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전북형 다문화가족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 전라북도 [편] 인기도
발행사항
전주 : 전라북도 대외협력국 국제협력과 다문화지원팀, 2015
청구기호
362.82 -16-4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l, 448 p. : 표 ; 26 cm
총서사항
전라북도 연구용역사업 연구보고서 ; 2015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6929001
제어번호
MONO1201616511
주기사항
연구수행기관: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설동훈 ; 공동연구원: 박신규, 이순미, 박순영
부록: 조사표
참고문헌: p. 281-286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6

제1부 서론 42

제1장 서론 43

I. 연구 배경과 연구 목적 43

1. 연구 배경 43

2. 연구 목적 43

II. 연구내용과 방법 44

2. 모집단과 조사모집단 46

3. 조사방법과 가중치 부여 48

4. 응답자의 기본 특성 59

III. 보고서의 구성 59

제2부 조사 결과 62

제2장 일반 현황 63

I. 거주지역 분포 63

1. 시ㆍ군 거주분포 63

2. 읍ㆍ면ㆍ동 거주분포 63

II. 입국 및 국적 현황 66

1. 입국시기 및 한국 체류기간 66

2. 출신국 68

3. 귀화 여부와 체류자격 70

4. 개명 72

III. 부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76

1. 연령 76

2. 교육수준 80

IV. 가족구성 84

V. 다문화가족의 주거, 소득, 정부지원제도 수혜 87

1. 주거형태 87

2. 가구소득 89

3. 계층의식 93

4.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현황 95

제3장 가족생활 98

I. 결혼 및 부부생활 98

1. 혼인 유형 98

2. 국제결혼중개업체 이용 여부 100

3. 혼인상태 102

4. 배우자와 동거 여부 및 비동거 사유 104

5. 부부 갈등 106

6. 이혼ㆍ별거 108

7. 가족 내 의사결정 114

II. 가족관계 117

1. 자녀수 117

2. 자녀와의 관계 124

3. 가족관계 만족도 126

제4장 경제생활 130

I. 경제활동상태 130

1. 취업 여부 130

2. 맞벌이 여부 133

II. 구직 과정에서의 고충 135

III. 일자리 특성 139

1. 직업 종류 139

2. 종사상 지위 143

3. 월평균 근로소득 146

4. 구직경로 150

5. 일하면서 느끼는 어려움 153

6. 직업만족도 156

IV. 미취업 사유와 향후 계획 158

1. 일을 하지 않는 이유 158

2. 향후 취업의사 163

3. 미취업 상태에서의 구직 경험 165

제5장 사회생활 167

I. 사회적 거리 167

II. 모임 및 사회활동 참여 170

1. 모임 및 사회활동 참여 경험 170

2. 참여하고 싶은 모임 및 사회활동의 종류 173

3. 모임 및 사회활동에 참여하기 어려운 점 176

III. 출신국 가족과의 관계 180

1. 가족초청 경험 180

2. 출신국 가족과의 지원관계 183

IV. 사회적 네트워크 190

1. 국내 사회연결망 190

2. 국외 사회연결망 194

3. 사회연결망 종합: 국내+국외 197

제6장 한국 사회 적응과 교육 및 지원 200

I. 한국 생활의 어려움 200

II. 사회적 차별 204

1. 사회적 차별 경험 204

2. 차별 시 도움 요청 207

III. 한국어 능력 213

1. 한국어 능력의 주관적 평가 213

2. 한국어 능력의 객관적 평가 215

3. 향후 한국어능력시험 응시 계획 218

4. 한국어 실력 향상을 위한 노력 220

IV. 교육 및 지원서비스 222

1. 교육 및 지원서비스 이용 경험 222

2. 교육 및 지원서비스 이용 만족도 225

3. 교육 및 지원서비스 기관 평가 227

제7장 보건의료와 삶의 질 229

I. 건강상태 229

1. 주관적 건강상태 229

2. 정신건강 231

II. 의료기관 이용 및 모자 보건 실태 235

III.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 239

IV. 한국 내 투표 경험 242

V. 자기계발을 위한 노력들 244

VI. 생활만족도 246

제8장 자녀의 학교생활과 사회생활 248

I. 미취학 자녀 돌봄 248

1. 미취학 자녀의 돌봄 서비스 이용 현황 248

2. 자녀 보육료 및 양육수당 수혜 250

II. 취학 자녀의 학교 적응 및 부적응 252

1. 취학 자녀의 학교 적응 정도 252

2. 취학 자녀의 학교 부적응 이유 255

III. 자녀의 학교에서 차별 경험 255

1. 학생들에 의한 차별 경험 255

2. 교사에 의한 차별 경험 257

IV. 중도입국자녀의 생활실태와 취학 여부 259

1. 중도입국자녀의 동거 여부 259

2. 중도입국자녀의 한국 학교 편ㆍ입학 261

V. 자녀 학교 운영의 참여 262

VI. 출신국으로의 자녀 유학 계획 264

1. 출신국에서 자녀를 공부시킬 의향 264

2. 출신국에서 자녀를 공부시키고 싶은 이유 266

VII. 자녀에게 출신국 언어와 문화 교육 268

VIII. 자녀의 한국어 능력 및 어머니 출신국 언어능력 270

IX 자녀의 이민자 부모에 대한 태도 272

X. 자녀의 장래희망 직업 274

XI. 자녀교육의 어려움 276

제3부 결론 및 정책 제언 279

제9장 결론 및 정책 제언 280

I. 전북 다문화가족실태조사 결과에 기초한 여건과 전망 281

1. 전북 다문화가족의 생애주기 및 가족 특성을 반영한 중장기 정책 수립 281

2. 다문화가족의 전체 구성원을 고려한 다양한 지원정책 수립 모색 283

3. 다문화가족 자녀의 성장, 유형, 비율 등 다양성을 고려한 자녀 지원정책 수립 284

4. 전라북도 도민의 다문화 인식 제고 및 결혼이민자 도민의식 제고 방안 마련 287

5. 다문화가족 지원 사업과 추진체계의 재구축 288

II. 전북형 다문화가족 중장기 발전 계획의 개요 293

1. 정책비전과 목표 293

2. 주요 영역과 정책과제 295

3. 영역별 정책목표 및 핵심과제 297

4. 영역별 중장기 추진 과제 299

5. 영역별 단기 추진 과제 305

참고문헌 309

[부록] 조사표 316

1. 한국어 317

2. 영어 333

3. 중국어 349

4. 일본어 365

5. 베트남어 381

6. 러시아어 397

7. 태국어 413

8. 몽골어 429

9. 필리핀어(Tagalog) 445

10. 캄보디아어 461

판권기 477

〈표 1〉 월평균 가구소득 9

〈표 2〉 혼인상태 10

〈표 3〉 자녀 현황 11

〈표 4〉 응답자와 배우자의 직종 13

〈표 5〉 응답자와 배우자의 종사상 지위 13

〈표 6〉 응답자와 배우자의 월평균 근로소득 14

〈표 7〉 모임 및 사회활동 참여시 어려운 점(복수응답) 15

〈표 8〉 한국으로 초청한 출신국 가족(복수응답) 16

〈표 9〉 한국 생활의 어려움(복수응답) 17

〈표 10〉 사회적 차별 경험 18

〈표 11〉 한국어 능력의 주관적 평가 18

〈표 12〉 건강상태 20

〈표 13〉 의료기관 이용 현황 20

〈표 14〉 삶의 만족도 21

〈표 15〉 전라북도 다문화가족 중장기 발전계획의 비전, 목표, 정책과제 25

〈표 1-1〉 2015년 전북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주요 항목 45

〈표 1-2〉 조사대상자의 출신국ㆍ거주지역ㆍ현재국적 분포: 모집단 47

〈표 1-3〉 조사 완료율 49

〈표 1-4〉 행정구역별 응답자의 거주지 분포 50

〈표 1-5〉 응답자의 출신국ㆍ거주지역ㆍ현재국적 분포: 조사 결과(가중치 부여 전) 56

〈표 1-6〉 응답자의 출신국ㆍ거주지역ㆍ현재국적별 가중치 57

〈표 1-7〉 응답자의 출신국ㆍ거주지역ㆍ현재국적 분포: 조사 결과(가중치 부여 후) 58

〈표 1-8〉 응답자의 기본 특성 60

〈표 2-1〉 출신국과 체류기간별 시ㆍ군 거주지역 분포 64

〈표 2-2〉 도시-농촌 거주지역 분포 65

〈표 2-3〉 한국 입국년도 66

〈표 2-4〉 한국체류기간, 2009-2015년 66

〈표 2-5〉 한국체류기간 67

〈표 2-6〉 출신국, 2009-2015년 68

〈표 2-7〉 출신국 69

〈표 2-8〉 현재 체류자격, 2012-2015년 70

〈표 2-9〉 현재 체류자격 71

〈표 2-10〉 개명 여부 73

〈표 2-11〉 개명 이유 74

〈표 2-12〉 향후 개명 계획 75

〈표 2-13〉 연령, 2009-2015년 76

〈표 2-14〉 연령 77

〈표 2-15〉 응답자의 연령별 배우자의 연령분포 78

〈표 2-16〉 부부간 연령차이 79

〈표 2-17〉 교육수준, 2009-2015년 80

〈표 2-18〉 교육수준 81

〈표 2-19〉 응답자의 교육수준별 배우자의 교육수준 82

〈표 2-20〉 부부간 교육수준 83

〈표 2-21〉 가족구성 유형, 2009-2015년 84

〈표 2-22〉 가족구성 유형 86

〈표 2-23〉 주거 점유형태, 2012-2015년 87

〈표 2-24〉 자가거주율 88

〈표 2-25〉 '돈을 버는 가구원' 수 90

〈표 2-26〉 월평균 가구소득, 2009-2015년 91

〈표 2-27〉 월평균 가구소득 92

〈표 2-28〉 계층의식 94

〈표 2-29〉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가구 비율 96

〈표 3-1〉 혼인 유형, 2009-2015년 98

〈표 3-2〉 초혼 여부 99

〈표 3-3〉 국제결혼중개업체 이용 여부 101

〈표 3-4〉 혼인상태, 2009-2015년 102

〈표 3-5〉 혼인상태 103

〈표 3-6〉 유배우 응답자의 배우자 동거율 및 비동거 사유, 2009-2015년 104

〈표 3-7〉 유배우 응답자의 배우자 동거율 및 비동거 사유 105

〈표 3-8〉 부부갈등 이유(복수응답), 2012-2015년 106

〈표 3-9〉 부부갈등 이유(복수응답) 107

〈표 3-10〉 혼인지속기간, 2009-2015년 109

〈표 3-11〉 혼인지속기간 109

〈표 3-12〉 이혼ㆍ별거 사유, 2009-2015년 111

〈표 3-13〉 이혼ㆍ별거 사유(복수응답) 112

〈표 3-14〉 이혼ㆍ별거 후 자녀 양육자 114

〈표 3-15〉 가족 내 의사결정, 2012-2015년 115

〈표 3-16〉 가족 내 의사결정 116

〈표 3-17〉 전체 자녀수 118

〈표 3-18〉 응답자 특성별 전체 자녀수 119

〈표 3-19〉 현재 배우자와의 자녀수 120

〈표 3-20〉 현재 배우자와의 자녀수 121

〈표 3-21〉 중도입국 자녀수 122

〈표 3-22〉 중도입국 자녀수 123

〈표 3-23〉 자녀와의 관계 124

〈표 3-24〉 응답자 특성별 자녀와의 관계 125

〈표 3-25〉 가족관계 만족도, 2009-2015년 127

〈표 3-26〉 가족관계 만족도 129

〈표 4-1〉 응답자와 배우자의 취업 여부 130

〈표 4-2〉 응답자와 배우자의 고용률 132

〈표 4-3〉 맞벌이가구 비율 134

〈표 4-4〉 일자리 탐색의 어려움(복수응답) 137

〈표 4-5〉 응답자와 배우자의 직종, 2009-2015년 139

〈표 4-6〉 응답자 직종 140

〈표 4-7〉 배우자의 직종 142

〈표 4-8〉 응답자와 배우자의 종사상 지위, 2009-2015년 143

〈표 4-9〉 응답자의 종사상 지위 144

〈표 4-10〉 배우자의 종사상 지위 145

〈표 4-11〉 응답자와 배우자의 월평균 근로소득 147

〈표 4-12〉 응답자의 월평균 근로소득 148

〈표 4-13〉 배우자의 월평균 근로소득 149

〈표 4-14〉 구직 경로, 2009-2015년 151

〈표 4-15〉 구직경로 152

〈표 4-16〉 일하면서 느끼는 어려움, 2009-2015년 153

〈표 4-17〉 일하면서 느끼는 어려움 154

〈표 4-18〉 직업 만족도 157

〈표 4-19〉 응답자가 일을 하지 않는 이유 159

〈표 4-20〉 배우자가 일을 하지 않는 이유 161

〈표 4-21〉 응답자와 배우자의 취업 희망률, 2009-2015년 163

〈표 4-22〉 응답자와 배우자의 향후 취업 희망률 164

〈표 4-23〉 응답자와 배우자의 구직 경험 166

〈표 5-1〉 사회적 거리 169

〈표 5-2〉 모임 및 사회활동 참여경험(복수응답), 2012-2015년 170

〈표 5-3〉 모임 및 사회활동 참여경험(복수응답) 172

〈표 5-4〉 참여하고 싶은 모임 및 사회활동(복수응답), 2012-2015년 173

〈표 5-5〉 참여하고 싶은 모임 및 사회활동(복수응답) 175

〈표 5-6〉 모임 및 사회활동 참여시 어려운 점(복수응답), 2012-2015년 176

〈표 5-7〉 모임 및 사회활동 참여시 어려운 점(복수응답) 178

〈표 5-8〉 가족 초청 경험, 2009-2015년 180

〈표 5-9〉 한국으로 초청한 출신국 가족(복수응답), 2012-2015년 180

〈표 5-10〉 한국으로 초청한 출신국 가족(복수응답) 182

〈표 5-11〉 출신국 가족과의 지원관계 183

〈표 5-12〉 출신국 가족과 관계: 경제적 지원 185

〈표 5-13〉 출신국 가족과 관계: 가사 및 자녀양육 지원 187

〈표 5-14〉 출신국 가족과 관계: 정서적 지원 189

〈표 5-15〉 국내에서 중요한 일을 의논하는 사람의 수 191

〈표 5-16〉 사회연결망: 국내 (다섯 개 복수응답) 192

〈표 5-17〉 국외에서 중요한 일을 의논하는 사람의 수 194

〈표 5-18〉 사회연결망: 국외 (다섯 개 복수응답) 196

〈표 5-19〉 사회연결망: 국내+국외 (열 개 복수응답) 198

〈표 6-1〉 한국 생활의 어려움, 2009-2015년 201

〈표 6-2〉 한국 생활의 어려움(복수응답) 202

〈표 6-3〉 사회적 차별 경험(복수응답), 2009-2015년 204

〈표 6-4〉 사회적 차별 경험(복수응답) 206

〈표 6-5〉 차별 시 도움을 요청한 사람 및 단체(복수응답) 208

〈표 6-6〉 도움 요청한 사람 및 단체가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 비율 211

〈표 6-7〉 주관적인 한국어 능력 평가, 2009-2015년 213

〈표 6-8〉 주관적 한국어 능력 평가 214

〈표 6-9〉 한국어능력시험 응시경험 유무 216

〈표 6-10〉 최근 한국어능력시험 결과 217

〈표 6-11〉 한국어능력시험 응시 계획 219

〈표 6-12〉 한국어 실력 향상을 위해 한 노력 221

〈표 6-13〉 다문화가족 관련 교육 및 지원서비스별 이용 경험, 2012-2015년 222

〈표 6-14〉 다문화가족 관련 교육 및 지원서비스 이용 경험 224

〈표 6-15〉 다문화가족 관련 교육 및 지원서비스 만족도 226

〈표 6-16〉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직원 평가 228

〈표 7-1〉 주관적 건강상태, 2009-2015년 229

〈표 7-2〉 주관적 건강상태 230

〈표 7-3〉 일상생활 스트레스 경험자 비율 232

〈표 7-4〉 지난 1년 동안 2주간 비감ㆍ절망감 경험 234

〈표 7-5〉 의료기관 이용 현황, 2009-2015년 235

〈표 7-6〉 의료기관 이용 현황 236

〈표 7-7〉 의료기관 이용 시 가장 어려운 점, 2012-2015년 237

〈표 7-8〉 의료기관 이용 시 어려웠던 점 238

〈표 7-9〉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 241

〈표 7-10〉 한국에서의 투표 경험, 2012-2015년 242

〈표 7-11〉 한국에서의 투표 경험 243

〈표 7-12〉 자기 계발 노력(복수응답) 245

〈표 7-13〉 삶의 만족도, 2009-2015년 246

〈표 7-14〉 삶의 만족도 247

〈표 8-1〉 미취학자녀 돌봄 기관 이용률 249

〈표 8-2〉 자녀 보육료 및 양육수당 수혜 251

〈표 8-3〉 초등학생 자녀의 학교 적응 253

〈표 8-4〉 중ㆍ고등학생 자녀의 학교 적응 254

〈표 8-5〉 자녀 중 취학 자녀의 학교 부적응 이유 255

〈표 8-6〉 취학 자녀의 학생들에 의한 차별 경험 256

〈표 8-7〉 취학 자녀의 교사에 의한 차별 경험 258

〈표 8-8〉 전 배우자 자녀와의 동거여부 260

〈표 8-9〉 전 배우자 자녀의 학교 편입 현황 261

〈표 8-10〉 중도입국자녀의 학교 편ㆍ입학 절차 정보경로 261

〈표 8-11〉 중도입국자녀가 학교에 다니지 않는 이유(복수응답) 261

〈표 8-12〉 취학자녀의 학교 운영 참여자 비율 263

〈표 8-13〉 출신국에서 자녀를 공부시킬 의향, 2012-2015년 264

〈표 8-14〉 출신국에서 자녀를 공부시킬 의향 265

〈표 8-15〉 출신국에서 자녀를 공부시키고 싶은 이유(복수응답), 2012-2015년 266

〈표 8-16〉 출신국에서 자녀를 공부시키고 싶은 이유(복수응답) 267

〈표 8-17〉 자녀에 대한 출신국 언어와 문화교육 실시 여부 269

〈표 8-18〉 다문화가족 자녀의 한국어 능력의 주관적 평가, 2012년 270

〈표 8-19〉 자녀의 모(母) 출신국 언어 능력 271

〈표 8-20〉 자녀가 외국계 엄마에 대한 인식, 2012-2015년 272

〈표 8-21〉 자녀의 외국계 부모에 대한 인식 273

〈표 8-22〉 자녀의 장래희망 직업 275

〈표 8-23〉 자녀교육의 어려움: 1순위 277

〈표 9-1〉 외국인 주민 자녀의 수 변화 추이 285

〈표 9-2〉 다문화가족 학생 현황, 2013-2014년 285

〈표 9-3〉 귀화를 신청한 19세 이하 중도입국자녀 현황 286

〈표 9-4〉 2015년 전라북도 다문화가족정책 시행계획 289

〈표 9-5〉 전라북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연도별 설치 현황 290

〈표 9-6〉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주요사업 291

〈표 9-7〉 전라북도 다문화가족 중장기 발전계획의 비전, 목표, 정책과제 294

〈표 9-8〉 전라북도 건강가정지원센터 현황 302

〈표 9-9〉 전라북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업영역별 참여 인원 현황 303

〈표 9-10〉 다문화청소년 전문기관 현황 308

〈표 9-11〉 다문화가족의 정착단계별 주요 과제 및 프로그램 연계활동 308

[그림 1] 가족관계 만족도 11

[그림 2] 응답자와 배우자 및 한국인의 고용률 비교 12

[그림 3] 전북 다문화가족 실태조사에 기초한 정책여건과 전망 23

[그림 1-1] 연구 흐름도 44

[그림 1-2] 전라북도 읍ㆍ면ㆍ동별 결혼이민여성의 수: 모집단 48

[그림 1-3] 전라북도 읍ㆍ면ㆍ동별 결혼이민여성의 수: 조사 결과 48

[그림 2-1] 읍면동별 거주지역 분포, 2009-2015년 65

[그림 2-2] 가족구성 유형, 2009-2015년 85

[그림 2-3] 가족형태별 자가거주율 87

[그림 2-4] 가구소득별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비율 95

[그림 3-1] 가족관계별 '만족' 응답 비율 128

[그림 4-1] 응답자와 배우자 및 한국인의 고용률 비교 131

[그림 4-2] 응답자와 한국여성의 연령대별 고용률 133

[그림 4-3] 일자리 특성별 직업만족도 156

[그림 5-1] 여성 결혼이민자ㆍ귀화자가 느끼는 사회적 거리 167

[그림 5-2] 시ㆍ군 및 출신국별 사회적 거리 168

[그림 5-3] 모임 및 사회활동 참여경험 170

[그림 5-4] 출신국 가족과의 지원 관계 183

[그림 5-5] 출신국 가족과 경제적 지원관계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 비율 186

[그림 5-6] 출신국 가족과 가사ㆍ양육 지원관계가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 비율 188

[그림 5-7] 출신국 가족과 정서적 지원관계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 비율 190

[그림 9-1] 전북 다문화가족 실태조사에 기초한 정책여건과 전망 29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77940 362.82 -16-4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