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연안기본조사 : 최종보고서. 제1-2부 / 해양수산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해양수산부, 2015
청구기호
551.46 -16-8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책 : 삽화, 지도, 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614217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책임자: 최지연
2권 부록: 1. 연안기본조사 지침 ; 2. 연안육역 경사·고도 및 서해안 재질 GIS 분석 ; 3. 자연해안관리목표제 개선방안 외
2권 참고문헌: p. 272-285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부 연안기본조사 29

제1장 연안기본조사의 개요 31

제1절 연안기본조사 추진개요 33

1. 연안기본조사의 배경 및 추진경위 33

2. 연안기본조사의 추진방향 35

제2절 연안기본조사체계 37

1. 조사의 범위 37

2. 조사의 방법 42

3. 연안기본조사의 추진체계 45

제2장 부문별 연안기본조사 47

제1절 연안의 모습 49

1. 연안 49

2. 해안선 및 도서 51

3. 바닷가 63

4. 연안습지 및 해안사구 71

5. 연안육역 경사 및 재질 80

제2절 연안 이용·개발 99

1. 연안 해역이용 99

2. 연안 토지이용 132

3. 연안 이용·개발 수요 175

제3절 연안 재해 187

1. 연안재해 발생 187

2. 연안재해 피해 203

3. 연안재해 대응 226

제4절 연안 생태 240

1. 연안해역 생물종 240

2. 연안육역 생물종 292

3. 연안 생태계 관리 323

제5절 연안환경 339

1. 연안 수질 339

2. 연안 오염원 388

3. 연안환경 관리 410

제6절 연안 사회·경제 429

1. 연안 인구 429

2. 연안 산업 및 경제 453

3. 연안친수 및 여가문화 475

4. 어촌정주환경 499

제7절 연안통합관리정책 이행 513

1. 연안통합관리정책의 이행점검 조사개요 513

2. 제2차 연안통합관리계획 이행점검 513

3. 연안관리정책 수행역량 설문조사 535

제3장 연안지표체계(안) 작성 및 적용 549

제1절 연안지표체계(안) 개요 551

1. 연안지표체계(안)의 작성목적 551

2. 국외 연안지표 작성 사례 552

3. 제2차 연안실태조사 지표·지수의 성과와 한계 556

제2절 연안지표체계(안) 작성 및 적용 558

1. 연안지표체계(안) 작성 558

2. 연안지표 선정의 적절성 검토 562

3. 연안지표체계(안) 적용 569

4. 연안지표간 상관관계 분석 611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2부 연안지역별 주요 현안 및 국외 연안관리 사례 637

제1장 연안지역별 주요현안 조사·분석 639

제1절 인천연안 641

1. 인천연안 현황 641

2. 연안환경·생태관리 현안 650

3. 준설토 투기장 개발압력 증대 660

4. 연안지역 관광개발 압력 증가 663

5. 마리나항만 개발 추진 673

6. 기타 현안 678

제2절 경기연안 681

1. 연안지역의 성장과 어촌의 쇠퇴 681

2. 경기연안 개발계획 관련 주요 현안 682

3. 매립사업에 따른 자연해안선 파괴 및 해안경관 관리현안 688

4. 경기도 연안관리 방향 691

제3절 충남연안 696

1. 충남 연안 및 하구현황 696

2. 충남 연안·하구 주요현안 703

3. 충남 연안 및 하구관리정책 707

4. 하구복원정책의 필요성과 정책제언 711

제4절 전북연안(곰소만) 721

1. 곰소만 개요 721

2. 곰소만의 자연지리와 지역현안 723

3. 곰소만 갯벌의 퇴적환경:현황과 전망 729

4. 곰소만 갯벌의 서식지 건강성:현황과 전망 733

5. 요약 및 제언 739

제5절 전남연안(도서) 741

1. 전남 도서현황 및 관리여건 741

2. 전남 도서관광 현황 및 문제점 743

3. 전남의 도서정책:'테마섬'에서 '가고 싶은 섬'으로 744

4. 전남도서 관련 섬 발전 정책들 748

5. 전남 도서 관리 방향 752

제6절 경남연안 754

1. 경남 연안자원 분포현황 754

2. 경남 연안개발의 문제점과 관리방향 758

제7절 부산연안 762

1. 부산연안 주요 현황 762

2. 부산 연안관리 현안 777

3. 부산지역 연안관리 방안 781

제8절 경북 및 강원연안 786

1. 강원 및 경북해안의 침식실태와 원인 786

2. 강원 및 경북해안의 침식심각지역과 갈등 795

3. 연안침식 대응 관련 정책방향 810

제2장 국외 연안관리 사례 819

제1절 중국 해역관리제도 821

1. 중국 해역관리제도의 개요 821

2. 해역사용관리법의 주요 내용 824

3. 전국해양기능구획(2011-2020) 828

제2절 일본 해안관리 제도 831

1. 해안법 831

2. 일본 해안경관 관리제도 840

제3절 미국 해안선 설계 지침 851

1. 개요 851

2. 푸젯사운드(Puget sound)의 지형 환경 852

3. 스튜어드십(Stewardship) 853

4. 지역 평가(Site assessment) 854

5. 연안 프로세스 평가 859

6. 소극적 관리 기술 867

7. 해안선 설계기술 기법 868

제4절 캐나다 연안개발등급·인증제 873

1. 녹색해안(Green Shore)인증제도의 개요 873

2. 녹색해안(Green Shore)인증의 필수조건과 점수 874

제5절 영국 연안관리 제도 882

1. 연안·해양접근법 882

2. 영국 연안경관 관리제도 884

참고문헌 908

부록 923

부록1. 연안기본조사 지침 925

I. 연안기본조사 지침의 개요 929

II. 부문별 연안기본조사 지침 937

부록2. 연안육역 경사·고도 및 서해안 재질 GIS 분석 953

부록3. 자연해안관리목표제 개선방안 997

1. 자연해안관리목표제의 개요 1001

2. 자연해안관리목표제의 운영방식 및 문제점 1002

3. 자연해안관리목표제 개선방안 1008

부록4. 연안기본조사DB-연안포탈 연계 이행사업 1021

vol.1 7

〈표 1-1-1〉 연안기본조사 추진경위 35

〈표 1-2-1〉 연안기본조사 대상 행정구역 현황 38

〈표 2-1-1〉 1910년 대 해안선 길이 53

〈표 2-1-2〉 연안지역별 해안선 길이 54

〈표 2-1-3〉 연안지역별 육지부 자연·인공해안선 분포 55

〈표 2-1-4〉 연안 시·군·구별 해안선 길이 현황 55

〈표 2-1-5〉 전국 도서 현황 58

〈표 2-1-6〉 연안지역별 유·무인도서 분포현황 58

〈표 2-1-7〉 연안지역별 무인도서 개소수와 면적 분포현황 58

〈표 2-1-8〉 무인도서의 실태조사 및 관리유형 지정 현황 59

〈표 2-1-9〉 관리유형별 무인도서 분포 현황 59

〈표 2-1-10〉 연안지역별 무인도서의 관리유형 지정 현황 60

〈표 2-1-11〉 소유형태별 무인도서 분포현황 61

〈표 2-1-12〉 면적규모별 무인도서 분포현황 61

〈표 2-1-13〉 연안 시·군·구별 무인도서 관리유형 지정 현황 61

〈표 2-1-14〉 바닷가 관리유형 분포 현황 63

〈표 2-1-15〉 연안지역별 바닷가 개소수 분포 현황 65

〈표 2-1-16〉 연안지역별 바닷가 면적 분포 현황 66

〈표 2-1-17〉 연안 시·군·구별 바닷가 분포현황 69

〈표 2-1-18〉 연안습지 면적 변화 71

〈표 2-1-19〉 전국 해안사구 현황 76

〈표 2-1-20〉 연도별 해안사구 정밀조사 현황 78

〈표 2-1-21〉 항공레이저자료 획득시기와 도엽 수 80

〈표 2-1-22〉 연안지역별 연안육역 경사도에 따른 면적 분포 84

〈표 2-1-23〉 연안 시·군·구별 연안육역 경사도에 따른 면적 분포 86

〈표 2-1-24〉 인천지역 해안 재질분류 89

〈표 2-1-25〉 인천지역별 해안 재질분류 90

〈표 2-1-26〉 경기지역 해안 재질분류 91

〈표 2-1-27〉 경기지역별 해안 재질분류 92

〈표 2-1-28〉 충남지역 해안 재질분류 93

〈표 2-1-29〉 충남지역별 해안 재질분류 93

〈표 2-1-30〉 전북지역 해안 재질분류 95

〈표 2-1-31〉 전북지역별 해안 재질분류 95

〈표 2-1-32〉 전남지역 해안 재질분류 96

〈표 2-1-33〉 전남지역별 해안 재질분류 97

〈표 2-2-1〉 공유수면 점용·사용 유형 99

〈표 2-2-2〉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100

〈표 2-2-3〉 연안 시·군·구별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101

〈표 2-2-4〉 연안지역별 공유수면 점용·사용 유형분포 현황 104

〈표 2-2-5〉 연안지역별 공유수면 매립 준공 현황 105

〈표 2-2-6〉 연안 시·군·구별 공유수면 매립 준공 면적 현황 107

〈표 2-2-7〉 연안지역별 목적별 준공매립지 현황 109

〈표 2-2-8〉 간척지 현황 110

〈표 2-2-9〉 연안지역별·시행주체별 간척 현황 110

〈표 2-2-10〉 간척사업 진행현황 112

〈표 2-2-11〉 간척사업 준공현황 111

〈표 2-2-12〉 무역항·연안항의 구역과 주요 항만시설 현황 113

〈표 2-2-13〉 마리나항만 주요현황 116

〈표 2-2-14〉 국가어항 지정 및 국가어항구역 면적 현황 118

〈표 2-2-15〉 연안지역별 국가어항 지정 및 국가어항구역 면적현황 119

〈표 2-2-16〉 연안해역 설정 광업권 현황 124

〈표 2-2-17〉 연안지역별 해역 설정 광업권 현황 126

〈표 2-2-18〉 연도별 골재채취량 중 바다모래채취량 추이 128

〈표 2-2-19〉 연안지역별 바다모래 채취량 추이 129

〈표 2-2-20〉 배타적경제수역 내 골재채취단지 지정 및 운영 현황 129

〈표 2-2-21〉 해양심층수 취수해역 지정 현황 131

〈표 2-2-22〉 해양심층수개발업 면허 현황 131

〈표 2-2-23〉 2007년 연안지역의 지목별 현황 134

〈표 2-2-25〉 2012년 연안지역별 지목별 현황 138

〈표 2-2-27〉 2007-2012년 연안지역별 지목면적 변화 140

〈표 2-2-28〉 2007년 대비 2012년 연안지역별 지목별 면적증감 현황 142

〈표 2-2-29〉 2007년 연안지역별 용도지역 지정현황 145

〈표 2-2-30〉 2012년 연안 시·도 용도지역 현황 147

〈표 2-2-31〉 2007년과 2012년 연안시도 용도지역 변화 149

〈표 2-2-32〉 2007년과 2012년 연안 시·군·구별 용도지역 변화 150

〈표 2-2-34〉 2007년과 2012년 연안지역 용도지역별 평균 개별공시지가 현황 155

〈표 2-2-35〉 2007년 지목별 평균개별공시지가 157

〈표 2-2-36〉 2012년 지목별 평균 개별공시지가 158

〈표 2-2-37〉 2007년 대비 2012년 지목별 평균 개별공시지가 증감률 159

〈표 2-2-38〉 2012년 전국·연안 산지지정 현황 161

〈표 2-2-39〉 연안 시·군·구별 산지분포 현황 162

〈표 2-2-40〉 생태·자연도의 3개 등급 설정기준 165

〈표 2-2-41〉 전국·연안 생태·자연도 등급분포 현황 166

〈표 2-2-42〉 2008년과 2013년 연안·내륙 발전설비용량 비교 현황 168

〈표 2-2-43〉 2008년 내륙·연안 발전설비용량 분포 현황 169

〈표 2-2-44〉 2013년 내륙·연안 발전설비용량 분포 현황 170

〈표 2-2-45〉 내륙·연안 풍력발전설비용량 비교 현황 171

〈표 2-2-46〉 2007년과 2012년 연안지역의 산업단지 지정현황 172

〈표 2-2-47〉 연안지역 산업단지 지정현황 173

〈표 2-2-48〉 연안지역별 산업단지 운영현황 174

〈표 2-2-49〉 공유수면 매립 기본계획 수립·변경 현황 175

〈표 2-2-50〉 공유수면 매립목적별에 따른 매립계획 현황 176

〈표 2-2-51〉 연안 시·군·구별 매립계획 지구분포 177

〈표 2-2-52〉 연안 시·군·구별 매립계획 면적분포 179

〈표 2-2-53〉 연안·해양 이용·개발계획 현황 182

〈표 2-2-54〉 연안지역별 연안·해양 이용·개발계획 183

〈표 2-2-55〉 연안 시·군·구별 연안·해양 이용·개발계획 현황 185

〈표 2-3-1〉 연안지역 연평균기온 및 일강수량 188

〈표 2-3-2〉 연안지역 최대풍속 190

〈표 2-3-3〉 태풍발생 현황(2003-2012) 191

〈표 2-3-4〉 주요 태풍 특징 및 기상현상 194

〈표 2-3-5〉 주요 태풍 진로예상도 195

〈표 2-3-5〉 조위 현황 196

〈표 2-3-6〉 지진(해역) 현황(1978-2012) 198

〈표 2-3-7〉 지진해일 발생 현황 200

〈표 2-3-8〉 재해피해규모(침수, 건물, 선박, 농경지) 206

〈표 2-3-9〉 재해피해 규모(공공시설, 사유시설) 208

〈표 2-3-10〉 재해 인적피해 211

〈표 2-3-11〉 주요 재해원인별 재해 피해액(2008~2012년) 214

〈표 2-3-12〉 연안 시·군·구별 태풍 피해 규모(2008~2012년) 215

〈표 2-3-13〉 연도별 침식모니터링 등급 현황 218

〈표 2-3-14〉 지자체별 연안침식 등급 현황(2014년말 기준) 220

〈표 2-3-15〉 최근 3년(2012-2014) 침식모니터링 C·D 등급 지역 223

〈표 2-3-16〉 침식피해 유형별 현황 224

〈표 2-3-17〉 해양수산부 특정관리대상시설 현황(2014년 12월 기준) 225

〈표 2-3-18〉 주요 연안재해 대응 수단 226

〈표 2-3-19〉 연안침식관리구역 주요 내용 227

〈표 2-3-20〉 제2차 연안정비사업 추진현황(연안보전사업) 228

〈표 2-3-21〉 제1~2차 연안정비사업 공법 비교 230

〈표 2-3-22〉 제2차 연안정비(변경)계획에 따른 연안보전사업 사례 231

〈표 2-3-23〉 제2차 연안정비 변경계획 상 연안정비사업 233

〈표 2-3-24〉 자연재해 복구비(2008-2012년) 235

〈표 2-3-25〉 방재지구 지정 현황 238

〈표 2-3-26〉 목포시 방재지구 지정 현황 238

〈표 2-3-27〉 해안 사방사업 현황 239

〈표 2-4-1〉 해양생태계 기본조사 조사항목 241

〈표 2-4-2〉 연안습지 기초조사 권역 256

〈표 2-4-3〉 연안습지 기초조사 조사대상별 조사항목 258

〈표 2-4-4〉 연안습지 기초조사 세부 조사항목 258

〈표 2-4-5〉 조위별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 분포 261

〈표 2-4-6〉 총 출현종수 기준 생물다양성 우수 연안습지 264

〈표 2-4-7〉 정점 당 평균 출현종수 기준 생물다양성 우수 연안습지 264

〈표 2-4-8〉 대형저서동물의 평균 서식밀도가 높은 연안습지 265

〈표 2-4-9〉 대형저서동물의 평균 생체량 많은 갯벌 265

〈표 2-4-10〉 보름달물해파리 출현 현황(2010~2013) 281

〈표 2-4-11〉 노무라입깃해파리 출현 현황(2010~2013) 283

〈표 2-4-12〉 2008년 적조 발생자료 286

〈표 2-4-13〉 2008년 유해적조(Cochlodinium, Chattonella) 발생자료 286

〈표 2-4-14〉 2009년 적조 발생자료 288

〈표 2-4-15〉 2009년 유해적조(Cochlodinium, Chattonella) 발생자료 290

〈표 2-4-16〉 2010년 적조 발생자료 290

〈표 2-4-17〉 2010년 유해적조(Cochlodinium, Chattonella) 발생자료 291

〈표 2-4-18〉 전국자연환경조사의 현황 비교 292

〈표 2-4-19〉 연안육역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293

〈표 2-4-20〉 연안지역별·분류군별 출현 종수 293

〈표 2-4-21〉 인천·경기연안 육상생물 출현양상 294

〈표 2-4-22〉 충남연안 육상생물 출현양상 294

〈표 2-4-23〉 전북·전남연안 육상생물 출현양상 295

〈표 2-4-24〉 경남·부산·울산연안 육상생물 출현양상 296

〈표 2-4-25〉 경북·강원·제주연안 육상생물 출현양상 297

〈표 2-4-26〉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를 통한 분류군별 법적 보호종 298

〈표 2-4-27〉 환경부 전국 무인도서 자연환경 조사 현황(1998-2012) 299

〈표 2-4-28〉 전국 무인도서 분류군별 출현 생물종수 300

〈표 2-4-29〉 지역별 무인도서 분류군별 출현 생물종수 300

〈표 2-4-30〉 지역별 단위 무인도서 당 출현 생물종수 300

〈표 2-4-31〉 인천 무인도서 분류군별 출현 생물종수 변화 301

〈표 2-4-32〉 충남 무인도서 분류군별 출현 생물종수 변화 301

〈표 2-4-33〉 전북 무인도서 분류군별 출현 생물종수 변화 302

〈표 2-4-34〉 전남 무인도서 분류군별 출현 생물종수 변화 302

〈표 2-4-35〉 경남 무인도서 분류군별 출현 생물종수 변화 303

〈표 2-4-36〉 제주 무인도서 분류군별 출현 생물종수 변화 303

〈표 2-4-37〉 부산 무인도서 분류군별 출현 생물종수 변화 304

〈표 2-4-38〉 전국 무인도서의 상위 출현빈도 생물종 분포현황 304

〈표 2-4-39〉 연도별 겨울철 동시센서스에서 관찰된 종수와 개체수(1999~2012) 318

〈표 2-4-40〉 TRIM 분석을 통한 오리과 조류 16종의 연간 개체군 변화율과 경향분석 321

〈표 2-4-41〉 연안·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2014년 말 기준) 324

〈표 2-4-42〉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324

〈표 2-4-43〉 해양보호구역 관리사업 현황 325

〈표 2-4-44〉 해양수산부 지정 습지보호지역 지정 현황 326

〈표 2-4-45〉 습지보호지역 관리사업 현황 326

〈표 2-4-46〉 수산자원보호구역 지정 현황 329

〈표 2-4-47〉 수산자원관리수면 지정 현황 330

〈표 2-4-48〉 연안·해양 지정 국립공원 현황 330

〈표 2-4-49〉 환경보전해역 지정 현황 331

〈표 2-4-50〉 연안에 지정된 생태·경관보전지역 현황 332

〈표 2-4-51〉 특정도서 지정 현황 333

〈표 2-4-52〉 광역지자체별 특정도서 지정 현황 333

〈표 2-4-53〉 지자체 수요조사를 통한 갯벌 복원사업 대상지 개요 335

〈표 2-5-1〉 해양환경측정망 개요 339

〈표 2-5-2〉 동·서·남해·제주해역별 계절별 평균수온 분포 342

〈표 2-5-3〉 부산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수온 분포 343

〈표 2-5-4〉 인천·경기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수온 분포 343

〈표 2-5-5〉 울산연안 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수온 분포 343

〈표 2-5-6〉 강원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수온 분포 344

〈표 2-5-7〉 충남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수온 분포 344

〈표 2-5-8〉 전북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수온 분포 344

〈표 2-5-9〉 전남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수온 분포 345

〈표 2-5-10〉 경북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수온 분포 345

〈표 2-5-11〉 경남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수온 분포 346

〈표 2-5-12〉 제주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수온 분포 346

〈표 2-5-13〉 동·서·남해·제주해역별 계절별 연평균 염분 분포 347

〈표 2-5-14〉 부산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염분 분포 348

〈표 2-5-15〉 인천·경기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염분 분포 348

〈표 2-5-16〉 울산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염분 분포 348

〈표 2-5-17〉 강원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염분 분포 349

〈표 2-5-18〉 충남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염분 분포 349

〈표 2-5-19〉 전북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염분 분포 350

〈표 2-5-20〉 전남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염분 분포 350

〈표 2-5-21〉 경북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염분 분포 351

〈표 2-5-22〉 경남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염분 분포 351

〈표 2-5-23〉 제주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염분 분포 351

〈표 2-5-24〉 동·서·남해·제주 해역별 연평균 투명도 분포 352

〈표 2-5-25〉 부산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투명도 분포 353

〈표 2-5-26〉 인천·경기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투명도 분포 353

〈표 2-5-27〉 울산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투명도 분포 353

〈표 2-5-28〉 강원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투명도 분포 354

〈표 2-5-29〉 충남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투명도 분포 354

〈표 2-5-30〉 전북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투명도 분포 354

〈표 2-5-31〉 전남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투명도 분포 355

〈표 2-5-32〉 경북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투명도 분포 355

〈표 2-5-33〉 경남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투명도 분포 356

〈표 2-5-34〉 제주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투명도 분포 356

〈표 2-5-35〉 동·서·남해·제주해역별 연평균 용존산소 분포 357

〈표 2-5-36〉 부산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산소 분포 357

〈표 2-5-37〉 인천·경기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산소 분포 358

〈표 2-5-38〉 울산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산소 분포 358

〈표 2-5-39〉 강원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산소 분포 358

〈표 2-5-40〉 충남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산소 분포 359

〈표 2-5-41〉 전북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산소분포 359

〈표 2-5-42〉 전남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산소 분포 360

〈표 2-5-43〉 경북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산소 분포 360

〈표 2-5-44〉 경남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산소 분포 360

〈표 2-5-45〉 제주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산소 분포 361

〈표 2-5-46〉 동·서·남해·제주해역별 연평균 용존무기질소 분포 362

〈표 2-5-47〉 동·서·남해·제주해역별 연평균 용존무기인 분포 362

〈표 2-5-48〉 부산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무기질소 분포 362

〈표 2-5-49〉 인천·경기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무기질소 분포 363

〈표 2-5-50〉 울산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무기질소 분포 363

〈표 2-5-51〉 강원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무기질소 분포 363

〈표 2-5-52〉 충남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무기질소 분포 364

〈표 2-5-53〉 전북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무기질소 분포 364

〈표 2-5-54〉 전남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무기질소 분포 365

〈표 2-5-55〉 경북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무기질소 분포 365

〈표 2-5-56〉 경남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무기질소 분포 365

〈표 2-5-57〉 제주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무기질소 분포 366

〈표 2-5-58〉 부산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무기인 분포 366

〈표 2-5-60〉 울산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무기인 분포 366

〈표 2-5-59〉 인천·경기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무기인 분포 367

〈표 2-5-61〉 강원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무기인 분포 367

〈표 2-5-62〉 충남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무기인 분포 368

〈표 2-5-63〉 전북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무기인 분포 368

〈표 2-5-64〉 전남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무기인 분포 368

〈표 2-5-65〉 경북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무기인 분포 369

〈표 2-5-66〉 경남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무기인 분포 369

〈표 2-5-67〉 제주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용존무기인 분포 369

〈표 2-5-68〉 동·서·남해·제주해역별 연평균 클로로필 분포 370

〈표 2-5-69〉 부산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클로로필 분포 371

〈표 2-5-70〉 인천·경기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클로로필 분포 371

〈표 2-5-71〉 울산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클로로필 분포 371

〈표 2-5-72〉 강원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클로로필 분포 372

〈표 2-5-73〉 충남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클로로필 분포 372

〈표 2-5-74〉 전북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클로로필 분포 372

〈표 2-5-75〉 전남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클로로필분포 373

〈표 2-5-76〉 경북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클로로필분포 373

〈표 2-5-77〉 경남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클로로필분포 374

〈표 2-5-78〉 제주연안해역 표층수의 연도별 평균 클로로필분포 374

〈표 2-5-79〉 전국 연안 수질 WQI 등급의 변화 376

〈표 2-5-80〉 해역별 수질평가 결과 376

〈표 2-5-81〉 특별관리해역의 WQI 등급의 변화 378

〈표 2-5-82〉 연안 시·군·구별 WQI 등급의 변화 378

〈표 2-5-83〉 부산연안해역 WQI I·II등급 비율 381

〈표 2-5-84〉 인천·경기연안해역 WQI I·II등급 비율 381

〈표 2-5-85〉 울산연안해역 WQI I·II등급 비율 382

〈표 2-5-86〉 강원연안해역 2007년, 2012년 WQI I·II등급 비율 383

〈표 2-5-87〉 충남연안해역 WQI I·II등급 비율 384

〈표 2-5-88〉 전북연안해역 WQI I·II등급 비율 384

〈표 2-5-89〉 전남연안해역 WQI I·II등급 비율 385

〈표 2-5-90〉 경북연안해역 WQI I·II등급 비율 386

〈표 2-5-91〉 경남연안해역 WQI I·II등급 비율 387

〈표 2-5-92〉 제주연안해역 WQI I·II등급 비율 388

〈표 2-5-93〉 전국 대비 연안의 하수발생량 388

〈표 2-5-94〉 시·도별 및 연안지역별 하수발생량 390

〈표 2-5-95〉 연안지역별 하수발생량 분포 비율 391

〈표 2-5-96〉 연안지역별 하수발생량 증감율 391

〈표 2-5-97〉 전국·연안의 폐수발생량과 방류량 392

〈표 2-5-98〉 전국 대비 연안의 유기물질부하량 393

〈표 2-5-99〉 연안지역별 폐수발생량·방류량 분포 394

〈표 2-5-100〉 연안지역별 유기물질 발생량과 방류량 395

〈표 2-5-101〉 전국 대비 연안의 축산폐수발생량 396

〈표 2-5-102〉 전국·연안의 축산폐수발생량 증감율 397

〈표 2-5-103〉 연안지역별 축산폐수발생량 분포현황 399

〈표 2-5-104〉 연안지역별 축산폐수발생량 증감율 399

〈표 2-5-105〉 연안지역별 축산폐수발생량 400

〈표 2-5-106〉 2007-2014년간 해역별 유류유출사고 누적건수와 유출량 401

〈표 2-5-107〉 연도별 유류유출사고 건수와 유출량 402

〈표 2-5-108〉 2007-2014년간 100㎘ 유류유출사고 현황 402

〈표 2-5-109〉 해경안전서별 유류유출사고 발생건수 403

〈표 2-5-110〉 해경안전서별 유류유출량 403

〈표 2-5-111〉 프랑스 Amoco Cadiz호 유류사고에 따른 사회적 비용 추정 404

〈표 2-5-112〉 폐기물 배출해역별 폐기물 해양배출량 연도별 추이 408

〈표 2-5-113〉 2004-2014년간 폐기물 종류별 해양배출 누적량 408

〈표 2-5-114〉 2004-2014년 액상류 폐기물의 해양배출 누적량 409

〈표 2-5-115〉 연안지역별 공공하수처리시설 인구보급율 추이 411

〈표 2-5-116〉 연안 시·군·구별 공공하수처리시설 인구보급율 412

〈표 2-5-117〉 전국·연안 하수처리시설 현황 413

〈표 2-5-118〉 전국 대비 연안 하수처리시설 증감율 413

〈표 2-5-119〉 연안지역별 하수처리시설 용량 415

〈표 2-5-120〉 연안지역별 500㎥/일 이상 하수도 처리시설용량 415

〈표 2-5-121〉 연안지역별 500㎥/일 미만 하수도 처리시설용량 415

〈표 2-5-122〉 전국 대비 연안 하수관거 현황 416

〈표 2-5-123〉 전국 대비 연안 하수관거 증감율 416

〈표 2-5-124〉 연안지역별 하수관거 현황 417

〈표 2-5-125〉 연안시·군·구별 하수관거보급율 추이 418

〈표 2-5-126〉 전국·연안의 폐기물매립시설 현황 419

〈표 2-5-127〉 연안지역별 폐기물매립시설 420

〈표 2-5-128〉 전국·연안 폐기물소각시설 현황 421

〈표 2-5-129〉 전국 대비 연안 폐기물소각시설 증감율 421

〈표 2-5-130〉 연안지역별 폐기물소각시설 422

〈표 2-5-131〉 주요 항만의 해양부유쓰레기 수거실적 423

〈표 2-5-132〉 주요 항만의 연도별 해양부유쓰레기 수거실적 424

〈표 2-5-133〉 어항정화사업의 연도별 추이 425

〈표 2-5-134〉 연안어장 환경개선사업 추진실적 426

〈표 2-5-135〉 연근해 침적폐기물 추정량 427

〈표 2-5-136〉 주요항 오염퇴적물 수거량(2009~2012년) 428

〈표 2-6-1〉 연안 인구의 규모 및 변화 429

〈표 2-6-2〉 연안지역 인구 총괄 430

〈표 2-6-3〉 연안지역별 인구·세대 분포 431

〈표 2-6-4〉 연안인구 상위 및 하위 10개 시·군·구(2012년) 433

〈표 2-6-5〉 연안 시·군·구별 인구 및 세대수 434

〈표 2-6-6〉 연안지역 인구밀도 436

〈표 2-6-7〉 연안 시·군·구별 면적 및 인구밀도 437

〈표 2-6-8〉 연안지역별 인구 변화 440

〈표 2-6-9〉 연안 시·군·구 인구 변화('07~'12) 441

〈표 2-6-10〉 연안지역 성별 인구 구조 443

〈표 2-6-11〉 지난 5년간 연령별 인구 구조 및 노령화 지수 변화 444

〈표 2-6-12〉 연안지역 연령별 인구 구조 445

〈표 2-6-13〉 2012년 연안 시·군·구 연령별 인구 구조 446

〈표 2-6-14〉 연안지역 노령화 지수 변화(2007~2012년) 448

〈표 2-6-15〉 연안지역 인구이동 현황 449

〈표 2-6-16〉 연안 시도별 상위 전출지 450

〈표 2-6-17〉 연안 시도별 상위 전입지 451

〈표 2-6-18〉 시급 및 군급 지역과 연안지역 간 인구이동 현황 451

〈표 2-6-19〉 광역시와 연안지역 간 인구이동 현황 452

〈표 2-6-20〉 전국·연안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현황 453

〈표 2-6-21〉 연안지역 시·도별·업종별 사업체 현황 454

〈표 2-6-22〉 연안지역 시·도별·업종별 종사자 현황 455

〈표 2-6-23〉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상위 5개 시·군·구(2012년) 455

〈표 2-6-24〉 연안지역 시·도별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연평균 변화율(2007~2012년) 457

〈표 2-6-25〉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연평균 증가율 상위 5개 시·군·구(2012년) 458

〈표 2-6-26〉 산업별 사업체수 연평균 증가율 상위 5개 시·군·구(2012년) 458

〈표 2-6-27〉 산업별 종사자수 연평균 증가율 상위 5개 시·군·구(2012년) 459

〈표 2-6-28〉 연안 해양산업 분류코드 459

〈표 2-6-29〉 연안지역 해양산업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현황 461

〈표 2-6-30〉 연안 시급·군급지역의 해양산업별 사업체수 당 평균 종사자수 현황 462

〈표 2-6-31〉 연안 지역별·업종별 해양산업 사업체수 현황 463

〈표 2-6-32〉 연안 지역별·업종별 해양산업 종사자수 현황 464

〈표 2-6-33〉 연안지역의 해양산업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상위 및 하위 5개 시·군·구(2012년) 466

〈표 2-6-34〉 연안지역의 해양산업별 사업체수 상위 5개 시·군·구(2012년) 466

〈표 2-6-35〉 해양산업별 종사자수 상위 5개 시·군·구(2012년) 467

〈표 2-6-36〉 전국·연안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연평균 변화율(2007~2012년) 468

〈표 2-6-37〉 해양산업의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연평균 변화율 상위 및 하위 5개 시·군·구(2012년) 469

〈표 2-6-38〉 연안지역 시·도별 입지계수(2012년) 471

〈표 2-6-39〉 연안지역 지역내총생산 472

〈표 2-6-40〉 연안지역 재정자립도 474

〈표 2-6-41〉 연안지역 천명당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수 475

〈표 2-6-42〉 연안지역별 해양문화시설 현황 476

〈표 2-6-43〉 연안 지역별 해양문화시설의 주요내용 476

〈표 2-6-44〉 제2차 연안정비계획 내 친수연안사업 추진현황 478

〈표 2-6-45〉 연안여가 휴양시설 조성사업 계획 479

〈표 2-6-46〉 연안 시·군·구별 연안여가 휴양시설 조성사업 계획 479

〈표 2-6-47〉 연안유휴지 활용 국민여가·휴양시설 조성사업 추진 현황 481

〈표 2-6-48〉 해수욕장 현황 482

〈표 2-6-49〉 해수욕장 이용객수 482

〈표 2-6-50〉 해수욕장 현황 483

〈표 2-6-51〉 해안누리길 노선 선정 현황 485

〈표 2-6-52〉 연안 시·군·구별 해안누리길 현황 485

〈표 2-6-53〉 해안누리길별 상세 현황 487

〈표 2-6-54〉 어촌체험마을 현황 489

〈표 2-6-55〉 어촌체험마을 상세 현황 489

〈표 2-6-56〉 유어장 지정 및 이용객 현황 493

〈표 2-6-57〉 유어장 형태별 지정 현황 493

〈표 2-6-58〉 연안 시·군·구별 유어장 지정 현황 494

〈표 2-6-59〉 연안 문화관광축제 현황 495

〈표 2-6-60〉 연안 시·군·구별 문화관광축제 현황 496

〈표 2-6-61〉 연안지역 도시공원 현황 498

〈표 2-6-62〉 어가 및 어가인구 현황 502

〈표 2-6-63〉 2010년 연안 시·군·구별 어가 현황 502

〈표 2-6-64〉 연안지역별 어촌계 및 어촌계원수 505

〈표 2-6-65〉 지역별 어촌계 평균어가소득 506

〈표 2-6-66〉 지역별 어선세력 현황 508

〈표 2-6-67〉 일반해면어업 생산량 및 생산금액 509

〈표 2-6-68〉 천해양식어업 생산량 및 생산금액 510

〈표 2-6-69〉 천해양식어업권 건수 및 면적 511

〈표 2-6-70〉 지역별 면허어업 현황 512

〈표 2-7-1〉 신 연안관리제도 적용 분야 이행조사 514

〈표 2-7-2〉 생태계 건강성 및 연안경관 증진 분야 이행조사 516

〈표 2-7-3〉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 대응역량 강화 이행조사 520

〈표 2-7-4〉 연안 거버넌스 구축 분야 이행조사 523

〈표 2-7-5〉 연안관리 실행력 강화 분야 이행조사 526

〈표 2-7-6〉 연안지킴이 현황 527

〈표 2-7-7〉 연안 관련 조례 제개정 현황 530

〈표 2-7-8〉 공유수면에 대한 연안 관련 조례 제개정 현황 531

〈표 2-7-9〉 해수욕장에 대한 연안 관련 조례 제개정 현황 531

〈표 2-7-10〉 연안관련 교육 프로그램 현황 533

〈표 2-7-11〉 제2차 연안통합관리계획 5개 대분야 이행평가 종합 534

〈표 2-7-12〉 연안통합관리정책의 필요성 539

〈표 2-7-13〉 연안통합관리정책 보완 필요성 540

〈표 2-7-14〉 제2차 계획의 보완 필요사항 541

〈표 2-7-15〉 연안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필요사항 542

〈표 2-7-16〉 연안관리 업무 수행에 필요한 교육·훈련 분야 542

〈표 3-1-1〉 미국 연안상태지표 체계 553

〈표 3-1-2〉 영국 해양 상태평가 지표체계 555

〈표 3-2-1〉 연안지표 선정 기준 560

〈표 3-2-2〉 연안지표체계(안)의 대분류체계 주요 의견 563

〈표 3-2-3〉 연안지표체계(안)의 전문가 의견수렴 결과 564

〈표 3-2-4〉 연안지표체계(안)의 자료 가득성 검토 결과 566

〈표 3-2-5〉 최종 선정된 연안지표체계(안) 568

〈표 3-2-6〉 전국 대비 연안 시·군·구 인구수 비율 569

〈표 3-2-7〉 연안 시·군·구 대비 연안 읍·면·동 인구비율 571

〈표 3-2-8〉 연안 읍·면·동 노령화지수 572

〈표 3-2-9〉 연안 어업인구 비율 574

〈표 3-2-10〉 전국 대비 연안 지역내총생산액과 비율 575

〈표 3-2-11〉 전 사업체 종사자수 대비 연안 시·군·구 내 해양산업 종사자수 비율 577

〈표 3-2-12〉 연안 친수공간 개소 579

〈표 3-2-13〉 해양문화·레저시설 개소 582

〈표 3-2-14〉 1인당 재해피해 금액 583

〈표 3-2-15〉 연안보전사업 지구수 및 투자 금액 585

〈표 3-2-16〉 연안침식모니터링 중 침식우심지역(C·D 등급) 비율 587

〈표 3-2-17〉 연안육역 대비 공장용지·대·잡종지 면적 비율 589

〈표 3-2-18〉 연안육역 대비 도로·제방 면적 비율 590

〈표 3-2-19〉 도시지역과 관리지역의 용어 정의 591

〈표 3-2-20〉 연안육역 대비 주거·상업·공업지역과 계획관리지역 면적 비율 592

〈표 3-2-21〉 연안육역 대비 공유수면 매립준공 토지면적 및 누적면적(2004~2013년) 594

〈표 3-2-22〉 연안 발전설비용량 596

〈표 3-2-23〉 공유수면 점용·사용 허가건수와 면적 597

〈표 3-2-24〉 공유수면 매립계획 면적 599

〈표 3-2-25〉 육지부 자연해안선 비율 600

〈표 3-2-26〉 연안습지 면적 602

〈표 3-2-27〉 단위정점 당 해양 출현종과 갯벌 저서출현종수 604

〈표 3-2-28〉 해역 지정 보호지역 면적 607

〈표 3-2-29〉 WQI I·II 등급의 정점비율 608

〈표 3-2-30〉 연안 공공처리구역 인구보급율 610

〈표 3-2-31〉 분석대상 연안지표 614

〈표 3-2-32〉 지표 연평균 변화율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616

〈표 3-2-33〉 지표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617

vol.2 627

〈표 1-1-1〉 인천연안 해안선 및 도서 현황 641

〈표 1-1-2〉 서해안 해양환경 및 해양관광 여건 642

〈표 1-1-3〉 인천 갯벌분포 643

〈표 1-1-4〉 인천연안의 보호구역 등 지정 현황 645

〈표 1-1-5〉 인천시 해수욕장 현황 646

〈표 1-1-6〉 인천연안 어항 현황 647

〈표 1-1-7〉 인천시 어선보유 현황 648

〈표 1-1-8〉 인천시 면허·신고어업 및 기타 허가어업 648

〈표 1-1-9〉 연안여객선 연도별 수송실적(2003-2012년) 649

〈표 1-1-10〉 인천지역 항로별 연안여객 수(2012년) 650

〈표 1-1-11〉 인천연안 해양보호구역 지정현황 659

〈표 1-1-12〉 전국 주요항만 준설토 투기장 현황 661

〈표 1-1-13〉 준설토 단계별 처리계획 662

〈표 1-1-14〉 서해중부권 광역투기장 시설계획 662

〈표 1-1-15〉 용유무의관광단지 개발계획 주요 변경 내용 664

〈표 1-1-16〉 용유무의관광단지 개발계획 단위개발사업지구 주요 변경 내용 665

〈표 1-1-17〉 용유무의관광단지 개발계획 단위개발사업지구별 주요 사업비 내용 666

〈표 1-1-18〉 용유무의관광단지 개발계획 토지이용계획표(변경) 666

〈표 1-1-19〉 작약도 및 굴업도 관광단지 사업 개요 670

〈표 1-1-20〉 서해5도 지역특화 관광개발 및 국제평화거점 육성 사업 계획 671

〈표 1-1-21〉 서해 5도 평화·생명지대(PLZ) 관광개발계획 주요 사업 내용 672

〈표 1-1-22〉 연안지역 생태관광 등 도서 특화 사업추진 동향 672

〈표 1-1-23〉 인천시 어촌관광개발 사업 추진 현황 673

〈표 1-1-24〉 인천시 주변 주요 마리나 계획 673

〈표 1-1-25〉 왕산 마리나항만 여건 674

〈표 1-1-26〉 왕산 마리나항만 시설계획 675

〈표 1-1-27〉 왕산 마리나항만 추정 사업비 675

〈표 1-1-28〉 덕적도 거점형 마리나항만 사업 토지이용계획 677

〈표 1-2-1〉 경기도 연안지역 인구 및 어가인구 변화 681

〈표 1-2-2〉 경기도 연안지역 어가의 60세 이상 노인인구 변화 682

〈표 1-2-3〉 경기도 연안지역 주요 사업계획 현황 687

〈표 1-2-4〉 경기 해안선 및 연안 현황 689

〈표 1-2-5〉 경기도 어촌마을 및 연안지역 관련 주요 정비사업 693

〈표 1-3-1〉 충남연안 시·군의 해안선 현황 696

〈표 1-3-2〉 충청남도 방조제 건설현황 697

〈표 1-3-3〉 물 순환여부에 따른 권역별 하구 유형 구분 697

〈표 1-3-4〉 충청남도의 주요 하구현황(2014년 3월 현재) 698

〈표 1-3-5〉 하구의 유형기준 및 특징 699

〈표 1-3-6〉 충남연안 지역별 갯벌면적 현황 701

〈표 1-3-7〉 가로림만 조력발전 개발계획 703

〈표 1-3-8〉 충남연안 화력발전소 현황 705

〈표 1-3-9〉 충남연안 산업단지 현황 706

〈표 1-3-10〉 충남 화력발전소 온배수 배출량(2010년 기준) 706

〈표 1-3-11〉 충남 주요 인공담수호의 수질상태와 관리현황 708

〈표 1-3-12〉 충남연안의 방조제 연장 현황 708

〈표 1-3-13〉 충남연안 폐염전 현황 710

〈표 1-3-14〉 연안 및 하구생태복원을 위한 단계별 목표 및 주요 추진사항 710

〈표 1-3-15〉 하구관련 법률 정비방안 비교 717

〈표 1-3-16〉 법률별 각종 지구·지역의 지정 719

〈표 1-4-1〉 곰소만 부근의 환경 측정망 733

〈표 1-4-2〉 곰소만 연안해역의 항목별 점수 부여 기준 734

〈표 1-4-3〉 곰소만 갯벌의 단위면적당 COD, TN, SS 일처리 용량 737

〈표 1-4-4〉 곰소만 조간대 해수 내 영양염비의 패턴 737

〈표 1-5-1〉 시도별 도서현황 741

〈표 1-5-2〉 전국 도서 현황 742

〈표 1-5-3〉 시·도별 도서 분포 현황 742

〈표 1-5-4〉 시·도별 섬 여객 승선분포 현황 743

〈표 1-5-5〉 시·도별 섬 방문객 분포 현황 744

〈표 1-5-6〉 갤럭시 아일랜드 기본계획 745

〈표 1-5-7〉 테마섬별 특징 746

〈표 1-5-8〉 전남 가고 싶은 섬 가꾸기 주요전략 및 내용 748

〈표 1-5-9〉 관매도 분야별 사업현황 751

〈표 1-5-10〉 영산도 분야별 사업현황 752

〈표 1-6-1〉 경남연안 시군별 해안선 및 도서현황 754

〈표 1-6-2〉 경남 도서소재 역사·문화재 자원 분포 현황 755

〈표 1-6-3〉 경남 해수욕장 현황 755

〈표 1-6-4〉 경남연안의 생태·경관자원 현황 756

〈표 1-6-5〉 경남연안의 지역문화재 현황 757

〈표 1-6-6〉 경남의 공룡화석지 분포 현황 757

〈표 1-6-7〉 경남연안의 어항 및 항·포구 현황 758

〈표 1-7-1〉 부산연안 해안선 길이 및 도서 현황 762

〈표 1-7-2〉 부산연안의 어업현황 763

〈표 1-7-3〉 부산 친수연안·휴양시설조성사업 대상지 764

〈표 1-7-4〉 부산의 태풍피해 현황 765

〈표 1-7-5〉 부산광역시 도시경관자산 중 해안경관자원 768

〈표 1-7-6〉 일반경관계획 수립의 근거(경관구조와 경관자산) 769

〈표 1-7-7〉 전략경관계획_해안경관 771

〈표 1-7-8〉 기장-송정간 일원 경관구조 772

〈표 1-7-9〉 해안경관의 경관목표 및 실천전략 773

〈표 1-7-10〉 기장-송정간 일원 경관계획 773

〈표 1-7-11〉 해안경관별 대상지역 및 세부유형 분류 776

〈표 1-8-1〉 침식영향인자에 따른 침식지역 및 침식유형분류 788

〈표 1-8-2〉 연안침식 모니터링 위치 789

〈표 2-1-1〉 중국 해역사용관리법 체계 823

〈표 2-1-2〉 중국의 해역사용관리체계 823

〈표 2-1-3〉 중국의 해역사용료 기준 827

〈표 2-1-4〉 전국해양기능구획의 6대 목표 828

〈표 2-1-5〉 해양기능구의 유형과 관리방안 829

〈표 2-1-6〉 11개 성·시 해양기능구획의 주요목표 830

〈표 2-2-1〉 일본 해안법 체계 832

〈표 2-2-2〉 일본 해안보전기본방침과 해안보전기본계획의 목적 및 주요내용 833

〈표 2-2-3〉 공공해안 및 해안보전구역의 지정 개요 835

〈표 2-2-4〉 일본 해안보전구역과 일반공공해안구역의 규제사항 836

〈표 2-2-5〉 일본 해안보전사업의 유형 837

〈표 2-2-6〉 일본 해안보전시설의 관리수단 837

〈표 2-2-7〉 일본 해안보전시설의 이력조사와 점검개요 838

〈표 2-2-8〉 일본 해안보전시설의 등급 개요 839

〈표 2-2-9〉 항만경관형성의 대상범위와 검토내용 842

〈표 2-2-10〉 해안경관설계의 기본원칙과 내용 847

〈표 2-3-1〉 침식원인 파악을 위한 자료수집 및 현장답사 목록 855

〈표 2-3-2〉 침식유형과 잠재원인 858

〈표 2-3-3〉 누적 위해성 모델 859

〈표 2-3-4〉 연안 프로세스 평가 조사항목 860

〈표 2-3-5〉 해수면 상승 등에 따른 해안지형 변화와 잠재적 영향 862

〈표 2-3-6〉 해수면 상승과 기후변화에 따른 연안변화의 잠재영향 예측 863

〈표 2-3-7〉 침식관리 기술과 연안 프로세스 영향 863

〈표 2-3-8〉 침식관리 설계기술의 주요내용 864

〈표 2-3-9〉 침식 원인, 영향의 근원, 침식 완화를 위한 적절한 설계 기술 864

〈표 2-3-10〉 최적 해안선 설계기술 선택을 위한 배후해안의 폭과 파력 범위 865

〈표 2-3-11〉 해안선 설계기술기법에 따른 영향과 지속 기간 866

〈표 2-3-12〉 해안선 설계기술기법의 조성비용과 편익 866

〈표 2-3-13〉 각 설계 기술과 관련된 추가적인 잠재적 완화 867

〈표 2-4-1〉 녹색해안 필수조건과 점수체계 874

〈표 2-5-1〉 영국의 지역계획 시스템 884

〈표 2-5-2〉 Scoping 단계에서 검토된 자료 892

〈표 2-5-3〉 Scoping 경과 요약 895

〈표 2-5-4〉 연안 경관영향평가 초기단계에서 검토된 자료 897

〈표 2-5-5〉 경관의 변화규모에 대한 정의 898

〈표 2-5-6〉 누적영향평가를 위해 검토된 주변 지역의 풍력발전소 899

〈표 2-5-7〉 경관변화에 대한 민감도 분석 결과 901

〈표 2-5-8〉 조망점과 그 특징 901

〈표 2-5-9〉 각 조망점의 경관 민감도 903

〈표 2-5-10〉 순차적 경관영향평가 903

〈표 2-5-11〉 사업 기간별 경관영향 904

〈표 2-5-12〉 지역별 누적경관영향 905

〈표 2-5-13〉 지역별 누적 시각경관 영향 905

vol.1 20

[그림 1-1-1] 연안기본조사의 개요 34

[그림 1-1-2] 연안기본조사의 기본방향 36

[그림 1-2-1] 연안관리법 상의 연안의 범위 37

[그림 1-2-2] 연안지형 및 환경·생태조사의 공간단위 39

[그림 1-2-3] 찾아가는 연안지역 간담회 사진 44

[그림 2-1-1] 연안의 다양한 기능들 49

[그림 2-1-2] 연안관리법에 따른 '연안'의 범위 50

[그림 2-1-3] 지구 생태계의 가치 50

[그림 2-1-4] 해안선의 정의 51

[그림 2-1-5] 우리나라 해안선 분포 52

[그림 2-1-6] 연안지역별 해안선 길이 분포 54

[그림 2-1-7] 연안 시·군·구별 인공·자연해안선 길이 분포 57

[그림 2-1-8] 무인도서의 관리유형 지정현황 59

[그림 2-1-9] 연안지역별 무인도서 보전·이용·개발 관리유형 지정비율 분포 60

[그림 2-1-10] 관리유형별 무인도서 모습 61

[그림 2-1-11] 연안지역별 바닷가 분포 현황 64

[그림 2-1-12] 연안지역별 자연바닷가 분포 현황 64

[그림 2-1-13] 연안지역별 이용바닷가 분포 현황 65

[그림 2-1-14] 전국 바닷가 분포 66

[그림 2-1-15] 연안습지 분포도 72

[그림 2-1-16] 인천 연안습지의 분포현황 73

[그림 2-1-17] 경기 연안습지의 분포현황 73

[그림 2-1-18] 충남 연안습지의 분포현황 74

[그림 2-1-19] 전북 연안습지의 분포현황 74

[그림 2-1-20] 전남 연안습지의 분포현황 75

[그림 2-1-21] 경남·부산 연안습지의 분포현황 75

[그림 2-1-22] 항공레이저측량자료 80

[그림 2-1-23] 연안육역의 경사도 추출 단계 81

[그림 2-1-24] 태안군 항공레이저측량자료(좌)로부터 계산한 경사도(우) 82

[그림 2-1-25] 연안지역별 경사도 0°-5° 면적 비율 분포 83

[그림 2-1-26] 연안지역별 경사도 20°이상 면적 비율 분포 83

[그림 2-1-27] 주요 연안지역별 경사도 85

[그림 2-1-28] 해안 재질분류 예시 88

[그림 2-1-29] 서해연안 재질분류 분포비율 89

[그림 2-1-30] 인천지역별 해안재질 분포도 91

[그림 2-1-31] 경기지역별 해안재질 분포도 92

[그림 2-1-32] 충남지역별 해안재질 분포도 94

[그림 2-1-33] 전북지역별 해안재질 분포도 96

[그림 2-1-34] 전남지역별 해안재질 분포도 98

[그림 2-2-1] 2001-2013년 연안지역별 공유수면 점용·사용 누적 허가건수·면적 100

[그림 2-2-2] 공유수면 점용·사용 유형별 허가건수 및 면적 현황 103

[그림 2-2-3] 공유수면 매립 준공 현황 105

[그림 2-2-10] 공유수면 매립목적별 준공 비율 109

[그림 2-2-11] 간척지 위치도 112

[그림 2-2-12] 전국 항만 위치도 115

[그림 2-2-13] 전국 마리나항만 분포도 117

[그림 2-2-14] 전국 국가어항 위치도 123

[그림 2-2-15] 연안해역 설정 규사·규석 광업권 설정 현황 125

[그림 2-2-16] 연안해역 광업권 위치도 125

[그림 2-2-17] 연도별 바다모래 채취량 추이 128

[그림 2-2-18] 골재채취예정지 및 골재채취단지 위치도 130

[그림 2-2-19] 해양 심층수 취수해역 위치도 131

[그림 2-2-20] 2007년 연안 지목면적비율 분포 현황 132

[그림 2-2-21] 2007년 연안 시·군·구의 임야 면적 분포비율 현황 133

[그림 2-2-22] 2007년 연안 시·군·구의 전·답 면적 분포비율 현황 133

[그림 2-2-23] 2007년 연안 시·군·구의 대지·공장용지·도로 면적 분포비율 현황 133

[그림 2-2-24] 2012년 연안 지목면적비율 분포 현황 136

[그림 2-2-25] 2012년 연안 시·군·구의 임야 면적 분포비율 현황 136

[그림 2-2-26] 2012년 연안 시·군·구의 답·전 면적 분포비율 현황 137

[그림 2-2-27] 2007년 연안 시·군·구의 대지·공장용지·도로 면적 분포비율 현황 137

[그림 2-2-28] 2007년 연안 시·군·구 용도지역 지정 현황 144

[그림 2-2-29] 2007년도 연안지역별 용도지역 지정현황 145

[그림 2-2-31] 2012년 연안 시·군·구와 연안육역 용도지역 지정현황 147

[그림 2-2-32] 2012년 연안지역 용도지역 현황 152

[그림 2-2-33] 2007년 전국·연안의 용도지역별 평균 개별공시지가 현황 153

[그림 2-2-34] 2007년 연안지역별 주거·상업·공업지역의 평균 개별공시지가 현황 154

[그림 2-2-35] 2012년 전국·연안의 용도지역별 평균 개별공시지가 현황 154

[그림 2-2-36] 2012년 연안지역별 주거·상업·공업지역 평균 개별공시지가 분포현황 155

[그림 2-2-37] 2007년 대비 2012년 평균개별공시지가 증감율 현황 156

[그림 2-2-38] 2007년 전국·연안의 지목별 평균 개별공시지가 현황 156

[그림 2-2-39] 2012년 지목별 평균 개별공시지가 158

[그림 2-2-40] 2007년 대비 2012년 지목별 평균 개별공시지가 증감률 159

[그림 2-2-41] 2012년 전국·연안 산지지정 현황 160

[그림 2-2-42] 2012년 연안 시·군·구 산지지정 분포도 164

[그림 2-2-43] 전국·연안 생태·자연도 등급분포 현황 166

[그림 2-2-44] 2012년 연안 생태·자연도 분포현황 167

[그림 2-2-45] 연안지역별 발전설비용량 분포비율 169

[그림 2-2-46] 연안지역 주요 발전시설 분포도 171

[그림 2-2-47] 2012년 연안지역의 산업단지 지정현황 172

[그림 2-2-48] 연안지역의 주요 산업단지 분포현황 174

[그림 2-2-49] 공유수면 매립계획 지구분포도 181

[그림 2-2-50] 연안·해양 이용·개발계획 현황(건수) 182

[그림 2-2-51] 연안·해양 이용·개발계획 현황(면적) 182

[그림 2-2-52] 연안·해양 이용·개발계획 현황(투자액) 183

[그림 2-2-53] 연안지역별 연안·해양 이용·개발계획 184

[그림 2-3-1] 최근 10년간(2003-2012)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주요 태풍 진로도 192

[그림 2-3-2] 태풍의 월별 진로 193

[그림 2-3-3] 국내지진 진앙분포도 199

[그림 2-3-4] 주요 해역 지진 발생현황 200

[그림 2-3-5] 지진해일 발생현황 201

[그림 2-3-6] 전지구 평균 해수면 상승 높이 변화 202

[그림 2-3-7] 지구 해양 표면 pH 변화 202

[그림 2-3-8] 자연재해 피해규모 현황 205

[그림 2-3-9] 태풍 피해 규모 현황 217

[그림 2-3-10] 연도별 침식우심율 변화 218

[그림 2-3-11] 연안지역별 침식등급 및 침식우심지역 비율(2014년) 219

[그림 2-3-12] 침식모니터링 실시지역 및 등급 현황(2014년) 222

[그림 2-3-13] 연안침식 피해지역(예시) 224

[그림 2-3-14] 제2차 연안정비사업 해역별 공법 현황 230

[그림 2-3-15] 목포시 재해위험지구(방재지구) 위치도 239

[그림 2-4-1] 해양생태계 기본조사 권역별 정점도 240

[그림 2-4-2] 서해중부해역의 권역구분 243

[그림 2-4-3] 서해남부해역의 권역구분 243

[그림 2-4-4] 남해서부해역의 권역구분 244

[그림 2-4-5] 남해동부해역의 권역구분 244

[그림 2-4-6] 해양생태계 분류군별 출현종수 245

[그림 2-4-7]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조성비 245

[그림 2-4-8] 동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조성비 246

[그림 2-4-9] 대형저서동물 분류군별 조성비 246

[그림 2-4-10] 유영동물 분류군별 조성비 247

[그림 2-4-11] 홍다리얼룩새우 252

[그림 2-4-12] 톱날꽃게 252

[그림 2-4-14] 남해동부해역에서 어획된 갯가재류 253

[그림 2-4-15] 죽천리 수거머리말 분포도 254

[그림 2-4-16] 기사문리 왕거머리말 군락지 255

[그림 2-4-17] 연안습지 기초조사 연차별 조사구역도(2차년도) 257

[그림 2-4-18] 연안권역별 표층퇴적물 조성 260

[그림 2-4-19] 연안습지 서식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종조성비 262

[그림 2-4-20] 지역별 연안습지 대형저서동물의 총 출현종수 262

[그림 2-4-21] 조사물량의 증가에 따른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의 변화 263

[그림 2-4-22] 연안습지 서식밀도 분포 266

[그림 2-4-23] 연안습지 생체량 분포 267

[그림 2-4-24] 연안습지 퇴적물 오염기준 초과 정점비율 268

[그림 2-4-25] 지역별 보름달물해파리 총 출현 횟수(2010년~2013년 출현빈도 결과) 280

[그림 2-4-26] 보름달물해파리 월별 출현 횟수 280

[그림 2-4-27] 지역별 노무라입깃해파리 총 출현 횟수(2010년~2013년 출현빈도 결과) 282

[그림 2-4-28] 노무라입깃해파리 월별 출현 횟수 282

[그림 2-4-29] 지역별 작은부레관해파리 총 출현 횟수(2010년~2013년 출현빈도 결과) 284

[그림 2-4-30] 작은부레관해파리 월별 출현 횟수 284

[그림 2-4-31] 우리나라 주요 해안사구 분포 305

[그림 2-4-32] 동해안 해안사구 전경(I) 308

[그림 2-4-33] 경북 고래불사구의 과거와 현재 지형모습 309

[그림 2-4-34] 동해안 해안사구 전경(II) 309

[그림 2-4-35] 신두리 사구 항공사진(2006년) 및 초분광영상사진(2012년) 310

[그림 2-4-36] 신두리 사구 남쪽구역의 지형변화 311

[그림 2-4-37] 꽂지사구의 과거와 현재 지형모습 312

[그림 2-4-38] 서해안 해안사구 전경(I) 313

[그림 2-4-39] 서해안 해안사구 전경(II) 315

[그림 2-4-40] 남해안 해안사구 전경 317

[그림 2-4-41] 2012년도 겨울철조류동시센서스 조사지역 319

[그림 2-4-42] 연도별 주요 수면성 오리류의 개체수 변화 320

[그림 2-4-43] 연도별 청둥오리의 서식지별 월동 개체수 변화(1999~2012) 322

[그림 2-4-44] 주요 연안·해양보호구역 분포 현황 334

[그림 2-5-1] 해양환경측정망 해역도 340

[그림 2-5-2] 2002~2012년 연평균 해역 평균수온 분포 341

[그림 2-5-3] 연도별 표층·저층 수온 분포 341

[그림 2-5-4] 연안해역별 표층수의 평균 수온 분포 342

[그림 2-5-5] 2002~2012년 연평균 염분 분포 347

[그림 2-5-6] 계절별 표층수의 평균 투명도 분포 352

[그림 2-5-7] 2007년, 2012년 표층수의 용존산소 분포(2, 5, 8, 11월 평균) 356

[그림 2-5-8] 표층수 용존무기질소 계절별 분포 361

[그림 2-5-9] 표층수의 용존무기인 계절별 분포 361

[그림 2-5-10] 표층수의 클로로필의 계절별 분포 370

[그림 2-5-11] 전국 연안 수질 WQI 등급의 변화 376

[그림 2-5-12] 2007년, 2012년 연안별 WQI I·II등급비율 377

[그림 2-5-13] 2007년, 2012년 연안별 WQI III 등급비율 377

[그림 2-5-14] 2007년, 2012년 연안별 WQI IV·V 등급비율 377

[그림 2-5-15] 연안해역별 해수수질등급 분포 380

[그림 2-5-16] 부산연안해역의 연평균 수질평가지수 381

[그림 2-5-17] 2012년 인천·경기연안해역의 해수수질등급기준 항목별 점수분포 382

[그림 2-5-18] 강원연안해역의 연평균 수질평가지수 비교 383

[그림 2-5-19] 충남연안해역의 연평균 수질평가지수 비교 383

[그림 2-5-20] 2012년 군산시 연안해역의 해수수질등급기준 항목별 점수분포 384

[그림 2-5-21] 전남연안해역의 연평균 수질평가지수 비교 385

[그림 2-5-22] 경북연안해역의 연평균 수질평가지수 비교 386

[그림 2-5-23] 2012년 경북연안 항만구역의 해수수질등급기준 항목별 점수분포 386

[그림 2-5-24] 경남연안해역의 2007년과 2012년 연평균 수질평가지수 비교 387

[그림] 창원연안 해수수질지수 항목표 점수분포 387

[그림 2-5-26] 제주연안해역의 연평균 수질평가지수 비교 388

[그림 2-5-27] 하수처리구역 내·외 하수발생량 비율 389

[그림 2-5-28] 전국·연안의 폐수발생량·방류량의 증감율 392

[그림 2-5-29] 2012년 연안지역별 폐수발생량·방류량 분포 비율 393

[그림 2-5-30] 2012년도 연안지역별 유기물질부하량 394

[그림 2-5-31] 전국·연안 축산폐수발생량 비율 397

[그림 2-5-32] 연안지역별 축산폐수발생량 비율(2013년) 398

[그림 2-5-33] 유류유출사고 건수 추이 401

[그림 2-5-34]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 확산 범위 405

[그림 2-5-35] 포항 용한리 해안가에 좌주된 화물선 글로벌레거시호 406

[그림 2-5-36] 여수 GS칼텍스 원유부두 충돌사고 해양오염분포도 407

[그림 2-5-37] 폐기물 해양배출량 연도별 누적 추이 407

[그림 2-5-38] 전국 및 연안 공공하수처리시설 인구보급율 410

[그림 2-5-39] 2013년도 연안지역별 하수관거 보급률 현황 417

[그림 2-5-40] 해양부유쓰레기 사진 423

[그림 2-5-41] 주요 항만별 해양부유쓰레기 수거량 분포 비율 424

[그림 2-5-42] 연도별 어항폐기물 수거량 추이 425

[그림 2-5-43] 해양부유쓰레기 사진 426

[그림 2-5-44] 연근해 침적폐기물 관리구역 427

[그림 2-6-1] 2007년, 2012년 연안 시군구 및 읍면동 인구 분포도 432

[그림 2-6-2] 2012년 연안 시·군·구 인구밀도 437

[그림 2-6-3] 지난 5년간('07~'12)연안 시군구 및 읍면동 연평균 인구 증감률 439

[그림 2-6-4] 연안 시군구 및 읍면동 인구 변화율('07~'12) 441

[그림 2-6-5] 2007년, 2012년 연안 시군구 사업체 종사자 현황 456

[그림 2-6-6] 연안지역 해양산업별 사업체수 현황 461

[그림 2-6-7] 연안지역 해양산업별 종사자수 현황 461

[그림 2-6-8] 어촌의 어업인구 및 어업가구 현황 499

[그림 2-6-9] 어가인구 변화 추이 500

[그림 2-6-10] 어가인구 변화율 분포도 500

[그림 2-6-11] 시·도별 어업가구 및 어업인구 501

[그림 2-6-12] 전국 어촌계 및 어촌계원수 504

[그림 2-6-13] 어촌의 업종별 입지적 특성 504

[그림 2-6-14] 어촌의 입지유형별 분포 특성 506

[그림 2-6-15] 어촌계별 평균어가소득 분포 현황 507

[그림 2-7-1] 응답자의 근무지역 535

[그림 2-7-2] 응답자의 직렬 536

[그림 2-7-3] 응답자의 직급 536

[그림 2-7-4] 응답자의 근무기간 536

[그림 2-7-5] 응답자의 주요업무 536

[그림 2-7-6] 연안관리법의 이해도 537

[그림 2-7-7] 연안용도해역제의 이해도 537

[그림 2-7-8] 자연해안관리목표제의 이해도 537

[그림 2-7-9] 연안침식관리구역제의 이해도 537

[그림 2-7-10] 연안해역정성평가의 이해도 537

[그림 2-7-11] 연안정비사업의 이해도 537

[그림 2-7-12] 기관의 연안통합관리정책 수행역량 538

[그림 2-7-13] 개인의 연안통합관리정책 수행역량 538

[그림 2-7-14] 국가 연안관리에 대한 활용도 538

[그림 2-7-15] 지역 연안관리에 대한 활용도 538

[그림 2-7-16] 연안통합관리정책 전반 평가 539

[그림 2-7-17] 제2차 계획에 대한 이해도 540

[그림 2-7-18] 제2차 계획에 대한 활용도 540

[그림 2-7-19] 연안관리 교육·훈련 시간 541

[그림 2-7-20] 연안관리 교육·훈련 효과 541

[그림 2-7-21] 2009년 응답자의 근무기간 543

[그림 2-7-22] 2014년 응답자의 근무기간 543

[그림 2-7-23] 2009년 응답자의 주요업무 544

[그림 2-7-24] 2014년 응답자의 주요업무 544

[그림 2-7-25] 2009년 기관의 연안관리 수행역량 544

[그림 2-7-26] 2014년 기관의 연안관리 수행역량 544

[그림 2-7-27] 2009년 개인의 연안관리 수행역량 544

[그림 2-7-28] 2014년 개인의 연안관리 수행역량 544

[그림 2-7-29] 2009년 연안관리정책의 국가·지역 연안관리 활용도 545

[그림 2-7-30] 2014년 국가 연안관리 활용도 545

[그림 2-7-31] 2014년 지역 연안관리 활용도 545

[그림 2-7-32] 2009년 연안통합관리정책의 필요성 546

[그림 2-7-33] 2014년 연안통합관리정책의 필요성 546

[그림 2-7-34] 2009년 연안통합관리정책 평가 546

[그림 2-7-35] 2014년 연안통합관리정책 평가 546

[그림 2-7-36] 2009년 연안관리 교육·훈련 효과 547

[그림 2-7-37] 2014년 연안관리 교육·훈련 효과 547

[그림 2-7-38] 2009년 역량강화 필요 1순위 547

[그림 2-7-39] 2014년 역량강화 필요사항 547

[그림 3-1-1] 연안지표체계의 작성방향 552

[그림 3-1-2] 미국 해양대기청 연안상태지표 제공 사례 553

[그림 3-1-3] 연안상태지표체계 기본체계 554

[그림 3-1-4] 영국 해양 상태평가 지표 사례 555

[그림 3-1-5] 연안상태도 제공 현황 557

[그림 3-1-6] 제2차 연안기본조사 지표작성의 시사점 557

[그림 3-2-1] 연안지표 작성 체계 559

[그림 3-2-2] 연안지표의 체계 559

[그림 3-2-3] 연안지표체계(안) 작성단계 561

[그림 3-2-4] 연안지표체계(안)의 적절성 검토 과정 562

[그림 3-2-5] 연안지표체계(안)의 중분류체계 적절성 검토의견 및 개선방안 563

[그림 3-2-6] 연안 시·군·구 인구분포도(2007년과 2012년) 570

[그림 3-2-7] 연안 읍·면·동 인구분포도(2007년과 2012년) 571

[그림 3-2-8] 연안 읍·면·동 노령화 현황 573

[그림 3-2-9] 연안 어가원수 분포도(2005년과 2010년) 574

[그림 3-2-10] 연안 지역내총생산(2007년과 2011년) 576

[그림 3-2-11] 연안 시·군·구 내 해양산업 사업체 종사자분포도(2007년과 2012년) 578

[그림 3-2-12] 어촌체험마을과 해수욕장 분포도 580

[그림 3-2-13] 해양문화·레저시설 분포도 582

[그림 3-2-14] 재해피해액 분포도(2008-2012년) 584

[그림 3-2-15] 태풍피해액 분포도(2008-2012년) 584

[그림 3-2-16] 연안지역별 제2차 연안정비계획 중 연안보전사업계획 대비 실적비율 586

[그림 3-2-17] 연도별 침식등급 현황 587

[그림 3-2-18] 연안지역별 연안육역 면적 대비 공장용지·대·잡종지 면적 비율 589

[그림 3-2-19] 연안지역별 연안육역 면적 대비 도로·제방 면적 비율 591

[그림 3-2-20] 연안지역별 연안육역 면적 대비 주거·상업·공업지역과 계획관리지역 면적 비율 592

[그림 3-2-21] 인천도면(1910년대 제작) 594

[그림 3-2-22] 인천 모습(2014년) 594

[그림 3-2-23] 연도별 준공 매립토지 면적 및 누적면적 594

[그림 3-2-24] 연안지역별 연안육역 대비 매립준공 토지 면적 비율 595

[그림 3-2-25] 연안지역별 발전시설용량 분포(2008년과 2013년) 596

[그림 3-2-26] 공유수면 점용·사용 누적허가면적 및 건수(2001-2013년) 598

[그림 3-2-27] '01-'13년간 지역별 공유수면 점용·사용 누적건수 및 면적 분포 598

[그림 3-2-28] 우리나라 해안선 분포도 601

[그림 3-2-29] 연안습지 분포도(2013년) 603

[그림 3-2-30] 연안지역별 해양생물 출현종 분포 605

[그림 3-2-31] 연안습지의 서식밀도 분포도 605

[그림 3-2-32] 해역 지정 해양보호구역과 습지보호구역 면적 추이 607

[그림 3-2-33] 해수수질 평가지수 등급 분포 추이 609

[그림 3-2-34] 해수수수질 평가지수 등급분포도(2013년) 609

[그림 3-2-35] 연안지역별 공공처리구역인구보급율 분포(2007년과 2012년) 611

[그림 3-2-36] 두 변수가 비선형관계를 갖는 경우 613

vol.2 632

[그림 1-1-1] 어업안전조업 및 사고다발해역도, 해양자원보호구역도 644

[그림 1-1-2] 인천연안의 특정구역 지정현황 644

[그림 1-1-3] 강화군 남단 어업권 현황 649

[그림 1-1-4] 육상오염물질의 한강유입에 따른 인천연안 수질영향 예측 결과(COD) 651

[그림 1-1-5]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 652

[그림 1-1-6] 강화조력발전 지역개황도 653

[그림 1-1-7] 송도갯벌 습지보호지역 위치도와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 대상지역 656

[그림 1-1-8] 국가 해양환경측정망 인천연안 조사정점 657

[그림 1-1-9] 인천연안 해양오염 조사지점 657

[그림 1-1-10] 인천항 및 북항 위치도 658

[그림 1-1-11] 옹진장봉도갯벌 및 대이작도주변해역 해양보호구역 위치 660

[그림 1-1-12] 인천항 준설토 투기장 현황 661

[그림 1-1-13] 영종도 준설토 투기장 개발 조감도 663

[그림 1-1-14] 용유무의관광단지 개발계획 토지이용계획도 667

[그림 1-1-15] 용유무의 관광단지 단위개발사업지구 위치도 667

[그림 1-1-16] 작약도 전경 668

[그림 1-1-17] 굴업도 사업개요 및 추진계획 669

[그림 1-1-18] 굴업도 위치 및 전경 670

[그림 1-1-19] 왕산 마리나항만 위치도 674

[그림 1-1-20] 왕산 마리나항만 예정구역도 675

[그림 1-1-21] 덕적도 거점형 마리나항만 사업개요 및 위치도 676

[그림 1-1-22] 덕적도 거점형 마리나항만 사업 토지이용계획 677

[그림 1-1-23] 인천항 마리나 조감도 678

[그림 1-1-24] 인천연안지역 모니터링 대상지 및 결과 679

[그림 1-1-25] 국가지질공원 인증 추진과정 679

[그림 1-1-26] 인천시 광역도로망 및 철도망 680

[그림 1-2-1] 경기도 연안지역 주요 개발사업계획 현황 684

[그림 1-2-2] 연안의 방치된 건물과 쓰레기 687

[그림 1-2-3] 연안지역 상·하수도 보급 현황 687

[그림 1-2-4] 전곡항 주변의 어항과 경기 바다콜센터 운항경로 688

[그림 1-2-5] 어항주변의 소규모 상업건축물 689

[그림 1-2-6] 월곶항의 상업시설과 해안의 어구 689

[그림 1-2-7] 경기도 어항지역과 주변 진입지역의 마을 모습 690

[그림 1-2-8] 기존 연안관리구역과 육지부의 용도지역 사례 690

[그림 1-2-9] 전곡항과 주변 진입지역의 마을 모습 694

[그림 1-2-10] 경기도 연안관리 행정체계 695

[그림 1-3-1] 하구 분류기준 및 유형별 특징 699

[그림 1-3-2] 닫힌하구의 유형분류 700

[그림 1-3-3] 충남 갯벌 분포도 702

[그림 1-3-4] 충청남도 갯벌의 주요전경 702

[그림 1-3-5] 가로림만 조력발전사업의 위치도 703

[그림 1-3-6] 인공하구 복원대상 선정절차 716

[그림 1-4-1] 곰소만 724

[그림 1-4-2] 곰소만의 기후 725

[그림 1-4-3] 곰소만의 조위면도 726

[그림 1-4-4] 곰소만 갯벌의 대표단면 (a) SW 단면 (b) HJ 단면 727

[그림 1-4-5] 곰소만 갯벌의 층서 구조 729

[그림 1-4-6] 퇴적율과 퇴적구조 730

[그림 1-4-7] 갯벌 DEM (상) 1990년대 초반 (하) 2000년대 초반 731

[그림 1-4-8] 곰소만 연안해역의 계절별 수질등급 분포 735

[그림 1-4-9] 곰소만 연안 해역 수질항목의 계절별 비교 735

[그림 1-4-10] 곰소만 연안해역의 표준 Si:N:P(=16:16:1) 대비 항목별 % 736

[그림 1-4-11] 연안해역 모니터링(GO1)의 평균값과 어장환경모니터링 정점값(GS1, GS2, GS3, GS4) 비교 736

[그림 1-5-1] 전라남도 섬개발 4대 클러스터 745

[그림 1-5-2] 전남 가고 싶은 섬 가꾸기 사업체계 747

[그림 1-5-3] 전남 가고 싶은 섬 가꾸기 운영체계 748

[그림 1-5-4] 청산도 슬로길 749

[그림 1-5-5] 증도 태평염전과 소금박물관 750

[그림 1-5-6] 여수경도 해양관광단지 위치도 및 사업계획 751

[그림 1-6-1] 봉암갯벌 전경 760

[그림 1-7-1] 태풍 매미 및 나비 피해사진 765

[그림 1-7-2] 명지동 일원 해안림 조성사업 전경 767

[그림 1-7-3] 부산광역시 경관기본구상도 769

[그림 1-7-4] 일반경관계획_[경관권역~수경관] 770

[그림 1-7-5] 일반경관계획_[경관축~수경관] 770

[그림 1-7-6] 일반경관계획_[경관거점~수경관] 771

[그림 1-7-7] 전략경관계획_해안경관 772

[그림 1-7-8] 부산광역시 해안경관 관련 조례 774

[그림 1-7-9] 부산 해안경관 조망공간 계획 775

[그림 1-7-10] 광안대교 경관조명 특화사업 776

[그림 1-7-11] 송정해수욕장 주변 경관조명 설치사업 776

[그림 1-7-12] 부산의 주요 해안경관 777

[그림 1-7-13] 해운대관광특구 전면해역의 어업권 분포 사례 779

[그림 1-7-14] 부산의 해안역 방재구조물 TTP 782

[그림 1-7-15] 해양도시 미관을 고려한 방재구조물 이미지 783

[그림 1-8-1] 연안침식 모니터링 위치 787

[그림 1-8-2] 해안침식의 원인 791

[그림 1-8-3] 강원도 속초시 영랑동 사례 792

[그림 1-8-4] 연안구조물 건설에 의한 주변 해안선의 변화 792

[그림 1-8-5] 강원도 양양군 남애리 해안 793

[그림 1-8-6] 강원도 양양군 잔교리 사례 793

[그림 1-8-7] 강원도 강릉시 강문해수욕장 사례 794

[그림 1-8-8] 지구평균 해수면상승 예측치(1990년~2100년) 795

[그림 1-8-9] 속초항 방파제 연장에 따른 해안선 변화 796

[그림 1-8-10] 속초해수욕장의 해빈변화 797

[그림 1-8-11] 남항진 해안의 침식원인분석 798

[그림 1-8-12] 항공사진에 의한 남항진 해수욕장 침퇴적분석 798

[그림 1-8-13] 궁촌해역의 항공사진 799

[그림 1-8-14] 궁촌해역의 항공사진 분석결과 799

[그림 1-8-15] 위성사진을 이용한 궁촌 해안선의 변화분석 799

[그림 1-8-16] 2010년-2006년 수심변화분석결과 800

[그림 1-8-17] 2011년-2010년 수심변화분석결과 800

[그림 1-8-18] 해저질 입경 조사위치도 및 변화 801

[그림 1-8-19] 조사기간 별 해저질 입경변화 801

[그림 1-8-20] 궁촌해변 파랑조사결과에서 나타난 너울성 파랑 내습 802

[그림 1-8-21] 월천해변 항공사진 분석 803

[그림 1-8-22] 월천해변 평면적 변화량 분석결과 803

[그림 1-8-23] 위성사진을 이용한 월천해변 해안선 분석 804

[그림 1-8-24] 후청 해수욕장 주변의 년별 항공사진 805

[그림 1-8-25] 항공사진 분석을 통한 후정해수욕장 해안선 변화분석 805

[그림 1-8-26] 전촌-나정리 해안의 년도별 항공사진 806

[그림 1-8-27] 항공사진 해안선변화 이력분석 결과(1987~2004) 806

[그림 1-8-28] 원평해변 침식피해 사진 809

[그림 1-8-29] 해안침식 대책사업 수립 문제점 811

[그림 1-8-30] 해안침식방지대책 시행체계 개선(안) 813

[그림 1-8-31] 주민참여형 단계별 해안침식대책사업 814

[그림 1-8-32] 일본의 연안정비사업시행과정 중 주민합의 도출을 위한 trade-off 개념도 815

[그림 2-1-1] 중국 해역사용료 산정구조 826

[그림 2-2-1] 일본 해안법 변천과정 832

[그림 2-2-2] 일본의 해안보전기본방침과 해안보전기본계획의 수립절차 833

[그림 2-2-3] 공공해안과 일반공공해안구역의 지정범위 834

[그림 2-2-4] 해안보전구역의 지정범위 834

[그림 2-2-5] 일본의 해안보전구역과 일반공공해안구역 지정 현황 835

[그림 2-2-6] 해안보전시설 생애주기관리 도입배경과 목적 838

[그림 2-2-7] 항만경관형성의 일반적인 순서 840

[그림 2-2-8] 항만경관의 검토범위 841

[그림 2-2-9] 항만경관 현상평가순서 843

[그림 2-2-10] 항만경관형성의 기본적인 흐름 844

[그림 2-2-11] 해안경관 조사단계 847

[그림 2-2-12] 해안경관 고려사항 850

[그림 2-2-13] 항만·어항경관 고려사항 850

[그림 2-3-1] 푸젯사운드의 인공구조물 예 851

[그림 2-3-2] 푸젯사운드의 지형 853

[그림 2-3-3] 인공구조물의 잠제적 제거를 위한 구획화 856

[그림 2-3-4] 주거지역 평가(예시) 856

[그림 2-3-5] 격벽(호안) 제거사업을 위한 횡단면 857

[그림 2-3-6] 연안절벽 지하수 배수로 857

[그림 2-3-7] 푸젯사운드의 해안선 도면 860

[그림 2-3-8] 자연환경 변화에 따른 연안프로세스의 변화 861

[그림 2-3-9] 인위적 원인에 따른 연안프로세스 변화 861

[그림 2-3-10] 토사붕괴의 원인 다이어그램 862

[그림 2-3-11] 침식관리기술의 예시 864

[그림 2-3-12] 최적 해안선 설계기술 선택을 위한 의사결정나무 865

[그림 2-3-13] 개발사업에 따른 토사붕괴 가능성 867

[그림 2-3-14] 재배치 사업의 예 868

[그림 2-3-15] 해안양빈 사례 869

[그림 2-3-16] 푸젯사운드 침식구역의 대형목 설치 예시 869

[그림 2-3-17] 푸젯사운드의 재경사화/녹화 예 870

[그림 2-3-18] 수직호안제거의 개념도 871

[그림 2-3-19] 수직격벽 제거 전·후 모습 871

[그림 2-3-20] 호안과 수직호안(옹벽)의 모습 872

[그림 2-4-1] 녹색해안 인증제도의 적용·검토단계 873

[그림 2-4-2] 해안식생지역의 개념도 876

[그림 2-5-1] 해양계획 범위(동부연안과 근해지역) 883

[그림 2-5-2] 영국의 해양계획 수립 절차 883

[그림 2-5-3] 민감도와 규모의 관계 889

[그림 2-5-4] 대상지와 사업의 사회·경제적 효과 설명 891

[그림 2-5-5] Triton Knoll 전력시스템 설치계획 891

[그림 2-5-6] Triton Knoll 전력시스템 설치 예시 그림 894

[그림 2-5-7] 스코틀랜드 북부의 해상풍력단지 위치와 완성 후 가상도 89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43127 551.46 -16-8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43128 551.46 -16-8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43129 551.46 -16-8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43130 551.46 -16-8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