer BC 농도의 상관관계 51

〈Fig. 3-14〉 2012년 월평균 BC/EC 농도비 51

〈Fig. 3-15〉 2012년 자동 및 수동측정 OC 농도의 상관관계 (a) 수도권 (b) 남부권 (c) 중부권 (d) 백령도 52

〈Fig. 3-16〉 2012년 자동 및 수동측정 EC 농도의 상관관계 (a) 수도권 (b) 남부권 (c) 중부권 (d) 백령도 53

〈Fig. 3-17〉 2012년 자동 및 필터측정 OC 농도의 경시변화 (a) 수도권 (b) 남부권 (c) 중부권 (d) 백령도 54

〈Fig. 3-18〉 2012년 자동 및 필터측정 EC 농도의 경시변화 (a) 수도권 (b) 남부권 (c) 중부권 (d) 백령도 56

〈Fig. 3-19〉 2012년 중부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의 반연속 탄소분석기의 OC와 EC 농도의 일간변화 59

〈Fig. 3-20〉 2012년 중부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의 반연속 탄소분석기의 OC와 EC 농도의 주간변화 60

〈Fig. 3-21〉 2013년 대기오염 집중측정소별 검정용 가스 탄소양(CalConst)과 필터면적(punch area) 값의 변화 (a) 수도권 (b) 남부권 (c) 중부권 (d) 제주도 61

〈Fig. 3-22〉 2013년 수도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의 반연속 탄소분석기의 EC 농도와 Aethalometer BC 농도의 상관관계 63

〈Fig. 3-23〉 2013년 남부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의 반연속 탄소분석기의 EC 농도와 Aethalometer BC 농도의 상관관계 64

〈Fig. 3-24〉 2013년 중부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의 반연속 탄소분석기의 EC 농도와 Aethalometer BC 농도의 상관관계 64

〈Fig. 3-25〉 2013년 제주도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의 반연속 탄소분석기의 EC 농도와 Aethalometer BC 농도의 상관관계 65

〈Fig. 3-26〉 2013년 월평균 BC/EC 농도비 65

〈Fig. 3-27〉 2013년 수도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EC와 BC 농도의 경시변화 66

〈Fig. 3-28〉 2013년 남부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EC와 BC 농도의 경시변화 67

〈Fig. 3-29〉 2013년 중부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EC와 BC 농도의 경시변화 68

〈Fig. 3-30〉 2013년 제주도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EC와 BC 농도의 경시변화 69

〈Fig. 3-31〉 2013년 중부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의 반연속 탄소분석기의 OC와 EC 농도의 일간변화 70

〈Fig. 3-32〉 2013년 중부권 측정소의 반연속 탄소분석기의 OC와 EC 농도의 주간변화 71

〈Fig. 3-33〉 실제 탄소 양과 기존 CalConst 값을 이용하여 구해진 탄소 값의 상관관계와 회귀식의 예 72

〈Fig. 3-34〉 OC-EC 분석에 대한 장비 간 비교 및 장기적 안정성 평가 개념도 73

〈Fig. 3-35〉 서울, 백령도, 대전, 광주지점의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위치 79

〈Fig. 3-36〉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의 네펠로메터 장비 80

〈Fig. 3-37〉 에어로졸 산란계수(σsp)의 자료 검증 절차 82

〈Fig. 3-38〉 2012년 서울, 백령도, 대전, 광주의 PM2.5와 산란계수간의 99% 신뢰수준 및 선형성 검토(QC전) 84

〈Fig. 3-39〉 2012년 서울, 백령도, 대전, 광주의 PM2.5와 산란계수간의 99% 신뢰수준 및 선형성 검토(QC후) 85

〈Fig. 3-40〉 2012년 서울지점의 계절별 PM2.5 질량농도와 550nm 산란계수 산포도 86

〈Fig. 3-41〉 2012년 백령도 지점의 계절별 PM2.5 질량농도와 550nm 산란계수 산포도 87

〈Fig. 3-42〉 2012년 대전 지점의 계절별 PM2.5 질량농도와 550nm 산란계수 산포도 88

〈Fig. 3-43〉 2012년 광주지점의 계절별 PM2.5 질량농도와 550nm 산란계수 산포도 89

〈Fig. 3-44〉 2012년 QC 후 서울(a), 백령도(b), 대전(c), 광주(d)의 3개 파장(450nm: 보라색실선, 550nm: 초록색실선, 700nm: 붉은색실선)에 대한 σsp의 연 변화 93

〈Fig. 3-45〉 2012년간 서울, 백령도, 대전, 광주의 σsp의 주중ㆍ주말변동(1%, 5%, 25%, 50%,75%, 95%, 99%, 평균) 96

〈Fig. 3-46〉 2012년간 서울, 백령도, 대전, 광주의 PM2.5의 주중ㆍ주말변동(1%, 5%, 25%, 50%, 75%, 95%, 99%, 평균) 97

〈Fig. 3-47〉 2012년간 서울, 백령도, 대전, 광주의 σsp의 일변화(1%, 5%, 25%, 50%, 75%,95%, 99%, 평균) 98

〈Fig. 3-48〉 2012년간 서울, 백령도, 대전, 광주의 PM2.5의 일변화(1%, 5%, 25%, 50%, 75%, 95%, 99%, 평균) 99

〈Fig. 3-49〉 2012년 1~12월간 서울지점의 상대습도 등급에 따른 PM2.5와 σsp의 산포도 101

〈Fig. 3-50〉 2012년 1~12월간 백령도지점의 상대습도 등급에 따른 PM2.5와 σsp의 산포도 102

〈Fig. 3-51〉 2012년 1~12월간 대전지점의 상대습도 등급에 따른 PM2.5와 σsp의 산포도 103

〈Fig. 3-52〉 2012년 1~12월간 광주지점의 상대습도 등급에 따른 PM2.5와 σsp의 산포도 104

〈Fig. 3-53〉 QC 과정 후 서울 (a), 백령도 (b), 대전 (c), 광주 (d)의 3개 파장에 대한 σsp의 1~5월 변화 105

〈Fig. 3-54〉 서울, 대전, 광주의 2013년 1~5월간 σsp 주중ㆍ주말변동 107

〈Fig. 3-55〉 서울, 대전, 광주의 2013년 1~5월간 PM2.5 주중ㆍ주말변동 108

〈Fig. 3-56〉 서울, 대전, 광주의 2013년 1~5월간 σsp의 일변화 109

〈Fig. 3-57〉 서울, 대전, 광주의 2013년 1~5월간 PM2.5 일변화 110

〈Fig. 3-58〉 서울(좌)과 백령도(우)지점의 4km 간격 시정변화와 σsp 간의 관계 및 지점간의 시정식 도출 111

〈Fig. 3-59〉 네펠로메터의 산란계수를 이용하여 계산된 Ta(Tcal)과 AERONET의 Ta(TAERONET) 비교 112

〈Fig. 3-60〉 ICP-OES 원소분석 검정곡선 117

〈Fig. 3-61〉 ICP-MS 원소분석 검정곡선 118

〈Fig. 3-62〉 CRM 원소성분 회수율 비교 123

〈Fig. 3-63〉 Online XRF, XRF, ICP에 의한 PM2.5 원소 분석농도 비교 (Fe, S, Ca, Ti, Mn, V, Cr, Pb, Ni, Ba, Zn, Cu) 129

〈Fig. 3-64〉 Online XRF, XRF, ICP에 의한 PM2.5 원소 분석농도 비교 (K, Cd, As, Se, Mo, Sr, Co, Si, Br, Hg) 130

〈Fig. 3-65〉 ICP와 Online XRF(좌), ICP와 XRF(우) 데이터 간 상관성 (Fe, S, Ca, Ti) 131

〈Fig. 3-66〉 ICP와 Online XRF(좌), ICP와 XRF(우) 데이터 간 상관성 (Mn, V, Cr, Pb) 132

〈Fig. 3-67〉 ICP와 Online XRF(좌), ICP와 XRF(우) 데이터 간 상관성 (Ni, Ba, Zn, Cu) 133

〈Fig. 3-68〉 ICP와 Online XRF(좌), ICP와 XRF(우) 데이터 간 상관성 (K, Cd, As, Se) 134

〈Fig. 3-69〉 ICP와 XRF 데이터 간 상관성 (Sr, Co, Mo) 135

〈Fig. 3-70〉 지역별 ICP와 Online XRF(좌), ICP와 XRF(우) 데이터 간 상관성 (Fe, S, Ca) 136

〈Fig. 3-71〉 지역별 ICP와 Online XRF(좌), ICP와 XRF(우) 데이터 간 상관성 (Ti, Mn, V) 137

〈Fig. 3-72〉 지역별 ICP와 Online XRF(좌), ICP와 XRF(우) 데이터 간 상관성 (Cr, Pb, Ni) 138

〈Fig. 3-73〉 지역별 ICP와 Online XRF(좌), ICP와 XRF(우) 데이터 간 상관성 (Ba, Zn, Cu) 139

〈Fig. 3-74〉 지역별 ICP와 Online XRF(좌), ICP와 XRF(우) 데이터 간 상관성 (K, Cd, As) 140

〈Fig. 3-75〉 지역별 ICP와 Online XRF(좌), ICP와 XRF(우) 데이터 간 상관성 (Se, Sr, Co, Mo) 141

〈Fig. 3-76〉 집중대기 측정소의 자료 확정 절차 144

〈Fig. 3-77〉 수도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에서 2012년도 이온수지와 NH₃ 산출치 148

〈Fig. 3-78〉 남부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에서 2012년도 이온수지와 NH₃ 산출치 148

〈Fig. 3-79〉 백령도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에서 2012년도 이온수지와 NH₃ 산출치 149

〈Fig. 3-80〉 중부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에서 2012년도 이온수지와 NH₃ 산출치 150

〈Fig. 3-81〉 제주도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에서 2012년도 이온수지와 NH₃ 산출치 150

〈Fig. 3-82〉 수도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에서 2012년 측정질량과 재구성 질량 간 선형회귀식 152

〈Fig. 3-83〉 중부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에서 2012년 측정질량과 재구성 질량 간 선형회귀식 152

〈Fig. 3-84〉 수도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에서 여과지식과 반연속식 방법으로 측정한 SO₄2- 비교 153

〈Fig. 3-85〉 수도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에서 여과지식과 반연속식 방법으로 측정한 NO₃- 비교 154

〈Fig. 3-86〉 수도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에서 여과지식과 반연속식 방법으로 측정한 NH₄+ 비교 154

〈Fig. 3-87〉 수도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에서 여과지식과 반연속식 방법으로 측정한 OC 비교 156

〈Fig. 3-88〉 수도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에서 여과지식과 반연속식 방법으로 측정한 EC 비교 156

〈Fig. 3-89〉 수도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에서 2011년과 2012년 PM2.5 조성 월변화 159

〈Fig. 3-90〉 백령도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에서 2011년과 2012년 PM2.5 조성 월변화 160

〈Fig. 3-91〉 남부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에서 2011년과 2012년 PM2.5 조성 월변화 161

〈Fig. 3-92〉 중부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에서 2011년과 2012년 PM2.5 조성 월변화 162

〈Fig. 3-93〉 제주도 대기오염 집중측정소에서 2012년 PM2.5 조성 월변화 163

〈Fig. 3-94〉 수도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자료에 UNMIX 적용결과('11년 12월~'12년 2월) 165

〈Fig. 3-95〉 백령도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자료에 UNMIX 적용결과('11년 12월~'12년 2월) 166

〈Fig. 3-96〉 영남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설립 목적 167

〈Fig. 3-97〉 영남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위치 167

〈Fig. 3-98〉 PM2.5 농도와 PM2.5 중 중금속과 탄소의 비율 169

〈Fig. 3-99〉 남부권 대기오염 집중측정소 173

〈Fig. 3-100〉 2012 1~2월 PM2.5와 주요 구성성분들의 시간별 농도추이 178

〈Fig. 3-101〉 2012년 1월 연무 에피소드 시 PM2.5, OC/EC, SO₄²-/NO₃-/NH₄+, K+, O₃ 및 CO/SO₂의 시간별 농도추이 179

〈Fig. 3-102〉 2012년 1월 8~20일 사이의 풍속, 풍향, 대기온도 및 상대습도의 시간별 변화 180

〈Fig. 3-103〉 연무 에피소드 I과 II 기간 중 EC와 OC 및 K+, OC 및 SO₄²- 농도사이의 상관관계 181

〈Fig. 3-104〉 연무 에피소드 I 기간 중 PM2.5, EC, BC, OC, NO₃-, SO₄²-, NH₄+ 및 K+ 농도의 PSCF 결과 (100~1500m AGL) 182

〈Fig. 3-105〉 연무 에피소드 II 기간 중 PM2.5, EC, BC, OC, NO₃-, SO₄²-, NH₄+ 및 K+ 농도의 PSCF 결과 (100~1500m AGL) 183

〈Fig. 3-106〉 PM2.5 농도의 측정치와 계산치의 비교 185

〈Fig. 3-107〉 (a) PM2.5, (b) OC와 EC, (c) SO₄²-, NO₃- 및 NH₄+, (d) K+ 농도변화 187

〈Fig. 3-108〉 (a) EC, (b) OC, (c) NO₃-, (d) SO₄²- , (e) 대기온도, (f) 상대습도의 시간별 변화 188

〈Fig. 3-109〉 연무 에피소드 기간 중 PM2.5, OC/EC/BC, SO₄²-/NO₃-/NH₄+, K+, O₃ 및 CO/SO₂ 농도의 시간변화 190

〈Fig. 3-110〉 연무 에피소드 기간 중 기상자료의 시간변화 191

〈Fig. 3-111〉 중국 북동부 (dotted circle)와 남동부 (solid circle)에서 관측된 산불연기 (3월 25일~4월 10일) (왼쪽 그림)와 4월 9일에 계산된 기단의 이동경로 191

〈Fig. 3-112〉 연무기간 중 K+, BC, EC, CO, OC, 및 SO₄²- 농도사이의 상관관계 192

〈Fig. 3-113〉 100~1500m AGL 사이의 고도에서 100m 간격으로 계산한 EC, OC, SO₄²- 및 K+ 농도의 PSCF 결과 195

〈Fig. 3-114〉 2013년 월별 PM2.5의 평균화학적 조성자료 196

〈Fig. 3-115〉 월별 PM2.5, EC, OC, NO₃-, SO₄²-, alc NH₄+ 농도의 일별변화 198

〈Fig. 3-116〉 월별 PM2.5에 대한 EC, OM, NO₃-, SO₄2- 및 NH₄+ 농도의 일별 기여율 199

〈Fig. 3-117〉 2013년 1월에 측정한 PM2.5, OC, EC, SO₄²- NO₃- 및 NH₄+의 시간별 농도변화 202

〈Fig. 3-118〉 2013년 5월에 측정한 PM2.5, OC, EC, SO₄²-, NO₃- 및 NH₄+의 시간별 농도변화 203

〈Fig. 3-119〉 PM2.5 측정치와 계산치, OC와 EC 및 [NO₃-+2SO₄²- ]와 [NH₄+]의 상관관계 204

〈Fig. 3-120〉 1월과 5월에 측정된 BC880nm와 BC370nm 및 K와 K+ 농도 사이의 관계 205

〈Fig. 3-121〉 2013년 1월 10~16일 사이의 PM2.5, EC, OC, NO₃-, SO₄²-, NH₄+ 및 K+ 농도의 PSCF 결과 (100~1500m AGL) 206

〈Fig. 3-122〉 2013년 1월 19~24일 사이의 PM2.5, EC, OC, NO₃-, SO₄²-, NH₄+ 및 K+ 농도의 PSCF 결과 (100~1500m AGL) 207

〈Fig. 3-123〉 실험 개략도 209

〈Fig. 3-124〉 측정 시스템 실사 210

〈Fig. 3-125〉 2.5 μm dolomit 입자 분포도 212

〈Fig. 3-126〉 사 형 임팩터 절단입경 A F 분포 213

〈Fig. 3-127〉 입경분리 효율평가 시스템 CFD 결과 예 214

〈Fig. 3-128〉 제어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시작 화면 214

〈Fig. 3-129〉 미국 PM2.5 등가 측정방법의 선형회귀식의 허용 기울기와 절편 219

〈Fig. 3-130〉 미국 PM2.5 등가 측정방법의 허용 상관계수 220

〈Fig. 3-131〉 품질관리 수법에 기반한 일본 등가 기준 225

〈Fig. 5-1〉 IMPROVE 샘플러 232

〈Fig. 5-2〉 MASS 샘플러 233

〈Fig. 5-3〉 SASS 샘플러 234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