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도시재생에서 학습도시 개념의 도입을 통한 삶의 질 제고 [전자자료] / 부산인적자원개발원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부산인적자원개발원, 2015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정책연구 ; 15-02
면수
76
제어번호
MONO1201610082
주기사항
판권기표제: 학습도시 구현을 통한 도시재생
연구책임자: 김종구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Ⅰ. 서론 9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0

2. 연구의 목적 11

3. 연구의 방법 11

Ⅱ. 학습시설 및 학교 유휴시설 활용에 대한 이론적 검토 및 사례 분석 13

1. 학습도시의 의미와 유휴 학습시설 및 학교 유휴시설의 정의 14

2. 외국 학습도시 지원체계 및 학교 유휴시설을 활용한 국내외 사례분석 15

3. 학습시설 및 학교 유휴시설 활용 방안에 대한 선행연구 18

Ⅲ. 학습도시 구현을 위한 공간 데이터 구축(공간적, 물리적 전략) 21

1. GIS를 활용한 학습 가능한 시설의 공간 데이터 구축 및 Mapping 22

2. 취약지 분석을 통한 학교 유휴시설 활용방안 모색 23

1) 학습 가능 시설 취약지 내 초등학교 도출 23

2) 학교 유휴 시설을 포함한 학습가능 시설의 공간 Mapping 32

Ⅳ. 학교 유휴시설 활용을 통한 학습도시형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 36

1. 학교 유휴시설 활용을 위한 주민설문조사 37

1) 조사개요 및 주요조사 내용 37

2) 주민 설문조사 결과 분석 38

2. 학교 유휴시설 활용을 위한 학습 프로그램 제안 및 커뮤니티 재생방안 55

1) 학교 유휴시설 활용을 위한 학습 프로그램 우선순위 검토 55

2) 학습 프로그램과 연계한 커뮤니티 역량 강화 방안 58

3) 정책적 제언 61

Ⅴ. 결론 62

1. 연구결과 요약 63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 65

[부록] 66

참고문헌 72

판권기 76

〈표 Ⅱ-1〉 외국 학습도시의 지원체계 16

〈표 Ⅲ-1〉 공간 데이터 구축을 위한 Fuzzy 분석 22

〈표 Ⅲ-2〉/〈표 Ⅲ-1〉 서비스 취약지 내에 초등학교(56개) 31

〈표 Ⅳ-1〉 응답자 성별 38

〈표 Ⅳ-2〉 응답자 나이 38

〈표 Ⅳ-3〉 현 거주지 거주기간 39

〈표 Ⅳ-4〉 응답자 직업 39

〈표 Ⅳ-5〉 응답자 학력 39

〈표 Ⅳ-6〉 주민설명회 필요도 40

〈표 Ⅳ-7〉 (도시재생) 계획 활동 참여 필요도 40

〈표 Ⅳ-8〉 전문가 강의 필요도 41

〈표 Ⅳ-9〉 주민 대학 필요도 41

〈표 Ⅳ-10〉 학습활동 모임 필요도 42

〈표 Ⅳ-11〉 주민교류활동 필요도 42

〈표 Ⅳ-12〉 취미활동 모임 필요도 43

〈표 Ⅳ-13〉 주민설명회 중요도 43

〈표 Ⅳ-14〉 (도시재생) 계획 활동 참여 중요도 44

〈표 Ⅳ-15〉 전문가 강의 중요도 44

〈표 Ⅳ-16〉 주민 대학 중요도 45

〈표 Ⅳ-17〉 학습활동 모임 중요도 45

〈표 Ⅳ-18〉 주민교류활동 중요도 46

〈표 Ⅳ-19〉 취미활동 모임 중요도 46

〈표 Ⅳ-20〉 교육 강사의 전문성 필요도 47

〈표 Ⅳ-21〉 교육 능력 향상 필요도 47

〈표 Ⅳ-22〉 강사 1인당 학생 수 조절 필요도 48

〈표 Ⅳ-23〉 교육 프로그램 취지에 맞는 교육 공간 필요도 48

〈표 Ⅳ-24〉 교육을 통한 자격증 취득 필요도 49

〈표 Ⅳ-25〉 교육을 통한 재취업 필요도 49

〈표 Ⅳ-26〉 교육을 통한 주민 커뮤니티 활성화 필요도 50

〈표 Ⅳ-27〉 교육 강사의 전문성 중요도 50

〈표 Ⅳ-28〉 교육 능력 향상 중요도 51

〈표 Ⅳ-29〉 강사 1인당 학생 수 조절 중요도 51

〈표 Ⅳ-30〉 교육 프로그램 취지에 맞는 교육 공간 중요도 52

〈표 Ⅳ-31〉 교육을 통한 자격증 취득 중요도 52

〈표 Ⅳ-32〉 교육을 통한 재취업 중요도 53

〈표 Ⅳ-33〉 교육을 통한 주민 커뮤니티 활성화 중요도 53

〈표 Ⅳ-34〉 주민 교육 프로그램 참여의향 54

〈표 Ⅳ-35〉 주민 교육 프로그램 참여가능 시간 및 요일 54

〈표 Ⅳ-36〉 교육을 통한 주민 커뮤니티 활성화 중요도 55

〈표 Ⅳ-37〉 주민 커뮤니티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 59

〈표 Ⅳ-38〉 제안서 작성단계에서의 유휴 학습시설을 이용한 도시재생 교육 프로그램 60

〈표 Ⅳ-39〉 활성화 계획단계에서의 유휴 학습시설을 이용한 도시재생 교육 프로그램 60

〈그림 Ⅰ-1〉 연구의 틀 12

〈그림 Ⅱ-1〉 학교 유휴시설을 활용한 국내사례 17

〈그림 Ⅱ-2〉 학교 유휴시설을 활용한 해외사례 18

〈그림 Ⅲ-1〉 지표선정기준 22

〈그림 Ⅲ-2〉 GIS-Fuzzy 중첩 예시 22

〈그림 Ⅲ-3〉 평생학습시설 및 기타 교육가능시설 데이터 처리 24

〈그림 Ⅲ-4〉 유휴학습공간의 개소에 대한 공간 지도 25

〈그림 Ⅲ-5〉 유휴학습공간의 동시수용인원수에 대한 공간 지도 27

〈그림 Ⅲ-6〉 유휴학습공간의 서비스 분포도 29

〈그림 Ⅲ-7〉 부산시 초등학교 분포도(306개) 30

〈그림 Ⅲ-8〉 서비스 취약지 내에 초등학교 분포도(56개) 30

〈그림 Ⅲ-9〉 초등학교를 포함한 유휴학습공간의 서비스 분포도 33

〈그림 Ⅲ-10〉 초등학교 데이터를 포함하기 전(좌)과 후(우)의 유휴학습공간 서비스 분포도 비교 34

〈그림 Ⅲ-11〉 초등학교 데이터를 포함하기 전(좌)과 후(우)의 유휴학습공간 서비스 분포도 비교(강서구 일대) 34

〈그림 Ⅲ-12〉 초등학교 데이터를 포함하기 전(좌)과 후(우)의 유휴학습공간 서비스 분포도 비교(금정구 일대) 35

〈그림 Ⅳ-1〉 응답자 성별 그래프 38

〈그림 Ⅳ-2〉 응답자 나이 그래프 38

〈그림 Ⅳ-3〉 현 거주지 거주기간 그래프 39

〈그림 Ⅳ-4〉 응답자 직업 그래프 39

〈그림 Ⅳ-5〉 응답자 학력 그래프 39

〈그림 Ⅳ-6〉 주민설명회 필요도 그래프 40

〈그림 Ⅳ-7〉 (도시재생) 계획 활동 참여 필요도 그래프 40

〈그림 Ⅳ-8〉 전문가 강의 필요도 그래프 41

〈그림 Ⅳ-9〉 주민 대학 필요도 그래프 41

〈그림 Ⅳ-10〉 학습활동 모임 필요도 그래프 42

〈그림 Ⅳ-11〉 주민교류활동 필요도 그래프 42

〈그림 Ⅳ-12〉 취미활동 모임 필요도 그래프 43

〈그림 Ⅳ-13〉 주민설명회 중요도 그래프 43

〈그림 Ⅳ-14〉 (도시재생) 계획 활동 참여 중요도 그래프 44

〈그림 Ⅳ-15〉 전문가 강의 중요도 그래프 44

〈그림 Ⅳ-16〉 주민 대학 중요도 그래프 45

〈그림 Ⅳ-17〉 학습활동 모임 중요도 그래프 45

〈그림 Ⅳ-18〉 주민교류활동 중요도 그래프 46

〈그림 Ⅳ-19〉 취미활동 모임 중요도 그래프 46

〈그림 Ⅳ-20〉 교육 강사의 전문성 필요도 그래프 47

〈그림 Ⅳ-21〉 교육 능력 향상 필요도 그래프 47

〈그림 Ⅳ-22〉 강사 1인당 학생 수 조절 필요도 그래프 48

〈그림 Ⅳ-23〉 교육 프로그램 취지에 맞는 교육 공간 필요도 그래프 48

〈그림 Ⅳ-24〉 교육을 통한 자격증 취득 필요도 그래프 49

〈그림 Ⅳ-25〉 교육을 통한 재취업 필요도 그래프 49

〈그림 Ⅳ-26〉 교육을 통한 주민 커뮤니티 활성화 필요도 그래프 50

〈그림 Ⅳ-27〉 교육 강사의 전문성 중요도 그래프 50

〈그림 Ⅳ-28〉 교육 능력 향상 중요도 그래프 51

〈그림 Ⅳ-29〉 강사 1인당 학생 수 조절 중요도 그래프 51

〈그림 Ⅳ-30〉 교육 프로그램 취지에 맞는 교육 공간 중요도 그래프 52

〈그림 Ⅳ-31〉 교육을 통한 자격증 취득 중요도 그래프 52

〈그림 Ⅳ-32〉 교육을 통한 재취업 중요도 그래프 53

〈그림 Ⅳ-33〉 교육을 통한 주민 커뮤니티 활성화 중요도 그래프 53

〈그림 Ⅳ-34〉 주민 교육 프로그램 참여의향 그래프 54

〈그림 Ⅳ-35〉 주민 교육 프로그램 참여가능 시간 및 요일 그래프 54

〈그림 Ⅳ-36〉 교육을 통한 주민 커뮤니티 활성화 중요도 그래프 55

〈그림 Ⅳ-37〉 주민 교육 및 참여 프로그램 IPA 분석 56

〈그림 Ⅳ-38〉 교육 프로그램 진행시 고려사항 IPA 분석 57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