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책을 펴내며 / 정민근
목차
명저번역지원사업 저역서 목록 66
잠서[상][하] 68
부휴자담론 68
대한계년사 1~10 68
동사 69
이아주소 1~6 69
역주 원중랑집 1~10 69
춘색매화달력 70
중국시율학 1~4 70
전등삼종 [상][하] 70
천 가지 가르침 71
고사변자서 71
일본 명치·대정 시대의 생활문화사 71
옥대신영 1~3 72
역주주역사전 1~8 72
중국고대음악사고 하[1][2] 72
신서 73
신유식론 [상][하] 73
모래와 돌 [상][하] 73
명공서판청명집 - 호혼문 역주 74
교감 국역 송남잡지 1~12, 찾아보기 74
한국독립운동지혈사 75
명사 식화지 역주 75
신황정통기 76
삼론현의 76
대비로자나성불경소 1~3 76
천연론 77
산학계몽[상][중][하] 77
주희의 후기 철학 77
이십이사차기 1~5 78
일본영대장 78
유종원집 1~4 78
도화선 1~2 78
역주 예개 79
양주화방록 1~3 79
동경몽화록 79
신어역해 80
요가수트라 주석 80
조자건집 80
고킨와카슈 [상][하] 81
중국고대화론유편 제1편~제6편 [전16권] 81
회남자 1~2 81
수호지진묘죽간 역주 82
논어징 1~3 82
문사통의교주 1~5 83
대혜보각선사어록 1~6 83
갑골학 일백 년 1~5 83
우초신지 1~4 84
황제사경 역주 84
보성론 84
역주 유양잡조 1~2 84
여씨춘추 85
가무음악략사 85
서하객유기 1~7 85
특명전권대사 미구회람실기 1~5 86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 - 공자시론, 치의, 성정론 86
덩잉차오 평전 1~3 86
사조선록역주 1~5 87
사통통석 1~4 87
심체와 성체 1~7 87
한유산문역주 1~5 88
역학철학사 1~8 88
그림과 공연 - 중국의 그림 구연과 그 인도 기원 88
방언소증 1~3 89
무깟디마 1~2 89
역주 악서 1~4 89
북리지·교방기 89
당시별재집 1~6 90
지수염필 [상][하] 90
찰나멸논증 90
역대시화 1~6 91
논어고의 [상][하] 91
모란정 91
송원희곡고 역주 92
돈황변문교주 1~6 92
풍속통의 [상][하] 92
고고학 증거로 본 공자시대 중국사회 93
농상집요 역주 93
이문 역주 [상][중][하] 94
태평경 역주 [一][二][三][四][五] 94
동파지림[상][하] 95
구칸쇼 95
의례 역주 [一]~[八] 96
보농서 역주 96
소문영추유찬약주 97
오토기보코 97
위진현학사 [상][하] 98
당음비사 98
일본국현보선악영이기 99
종려전도집 99
공자개제고 [一]~[五] 100
영의해 역주 [상][하] 100
구조율고 [一]~[四] 101
장생전 [상][하] 101
보살지 102
독사여론 102
중국적 문화변용의 한 예: 18세기 귀주성 103
하타의 등불 [상][하] 103
송원화본 104
몽중문답 104
중국 전설시대와 민족형성 [상][하] 105
당척언 [상][하] 105
중국 청동기 시대 [상][하] 106
상주금문 [상][하] 106
원림과 중국문화 1~4 107
송시화고 107
네띠빠까라나 [상][하] 108
도와즈가타리 108
현대 중문소설 작가 22인 [상][하] 109
한위양진남북조 불교사 1~4 109
주역내전 1~6 110
이태백 시집 1~7 110
신기관 111
관용론 111
실증주의 서설 111
데카르트적 성찰 112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112
언어의 기원에 대하여 113
전형성, 파토스, 현실성 113
로마사 논고 114
마서즈 비니어드 섬 사람들은 수화로 말한다 114
영웅숭배론 114
윤리학 서설 115
낭만파 115
자연법 115
신통기 116
현대예술의 혁명 116
근대 정치사상의 토대 1 116
에스파냐 이상 117
통계학의 역사 117
부조리극 117
레싱 전설 118
파르치팔 118
플렉스너 보고서 118
의식의 기원 119
인간의 유래 1~2 119
러시아 경제사 120
팡타그뤼엘 제3서, 제4서 120
로마혁명사 1~2 120
교양과 무질서 121
달랑베르의 꿈 121
프롤레타리아 독재 121
섹슈얼리티의 진화 122
러시아 신분사 122
기본권이론 122
국가론 123
법률론 123
잉글랜드 풍경의 형성 123
에밀 또는 교육론 1~2 124
고대 러시아 문학사 1~2 124
과정으로서의 과학 1~2 124
여권의 옹호 125
여성·문화·사회 125
일탈의 미학 126
나의 도제시절 126
신엘로이즈 1~2 126
프랑스혁명에 관한 성찰 126
초록의 하인리히 1~2 127
회상 127
랑그도크의 농민들 1, 2 127
숭고와 미의 근원을 찾아서 128
정신·자아·사회 128
중국사유 129
경제학원리 1~2 129
지식의 형태와 사회 1~2 130
농업위기와 농업경기 130
카를 마르크스의 역사이론 130
타키투스의 역사 131
행위와 사건 131
19세기 유럽 사상사 131
국제법의 역사 132
경제분석의 역사 1~3 132
사고와 언어 132
과학교육의 사상과 역사 133
인간마음에 관한 탐구 133
역학의 발달 134
인간지성론 1~2 134
논리학의 역사 1~2 135
서구 자유주의의 융성과 쇠퇴 136
폭력에 대한 성찰 136
다른 것이 아닌 것 136
세계시민주의와 민족국가 137
민주시민의 도덕 137
친구와의 서신교환선 138
법철학 138
영국소설의 위대한 전통 139
프랑스 농촌사의 기본성격 139
선녀여왕 1, 2 139
농업생명공학의 정치경제 140
라오콘 140
중심지 이론 140
마담 드 스탈의 독일론 141
숲길 141
말하기 1, 2 141
헤겔 자연철학 1, 2 142
근대스포츠의 본질 142
미국사회과학의 기원 1, 2 143
신학요강 143
숭배에서 강간까지 : 영화에 나타난 여성상 143
언어이론 144
새로 태어난 여성 144
주권과 순수성 144
자연종교에 관한 대화 145
유대 전쟁사 1, 2 145
추의 미학 145
아르세니예프의 생애 146
리바이어던 1, 2 146
공간개념 147
퍼스의 기호학 147
사해문서 1, 2, 3, 4 148
교육적 오락물과 사회변화 148
코르테스의 멕시코제국 정복기 1, 2 148
레프 톨스토이 1, 2 149
공작부인 이야기 149
루이14세와 베르사유 궁정 149
분류체계의 수사학 150
경제와 사회 150
지향성 : 심리철학소론 151
풍경식 정원 151
애착 152
누구의 과학이며, 누구의 지식인가 152
다윈 진화고고학 153
진기한나라, 중국 153
아담 비드 154
영혼-정신-하나 154
변증법적 이성비판 1, 2, 3 155
동물에서 유래된 인간 155
서양과학의 기원들 156
아서왕의 죽음 1, 2 156
공업입지론 157
러시아사 강의 1, 2 157
신화철학 1, 2 157
대리석 목양신 158
생명의 해방 158
서정시에 관하여 159
충족이유율의 네겹의 뿌리에 관하여 159
버제스 셰일 화석군 160
맑스의 경제학 160
역사학 161
제4신분, 중세 여성의 역사 161
마음과 정신의 방황 162
정치경제학 원리 1, 2, 3, 4 162
기억의 장소 1, 2, 3, 4, 5 163
과학적 인간과 권력정치 163
낭만주의 윤리와 근대 소비주의 정신 163
향연 164
대륙과 해양의 기원 164
미국 인종 차별사 165
언어, 논리, 진리 165
두 망자를 위한 마주르카 165
이해 : 인지 패러다임 1, 2 166
언어 사고 그리고 실재 166
형식논리학과 선험논리학 166
한알의 밀알이 죽지 않으면 167
유전자 개념의 역사 167
희극성과 웃음 167
사랑에 관하여 168
말로 선집 168
마키아벨리언 모멘트 1, 2 168
조형예술교육론 169
진리와 해석에 관한 탐구 169
영국민의 교회사 169
바이마르공화국의 해체 1, 2, 3 170
과학적 설명의 여러측면 1, 2 170
러시아 문화에 관한 담론 1, 2 171
일상의 악덕 171
언어들의 죽음에 맞서라 171
정치경제학 이론 172
원시인의 정신세계 172
감정교육 172
시골친구에게 보내는 편지 173
히포크라테스 선집 173
19세기 수학의 발전에 대한 강의 174
장자크 루소 고백록 1, 2 174
성찰 1, 2 174
유대교와 헬레니즘 1, 2, 3 175
무정부사회 175
〈아리스토텔레스〉형이상학 1, 2 176
공간의 유형학 1, 2 176
신공화주의 176
언어로의 도상에서 177
신들의 본성에 관하여 177
미국의 자유주의 전통 178
시골과 도시 178
스페인문학의 사회사 1, 2, 3, 4, 5 178
예술철학 179
발견을 예견하는 과학 179
적응과 자연선택 179
모권 1, 2 180
영혼에 관한 토론문제 180
잉글랜드에서의 결혼과 사랑 180
종교와 마술, 그리고 마술의 쇠퇴 1, 2, 3 181
언어와 상징권력 181
역사로서의 문화 181
마르크스 이해하기 1, 2 182
수학철학 182
과학적 실천과 일상적 행위 182
초기 희랍의 문학과 철학 1, 2 183
수월성 교육 183
빅토리아 시대의 사람들과 사상 183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184
시간의 화살, 시간의 순환 184
예나 체계기획 III - 자연철학과 정신철학 184
상징 신화 문화 185
헬레니카 185
여성들의 도시 186
일자리 구하기 - 일자리 접촉과 직업경력 연구 186
비서구 세계의 대중음악 187
구스만 데 알파라체 187
사회분업론 188
대의정부론 188
산호섬의 경작지와 주술 1, 2, 3 189
파꾼도 189
장 자크 루소 투명성과 장애물 189
선녀여왕 3, 4, 5, 6-7 190
관객의 학교 190
여론 191
성 히에로니무스의 가호 아래 191
낯선 덕 - 다문화 시대의 윤리 191
반혁명 192
국가에 관한 6권의 책 1~6 192
소로의 자연사 에세이 192
생명의 불꽃 - 다윈과 원시 수프 193
상호작용 의례 - 대면 행동에 관한 에세이 193
사회학 이론, 무엇이 문제인가 193
리바이어던의 논리 194
영국 도시희극선 194
영화의 실천 194
심리철학적 소견들 1, 2 195
그린 어바니즘 - 유럽의 도시에서 배운다 195
지리학 1, 2 - 역사·본질·방법 195
히틀러에서 하이마트까지 196
기계의 신화 I - 기술과 인류의 발달 196
몰리에르 3부작 197
광란의 오를란도 1~5 197
모빌리티 198
정신병리학 총론 1~4 198
스라파와 가격이론 198
문화와 폭발 199
현대 러시아문학과 포스트모더니즘 199
신용화폐론 199
투스쿨룸 대화 200
원리론 200
그 지방의 관습 200
변신론 201
천문학의 새벽 201
유럽 문명의 역사 201
전염성 질병의 진화 202
부정한 미녀들 202
빙하기 - 그 비밀을 푼다 203
실러 1-1, 1-2, 2-1, 2-2 - 생애·작품·시대 203
건축강의 1~4 203
현대 영화 이론: 1945~1995년 영화 이론 204
의미론 1, 2 204
근대 정치사상의 토대 2 205
정치경제학 강의 205
커뮤니케이션 정책의 기초 206
집단행동 경제학 206
집단행동의 논리 207
사회과학 이해하기 207
이해를 추구하는 믿음 208
언어의 기원 208
세계화: 사회이론과 전 지구적 문화 209
구조와 인식: 힌두 카스트와 의례의 양상 209
도시형태: 도시블록의 생성과 변천 210
사랑과 서구 문명 210
메소포타미아의 역사 1, 2 211
작은 도릿 1~4 211
아동정신분석학의 역사 1, 2 212
새로운 자유를 찾아서: 자유지선주의 선언 212
무대 에튜드_배우를 위한 연기 지침서 212
자연에 대한 온전한 이해 213
경제동학이론 213
생제르맹데프레 수도원의 영지명세장 214
언어와 민족문화 1, 2 214
양극과 유비 215
공공성과 그문제들 215
수리 정신학 215
구원받은 모세 216
고대 오리엔트 역사: 알렉산더 대왕 시대까지 216
하늘과 땅: 우주시대의 정치사 1, 2 217
뉴턴의 물리학과 힘: 17세기의 동역학 217
모차르트 (Mozart) 218
유클리드 분할론 218
근대문화사 219
이콘과 도끼 1~3 219
저술출판지원사업 저역서 목록 220
환자 중심의 의료 커뮤니케이션 222
삼국통일의 정치학 222
인문교양교육의 원형과 변용 222
물류전이 역사 및 집중화 현상규명 223
현대중국어 화제화 이중명사구문 연구 223
嶺南性理學硏究(영남성리학연구) 223
신학의 스캔들 스캔들의 신학 224
메소포타미아 법의 도덕성과 종교 224
조선후기 토지소유계층과 지가 변동 224
한국전통음악가연구 225
조선시대 대학장구 개정과 그에 관한 논변 225
승랑 - 그 생애와 사상의 분석적 탐구 225
경제위기와 고용체제 226
공공을 위한 디자인과 예술 226
무용예술코드 226
동아시아 명심보감 연구 227
빅토리아 시대 출판문화와 여성작가 227
韓國 中世 土地制度史 - 高麗 227
예술에서 위안받은 그녀들 - 12인의 라틴아메리카 여성미술가 - 228
한문 대장경의 문자이동연구 228
형평과 정의 228
상좌 슈리라타와 경량부 229
이야기의 힘과 근대 미달의 양식 229
북조선 문학론 229
학습장애의 이론적 기초 229
일제강점기 어문 정책과 어문 생활 230
존재와 공간 230
광복이전 조선영화사 230
1990년대 미국시의 경향 231
생명문화와 해석학 231
공간의 현상학, 풍경, 그리고 건축 231
언어의 연기와 마음의 사회성 232
공장의 역사: 근대 영국사회와 생산, 언어, 정치 232
체험서정시의 내면화 양상 연구 232
화용론 연구의 거시적 관점 233
고전소설의 다시쓰기 233
다문화교육의 심리학적 이해 233
과학기술과 인간정체성 234
한국어의 표준 발음과 현실 발음 234
동북아시아음악사 234
성명에서 생명으로 - 서구의 기독교적 인문주의와 동아시아의 자연주의적 인문주의 235
미쩰의 시기 : 을미사변과 아관파천 235
마약의 역사 235
일본대중문예의 始原 236
한국계 미국 이민 자서전 작가 236
일본인의 국어인식과 신대문자 236
조지 오웰: 지식인에 관한 한 보고서 237
근대적 자아의 이해: 홉스와 헤겔 237
학교 속의 문맹자들 238
한국의 중화학공업화: 과정과 내용 (I, II, III) 238
근대의 가족 근대의 결혼 239
명상심리치료: 불교명상과 심리치료의 통합적 연구 239
중국 근대학문의 형성과 학술문화담론 239
내적 오리엔탈리즘 그 비판적 검토 240
영어 독해력 교육의 이론과 실제 240
국어 조사의 문법 240
표준의 이론: 사례, 정책 경제학 241
성왕 : 동양 리더십의 원형 241
부산언론사연구 241
한국 중등학교의 종교교과교육론 242
한국 가족 철학으로 바라보다 242
20세기의 매체철학: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242
고난과 하나님의 전능 243
한 중 일 비교회사법 243
요동왕국과 동아시아 243
중국도자사연구 244
한국전쟁기 문학담론과 반공프로젝트 244
섬과 바다의 사회사 244
연대주의 - 모나디즘 넘어서기 245
일본어 형용동사 245
한국신종교의 사상과 종교문화 245
내면으로 - 라깡·융·밀턴 에릭슨을 거쳐서 246
한국어 경어법의 기능과 사용 원리 246
연극이론의 탐구: 대립적인 시각들의 대화 246
다원주의미학: 자유로운 예술 열린 비평 247
세계도시 베이징의 공간기억과 문화재현 247
의사결정의 심리학 247
전근대 일본유통사와 정치권력 - 선사.고대.중세편 - 248
일본으로 간 조선의 선비들 248
공공의 미술문화와 다가올 미래 248
도스또옙스끼 소설에 나타난 리터러시와 비블리오테라피 249
내재적 목적론 249
조선 후기 근기 남인 시맥의 형성과 전개 249
미디어 언어의 텍스트화용론 250
독일어 전산 구문문법 연구 250
불안의 수사학 250
불교의식음악 연구 251
북한의 아동문학 251
공동체화: ECO의 확장을 위한 개념화와 사례들 251
신화의 질서: 도상기호학적 탐구 251
북한 문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252
한국 자전의 역사 252
T. S. 엘리엇과 상징주의 252
법 수사학 253
조선시대의 훈민정음 발달사 253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253
세계문학으로서의 아시아문학 254
한국의 5월 운동 254
동학의 심성론과 마음공부 254
일본 근대문학과 스포츠 255
종족 형성의 공간과 문화 255
한국 근 현대 여성문학 장의 형성 255
한국 현대시와 종교 생태학 256
왕징웨이 연구: 현대 중국 민족주의의 굴절 256
한국의 소리 커뮤니케이션 256
스페인의 바로크 예술 257
음식문맹자, 음식시민을 만나다 257
자연의 저주 : 명·청 시대 장강長江 중류 지역의 개발과 환경 257
라틴아메리카 인종과 정치 258
미국헌법의 탄생 258
조각문연구: 영어와 한국어를 중심으로 258
제국의 기억과 전유 : 1940년대 한국문학의 연속과 비연속 259
독일 민속학: 향토연구에서 유럽인류학으로 259
신라의 바다 황해 259
高麗史 地理志의 分析과 補正 260
마을문화의 인문학적 가치 260
민주화와 종교: 상충하는 경향들 260
장애인 가족지원을 위한 증거기반의 실제 261
백제의 대외 교섭과 교류 261
종교정치의 새로운 쟁점들 261
한국불교의 일생의례 262
좋은 논증을 위한 오류 이론 연구 262
탐정문학의 영역 - 식민지기의 환상과 현실 262
부정의 역사철학: 역사상실에 맞선 철학적 도전 263
중국어 음운론과 응용 263
라틴아메리카의 종족성과 신사회운동 263
귀납, 우리는 언제 비약할 수 있는가 264
인종담론과 성(性)담론: 셰익스피어의 경우 264
체육과 교재 연구 및 지도법 264
인도 불탑의 의미와 형식 265
한국의 종교, 정치, 국가: 1945~2012 265
언어와 인지 265
한국 중등학교 문화 형성과정의 신제도주의적 해석 266
만주국 : 식민지적 상상이 잉태한 복합민족국가 266
인간의 사회적존재 의미 266
고려시대의 특수행정구역 소연구 267
한국 민족공연학 267
차용어음운론 267
러시아문학의 맛있는 코드 268
디자인유머 268
김대중 노무현 정부의 복지정책에서 나타난 이론적 함의 268
무대와 스크린의 만남: 연극의 영화화 269
교육과 자유: 디지털시대의 초국적교육론 269
서사적 자아와 도덕적 자아 269
라티노와 아메리카 270
두만강 : 백두산천지에서 우리땅 녹둔도까지 270
종속과 자율 : 대한민국의 형성과 종교정치 270
중국근현대문학사 담론과 타자화 271
미국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 271
19세기 퇴계학의 좌우파논쟁 271
저항과 투항: 군사정권들과 종교 272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만주아리랑 272
양원제 개헌론: 지역대표형 상원연구 272
포스트모던 영국소설의 세계 273
지식의 시각화 273
기능주의 번역의 이론과 실제 273
이색의 삶과 생각 274
구약 속의 종교권력 274
전라도와 일본 - 조선시대 해난사고 분석 - 274
경북 북부지역의 성리학 275
한국해학의 예술과 철학 275
쿠바영화와 여성의 이미지 275
일본인 세화회 : 식민지조선 일본인의 전후 276
근대 한국문학과 미술의 상호작용 276
춤 테마로 읽다 276
이슬람국가론과 지대국가론 277
세계문학공간의 조이스와 한국문학 277
아랍문화사 277
한국 공연예술 통제사 278
예술과 비판, 근원의 빛 - 예술은 우리를 구원할 수 있을까 278
한국 근대소설의 구어전통과 문체 형성 278
가온 찍기: 다석 유영모의 글로벌 한국신학 서설 279
복지 자본주의 정치경제의 형성과 재편 279
명청시대 지역사회와 공연예술 279
원효와 하이데거의 대화 280
근대기행가사연구 280
니체와 불교 280
죽간 목간 백서 중국 고대 간백자료의 세계 281
민요의 채보와 해석 281
아레티노 평전: 르네상스기 한 괴짜 논객의 삶 281
지각의 현상학 282
서원의 사회사 282
수치심과 죄책감 282
콘스탄티누스 가문의 기독교적 입법정책 283
적응과 협력의 시대 : 20세기의 한국 경제 283
한국어 동사 온톨로지 구축 연구 283
농서자료에 나타난 어휘장의 분류 및 표기법 연구 284
시민의 탄생과 진화 284
국왕의 불교관과 치국책 284
연극과 정치 - 탈정치시대의 독일연극 285
프랑스 계몽주의 지성사 285
여가학의 질적 연구방법론 285
신고전학파 경제학과 행동경제학 286
장자의 철학과 체육의 문제 286
고구려 고분 연구 286
한국어와 불어 형용사의 대조연구 - 언어유형론적 분석과 관점을 중심으로 287
연암 박지원의 글 짓는 법 287
경성의 모던걸 : 소비 노동 젠더로 본 식민지 근대 287
행정통제론 288
식민지 불온열전 : 미친 생각이 뱃속에서 나온다 288
기후변화 다이내믹스 288
북한교육연구 289
소크라테스의 앎과 잘남 289
송시열에서 강문학사에게로 289
한국 고용체제론 290
고려-대원 관계 연구 290
관계교환경제학 290
권력의 도상학: 식민지 시기 파시즘과 시각 문화 290
독자와 대화하는 글쓰기 291
언어의 의미 및 화용 이론과 실제 291
듀이의 미완성 경험 291
판소리의 신학적 풍경 291
종교의 두 얼굴 : 평화와 폭력 292
에로스와 죽음 292
법의 한계 - 법철학 및 사회철학 입문 292
유성기의 시대 유행시인의 탄생 - 시와 유행가요의 경계에 선 시인들 293
나치즘과 동성애 : 독일의 동성애 담론과 문화 293
한국어 형태론의 유형론 293
르네상스 영국 희곡의 표지 연구 294
일본어 한국어의 대조표현 연구 294
뇌과학과 종교연구 294
스페인어 통역교육론 295
일의 의미 295
혼종문화론 - 지구화 시대의 문화연구와 로컬의 문화적 상상력 295
넘다 보다 듣다 읽다 296
생활인 이규보 296
도시 일상생활 연구의 시공간적 접근 : 활동기반 이론에 의한 통행 행태 연구의 확장 296
칸트와 독일관념론의 자아의식 이론 297
신채호 다시읽기 297
팍스 몽골리카의 동요와 고려 말 왜구 297
조선시대 산송자료와 산도를 통해 본 풍수운용의 실제 298
한국문학과 자유주의 298
동북아시아의 국제이주와 다문화주의 298
19세기 영국여성의 글쓰기 : 문화적 종속과 변화의 가능성 299
신의 존재에 대한 괴델의 수학적 증명 299
정당은 어떻게 몰락하나 299
1950년대 지역 신문소설의 사회적 연구 300
흩어진 모래: 현대 중국인의 고뇌와 꿈 300
소외되기 소내되기 소내하기 300
서양문학에 나타난 죽음 301
인간은 왜 춤을 추는가: 인류의 춤 문화 코드 읽기 301
사회의 발견 : 식민지기 '사회'에 대한 이론과 상상, 그리고 실천 (1910~1925) 301
저작권의 발명과 발전 302
프라이밍: 나를 움직이는 무의식 302
이데올로기 - 문화해부학 또는 하이퍼코드의 문제제기 302
문화다양성의 법제적 구현 303
한국 고대 대외교역의 형성과 전개 303
고대희랍 로마의 분노론 303
규방가사의 '글하기' 전략과 소통의 수사학 304
죽은 자의 정치학 304
한국의 통일 NGO론 304
중국현대문학신론 305
Simplicity Theory 305
자유주의 철학과 가치관 형성 교육 305
현대중국의 새로운 이미지 언어 - 미술과 영화 306
다산 정약용의 주역사전, 기호학으로 읽다 306
노인의 자기방임 - 위험과 권리 사이 306
장애인 직업재활방법론 307
논리와 구조 307
18~19세기 농정책의 시행과 농업 개혁론 307
영혼돌봄의 정치: 플라톤 정치철학의 기원과 전개 307
영국계약구제법 308
회계학의 비판적 방법론 308
혈분경 (血盆經)의 기원과 사회·종교적 의미-한·중·일 삼국에서 그 전파와 변용 308
오스트리아의 역사와 문화 I, II, III 309
한국어, 그 인칭의 비밀 309
中國雅集 (중국아집) 309
그리스 자연철학과 현대과학 I, II 310
아우구스티누스와 덕 윤리: 기독교적 재조명 310
풀뿌리 민주주의와 아나키즘 310
유럽통합과 리스본조약 311
원묘요세의 백련결사 연구 311
비판적 담화분석 311
문학교육심리학 312
조선시대 해양국가와의 교류사 312
도시인간학: 도시 공간의 통합 기호학적 연구 312
전통 비극 담론의 보수성과 영국 르네상스 드라마 313
종교와 문화의 모자이크, 발칸: 역사적 함의와 진실 313
아버지의 부모역할과 아동발달 313
발터 벤야민 기억의 정치학 314
디자인컨설팅 314
과정학 원론: 글로벌 문화이론 314
북경똥장수: 어느 중국인 노동자의 일상과 혁명 315
음운론의 계량적 방법론 315
한국어 구문의 문법 315
내몽골, 외몽골 316
개화기의 외국어교육 316
일본서기(720)의 고대한국어 연구 316
아랍세계의 법문화 317
사회보호 활성화 레짐과 복지국가의 재편 317
한국어 조사의 분포와 통합체계 317
전후 일본의 내셔널리즘과 미국 318
경성 고민상담소: 독자상담으로 본 근대의 성과 사랑 318
증상으로서의 내재율 318
네모에 담은 지구 319
관용의 역사 319
영국 스포츠의 사회사 319
시인, 광대, 그리고 탐정: 시극작가로서의 엘리엇 320
점에서 철학으로 320
유럽통합과 안보질서 320
재미있는 한·일 고대설화 비교분석 321
중기밀턴 : 존밀턴의 산문 321
아시아의 이념과 복식문화 321
지속가능한 자본주의체제와 경제적 합리성 322
스페인 영화: 작가주의 전통과 국가 정체성의 재현 322
이슬람주의: 현대 아랍세계의 일그러진 자화상 322
메두사의 저주 323
젠더 몸 미술 - 여성주의 미술로 몸 바라보기 323
독일어권 모더니즘 연구 - 베를린 모더니즘과 빈 모더니즘 323
언어와 세계의 구조 - 의미론과 세계의 표상 324
정절의 역사 324
심신문제 324
신화에서 도교로 동아시아 상상력과 민족서사 325
스페인 중세 알레고리 문학 325
코끼리 쉽게 옮기기 : 영국연금개혁의 정치 325
미국 전쟁사 속 여성 326
고객심리학 326
사실인정과 형사증거법 326
리학 심학 논쟁, 연원과 전개 그리고 득실을 논하다 327
미적 근대의 주변부: 추방당한 자들의 귀환 327
중종의 시대: 조선의 유교화와 사림운동 327
예술 신체 공간 328
경찰윤리 328
정책과 법 - 원리, 판례- 328
현대 독자가 과거의 시가를 만났을 때 329
이슬람 마케팅과 할랄 비즈니스 329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협약(CISG)의 해석과 적용 329
일하는 한울님: 해월 최시형의 삶과 사상 330
여성의 정치사상 330
기호학과 뇌인지과학의 커뮤니케이션 330
일화의 형성 원리와 서술 미학 331
잃어버린 10년과 신자유주의 정책 전환 331
정념 기호학 331
조선의약 생활사 332
자연과학 글쓰기: 방법과 기능 332
한국형 EFL 영문학교육론 - 학습자문학의 이론과 실제 정립 332
조형예술 작품분석 및 글쓰기 333
생명과학의 철학: 개입과 반성 333
포스트모던 인문학적 사유와 유아교육 333
인권보장을 위한 비교헌법론 333
유럽의 발흥: 비교경제사 연구 334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의 체계론적 이해 334
생의 유: 평생교육의 철학 334
오크숏의 철학과 정치사상 334
기술적 표준과 법 335
가면들의 병기창 335
조선유학과 소강절 철학 335
(트라우마로 읽는) 21세기 한국 영화 336
I권 : 조선 전·중기 시가의 양층언어문학사 : 우리말노래와 한시 비교를 중심으로, II권 : 조선 중·후기 시가의 양층언어문학사 : 시조·한시·한역시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336
한국 불교민속문화의 현장론적 고찰 336
한국재벌사연구 337
한국 근대 서간 문화사 연구 337
근대 한국의 문명전환과 개혁론 337
중국 민족주의와 홍콩 본토주의 338
유교적 근대성의 미래: 한국 근대성의 정당성 위기와 인간적 이상으로서의 민주주의 338
러시아 현대정당사 338
키치의 시대, 예술이 답하다 339
죽음의 얼굴 - 문학 속에서 인간은 어떻게 죽어가는가 339
렌가라는 문학과 소기 339
한국탈놀이의 미학 340
고려전기 대간제도 연구 340
인정의 시대 - 현대사회 변동과 5대 인정 340
법의 철학적 기초 341
괴테가 탐사한 근대 - 슈투름 운트 드랑에서 세계문학론까지 341
스포츠 영화의 윤리적 이해 341
러시아의 전통 혼례 문화와 민속 342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지각방식과 관객의 역할 - 수행적인 것의 미학의 성과와 한계 342
신화와 정신분석 342
전후일본의 문화외교 연구 343
심학과 심리학 343
수업의 조건 343
사회 과학의 철학적 기초 344
수익성 구축을 위한 지역문화축제의 합리적 모델 개발 344
한국 공영 방송의 정체성 344
미학과 미술 345
가곡으로 되살아난 독일 서정시 1, 2 345
네트워크 시장과 정보재 345
부송 하이쿠와 삶의 미학 346
한국 주택시장의 새로운 이해 346
독일어 인지문법론 346
아프리카계 미국소설과 이산종교 347
만해, 그날들: 한용운 평전 347
학문의 진화 347
법인론 348
종교적 이미지의 형상적 기능: 시각적 이미지와 종교적 경험 348
한국의 중화학공업화 공업별 연구 - 제1차 금속공업 기계공업 (I, II) 348
철도 공무원노동자의 공공성과 생활세계 349
한일 연어 대조연구 349
프랑스어와 컴퓨터 349
전후문학을 다시 읽는다 350
일본근세사 350
독서와 지식의 풍경 351
한국 정치담화의 언어학적 분석: 비평적 담화분석의 관점을 중심으로 351
19세기 동아시아의 번역과 기독교 문서선교: 서양 개신교선교사의 번역활동과 중문기독교소설의 창작과 번역을 중심으로 351
근대일본의 한국어 학습서 352
인간존엄서의 철학 - 종교 간의 대화에 기초한 인간학 정초 352
형성기 한국 근대소설 텍스트의 시학 353
서사란 무엇이었는가 353
훈민정음을 사랑한 변호사 박승빈 353
재일코리안 기업의 형성과 기업가 정신 354
국제법의 헌법화 354
선비정신연구 : 앎, 삶, 교육 354
죽음에 관한 철학적 고찰 355
베오울프의 언어학적 이해 355
현대스포츠 외교사 - 올림픽을 중심으로 355
미술품 컬렉터들 - 한국의 근대 수장가와 수집의 문화사 - 356
러시아 소설의 형식적 불안정과 화자 356
산업재해의 탄생 : 직업병과 사고에 대한 산업사회 영국의 대응, 1750-1900 356
선문염송집 연구 357
지성인 알베르 카뮈 - 진실과 정의를 위한 투쟁 357
필사본 고소설의 지역별 유통양상과 향유층에 대한 실증적 연구 357
간디와 맞선 사람들 358
변화하는 무슬림 여성 358
계몽과 혁명 358
당대 자연시사 359
연구윤리의 이해와 실천 359
한국의 아나키즘: 운동편 359
중동의 미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360
연행론의 학문적 연행에 대한 반성적 고찰 360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지역간 신뢰와 편견 360
한국 학교도서관 발전의 새 단계와 과제 360
조선후기 영남 남인 연구 361
바이오경제시대의 사회적 도전과 과제 : 유전자변형생물체를 중심으로 361
남조국(南詔國)의 세계와 사람 361
이탈리아 상인의 위대한 도전 361
아모르 문디에서 레스 푸블리카로 362
명사구 총론 362
영웅의 발견과 한국근대소설의 기원 362
푸윙키들의 무대 363
소식문예이론 363
파농: 니그로, 탈식민화와 인간해방의 중심에 서다 363
동물을 위한 윤리학 364
한국전쟁기 미디어와 사회 364
러시아 문화와 우주철학 - 진화와 상생의 열린 소통을 위한 통합의 인문학- 364
중국불교사상사 - 유불도 통섭을 통한 인도불교의 중국적 변용- 365
허용된 불온 : 식민지시기 검열과 한국문학 365
모던한문학 365
개별 대상 연구 366
글로벌 사회와 종교 366
조세정의론 366
최적성이론의 국어 음운현상 분석 367
현상학과 상호문화성 367
중세 불교인물의 해외전승 367
재일한인 디아스포라: 재일본대한민국민단과 재일본한국연연합회의 단체 활동과 글로벌 네트워크 368
진리와 문화변동의 정치학 368
사립학교의 기원 : 일제초기 학교설립과 지역사회 368
기업의 형사책임 369
현대 프랑스의 언어정책 369
아나키즘, 비애와 분노의 뿌리 369
조선시대 의궤 차자 표기 연구 370
그림연극에서 뮤지컬 대본까지 - 국어 교과서 극문학 370
평등 사회를 향하여: 한국 형평사와 일본 수평사의 비교 370
공간·이동의 개념과 언어화 - 인지언어학적인 분석 371
사회적 결핍과 예수의 기적 371
아동문학과 영어교육 371
베이즈주의: 합리성으로부터 객관성으로의 여정 372
유가철학의 욕망 경계와 근대적 분화 372
한국 모더니즘 시의 반복과 변주 372
한국의 언론인, 정체성을 묻다 373
목릉시대 문인들의 일탈 체험과 문예 취 373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구조와 전략 373
사회적합의의 역사적교훈 - 일본의 구조조정과 노사정관계, 1890~1990- 373
문학과 의학 374
상담기관의 기록관리 374
포스트모던 영국소설의 역사성 읽기 374
그들은 왜 자살을 생각하게 되었는가 375
남양군도 : 일본 제국의 태평양 섬 지배와 좌절 375
민주사회로 가는 독일적 특수경로와 예술 375
인문한국 (HK) 지원사업 저역서 목록 376
과제명 : 인문학 진흥을 위한 인문치료학 (연구소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78
인문치료 378
인문치료학의 모색 378
인문치료, 어떻게 할 것인가 378
인문치료학의 정립을 위한 시론적 연구 378
인문치료와 철학 379
인문학 리더십코칭 379
인문치료의 이론과 원리 379
인문치료와 문학, 그리고 언어 380
예술과 인문치료 380
인문학의 치유 역사 380
인문치료 사례 연구 381
인문치료 소통 사례 연구 381
인문치료의 이론과 방법 381
인문치료 대상별 사례 연구 382
인문치료의 이론적 전개 382
강유위가 들려주는 대동 이야기 382
도상 문명의 이동을 말하다 383
지식의 이중주 383
마음, 철학으로 치료한다 383
쇼펜하우어 & 니체 철학자가 눈물을 흘릴 때 384
신화와 사랑 문화콘텐츠 원형을 보다 384
치료를 논하다(21세기 인문학의 새로운 도전) 384
과학철학(흐름과 쟁점 그리고 확장) 385
영화와 사회 385
인문학, 아이들의 꿈집을 만들다 385
동아시아의 기억과 방법으로서의 서사 386
왜 철학상담인가? 386
불량 유전자는 왜 살아남았을까 386
인생은 톱니바퀴다 387
논어 쿵푸스 387
가족 사이코드라마 387
인문산책 388
마음학(과학적 설명 철학적 성찰) 388
과학적 설명의 여러 측면 그리고 과학철학에 관한 다른 논문들 1 (Aspects of scientific explanation) 388
과학적 설명의 여러 측면 그리고 과학철학에 관한 다른 논문들 2 (Aspects of scientific explanation) 389
영화가 보낸 그림엽서 - 어느 시네필의 초상 (Persévérance) 389
예술치료의 모든 것 (Tout savoir sur l'art - therapie. 7/E) 389
과제명 : 한국문화의 동역학 (연구소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390
문화동역학 총서 1. 한국문학과 민주주의 390
문화동역학 총서 2. 복희고 390
문화동역학 총서 3. 일기를 통해 본 전통과 근대, 식민지와 국가 390
문화동역학 총서 4. 월경하는 극장들 391
문화동역학 총서 5. 최장집의 한국 민주주의론 391
문화동역학 총서 6. 동아시아의 근대, 그 중심과 주변 391
문화동역학 총서 7. 센티멘탈 이광수 - 감성과 이데올로기 392
문화동역학 총서 8. 1980 대중 봉기의 민주주의 392
문화동역학 총서 9. 용과 중국인 그리고 실크로드 392
문화동역학 총서 10. 19세기 조선의 문화구조와 동역학 393
문화동역학 총서 11. '물결21' 코퍼스의 구축과 활용 393
문화동역학 총서 12. 신문의 언어 사용 통계 393
문화동역학 총서 13. 한국의 근대 문화장의 동역학 394
문화동역학 총서 14. 정전 형성의 논리 394
문화동역학 총서 15. 민주화·탈냉전시대, 평화와 통일의 사건사 394
문화동역학 총서 16. 만주실록 역주 395
문화동역학 총서 17. 귀신·요괴·이물의 비교문화론 395
문화동역학 총서 18. 식민지라는 물음 396
문화동역학 총서 19. 청대 만주족의 샤먼 제사 396
문화동역학 총서 20. 조선 후기 사족과 예교 질서 397
문화동역학 총서 21. 전쟁과 극장 전쟁으로 본 근대극장의 문화 정치학 397
문화동역학 총서 22. 백년 동안의 진보 397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2 역사허구물 398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3 추리물 398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4 코미디 398
사전학 총서 3. 한국학 사전 편찬의 현황 399
돈황변문교주. 1 399
돈황변문교주. 2 399
돈황변문교주. 3 399
돈황변문교주. 4 400
돈황변문교주. 5 400
돈황변문교주. 6 400
한국어 사용빈도 400
안회남선집 401
식민지 검열, 제도, 텍스트, 실천 401
한국영화와 민주주의 401
시는 아무것도 모른다 402
용비어천가의 성립과 수용 402
조선후기 자연학의 동향 402
우리 유럽의 시민들 (Nous citoyens d'europe) 403
정치체에 대한 권리 (Droit de cite) 403
폭력과 시민다움 (la question de l'humain entre l'ethique et I'anthropologie) 403
만주팔기증수의 일기 404
역주 청어노걸대신석 (청어노걸대) 404
언두리가 들려주는 끝나지 않는 이야기 404
과제명 : 불교고전어·고전문헌의 연구를 통해 본 문화의 형성과 변용 및 수용과정 연구 (연구소 :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405
身延山資料叢書 三 405
역주 십지론의소 405
불교, 동아시아를 만나다 405
地論思想の形成と變容 406
고대 동아시아 불교 문헌의 새로운 발견 406
무성석 섭대승론 소지의분 역주 406
지론사상의 형성과 변용 407
불교경전은 어떻게 전해졌을까 407
藏外地論宗文獻 集成 407
화엄경문답을 둘러싼 제문제 408
The Foundation for Yoga Practitioners - Buddist Yogacababhumi Trearise and Its Adapation in India, East Asia, and Tibet 408
교감번역 화엄경문답 408
동아시아 법화경 세계의 구축 409
동아시아 법화경 세계의 구축2 409
석가와 미륵의 경쟁담 409
불성론 410
원측 해심밀경소 무자성상품 종성론 부분 역주 410
대반열반경집해 여래성품 역주 410
옥 로댄쎄랍의 보성론요 여래장품 411
동아시아에 있어서 불성여래장 사상의 수용과 변용 411
화엄경의 세계 411
인도 사본학 개론 412
藏外地論宗文獻集成 續集 412
산스끄리뜨 시형론 : 운율 및 숫자적 상징에 대한 해설 412
남북조시대의 불교사상 413
종교와 역사의 교차점 실크로드 413
초기불교의 이념과 명상 413
티벳밀교 역사와 수행 414
티벳문화입문 414
유식과 유가행 414
동아시아 불교에서 대립과 논쟁 415
현대사회와 불교 415
동아시아 법화경 세계의 구축3 415
산스크리트 입문1 416
산스크리트 입문2 416
여래장과 불성 416
과제명 : 로컬리티의 인문학 (연구소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17
로컬리티 연구총서 1 로컬리티, 인문학의 새로운 지평 417
로컬리티 연구총서 2 탈근대 탈중심의 로컬리티 417
로컬리티 연구총서 3 장소성의 형성과 재현 417
로컬리티 연구총서 4 로컬의 문화지형 418
로컬리티 연구총서 5 포섭과 저항의 로컬리티 418
로컬리티 연구총서 6 선망과 질시의 로컬리티 418
로컬리티 연구총서 7 차이와 차별의 로컬리티 419
로컬리티 연구총서 8 부산 시공간의 형성과 다층성 419
로컬리티 연구총서 9 공간의 사유와 공간이론의 사회적 전유 419
로컬리티 연구총서 10 창조성과 도시 420
로컬리티 연구총서 11 동아시아 개항장 도시의 로컬리티 420
로컬리티 연구총서 12 이주와 로컬리티의 재구성 420
로컬리티 연구총서 13 로컬의 일상과 실천 421
로컬리티 연구총서 14 장소경험과 로컬 정체성 421
로컬리티 연구총서 15 다문화와 인정의 로컬리티 421
로컬리티 HUKO총서 1 離鄕과 경계의 땅 부산의 아미동, 아미동 사람들 422
로컬리티 자료총서 1 부산근대영화사 422
로컬리티 자료총서 2 (잡지로 보는) 한국 근대의 풍경과 지역의 발견 1-11 422
로컬리티 자료총서 3 식민지 조선의 이주일본인과 지역사회 - 진남포의 토미타 기사쿠 423
로컬리티 번역총서 L1 공간, 장소, 경계 (Räume, Orte, Grenzen) 423
로컬리티 번역총서 L2 토폴로지 (Topologie) 423
로컬리티 번역총서 L3 공간의 생산 (La production de l'espace) 424
로컬리티 번역총서 L4 소수에 대한 두려움 (Fear of Small Numbers - Geography of Anger) 424
로컬리티 번역총서 L5 인간과 공간 (Mensch und Raum) 424
로컬리티 번역총서 L6 토포필리아 (Topophilia) 425
로컬리티 번역총서 L7 복잡성 사고 입문 (Introduction à La Pensée Complexe) 425
로컬리티 번역총서 L8 로컬 히스토리/글로벌 디자인 (Local Histories/Global Designs) 425
로컬리티 번역총서 L9 글로벌화의 역사(Geschichte der Globalisierung) 426
로컬리티 번역총서 L10 공간적 사유 (Thinking Space) 426
로컬리티 번역총서 L11 디아스포라와 혼종성 (Diaspora & Hybridity) 426
로컬리티 번역총서 L12 장소와 경험 (Place and Experience) 427
로컬리티 번역총서 Humanities 001 모빌리티와 장소 (モビリティと場所) 427
로컬리티 번역총서 Humanities 002 한일 내셔널리즘의 해체 (日韓ナショナリズムの解体) 427
로컬리티 번역총서 Humanities 003 지연문명 (地緣文明) 428
로컬리티 번역총서 Humanities 004 '장소'론 (「場所」論) 428
로컬리티 번역총서 Humanities 005 말이라는 환영-근대 일본의 언어 이데올로기 (にとばという幻影) 428
로컬리티 번역총서 Humanities 006 타인들 사이의 중국인(Chinese Among Others: Emigration in Modern Times) 429
로컬리티 번역총서 Humanities 007 지역문화와 국가의식(地域文化與國家認同-晚淸以來'廣東文化'觀的形成) 429
로컬리티 번역총서 Humanities 008 새로운 아시아 도시 (The New Asian City) 429
로컬리티 번역총서 Humanities 009 공간적 전회 (Spatial Turn : Das Raumparadigma in den Kultur und Sozialwissenschaften) 430
로컬리티 교양총서 1 지역, 예술을 말하다 430
로컬리티 교양총서 2 대중문화, 지역을 디자인하다 430
로컬리티 교양총서 3 지역에서 행복을 찾다 431
과제명 : 고전번역학+비교문화학을 통한 〈소통인문학〉의 창출 : 주변과 중심의 횡단을 위해 (연구소 :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점필재연구소) 431
유럽중심주의 비판과 주변의 재인식 431
고전, 고전번역, 문화 번역 431
문화소통과 동서양의 고전 432
문화소통과 번역 432
동아시아, 근대를 번역하다 432
한국 고전번역학의 구성과 모색 433
타자로서의 서구 433
사무사 433
취향의 정치학 434
사상의 번역 434
젠더는 패러디다 434
경계에서 만나다: 디아스포아와의 대화 435
이스라엘에는 누가 사는가 435
세계문학의 가장자리에서 435
한불자전연구 436
언어문화총서 2 주변의 탐색: 북한 국어학과 국어학자 436
언어문화총서 4 민족의 언어와 이데올로기 436
현대사회와 인문학적 성찰 437
쐐기 문자의 생성과 소멸 그리고 판독 437
현대 언어학의 흐름 437
Recent Trends in Language and Knowledge Processing 438
부산의 지명 연구 438
헤겔 - 정신의 체계, 자유와 이성의 날개를 활짝 펼치다 438
중국현대판타지문학 439
고전번역학총서 이론편1 고전번역담론의 체계 439
고전번역학총서 번역편 대한자강회월보 편역집 1 - 교육, 학술의 근대적 전환 / 원제 大韓自强會月報 439
고전번역학총서 번역편 대한자강회월보 편역집 2 - 실용문학의 태동 / 원제 大韓自强會月報 440
우리시대의 주변 횡단 총서 1 아래로부터의 포스트식민주의 / 원제 Postcolonial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2003년) 440
우리시대의 주변 횡단 총서 2 유럽을 떠나라 : 파농과 유럽인의 위기 / 원제 Fanon And The Crisis Of European Man : An Essay On Philosophy And The Human Sciences 440
우리시대의 주변 횡단 총서 3 팽창하는 세계 / 원제 The Expanding World 441
현대 한국어로 보는 한불자전 (Dictionnaire Coreen - Francais) 441
근대 지식인의 언어인식 - 언어 관련 저서의 머리말 역주를 통해 441
근대 한국어를 보는 제국의 시선 - 번역을 통해 살펴본 (Modern Korean language) 442
상호문화 철학의 논리와 실천 (Epistemology and gender : the question of alterity : an intercultural) 442
자율어휘 통사론 (Autolexical Syntax : A Theory of Parallel Grammatical Representations) 442
정보에 기반한 통사론과 의미론 (Information based Syntatics and Semantics) 443
사회과학에서의 문화개념 - 사회학과 인류학을 중심으로 (La notion de culture dans les sciences sociales) 443
문화냉전과 아시아 - 냉전 연구를 탈중심화하기 443
다르마키르티의 철학과 종교 (ダルマキ-ルティにおけゐ哲學と宗敎) 444
프란츠 파농 새로운 인간 (Frantz Fanon) 444
강해승사록 444
바로크란 무엇인가? : 바로크에 대한 50가지 질문 (Qu'est - ce que le baroque?) 445
제갈량과 20세기 동양적 혁명을 논하다 - 역주 몽견제갈량 445
한국 고전번역학의 구성과 모색 2 445
대한자강회월보 편역집 3 - 자강의 논리 (大韓自强會月報) 446
과제명 : 문명의 허브를 향하여, 한국인문학의 새로운 구상 (연구소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446
맹자사설 (孟子師說) 446
인류의 교육을 위한 새로운 역사철학 (Auch eine Philosophie der Geschichte zur Bildung der Menschheit) 446
가게로 일기 (蜻蛉日記) 447
자유의 법 강령 (The Law of Freedom in a Platform : Or, True Magistracy Restored) 447
내훈 (內訓) 447
장가르 1 448
페미니즘과 지리학 (Feminism & Geography : The Limits of Geographical Knowledge) 448
문명 안으로 448
문명 밖으로 449
빠니니 읽기 449
인류사의 사건들 (What Happened in History) 449
신청년의 신문학론 450
무알라까트 450
묵경(墨經) 1 450
묵경 2 451
에우데모스 윤리학 (Aristotelis Ethica Eudemia) 451
로마의 문법학자들 451
두 정치연설가의 생애 (Vitae Parallelae : Demosthenes, Cicero, Comparation Demosthenis cum Cicerone) 452
문명의 교류와 충돌 452
사상가들 도시와 문명을 말하다 452
기베르 드 노장의 자서전 (De vita sua) 453
루이스 멈퍼드 건축비평선 (From the Ground Up : Observations on Contemporary Architecture, Housing, Highway Building, and Civic Design) 453
해체신서(解體新書) 453
신민설(新民說) 454
겐지 모노가타리(源氏物語) 1 454
중국 한시: 한대에서 청대까지 454
북아메리카 원주민 트릭스터 이야기(American Indian Trickster Tales) 455
문명 속의 불만(Das Unbehagen in der Kultur) 455
공간, 장소, 젠더(Space, Place, and Gender) 455
헤겔 미학 개요:『미학강의』서론 해설 456
통섭을 넘어서 - 학제적(學際的) 연구와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철학적 성찰 456
과제명 : 글로벌폴리스의 인문적 비전 (연구소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456
도시공간의 인문학적 모색 456
도시공간의 형성 원리와 도시민의 삶 457
도시적 삶과 도시문화 457
글로벌폴리스의 양가성과 도시인문학의 모색 457
로마 공화국과 이탈리아 도시: 통합과 조직의 역사 458
도시 공간의 이미지와 상상력 458
발터 벤야민: 모더니티와 도시 458
현대철학과 사회이론의 공간적 선회 459
경계초월자와 도시 연구: 지구화 시대의 매체 이주 459
도시와 권리 459
도시 속의 역사 460
현대사상과 도시 460
도시: 상징 자본 공공성 460
도시, 성, 사랑 461
도시, 인간, 인권 461
1930~40년대 경성의 도시체험과 도시문제 461
사랑 이후의 도시 462
젠더, 정체성, 장소 (Gender, Identity and Place : Understanding Feminist Geographies) 462
초국적 도시이론: 지구화의 새로운 이해(Transnational urbanism) 462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해설과 비판 (Gilles Deleuze's Difference and repetition : a critical introduction) 463
탈산업사회에서 포스트모던사회로 (From post - industrial to post - modern society : new theories of the contemporary world. 2/E) 463
도시연구의 주요개념 (Key Concepts in Urban Studies) 463
과제명 : 문화로서의 아시아 : 사상·제도·일상으로 아시아 재구성하기 (연구소 :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464
생태논의의 최전선 (Monthly Reveiw 2) 464
소피의일기 (莎菲女土的日記) 464
내가 안개마을에 있을 때 (我在霞村的時候) 464
적지지련 465
동아시아의 오늘과 내일 465
현대중국여성의 삶을 찾아서-국가·젠더·문화 465
냉전 아시아의 문화풍경2 466
전쟁이라는 문턱 466
アヅアのポピュラ一音楽 ダロ一バルとロ一カルの相克の詳細 466
戰爭與分界:〈總力戰〉下臺灣·韓國的主體重塑與文化政治 467
탈/근대 아시아와 여성: 공간을 만들다 467
김기덕 - 60년대 한국 대중·장르영화의 최전선 467
Asia in Mobility : Spatial Practices between the Colonial/Imperial and (post) Cold War Borders 468
電皮 電影 電視 468
Popular Culture Co-productions and Collaborations in East and Southeast Asia 468
전후의 탄생 : 일본 그리고 조선이라는 경계 469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100년 (문과대는 사회를 잇는 교감신경 백원담) 469
누가 문화자본을 지배하는가? (신서세동점기 - 중국 문화산업자본 글로벌화의 로컬 현상 윤영도) 469
아르코 연구 비평 총서 Tradition (Un) Realized 470
'동아' 트라우마 : 식민지 제국의 경계와 탈경계의 경험들 470
귀환 혹은 순환 470
이동하는 아시아 : 탈/냉전과 수교의 문화정치 471
'냉전' 아시아의 탄생: 신중국과 한국전쟁 471
동아시아 대중문화소비의 새로운 흐름 471
아시아의 접촉지대: 교차하는 경계와 장소들 472
가요, 케이팝 그리고 그 너머 : 한국 대중음악을 읽는 문화적 프리즘 472
The Korean popular culture reader 473
키워드로 읽는 동아시아 473
문화분단 : 남한의 개인주의와 북한의 집단주의 473
탈북의 경험과 영화 표상 474
대중음악의 이해 474
과제명 : 소통과 확산 : 동아시아 연구를 통한 한국인문학의 창신 (연구소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474
이탁오의 논어평 474
정치학이란 무엇인가 475
일본논어해석학 475
중국 모델의 혁신(辯論"中國模式") 475
One Quarter of Humanity 인류 사분의 일-맬서스의 신화와 중국의 현실, 1700~2000년 476
20세기 초 반청 혁명운동 자료선 신광동, 신호남, 혁명군, 경세종 476
국부 만들기(華盛頓在中國 : 製作「國父」) 476
주자어류고문해의 477
신남철 문장선집1 식민지 시기편 - 신남철 문장선집2 전환기의 이론 외 477
독논어대전설 I 477
兩漢經學與社會 (한대 경학의 발전과 사회변화) 478
동아시아 자료학의 가능성 - 고대 동아시아사의 이해를 중심으로 478
1919년 3월 1일에 묻다 478
죽간 목간에 담긴 고대 동아시아 479
지하(地下)의 논어, 지상(紙上)의 논어 479
삼국지 동이전의 세계 479
임술민란과 19세기 동아시아 민중운동 480
전근대 동아시아 역사상의 사(士) 480
중국의 민주주의는 어떻게 가능한가 480
통계로 보는 조선후기 국가경제- 18~19세기 재정자료의 기초적 분석 481
동아시아 유교문화의 재발견 481
한국어의 근대와 이중어사전 - 전11권 (영인편) 482
『개념과 역사, 근대 한국의 이중어사전 1 - 외국인들의 사전 편찬 사업으로 본 한국어의 근대』(연구편) 483
『개념과 역사, 근대 한국의 이중어사전 2 - 외국인들의 사전 편찬 사업으로 본 한국어의 근대』(번역편) 483
능지처참 - 중국의 잔혹성과 서구의 시선 (Death by a Thousand Cuts) 484
아시아의 망령 : 귀환자 아베 고보와 전후 일본 484
저수하의 시간, 염상섭을 읽다 484
염상섭 문장전집 I, II, III 485
한국고대문자자료연구 백제(상) - 지역별 485
한국고대문자자료연구 백제(하) - 주제별 485
과제명 : 지리산권 문화 연구 (연구소 : 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486
지리산권 유학의 학맥과 사상 486
지리산권 인물의 삶과 정신 486
지리산문학의 새로운 지평 486
지리산의 세계유산적 가치와 한중일 명산문화 487
여순사건자료집 I -중앙일간지 편- 487
여순사건자료집 II -중앙일간지, 국외신문·통신 편- 487
여순사건자료집 III -지방일간지 편- 488
여순사건자료집 IV -지방일간지 편- 488
과제명 : 탈경계 인문학의 구축과 확산 (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한국문화연구원) 488
탈경계인문학 학술총서 1 지구지역시대의 문화경계 488
탈경계인문학 학술총서 2 젠더와 탈/경계의 지형스 489
탈경계인문학 학술총서 3 인터-미디어와 탈경계 문화 489
탈경계인문학 학술총서 4 탈경계 시대의 지구화와 지역화 489
탈경계인문학 학술총서 5 경계짓기와 젠더의식의 형성 490
탈경계인문학 학술총서 6 인터-페이스와 다매체 미학 490
탈경계인문학 학술총서 7 소통을 위한 인문적 상상 490
탈경계인문학 학술총서 8 젠더하기와 타자의 형상화 491
탈경계인문학 학술총서 9 디지털 시대의 컨버전스 491
탈경계인문학 학술총서 10 문화혼종과 탈경계 주체 491
탈경계인문학 학술총서 11 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 492
탈경계인문학 학술총서 12 번역과 교섭 492
탈경계인문학 연구총서 1 회화로 읽는 1930년대 시문학사 492
탈경계인문학 연구총서 2 이미지 문화사회학 493
탈경계인문학 연구총서 3 20세기 말의 미술 493
사이시리즈 1 주체와 타자 사이 : 여성, 타자의 은유 493
사이시리즈 2 텍스트와 이미지 사이 : 보는 텍스트, 읽는 이미지 494
사이시리즈 3 매체와 지각 사이 : 매체, 지각을 흔들다 494
사이시리즈 4 경건과 욕망 사이 : 세상을 욕망하는 경건한 신자들 494
사이시리즈 5 소설과 영화 사이 : 스크린 위의 소설들 495
사이시리즈 6 시민과 디아스포라 사이: 경계인들의 목소리 495
사이시리즈 7 기호와 기호 사이: 이미지들 너머 495
사이시리즈 8 예술과 기술 사이: 포스트휴머니즘의 미학 496
사이시리즈 9 괴물과 신체 사이: 아베 고보와 이형의 신체들 496
사이시리즈 10 종교와 종교 사이: 예루살렘 성지·전장 496
포스트휴먼 총서 1 호모사피엔스의 미래-포스트휴먼과 트랜스휴머니즘 497
포스트휴먼 총서 2 포스트휴먼의 무대 497
포스트휴먼 총서 3 포스트휴먼 497
포스트휴먼 총서 5 포스트휴먼시대의 미술 498
인문지식 총서 1 동아시아 근대 지식과 번역의 지형 498
탈경계인문학 번역총서 1 식민욕망 : 이론, 문화, 인종의 혼종성 498
탈경계인문학 번역총서 2 미학의 모든 것 1 : 미학의 기초 철학적 미학 499
탈경계인문학 번역총서 3 감정, 이성보다 깊은 499
탈경계인문학 번역총서 5 이보불환형 : 매란방의 삶과 예술을 말하다 499
과제명 : 동아시아 상생과 소통의 한국학 (연구소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500
동아시아한국학 연구총서 1 : 중국 없는 중화 500
동아시아한국학 연구총서 2 : 동아시아, 개항을 보는 제3의 눈 500
동아시아한국학 연구총서 3 : 범월(犯越)과 이산(離散) - 만주로 건너간 조선인들 500
동아시아한국학 연구총서 4 : 동아시아 개항도시의 형성과 네트워크 501
동아시아한국학 연구총서 5 : 동아시아의 전쟁 기억 501
동아시아한국학 연구총서 6 : 조선중화주의의 성립과 동아시아 501
동아시아한국학 연구총서 11 : 동아시아의 자국학과 자국문학사 인식 501
동아시아한국학 연구총서 12 : 식민사학과 민족사학의 관학아카데미즘 502
동아시아한국학 연구총서 13 : 동아시아한국학의 형성 - 근대성과 식민성의 착종 502
동아시아한국학 연구총서 14 : 동아시아한국학의 분화와 계보 - 복수의 한국학들 502
동아시아한국학 연구총서 15 : 한국과 베트남 사신 북경에서 만나다 - 창화시 연구 503
동아시아한국학 연구총서 16 : 러시아의 한국학과 북우 계봉우 503
동아시아한국학 연구총서 17 : 연변학의 선구자들 503
동아시아한국학 연구총서 18 : 연변조선족의 역사와 현실 504
동아시아한국학 연구총서 19 : 동아시아 3국의 사회변동과 갈등관리 504
동아시아한국학 연구총서 20 : 근대 이행기 동아시아의 자국어인식과 자국어학의 성립 504
동아시아한국학 연구총서 21 : 동아시아 한국문학을 찾아서 505
동아시아한국학 교양총서 01 : 인문학, 소통과 공생의 지혜 505
동아시아한국학 교양총서 02 : 우리 안의 타자, 동아시아 505
동아시아한국학 교양총서 03 : 근대제국과 만난 인천 - 충돌과 변화 506
동아시아한국학 교양총서 04 : 동아시아 영토분쟁의 어제와 오늘 506
동아시아한국학 교양총서 05 : 문학 속의 인천, 인천의 문학 506
동아시아한국학 교양총서 01 : 한월 사신 창화시문 507
동아시아한국학 교양총서 02 : 다산의 사서학 - 동아시아의 관점에서 507
동아시아한국학 교양총서 03 : 근대문학 10강 507
동아시아한국학 번역총서 04 : 제물포해전과〈바략〉 508
동아시아한국학 자료총서 06 : 중국조선족 역사연구문헌목록 508
과제명 : 동아시아 기본개념의 상호소통 사업 (연구소 :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508
한국개념사총서 1. 만국공법 508
한국개념사총서 2. 국가·주권 509
한국개념사총서 3. 헌법 509
한국개념사총서 4. 국민·인민·시민 509
한국개념사총서 5. 민족·민족주의 510
한국개념사총서 6. 문명 510
한국개념사총서 7. 문학 510
한국개념사총서 8. 제국 510
한국개념사총서 9. 노동 511
한국개념사총서 10. 보수 511
일상개념총서 1. 호환 마마 천연두 511
일상개념총서 2. 청년아 청년아 우리 청년아 512
개념사의 지평과 전망 512
개념의 번역과 창조 512
두 시점의 개념사 512
조선 후기 사상사의 미래를 위하여 513
정치·사회적 개념의 역사 513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1. 문명과 문화 513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2. 진보 514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3. 제국주의 514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4. 전쟁 514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5. 평화 515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6. 계몽 515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7. 자유주의 515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8. 개혁과 (종교)개혁 516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9. 해방 516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10. 노동과 노동자 516
이언, 19세기 중국 개혁을 묻다 517
관념사란 무엇인가? 1. 이론과 방법 517
관념사란 무엇인가? 2. 관념의 변천과 용어 517
우주의 모든 것 518
예술의 역설 518
예술의 조건 518
한 단어 사전 1. 개인 519
한 단어 사전 2. 공사 519
한 단어 사전 3. 문화 519
한 단어 사전 4. 인권 520
한 단어 사전 5. 천 520
역사를 읽는 방법 520
지리학의 창으로 보는 중국의 근대 521
동아시아 개념연구 기초문헌해제 1 521
동아시아 개념연구 기초문헌해제 2 522
한국근대 신어사전 522
과제명 : 일본연구의 세계적 거점 구축 (연구소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523
식민지 일본어 문학론 (「外地」日本語文學論) 523
일본어잡지로 보는 식민지영화 1 523
다로의 모험(太郞の冒險) 523
경성의 일본어 탐정 작품집 524
식민지 조선 일본어잡지의 괴담·조선 524
사상전의 기록 조선의 방공운동 524
전설의 평양(傳説の平壤) 525
일본문화사전 525
한일문화교류와 표상 2 525
한일문화교류와 표상 1 526
일본어교육연구의 최전선 2013 526
일본 근대어법의 형성 526
이미지로서의 동아시아 문화공동체 527
에로경성 조감도(여성직업편) 527
일본추리소설사전 527
일본의 탐정소설 528
탐정취미-경성의 일본어 탐정소설 528
조선 야담 전설 수필 528
온돌야화 529
환상과 괴담 - 기묘한 일본문학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529
동아시아 문학의 실상과 허상 - 한국 친일문학과 대만 황민(皇民)문학의 대화 - 529
재조일본인과 식민지 조선의 문화 1 530
근대 초기 한반도 간행 일본어잡지 자료집 - 『朝鮮評論』·『朝鮮之實業』·『滿韓之實業』(전18권) 530
일본괴담집(怪談) 530
마지막 회전(最後の廻転) 531
유머수필 신선로(ユウモア随筆 神仙爐) 531
문학잡지『國民詩歌』와 한반도의 일본어 시가문학 531
제국의 이동과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들 532
동아시아의 일본어잡지 유통과 식민지문학 532
완역 일본어잡지 조선 문예란(1908.3~1909.2) 532
근대 일본의 연애관 532
조선 속 일본인의 에로경성조감도 공간편 533
완역 일본어잡지『조선』 문예란(1909년 3월 - 1910년 2월) 533
완역 일본어잡지『조선』 문예란(1910년 3월 - 1911년 2월) 533
완역 일본어잡지『조선』 문예란(1911년 3월 - 1911년 12월) 534
일본의 고대사 인식 : '동아시아세계론'과 일본(古代 東アジア世界と日本) 534
성전의 아이코노그래피(聖戰のイユノグラフィ) 534
묻는 철학 답하는 종교 (宗敎哲學入門) 534
근대 일본의 젠더 이데올로기(近代日本のジェソダ一一現代日本の思想的課題) 535
교양으로 읽는 일본사상사(日本思想史ハソドブシワ) 535
함께하는 다문화 교육 (多文化共生の敎育) 535
무사도(武士道) 535
고류큐의 정치 (古琉捄の政治) 536
에도 유교과 근대의 지(江戸儒敎と近代の「知」) 536
삼국지의 세계 : 역사의 이면을 보다(三國志演義の世界) 536
일본의 술(日本の酒) 537
일본 국체 내셔널리즘의 원형 537
마루야마 마사오 리버럴리스트의 초상(丸山眞男 リベラリストの肖像) 537
일본대재해의 교훈(日本大災害の敎訓 - 複合危機とリスワ管理) 537
질투의 정치(首長の暴走 ぁくわ問題の政治學) 538
검증 3.11 동일본대지진(檢証 : 東日本大震災) 538
한 경계인의 고독과 중얼거림(誠信交隣) 538
핵확산문제와 아시아 - 핵 억지론을 넘어서(核擴散問題とアゾア一核抑止論を超えて) 539
조선영화통제사(朝鮮映畵統制使) 539
문화유산의 보전과 부흥 철학-자연과의 창조적 관계 재생(文化遺産の保全と復興の哲學 - 自然との創造的關係の再生) 539
동일본대지진, 부흥을 위한 인문학적 모색(東日本大震災 復興を期して一知の交響) 540
확대되는 방사능 오염과 법규제 (擴大する放射能汚染と法規制ᅳ穴だらけの制度の現狀) 540
동일본대지진과 환경오염 : 환경공학자의 진단 (東日本大農災と環境汚染 一 ア一スドクタ一の診斷) 540
제언-동일본대지진 : 지속 가능한 부흥을 위하여(東日本大震災 復興への提言ᅳ持續可能な經濟社會の構築) 541
재난에서 살아남기 (みんなの防災ハンドブシク) 541
일본 원자력 정책의 실패: 후쿠시마 원전사고 대응과정의 검증과 안전규제에 대한 제언(フクシマ原發の失敗ᅳ事故對應過程の檢証とこれからの安全規制) 541
변용하는 일본형 시스템 현장보고 542
호리 다쓰오와 모더니즘 : 회화 과학 꿈 542
일본의 대외위기론과 팽창의 역사적 구조 542
동아시아 세계의 일본사상 542
아시아사와 디아스포라 543
역사학의 세기 543
일본인류학과 동아시아 543
동아시아 역사인식의 중층성 544
고대 동아시아 재편과 한일관계 544
연애와 문명 544
임진왜란 관련 일본문헌해제-근세편 544
저팬리뷰 2010 545
동아시아 속의 한일관계사(상) 545
일본한인의 역사(하) 545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546
저팬리뷰 2011 546
한일 상호간 집단거주지의 역사적 연구 546
근대 동아시아 담론의 역설과 굴절 547
국학과 일본주의 547
그들이 본 임진왜란 547
북풍과 태양 일본의 경제외교와 중국 1945-2005 548
저팬리뷰 2012.3.11 동일본대지진과 일본 548
내적 오리엔탈리즘 그 비판적 검토 548
일본사를 움직인 100인 : 쇼토쿠태자에서 미야자키 하야오까지 549
민의와 의론 : 동아시아 삼국의 정치사상 549
전근대일본의 영토의식 549
동아시아의 종교와 문화 549
일본은 지금 무엇을 생각하는가 550
저팬리뷰 2013 550
東日本大震災と日本 - 韓國からみた3.11(동일본대지진과 일본: 한국인이 바라 본 3.11) 550
일본의 재해부흥 : 3.11 동일본 대지진과 인간 551
트랜스로컬리즘과 재해사상학 551
저팬리뷰 2014: 일본의 변용 551
일본의 전쟁과 평화 551
재조일본인의 국경의 우울 552
조선의 풍경과 건축 552
재조일본인 여급소설 552
경성의 새벽 2시 553
식민지 조선의 음악계 553
어둠의 경성 553
재조일본인 유곽이야기 554
경성제국대학 일본어잡지 청량 소설 선집 554
1920년대 재조일본인 시나리오 선집 554
과제명 : 자중해지역의 문명간 교류 유형 연구 (연구소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555
지중해 도시들 555
지중해 조형예술 555
지중해 나라별 속담 555
원문읽기 성서 히브리어 556
지중해 문명의 다중성 556
지중해의 일상과 축제 556
지중해 철학 문명이동모델 557
지중해 무형 문화재 557
지중해의 에티켓과 금기 557
지중해의 전쟁과 갈등 558
현대 아랍시의 정체성 찾기 558
지중해의 신화 558
남유럽의 전통기록물 관리 559
지중해 다문화 문명, 분배와 융합의 역사 559
국제사회의 규범과 원리 559
지중해의 영화 560
내가 아벨을 지키는 자입니까? 560
이슬람의 에티켓과 금기 560
지중해연합을 향한 로드맵 561
변론 561
통합이란 무엇인가 561
딸과 엄마 : 한 무슬림 소녀의 명예살인에 대한 이야기 562
로마인이야기 562
시칠리아 풍경 562
지중해언어의 만남 563
지중해 문화를 걷다 563
과제명 : 유라시아 정체성과 문명공존 : 유라시아학 체계정립과 지역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연구소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563
유라시아의 지역주의적 재편성 563
러시아의 생활양식과 정체성 564
유라시아 권위주의 - 생성 배경 동학 및 전망 564
유토피아의 환영 - 소비에트 문화의 이론과 실제 564
유라시아의 생활양식과 정체성 565
현대 러시아 대중문화의 양상과 전망 565
유라시아의 생활양식과 정체성 2 566
해체와 노스탤지어 - 포스트소비에트 문화와 소비에트 유산 566
유라시아의 체제전환과 국가건설 566
유라시아의 체제전환과 경제발전 567
중앙아시아 민족정체성과 이슬람 567
역사 속의 한국과 러시아 - 상호 인식과 이해 568
루시로부터 러시아로 - 고대 러시아 문화와 종교 568
러시아제국과 소비에트 - 이념·종교·혁명 568
소련제국의 민족과 경제관계 569
러시아 이슬람 - 역사.이념.전쟁 569
러시아 극동지역 투자가이드 569
유라시아 지역의 분쟁 570
러시아 근대사 570
러시아 제국의 팽창과 근대적 유라시아 문화공간의 형성 571
유라시아경제연합 - 지역통합의 현실과 전망 571
소비에트 제국의 문화 역학 : 지배와 저항 사이 571
과제명 : 조선의 기록문화와 법고창신 (法古創新)의 한국학 (연구소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72
귀한 나무처럼 어린 싹처럼 572
한국학, 밖에서 본 한국 572
규장각, 한국학의 여정 572
조선을 그리다 조선을 만나다 573
100년 전의 기억 대한제국 573
그림으로 본 조선 573
놀이로 본 조선 574
사물로 본 조선 574
세상 사람의 조선여행 574
실용서로 읽는 조선 575
일기로 본 조선 575
조선 국왕의 일생 575
조선 사람의 세계여행 576
조선 사람의 조선여행 576
조선 여성의 일생 576
조선 전문가의 일생 577
선각(先覺) 577
대한제국 -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577
근대 한국어 시기의 언어관.문자관 연구 578
데라우치 마사다케 통감의 강제 병합 공작과 '한국병합'의 불법성 578
동아시아의 문헌 교류 578
용동궁공사책 - 탈초본 579
용동궁등록 탈초본 579
잡담과 빙고 - 경기.충청 장토문적으로 보는 조선 후기 여객주인권 579
조선 기록문화의 역사와 구조 1 - 지식에서 기록으로 580
조선 기록문화의 역사와 구조 2 - 지식에서 기록으로 580
조선의 소학 - 주석과 번역 580
조선 후기의 과거 581
경민편 - 교화와 형벌의 이중주로 보는 조선 사회 581
교감·해설 징비록 - 한국의 고전에서 동아시아의 고전으로 581
그림이 된 임진왜란 - 근세 일본 고문헌의 삽화로 보는 7년 전쟁 581
만국사물기원역사 - 전통과 근대의 지식을 아우른 세계 만물 백과사전 582
양화소록 - 선비, 꽃과 나무를 벗하다 (養花小錄) 582
한국통사 - 국망의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는 거울 582
주자봉사 (朱子封事) 583
21세기 한.중.일 역사 전쟁 - 동북아시아의 역사 갈등과 미래 583
관암 홍경모와 19세기 학술사 583
규장각 - 그 역사와 문화의 재발견 584
규장각과 책의 문화사 584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현대사적 성찰 584
동아시아의 전쟁기억 584
안중근 평전 - 평화를 위해 총을 겨눈 인간의 다면적 초상 585
종묘와 사직 - 조선을 떠받친 두 기둥 585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 우리 시대 인문학자 32인의 그림 읽기, 문화 그리기 585
동아시아, 해양과 대륙이 맞서다 - 임진왜란부터 태평양전쟁까지 동아시아 오백년사 586
규장각 소장 국보, 보물 및 세계기록유산 586
과제명 : 21세기 실학으로서의 사회인문학 (연구소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586
비판의 변증법 586
한국인문학의 형성 587
사회인문학이란 무엇인가 587
(Die) geistesgeschichtliche Lage des heutigen Parlamentarismus (현대의회주의의 정신사적 상황) 587
WestEnd. Neue Zeitschrift fur Sozialforschung (베스텐트 사회 비판과 대안 모색을 위한 잡지) 588
포스트 모던의 테제들 588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 1 589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 2 589
지식의 현장 담론의 풍경 - 잡지로 보는 인문학 590
군대와 성폭력 - 한반도의 20세기 590
헤겔 정치철학의 통찰과 맹목 590
디지털, 테크놀로지, 문화 : 탈현대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591
世界を知る力 세계를 아는 힘 591
Westend. neue zeitschrift fur sozialforschung 베스텐트 한국판 591
조선시대 어린이 인문학 592
한국문학과 민주주의 592
국가와 영화 592
감정의 인문학 593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 593
대한민국 재건의 시대 593
사회인문학과의 대화 594
감성사회 594
역사화해와 동아시아형 미래 만들기 594
한국 근현대 인문학의 제도화 595
마을로 간 인문학 595
정치의 임계, 공공성의 모험 595
유학이 오늘의 문제에 답을 줄 수 있는가 596
유교적 공공성과 그 타자 596
권력과 학술장 596
한국인문학의 맥과 연세 597
문학, 교양의 시간 597
과제명 : 세계적 소통 코드로서의 한국 감성 체계 정립 (연구소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597
감성담론의 세 층위 597
일본사상의 감성전통 598
통(通)하다-호남의 감성 598
음악문화와 감성정치 598
유교 도교 불교의 감성이론 599
고전과 감성 599
우리시대의 슬픔 599
우리시대의 분노 600
우리시대의 사랑 600
슬픔의 기억과 분노의 유산들 600
감성시학의 새 지평 601
한국 근현대와 문화 감성 601
대중의 음악과 공감의 그늘 601
감성의 유학 602
호남의 감성으로 그리다 602
원로 명사에게 듣는 호남이야기 602
과제명 : 해항도시의 문화교섭학 (연구소 :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603
신편 부산대관 603
해항도시의 역사적 형성과 문화교섭 603
해항도시 문화교섭 연구방법론 603
칭다오, 식민도시에서 초국적 도시로 604
해항도시와 초국경 네트워크 604
해항도시 마카오와 상해의 문화교섭 604
근대 부산의 일본인 사회와 문화변용 605
문화교섭으로 본 임진왜란 605
Maritime Silk Road and Seaport Cities 605
바다와 인간 606
바다의 제국 606
도시수변과 인간행동 606
한자 607
동인도회사와 아시아의 바다 607
17~18세기 아시아 해항도시의 문화교섭 607
경계를 넘다 - 술루 해역세계의 사람들 - 608
해역아시아의 차이나타운華人街 - 이민과 식민에 의한 도시형성 - 608
아시아 지중해 - 16~21세기 아시아 해항도시와 네트워크 - 608
새로운 세계사 - 지구시민을 위한 구상 - 609
해양문화와 해양거버넌스 609
현대 해항도시와 해양문학의 양상, 해양 풍경 609
세계의 해항도시 (1) - 아시아 편 - 610
해항도시 부산의 재발견 610
과제명 : 트랜스내셔널 인문학 (연구소 :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610
고아, 족보없는 자 610
근대 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 611
동아시아의 기억과 방법으로서의 서사 611
동아시아 미술의 근대와 근대 611
문화사업-이미지-예술 612
사무라이의 정신세계와 불교 - 일본사회의 전사자공양과 怨親平等 - 612
세계로 떠난 조선의 지식인들 612
세계사 편지 613
식민지 유산, 국가 형성 한국 민주주의, 1 613
식민지 유산, 국가 형성 한국 민주주의, 2 613
어린이 청소년 역사책, 길을 묻다 614
이중언어작가 - 근현대문학의 트랜스내셔널한 기원을 찾아서 614
인문학과 법의 정신 614
인터뷰 - 한국인문학 지각변동 615
종교와 식민지근대 615
탈식민주의 상상의 역사학으로 615
호모 리테라투스 : 문자와 사람 616
宗敎と公共空間 - 見直される宗敎の役割 616
植民地朝鮮と宗敎 - 帝國史, 國家神道, 固有信仰 616
'韓國倂合' 100年を問う 616
Biopolitics, Ethics And Subjectivation 617
Gender Politics and Mass Dictatorship: Global Perspectives 617
Mass Dictatorship and Modernity 617
Memory in a Global Age 618
고뇌의 원근법 - 서경식의 서양근대미술 기행 618
르네상스문학의 세 얼굴 618
제국의 경찰이 본 조선풍속 : 조선풍속집 619
조선농촌의 식민지 근대 경험 619
컬러 오브 워터 619
타자 인식과 상호 소통의 역사 620
유토피아의 환영 : 소비에트 문화의 이론과 실제 620
대중독재와 여성 : 동원과 해방의 기로에서 620
과제명 : 동북아시아의 초국가적 공간 - 사상, 사회문화, 제도의 교류와 재구성 (연구소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621
[아연 동북아 총서] 1. 동아시아, 인식지평과 실천공간 621
[아연 동북아 총서] 2. 동북아의 이주와 초국가적 공간저서명(원저명) 형식으로 작성 621
[아연 동북아 총서] 3. 미중 경쟁시대의 동북아 평화론 : 쟁점, 과제, 구축전략 621
[아연 동북아 총서] 4. 동북아 지역질서의 형성과 전개 : 역사적 성찰과 정치 경제적 쟁점 622
[아연 동북아 총서] 5. 동북아 '집단' 이해의 다양성 : 근대 민족주의를 넘어서 622
[아연 동북아 총서] 6. 동아시아 금융 지역주의의 정치경제 : 제도적 발전과 쟁점들 622
[아연 동북아 총서] 7. 민주주의와 중국 623
[아연 동북아 총서] 8. 일본의 방위산업 : 전후의 발전궤적과 정책결정 623
[아연 동북아 총서] 9. 한국 복지국가의 정치경제 623
[아연 동북아 총서] 10. 중국엘리트정치 : 구조·행위자·동학 624
[아연 동북아 총서] 11. 미완의 해방 : 한일관계의 기원과 전개 624
[아연 동북아 총서] 12. 중국 지방 정부간 권력조정의 정치경제 624
[아연 동북아 총서] 13. 개혁개방기 중국공산당 625
[아연 동북아 총서] 14. 중국 내 지적재산권 625
[아연 동북아 총서] 15. 자민당 정권의 정책 변경 메커니즘 : 일반 유권자와 지지층 대응의 두 가지 역학 625
[아연 동북아 총서] 16. 남북한 경제통합의 혜택과 한반도 통일 국가의 역할 626
[아연 동북아 총서] 17. 가지무라 히데키의 내재적 발전론을 다시 읽는다 626
[아연 동북아 총서] 18. 동아시아, 인식과 역사적 실재-전시기(戰時期)에 대한 조명 626
[아연 동북아 총서] 19. 동아시아 지역질서의 복합변환과 한국의 전략 627
[아연 동북아 총서] 20. 한국 다문화주의의 성찰과 전망 627
[아연 동북아 총서] 21. 세력 전환기 동아시아의 국가 정체성과 지역 인식 627
[아연 동북아 총서] 22. 한중일 협력의 진화 627
[아연 동북아 총서] 23. 싸우는 미술: 아시아·태평양전쟁과 일본미술 628
China's Rise and Regional Intergration in East Asia : Hegemony or Community? 628
과제명 : 라틴아메리카 연구사업 통합 매트릭스 구축 (연구소 :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 629
라틴아메리카 원주민 역사·문화 연구 629
베네수엘라 혁명은 연대의 혁명이다 629
중남미 한인 디아스포라 연구 : 한인 전문직 그룹을 중심으로 629
쿠바, 영화 기억 그리고 630
라틴아메리카의 신영화 630
과이라 공화국, 또 하나의 파라과이 630
마야 원주민의 전쟁과 평화 : 유까딴 1847-1902 631
정치체제로서의 포퓰리즘 : 차베스 현상과 포퓰리즘 재탄생의 퍼즐 631
영화로 보는 라틴아메리카 631
브라질의 역사 632
Rostros de Latinoamérica : Perspectiva Multidisciplinaria 632
춤추는 축구, 라틴아메리카 632
라틴아메리카의 어제와 오늘 633
프라다 칼로, 타자의 자화상 633
스페인어-한국어 법률용어 사전 633
라틴아메리카 종속의 Matrix. 1 : 식민시기 634
라틴아메리카 종속의 Matrix. 2 : 국가 형성과 근대 634
차베스와 베네수엘라 혁명 634
쿠바영화와 여성의 이미지 635
라틴아메리카 종교와 문화 635
옥수수 문명을 따라서 635
라틴아메리카의 과거청산과 민주주의 636
Minorias sociales en América Latina 636
El dictador descentrado 636
Cruzando al otro lado 636
사막의 기적 637
라틴아메리카의 언어적 다양성과 언어정책 637
브라질 사람과 소통하기 637
라틴아메리카 문제와 전망 638
라틴아메리카의 좌파정부 638
브라질 광고와 문화 638
멕시코를 맛보다 639
여러겹의 시간을 만나다 639
브라질 흑인 역사와 문화 639
Neoliberalismo y posneoliberalismo 640
과제명 : 열린 지역체계로서 동남아 : 한국 동남아연구의 세계적 소통과 대중적 확산을 위하여 (연구소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640
적도를 달리는 남자 : 어느 문화인류학자의 인도네시아 깊이 읽기 640
ASPEK-ASPEK BAHASA DAERAH di Sulawesi Bagian Selatan 640
Aksara Serang dan Perkembangan Tamadun Islam di Sulawesi Selatan 641
펑키 동남아 : 사랑과 행복의 상징 두리안을 찾아 떠나는 힐링 로드 641
The historical construction of Southeast Asian studies : Korea and beyond 641
동남아 여행 글쓰기와 포스트식민주의 비평 642
외부 세계와 동남아 : 전통 식민주의 모더니티의 시각 642
동남아시아의 박물관 : 국가 표상과 기억의 문화정치 642
맨발의 학자들 : 동남아 전문가 6인의 도전과 열정의 현지조사 643
과제명 : 현대 일본 생활세계 연구의 세계적 거점 구축 (연구소 :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643
전후 일본, 그리고 낯선 동아시아 643
현대일본의 전통문화 : 새로운 과거 오래된 현재 643
도쿄 메트로폴리스 644
전후 일본의 지식 풍경 644
협조적 노사관계의 행방 644
일본 생활세계의 동요와 공공적 실천 645
전후 일본의 생활평화주의 645
일본, 상실의 시대를 넘어서 645
에너지혁명과 일본인의 생활세계 646
봉인된 디아스포라(Exodus to north Korea revisited) 646
착한 일본인의 탄생((The)good Japanese: discipling democracy) 646
러일전쟁과 대한제국(日露戰爭と大韓帝國) 646
말과 돈의 미래형(ユトバとおカネの未來形) 647
나치독일의 일본 프로파간다 647
사상과제로서의 아시아, 그 이후 647
문학에 나타난 생활사(文學に現れた生活史) 648
독도가 우리땅인 이유 648
일본의 한반도 외교(日本の對朝鮮半島外交) 648
아베의 일본은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カティス敎受との對談 : 安倍の日本どこに向かっているのか) 649
일본 전후의 붕괴 - 서브컬처 소비사회 그리고 세계 649
천황의 전쟁 책임 봉인·망각과 왜곡·미화의 역사인식 649
한일 관계의 어제와 내일을 묻다 649
일본의 편의점 650
일본 속의 NPO 650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체제와 역사문제 650
포위된 평화, 굴절된 전쟁 기억 650
일본의 혐한파는 무엇을 주장하는가 651
독도 문제는 일본에서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가 651
나는 왜 혐한시위를 싫어하는가 651
오키나와 문화론 652
日朝冷戰構造の誕生 1945-1965 652
중일전쟁과 화북교통 652
三島由紀夫における「アソリカ」 653
과제명 : 21세기 라틴아메리카와 트랜스모더니티 : 학제간 연구와 지역종합정보 구축 (연구소 :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653
라틴아메리카의 전환: 변화와 갈등 (상/하) 653
라틴아메리카의 형성: 교환과 혼종 (상/하) 653
라틴아메리카의 근대를 말하다 654
대홍수: 라틴아메리카, 신자유주의 20년의 경험 654
라틴아메리카, 만들어진 대륙: 식민적 상처와 탈식민적 전환 654
혼종문화: 근대성 넘나들기 전략 654
1492년 타자의 은폐: '근대성 신화'의 기원을 찾아서 655
커피밭 사람들: 라틴아메리카 커피노동자, 그들 삶의 기록 655
과거 침묵시키기: 권력과 역사의 생산 655
멕시코의 역사: 농경의 시작부터 뉴 밀레니엄까지, 멕시코 역사의 모든 것 656
브라질의 역사: 식민화에서 민주화까지, 커피의 땅 브라질의 역사를 읽는다 656
신들의 전쟁: 라틴아메리카의 종교와 정치 656
하위주체성과 재현: 라틴아메리카 문화이론 논쟁 656
라틴아메리카의 역사(상/하) 657
현대 라틴아메리카 657
메소아메리카의 유산: 아메리카 토착 문명의 역사와 문화 657
미국 라티노의 역사 657
새장에 갇힌 멜랑콜리: 멕시코인의 정체성과 탈바꿈 658
아르헨티나, 칠레, 우루과이: 남미의 대안 658
라티노/라티나: 혼성문화의 빛과 그림자 658
에콰도르, 볼리비아, 페루 658
쿠바: 경제적, 사회적 변화와 사회주의의 미래 659
브라질: 변화하는 사회와 새로운 과제들 659
21세기 중앙아메리카의 단면들: 내전과 독재의 상흔 659
과제명 : 소통, 치유, 통합의 통일인문학 - 통일의 인문적 비전과 한국 인문학의 세계화 - (연구소 :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660
통일인문학연구총서001 소통·치유·통합의 통일인문학 660
통일인문학연구총서002 분단극복을 위한 인문학적 성찰 660
통일인문학연구총서003 인문학자의 통일사유 660
통일인문학연구총서004 통일에 대한 인문학적 패러다임 661
통일인문학연구총서005 고전문학을 바라보는 북한의 시각(고전산문1) 661
통일인문학연구총서006 문화분단 (남한의 개인주의와 북한의 집단주의) 661
통일인문학연구총서007 코리언의 민족정체성 662
통일인문학연구총서008 코리언의 역사적 트라우마 662
통일인문학연구총서009 코리언의 생활문화 662
통일인문학연구총서010 코리언의 분단·통일의식 663
통일인문학연구총서011 고전문학을 바라보는 북한의 시각 (고전산문2) 663
통일인문학연구총서012 코리언의 생활문화, 낯섦과 익숙함 663
통일인문학연구총서013 민족과 탈민족의 경계를 넘는 코리언 664
통일인문학연구총서014 식민/이산/분단/전쟁의 역사와 코리언의 트라우마 664
통일인문학연구총서015 고전문학을 바라보는 북한의 시각(고전시가) 664
통일인문학연구총서016 유동하는 코리언의 가치지향 665
통일인문학연구총서017 코리언의 생활문화, 일상의 울타리 665
통일인문학연구총서018 구술로 본 코리언의 역사적 트라우마 665
통일인문학연구총서019 통일의 기본가치와 인문적 비전 666
통일인문학연구총서020 코리언의 생활문화, 다름의 공존 666
통일인문학연구총서021 분단체제를 넘어선 치유의 통합서사 666
통일인문학 아카이브001 학해 667
통일인문학 아카이브002 조선복식고 667
통일인문학 아카이브003 역사철학 667
통일인문학 아카이브004 조선민속탈놀이 연구 668
통일인문학 아카이브005 조선 구전문학 개요(고대~중세) 668
통일인문학 아카이브006 조선 연극사 개요 668
통일인문학 아카이브007 조선민간극 669
통일인문학 아카이브008 조선의 민속놀이 669
통일인문학 아카이브009 조선 구전문학 연구 669
통일인문학 아카이브010 철학강론 670
통일인문학 아카이브201 북한생활문화연구목록 670
통일인문학 아카이브202 코리언 디아스포라 연구목록 670
통일인문학 아카이브203 북한 애니메이션(아동영화)의 특성과 작품정보 671
통일인문학 구술총서001 고난의 행군시기 탈북자 이야기 671
통일인문학 구술총서002 탈북청소년의 한국살이 이야기 671
통일인문학 번역총서001 조선신가유편 (이북 땅의 무가1) 672
통일인문학 치유총서01 탈북인의 적응과 치유이야기 672
석학, 통일인문학을 말하다 672
한반도 시계 : 미·중의 그랜드 아시아전략과 한반도 673
북한의 언어 - 소통과 불통 사이의 남북언어 673
주제가 있는 통일 강좌42 통일과 인문학 673
북한의 정치와 문학 : 통제와 자율 사이의 줄타기 674
북한의 언어 : 소통과 불통 사이의 남북언어 674
통일인문학 - 인문학으로 분단의 장벽을 넘다 674
통일인문학 길01 분단의 아비투스와 남북소통의 길 675
통일인문학 길02 분단트라우마와 치유의 길 675
통일인문학 길03 민족공통성과 통일의 길 675
역사가 우리에게 남긴 9가지 트라우마 676
영상으로 보는 북한의 일상 676
우리가 몰랐던 북녘의 옛이야기 676
청소년을 위한 통일인문학 - 소통·치유·통합의 통일 이야기 677
통일담론의 지성사 677
과제명 : 복합지식의 창출과 소통을 위한 인문언어학 (연구소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677
인문언어학의 전망과 과제 (인문언어학총서1) 677
내러티브 연구의 현황과 전망 (인문언어학총서2) 678
내러티브 연구의 실제 (인문언어학총서3) 678
언어학에서 인문언어학으로 (인문언어학총서4) 678
언어 정보와 인문언어학 (인문언어학총서5) 679
인문정신의 탐색과 인문언어학 (인문언어학총서6) 679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유의어 사전 (인문지식기반총서1) 679
구어 말뭉치 실용 안내서 (인문지식기반총서 2) 680
구어 문어 통합 문법 기술의 탐색 (인문지식기반총서3) 680
구어 문어 통합 문법 기술1 (인문지식기반총서4) 680
담화의 언어정보학적 탐구 (인문지식기반총서5) 681
구어 문어 통합 문법기술2 (인문지식기반총서6) 681
풀어쓰는 국문론집성 (다면자료총서1) 681
다면자료와 비언어적 소통 (다면자료총서2) 682
제스처 : 소통을 위한 인간의 몸짓(언어문화번역총서1)(Gesture : visible action as utterance) 682
언어, 의미 그리고 철학(언어문화번역총서2)(Sprachphilosophie zur Einfuehrung) 682
정치담화분석 (언어문화번역총서3)(Gesture : visible action as utterance) 683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대학 글쓰기 683
과제명 : 섬의 인문학 - 문명사적 공간인식 패러다임의 전환 (연구소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683
도서해양문화&지역문화산업 683
바닷길과 섬 - 그 실제와 활용 - 684
서해와 연평도 684
목포권 다도해와 류큐열도의 도서해양문화 684
문순득 표류 연구 - 조선후기 문순득의 표류와 세계인식 - 685
영산강 뱃길과 포구 연구 685
도서민요의 공동체와 구비연행 685
여영웅 - 바다로 나간 최초의 여성영웅 이야기 686
섬과 바다의 사회사 686
어촌사람들의 생산과 민속 686
한국 서민생활사의 전개 I - 산과 들과 바다에서 687
해인의 세계 687
섬 공간의 탈경계성과 문화교류 687
경제활동 공간으로서의 섬 688
섬의 사회상과 공동체 문화 688
고전문학과 바다 689
바다·삶·무속 689
섬과 바다의 문화읽기 690
천년의 사랑 690
천사섬 신안 섬사람 이야기(전자책) 690
섬과 인문학의 만남 690
흑산군도 사람들의 삶과 도구 691
섬사람들의 삶과 도구 2 - 비금도·수치도·도초도·우이도 691
섬사람들의 삶과 도구 3 - 자은도 표문철 컬렉션 691
섬사람들의 삶과 도구 4 - 자은도·암태도·추포도 691
해양보전생태학 692
섬 마을의 풍물굿, 생일도 서성리의 당제와 군기 692
과제명 : 한국의 중국연구와 연구기반의 재구성 - 근현대 중국의 사회경제 관행조사 및 연구를 통한 세계적 중국화교연구자료센터 구축 - (연구소 : 인천대학교 중국화교문화연구소) 692
중국관행연구의 이론과 재구성 692
인주골 중국동네 사람들 인천화교 손덕준의 가족이야기 693
새로운 중국에서 - 20세기 초 독일인 여행자가 본 중국(Im neuen China) 693
중국인 디아스포라 - 한국화교 이야기(旅韓六十年見聞錄 : 韓國華僑史話) 693
중국의 360가지 직업(上)(中國·老360行) 694
중국의 360가지 직업(下)(中國·老360行) 694
中國新聞記事資料集成: 『申報』土地篇 (1920年~1933年) 694
中國新聞記事資料集成: 『申報』土地篇 (1934年~1949年) 695
중국토지법령자료집 : 청대(淸代) 695
중국토지법령자료집 : 중화민국시기 I 695
중국토지법령자료집 : 중화민국시기 II 696
중국토지법령자료집 : 계획경제시기 (1949-1977) 696
중국토지법령자료집 : 개혁개방 이후 I (1978-1999) 696
중국토지법령자료집 : 개혁개방 이후 II (1999-2011) 697
中國家族法令資料集 - 淸代, 中華民國時期 - 697
中國家族法令資料集 - 中華人民共和國 - 697
中國宗族資料選集 - 族譜 資料를 중심으로 - 698
조선화교 관련 신문보도 자료목록 (1882~1945) - 국내 신문을 통해 본 조선화교의 삶 698
조선화교 관련 분쟁소송 자료목록 1 (1882~1910) 698
중국방직 건설공사 이사회 회의록 699
中東鐵道新聞資料集成 699
중국 민간조직 정책문건 699
중국의 동향상회 : 길림성 동향상회 면담조사 자료집 700
인천에 잠든 중국인들 : 인천화교협회소장자료를 중심으로 700
근대 인천화교의 사회와 경제 : 인천화교협회소장자료를 중심으로 700
중국 민간조직의 단면 : 길림성 동향상회 구술집 701
동아시아 현대사 속의 한국화교 - 냉전체제와 조국 의식(東アツア現代史の韓國華僑冷戰體制と「祖國」意識) 701
제국일본과 화교 - 일본·타이완·조선(ツり-ズ中國ことっての20世紀 帝國日本と華僑 日本台灣朝鮮) 701
철도로 보는 중국역사 702
동남아화교화인과 트랜스내셔널리즘 702
동남아화교와 동북아화교 마주보기 702
중국동북지역의 상인과 상업네트워크 703
중국동북지역의 기업과 금융 703
외면당한 진실(被冷落的眞實 : 新农村調査手記) 703
근대중국 동북지역사회와 민간신앙 704
인천, 대륙의 문화를 탐하다 704
東北地區企業行爲與商業慣例研究 704
과제명 : 러시아연방 인문공간의 한국적 재구성 (연구소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705
북극의 별 네네츠 705
프스코프 주 이야기 705
원시림 속 부상하는 산업기지, 코미 공화국 705
러시아연방 인문공간의 이해 - 21개 공화국 탐구 - 706
2010 러시아는 어디로 가는가? 706
야쿠트어 706
2011 러시아는 어디로 가는가? 706
러시아연방 인문공간의 이해 II 707
야쿠티야 맘모스와 다이아문드와 착한 사람들의 나라 707
북방의 등대 : 러시아 북서연방관구 707
러시아 인문공간 : 자연·인간·사회 707
2012 러시아는 어디로 가는가? 708
동과 서 사이에서 : 우크라이나의 국가발전전략과 대외정책 708
2013 러시아는 어디로 가는가? 708
2014 러시아는 어디로 가는가? 709
러시아의 민족1 : 북서부 & 볼가 - 우랄 편 709
시네마트료시카 : 영화로 보는 오늘의 러시아 709
2015 러시아는 어디로 가는가? 710
러시아의 심장부 : 중앙연방관구 710
유라시아시대 러시아의 국가경쟁력 710
러시아 아방가르드, 불가능을 그리다 711
사바틴에서 푸시킨까지 711
러시아 추콧카반도 원주민 축치족 신화 711
소비에트의 삶과 일상 : 막심 고리키 단편선 712
과제명 : 중국의 지식·지식인 : 지형과 네트워크 (연구소 :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712
중국 근대 지식체계의 성립과 사회변화 712
현대 중국의 지식생산 구조 712
현대 중국의 진화와 지식네트워크 713
현대중국 로컬지식 네트워크 - 상하이시를 사례로 713
중국지식의 대외확산과 역류 - 소프트파워와 지식 네트워크 713
사회과학도를 위한 중국학강의 714
20세기 중국의 지식인을 말하다 1 714
20세기 중국의 지식인을 말하다 2 714
현대 중국 경제인물 사전 715
현대 중국의 학술운동사 715
중국 정책변화와 전문가 참여/政策變遷中的專家參與 715
현대 중국의 8종 사회사조 716
중국 과학 지식 엘리트 : 중국과학원 원사 (1955~2009) 716
중국 학술의 사승과 가파 716
현대 중국의 문화현상과 문학이슈 717
중국지식네트워크 1호 717
중국지식네트워크 2호 717
중국지식네트워크 3호 718
중국지식네트워크 4호 718
중국지식네트워크 5호 718
과제명 : 총체적 단위로서의 동남아시아의 인식과 구성 문화연구와 지역연구의 복합을 통한 동남아시아학의 구축 (연구소 : 부산외국어대학교 동남아지역원) 719
줌인 동남아시아1 719
동남아시아 도자기 연구 719
동남아의 역사와 문화 719
Wekmasuk Wundauk U Latt's Diary (1866~1887) 720
Wekmasuk Wundauk U Latt's Diary (1888~1889) 720
Wekmasuk Wundauk U Latt's Diary (1890~1891) 720
동남아의 예술세계 / Arts of Southeast Asia 721
바틱 자바에서 세계로 / 更紗今昔物語 721
물의 신 나가 : 태국과 서태평양의 문화적 기원 721
동남아 문화이야기 722
나를 만지지 마라 1, 2 / Noli Me Tangere 722
과제명 : 문자人 (Homo Litteratus) - 동서양 문자의 사회문화적 연구 (연구소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722
호모리테라투스 : 문자와 사람 722
문자의 에스프리 723
쓰기의 역사 : 고대부터 서적 인쇄술의 시대까지 723
문자개념 다시보기 723
독일 인쇄술의 기원과 발전 724
한자를 보는 내외의 시선 724
중국 명말의 미디어 혁명 : 서민이 책을 읽다 724
중국의 종이와 인쇄의 문화사 725
파피루스에서 하이퍼텍스트로 : 텍스트와 읽기의 격변 725
수사라는 사상 : 장병린과 한자권의 언어론적 비평이론 725
한자문화학 (漢字文化學) 726
문자를 다시 생각하다 (Rethinking Writing) 726
문자의 원리 (A Study of Writing, Rev. ed.) 726
문자의 기호들 (Signs of Writing) 727
구텐베르크와 그의 영향 (Gutenberg und seine Wirkung) 727
백색의 시학 : 알파벳 문명에서 공백과 여백 727
동서양 문자의 성립과 규범화 728
중국 전통 어문교학 연구 728
행위와 말 1 : 기술과 언어 728
문자와 해석 (文字與解釋) 729
과제명 : 마음인문학 - 인류정신문명의 새로운 희망 (연구소 :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729
한국의학과 마음치유 729
마음의 인문학 - 동서양의 마음이해 729
종교, 마음을 말하다 730
치유와 도야, 마음의 실천적 이해 730
마음과 마음 - 동서 마음 비교 730
우리시대의 인간상 731
마음과 종교 : 종교문화 속 마음탐구 731
우리시대의 마음병 731
서양행복담론사 (A Brief History of the Happiness) 732
서양영혼담론사 (A Brief History of the soul) 732
진리의식의 마음 (The Mind of Light) 732
몸 - 마음 에콜로지 733
우리, 이대로 놀게 해주세요 733
마음공부의 실제 733
마음의 세계 734
과제명 : 21세기 녹색한반도를 위한 평화인문학 (연구소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734
평화인문학이란 무엇인가 734
녹색평화란 무엇인가 734
재난과 평화 : 폐허를 딛고 평화를 묻다 735
인간안보와 남북한 협력 735
한반도 분단과 평화부재의 삶 : 성찰과 치유를 위한 이산가족 이야기 735
20세기 평화텍스트 15선 736
유엔의 평화정책과 안전보장이사회 736
유럽의 평화정책과 헬싱키 프로세스 736
북한 김정은 후계체제 구축과정 엘리트 정책 안전성 736
연성복합통일론 737
체제 전환국의 경험과 북한의 교육개혁방안 737
2012 통일의식조사 737
ひとつのアヅア共同體を目指して(하나의 아시아공동체를 지향하며) 738
Japan's Strategic Challenges in a Changing Regional Environment 738
State Violence in East Asia 738
The Koreas between China and Japan 738
동아시아 - 동북아 一 신동북아(II) 738
폭격 : 미공군의 공중폭격 자료로 읽는 한국전쟁 739
대만을 보는 눈 739
동아시아, 근대를 번역하다 739
헬싱키 프로세스와 동북아 안보협력 740
북한인권 이해의 새로운 지평 740
통일한반도를 향한 꿈, 코리안 드림 740
유일신론의 종말 : 이제는 범재신론이다 741
다르지만 조화한다 : 불교와 기독교의 내통 741
북한정보관리체계 개선방안 741
북한주민의 삶의 질 : 실태와 인식 742
통일대비를 위한 국내과제 742
남북한 교류협력 거버넌스의 구조와 동학 742
베를린 알렉산더 광장 743
과제명 : 세계·언어·삶의 세미오시스 (Semiosis) (연구소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외국문학연구소) 743
퍼스 기호학의 이해 743
Semiosis of African American Religion 743
감정의 코드, 감정의 해석 744
이미지, 문자, 해석 744
내러티브와 매체 744
내러티브와 리얼리티 745
인지와 감정의 내러톨로지 745
내러티브와 자아 745
과제명 : 아프리카, 안과 밖의 교차 : 아프리카학의 한국형 패러다임 구축 (연구소 :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745
십자가도 없는 무덤 (Kaburi bila Msalaba) 745
인간과 개발 (Binadamu na MaendeleoO) 746
루안 바가자에 나타난 영웅적 모사꾼 알하지 746
세네갈 레부 사람들의 전통공간 746
가나 볼타州 바제메 사람들 747
케냐 크왈레 카운티의 디고 사람들 747
권력과 상상의 아프리카 747
아프리카 사회의 지형, 그 경계 넘나들기 748
아프리카 이미지(African Images) 748
서아프리카 역사 이해 748
남아프리카사 749
과제명 : 현대중동의 사회변동과 호모이슬라미쿠스 - 샤리아 연구와 중동학 토대 구축 (연구소 :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749
IS를 말한다 749
오만 술탄국 기본법(아랍어) 749
카타르 헌법(아랍어) 750
아랍에미리트 헌법(아랍어) 750
쿠웨이트 헌법(아랍어) 750
사우디아라비아 통치기본법 750
아랍어 법률용어집(1) 751
아랍 민주주의, 어디로 가나 751
이슬람국가론과 지대국가론 751
The Rulers of the Mediterranean 752
지중해의 신화 752
현대 아랍시의 정체성 찾기 752
과제명 : 글로컬리티의 한국성 : 불교학의 문화학장 담론 (연구소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753
테마한국불교 1 753
테마한국불교 2 753
동아시아 속 한국불교 사상가 753
동아시아 한국불교사료 - 중국문헌편 754
불교와 한글 754
동아시아 한국불교사료 - 일본문헌편 754
Ilseung Beopgaedo Wontonggi 755
The State, Religion, and Thinkers in Korean Buddhism 755
Glocal History of Korean Buddhism 755
한국 불교시가의 구도와 전개 756
신라 법화사상사 연구 756
과제명 : 환동해지역 연구 : 관계망의 원형과 절합 (연구소 :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756
환동해지역의 비판적 성찰 756
환동해지역의 이해 757
과제명 : 한국적 생사학 정립과 자살예방 지역 네트워크 구축 (연구소 : 한림대학교생사학연구소·고령사회연구소·임상역학연구소) 757
생과사의 인문학 757
존엄한 죽음의 문화사 757
불교의 생사관과 죽음교육 758
죽음과 고통, 그리고 생명 758
티베트의 죽음 이해: 하늘의 장례 758
죽음 의례와 문화적 기억 759
죽음을 두고 대화하다 759
죽음의 풍경을 그리다 760
죽음의 정치학 760
죽음을 생각한다는 것 - 고대희랍의 죽음이해 761
죽음과 부활 그리고 여생 - 기독교 생사관 깊이읽기 761
일본인의 사생관을 읽다 - 메이지무사도에서 영화〈굿 바이〉까지 761
좋은 죽음 762
죽음의 성스러움 기술 - 세계 종교는 어떻게 죽음을 이해하는가 762
자살예방 해법은 있다 - 죽음이해가 삶을 바꾼다 762
죽음, 어떻게 이해 할 것인가 763
노인자살연구 763
가정호스피스 돌봄 제공 매뉴얼 763
과제명 : 21세기 新동북아 Glocal Cuturalism: 문화 지형도의 재구성과 네트워크 구축 (연구소 :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764
[신동북아총서001] 동아시아-동북아-新동북아 (I) 764
[신동북아총서002] 한-러 언어문화교류 기반 구축 현황과 전망 764
[신동북아총서003] 신동북아 문화원형의 지형도 764
[신동북아총서004] 동아시아-동북아-新동북아(II) 764
[신동북아문화총서001] 문화로-러시아 765
[신동북아문화총서002] 문화로-중국 765
[신동북아문화총서003] 문화로-일본 765
한국사회과학연구 (SSK) 지원사업 저역서 목록 766
과제명 : 국가인적자원개발을 위한 뇌기반적 융합연구 (연구책임자 : 가천대학교 정미라) 768
뇌가 즐거운 아기놀이 120 768
과제명 : 과학기술사회의 도래와 민주주의의 전망 (연구책임자 : 가톨릭대학교 이영희) 768
법 질서와 안전사회 768
Digital Platforms, Imperialism and Political Culture 768
과제명 : 다중격차시대의 융합적 사회통합 (연구책임자 : 강원대학교 유승호) 769
해석수준 이론과 거리감효과 769
유럽영화운동 769
스토리에 중독되다 769
당신은 소셜한가 : 소셜미디어가 바꾸는 인류의 풍경 770
과제명 : 미래 글로벌 환경변화와 위기관리 (연구책임자 : 건국대학교 이승호) 770
환경재해 : 위기평가와 재난저감 770
과제명 : 사회통합에 기초한 이주법제 체계연구 (연구책임자 : 건국대학교 최윤철) 770
다문화사회와 이주법제 770
과제명 : 고령친화 공동체 구축과 상생발전 전략 (연구책임자 : 경성대학교 김수영) 771
활기찬 노년 행복한 공동체 771
과제명 : 글로벌화, 분권화 그리고 지역경제의 거버넌스 (연구책임자 : 계명대학교 이기동) 771
Sustainable Growth and Development in a Regional Economy 771
과제명 : 국제사회의 분화와 한국형 국제협력 연구 (연구책임자 : 고려대학교 강성진) 771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중국과 한반도 771
과제명 : 불평등과 사회통합의 정치경제 (연구책임자 : 고려대학교 권혁용) 772
불평등과 민주주의 772
불평등과 빈곤 772
과제명 : 문화적 다양성과 공존 (연구책임자 : 고려대학교 김경근) 772
다문화사회와 교육 772
한국 다문화주의의 성찰과 전망 773
Global and Asian Perspectives on International Migration 773
과제명 : 인권을 통한 한국인 그리고 세계시민의 권익 및 삶의 질 향상 (연구책임자 : 고려대학교 서창록) 773
Protest Dialectics 773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a Globalizing World 774
과제명 : 국민의 시각에서의 국정 재설계 (연구책임자 : 고려대학교 최홍석) 774
Independence Day : Time for a European internet? 774
Rethinking Environmental Justice in Sustainable Cities : Insights from Agent-Based Modeling 774
과제명 : 복지와 행복 (연구책임자 : 극동대학교 서창원) 775
한국어 큐드 스피치 775
영어 큐드 스피치 775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 775
농과 난청아동을 위한 큐드 스피치의 이해 (Cued Speech and Cued Language for Deaf and Hard of Hearing Children) 776
과제명 : 행태과학에 기초한 지역경제발전 통합 연구 (연구책임자 : 단국대학교 박범조) 776
무역보험 - 이론과 실무 - 776
무역계약론 776
물품인도에 관한 국제통일상관습 이론과 실제 - Incoterms를 중심으로 - 777
과제명 : IT 융합 Co - creation기반 지역혁신모델 적용 및 유형별 참조모델 개발 (연구책임자 : 동아대학교 홍순구) 777
혁신을 위한 공동가치창출 사례(Co-creation Cases) 777
과제명 : 지역별 발전전략과 지방정치 비교모형 구축 (연구책임자 : 부경대학교 류태건) 777
지역발전과 지방정치: 부산광역시 발전모형의 모색 777
사회자본연구: 지역발전의 모색 778
과제명 : 한국인의 행복심리 (연구책임자 : 부산대학교 신현정) 778
언어, 사고, 그리고 실재 778
행동과학을 위한 통계학 778
행동과학을 위한 통계학 779
개념과 범주적 사고 779
행동과학과 사회과학을 위한 통계학 입문 779
인지과학: 마음과학의 이해 780
마이어스와 핸슨의 사회과학을 위한 연구방법론 780
문화와 심리학 780
마이어스의 심리학 781
다문화 상담의 새로운 접근(Multiculturalism and the Therapeutic Process) 781
성인발달과 노화 (Adult Development and Aging) 781
최신 연구에 기초한 성격심리학(Personality psychology : foundations and findings) 782
애트킨슨과 힐가드의 심리학 원론(Atkinson & Hilgard's introduction to psychology) 782
애트킨슨과 힐가드의 심리학(Atkinson & Hilgard's introduction to psychology) 782
Mind and Body of the Elderly : Understanding by Research and Case Studies 783
Senior Citizens have Full of Mystery : To be Figured out by Geriatric Behavioral Science 783
Psychology of the Elderly 783
Handbooks of Developmental Science 6: Development and Support 784
Dementia : Reasons for the Incomprehensive Behaviors 784
Mind Dictionary of Eldery 784
Case management in Long-Term Care 785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785
Active Aging : Regulations, policy, and practice in Taiwan 785
Long-term care policy and management issues 786
Handbook of Family Theories : A Content-based approach 786
Cultural sociology of divorce 786
과제명 : 탈서구중심주의를 지향하는 다양한 사상적 대응의 비판적 검토 : 이론적 심화와 지역적 확장 (연구책임자 : 서강대학교 강정인) 787
사회관계론의 동·서 비교 : 새로운 심리학의 가능성 탐색 II 787
사회계약론 연구 : 홉스·로크·루소를 중심으로 787
Making Sense of the Secular : Critical Perspectives from Europe to Asia 787
넘나듦(通涉)의 정치사상 788
정치와 비전 3 788
현대 한국 정치사상: 탈서구중심주의를 지향하며 788
Contemporary Korean Political Thought in Search of a Post-Eurocentric Approach 789
Western-Centrism and Contemporary Korean Political Thought 789
과제명 : 기업동학, 지식재산, 기술혁신 및 한국경제의 지속성장 (연구책임자 : 서강대학교 박정수) 789
확률적 변경모형 789
Festschrift in Honor of Peter Schmidt 790
Intellectual Property for Economic Development 790
우리나라 기업성장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 고성장기업과 기업동학을 중심으로 790
과제명 : 좋은 정부 (연구책임자 : 서강대학교 이현우) 791
좋은 정부와 정책 조응성 : 경험연구와 자료 791
지방선거와 지방정부: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중심으로 791
과제명 : 스마트지식사회의 기회와 도전 : 기술발전, 위험확산, 그리고 정책대응 (연구책임자 : 서울대학교 김동욱) 791
빅데이터와 위험 정보사회 791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실무 792
과제명 : 네트워크 국가의 세계정치 (연구책임자 : 서울대학교 김상배) 792
중견국의 공공외교 792
정보세계정치의 이해: 역사와 쟁점 및 전략의 탄생 792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도전 792
네트워크 시대의 외교안보: 중견국의 시각 793
네트워크로 보는 세계 속의 북한 793
유럽사 속의 전쟁/ War in European history 793
네트워크와 국가전략: 세계정치의 변환과 연속성 794
제 3세대 중견국 외교론: 네트워크 이론의 시각 794
과제명 : 세계화 시대, 동아시아 도시의 위기와 전환 (연구책임자 : 서울대학교 박배균) 794
국가와 지역: 다중스케일 관점에서 본 한국의 지역 794
산업경관의 탄생 : 다중스케일 관점에서 본 발전주의 공업단지 795
위험한 동거: 강요된 핵발전과 위험경관의 탄생 795
상생도시: 토지가치 공유와 도시 재생 795
과제명 : 창의적 미래인재 양성 (연구책임자 : 서울대학교 신종호) 796
생각의 힘을 키우는 창의수학 1%의 비밀: 기하 796
생각의 힘을 키우는 창의수학 1%의 비밀: 대수 796
생각의 힘을 키우는 창의수학 1%의 비밀: 규칙성과 함수 796
생각의 힘을 키우는 창의수학 1%의 비밀: 확률과 통계 797
(글로벌 미래 인재를 위한)어린이 창의 리더십 워크북 797
과제명 : 정부경쟁력 (연구책임자 : 서울대학교 임도빈) 797
정부경쟁력 2015 797
자살 예방 커뮤니케이션 798
정부경쟁력 2014 798
행정학 : 시간의 관점에서 798
정부경쟁력 이론과 평가지표 799
정부경쟁력 2013 799
과제명 : 분배적 정의와 사회통합 (연구책임자 : 서울대학교 주병기) 799
Experts, Activists and Democratic Politics 799
이주노동의 현실 : 외국인근로자/지역실천가들이 말하는 그들의 삶과 일 800
과제명 : 글로컬문화와 지역발전 (연구책임자 : 서울시립대학교 장원호) 800
한류와 아시아 팝문화의 변동 800
과제명 : 산업변동과 로컬리티 (연구책임자 : 성공회대학교 이종구) 800
지역사회운동과 로컬리티 : 1980년대 인천의 노동운동과 문화운동 800
동아시아의 산업변동과 생활세계 801
동아시아의 산업변동과 로컬리티 801
디지털 시대의 구로지역 801
디지털 시대의 노동자들 802
디지털 시대의 구로공단 802
과제명 : 한국 거버넌스의 보편성과 특수성 (연구책임자 : 성균관대학교 공동성) 802
The Cases of E-Governance and Development in Korea 802
한국거버넌스 사례연구 803
관료제 권력의 이론과 실제 803
Can Tocqueville Karaoke? 803
과제명 : "저탄소 녹색 성장"의 에너지 (연구책임자 : 성균관대학교 박명섭) 804
녹색 공급사슬의 설계와 구축 -녹색물류의 추진- (グリッサプライチェッの設計と構築) 804
녹색무역의 이해 804
재생에너지의 정치경제학 에너지 정책의 녹색개혁 (再生可能エ礻儿ギ-の政治經濟學) 804
친환경지향 물류센터&물류관리-보관하역론(物流セソタ - のしくみ) 805
Greening Global Logistics 805
원전은 결코 저렴하지 않다 - 원전 비용의 진실 (原發はやっぱリ割に合ゎい國民から見た本當のユスト) 805
과제명 : 한국사회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현실진단 및 해외 사례연구 기반 미래 과제 탐색 (연구책임자 : 성균관대학교 송해룡) 806
위험 커뮤니케이션 : 미디어와 공론장 806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이론과 실제 806
위험거버넌스와 위험커뮤니케이션 806
한국사회 위험특성과 한국인의 위험인식 스펙트럼 807
디지털미디어시대 리스트 현실과 진단 807
위험 사회와 위험 인식: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갈등 구조 807
아이디스오더: 기술문명 스트레스와 그 극복 (Idisorder) 807
과제명 : 공존·협력의 역동적 모델 개발 (연구책임자 : 성균관대학교 이숙종) 808
공공갈등, 이렇게 타개하라 - 공존·협력을 위한 합의형성 전략 808
Public Management : A Case Handbook 808
조직과 인간관계 808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Public Organizations : An Essential Guide 808
과제명 : 한국형 커뮤니티웰빙 (연구책임자 : 숭실대학교 기영화) 809
Community Well-Being and Community Development : Conceptions and Applications 809
Learning and Community Approaches for Promoting Well-being 809
Community-Oriented Health Services 810
과제명 : 마인드풀니스의 영역효과 (연구책임자 : 아주대학교 김완석) 811
심리장애의 초진단적 접근: 인지 및 행동과정의 공통점 811
행동의학과 마음챙김 수용: 최신 이론과 실제 811
과제명 : 갈등의 역동성과 사회통합 (연구책임자 : 연세대학교 고상두) 811
후기산업사회와 한국정치 811
Asian Courts in Context 812
민주주의 구하기 / Saving Democracy 812
추첨민주주의 강의 812
현대종교의 다양성 813
종교와 사회진보 813
종교와 사회진보 사회조사보고서 813
한국 불교 사회운동의 길잡이 814
과제명 : 국제레짐과 국가 역량 및 정부기능의 변화 (연구책임자 : 연세대학교 문명재) 814
Hyper-Organization : The Global Expansion of Organization 814
The Routledge Handbook of Global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814
한국의 대통령 리더십과 국가관리 : 대통령 리더십과 통치위기 815
한국의 대통령 리더십과 국가관리 : 대통령리더십과 국가기구 재편 815
한국의 대통령 리더십과 국가관리 : 국가자원동원 815
Classics of Organization Theory (8th edition) 816
사회적 책임, 사회적 기업 816
사회적 혁신 생태계 3.0 816
Strategic Management and Public Service Performance 817
국제환경협약의 이해 817
과제명 : 기후변화위기 시대의 대응전략 : 환경·통상·투자관련 국제분쟁해결 (연구책임자 : 연세대학교 박덕영) 817
國際法基本判例50 817
國際經濟法の争点 818
국제환경법 818
과제명 : 시민행동 고취를 통한 더불어 사는 공동체 구현 방안에 대한 연구 (연구책임자 : 연세대학교 송민) 818
소셜미디어 시대를 읽다 818
사이버공간의 문화코드 819
타인에게로 819
과제명 : 국제무역, 통상질서 그리고 표준화 (연구책임자 : 연세대학교 이희진) 819
세상을 바꾸는 표준 819
국제경제체제의 위기와 위험관리 820
과제명 : 경쟁 촉진과 시장경제 선진화를 위한 범 (凡) 사회과학 연구 (연구책임자 : 연세대학교 정진욱) 820
The Global Limits of Competition Law 820
한국의 경쟁정책 821
European Competition Law Annual 2010 : Merger Control in European and Global Perspective 821
방송통신법 포럼 2011 821
과제명 : 네트워크시대의 국가와 시민사회 (연구책임자 : 연세대학교 조화순) 822
Building Telecom Markets : Evolution of Governance in the Korean Mobile Telecommunication Market 822
소셜 네트워크와 선거 822
정치적 소통과 SNS 823
소셜 네트워크와 정치변동 823
정보시대의 인간안보 823
집단지성의 정치경제 824
디지털 거버넌스: 국가·시장·사회의 미래 824
한국 정당의 미래를 말하다 824
사이버 공간의 문화코드 825
카카오톡은 어떻게 공동체가 되었는가? 825
과제명 : 한국기업의 경쟁력, 상생 그리고 글로벌 리더십 (연구책임자 : 연세대학교 최순규) 825
브랜드, 세계를 삼키다 - 작지만 강한 한국 중소기업의 성공 DNA 825
과제명 : 먹거리와 지속가능성 (연구책임자 : 원광대학교 김흥주) 826
먹거리, 지구화 그리고 지속가능성 (Food, Globalization and Sustainability) 826
석유식량의 종언/Eating Fossil Fusls 826
한국의 먹거리와 농업 826
밥의 인문학 827
농업과 먹거리의 정체경제학 827
먹거리와 농업의 사회학 / The Sociology and Agriculture 827
과제명 : 한국사회의 허구적 안정성과 일상적 불안정성 (연구책임자 : 이화여자대학교 강민아) 828
퍼지셋 질적 비교연구 방법론의 이론과 적용 (fs/QCA 입문) 828
과제명 : 아동 및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애주기별 종단적 중재 (연구책임자 : 이화여자대학교 도현심) 828
가정외 아동보호와 경제성 평가 828
과제명 : 다문화사회 한국의 한인 디아스포라와 트랜스이주 연구 (연구책임자 : 이화여자대학교 이영민) 828
문화, 장소, 흔적: 문화지리로 세상 읽기 828
지도로 보는 일본의 외국인 829
글로벌빌리지 서울 829
이제는 상호문화교육이다 829
이주 830
인간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상호문화 사회 830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 830
교직 반생기 조선족 천직교사 최정걸의 삶 831
물리학자 이원백 교수를 통해서 본 조선족 지식층의 삶 831
중국 흑룡강성 오상시 조선족 노인들의 생활사 831
중국 연변 조선족 구술생활사 832
일본 가나가와 지역 재일한인의 생활사 832
남부 러시아 로스토프와 볼고그라드 고려인 생활사 832
중국 칭다오(靑島) 조선족 박정옥의 구술생애사 833
칭다오 조선족 9명 이야기 833
중국 신흥정착지 칭다오(靑島) 조선족 구술사 833
중국 연변 조선족 어머니 박옥련의 삶과 생활사 834
두만강 유역의 조선족 구술생활사 834
사할린 한인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 834
자갈 투성이의 신작로 - 재일한인 2세 배중도의 생애와 민족 835
일본 오사카 지역 재일한인의 구술생활사 835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구술생활사 835
재외한인 디아스포라를 찾아서 836
일상속의 다문화 탐색 836
조선족 엘리트 여성 심혜숙의 생애 836
과제명 : 사회적 재생산의 기반 조성을 위한 학제간 융합연구 (연구책임자 : 전남대학교 윤수종) 836
소수자운동의 새로운 전개 836
동성애 욕망(Le desir homosexual) 837
성자유 (Essai sur la revolution sexuelle : apres reich et kinsey) 837
네그리·하트의『제국』·『다중』·『공통체』읽기 837
외로움과 시설을 넘어서(Beyond Loneliness and Institutions Communes for Extraordinary People) 838
난임여성의 체험과 출산기술의 정치 838
과제명 : 개인기록을 통한 동아시아 압축 근대 비교 연구 (연구책임자 : 전북대학교 이정덕) 838
창평일기 1 838
창평일기 2 839
창평일기 3 839
창평일기 4 839
동아시아 일기 연구와 근대의 재구성 840
압축근대와 농촌사회 840
근대라는 괴물 840
日記をつづるということ - 國民敎育裝置とその逸脫 841
농민 권순덕의 삶과 기록 : 아포일기 1 841
농민 권순덕의 삶과 기록 : 아포일기 2 841
아포일기 3 842
아포일기 4 842
아포일기 5 842
The Preferred Transformation of South Korea : Alternative Scenarios for 2030 843
과제명 : 자연의 공공적 관리와 지속가능한 삶의 방식 (연구책임자 : 제주대학교 최현) 843
공동자원론의 도전(ユモソズ論の挑戰) 843
환경경제학 843
과제명 : 계층간 이동성 제고를 통한 한국 사회통합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 청주대학교 김성태) 844
우리나라의 빈곤 함정 844
과제명 : 한국의 과학기술개발경험의 지식화와 국제적 확산방안에 관한 연구 (연구책임자 : 충남대학교 조대우) 844
History of Technology Accumulation in The Daedeok Innopolis : 1980s-1990s 844
시대별 사건으로 보는 한국의 과학기술발전경험 844
개발도상국에게 전하는 한국과학기술발전의 길(道), R&D GEEL! 845
한국의 외국도입기술의 지식화史 845
한국의 기술수출史 1978-1994 845
시대별 사건으로 보는 창조선도단계의 한국의 과학기술발전경험 846
한국과학기술정책의 거버넌스 구축과정과 신패러다임 846
연구개발 사례의 확산지화-TDX, DRAM, CDMA 846
과제명 : 삶의 질과 국민행복 (연구책임자 : 포항공과대학교 장봉규) 847
보험학원론 847
금융학원론 847
과제명 : 지역사회 건강증진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 설계와 통합 (연구책임자 : 한림대학교 노기영) 847
원격의료와 지역사회 847
과제명 : 다중격차 시대의 사회적 균열과 정책 패러다임 전환 (연구책임자 : 한신대학교 전병유) 848
Growing Inequality and Its Impacts in Korea 848
과제명 : 혼인이주자와 이주노동자에 관한 통합적 연구기반 구축과 다학제적 분석 (연구책임자 : 한양대학교 김두섭) 848
Cross-Border Marriage: Global Trends and Diversity 848
한국인의 국제결혼과 외국인 배우자의 적응 848
과제명 : 新글로벌에너지거버넌스와 한국의 국가에너지전략 (연구책임자 : 한양대학교 김연규) 849
독일 재생에너지 정책과 지속 가능 발전전략 849
Unconventional Fossil Fuels 849
Energy Security in Japan : Challenges after Fukushima 849
과제명 : 융복합교육 생태계 조성과 자생적 학교교육 개혁 (연구책임자 : 한양대학교 차윤경) 850
융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850
과제명 : 경계짓기와 경계넘기의 문화거버넌스 (연구책임자 : 한양대학교 최진우) 850
중국 영화 산업 850
디지털 방송의 보편적 서비스 850
거품과 냄비 851
글로벌 미디어와 문화 경계 851
사실적 텔레비전과 방송 편성 문화 851
과제명 : 창조경제와 일자리 창출 (연구책임자 : 경기대학교 김기흥) 851
창조경제시대의 ICT와 스토리 텔링 851
과제명 : 복지와 행복 (연구책임자 : 계명대학교 최윤경) 852
실험 심리학 852
정서중심 인지치료(Emotion-Focused Cognitive Therapy) 852
과제명 : 지역다양성과 사회통합 (연구책임자 : 명지대학교 윤종빈) 852
지역 다양성과 사회 통합 : 세계 각국의 시민-정당 연계 동향과 쟁점 852
과제명 : 지역사회 발전 (연구책임자 : 서울대학교 김순은) 853
우리나라 고령자와 고령화사회의 지역별 특성 853
과제명 : 융합적 학문과 기술 (연구책임자 : 서울대학교 서이종) 853
고령사회의 노년기 만성질환과 호스피스의 생명정치 853
과제명 : 국제관계와 한반도 미래 (연구책임자 : 전북대학교 김창희) 853
남북관계와 한반도 : 대결과 갈등에서 신뢰의 장으로 853
과제명 : 교육발전 (연구책임자 : 전북대학교 반상진) 854
생산가능인구 감소시대 인력정책 10대 이슈 854
과제명 : 복지와 행복 (연구책임자 : 한양대학교 제철웅) 854
성년후견법연구 제11호 854
성년후견제도 854
Liber Amicorum Makoto Arai 855
석학인문강좌지원사업 저역서 목록 856
문명의식과 실학 858
상생적 자유주의 858
프라이버시의 철학 858
민중에서 시민으로 859
법과 사회와 인권 859
물질, 생명, 인간 859
인문학과 과학 860
복에 관한 담론 860
조선, 도덕(道德)의 성찰 860
문학, 영상을 만나다 861
전통과 수용 861
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861
왜 법의 지배인가 862
세계대공황 862
세계화와 반세계화 862
건축과 도시의 인문학 863
이야기의 의미와 해석 863
중국신화의 세계 863
프랑스 현대 소설의 탄생 864
불교와 불교학 864
기이한 생각의 바다에서 865
지식기반 문화대국 조선 865
노장사상과 더불어 현대사회에서 살아가기 865
이것을 저렇게도 866
양명학의 정신 866
한국미술사의 라이벌 866
시각과 해석 867
영국소설을 통해 본 영국신사도의 명암 867
한국 유교의 정신 867
미래와 만나는 한국의 선비문화 868
우리 사회에 대한 성찰적 민족지 868
삶의 철학으로서의 인문학 868
미술론 강의 869
괴테, 토마스 만 그리고 이청준 869
문학은 끝나는가 869
지성적 공간 안에서의 종교 870
약자 중심의 윤리 870
사설시조의 세계 870
한국어의 방언 871
시로 읽는 다산의 생애와 사상 871
대당제국과 그 유산 871
격동의 시대와 자아의 인식 872
고을과 마을의 문화이야기 872
조선시대 산수화 특강 872
신앙과 이성 사이에서 873
판권기 874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138665 | R 017.1 ㄱ384ㅇ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정기간행물실(524호))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