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청년문제에 대한 문화정책적 접근을 위한 기초연구 / 연구책임: 박영정 ; 공동연구: 박소현, 박진수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5
청구기호
353.7 -16-4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i, 225 p. : 삽화, 표 ; 25 cm
총서사항
기본연구 ; 2015-36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0355774
제어번호
MONO1201602458
주기사항
부록: 청년층 문화인식 및 문화정책 수요조사 설문지 및 설문결과
참고문헌: p. 184-192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개요 4

제1장 서론 23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24

1. 연구 배경 24

2. 연구 목적 34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36

1. 연구 범위 36

2. 연구 방법 38

제2장 청년 개념 및 담론 분석 41

제1절 생애과정의 탈표준화와 연장된 청년기: 발달이론적 관점 42

1. 청년기의 분화: 발달이론에 따른 청년기와 발달과업 42

2. 생애주기/생애과정의 탈표준화와 청년문제: 성인기 이행의 곤란 45

3. 연장된 청년기: 성인기 이행의 지연에 따른 청년기의 재개념화 49

제2절 청년세대론의 범람과 혼란: 세대담론의 관점 52

1. 청년세대론의 범람: 언론의 청년세대론과 당사자 담론의 격차 52

2. '청년세대' 연구의 동향 56

3. 청년세대 담론 비판: 세대주의의 한계와 세대상황의 복잡성 63

제3절 문화세대로서의 청년: 청년문화론의 관 67

1. 1970년대 한국 청년문화론의 등장 67

2. 1990년대 이후 문화세대론: 문화소비 및 넷세대 정체성 68

제3장 통계로 본 청년세대의 삶 70

제1절 인구통계로 본 청년의 삶 71

1. 청년인구 감소와 청년 1인가구 증가 71

2. 청년 초혼연령의 지연: N포세대의 단면 74

제2절 경제활동통계로 본 청년의 삶 76

1. 청년층의 경제활동비율과 실업률 76

2. 실업으로 인한 청년빈곤의 발생 83

제3절 문화예술통계로 본 청년의 삶 88

1. 청년층의 문화인식과 문화활동(1): 문화향수실태조사 88

2. 청년층의 문화인식과 문화활동(2): 본 연구 조사결과 92

3. 청년층의 문화의존도와 삶의 질 관계: 본 연구 조사결과 97

제4장 국내외 청년정책 현황 및 사례 분석 104

제1절 청년에 대한 정책적 정의: 청년정책의 다변화 필요성 105

1. 청년은 연령으로 특정가능한가: 연령범주의 이론적ㆍ정책적 혼란 105

2. 청년 개념의 정책적 도입 이전: 미성년, 청소년, 아동의 연령범위 108

3. 청년 개념의 정책적 정의 도입 이후: 청소년과 청년의 연령범위 111

4. 청소년이면서 청년인 양가적 범주: 청년정책의 다변화 필요성 113

제2절 정부 차원의 청년정책: 고용창출정책 중심 115

1. 범정부 차원의 청년고용 창출정책 115

2. 문화체육관광부의 청년정책 121

제3절 지자체 차원의 청년정책: 청년정책 붐과 정책영역 확대 129

1. 지자체의 청년정책 방향: 일자리 및 복지 중심의 청년정책 붐 129

2. 지자체의 청년 관련 문화예술정책 동향 133

3. 주요 지자체의 청년정책 사례 142

제4절 해외 청년정책의 동향 및 사례 151

1. OECD 차원의 청년정책 151

2. EU 차원의 청년정책 154

3. 영국의 청년정책 158

4. 독일의 청년정책 160

5. 미국의 청년정책 163

6. 일본의 청년정책 166

제5장 청년 문화정책 수립을 위한 제언 169

제1절 청년 문화정책 수립의 필요성 170

1. 청년문제 심화에 따른 청년정책 변화 필요성 170

2. 청년을 위한 문화정책의 부재 173

제2절 청년 문화정책의 대상과 범위 설정 175

1. 청년 문화정책의 대상 175

2. 청년 문화정책의 적용 범위 설정을 위한 전제들 176

제3절 청년을 위한 문화정책 제언 178

1. 청년문화정책포럼(네트워크) 구성: 당사자 중심의 정책적 의사결정을 통한 청년 '문화권' 보장 178

2. 문화정책의 홍보 및 공유 활성화: 청년의 문화정책 인지도 및 참여제고를 위한 기반 구축 179

3. 청년문화패스의 도입: 문화세대를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 및 미래 관객개발의 선순환 181

4. 청년 문화공간의 확충 및 문화를 통한 청년공간의 개선: 문화를 통한 삶의 질 향상 및 사회적 관계의 회복 183

5. 대학(원)생 및 취업준비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정책 신설: 정책 사각지대의 해소 186

6. 문화분야 취업 및 근로 여건 개선: 일자리의 불안정성 및 질적 수준 개혁 188

7. 장벽 없는 일자리 및 문화여가 정책의 추진: 기존 정책 영역의 탈경계적 재검토 및 협업 활성화 190

8. 세대간 이해와 협업을 통한 청년세대의 삶의 질 향상 191

제6장 결론 194

참고문헌 198

ABSTRACT 207

[부록 1] 청년층 문화인식 및 문화정책 수요조사 설문지 209

[부록 2] 청년층 문화인식 및 문화정책 수요조사 설문결과 218

판권기 238

〈표 1-1〉 청년세대에 대한 언론보도(2015.03.-2015.07.) 24

〈표 1-2〉 청년실업에 대한 언론보도(2015.03.-2015.07.) 27

〈표 1-3〉 온라인 설문조사 내용의 구성 39

〈표 1-4〉 설문조사 개요 40

〈표 2-1〉 해비거스트의 청년기 발달과업 44

〈표 2-2〉 2008-2012년 신문 기사에 나타난 청년세대 명칭들 53

〈표 2-3〉 청년세대 취업 관련 신조어 사례 및 인식 수준 56

〈표 2-4〉 청년세대 연구 분류(2) 57

〈표 2-5〉 넷세대(Net-Generation)를 나타내는 8가지 기준(norm) 69

〈표 3-1〉 연령별 인구비율(2010) 71

〈표 3-2〉 가구원수별 가구구성과 평균 가구원수-1인 가구 비율 72

〈표 3-3〉 평균 초혼 연령 74

〈표 3-4〉 경제활동비율(2015.03)-전체 연령계층별 76

〈표 3-5〉 현재 및 전망 체감 경제고통지수 77

〈표 3-6〉 주요국 실업률 및 고용률 비교(2012년 기준) 78

〈표 3-7〉 청년층의 첫 취업 소요기간 82

〈표 3-8〉 대학생 월평균 아르바이트 급여 85

〈표 3-9〉 대출 금액별 응답자 비율 86

〈표 3-10〉 성별 연령별 문화예술행사 관람률 및 관람 횟수 89

〈표 3-11〉 문화예술행사 관람 기준-문화예술행사 관람 의향자 90

〈표 3-12〉 서울시민 문화향유 실태조사 91

〈표 3-13〉 응답자가 생각하는 문화활동과 가장 가까운 의미 93

〈표 3-14〉 문화활동이 자신의 고민과 걱정을 감소시킨다는 데에 대한 견해 93

〈표 3-15〉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문화활동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견해 94

〈표 3-16〉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문화활동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이유 94

〈표 3-17〉 응답자가 생각하는 일상 모습 중 문화활동으로 생각되는 행위 95

〈표 3-18〉 온라인 상의 문화활동 인식(평점비교) 96

〈표 3-19〉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문화활동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이유 97

〈표 3-20〉 문화활동 관심 정도 97

〈표 3-21〉 주 1회 이상 정기적으로 문화활동을 즐기는지의 여부 98

〈표 3-22〉 목적달성을 위한 문화활동의 도움 정도(평점비교) 98

〈표 3-23〉 삶의 만족도 99

〈표 3-23-1〉 현재 삶에 만족하지 않는 이유 99

〈표 3-23-2〉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문화활동의 중요성 100

〈표 3-23-3〉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문화활동이 중요한 이유 100

〈표 3-24〉 좋아하는 문화활동을 하기 위해 지불하는 비용은 아깝지 않은지의 여부 100

〈표 3-25〉 취업 또는 재취업 시 가장 중요한 요소 101

〈표 3-25-1〉 문화생활을 위한 연봉 포기 정도(연봉 4천만원 기준) 102

〈표 3-26〉 문화활동 실제 참여 정도 102

〈표 3-27〉 문화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응답자-참여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 103

〈표 4-1〉 청(소)년발달이론 106

〈표 4-2〉 '청년'에 대한 법적ㆍ정책적 정의 및 연령 범위 108

〈표 4-3〉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의 주요활동 및 사업(2015년) 116

〈표 4-4〉 청년 고용절벽 해소 대책 주요내용(요약) 117

〈표 4-5〉 교육부의 청년정책(2009년~) - 취업지원 정책 121

〈표 4-6〉 지방자치단체 및 유관 기관의 청년 관련 정책 사례 132

〈표 4-7〉 지자체의 청년 문화예술정책 구분 - 사업 대상 134

〈표 4-8〉 서울특별시 내 자치단체의 청년 관련 정책 143

〈표 4-9〉 서울시의 청년 일자리정책 144

〈표 4-10〉 서울시의 청년 주거 지원정책(비교 정부) 145

〈표 4-11〉 서울시의 청년 생활 지원정책 146

〈표 4-12〉 서울시 청년허브의 주요활동 및 사업 147

〈표 4-13〉 부산광역시 청년문화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2015.1.1. 개정) 148

〈표 4-14〉 OECD 청년실천계획 152

〈표 4-15〉 OECD의 3개 우선 지원 청년 그룹 153

〈표 4-16〉 EU 집행위원회의 정책 제안서 주요내용 154

〈표 4-17〉 유럽의 청년 일자리 정책 156

〈표 4-18〉 유럽의 청년대상 문화예술정책 157

〈표 4-19〉 「Young People and the Arts: a consultation(2014)」에 명시된 예술과 문화의 중요성 159

〈표 4-20〉 독일의 일자리 창출 정책 161

〈표 4-21〉 독일의 고용알선 및 근로자 능력향상 정책 161

〈표 4-22〉 독일의 청년 일자리 정책 162

〈표 4-23〉 미국의 청년 일자리 정책 164

〈표 4-24〉 일본의 청년 일자리 정책 166

〈표 4-25〉 일본-문화예술입국 중기 플랜(2014.3.) 168

[그림 1-1] 청년 실업률 추이 및 취업 현황 28

[그림 1-2] 국내 아르바이트 인력 규모 28

[그림 1-3] 청년 니트족의 정의와 범위 29

[그림 1-4] 경제행복지수 변동 및 원인(2015) 30

[그림 1-5] 10년 후 중요한 10대 이슈 33

[그림 1-6]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의 청년 범위 설정 37

[그림 2-1] 청년세대 연구 분류(1) 57

[그림 3-1] 한국사회 인구 피라미드의 변화 추이 72

[그림 3-2] 최근 1인 가구의 증가 이유 73

[그림 3-3] "남자는 28세, 여자는 79세에서 1인 가구 비율 최고" 73

[그림 3-4] 20대 연애ㆍ결혼ㆍ출산에 대한 인식 종합 비교 75

[그림 3-5] 연령별 공식 실업률ㆍ체감실업률 비교 77

[그림 3-6] 청년층이 현실적으로 받을 수 있는 연봉과 희망 연봉 비교 79

[그림 3-7] 첫 직장이 1년 이하 계약직인 청년 취업자 비중 79

[그림 3-8] 청년층의 취업 준비(자기소개서 작성) 시 떠올리는 생각 80

[그림 3-9] 청년층의 취업 준비 시 주변 관계와의 갈등 경험 80

[그림 3-10] 3050세대가 바라보는 20대 81

[그림 3-11] 청년층의 취업 준비 83

[그림 3-12] 15세~34세 중 아르바이트로 생활을 유지하는 사람의 추이 84

[그림 3-13] 아르바이트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동기) 84

[그림 3-14] 주거 유형별 월 평균 지출 금액과 소득 금액 85

[그림 3-15] 응답자 유형별 고위험 아르바이트 참여 비율 86

[그림 3-16] 국내 프리터 증가추이 87

[그림 3-17] 성별 연령별 예술행사 관람횟수 88

[그림 3-18] 예술행사 관람 의향 90

[그림 3-19] 분야별 매체를 통한 이용 경험 90

[그림 4-1] 청소년과 청년의 연령 범주 108

[그림 4-2]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의 청년 범위 115

[그림 4-3] 청년희망아카데미 사업개념도 119

[그림 4-4] 고용노동부의 청년 정책 120

[그림 4-5] 문화체육관광분야 예상 종사자 수 및 관광객 수 추이 124

[그림 4-6] 문화산업 성장단계별 지원 단계 127

[그림 4-7] 경기도 순유입 인구의 연령별 비중 130

[그림 4-8] 서울시 청년허브 활동 147

[그림 4-9] 지역문화진흥법에 대한 부산의 대응과제 149

[그림 5-1] 청년들을 위한 공유주택 사례 184

[그림 5-2] 청년 중 학생 및 취업자 비중 비교 185

[그림 5-3] 중소/중견기업 취업자 근속년수 분포도 189

[그림 5-4] 연령별 취업자수 192

〈표 1〉 세대별 문화활동을 규정하는 정의 218

〈표 2〉 세대별 문화활동 특성(평점비교) 219

〈표 3〉 온라인 상의 문화활동 인식(평점비교) 220

〈표 4〉 일상적 모습 중 문화활동으로 생각하는 행위 221

〈표 5〉 목적달성을 위한 문화활동의 도움 정도(평점비교) 222

〈표 6〉 삶의 만족도 223

〈표 7〉 현재 삶에 만족하지 않는 이유 223

〈표 8〉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문화활동의 중요성 224

〈표 9〉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문화활동이 중요한 이유 225

〈표 10〉 취업 또는 재취업 시 가장 중요한 요소 225

〈표 11〉 문화생활을 위한 연봉 포기 정도(연봉 4천만원 기준) 226

〈표 12〉 문화활동 관심 정도 227

〈표 13〉 문화활동 참여 정도 227

〈표 14〉 문화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 228

〈표 15〉 지난 주말에 경험한 문화활동 유형 229

〈표 16〉 문화활동 유형별 행복수준(100점 만점 환산 기준) 229

〈표 17〉 문화활동 향유 적정시기(20대만 응답) 230

〈표 18〉 일주일 기준 여가 시간의 길이 231

〈표 19〉 정부 문화활동 지원정책 인지여부 231

〈표 20〉 정부 문화활동 지원정책을 모르는 이유 232

〈표 21〉 정부 문화활동 지원정책 만족도 233

〈표 22〉 문화활동 지원 관련 정보 습득채널 233

〈표 23〉 문화활동 할인혜택 이용현황 234

〈표 24〉 문화활동 할인혜택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 235

〈표 25〉 기관별 문화활동 지원에 대한 노력 정도(평점비교) 236

〈표 26〉 기관별 문화활동 지원역할에 대한 중요도(평점비교) 236

〈표 27〉 문화활동 지원 정책의 사회적 필요성(평점비교) 237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54755 353.7 -16-4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