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해수면 변동 분석 및 예측 연구 : 결과보고서 /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2015
청구기호
551.458 -16-3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ii, 252, 43 p. : 삽화, 지도, 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615075
주기사항
[연구기관]: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아라종합기술
연구책임자: 우승범
부록: 조위관측별 조위 자료 현황(제2장) ; 최대해일고 기상, 해수면 분석 자료(제3장)
참고문헌: p. 241-252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참여진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과업 개요 26

1. 과업의 개요 28

(1) 과업명 28

(2) 과업기간 28

2. 과업의 목적 및 배경 28

(1) 과업의 목적 28

(2) 과업의 배경 28

3. 세부 과업 내용 29

(1) 우리나라 해수면 추세분석 및 향상방안 마련 29

(2) 해역별 연안 평균 해수면 변동률 산청 체계 구축 29

(3)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 관련 전략 방안 수립 29

(4) 국지적 해수면 변동 정밀분석 및 해수면 변동원인 규명 29

(5) 기후변화에 의한 우리나라 해수면 변동 특성 분석·예측 연구 29

(6) 제주 지역 해수면 상승 정밀 분석 29

제2장 우리나라 해수면 추세분석 및 향상 방안 30

1. 기존 해수면 상승 분석 연구 결과 32

(1) 기존 연구 방법 32

(2) 기존 연구 결과 34

2. 우리나라 조위관측소 자료 해수면 추세분석 37

(1) 조위자료 37

(2) 분석 방법 39

(3) 조위관측소별 해수면 변화 43

(4) 우리나라 전체 해수면 변화 63

3. 조위관측소 자료 해수면 추세분석 개선방안 66

(1) 자료 품질 66

(2) 계절 주기 제거 76

(3) 단기 이상해면 자료 제거 79

(4) 분석 기간 81

(5) 인위적 요인에 의한 해수면 변동 분리 88

4. 요약 97

제3장 이상 해면의 장기 변동성 및 통계 특성 분석 102

1. 개요 104

2. 분석방법 105

(1) 최대해일고 분석을 위한 조위 관측 105

(2) 해일고 추정 방법 108

3. 연안별 최대해일고 변동성과 통계 특성 110

(1) 연간 최대해일고 변동성 110

(2) 연간 최대해일고 통계 특성 116

4. 요약 119

제4장 해역별 연안 평균해수면 변동률 산정 체계 구축 122

1. 개요 124

2. 방법 125

(1) 위성고도계 개요 126

(2) 위성고도계 격자 자료 129

(3) 위성고도계 궤도 자료 131

3. 연안 평균해수면 변동률 산정 140

(1) 해역별 해수면 변동률 140

(2) 연안 지역별 해수면 변동률 144

4. 요약 147

제5장 제주 지역 해수면 상승 정밀 분석 148

1. 개요 150

2. 제주 주변지역 위성과 조위관측소 관측자료 비교 분석 152

(1) 위성고도계 자료 152

(2) 조석 신호의 왜곡(aliasing) 152

(3) 조위관측소 관측해수면과 위성관측 해수면 장기변화 비교 153

3. 제주지역의 빠른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양학적 타당성 검토 155

(1) 쿠로시오 강도와 PDO의 연관성 155

(2) PDO와 제주 해수면 변동과의 연관성 159

(3) 제주인근 수온 및 염분 변화와 해수면의 연관성 160

(4) 지형변동 분석 163

(5) 제주 해수면 변동의 주요 요인 169

4. 요약 170

제6장 기후변화에 의한 우리나라 해수면 변동 특성 172

1. 개요 174

2. 기온-수온-해수면 변동과 연관성 분석 175

(1) 기존 연구 175

(2) 국지적 수온-해수면 변동과 연관성 분석(제주 부근) 176

(3) 지역적 수온-해수면 변동과 연관성 분석(남해) 178

3. 우리나라 해역의 해수면 변동성과 전지구적인 경향과의 비교 180

(1) 선행 연구 180

(2) 태평양의 기후변화 지수와 우리나라 해수면 변동 183

4. 미래 평균 해수면 변동성 예측연구 방안 192

(1) 통계 및 수치모델을 이용한 미래 평균 해수면 변동성 예측 연구 방안 192

(2) 우리나라에 적합한 연구 방향 197

5. 요약 204

제7장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 관련 전략 방안 수립 206

1. 국제기구 대응전략 현황 208

(1) 정부간해양학위원회(IOC, Intergovernmental Oceanographic Commission) 208

(2)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10

2. 국외 해수면 상승 대응현황 214

(1) 영국 214

(2) 미국 217

(3) 호주 220

(4) 일본 223

3. 국내 해수면 상승 대응 현황 226

(1) 국가 해수면 대응 현황 226

(2) 국가기관의 해수면 상승 관련 연구 228

(3) 지자체 기후변화대응종합계획 248

(4)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 관련 전략 방안 수립 251

4. 요약 256

제8장 결론 및 제언 258

참고문헌 266

부록 278

1. 조위 관측소별 조위 자료 현황 279

2. 최대해일고 기상, 해수면 분석 자료 297

판권기 322

〈표 2-1〉 기존 연구 연차별 분석 방법 33

〈표 2-2〉 기존 연구 연차별 해수면 변동률 분석 기간 34

〈표 2-3〉 기존 연구 연차별 해수면 변동률 35

〈표 2-4〉 해수면 추세분석에 이용한 조위관측소 이력 38

〈표 2-5〉 1994년 조위자료를 이용한 조화분석 결과(군산) 40

〈표 2-6〉 조위관측소별 해수면 변동 추세 분석 결과 44

〈표 2-7〉 해역별 평균해수면 변동률 64

〈표 2-8〉 과거 해수면 변동률 연구 결과와 금회 결과 비교 65

〈표 2-9〉 조위관측소 월별 자료 현황(울릉도) 71

〈표 2-10〉 안흥과 묵호의 예측 조위 RMSE 74

〈표 2-11〉 계절 주기 제거 방법에 따른 해수면 상승률 비교 78

〈표 2-12〉 단기 이상해면 제거에 따른 해수면 상승률 비교 80

〈표 2-13〉 해수면 변동 추세 분석 기간 86

〈표 2-14〉 분석 시점 변경에 따른 해수면 상승률 변화 86

〈표 2-15〉 동일 기간의 해수면 상승률(1989~2014) 87

〈표 2-16〉 인위적 요인 제거 전·후 해수면 상승률 90

〈표 2-17〉 위성고도계 자료를 활용한 인위적 요인 제거 전·후 해수면 변동률 95

〈표 2-18〉 기존 연구와 금회 해수면 변동률 비교 99

〈표 3-1〉 1974년에서 2014년까지 각 지점에서 발생한 최대해일고 120

〈표 3-2〉 1974년에서 2014년까지 각 지점별 연간 최대해일고의 변동 특성 120

〈표 4-1〉 위성고도계 물리학적 요소 보정 항목 127

〈표 4-2〉 조위관측소와 위성고도계 격자자료 해수면 상승률 비교 130

〈표 4-3〉 해역별 해수면 상승률 산출 결과 비교 143

〈표 4-4〉 지자체별 연안 해수면 상승률 145

〈표 5-1〉 위성고도계 조석 왜곡주기 153

〈표 5-2〉 위성고도계 및 조위관측소 자료를 이용한 제주인근 해수면 상승률 154

〈표 5-3〉 PDO와 해수면 변화와의 상관관계 159

〈표 5-4〉 SAR위성 종류 및 특징 164

〈표 5-5〉 제주지역 촬영 SAR위성 종류 및 특이점 164

〈표 5-6〉 분석에 사용된 GPS 자료 166

〈표 5-7〉 제주 GPS 관측소별 수직 지각 변동율(2007~2014) 168

〈표 7-1〉 IOC 중기전략의 상위목표(UNESCO, 2008; UNESCO, 2014) 208

〈표 7-2〉 요소별 상위목표 달성 기여도(UNESCO, 2014) 209

〈표 7-3〉 IPCC 평가보고서 WGII의 평가 부문 및 지역 211

〈표 7-4〉 21세기 전지구 평균해수면 변화 예측(IPCC WGI, 2013) 212

〈표 7-5〉 RCP 시나리오에 따른 호주 평균기온 상승 예측 220

〈표 7-6〉 한반도 및 전지구 기온 상승 현황 및 전망(재인용 : 관계부처합동, 2010) 226

〈표 7-7〉 기상청이 수행한 해수면 상승관련 연구 228

〈표 7-8〉 21세기말 지구 및 한반도의 주요 기후변수 상승 전망 229

〈표 7-9〉 '기후변화 보고서 2012'에서 제시된 21세기말 지구 및 한반도의 주요 기후변수 상승 전망 230

〈표 7-10〉 RCP 4개 시나리오에 기반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연도별 해수면 상승치 231

〈표 7-11〉 RCP 8.5 시나리오에 따른 2100년 시도별 해수면 상승 경제적 영향평가 결과 232

〈표 7-12〉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 수행한 해수면 상승관련 연구 233

〈표 7-13〉 1993~2011년 동안의 지구 및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률(위성고도계 자료) 234

〈표 7-14〉 연안지역의 토지 이용에 대한 위험범위 구분(자료 : 해양환경관리공단, 2010) 237

〈표 7-15〉 연안 부문 적응대책 평가 및 수립 시 고려사항(해수면 상승 관련 부문만 발췌) 237

〈표 7-16〉 국제기구 및 주요 국가의 리스크 관리 동향 및 정책적 시사점 241

〈표 7-17〉 해외 주요 국가 및 우리나라의 적응정책 및 취약성 평가 244

〈표 7-18〉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중 해수면 상승 관련 항목의 대용변수 및 세부변수의 가중치 246

〈표 7-19〉 경기도 해수면 상승 관련 추진과제(경기도, 2012) 248

〈표 7-20〉 충청남도 해수면 상승 관련 추진과제(충청남도, 2012) 248

〈표 7-21〉 전라남도 해수면 상승 관련 추진과제(전라남도, 2012) 248

〈표 7-22〉 부산광역시 해수면 상승 관련 추진과제(부산광역시, 2012) 249

〈표 7-23〉 경상북도 해수면 상승 관련 추진과제(경상북도, 2012) 250

〈표 7-24〉 울산광역시 해수면 상승 관련 추진과제(울산광역시, 2012) 250

〈표 7-25〉 강원도 해수면 상승 관련 추진과제(강원도, 2012) 250

〈표 7-26〉 제주특별자치도 해수면 상승 관련 추진과제(제주특별자치도, 2012) 250

〈표 7-27〉 캘리포니아 지역 해수면 상승 가능 범위 및 예측(NRC, 2012; CCC, 2015) 254

〈표 7-28〉 〈그림 7-33〉에서 제시된 1990년 대비 상대해수면 예측치의 중앙값(Lowe et al., 2009) 255

〈그림 2-1〉 기존 연구 연차별 해수면 변동률 36

〈그림 2-2〉 해수면 추세분석에 이용한 조위관측소 현황 37

〈그림 2-3〉 해수면 추세분석에 이용한 조위관측소 자료 현황 38

〈그림 2-4〉 군산 조위자료 결측 예시(1995년 06월 24일 00시~1995년 07월 06일 11시, 1995년 08월 20일 02시... 39

〈그림 2-5〉 조화상수를 이용한 군산 결측 자료 보완(적색) 결과 40

〈그림 2-6〉 해수면 변동 추세 분석 순서도 43

〈그림 2-7〉 해수면 추세분석 결과(안흥) 45

〈그림 2-8〉 해수면 추세분석 결과(군산) 46

〈그림 2-9〉 해수면 추세분석 결과(목포) 47

〈그림 2-10〉 해수면 추세분석 결과(흑산도) 48

〈그림 2-11〉 해수면 추세분석 결과(추자도) 49

〈그림 2-12〉 해수면 추세분석 결과(완도) 50

〈그림 2-13〉 해수면 추세분석 결과(여수) 51

〈그림 2-14〉 해수면 추세분석 결과(통영) 52

〈그림 2-15〉 해수면 추세분석 결과(가덕도) 53

〈그림 2-16〉 해수면 추세분석 결과(부산) 54

〈그림 2-17〉 해수면 추세분석 결과(제주) 55

〈그림 2-18〉 해수면 추세분석 결과(서귀포) 56

〈그림 2-19〉 해수면 추세분석 결과(거문도) 57

〈그림 2-20〉 해수면 추세분석 결과(울산) 58

〈그림 2-21〉 해수면 추세분석 결과(포항) 59

〈그림 2-22〉 해수면 추세분석 결과(묵호) 60

〈그림 2-23〉 해수면 추세분석 결과(속초) 61

〈그림 2-24〉 해수면 추세분석 결과(울릉도) 62

〈그림 2-25〉 우리나라 연안 해수면 상승률 분포도 64

〈그림 2-26〉 조위관측소별 결측 및 보간 자료 현황(제주부근) 67

〈그림 2-27〉 조위관측소별 결측 및 보간 자료 현황(서해안) 68

〈그림 2-28〉 조위관측소별 결측 및 보간 자료 현황(남해안) 69

〈그림 2-29〉 조위관측소별 결측 및 보간 자료 현황(동해안) 70

〈그림 2-30〉 예측 조위와 관측 조위 비교(묵호, 2010년 5월) 74

〈그림 2-31〉 예측 조위와 관측 조위 비교(안흥, 2010년 5월) 74

〈그림 2-32〉 계절 주기가 제거된 월평균 해수면 비교(제주) 75

〈그림 2-33〉 계절 주기가 제거된 월평균 해수면 비교(군산) 75

〈그림 2-34〉 계절 주기에서 산출한 장주기 성분과 CO-OPS 조화 상수의 비교(미국 동부연안, 좌 : 진폭, 우 : 지각) 76

〈그림 2-35〉 계절 주기 제거 방법에 따른 월평균 해수면 변동 비교(목포) 78

〈그림 2-36〉 단기 이상해면 제거 전·후 월평균 해수면(목포) 80

〈그림 2-37〉 조위관측소별 연평균 해수면(빨간색 : 기본수준면 결정 이전) 82

〈그림 2-38〉 인위적인 요인에 의한 평균해수면 변화량(a : 금회 결과, b : 정(2014)) 90

〈그림 2-39〉 해역별/조위관측소별 연평균 해수면 이상(anomaly) 92

〈그림 2-40〉 조위관측소별 연평균 해수면과 연안 개발 현황(군산, 목포, 포항, 제주) 93

〈그림 2-41〉 위성 고도계 관측 지점과 조위관측소 자료 비교 정점 94

〈그림 2-42〉 인위적 요인으로 인한 해수면 변화 보정(1993년~2013년) 96

〈그림 2-43〉 기존 연구와 금회 해수면 변동률 100

〈그림 3-1〉 조위관측 모식도 106

〈그림 3-2〉 조위 측정을 위한 관측 장비 106

〈그림 3-3〉 조위관측소의 위치 107

〈그림 3-4〉 부산 지역에서 태풍 DINAH와 MAEMI 기간에 해수면 자료와 기상자료의 시계열 109

〈그림 3-5〉 가덕도 지역에서 태풍 SANBA 기간에 해수면 자료와 기상자료의 시계열 110

〈그림 3-6〉 연 최대해일고 변동성(속초(a), 묵호(b), 1974~2014) 111

〈그림 3-7〉 연 최대해일고 변동성(울산(a), 포항(b), 1974~2014) 112

〈그림 3-8〉 연 최대해일고 변동성(부산(a) 1974-2014, 가덕도(b), 1977~2014) 113

〈그림 3-9〉 연 최대해일고 변동성(여수(a) 1974-2014, 통영(b), 1977~2014) 114

〈그림 3-10〉 연 최대해일고 변동성(제주(a) 1974~2014, 울릉도(b), 1978~2014) 115

〈그림 3-11〉 최대해일고 발생 시기에 따른 월별 분포 117

〈그림 3-12〉 최대해일고 발생 지역별 조석의 특징 118

〈그림 4-1〉 위성고도계 측정 원리 128

〈그림 4-2〉 위성고도계 자료 분석 영역 128

〈그림 4-3〉 위성고도계 격자 자료 해수면 상승률 130

〈그림 4-4〉 위성고도계 궤도 자료의 유효정점 분포도 131

〈그림 4-5〉 위성고도계 궤도 자료와 조위관측소 자료 비교 정점[원문불량;p.107] 132

〈그림 4-6〉 조위관측소와 위성고도계 연평균 해수면 이상값 시계열 133

〈그림 4-7〉 조위관측소 자료와 위성고도계 자료 상관관계 135

〈그림 4-8〉 위성고도계 궤도 자료 분포 특성(파란색 : 정규분포, 빨간색 : 비정규분포) 136

〈그림 4-9〉 위성고도계 궤도 자료 유의성 검토(파란색 : significance, 빨간색 : insignificance) 138

〈그림 4-10〉 위성고도계 궤도 자료 해수면 상승률(1993~2014) 139

〈그림 4-11〉 정점별 해수면 상승률(위성고도계와 조위관측소 자료 결합) 140

〈그림 4-12〉 해수면 상승률 공간 분포(위성고도계와 조위관측소 자료 결합) 141

〈그림 4-13〉 해역별 해수면 상승률 산정 위치 142

〈그림 4-14〉 해역별 해수면 상승률(위성고도계와 조위관측소 자료 결합) 143

〈그림 4-15〉 지역별 해수면 상승률 산출 구역과 장기 해수면 관측 위치(▲) 144

〈그림 5-1〉 기간별 조위검조소별 해수면 변동률 및 위성고도계에 의한 우리나라 해역별 해수면 상승률... 151

〈그림 5-2〉 제주 인근 검조소 및 위성고도계 자료의 연평균 시계열 및 해수면 상승률 154

〈그림 5-3〉 우리나라 인근의 위성고도계 궤적과 분석 정점 155

〈그림 5-4〉 위성고도계 역학고도의 시간 변화도 156

〈그림 5-5〉 해수면 급경사 구간 및 해수면 고도차 계산을 위한 지점 157

〈그림 5-6〉 PDO와 역학고도차 시계열 158

〈그림 5-7〉 PDO와 역학고도차와 상호 상관관계 158

〈그림 5-8〉 PDO와 제주 해수면 시계열 159

〈그림 5-9〉 PDO와 제주 해수면과의 상호 상관관계 160

〈그림 5-10〉 국립수산과학원 정선관측 정점도 및 분석자료 위치 160

〈그림 5-11〉 제주 조위관측소 연평균 해수면, 수온 및 장주기 통과 필터를 적용한 시계열 161

〈그림 5-12〉 수온과 해수면간의 상관관계 161

〈그림 5-13〉 수심별 수온, 염분 및 역학고도 시계열 162

〈그림 5-14〉 SAR위성의 관측 및 지표변위 관측 개념도 163

〈그림 5-15〉 GPS 시스템 개념도 165

〈그림 5-16〉 분석에 사용된 제주 GPS 상시관측소 위치도 166

〈그림 5-17〉 제주 GPS 상시관측소에서 관측된 수직 변위량 167

〈그림 5-18〉 제주 GPS 자료에서 추출된 Common Mode 신호 167

〈그림 5-19〉 Common Mode 신호가 제거된 수직 변위량 168

〈그림 5-20〉 PDO의 장기변동 및 제주 수온, 해수면 시계열 169

〈그림 5-21〉 제주, 서귀포 검조소 해수면 시계열 및 위성고도계 역학고도 시계열 170

〈그림 6-1〉 온도와 해수면 변화율의 상관관계(Stefan Rahmstorf, 2007a) 176

〈그림 6-2〉 제주 지역 수온-해수면 및 수온-해수면 변화율 시계열 177

〈그림 6-3〉 제주 지역 수온-해수면 및 수온-해수면 변화율 상관관계 177

〈그림 6-4〉 지역 수온-해수면 변동 분석 영역 178

〈그림 6-5〉 남해 지역 수온-해수면 및 수온-해수면 변화율 시계열 179

〈그림 6-6〉 남해 지역 수온-해수면 및 수온-해수면 변화율 상관관계 179

〈그림 6-7〉 동해 해류 모식도와 합성역학고도 EOF 분석 결과(Mode 1. Morimoto and Yanagi, 2001) 180

〈그림 6-8〉 합성역학고도 EOF 분석 결과(Mode 2, Mode 3, Morimoto and Yanagi, 2001)[원문불량;p.156] 181

〈그림 6-9〉 PDO와 동해 표층 해수면, 수온, 염분 시계열 및 모식도(Gordon and Gilulivi, 2004) 182

〈그림 6-10〉 북서태평양 순환과 월평균 PDO, 쿠로시오 수송량 및 위치 지수(KPI) 시계열(Andres et al., 2009) 183

〈그림 6-11〉 해역별 분석 영역 184

〈그림 6-12〉 동해 해수면 EOF 분석 결과(Mode 1) 185

〈그림 6-13〉 동해 해수면 EOF 분석 결과(Mode 2, Mode 3) 186

〈그림 6-14〉 동해 해수면 EOF 결과와 PDO 지수 시계열 187

〈그림 6-15〉 남해 해수면 EOF 분석 결과 188

〈그림 6-16〉 남해 해수면 EOF 결과와 PDO 지수 시계열 188

〈그림 6-17〉 서해 해수면 EOF 분석 결과 189

〈그림 6-18〉 서해 EOF 결과와 PDO 지수 시계열 189

〈그림 6-19〉 해역별 월평균, 연평균 해수면 시계열 190

〈그림 6-20〉 해역별 연평균 해수면과 PDO 지수의 상관관계 191

〈그림 6-21〉 조위자료 재구성에 이용된 조위자료의 개수와 위치(Church and White, 2006) 193

〈그림 6-22〉 재구성된 조위자료의 월평균과 선형 추세(1870년~2001, Church and White, 2006) 193

〈그림 6-23〉 관측자료 기반 해수면 상승률과 해수면 예측치(Rahmstoft, 2007b) 194

〈그림 6-24〉 RCP 시나리오별 대기온도 예측값과 반경험식을 적용한 해수면 변화(김과 조, 2013) 195

〈그림 6-25〉 열팽창에 의한 전지구 평균 해수면 상승(Gregory et al., 2001) 196

〈그림 6-26〉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연구를 위한 영국의 모델(HadCM3) 모식도 198

〈그림 6-27〉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연구 결과(HadCM3를 포함한 multi-model enemble) 198

〈그림 6-28〉 영국 주변 미래 해류 변화 패턴 연구 결과 199

〈그림 6-29〉 영국의 해수면 상승에 따른 연구 방법 예시(Skew surge 발생 모식도) 199

〈그림 6-30〉 영국의 해수면 상승 연구 방법 예시(기후변화 및 Surge에 의한 해수면 변화 고려) 200

〈그림 6-31〉 영국의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 예상도 200

〈그림 6-32〉 영국의 구축된 파랑 모델을 이용한 결과 예시 201

〈그림 6-33〉 영국의 파랑 모델을 이용한 미래 계절별 파고 분포 결과 201

〈그림 6-34〉 우리나라 주변 해수면 변화 연구(국립기상연구소, 2013)[원문불량;p.177] 202

〈그림 6-35〉 격자 해상도에 따른 우리나라 주변 해수면 상승 연구 결과(A : 전지구 결과, B : 지역 결과) 203

〈그림 7-1〉 중기전략의 상위목표 달성을 위한 구성 요소(UNESCO, 2014) 209

〈그림 7-2〉 1990~2014년 동안의 IPCC WGII 평가보고서의 평가 항목 변화(IPCC WGII, 2014) 211

〈그림 7-3〉 20세기 해수면 변동 및 21세기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 212

〈그림 7-4〉 WGII 5차 평가보고서 핵심개념 정리 도표(IPCC WG II, 2014) 213

〈그림 7-5〉 연안시스템의 기후변화 영향, 적응, 노출 및 취약성, 위험 체계도(IPCC WGII, 2014) 213

〈그림 7-6〉 영국 기후변화 적응 전략 협력 체계도 215

〈그림 7-7〉 홍수 및 연안침식 위험관리 조직체계도 216

〈그림 7-8〉 홍수 및 연안침식 위험관리 방안 216

〈그림 7-9〉 미국 기후변화 적응 전략 협력 체계도 218

〈그림 7-10〉 USACE 퇴적물 관리 프로그램 참여 지역(http://rsm.usace.army.mil/) 219

〈그림 7-11〉 1910년부터 2013년까지의 호주평균기온 변화 추세(CSIRO and BOM, 2014) 220

〈그림 7-12〉 국가 기후변화적응 프레임워크의 구성 221

〈그림 7-13〉 1981~2010년 대비 일본 연평균 기온 변화(JMA, 2015) 223

〈그림 7-14〉 2100년 해수면 60㎝ 상승시 (좌) 폭풍너울에 의한 손해비용과 (우) 해변 모래의 손실률 225

〈그림 7-15〉 연안침식으로 인한 손해비용(RCP 8.5 기준)(S-8 CCIARPT, 2014) 225

〈그림 7-16〉 가정된 적응정책의 효과(RCP 8.5 기준)(S-8 CCIARPT, 2014) 225

〈그림 7-17〉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참여 부처 및 적응 부문(관계부처합동, 2013) 227

〈그림 7-18〉 시나리오 별 현재 해수면(1980~1999년) 대비 21세기(2080~2099년) 한반도 주변의 해수면 상승치.... 229

〈그림 7-19〉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열팽창에 의한 해수면 변화(1971~2000년 대비 2017~2100년의 변화) 230

〈그림 7-20〉 RCP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별 범람 현황 232

〈그림 7-21〉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에 의한 우리나라... 234

〈그림 7-22〉 부산시 기장군의 주거지 및 침수지역... 234

〈그림 7-23〉 전국 및 범람지역의 도로망(좌)과 산업단지(우) 현황 236

〈그림 7-24〉 커뮤니티 레질리언스 프레임워크 239

〈그림 7-25〉 국가 연안 커뮤니티 레질리언스 프레임워크 239

〈그림 7-26〉 기타 기후현상 요소(해수면 상승 등)에 대한 취약계층 지원 적응대책 분석 종합 240

〈그림 7-27〉 환경부문 기후환경 리스크 분포[원문불량;p.217] 242

〈그림 7-28〉 IPCC RCP 8.5의 (a) 2030년 해수면 상승(17.7㎝)과 (b) 2100년 해수면 상승(98.0㎝)에 대한... 243

〈그림 7-29〉 현재 기준 해수면 상승에 대한 연안지역의 취약성(기후 노출) 246

〈그림 7-30〉 현재 기준 해수면 상승에 대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247

〈그림 7-31〉 11개 광역시·도별 해수면 상승 취약성 평가 지수(재해(기반시설) 부문) 247

〈그림 7-32〉 조위관측소 인근 수준점 조사 성과를 이용한 수직 지형 변동 분석 사례(미국 샌프란시스코 연안) 252

〈그림 7-33〉 영국 4개 지역(런던, 카디프, 에딘버러, 벨파스트)에 대한 1990년 대비 21세기 상대해수면 상승 예측.... 255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44124 551.458 -16-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44125 551.458 -16-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