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머리말 / 이종화

목차

바레인 헌법 10

제1편 국가 24

제2편 사회의 기본구성요소 30

제3편 공적 권리와 의무 48

제4편 권력기관 64

총칙 64

제1장 국왕 68

제2장 행정부 88

제3장 입법부 100

제4장 사법부 162

제5편 재정 168

제6편 총칙과 최종 규정 184

바레인, 아라비아의 진주·중동의 홍콩 198

1. 개관 200

2. 바레인 통치 가문의 약사 201

3. 걸프 지역의 근·현대와 걸프국가 건설 202

4. 바레인 국가 설립과 발전 211

5. 바레인 헌법의 특징 224

6. 바레인 경제 동향과 한국-바레인 관계 227

참고문헌 237

찾아보기 238

판권기 244

이용현황보기

바레인 헌법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43661 LM 342.56865 -16-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43662 LM 342.56865 -16-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 이 책은

헌법을 통해 중동 지역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정체성과 삶의 양태까지 읽어내고자 기획된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중동국가헌법번역HK총서> 여섯 번째 책으로 바레인 헌법의 아랍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 바레인에 대한 해설이 실었다.

■ 출판사 서평

중동국가헌법번역 HK총서시리즈 여섯 번째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HK(Humanities Korea, 인문한국) 해외지역 연구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중동국가헌법번역 HK총서> 시리즈 역시 이 사업의 일환으로 현대 중동 국민국가의 정체성과 방향성, 이슬람적 언표(言表)를 정확히 읽어내고자 중동국가의 근간인 헌법을 현지어 원문에서 우리말로 연구, 번역하여 출간하고 있다.
『바레인 헌법』은 『사우디아라비아 통치기본법』, 『쿠웨이트 헌법』, 『아랍에미리트 헌법』, 『카타르 헌법』, 『아랍에미리트 헌법』에 이은 여섯 번째 책이다.
세계 각국의 헌법을 비교·고찰하는 것은 그 나라를 이해하는 첩경이며, 나아가 우리나라의 현재를 재인식하는 계기가 된다. 카타르는 오랜 기간 영국의 지배를 받아왔던 반도국으로 우리나라와 역사와 환경에서 유사한 면이 많기에 한국 헌법과의 비교는 더욱 가치 있다 할 것이다.

바레인과 한국과의 관계
우리나라와 바레인은 1976년 4월 17일 양국이 외교관계를 수입하고 같은 해 6월 주 바레인 대한민국대사관을 개설함으로써 시작되었다. 한국과 바레인 간 정치 경제 관계는 타 GCC국가들에 비해 낮은 편이지만 <바레인 경제비전 2030>에 따른 한국 바레인 협력 분야를 적극적으로 찾아 상호 국가이익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 중동국가헌법번역HK총서

이 번역 총서는 HK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우리가 흔히 중동이라고 부르는 지역 내 국민국가(Nation-State)의 가장 근간이 되는 헌법을 통해 현대 중동 국민국가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적확하게 읽어내고자 기획되었다. 중동 각국의 헌법을 현지어 원문에서 우리말로 연구·번역하여 출간함으로써 내실 있는 중동 연구에 일조하고, 나아가 국익과 사회적 공익에도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