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문화콘텐츠 인력수급 분석과 대책 연구 / 문화체육관광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문화체육관광부, 2016
청구기호
331.129179 -16-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xiii, 196 p. : 삽화, 서식, 표 ; 26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5144946
제어번호
MONO1201606422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콘텐츠진흥원
책임연구원: 권호영
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p. 180-181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12

Ⅰ. 서론 12

Ⅱ. 콘텐츠산업 인력 현황과 문제점 분석 12

가. 콘텐츠산업 인력 및 일자리의 특성 12

나. 콘텐츠산업 고용현황 12

다. 콘텐츠산업 인력수급 전망 개요 14

라. 콘텐츠산업 인력 및 노동시장의 문제점 14

Ⅲ. 콘텐츠산업 일자리의 창출과 소멸 분석 15

가. 연구 목적과 일자리 창출과 소멸 분석의 의의 15

나. 자료의 특성 16

다. 일자리 창출과 소멸 분석 16

라. 일자리 지속률 분석 16

마. 일자리 창출의 요인별 기여도 분석 17

Ⅳ. 콘텐츠산업 인력수급 불일치 원인과 해소 방안 17

가. 설문조사 개요 17

나. 설문조사 결과 분석 18

다. 콘텐츠 인력 수급 불일치 원인진단 및 해소방안 19

Ⅴ. 국내 콘텐츠 인력 양성 현황 21

Ⅵ. 해외사례 : 콘텐츠 인력 양성 22

가. 영국의 사례 22

나. 독일의 사례 23

다. 미국의 사례 23

라. 일본의 사례 23

Ⅶ. 콘텐츠 산업 인력 육성 계획 24

가. 콘텐츠산업 인력ㆍ고용 분석의 시사점 도출과 인력 육성 방안 도출 24

나. 콘텐츠 산업 인력 육성 방안 24

Ⅰ. 서론 30

Ⅱ. 콘텐츠산업 인력 현황과 문제점 분석 31

1. 콘텐츠산업 인력 및 일자리의 특성 31

2. 콘텐츠산업 고용현황 34

3. 콘텐츠산업 인력수급 전망 개요 43

4. 콘텐츠산업 인력 및 고용노동시장의 문제점 48

가. 고용정책측면에서의 문제점 - 노동시장측면 49

나. 인력양성측면에서의 문제점 - 노동력 재생산 측면 51

Ⅲ. 콘텐츠산업 일자리 창출과 소멸 분석 53

1. 목적과 의의 53

가. 목적 53

나. 일자리 창출과 소멸 분석의 의의 53

2. 일자리 창출ㆍ소멸의 주요 개념 55

가. 일자리 변동지표의 주요 개념 55

나. 산업 수준에서 일자리 변동 지표 56

3. 분석자료 58

가. 분석 자료의 구축 58

나. 분석 자료의 한계 59

다. 콘텐츠산업 일자리의 기본특징 60

4. 일자리 창출ㆍ소멸 분석 결과 65

가. 일자리 창출ㆍ소멸의 분해 65

나. 일자리 창출ㆍ소멸의 유지율 67

다. 일자리 변동의 요인별 기여도 분석 68

5. 요약 및 정책 시사점 77

가. 요약 77

나. 정책 시사점 78

Ⅳ. 콘텐츠산업 인력수급 불일치 문제점과 해소 방안 80

1. 콘텐츠산업 인력불일치의 개념 80

2. 설문조사 개요 81

가. 산업구분과 표본 집단 81

나. 설문의 구성 84

3. 설문조사 결과 분석 85

가. 콘텐츠산업의 융복합 인재 - 인식과 과부족 85

나. 콘텐츠산업 인력수급 양적 불일치 현황 88

다. 전공 및 학력불일치 - 현황과 원인 89

라. 숙련불일치 92

마. 콘텐츠산업의 인력 수급 기본현황 94

4. 콘텐츠 인력 수급 불일치 원인진단 및 해소방안 98

가. 콘텐츠산업 숙련불일치 원인 진단 98

나. 콘텐츠산업 인력수급 불일치 해소 및 인력육성 방안 101

Ⅴ. 국내 콘텐츠 인력 양성 현황 108

1. 문화콘텐츠 인력 양성 체계 108

가. 중앙 정부의 문화콘텐츠 인력 양성 사업 108

나. 지역의 콘텐츠 인력 양성 사업 110

다. 콘텐츠 관련 교육기관 112

라. 민간기업의 콘텐츠 양성 과정 112

마. 콘텐츠 인력 양성 프로그램의 변화 추세 113

2.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인재양성 사업 현황 113

3. 융합콘텐츠 진흥 정책 115

가. 융복합의 필요성과 개념 116

나. 융합콘텐츠 진흥 정책 116

Ⅵ. 해외사례 : 콘텐츠 인력 양성 124

1. 영국 사례 124

가. 서론 124

나. 콘텐츠산업 인력양성 지원 기관 및 프로그램 124

다. 소결 133

2. 독일 사례 133

가. 서론 133

나. 콘텐츠산업 인력양성 지원 기관 및 프로그램 134

다. 소결 135

3. 미국 사례 135

가. 서론 136

나. 콘텐츠산업 인력양성 지원 기관 및 프로그램 136

다. 소결 138

4. 일본 사례 139

가. 서론 139

나. 콘텐츠산업 인력양성 지원 기관 및 프로그램 139

다. 소결 140

Ⅶ. 콘텐츠 산업 인력 육성 계획 142

1. 콘텐츠산업 인력ㆍ고용 분석의 시사점 도출과 인력 육성 방안 도출 142

2. 콘텐츠 산업 인력 육성 방안 144

가. 문화콘텐츠 전문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 육성 사업 144

나. 콘텐츠 기업 재기지원 사업 147

다. 콘텐츠기업 spin-off(분사) 활성화 지원 148

라. 융합콘텐츠 활성화와 인력 공급 방안 149

마. 문화콘텐츠부문에서 창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 153

바. 문화콘텐츠 교육 과정 개편 지원 155

사. 인턴쉽 프로그램 운영 157

아. 장르별 IT, 기획, 마케팅, 회계, 자금 교육 강좌 개설 158

자. 현업인 재교육 내실화 160

차. 고용 계약 문제 해소와 임금 지급의 보장 161

카. 콘텐츠 인력ㆍ기술 정보 사이트 운영 163

타. 콘텐츠산업 구직자 멘토링 지원 164

파. 인력육성 방안의 정리 166

참고문헌 168

[부록] 설문지 170

콘텐츠 인력 불일치 설문조사 (전문가 대상) 171

콘텐츠 인력 불일치 설문조사 (기업체 대상) 177

콘텐츠 인력 불일치 설문조사 (구직자 대상) 181

판권기 184

〈요약문 표 1〉 콘텐츠산업 인력수급 불일치 설문조사 개요 17

〈요약문 표 2〉 콘텐츠산업 융복합인력 수급불일치 인식 - 세 집단 비교 18

〈요약문 표 3〉 노동시장의 현황분석을 통한 시사점과 인력육성 방안 24

〈표 1〉 콘텐츠산업 연도별 고용형태 종사자 현황 33

〈표 2〉 콘텐츠산업 종사자 현황 35

〈표 3〉 콘텐츠산업 매출액 규모별 종사자 현황 36

〈표 4〉 콘텐츠산업 종사자 규모별 종사자 현황(2014년) 37

〈표 5〉 콘텐츠산업 종사자 규모별 연도별 종사자 현황 38

〈표 6〉 콘텐츠산업 지역별 종사자 현황(2014년) 39

〈표 7〉 콘텐츠산업 직무별 종사자 현황(2014년) 40

〈표 8〉 2011~2014년도 콘텐츠 산업 고용형태와 성별에 따른 연도별 종사자 현황 41

〈표 9〉 콘텐츠산업 성별 종사자 현황(2014년) 41

〈표 10〉 콘텐츠산업 연령별 종사자 현황(2014년) 42

〈표 11〉 콘텐츠산업 학력별 종사자 현황(2014년) 43

〈표 12〉 콘텐츠산업 취업자 전망 44

〈표 13〉 콘텐츠산업 학력별 신규수요 전망 45

〈표 14〉 콘텐츠산업 학력별 신규공급 전망 46

〈표 15〉 콘텐츠 산업 학력별 수급차 전망 47

〈표 16〉 콘텐츠 관련학과 신규인력 수급차 전망(2014~2024년) 48

〈표 17〉 콘텐츠산업 인력 채용시 어려운 이유 51

〈표 18〉 일자리 변동의 여러 유형 54

〈표 19〉 일자리 변동 관련 주요 지표 및 정의 58

〈표 20〉 콘텐츠산업 고용보험 사업체 수 추이 61

〈표 21〉 콘텐츠산업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 추이 62

〈표 22〉 산업별 사업체 당 평균 피보험자 수 변화(2008년과 2014년) 63

〈표 23〉 콘텐츠산업 일자리의 주요 특성(2014년) 64

〈표 24〉 콘텐츠산업의 일자리 창출과 소멸(2008년~2014년 연평균) 66

〈표 25〉 콘텐츠산업의 일자리 창출과 소멸의 지속률(2008-2012년에 창출ㆍ소멸된 일자리의 평균치, 1인 이상 사업체) 67

〈표 26〉 콘텐츠산업 일자리 변동의 성별 기여도 (2008~2014년 평균, 전 사업체) 70

〈표 27〉 콘텐츠산업 일자리 변동의 연령계층별 기여도(2008~2014년 평균, 전 사업체) 72

〈표 28〉 일자리 변동의 사업체규모별 기여도(2008~2014년 평균, 전 사업체) 74

〈표 29〉 콘텐츠산업 일자리 변동의 지역별 기여도(2008~2014년 평균, 전 사업체) 76

〈표 30〉 콘텐츠산업 인력수급 불일치 설문조사 개요 82

〈표 31〉 콘텐츠산업 인력수급 불일치 설문조사 참석자 83

〈표 32〉 콘텐츠산업 융복합인력 정의와 역량 - 전문가 86

〈표 33〉 콘텐츠산업 융복합인력 정의와 역량 - 기업체 86

〈표 34〉 콘텐츠산업 융복합인력 정의와 역량 - 구직자 87

〈표 35〉 콘텐츠산업 융복합인력 수급불일치 인식 - 세 집단 비교 87

〈표 36〉 콘텐츠산업 인력 양적 불일치 - 전문가 조사 88

〈표 37〉 콘텐츠산업 인력 전공 및 학력 불일치 - 전문가 조사 89

〈표 38〉 콘텐츠산업 인력 전공 및 학력 불일치 - 기업체 조사 90

〈표 39〉 콘텐츠산업 전공인력 불일치의 원인 - 전문가 91

〈표 40〉 콘텐츠산업 전공인력 불일치의 원인 - 사업체 92

〈표 41〉 콘텐츠산업 숙련불일치 - 전문가 92

〈표 42〉 콘텐츠산업 숙련불일치 원인 진단 - 전문가 93

〈표 43〉 채용인력의 업무능력 불일치 - 기업체 조사 94

〈표 44〉 구직자의 업무수행능력 불일치 평가 - 구직자 조사 94

〈표 45〉 기업체 신규직원 고용시 중요한 요소 94

〈표 46〉 콘텐츠인력 채용 경로 95

〈표 47〉 1년 이내 이직사유 95

〈표 48〉 구직자 취업 희망분야 95

〈표 49〉 구직자 회사 선택 기준 96

〈표 50〉 구직자 입사 중요 요소 96

〈표 51〉 구직자 취업정보 획득 경로 96

〈표 52〉 주요 구직 활동 97

〈표 53〉 구직활동에 불구하고 취업을 못하는 이유 97

〈표 54〉 희망연봉 수준 97

〈표 55〉 원하는 분야 취업이 안 될 경우 98

〈표 56〉 원하는 분야 취업이 안 될 경우 이직 의사 98

〈표 57〉 콘텐츠산업 숙련불일치 수요측면 원인 진단 - 전문가 98

〈표 58〉 콘텐츠산업 숙련불일치 공급측면 원인 진단 - 전문가 99

〈표 59〉 콘텐츠산업 기대업무 불일치 원인 진단 100

〈표 60〉 기타 인력수급 불일치의 수요, 공급측면 원인 - 전문가 진단 101

〈표 61〉 기업체의 불일치 해소를 위한 노력 101

〈표 62〉 불일치 해소를 위한 개선 건의 - 기업체 102

〈표 63〉 불일치 해소를 위한 개선 건의 - 구직자 102

〈표 64〉 불일치 해소 산업적 측면 방안 103

〈표 65〉 불일치 해소 교육적 측면 방안 103

〈표 66〉 불일치 해소 정책적 측면 방안 104

〈표 67〉 콘텐츠산업 융복합인력 육성정책 - 전문가 104

〈표 68〉 콘텐츠산업 융복합인력 육성정책 - 기업체 105

〈표 69〉 콘텐츠산업 융복합인력 육성정책 - 구직자 105

〈표 70〉 인력양성정책 방향 - 전문가 106

〈표 71〉 콘텐츠산업 경쟁력 강화 및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부 정책 107

〈표 72〉 정부의 콘텐츠 인력양성 사업 108

〈표 73〉 지역 콘텐츠 관련 기관의 인력양성 사업 110

〈표 74〉 콘텐츠 관련 교육기관 현황(2013년) 112

〈표 75〉 대학의 콘텐츠 인력양성 과정 112

〈표 76〉 방송사와 포털사의 콘텐츠 인력양성 과정 113

〈표 77〉 콘텐츠 창업 지원 사업 113

〈표 78〉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인력양성사업과 예산 114

〈표 79〉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인력양성 사업의 분류 115

〈표 80〉 문화창조융합벨트의 구성과 역할 118

〈표 81〉 CKL 구축 현황 119

〈표 82〉 서울 CKL의 공간 구성 120

〈표 83〉 서울 CKL의 보유 장비 120

〈표 84〉 아이디어 융합 팩토리의 프로그램 121

〈표 85〉 창업발전소의 지원 내용 121

〈표 86〉 CKL의 네트워킹 주요 실적 122

〈표 87〉 문화산업벤처 단지의 지원 내용 123

〈표 88〉 스킬셋 개요 125

〈표 89〉 디지털 비즈니스 아카데미 교육과정 128

〈표 90〉 디지털 독일 2015(Digital Germany 2015) 개요 133

〈표 91〉 문화 및 장초경제 이니셔티브 주요 장르 및 지원내용 134

〈표 92〉 독일의 디지털 콘텐츠 인력양성 135

〈표 93〉 ETC 주요 관심 분야 136

〈표 94〉 Full Sail University의 차별적인 프로그램 138

〈표 95〉 도쿄대의 미디어콘텐츠와 디지털휴머니트즈 139

〈표 96〉 디지털헐리우드대 디지털콘텐츠 분야 주요 커리큘럼 140

〈표 97〉 콘텐츠 인력 수급 분석 결과 142

〈표 98〉 콘텐츠산업 인력 수급의 문제 유형별로 시사점 도출과 인력 육성 방안 143

〈표 99〉 액셀러레이터와 인큐베이터의 차이점 145

〈표 100〉 콘텐츠산업 숙련불일치 원인 진단 - 전문가 159

〈표 101〉 콘텐츠산업 융복합인력 수급불일치 인식 - 세 집단 비교 165

〈표 102〉 콘텐츠산업 전공인력 부족원인 165

〈표 103〉 콘텐츠 산업 인력육성 방안 166

[그림 1] 콘텐츠산업 인력 및 일자리 특성 34

[그림 2] 콘텐츠산업 종사자 비중(2014년) 35

[그림 3] 콘텐츠산업 종사자 규모별 합계 37

[그림 4] 콘텐츠산업 종사자 규모별 연도별 종사자 현황 38

[그림 5] 콘텐츠산업 종사자 직무별 종사자 수 40

[그림 6] 콘텐츠산업 종사자 직무별 종사자 비율 40

[그림 7] 일자리 창출 및 소멸의 구조 57

[그림 8] 콘텐츠산업 일자리 순창출의 성별 기여도(2008~2014년 평균, 전 사업체) 69

[그림 9] 콘텐츠산업 일자리 순창출의 연령계층별 기여도 (2008~2014년 평균, 전 사업체) 71

[그림 10] 콘텐츠산업 일자리 순창출의 사업체규모별 기여도(2008~2014년 평균, 전 사업체) 74

[그림 11] 콘텐츠산업 일자리 순창출의 지역별 기여도 (2008~2014년 평균, 전 사업체) 76

[그림 12] 문화창조융합벨트 개념도 118

[그림 13] CKL의 목적 개념도 : 상상력이 창작으로, 창작이 창업으로 이어지는 공간 119

[그림 14] 스킬셋 교육과정 검색 사이트 126

[그림 15] 스킬셋 교육과정 검색 사이트 127

[그림 16] 디지털 비즈니스 아카데미 사이트 128

[그림 17] 디지털 비즈니스 아카데미 Rewards 싸이트 130

[그림 18] 해외 주요 액셀러레이터 현황 145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50911 331.129179 -16-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50912 331.129179 -16-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