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록 1. 전문가 조사지 742
부록 2. 인식조사 설문지(관광호텔업) 749
부록 3. 인식조사 설문지(휴양콘도미니엄업) 756
부록 4. 인식조사 설문지(관광펜션업) 763
부록 5. 인식조사 설문지(외국인관광도시민박업) 770
표목차〈표 1-1〉 「관광숙박업」 등록 및 지정 현황 28
〈표 1-2〉 내용적 범위 29
〈표 1-3〉 조사대상 33
〈표 1-4〉 조사설계 요약 34
〈표 1-5〉 조사 진행절차 35
〈표 1-6〉 FEMA의 안전관련 용어 정의 39
〈표 1-7〉 기본법 시행령에서 정의하고 있는 재난의 유형 40
〈표 2-1〉 국내 자연재해 피해현황 47
〈표 2-2〉 국내 지진 발생 추이 48
〈표 2-3〉 국내 지진 규모별 순위 49
〈표 2-4〉 국내 지진 및 지진해일 피해사례 49
〈표 2-5〉 주요 풍수해 피해순위 51
〈표 2-6〉 주요 산사태 피해현황 52
〈표 2-7〉 행정구역별 산사태 위험등급 53
〈표 2-8〉 국내 사회재해 피해현황 55
〈표 2-9〉 국내 화재 추이 55
〈표 2-10〉 고층건물 화재사고 56
〈표 2-11〉 국내 싱크홀 발생사례 57
〈표 2-12〉 국내 안전사고 발생 건수(2014년) 58
〈표 2-13〉 국내 레저부문 안전사고 발생 추이 58
〈표 2-14〉 국내 물놀이 사고 현황 59
〈표 2-15〉 국내 물놀이 사고 원인 59
〈표 2-16〉 국내 승강기 사고 현황 60
〈표 2-17〉 국내 승강기 사고 원인별 현황 61
〈표 2-18〉 관광숙박업 내 승강기 사고 61
〈표 2-19〉 수상레저사업장 현황 62
〈표 2-20〉 수상레저 사고 현황 62
〈표 2-21〉 시즌별 스키장 안전사고 현황 63
〈표 2-22〉 원인별 스키장 사고 현황 63
〈표 2-23〉 번지점프 안전사고 현황 64
〈표 2-24〉 월별 폭죽사고 현황 65
〈표 2-25〉 연령별 폭죽사고 현황 65
〈표 2-26〉 숙박시설 화재 추이 66
〈표 2-27〉 2014년도 숙박시설 화재 피해현황 66
〈표 2-28〉 관광숙박업 화재 발생추이 67
〈표 2-29〉 발화요인 유형 67
〈표 2-30〉 지역별 숙박시설 특정소방대상물 현황 70
〈표 2-31〉 특정관리대상 안전등급 기준 71
〈표 2-32〉 숙박시설 특정관리대상 71
〈표 2-33〉 숙박업 우수소방대상물 사례 72
〈표 2-34〉 숙박시설 소방특별조사 실시 73
〈표 2-35〉 특수건물 연면적 점검현황 74
〈표 2-35〉 특수건물 건축연도 점검현황 74
〈표 2-36〉 특수건물과 소방서와의 거리 75
〈표 2-37〉 특수건물 소방시설 설치율 75
〈표 2-38〉 특수건물 잠재위험 요인별 평가결과 76
〈표 2-39〉 특수건물 방화시설 양호율 평가결과 76
〈표 2-40〉 특수건물 방화시설별 평가결과 77
〈표 2-41〉 특수건물 10년간의 평가추이 78
〈표 2-42〉 특수건물의 2013년도 화재현황 78
〈표 2-43〉 특수건물의 발화장소별 화재현황 79
〈표 2-44〉 특수건물의 월별 화재현황 79
〈표 2-45〉 국내 관광숙박업 자연재난 피해사례 80
〈표 2-46〉 해외 관광숙박업 자연재난 피해사례 83
〈표 2-47〉 국내 관광숙박업 사회재난 피해사례 85
〈표 2-48〉 해외 관광숙박업 사회재난 피해사례 87
〈표 2-49〉 국내 관광숙박업 내 안전사고 사례 90
〈표 2-50〉 산악 레저 안전사고 사례 92
〈표 2-51〉 수상·해양 레저 안전사고 사례 93
〈표 2-52〉 항공 레저 안전사고 사례 95
〈표 2-53〉 테마파크·축제 안전사고 사례 96
〈표 2-54〉 해외 관광숙박업 내 안전사고 사례 98
〈표 2-55〉 해외 관광숙박업 주변 안전사고 사례 99
〈표 2-56〉 심층 분석 사례 목록 100
〈표 2-57〉 참고사례: 춘천 펜션 매몰 101
〈표 2-58〉 참고사례: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체육관 붕괴 102
〈표 2-59〉 네팔 지진으로 인한 관광지 전후 비교 104
〈표 2-60〉 태국 지진해일 피해모습 108
〈표 2-61〉 참고사례: 충무로 대연각 호텔 화재 110
〈표 2-62〉 참고사례: MGM 그랜드 호텔 화재 112
〈표 2-63〉 참고사례: 일본 호텔 뉴재팬 화재 114
〈표 2-64〉 호텔 뉴재팬 직원의 초기대응 절차 115
〈표 2-65〉 참고사례: 부산 대아호텔 화재 116
〈표 2-66〉 대아호텔 화재에 대한 대책안 및 시사점 118
〈표 2-67〉 참고사례: 태국 로얄 좀티에 호텔 화재 119
〈표 2-68〉 참고사례: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121
〈표 2-69〉 씨랜드 화재 이후 변경된 제도 122
〈표 2-70〉 참고사례: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123
〈표 2-71〉 참고사례: 하얏트 리젠시 고가통로 붕괴 124
〈표 2-72〉 참고사례: 미국 서머 베이 리조트 붕괴 126
〈표 2-73〉 참고사례: 파키스탄 메리어트 호텔 테러 127
〈표 2-74〉 참고사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테러 128
〈표 2-75〉 참고사례: 홍콩 메트로폴 호텔 사스(SARS) 129
〈표 2-76〉 참고사례: 홍콩 메트로파크 호텔 신종플루 130
〈표 3-1〉 건축법에 따른 「관광숙박업」 분류 136
〈표 3-2〉 소방시설법에 따른 「관광숙박업」 분류 137
〈표 3-3〉 재난기본법에 따른 「관광숙박업」 분류 138
〈표 3-4〉 초고층재난관리법에 따른 「관광숙박업」 분류 138
〈표 3-5〉 숙박시설 규모별 관련 법령의 재난대응 및 안전관리 범위 139
〈표 3-6〉 관광숙박업의 등급제도(제 19조) 변화 140
〈표 3-7〉 외국인관광도시민박업 지정기준의 변화 141
〈표 3-8〉 건축법 안전관련 항목 주요변화 142
〈표 3-9〉 소방시설법의 주요경과 146
〈표 3-10〉 시설물 안전관리특별법 주요변화 149
〈표 3-11〉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의 주요변화 150
〈표 3-12〉 주요 사건에 따른 법률의 제·개정 152
〈표 3-13〉 「관광숙박업」 안전관리를 위한 관광진흥법 분석의 주요 내용 153
〈표 3-14〉 관광진흥법령의 '관광숙박업 분류체계에 관한 조항' 154
〈표 3-15〉 「관광숙박업」 의 등록절차 157
〈표 3-16〉 관광숙박업 사업등록에 관한 조항 158
〈표 3-17〉 관광펜션 지정에 관한 조항 161
〈표 3-18〉 관광펜션업 지정절차 162
〈표 3-19〉 외국인관광도시민박업 지정에 관한 조항 162
〈표 3-20〉 외국인관광도시민박업 지정절차 163
〈표 3-21〉 관광진흥법의 '관광숙박업 등의 등급' 164
〈표 3-22〉 등급심사 점수 배점표 165
〈표 3-23〉 「관광숙박업」 안전관리를 위한 건축법 분석의 주요 내용 166
〈표 3-24〉 건축법의 '건축물 사용승인 및 관리 관한 조항' 167
〈표 3-25〉 건축법의 '건축물 구조에 관한 조항' 170
〈표 3-26〉 건축법의 '건축물 화재 및 피난시설에 관한 조항' 172
〈표 3-27〉 피난계단 설치기준 174
〈표 3-28〉 출입구 및 복도 설치기준 175
〈표 3-29〉 방화구획 설치기준 176
〈표 3-30〉 건축재료 설치기준 177
〈표 3-31〉 「관광숙박업」 안전관리를 위한 시특법 분석의 주요 내용 179
〈표 3-32〉 안전 및 유지관리계획의 수립 179
〈표 3-33〉 안전점검 수행방법 180
〈표 3-34〉 시설물 안전등급 세부 기준 180
〈표 3-35〉 특별법의 적용을 받는 건축물 181
〈표 3-36〉 다중이용건축물의 종류 181
〈표 3-37〉 건축부문 법률적 의무사항 종합정리 182
〈표 3-38〉 「관광숙박업」 안전관리를 위한 소방시설법 분석의 주요 내용 184
〈표 3-39〉 소방시설 설치유치 및 안전관리법령의 '조사 및 점검 관련조항' 185
〈표 3-40〉 소방시설 설치유치 및 안전관리법령의 '소방 시설물의 유지 및 관리에 관한 조항' 187
〈표 3-41〉 소방시설 설치유치 및 안전관리법령의 '교육 및 훈련에 관한 조항' 191
〈표 3-42〉 소방시설 설치유치 및 안전관리법령의 '보상 및 벌칙에 관한 조항' 194
〈표 3-43〉 소방부문 법률적 의무사항 종합정리 197
〈표 3-44〉 소방시설 설치적용 대상 198
〈표 3-45〉 소화설비 설치기준 201
〈표 3-46〉 경보설비 설치기준 203
〈표 3-47〉 피난설비 설치기준 207
〈표 3-48〉 소화활동설비 설치기준 210
〈표 3-49〉 소화설비 점검방법 211
〈표 3-50〉 경보설비 점검방법 213
〈표 3-51〉 피난설비 점검방법 214
〈표 3-52〉 이용자 안전점검 난이도 216
〈표 3-53〉 특정관리대상시설등의 지정 및 관리 217
〈표 3-54〉 특별법의 적용을 받는 건축물 219
〈표 3-55〉 유사시설과의 비교 분석 220
〈표 3-56〉 화재보상보험법 221
〈표 3-57〉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223
〈표 3-58〉 「관광숙박업」 유형별 적용되는 주요제도 225
〈표 3-59〉 「관광숙박업」 운영단계별 적용되는 주요제도 227
〈표 4-1〉 「관광숙박업」 사업체 수 추이 231
〈표 4-2〉 「관광숙박업」 지역별 현황 232
〈표 4-3〉 「관광숙박업」 설립연도 추이 233
〈표 4-4〉 관광숙박업 사업체 조직형태 234
〈표 4-5〉 「관광숙박업」 사업체 건물 연면적 분포 234
〈표 4-6〉 관광숙박업 종사자 현황(호텔업, 휴양콘도미니엄업) 235
〈표 4-7〉 관광숙박업 종사자 현황(관광펜션업, 외국인관광도시민박업) 235
〈표 4-8〉 연령별 종사자 현황 236
〈표 4-9〉 관광사업체 고령층 종사자 현황 236
〈표 4-10〉 고용형태별 종사자 현황 237
〈표 4-11〉 종사자 고용형태 구분 및 정의 237
〈표 4-12〉 판매객실 현황 238
〈표 4-13〉 이용객 현황 238
〈표 4-14〉 호텔업 신·구 등급제 비교표 239
〈표 4-15〉 구 등급제 등급평가 절차 240
〈표 4-16〉 안전 분야 법령 6종에 따른 점검항목 241
〈표 4-17〉 호텔업 등급심사 안전 분야 평가항목 비교표 242
〈표 4-18〉 호텔업 등급심사의 분석항목 243
〈표 4-19〉 전문가 안전관련 지적사항 분석 결과 244
〈표 4-20〉 참고사례: 소화기 폭발사고 246
〈표 4-21〉 참고사례: 완강기 추락사고 260
〈표 4-22〉 2선식과 3선식 유도등의 특징 262
〈표 4-23〉 참고사례: 콘도 내 교통사고 277
〈표 4-24〉 참고사례: 호텔 내 가스누출 사고 282
〈표 5-1〉 호텔등급에 따른 조사사례 수 309
〈표 5-2〉 관광호텔업과 휴양콘도미니엄업의 시설현황 비교 310
〈표 5-3〉 관광펜션업과 외국인관광도시민박업 시설현황 비교 312
〈표 5-4〉 특성에 따른 관심도(100점 평균) 316
〈표 5-5〉 특성에 따른 테러재난 대응방법 인지정도 317
〈표 5-6〉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 319
〈표 5-7〉 태풍을 경험한 관광숙박업 320
〈표 5-8〉 지역별 태풍을 1순위로 선택한 비율 321
〈표 5-9〉 규모와 대비소요시간(5분 이내 응답) 322
〈표 5-10〉 응답자 기준의 정기점검종류 325
〈표 5-11〉 규모에 따른 정규직 전담부서 고용비율 326
〈표 5-12〉 규모에 따른 전문 인력 고용비율 327
〈표 5-13〉 5명이상의 안전관리자 고용비율 328
〈표 5-14〉 3명이상의 야간근무인력 비율 329
〈표 5-15〉 3명이상의 야간안전관리 담당인력 비율 331
〈표 5-16〉 관광호텔의 최근 1년간 직원안전교육 실시 횟수 333
〈표 5-17〉 관광호텔의 최근 1년간 직원안전교육 실시 횟수 337
〈표 5-18〉 「관광숙박업」 유형별 장애요인 순위 342
〈표 5-19〉 「관광숙박업」 장애요인 중 먼저 해결해야 하는 문제순위 343
〈표 5-20〉 안전관리를 위한 중요한 정부업무 344
〈표 5-21〉 안전관리를 위한 우선적인 정부업무 345
〈표 6-1〉 피난경로 거리 최소 기준 360
〈표 6-2〉 일본 소방 및 피난시설 법제도 367
〈표 6-3〉 NEPA 101 코드 내용 370
〈표 6-4〉 NEPA 101 호텔&기숙사 피난 거리 규정 371
〈표 6-5〉 프린스 호텔 화재 사건 382
〈표 6-6〉 도쿄도 여관/호텔의 야관방화관리체제 지도 매뉴얼 383
〈표 6-7〉 여관·호텔 등의 검증실시 결과 기록표 384
〈표 6-8〉 재해 시에 외국인 여행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 386
〈표 6-9〉 재해 시에 외국인 여행자를 지원하기 위한 각 주체별 역할 387
〈표 6-10〉 도쿄도 매뉴얼의 초동대응 일러스트 사례 389
〈표 7-1〉 최근 30년간 주요 재난 413
〈표 7-2〉 향후 대응이 필요한 주요 미래재난 415
〈표 7-3〉 국내외 관광숙박업 주요 자연재난 및 사회재난 417
〈표 7-4〉 관광숙박업 관계자가 가장 많이 경험한 재난 및 안전사고 응답 순위 418
〈표 7-5〉 관광숙박업 관계자가 가장 우려하는 재난 및 안전사고 응답 순위 419
〈표 7-6〉 전문가 의견조사에서 실시한 위험성 평가 메트릭스 420
〈표 7-7〉 전문가 위험성 평가를 위한 관광숙박업 유형 구분 420
〈표 7-8〉 관광숙박업 재난 위험성평가 결과(발생빈도) 421
〈표 7-9〉 발생빈도 내용분석 422
〈표 7-10〉 관광숙박업 재난 위험성평가 결과(피해규모) 423
〈표 7-11〉 피해규모 분석내용 424
〈표 7-12〉 대응 우선순위 평가 기준(안) 425
〈표 7-13〉 위기평가 단계 428
〈표 7-14〉 위험성 평가 체크리스트의 예시(화재) 430
〈표 7-15〉 위험성 평가 예시 431
〈표 7-16〉 위기평가서 작성요령 432
〈표 7-17〉 위기분석 내용 433
〈표 7-18〉 표준매뉴얼에서 다루는 주요 재난 및 안전사고 선정 434
〈표 7-19〉 관광숙박업 시작 전 체크리스트 437
〈표 8-1〉 4단계 재난관리 체계 451
〈표 8-2〉 재난 예방단계 활동 452
〈표 8-3〉 재난 대비단계 활동 453
〈표 8-4〉 재난 대응단계 활동 454
〈표 8-5〉 재난 복구단계 활동 455
〈표 8-6〉 상황에 따른 유관기관 연락망 활용방법 458
〈표 8-7〉 재난별 초동대응 현장지휘자의 중요성 459
〈표 8-8〉 소방교육 및 훈련편성의 예시 462
〈표 8-9〉 소방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의 예시 462
〈표 8-10〉 재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의 예시 463
〈표 8-11〉 훈련시나리오 흐름의 예(화재재난 기준) 466
〈표 8-12〉 워크샵 검토 내용의 사례(화재재난 기준) 467
〈표 8-13〉 재난관리 유사 내부조직의 비교 468
〈표 8-14〉 재난관리 유사 내부조직의 비교 469
〈표 8-15〉 위기종료 후 마케팅 전략 473
〈표 8-16〉 시설 복구계획 475
〈표 8-17〉 인적자원 관리계획 476
〈표 8-18〉 재난 피해자들의 반응 477
〈표 8-19〉 재난심리지원센터 홈페이지 477
〈표 8-20〉 직원 대체근무계획 478
〈표 8-21〉 고객지원계획 478
〈표 9-1〉 화재 종류에 따른 발생원인 483
〈표 9-2〉 화재 예방단계 485
〈표 9-3〉 화재위험요소 확인 485
〈표 9-4〉 부수적인 소방안전시설 486
〈표 9-5〉 화재예방 체크리스트 488
〈표 9-6〉 화재재난 대응단계 492
〈표 9-7〉 대응 1단계 493
〈표 9-8〉 화재 안내방송 안내멘트의 예 494
〈표 9-9〉 암호 안내방송 안내멘트의 예 495
〈표 9-10〉 소화기 사용요령 496
〈표 9-11〉 옥내소화전 사용요령 497
〈표 9-12〉 피난 시 주의행동 500
〈표 9-13〉 붕괴의 특성 503
〈표 9-14〉 붕괴 예방단계 505
〈표 9-15〉 붕괴 위험요소 확인 505
〈표 9-16〉 건축물 안전점검 체크리스트 507
〈표 9-17〉 붕괴재난 대응단계 510
〈표 9-18〉 건물 붕괴 시 행동요령 512
〈표 9-19〉 테러의 종류 515
〈표 9-20〉 테러재난 예방단계 517
〈표 9-21〉 테러 위험요소 확인 체크리스트 518
〈표 9-22〉 테러재난예방 안전시설 519
〈표 9-23〉 테러예방 안전진단 체크리스트 521
〈표 9-24〉 테러재난 대응단계 524
〈표 9-25〉 대응 1단계 525
〈표 9-26〉 테러재난 의심행동 및 물체 525
〈표 9-27〉 대응 2단계 530
〈표 9-28〉 테러유형별 대피요령 531
〈표 9-29〉 대응 3단계 534
〈표 9-30〉 감염경로에 따른 감염병의 종류 537
〈표 9-31〉 감염병 예방단계 539
〈표 9-32〉 위험요소 제거 및 관리 540
〈표 9-33〉 감염병 예방 체크리스트 541
〈표 9-34〉 감염병 대응단계 544
〈표 9-35〉 단계별 대응내용 545
〈표 9-36〉 주의단계 545
〈표 9-37〉 효과적인 손 위생 요령 547
〈표 9-38〉 기침 및 재채기 요령 548
〈표 9-39〉 환경위생 및 오염제거 지침의 예 549
〈표 9-39〉 세탁절차의 예 550
〈표 10-1〉 풍수해 발생 시기 559
〈표 10-2〉 풍수해의 피해양상 559
〈표 10-3〉 크기·강도에 따른 태풍의 분류 560
〈표 10-4〉 태풍의 반원종류 561
〈표 10-5〉 기상특보기준 561
〈표 10-6〉 호우의 형태 562
〈표 10-7〉 호우 기상특보기준 563
〈표 10-8〉 국내 홍수 유발 요인 564
〈표 10-9〉 홍수 기상특보기준 564
〈표 10-10〉 산사태와 토석류 사례 565
〈표 10-11〉 산사태 징후 565
〈표 10-12〉 폭풍해일 기상특보기준 566
〈표 10-13〉 대설 기상특보기준 567
〈표 10-14〉 풍수해 예방단계 568
〈표 10-15〉 풍수해 위험요소 568
〈표 10-16〉 위험요소 확인방법 569
〈표 10-17〉 산사태위험지도 확인방법 570
〈표 10-18〉 홍수위험 확인방법 571
〈표 10-19〉 위험요소 체크리스트(풍수해) 572
〈표 10-20〉 풍수해 대비 체크리스트 573
〈표 10-21〉 공통 필요 자원 575
〈표 10-22〉 비축물품 관리대장 576
〈표 10-23〉 기상청 위기경보단계의 이해 577
〈표 10-24〉 풍수해 대응단계 578
〈표 10-25〉 대응 1단계 578
〈표 10-26〉 대응 1단계 주요 대책회의 내용 579
〈표 10-27〉 부서별 임무 체크리스트 580
〈표 10-28〉 대응 1단계 투숙객 안내정보 581
〈표 10-29〉 이동 조치 물건 582
〈표 10-30〉 간판의 유형 583
〈표 10-31〉 (유리)창문 조치방법 583
〈표 10-32〉 모래주머니 사용방법 584
〈표 10-33〉 폭설 대응방법 584
〈표 10-34〉 산사태 대응방법 586
〈표 10-35〉 시설점검 및 조치에 대한 체크리스트 587
〈표 10-36〉 풍수해 대응 2단계 588
〈표 10-37〉 상황실 운영사항 588
〈표 10-38〉 풍수해 대응 3단계 591
〈표 10-39〉 피난 대응활동 592
〈표 10-40〉 지진의 이해 595
〈표 10-41〉 지진 피해양상 596
〈표 10-42〉 지진 예방단계 596
〈표 10-43〉 지진에 따른 건축물 붕괴 현상 597
〈표 10-44〉 위험요소 확인방법 체크리스트(지진) 598
〈표 10-45〉 관광숙박업 내 낙하물 예시 598
〈표 10-46〉 지진 대비 체크리스트 599
〈표 10-47〉 지진 대응단계 600
〈표 10-48〉 지진 대응 1단계 600
〈표 10-49〉 지진발생 시 플로어 직원 안내요령 601
〈표 10-50〉 지진발생 시 직원별 대응방안 601
〈표 10-51〉 지진발생 시 장소별 대응방안 603
〈표 10-52〉 지진 대응 2단계 604
〈표 10-53〉 규모/진도별 피해양상 604
〈표 10-54〉 대응 판단 5단계 605
〈표 10-55〉 고객 안내방송 예시(지진 직후) 606
〈표 10-56〉 플로어 직원 대응개시(지진 멈춘 직후) 607
〈표 10-57〉 지진 대응 3단계 608
〈표 10-58〉 현장활동 대응방법 609
〈표 10-59〉 건물 밖 피난 장소 609
〈표 10-60〉 건물 밖 피난 방법 610
〈표 10-61〉 대피유도반 행동요령 611
〈표 10-62〉 지진 대응 4단계 613
〈표 10-63〉 임시대피소 적합장소 613
〈표 10-64〉 임시대피소 운영형태 613
〈표 10-65〉 임시대피소 운영방법 614
〈표 10-66〉 지진 후 피해양상 615
〈표 10-67〉 지정대피소로 이동 615
〈표 10-68〉 고객지원 대응 617
〈표 10-69〉 지진해일 기상특보기준 618
〈표 10-70〉 지진해일 예방단계 619
〈표 10-71〉 고도계 유형 620
〈표 10-72〉 대피소 차이구분 621
〈표 10-73〉 지진해일 대응 1단계 622
〈표 10-74〉 피난안내 도구 622
〈표 10-75〉 지진해일 피난 준비 체크리스트 623
〈표 10-76〉 지진해일 대응 2단계 624
〈표 10-77〉 지역 외 대피 시 피난방향 625
〈표 10-78〉 동해안 내 지진해일 안내판 625
〈표 10-79〉 지정대피소로 이동방법 626
〈표 10-80〉 건물 내 피난방법(지진해일) 627
〈표 11-1〉 안전사고 위험요소 분석틀 631
〈표 11-2〉 객실 안전사고 유형 632
〈표 11-3〉 취사공간 안전사고 유형 633
〈표 11-4〉 헬스장·운동시설 안전사고 유형 634
〈표 11-5〉 주차장 안전사고 유형 635
〈표 11-6〉 승강기 안전사고 유형 636
〈표 11-7〉 수영장 안전사고 유형 637
〈표 11-8〉 시설별 안전사고 예방 대처법 638
〈표 11-9〉 객실 위험성 평가방법 예시 639
〈표 11-10〉 객실 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시설 설치 및 강화 640
〈표 11-11〉 객실 내 화상 위험요소 642
〈표 11-12〉 감전 응급처치 방법 643
〈표 11-13〉 화상의 정도 644
〈표 11-14〉 화상 응급처치 방법 644
〈표 11-15〉 두부 외상환자 응급처치 방법 645
〈표 11-16〉 주차장 위험성 평가방법 예시 646
〈표 11-17〉 불법 주차 모습 647
〈표 11-18〉 주차장 안전요원 배치 647
〈표 11-19〉 주차장 안전시설의 종류 648
〈표 11-20〉 경추 손상환자 증상 649
〈표 11-21〉 교통사고 환자 대응방법 및 경, 척추 환자 응급처치 649
〈표 11-22〉 승강기 위험성 평가방법 예시 650
〈표 11-23〉 승강기 관리주체의 의무 651
〈표 11-24〉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제공서비스 651
〈표 11-25〉 승강기 사고 시 대처요령 654
〈표 11-26〉 헬스장 안전사고 사례 655
〈표 11-27〉 헬스장 위험성 평가방법 예시 655
〈표 11-28〉 운동기구 점검 및 안전요원 배치 656
〈표 11-29〉 자동제세동기·구급함 비치 657
〈표 11-30〉 골절환자 응급처치 방법 658
〈표 11-31〉 골절환자 대응 659
〈표 11-32〉 헬스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응급처치 659
〈표 11-33〉 수영장·물놀이시설 안전사고 사례 660
〈표 11-34〉 수영장·물놀이시설 위험성 평가방법 예시 660
〈표 11-35〉 수영장·물놀이시설 이용객 안전상황 체크리스트 661
〈표 11-36〉 안전요원 교육방법 예시 661
〈표 11-37〉 수영장 안전관리 표지판의 종류 662
〈표 11-38〉 수영장 안전시설·장비 663
〈표 11-39〉 수영장·물놀이시설 이용객 안내문구 664
〈표 11-40〉 물놀이시설 출입통제및 시설점검 방법 665
〈표 11-41〉 응급구조 요령 666
〈표 11-42〉 심폐소생술 및 자동제세동기 사용방법 667
〈표 11-43〉 관광숙박업 부대시설 운영 형태 669
〈표 11-44〉 바비큐·캠핑시설장 위험성 평가방법 예시 670
〈표 11-45〉 불법 증개축 문제 671
〈표 11-46〉 안전시설 비치 672
〈표 11-47〉 관광숙박업 소재장소 673
〈표 11-48〉 독초 섭취 후 응급처치 요령 674
〈표 11-49〉 산나물 채취 사고 674
〈표 11-50〉 제초제 사용 장소 675
〈표 11-51〉 제초제·살충제 사용 주의사항 및 응급처치법 676
〈표 11-52〉 뱀 물림·벌 쏘임 사고 월별 평균 진료 인원(2012년~2014년) 677
〈표 11-53〉 뱀 물림 예방활동 678
〈표 11-54〉 벌 쏘임 예방활동 678
〈표 11-55〉 뱀 물림·벌 쏘임 예방법 679
〈표 11-56〉 뱀 물림·벌 쏘임 사고 시 대응요령 679
〈표 11-57〉 재해약자별(어린이·고령자·임산부) 특성 680
〈표 11-58〉 어린이 안전사고의 유형 681
〈표 11-59〉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방안 683
〈표 11-60〉 어린이·고령자·임산부 대피유도방법 685
〈표 11-61〉 장애유형별 특성 686
〈표 11-62〉 장애인 대응 예방방안 687
〈표 11-63〉 장애인 대피유도방법 689
〈표 11-64〉 장애인 대피 후 지원방법 691
〈표 11-65〉 외국인 대응 필요성 692
〈표 11-66〉 재해 시에 외국인 여행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 693
〈표 11-67〉 외국인 대응 예방방안 694
〈표 12-1〉 관광숙박업의 안전관리 주체 707
〈표 12-2〉 사례별 안전사고 발생원인 707
〈표 12-3〉 안전관리 장애요인 708
〈표 12-4〉 안전관리를 위한 관광숙박업의 업무 우선순위 709
〈표 12-5〉 관광숙박업의 안전관리 주체 710
〈표 12-6〉 정부의 관광숙박업 안전관리 과제 710
〈표 12-7〉 정부의 안전관리 업무 중요도 711
〈표 12-8〉 정부의 향후 정책 방향 712
〈표 12-9〉 유형별 향후 안전관리 우선업무 715
〈표 12-10〉 향후 정부정책의 우선과제도출 716
〈표 12-11〉 주체별 안전인식에 대한 사업체 의견 717
〈표 12-12〉 안전 교육·훈련에 대한 사업체 의견 718
〈표 12-13〉 안전관리자 양성에 대한 사업체 의견 719
〈표 12-14〉 안전점검에 대한 사업체 의견 719
〈표 12-15〉 안전관리자 양성에 대한 사업체 의견 720
〈표 12-16〉 예산 지원에 대한 사업체 의견 720
〈표 12-17〉 안전인식에 대한 자문회의 결과 721
〈표 12-18〉 안전 교육·훈련에 대한 자문회의 결과 722
〈표 12-19〉 안전관리자 양성에 대한 자문회의 결과 722
〈표 12-20〉 안전점검에 대한 자문회의 결과 723
〈표 12-21〉 규제강화에 대한 자문회의 결과 724
〈표 12-22〉 예산지원에 대한 자문회의 결과 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