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5년도)해양정보 종합분석 및 해양예보지수 산정 결과보고서. 제1-2편 /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국립해양조사원 해양예보과, 2015
청구기호
551.4607 -16-5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책 : 삽화, 지도, 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617812
주기사항
[연구기관]: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주)유에스티21, (주)전략해양
부록: 기온에 따른 레저활동 참가 ; 조위관측소 기온 통계(2005∼2014년) ; 기상특보 발표기준(출처: 기상청) 외
제1편 참고문헌: p. 229-232
제2편 참고문헌: p. 943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사업 개요 17

1. 개요 18

2. 과업범위 18

3. 세부수행내역 20

4. 사업수행인력 23

제1장 생활해양예보지수 개발 24

1. 개요 25

2. 해양예보지수개발 26

(1) 해양예보지수 개발에 사용된 자료현황 26

(2) 지수개발 방법 및 지표와 인자 선정 27

3. 국내·외 해양예보지수 개발 사례 28

(1) 국내 해양예보지수 사례 30

(2) 해외 해양예보지수 사례 43

(3) 국내·외 해양예보지수 사례 분석 결과 52

4. 해양예보지수 산정을 위한 수치모델결과 검증 53

(1) 해양수치예측모델 검증방법 53

(2) 해양수치예측모델 검증 결과 55

(3) 시계열, 일 통계 비교결과 57

5. 해수욕지수 71

(1) 해수욕지수 개발 71

(2) 해수욕지수 개발을 위한 해역별 시범해수욕장 검토 75

(3) 해수욕지수 개발을 위한 민감도 테스트 78

(4) 해수욕지수 검증 88

(5) 해수욕지수 서비스 113

6. 갯벌체험지수 114

(1) 갯벌체험지수의 개발 114

(2) 갯벌체험지수 개발을 위한 시범 갯벌체험장 검토 117

(3) 갯벌체험지수 개발을 위한 민감도 테스트 120

(4) 갯벌체험지수 출현율 분석 125

(5) 갯벌체험지수 서비스 126

7. 바다갈라짐체험지수 127

(1) 바다갈라짐체험지수 개발 127

(2) 바다갈라짐체험지수 개발을 위한 민감도 테스트 129

(3) 바다갈라짐체험지수 출현율 분석 132

(4) 바다갈라짐체험지수 서비스 134

8. 스킨스쿠버지수 135

(1) 스킨스쿠버지수 개발 135

(2) 스킨스쿠버지수 개발을 위한 시범구역 선정 141

(3) 스킨스쿠버지수 개발을 위한 민감도 테스트 142

(4) 스킨스쿠버지수 출현율 분석 144

(5) 스킨스쿠버지수 서비스 145

9. 바다낚시지수 146

(1) 바다낚시지수 개발 146

(2) 바다낚시지수 개발을 위한 대상어 검토 150

(3) 바다낚시지수 개발을 위한 시범 포인트 검토 153

(4) 바다낚시지수 개발을 위한 민감도 테스트 157

(5) 바다낚시지수 출현율 분석 165

(6) 바다낚시지수 서비스 166

10. 뱃멀미지수 167

(1) 뱃멀미지수 개발 167

(2) 뱃멀미지수 개발을 위한 시범 항로 검토 174

(3) 뱃멀미지수 개발을 위한 민감도 테스트 175

(4) 뱃멀미지수 출현율 분석 182

(5) 뱃멀미지수 서비스 184

11. 생활해양예보지수 발전방향 185

제2장 선박운항지수 개발 187

1. 개요 188

(1) 지수의 정의 및 분류 188

(2) 선박운항지수 개발 대상영역 189

(3) 선박운항지수 개발 방법 190

2. 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 191

(1) 관련 연구자료 191

(2) 관련 문헌자료 193

(3) 적용성 도출 195

3. 기존 해양관측자료 수집 및 분석 196

(1) 해역별 국가해양관측망 196

(2) 분석 결과 198

4. 선박운항지수 개발 199

(1) 해양환경 주요인자 적용기준 선정 199

(2) 선박 사고사례 적용 200

(3) 해양수치예측모델 204

(4) 항로에 대한 지수 산출 방법 208

(5) 해역 및 항로별 지수 산정 방법 208

5. 선박운항지수의 적정성 검토 221

(1) 산출 시기별 검토 221

(2) 산출 위치별 검토 229

제3장 해양예보도 제작기술 개발 232

1. 개요 233

2. 해양예보도 특징 233

3. 해양예보도 서비스 형식 235

(1) 인터넷 해양방송 '온바다' 235

(2)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http://www.khoa.go.kr) 240

(3) 도면 247

4. 해양예보도 발전방향 248

참고 문헌 249

부록 254

부록 1. 기온에 따른 레저활동 참가 255

부록 2. 조위관측소 기온 통계(2005~2014년) 255

부록 3. 기상특보 발표기준(출처 : 기상청) 256

부록 4. 기상특보시 해안지역에서의 국민행동요령 257

부록 5. 선박 출항 통제 기준(해사안전법 시행규칙 제31조 관련 별표10) 258

부록 6. 지역별 2014년 일·출몰 시간(출처 : 한국천문연구원, http://astro,kasi.re.kr) 259

부록 7. 시범 갯벌체험장의 조석예보표 및 갯벌체험시간 260

부록 8. 관측조위 기준 체험가능시간과 갯벌체험장 제시 체험가능시간 비교 284

부록 9. 다이빙 환경 292

부록 10. 지역별 낚시 포인트 개수 및 대상어종(출처 : 2011~2013년도 요트낚시정보도) 294

부록 11. 대상어종 선호수온을 통한 KODC 정선해양관측자료의 수심별 수온 분석 303

부록 12. 뱃멀미 관련 연구 국내 논문 요약 310

부록 13. 운항시간별 연안여객선 현황 313

부록 14. 기상특보일의 수치예측자료 및 관측자료를 이용한 해수욕지수와 연안침식모니터링 영상과의 비교 317

부록 15. 지수 항목별 시계열 및 지수결과 출현율 340

(1) 해수욕 지수 340

(2) 갯벌체험 지수 390

(3) 바다갈라짐 지수 394

(4) 스킨스쿠버 지수 404

(5) 바다낚시 지수 414

(6) 뱃멀미 지수 428

부록 16. 선박 사고사례(출처 : 해양안전심판원) 437

판권기 449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조위관측자료 새로운 품질처리 로직 검토 483

1. 조위관측자료 품질처리 적용을 위한 로직(Logic) 검토 484

(1) 새로운 품질처리 로직 484

(2) 원시조위 추출과 자동·반자동 품질처리 적용 검토 486

(3) 해역별 보완자료 생성기법 검토 493

(4) 결측 기간별 보완기준 검토 493

(5) 프로그램 정확도 검증 495

(6) 2015년 조위관측자료 재처리 502

2. 새로운 품질처리 프로그램 탑재를 위한 TOPs 로직 검토 505

제2장 실시간 고조정보 감시체계 508

1. 개요 509

(1) 필요성 509

(2) 해양관측자료 모니터링 감시체계 사례 및 기술 510

(3) 적용 기술 513

2. 설계 514

(1) 유스케이스 514

(2) 요구사항 정의 514

(3) 서비스 흐름 515

(4) 아키텍처 516

(5) 자료구조 516

(6) 데이터 흐름 517

(7) 화면설계 518

3. 구현 523

(1) 자료 수집 및 배포 서비스 523

(2) 실시간 고조정보 서비스 525

(3) 조차 정보 서비스 531

4. 운영자 지침 533

(1) 자료수집 및 배포 서비스 533

(2) 실시간 고조정보 서비스 설치 538

5. 향후 발전 방안 및 연계 방안 545

(1) 발전 방안 545

(2) 홈페이지 연계방안 546

제3장 장기조석 관측 547

1. 개요 548

2. 조사 및 방법 549

(1) 현장조사 549

(2) 자료 처리 549

3. 결과 554

(1) 자료 검토 554

(2) 표척관측 결과 557

(3) 조석 조화분석 결과 558

(4) 연보정조위 산출 563

(5) 기본수준면 결정 565

(6) 예보조화상수 결정 567

제4장 조위관측소 신규 기준면 결정 570

1. 개요 571

2. 조사 방법 572

(1) 현장 조사 572

(2) 신규기준면 결정 574

3. 결과 575

(1) 현장조사 575

(2) 기준면 결정 584

4. 소결 596

제5장 해양관측소 폐지사유 및 대안제시 599

1. 도농탄 해양관측소 600

(1) 기본정보 600

(2) 도농탄 해양관측소 관측정보 607

(3) 도농탄 해양관측소 폐지사유 및 대처방안 616

2. 속초등표 해양관측소 620

(1) 기본정보 620

(2) 속초등표 해양관측소 관측정보 625

(3) 속초등표 해양관측소 폐지사유 및 대처방안 634

3. 쌍정초 해양관측소 638

(1) 기본정보 638

(2) 쌍정초 해양관측소 관측정보 643

(3) 쌍정초 해양관측소 폐지사유 및 대처방안 652

제6장 통합조위자료 시범제작 656

1. 개요 657

2. 제작 방법 658

(1) 원시조위자료 표준화 658

(2) 통합조위자료 작성 659

3. 제작 결과 661

(1) 표준 원시조위자료 661

(2) 통합조위자료 663

(3) 통합조위자료 결과 검증 675

4. 결론 687

제7장 해양기상관측장비 표준 정립 689

1. 해양기상관측 개요 690

2. 국가해양관측망 해양기상관측장비 현황 691

3. 해양기상관측장비 운용 및 관리 695

(1) 해양기상 장비종류 695

(2) 해양기상 장비설치 699

(3) 해양기상장비 유지보수 701

4. 생산자료의 규격 및 자료관리 704

(1) 생산자료관리 704

(2) 생산자료규격 및 통계처리 709

5. 해양기상관측장비 표준화 712

(1) 해양기상관측장비 표준규격 712

(2) 데이터로거의 표준규격 713

(3) 1차 품질처리 기준 714

(4) 관측센서의 신호 및 자료처리 표준규격 714

(5) 자료구조의 표준규격 715

(6) 부대장비의 표준규격 717

(7) 기상관측기의 검정기준에 관한 검사방법 718

제8장 종이조류도 제작 722

1. 조류도 제작 개요 723

(1) 종이조류도 제작 현황 723

(2) 종이조류도 구성 724

2. 종이조류도 제작 방법 725

(1) 해안선 및 수심 자료 725

(2) 조석 자료 725

(3) 조류도 제작을 위한 수치모델 726

3. 기타 자료 제작 742

(1) 등조석도 742

(2) 조석 및 조류 곡선 743

(3) 조류도 해설 745

(4) 용어해설 746

(5) 색인도 및 범례 748

(6) 달이 135°E 자오선 통과시(한국표준시) 749

(7) 태음시 환산기 750

제9장 바다달력 751

1. 개요 752

2. 바다달력 수록정보 753

(1) 천문정보 753

(2) 해양현상 760

(3) 해양상식 776

(4) 지역정보 782

(5) 날짜정보 788

(6) 용어 해설 794

3. 2016년 바다달력 이미지 798

(1) 탁상용 798

(2) 벽걸이용(내용없음) 811

제10장 조석 예보 824

1. 조석예보 정확도 검증 825

(1) 분석 개요 825

(2) 분석 내용 825

2. 2016년 조석예보 실시계획 873

3. 장기 조석예측자료 및 조석 조화상수 서비스 방안 875

제11장 바다갈라짐 조사 877

1. 개요 878

2. 조사 방법 879

3. 결과 880

(1) 실미도 880

(2) 소야도 883

(3) 제부도 886

(4) 웅도 889

(5) 무창포 892

(6) 하섬 895

(7) 우도 898

4. 바다갈라짐 예보상수 901

제12장 조류예보 904

1. 조류예보 검증조사 905

(1) 관측 개요 905

(2) 분석 방법 910

(3) 분석결과 911

(4) 관측치와 조류예보자료 비교 923

2. 조류예보 변경과 추가검토 936

(1) 변경과 추가 조류자료 개요 936

(2) 자료 검토 937

(3) 자료 검토 결과 943

(4) 조석과 조류의 관계 950

(5) 조류 개황 955

3. 2016년 조류예보 963

(1) 조류예보 자료 개요 963

(2) 조류 조화분석과 예보상수 967

(3) 조류의 특성 1014

제13장 평균 고·저조 간격 조석예보 활용방안 제시 1057

1. 개요 1058

2. 결과 1059

3. 활용방안 1060

제14장 속초등표 해양관측소 시설물 점검 1062

1. 개요 1063

(1) 정점위치 및 점검내역 1063

(2) 관측자료 1065

2. 속초등표 자료 분석 1066

(1) 속초등표 조위자료의 품질향상 여부 검토 1066

(2) 조위자료 영향인자에 대한 상관성 분석 1067

(3) 조위자료 품질저하 기간에 대한 영향인자 분석 1069

3. 영향인자 상세분석 1074

(1) 조위자료 영향인자의 반응한계 파악 1074

(2) 쇄파대 순환 및 수심의 영향 1075

4. 개선방안 및 적용 1078

(1) FFT 분석 1078

(2) 조위 관측 적정 수심 산출 1080

(3) 조위 관측값 자료처리 방안 적용 1082

5. 너울성 파랑 및 태풍파 관측자료의 유용성 검토 1084

(1) 너울성 파랑 관측자료 검토 1084

(2) 태풍파 관측자료 검토 1086

6. 결론 및 향후 계획 1090

7. MIROS 제작사의 분석결과 회신 1092

제15장 바다갈라짐 예보지역 콘텐츠 제작 1109

1. 개요 1110

(1) 목적 1110

(2) 개요 1110

2. 촬영방법 1112

3. 표척관측 1113

제16장 갯벌체험지역 콘텐츠 제작 1114

1. 개요 1115

2. 조사방법 1116

(1) RTK-GNSS 측량 1117

(2) UAV 촬영 1117

(3) 3차원 해저지형 생성 1117

3. 결과 1119

(1) 3차원 갯벌 영상 1119

(2) 고해상도 플라이트 영상 1124

제17장 조석·조류 가시화 1127

1. 개요 1128

2. 조사방법 1129

(1) 조석 가시화 1129

(2) 조류 가시화 1129

3. 결과 1130

(1) 조석가시화 1130

(2) 조류가시화 1135

제18장 지역특화 조석예보 1140

1. 개요 1141

2. 조사방법 1142

3. 결과 1142

(1) 창원시 마산 합포구 일대 1142

(2) 목포시 대반동 일대 1144

(3) 인천 중구 무의도 1145

4. 지역특화 조석예보상수 1147

(1) 고조정보 예보기준 설정 1148

(2) 2015년도 지역별 3단계 고조정보 발생예보 1150

제19장 조수재해 매뉴얼 실행 방안 수립 1159

1. 개요 1160

(1) 용어 정의 1160

(2) 조수 재해 원인 및 재난 유형 1161

(3) 조수재해 매뉴얼 수립 근거 1162

2. 국립해양조사원의 임무 및 역할 1164

(1) 주요 임무 및 역할 1164

(2) 상황판단회의 1165

(3) 「조수」 위기관리 활동에서의 상세 임무 및 역할 1169

3. 조수재해 실무매뉴얼 작성 1170

4. 향후 대책 1170

제20장 지방소 조류관측 1172

1. 일주야조류 관측 1173

(1) 관측 개요 1173

(2) 분석 방법 1176

(3) 분석결과 1176

(4) 일주야조류의 특성 1194

2. 30주야조류 관측 1197

(1) 관측 개요 1197

(2) 조류 통계 1200

(3) 조류의 조화분석 1245

(4) 조류의 특성 1256

부록 1261

1. 장기조석관측[원문불량;p.760-764] 1262

2. 해양관측소 폐지사유 및 대안제시[원문불량;p.765-774] 1268

3. 바다갈라짐 현상 촬영 작업사진첩[원문불량;p.776-783,785-793,795-803,822-830,832-839,841-849,851-859,881-890,892-899,901-909,911-919] 1444

참고문헌 1446

판권기 1448

vol.1 13

〈표 1-1〉 국내·외 예보명 및 사이트 주소 29

〈표 1-2〉 지수별 생활기상정보 세부항목 및 제공기간 32

〈표 1-3〉 해변의 형태 및 위험도 44

〈표 1-4〉 ABSAMP(해변 형태에 따른 자체 위험도) 45

〈표 1-5〉 우리나라 해수욕장 현장 조사 내역 46

〈표 1-6〉 분석자료 54

〈표 1-7〉 통계분석 출현율 계산 기준 55

〈표 1-8〉 관측결과와 수치예측모델과의 RMSE 결과 56

〈표 1-9〉 서수도 월별 RMSE 결과 58

〈표 1-10〉 기준에 의한 서수도 일별 통계 분석 출현율 58

〈표 1-11〉 가대암 월별 RMSE 결과 59

〈표 1-12〉 기준에 의한 가대암 일별 통계 분석 출현율 59

〈표 1-13〉 십이동파 월별 RMSE 결과 60

〈표 1-14〉 기준에 의한 십이동파 일별 통계 분석 출현율 60

〈표 1-15〉 신안 월별 RMSE 결과 61

〈표 1-16〉 기준에 의한 신안 일별 통계 분석 출현율 61

〈표 1-17〉 노화도 월별 RMSE 결과 62

〈표 1-18〉 기준에 의한 노화도 일별 통계 분석 출현율 62

〈표 1-19〉 제주항 월별 RMSE 결과 63

〈표 1-20〉 기준에 의한 제주항 일별 통계 분석 출현율 63

〈표 1-21〉 지귀도 월별 RMSE 결과 64

〈표 1-22〉 기준에 의한 지귀도 일별 통계 분석 출현율 64

〈표 1-23〉 거문도 월별 RMSE 결과 65

〈표 1-24〉 기준에 의한 거문도 일별 통계 분석 출현율 65

〈표 1-25〉 거제도 월별 RMSE 결과 66

〈표 1-26〉 기준에 의한 거제도 일별 통계 분석 출현율 66

〈표 1-27〉 광안 월별 RMSE 결과 67

〈표 1-28〉 기준에 의한 광안 일별 통계 분석 출현율 67

〈표 1-29〉 포항 월별 RMSE 결과 68

〈표 1-30〉 기준에 의한 포항 일별 통계 분석 출현율 68

〈표 1-31〉 동해 월별 RMSE 결과 69

〈표 1-32〉 기준에 의한 동해 일별 통계 분석 출현율 69

〈표 1-33〉 연곡 월별 RMSE 결과 70

〈표 1-34〉 기준에 의한 연곡 일별 통계 분석 출현율 70

〈표 1-35〉 해역별 주요 해수욕장 50개소의 이용객수 및 2015년 개장기간 72

〈표 1-36〉 해수욕지수의 인자 및 참고자료 73

〈표 1-37〉 해수욕지수 개발을 위한 해역별 대표해수욕장 현황 75

〈표 1-38〉 시범해수욕장의 2014년 입욕통제 시기 및 원인 76

〈표 1-39〉 민감도 테스트에 사용된 관측자료 79

〈표 1-40〉 해수욕지수 산정을 위한 인자 80

〈표 1-41〉 해수욕지수 항목별 가중치 80

〈표 1-42〉 해양관측자료 및 수치예측모델결과 오차(RMSE) 80

〈표 1-43〉 해수욕지수 검증을 위한 관측항목별 관측소명 89

〈표 1-44〉 보퍼트 풍력등급(Beaufort scale) 89

〈표 1-45〉 서해안에 위치한 해수욕장의 해수욕지수 출현율 91

〈표 1-46〉 남해안에 위치한 해수욕장의 해수욕지수 출현율 92

〈표 1-47〉 동해안에 위치한 해수욕장의 해수욕지수 출현율 93

〈표 1-48〉 해수욕장별 입욕통제일 94

〈표 1-49〉 수치예측자료 및 해양관측자료의 오차(RMSE) 95

〈표 1-50〉 수치예측자료를 이용한 해수욕지수와 인근 관측소의 관측자료를 이용한... 96

〈표 1-51〉 해수욕장별 기상구역 및 기상특보일 103

〈표 1-52〉 해수욕지수 등급과 일치하는 연안침식모니터링 영상(서해안) 104

〈표 1-53〉 해수욕지수 등급과 일치하는 연안침식모니터링 영상(남해안) 104

〈표 1-54〉 해수욕지수 등급과 일치하는 연안침식모니터링 영상(동해안) 105

〈표 1-55〉 수치예측자료 및 관측자료를 이용한 해수욕지수와 연안침식모니터링 영상과의... 106

〈표 1-56〉 수치예측자료 및 관측자료를 이용한 해수욕지수와 연안침식모니터링 영상과의... 107

〈표 1-57〉 수치예측자료 및 관측자료를 이용한 해수욕지수와 연안침식모니터링 영상과의... 109

〈표 1-58〉 수치예측자료 및 관측자료를 이용한 해수욕지수와 연안침식모니터링 영상과의... 110

〈표 1-59〉 수치예측자료 및 관측자료를 이용한 해수욕지수와 연안침식모니터링 영상과의... 111

〈표 1-60〉 수치예측자료 및 관측자료를 이용한 해수욕지수와 연안침식모니터링 영상과의... 112

〈표 1-61〉 우리나라 갯벌면적 분포 현황 115

〈표 1-62〉 해역별 갯벌체험장 115

〈표 1-63〉 시범 갯벌체험장 상세정보 118

〈표 1-64〉 시범 갯벌체험장 제시 체험가능시간 통계(2015년 5월~10월) 119

〈표 1-65〉 갯벌체험지수 정점의 인근 관측소 120

〈표 1-66〉 갯벌체험지수 산정을 위한 인자 121

〈표 1-67〉 날씨점수에 따른 갯벌체험지수 테스트 결과(2015년 6월 기준) 122

〈표 1-68〉 갯벌체험지수 출현율 125

〈표 1-69〉 바다갈라짐체험 시간 및 기준 조위관측소(2015년 5월~10월) 128

〈표 1-70〉 월별 바다갈라짐 체험 가능 횟수(2015년 낮(9시~18시) 기준) 129

〈표 1-71〉 바다갈라짐체험지수 정점의 인근 관측소 129

〈표 1-72〉 바다갈라짐체험지수 산정을 위한 인자 130

〈표 1-73〉 바다갈라짐체험지수 출현율 133

〈표 1-74〉 해역별 스쿠버 구역 136

〈표 1-75〉 해저 상태에 따른 시야 138

〈표 1-76〉 잠수사들이 받는 항력 139

〈표 1-77〉 수온에 따른 wet suit 기준 139

〈표 1-78〉 동해, 남해에 위치한 주요 관측소의 수온 통계(2005년~2014년) 140

〈표 1-79〉 스킨스쿠버지수 시범구역 141

〈표 1-80〉 스킨스쿠버지수 정점의 인근 관측소 142

〈표 1-81〉 스킨스쿠버지수 산정을 위한 인자 142

〈표 1-82〉 스킨스쿠버지수 민감도 테스트 결과 143

〈표 1-83〉 스킨스쿠버지수 출현율 144

〈표 1-84〉 낚시의 종류 146

〈표 1-85〉 낚시터 수(추정) 147

〈표 1-86〉 낚시 대상지역별 선호도 147

〈표 1-87〉 유어낚시 인구 및 총조획량 추정결과 147

〈표 1-88〉 유어 낚시 어종별 조획량 추정결과 148

〈표 1-89〉 바다낚시지수 대상어의 상세 정보(감성돔) 151

〈표 1-90〉 바다낚시지수 대상어의 상세 정보(벵에돔) 151

〈표 1-91〉 바다낚시지수 대상어의 상세 정보(돌돔) 152

〈표 1-92〉 바다낚시지수 대상어의 상세 정보(조피볼락) 152

〈표 1-93〉 갯바위 및 선상낚시 포인트 개수 153

〈표 1-94〉 바다낚시지수 정점 상세 정보 157

〈표 1-95〉 낚시관리 및 육성법 시행에 따른 낚시어선의 출항제한 158

〈표 1-96〉 바다낚시지수 정점의 인근 관측소 158

〈표 1-97〉 해역별 수온 통계 159

〈표 1-98〉 바다낚시지수 산정을 위한 인자 160

〈표 1-99〉 바다낚시지수 항목별 가중치 161

〈표 1-100〉 2015년 6월~8월 수치예측자료를 이용한 지수 분포 162

〈표 1-101〉 바다낚시지수 출현율 165

〈표 1-102〉 톤수별 우리나라 여객선 현황(2014년 말 기준) 171

〈표 1-103〉 선종별 우리나라 여객선 현황(2014년 말 기준) 172

〈표 1-104〉 소형선 선식의 길이 및 수심 172

〈표 1-105〉 지방청별 여객선 현황 173

〈표 1-106〉 연안항로 해양정보에서 서비스 하는 항로 현황 175

〈표 1-107〉 뱃멀미지수 정점의 인근 관측소 176

〈표 1-108〉 기본정점과 세부화한 정점의 뱃멀미지수 결과 비교(2015. 6. 13~10. 20) 177

〈표 1-109〉 뱃멀미지수 설정범위 178

〈표 1-110〉 뱃멀미지수 산정을 위한 인자 182

〈표 1-111〉 뱃멀미지수 항목별 가중치 182

〈표 1-112〉 뱃멀미지수 출현율 183

〈표 2-1〉 목적에 따른 지수의 분류 188

〈표 2-2〉 지수의 목적과 기대기능과의 관계 188

〈표 2-3〉 선박 사고위험도 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김화영 등, 2013) 요약 191

〈표 2-4〉 선박 사고위험도 지수 구성항목 191

〈표 2-5〉 사고 통계기반 선박사고 예방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배준기 등, 2014) 요약 192

〈표 2-6〉 연안쇄파지수 산정 시스템(U.S. Navy, 2006) 요약 193

〈표 2-7〉 추가 수로 폭에 관한 지침(국제항로협회, 1997) 194

〈표 2-8〉 어선을 대상으로 하는 수로 폭 195

〈표 2-9〉 해양레저 선박의 설계범주별 풍속 및 파고 등급(한국선급, 2011) 195

〈표 2-10〉 해역별 해양관측자료 분석기간 및 항목(서해중부) 197

〈표 2-11〉 해역별 해양관측자료 분석기간 및 항목(서해남부) 197

〈표 2-12〉 해역별 해양관측자료 분석기간 및 항목(남해서부) 197

〈표 2-13〉 해역별 해양관측자료 분석기간 및 항목(남해동부) 197

〈표 2-14〉 해역별 해양관측자료 분석기간 및 항목(제주해역) 198

〈표 2-15〉 해역별 해양관측자료 분석기간 및 항목(동해남부) 198

〈표 2-16〉 해역별 해양관측자료 분석기간 및 항목(동해중부) 198

〈표 2-17〉 해역별 해양관측자료의 평균 198

〈표 2-18〉 광역 및 상세(항만)지수 산출 주요인자 적용기준 199

〈표 2-19〉 상세(마리나)지수 산출 주요인자 적용기준 199

〈표 2-20〉 해역별 선박사고사례 수집 200

〈표 2-21〉 해양수치예측모델 개요 204

〈표 2-22〉 지수산출 시간영역 209

〈표 2-23〉 시간 및 공간적 대표지수 산출방법 검토 210

〈표 2-24〉 대표지수 산출방법 적용 및 검토 기간 210

〈표 2-25〉 해역별 지수 출현율 산출결과(2015년 6월 6일) 211

〈표 2-26〉 해역별 지수 출현율 산출결과(2015년 6월 7일) 212

〈표 2-27〉 해역별 지수 출현율 산출결과(2015년 7월 10일) 213

〈표 2-28〉 해역별 지수 출현율 산출결과(2015년 7월 11일) 214

〈표 2-29〉 해역별 지수 출현율 산출결과(2015년 7월 12일) 215

〈표 2-30〉 해역별 지수 출현율 산출결과(2015년 7월 13일) 216

〈표 2-31〉 해역별 지수 출현율 산출결과(2015년 7월 23일) 217

〈표 2-32〉 해역별 지수 출현율 산출결과(2015년 7월 24일) 218

〈표 2-33〉 해역별 지수 출현율 산출결과(2015년 7월 25일) 219

〈표 2-34〉 해역별 지수 출현율 산출결과(2015년 7월 26일) 220

〈표 2-35〉 지수 산출 시기별 적정성 검토 기간 221

〈표 2-36〉 지수산출 위치별 적정성 검토를 위한 해역별 대상 해양관측부이 229

vol.2 475

〈표 1-1〉 스풀 실행 명령어 485

〈표 1-2〉 스풀 설정 파일(예시) 485

〈표 1-3〉 조위관측소별 1·2차 통과필터 통과주기 491

〈표 1-4〉 조위관측소별 잔차 조위관측소 선정 492

〈표 1-5〉 시스템과 신규 품질처리한 조위자료 개요 495

〈표 1-6〉 신·구 품질처리 조위의 편차의 통계 497

〈표 1-7〉 신·구 품질처리 조위의 통계치 비교 502

〈표 1-8〉 신규 품질처리 방법을 적용한 관측소별 조위관측자료 재처리 503

〈표 1-9〉 신·구 품질처리 조위자료의 형식 505

〈표 2-1〉 실시간 조위관측자료 서비스 511

〈표 2-2〉 조위 예측자료 서비스 512

〈표 2-3〉 관측소 극치정보 서비스 512

〈표 2-4〉 요구사항 정의 514

〈표 2-5〉 실시간 고조정보 화면레이아웃 요소 설명 519

〈표 2-6〉 조차 정보 서비스 화면 레이아웃 요소 설명 522

〈표 2-7〉 자료 수집 및 배포 서비스 프로그램 목록 523

〈표 2-8〉 실시간 고조정보 2차원 서비스 주요 파일 설명 525

〈표 2-9〉 실시간 고조정보 3차원 서비스 주요 파일 설명 526

〈표 2-10〉 조차 정보 서비스 주요 파일 설명 531

〈표 2-11〉 조위관측소 JSON 파일설명 542

〈표 2-12〉 중요시설물 JSON 파일설명 544

〈표 3-1〉 장기조석 관측 개요 548

〈표 3-2〉 조위 관측기기의 제원 549

〈표 3-3〉 조화상수 및 비조화상수 계산식 552

〈표 3-4〉 조위 관측 자료 개요 554

〈표 3-5〉 표척 관측 자료와 조위 관측 자료의 관계 557

〈표 3-6〉 조화상수 및 비조화상수(서망항) 559

〈표 3-7〉 쉬미항 연보정조위 산출 563

〈표 3-8〉 우수영항 연보정조위 산출 564

〈표 3-9〉 서망항 기본수준면 결정 565

〈표 3-10〉 기본수준점 신·구성과 비교 567

〈표 3-11〉 기본수준점 성과표 568

〈표 4-1〉 기준면 결정 조사 개요 571

〈표 4-2〉 2등급 수준측량 기준 572

〈표 4-3〉 GNSS 관측 기준 574

〈표 4-4〉 백령도 기본수준점 현황조사 결과 575

〈표 4-5〉 백령도 수준측량 결과 576

〈표 4-6〉 백령도 GNSS 관측결과 576

〈표 4-7〉 연평도 기본수준점 현황조사 결과 577

〈표 4-8〉 연평도 수준측량 결과 578

〈표 4-9〉 연평도 GNSS 관측결과 578

〈표 4-10〉 경인항 기본수준점 현황조사 결과 579

〈표 4-11〉 경인항 수준측량 결과 580

〈표 4-12〉 경인항 GNSS 관측결과 580

〈표 4-13〉 삼천포 기본수준점 현황조사 결과 581

〈표 4-14〉 삼천포항 수준측량 결과 582

〈표 4-15〉 삼천포항 GNSS 관측결과 582

〈표 4-16〉 교본초 기본수준점 현황조사 결과 583

〈표 4-17〉 교본초 GNSS 관측결과 583

〈표 4-18〉 주요조화상수, 비조화상수와 예보 조화상수(백령도) 584

〈표 4-19〉 기준면 결정(백령도) 585

〈표 4-20〉 주요조화상수, 비조화상수와 예보 조화상수(연평도) 586

〈표 4-21〉 기준면 결정(연평도) 587

〈표 4-22〉 주요조화상수, 비조화상수와 예보 조화상수(경인항) 588

〈표 4-23〉 기준면 결정(경인항) 589

〈표 4-24〉 주요조화상수, 비조화상수와 예보 조화상수(삼천포) 590

〈표 4-25〉 기준면 결정(삼천포) 591

〈표 4-26〉 주요조화상수 및 비조화상수(교본초) 592

〈표 4-27〉 기준면 결정(교본초) 593

〈표 4-28〉 주요조화상수, 비조화상수와 예보 조화상수(순천만) 594

〈표 4-29〉 기준면 결정(순천만) 595

〈표 4-30〉 조위자료와 표척자료의 편차 596

〈표 4-31〉 신규 TBM 성과표 및 평균해면고(백령도) 596

〈표 4-32〉 신규 TBM 성과표 및 평균해면고(순천만) 598

〈표 5-1〉 관측소 기본 정보 600

〈표 5-2〉 해양관측소 수리·변동 이력 601

〈표 5-3〉 기준면 결정(2012년) 602

〈표 5-4〉 기존 주요조화상수, 비조화상수와 예보 조화상수 603

〈표 5-5〉 신규 기준면 결정 604

〈표 5-6〉 신규 주요조화상수, 비조화상수와 예보 조화상수 605

〈표 5-7〉 부대장비 부착사항 606

〈표 5-8〉 해양관측 항목 607

〈표 5-9〉 기상관측 항목 607

〈표 5-10〉 월별 조위 수집률 608

〈표 5-11〉 조위 통계 값 608

〈표 5-12〉 월별 유의파고 수집률 611

〈표 5-13〉 유의파고 통계 값 611

〈표 5-14〉 월별 유의파주기 수집률 612

〈표 5-15〉 유의파주기 통계 값 612

〈표 5-16〉 월별 수집률 613

〈표 5-17〉 기온 통계 값 613

〈표 5-18〉 월별 수집률 614

〈표 5-19〉 기압 통계 값 614

〈표 5-20〉 월별 풍속 수집률 615

〈표 5-21〉 풍속 통계 값 615

〈표 5-22〉 도농탄 해양관측소의 관측항목별 종합 수집률 618

〈표 5-23〉 도농탄 해양관측소와 주변 조위관측소의 조시차 조고비 618

〈표 5-24〉 관측소 기본 정보 620

〈표 5-25〉 해양관측소 수리·변동 이력 621

〈표 5-26〉 기준면 결정(2012년) 622

〈표 5-27〉 기존 주요조화상수, 비조화상수와 예보 조화상수 623

〈표 5-28〉 부대장비 부착사항 624

〈표 5-29〉 해양관측 항목 625

〈표 5-30〉 기상관측 항목 625

〈표 5-31〉 월별 조위 수집률 626

〈표 5-32〉 조위 통계 값 626

〈표 5-33〉 월별 유의파고 수집률 629

〈표 5-34〉 유의파고 통계 값 629

〈표 5-35〉 월별 유의파주기 수집률 630

〈표 5-36〉 유의파주기 통계 값 630

〈표 5-37〉 월별 수집률 631

〈표 5-38〉 기온 통계 값 631

〈표 5-39〉 월별 수집률 632

〈표 5-40〉 기압 통계 632

〈표 5-41〉 월별 풍향·풍속 수집률 633

〈표 5-42〉 풍속 통계 값 633

〈표 5-43〉 속초등표 해양관측소의 관측항목별 종합 수집률 636

〈표 5-44〉 속초등표 해양관측소와 속초조위관측소의 조시차 조고비 비교 636

〈표 5-45〉 관측소 기본 정보 638

〈표 5-46〉 해양관측소 수리·변동 이력 639

〈표 5-47〉 기준면 결정(2012년) 640

〈표 5-48〉 기존 주요조화상수, 비조화상수와 예보 조화상수 641

〈표 5-49〉 부대장비 부착사항 642

〈표 5-50〉 해양관측 항목 643

〈표 5-51〉 기상관측 항목 643

〈표 5-52〉 월별 조위 수집률 644

〈표 5-53〉 조위 통계 값 644

〈표 5-54〉 월별 유의파고 수집률 647

〈표 5-55〉 유의파고 통계 값 647

〈표 5-56〉 월별 유의파주기 수집률 648

〈표 5-57〉 월별 최대 최소 유의파주기 648

〈표 5-58〉 월별 수집률 649

〈표 5-59〉 월별 최대 최소 기온 649

〈표 5-60〉 월별 수집률 650

〈표 5-61〉 월별 최대 최소 기압 값 650

〈표 5-62〉 월별 풍속 수집률 651

〈표 5-63〉 월별 풍속 최대 651

〈표 5-64〉 쌍정초 해양관측소의 관측항목별 종합 수집률 654

〈표 5-65〉 쌍정초 해양관측소와 울릉도 조위관측소의 조시차 조고비 비교 654

〈표 6-1〉 통합조위자료 시범제작 대상 정점 개요 657

〈표 6-2〉 표준 원시조위자료 포맷 658

〈표 6-3〉 정점별 조위자료의 관측 및 예보기간 659

〈표 6-4〉 통합조위자료 포맷(예시) 660

〈표 6-5〉 표준 원시조위자료 상세정보 661

〈표 6-6〉 통합조위자료 관측정보 663

〈표 6-7〉 통합조위자료 조위정보 669

〈표 6-8〉 통합조위와 시스템 조위 통계 675

〈표 6-9〉 통합조위와 시스템 조위자료 비교(인천) 675

〈표 6-10〉 통합조위와 시스템 조위자료 비교(제주) 677

〈표 6-11〉 통합조위자료와 시스템 조위자료 비교(부산) 679

〈표 6-12〉 통합조위자료와 시스템 조위자료 비교(묵호) 681

〈표 7-1〉 조위관측소 정점 및 기상관측항목(황해안) 691

〈표 7-2〉 조위관측소 정점 및 기상관측항목(남해안, 동해안) 692

〈표 7-3〉 해양관측소 정점 및 기상관측항목 693

〈표 7-4〉 해양과학기지 정점 및 기상관측항목 693

〈표 7-5〉 해양관측부이 정점 및 기상관측항목 693

〈표 7-6〉 조위관측소/해양관측소 기상관측장비 제원 695

〈표 7-7〉 기상 관측장비(AIO) 696

〈표 7-8〉 기상 관측장비(HMP155) 697

〈표 7-9〉 기상 관측장비(HMP45A) 697

〈표 7-10〉 기상 관측장비(PTB210) 698

〈표 7-11〉 기상 관측장비(Wind Monitor-M A 05106) 698

〈표 7-12〉 실시간 자료의 1차 품질처리 기법 기본개념 및 FLAG 704

〈표 7-13〉 실시간 자료의 1차 품질검사 내용 705

〈표 7-14〉 관측항목별 1차 자동 품질관리 규격 709

〈표 7-15〉 통계처리, 분석방법 상세설명 710

〈표 7-16〉 관측항목별 2차 품질관리, 통계처리 실행여부 710

〈표 7-17〉 스칼라(scala) 값 : 기온, 기압, 풍속, 최대순간 풍속 711

〈표 7-18〉 벡터(vector) 값 : 풍향 711

〈표 7-19〉 해양기상관측장비 표준규격 712

〈표 7-20〉 데이터로거의 표준규격 713

〈표 7-21〉 1차 품질처리 기준 714

〈표 7-22〉 관측센서의 신호 및 자료처리 표준규격 714

〈표 7-23〉 자료구조의 표준규격 715

〈표 7-24〉 자료내용구조 716

〈표 7-25〉 부대장비의 표준규격 717

〈표 7-26〉 부대장비의 설치위치 및 표준규격 717

〈표 8-1〉 종이조류도 제작 현황 723

〈표 8-2〉 도엽별 조석 자료 725

〈표 8-3〉 관측치(대조평균최강)와 수치모델 비교결과(610) 727

〈표 8-4〉 관측치(대조평균최강)와 수치모델 비교결과(620) 729

〈표 8-5〉 조류개황(620) 734

〈표 8-6〉 조류개황(620-1) 735

〈표 8-7〉 조류개황(620-2) 736

〈표 8-8〉 조류개황(620-3) 737

〈표 8-9〉 조석 및 조류 곡선에 적용된 정보 743

〈표 8-10〉 조류도 해설 예시(610 도엽) 745

〈표 8-11〉 조류도 용어해설 746

〈표 8-12〉 색인도 및 범례 예시(610도엽) 748

〈표 8-13〉 자오선 통과시 작성 예시(610도엽) 749

〈표 8-14〉 태음시 환산기 작성 예시(610도엽) 750

〈표 9-1〉 바다달력 수록정보 752

〈표 9-2〉 2016년도의 24절기 753

〈표 9-3〉 2016년도의 달의 위상 754

〈표 9-4〉 2016년도의 월령 755

〈표 9-5〉 2016년도의 달의 적위 756

〈표 9-6〉 달의 원지점과 근지점(UTC 기준) 757

〈표 9-7〉 달의 원지점과 근지점(KST 기준) 757

〈표 9-8〉 음력일과 조석주기 달력 758

〈표 9-9〉 너울성 고파 발생 지역 및 월별 발생횟수 통계자료(2005년~2015년 4월) 760

〈표 9-10〉 고조침수 지역 현황조사 762

〈표 9-11〉 2016년 지역별 고조침수 발생 예측 월 762

〈표 9-12〉 기상해일 발생 지역과 피해 현황 763

〈표 9-13〉 2015년 바다갈라짐 위치와 발생 월 정보 764

〈표 9-14〉 우리나라 주변에서 발생한 지진해일 현황 765

〈표 9-15〉 조석전선 발생지역 및 발생 월 766

〈표 9-16〉 용승 발생 지역 및 월별 발생일수 통계자료(2010~2014년) 767

〈표 9-17〉 이안류 발생 지역 및 피해 인원 769

〈표 9-18〉 적조 발생 지역 및 월별 적조 발생일수 통계자료 771

〈표 9-19〉 최근 6년간 해무 발생지역 및 월별 해무 발생일수 통계자료(2010~2015년 10월) 775

〈표 9-20〉 해수욕장 개·폐장 일자 782

〈표 9-21〉 바다 축제 784

〈표 9-22〉 해양관련 기념일 788

〈표 9-23〉 세계 주요 해양사 792

〈표 9-24〉 세계 3대 주요 해전 793

〈표 10-1〉 조석예보 검증 및 분석 개요 825

〈표 10-2〉 표준항 조위관측소 개요 826

〈표 10-3〉 비표준항 조위관측소 개요 827

〈표 10-4〉 2014년 조위 잔차 및 조위 예보치와 관측치의 상관관계 850

〈표 10-5〉 2014년 조위 잔차 및 조위 예보치와 관측치의 상관관계 통계 851

〈표 10-6〉 2014년도 조위 관측치와 예보치의 고·저조 시간차 통계 851

〈표 10-7〉 해역별 예보 연평균해면 변경 기준 852

〈표 10-8〉 조위관측소의 연평균해면(Ao) 검토 861

〈표 10-9〉 해역별 예보조화상수 변경 기준 862

〈표 10-10〉 조위관측소의 조화상수 검토 864

〈표 10-11〉 조위관측소 예보조위 검토 865

〈표 10-12〉 표준항의 변경 예보조화상수(완도) 867

〈표 10-13〉 신규 조위관측소의 표준항 예보조화상수(백령도) 868

〈표 10-14〉 장기조석의 비표준항 예보조화상수(외포리) 871

〈표 10-15〉 비표준항의 2016년 예보조화상수 873

〈표 10-16〉 표준항의 예보조화상수 874

〈표 11-1〉 조사개요 878

〈표 11-2〉 장비제원 879

〈표 11-3〉 바다갈라짐 예보 검증결과(실미도) 880

〈표 11-4〉 바다갈라짐 예보 검증결과(소야도) 883

〈표 11-5〉 바다갈라짐 예보 검증결과(제부도) 887

〈표 11-6〉 바다갈라짐 예보 검증결과(웅도) 889

〈표 11-7〉 바다갈라짐 예보 검증결과(무창포) 892

〈표 11-8〉 바다갈라짐 예보 검증결과(하섬) 895

〈표 11-9〉 바다갈라짐 예보 검증결과(우도) 899

〈표 11-10〉 바다갈라짐 예보상수 901

〈표 11-11〉 웅도(대산) 예보 조석 결정("울산항 항계 안전 시스템 구축 및 해양자료 종합분석", 2013년) 902

〈표 12-1〉 관측 개요 905

〈표 12-2〉 1주야 조류의 조화상수 911

〈표 12-3〉 1주야 조류의 최강 유속 922

〈표 12-4〉 예보 조류와 관측 최강조류의 비교 923

〈표 12-5〉 동방 및 북방 유속 예보치와 관측치의 관계 928

〈표 12-6〉 조류관측자료 개요 937

〈표 12-7〉 동방 및 북방 유속 예보치와 관측치의 관계 943

〈표 12-8〉 변경과 추가 조류예보 평가 949

〈표 12-9〉 조석과 조류의 관계 950

〈표 12-10〉 전류시, 최강류시 및 관측, 대조평균, 연간 최강유향·유속 955

〈표 12-11〉 조류예보 지점의 전류시, 최강류시, 대조평균최강 유향·유속 및 지속시간 960

〈표 12-12〉 조류예보 분석자료 개요 964

〈표 12-13〉 조류 예보상수 968

〈표 12-14〉 조류의 형태 1014

〈표 12-15〉 조석과 조류의 관계 1016

〈표 12-16〉 조류예보 지점의 전류시, 최강류시, 대조평균최강 유향·유속 및 지속시간 1042

〈표 13-1〉 고·저조 시각 계산에 사용한 관측조위와 예보조위 자료 1059

〈표 13-2〉 관측조위와 예보조위의 고·저조 시각 편차 통계 1060

〈표 14-1〉 관측자료 개요 1065

〈표 14-2〉 수심자료 개요 1065

〈표 15-1〉 촬영장비의 제원 1112

〈표 16-1〉 조사개요 1115

〈표 16-2〉 장비제원 1116

〈표 17-1〉 조석·조류 가시화 개요 1128

〈표 17-2〉 사진촬영 제원 1129

〈표 18-1〉 조사개요 1141

〈표 18-2〉 장비제원 1142

〈표 18-3〉 현재 3단계 고조정보 기준설정 간격 산출방법 1147

〈표 18-4〉 3단계 고조정보 제공기준 현황 1147

〈표 18-5〉 예보기준 설정 1148

〈표 18-6〉 대상지역의 지역특화 고조정보 기준 1149

〈표 18-7〉 창원시 마산 합포구의 지역특화 3단계 예보 고조정보 1150

〈표 18-8〉 목포시 대반동 일대의 지역특화 3단계 예보 고조정보 1155

〈표 18-9〉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도의 지역특화 3단계 예보 고조정보 1157

〈표 19-1〉 용어의 정의 1160

〈표 19-2〉 연안 및 하구에서 발생하는 피해 및 담당 부처·기관 1161

〈표 19-3〉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령 제3조 1163

〈표 19-4〉 해양수산부 주요 협업 기능 1164

〈표 19-5〉 위기경보 절차 1166

〈표 20-1〉 관측 개요 1173

〈표 20-2〉 유속계의 제원 1175

〈표 20-3〉 1주야 조류의 조화상수 1176

〈표 20-4〉 1주야 조류의 최강 유속 1193

〈표 20-5〉 연속조류 관측 개요 1197

〈표 20-6〉 유속계의 제원 1199

〈표 20-7〉 연속조류의 유향·유속별 출현율 1208

〈표 20-8〉 전류시, 최강류시 및 관측, 대조평균, 연간 최강유향·유속 1240

〈표 20-9〉 연속조류 조화상수 및 비조화상수 1246

〈표 20-8〉 전류시, 최강류시 및 관측, 대조평균, 연간 최강유향·유속 1242

〈표 20-9〉 연속조류 조화상수 및 비조화상수 1248

vol.1 9

〈그림 1-1〉 해양예보지수와 예보도 개발의 추진 방향 25

〈그림 1-2〉 생활해양예보지수 개발 모식도 26

〈그림 1-3〉 지수개발 과정 27

〈그림 1-4〉 지표와 인자 선정 과정 28

〈그림 1-5〉 기상청 날씨 예보 표현과 예시 30

〈그림 1-6〉 현재지수 및 지역별 생활기상지수 표현 예시 31

〈그림 1-7〉 지수별 표현예시 33

〈그림 1-8〉 자외선 관측자료 표현예시 34

〈그림 1-9〉 기상청 뱃멀미지수 산정 방법 35

〈그림 1-10〉 기상청 뱃멀미지수 표현 예시 36

〈그림 1-11〉 갯벌영향지수 표현예시 및 산출방법 37

〈그림 1-12〉 교통안전공단 예보 표현 예시 38

〈그림 1-13〉 교통혼잡지도 표현 예시 38

〈그림 1-14〉 국가산불위험예보시스템 표현예시 39

〈그림 1-15〉 대기오염도 표현 예시 40

〈그림 1-16〉 대기환경정보 표현 예시 41

〈그림 1-17〉 주간 안전사고 위험예보 42

〈그림 1-18〉 케에웨더 예보 표현 예시 43

〈그림 1-19〉 수영지수 표현예시 43

〈그림 1-20〉 해변형태 결정 모식도 45

〈그림 1-21〉 AccuWeather의 예보지수 표현예시 47

〈그림 1-22〉 The Weather Channel 48

〈그림 1-23〉 크로아티아 해수욕지수 표현 예시 49

〈그림 1-24〉 홍콩 환경부 해수욕장 수질 지수 표현예시 50

〈그림 1-25〉 석양지수 51

〈그림 1-26〉 관측자료와 수치예측모델 비교정점 53

〈그림 1-27〉 수치예측모델 결과 격자체계 54

〈그림 1-28〉 서수도 관측, 수치예측모델 시계열(좌) 및 일 통계 시계열(우) 58

〈그림 1-29〉 가대암 관측, 수치예측모델 시계열(좌) 및 일 통계 시계열(우) 59

〈그림 1-30〉 십이동파 관측, 수치예측모델 시계열(좌) 및 일 통계 시계열(우) 60

〈그림 1-31〉 신안 관측, 수치예측모델 시계열(좌) 및 일 통계 시계열(우) 61

〈그림 1-32〉 노화도 관측, 수치예측모델 시계열(좌) 및 일 통계 시계열(우) 62

〈그림 1-33〉 제주항 관측, 수치예측모델 시계열(좌) 및 일 통계 시계열(우) 63

〈그림 1-34〉 지귀도 관측, 수치예측모델 시계열(좌) 및 일 통계 시계열(우) 64

〈그림 1-35〉 거문도 관측, 수치예측모델 시계열(좌) 및 일 통계 시계열(우) 65

〈그림 1-36〉 거제도 관측, 수치예측모델 시계열(좌) 및 일 통계 시계열(우) 66

〈그림 1-37〉 광안 관측, 수치예측모델 시계열(좌) 및 일 통계 시계열(우) 67

〈그림 1-38〉 포항 관측, 수치예측모델 시계열(좌) 및 일 통계 시계열(우) 68

〈그림 1-39〉 동해 관측, 수치예측모델 시계열(좌) 및 일 통계 시계열(우) 69

〈그림 1-40〉 연곡 관측, 수치예측모델 시계열(좌) 및 일 통계 시계열(우) 70

〈그림 1-41〉 지자체별 공개 자료에 근거한 해수욕장 분류 현황(302개) 71

〈그림 1-42〉 해수욕지수 산정을 위한 해역별 관측소 및 해수욕장 75

〈그림 1-43〉 해역별 해수욕장 입욕 통제 시기의 파고관측 결과 77

〈그림 1-44〉 해운대 해수욕장 해양관측자료 시계열(2014년 6월~9월) 77

〈그림 1-45〉 선정된 해수욕장 50개소 및 주변 관측소 위치도 78

〈그림 1-46〉 관측자료를 활용한 해수욕지수 81

〈그림 1-47〉 수치예측모델자료를 활용한 해수욕지수 84

〈그림 1-48〉 해수욕지수 편차(관측-수치예측모델) 87

〈그림 1-49〉 해수욕지수 검증지역 및 인자관련 관측정점 88

〈그림 1-50〉 해수욕지수 평균 출현율 90

〈그림 1-51〉 입욕통제일과 해수욕지수 94

〈그림 1-52〉 수치예측자료 및 해양관측자료 시계열(서해안) 97

〈그림 1-53〉 수치예측자료 및 해양관측자료 시계열(남해안) 98

〈그림 1-54〉 수치예측자료 및 해양관측자료 시계열(동해안) 99

〈그림 1-55〉 수치예측자료 및 관측자료를 이용한 해수욕지수 시계열(서해) 100

〈그림 1-56〉 수치예측자료 및 관측자료를 이용한 해수욕지수 시계열(남해) 101

〈그림 1-57〉 수치예측자료 및 관측자료를 이용한 해수욕지수 시계열(동해) 102

〈그림 1-58〉 해수욕지수 서비스 제공 예시 113

〈그림 1-59〉 제2차 연안습지 기초조사에서 조사된 갯벌 114

〈그림 1-60〉 갯벌체험장과 조위관측소 위치도 116

〈그림 1-61〉 시범 갯벌체험장 위치도 118

〈그림 1-62〉 조위에 따른 갯벌체험지수 테스트 결과(2015년 6월 기준) 123

〈그림 1-63〉 갯벌체험지수 평균 출현율 125

〈그림 1-64〉 갯벌체험지수 서비스 제공 예시 126

〈그림 1-65〉 바다갈라짐 지역 및 조위관측소 위치도 127

〈그림 1-66〉 바다갈라짐체험지수 민감도 테스트 결과 131

〈그림 1-67〉 바다갈라짐체험지수 평균 출현율 133

〈그림 1-68〉 바다갈라짐체험지수 서비스 제공 예시 134

〈그림 1-69〉 스쿠버다이빙 구역 및 파고관측정점 136

〈그림 1-70〉 스쿠버시 제약요소 138

〈그림 1-71〉 수온에 따른 다이빙 슈트 기준 140

〈그림 1-72〉 스킨스쿠버지수 시범구역 141

〈그림 1-73〉 스킨스쿠버지수 민감도 테스트 결과(남해(좌), 동해(우)) 143

〈그림 1-74〉 스킨스쿠버지수 평균 출현율 144

〈그림 1-75〉 스킨스쿠버지수 서비스 제공 예시 145

〈그림 1-76〉 바다낚시 주요 대상어 및 시즌 149

〈그림 1-77〉 갯바위 및 선상낚시 포인트 154

〈그림 1-78〉 어종별 시범 정점 및 주변관측소 154

〈그림 1-79〉 대상어별 시범 포인트 및 조위관측소 155

〈그림 1-80〉 바다낚시지수 민감도 테스트 결과 163

〈그림 1-81〉 바다낚시지수 평균 출현율 165

〈그림 1-82〉 바다낚시지수 서비스 제공 예시 166

〈그림 1-83〉 Weighting values of vertical acceleration componentsdepending on... 167

〈그림 1-84〉 전국 연안여객선 항로 173

〈그림 1-85〉 뱃멀미지수 시범항로 및 주변 관측소 174

〈그림 1-86〉 시범항로를 등간격으로 세분화한 정점 177

〈그림 1-87〉 뱃멀미지수 설정범위 178

〈그림 1-88〉 가중치적용 시계열결과 179

〈그림 1-89〉 뱃멀미지수 평균 출현율 184

〈그림 1-90〉 뱃멀미지수 서비스 제공 예시 184

〈그림 2-1〉 선박운항지수 개발 대상영역 189

〈그림 2-2〉 선박운항지수 개발 방법 190

〈그림 2-3〉 선박사고 예방지수 산출결과 예시 192

〈그림 2-4〉 연안쇄파지수 산정결과 예시 193

〈그림 2-5〉 관련 자료의 분석을 통한 적용성 도출 195

〈그림 2-6〉 해역별 해양관측시설 위치 196

〈그림 2-7〉 선박 사고 발생 시 관측자료 및 지수적용(서해중부) 200

〈그림 2-8〉 선박 사고 발생 시 관측자료 및 지수적용(서해남부) 201

〈그림 2-9〉 선박 사고 발생 시 관측자료 및 지수적용(남해서부) 201

〈그림 2-10〉 선박 사고 발생 시 관측자료 및 지수적용(남해동부) 202

〈그림 2-11〉 선박 사고 발생 시 관측자료 및 지수적용(제주해역) 202

〈그림 2-12〉 선박 사고 발생 시 관측자료 및 지수적용(동해남부) 203

〈그림 2-13〉 선박 사고 발생 시 관측자료 및 지수적용(동해중부) 203

〈그림 2-14〉 레저선박 사고 발생 시 관측자료 및 지수적용 204

〈그림 2-15〉 해역별 해양수치예측모델 격자망도(광역) 205

〈그림 2-16〉 해역별 해양수치예측모델 격자망도(항만) 206

〈그림 2-17〉 해역별 해양수치예측모델 격자망도(마리나) 207

〈그림 2-18〉 항로에 대한 지수산출 방법 모식도 208

〈그림 2-19〉 부산항 지수 산출 항로 209

〈그림 2-20〉 인천항 지수 산출 항로 209

〈그림 2-21〉 선박운항지수 시험산출 결과(2015년 6월 6일) 221

〈그림 2-22〉 선박운항지수 시험산출 결과(2015년 6월 7일) 222

〈그림 2-23〉 선박운항지수 시험산출 결과(2015년 7월 10일) 223

〈그림 2-24〉 선박운항지수 시험산출 결과(2015년 7월 11일) 224

〈그림 2-25〉 선박운항지수 시험산출 결과(2015년 7월 12일) 225

〈그림 2-26〉 선박운항지수 시험산출 결과(2015년 7월 24일) 226

〈그림 2-27〉 선박운항지수 시험산출 결과(2015년 7월 25일) 227

〈그림 2-28〉 선박운항지수 시험산출 결과(2015년 7월 26일) 228

〈그림 2-29〉 지수산출 위치별 적정성 검토를 위한 해양관측부이 위치 229

〈그림 2-30〉 지수산출 결과 비교 230

〈그림 3-1〉 생활해양예보지수별 단계별 아이콘 234

〈그림 3-2〉 온(ON)바다 '바다좋아?!' 화면 235

〈그림 3-3〉 인터넷방송 해수욕지수 서비스 제공 예시 236

〈그림 3-4〉 인터넷방송 갯벌체험지수 및 바다갈라짐체험지수 서비스 제공 예시 237

〈그림 3-5〉 인터넷방송 스킨스쿠버지수 서비스 제공 예시 238

〈그림 3-6〉 인터넷방송 바다낚시지수 서비스 제공 예시 239

〈그림 3-7〉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에 제공된 생활해양예보지수 화면 240

〈그림 3-8〉 생활해양예보지수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 도움말 241

〈그림 3-9〉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 해수욕지수 서비스 제공 예시 243

〈그림 3-10〉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 갯벌체험지수 서비스 제공 예시 244

〈그림 3-11〉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 바다갈라짐체험지수 서비스 제공 예시 245

〈그림 3-12〉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 스킨스쿠버지수 서비스 제공 예시 245

〈그림 3-13〉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 바다낚시지수 서비스 제공 예시 246

〈그림 3-14〉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 뱃멀미지수 서비스 제공 예시 246

〈그림 3-15〉 광역 해양예보도 도면 형식 예시 247

〈그림 3-16〉 상세권역 해양예보도 도면 형식 예시 248

vol.2 466

〈그림 1-1〉 새로운 조위관측자료 품질처리 순서도 484

〈그림 1-2〉 비정각 조위 추출의 예 486

〈그림 1-3〉 원시조위의 정수형 표현으로 인한 톱니 현상 예 487

〈그림 1-4〉 해역별 조위자료 품질처리 순서도 487

〈그림 1-5〉 5시간미만 결측된 원시 조위자료의 자동보완 예 488

〈그림 1-6〉 자동보완 결측시간 검토 489

〈그림 1-7〉 반자동보완 예 490

〈그림 1-8〉 해역별 보간과 필터링 494

〈그림 1-9〉 1시간 간격 조위 편차〈시스템 조위-신규품질처리 조위〉 495

〈그림 1-10〉 시스템 조위와 신규처리 조위의 비교 497

〈그림 1-11〉 신·구 품질처리 조위의 통계값 편차 498

〈그림 1-12〉 시스템 외부 품질처리업무 절차 506

〈그림 1-13〉 시스템 외부 품질처리업무 절차 506

〈그림 2-1〉 저지대 침수 문제 관련 보도자료 509

〈그림 2-2〉 종합상황실 국가 해양 관측 망 모니터링 시스템 510

〈그림 2-3〉 실시간 조위 관측자료 서비스 요청결과 511

〈그림 2-4〉 조위 예측자료 서비스 요청결과 형식 512

〈그림 2-5〉 관측소 극치정보 서비스 요청결과 513

〈그림 2-6〉 웹소켓 자료전송 특징 513

〈그림 2-7〉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514

〈그림 2-8〉 서비스 흐름 515

〈그림 2-9〉 서비스 설명 515

〈그림 2-10〉 아키텍처 구성 516

〈그림 2-11〉 자료구조 517

〈그림 2-12〉 데이터 흐름 518

〈그림 2-13〉 화면설계서 정의 518

〈그림 2-14〉 실시간 고조정보 화면레이아웃 519

〈그림 2-15〉 실시간 3단계 알림 520

〈그림 2-16〉 실시간 조위차트(전체) 520

〈그림 2-17〉 실시간 조위차트(3단계 부분 확대) 521

〈그림 2-18〉 중요시설물 표출 521

〈그림 2-19〉 관측소 즐겨찾기 522

〈그림 2-20〉 조차 정보 서비스 화면 레이아웃 522

〈그림 2-21〉 자료 수집 및 배포 서비스 프로그램 소스코드 523

〈그림 2-22〉 자료 수집 및 배포 서비스 실행 화면 524

〈그림 2-23〉 자료 수집 및 배포 서비스 운영 화면 524

〈그림 2-24〉 실시간 고조정보 서비스 프로그램 소스 2차원 525

〈그림 2-25〉 실시간 고조정보 서비스 프로그램 소스 3차원 526

〈그림 2-26〉 지도 3차원 가시화 화면 527

〈그림 2-27〉 지도 2차원 가시화 화면 527

〈그림 2-28〉 3단계 고조 차트 화면 528

〈그림 2-29〉 중요시설물 차트 화면 528

〈그림 2-30〉 관측소 즐겨찾기 설정 화면 529

〈그림 2-31〉 관측소 즐겨찾기 설정 후 표출 화면 529

〈그림 2-32〉 관측소 선택 시 표출화면 530

〈그림 2-33〉 조차 정보 프로그램 소스 목록 531

〈그림 2-34〉 조차 정보 서비스화면(3시간) 532

〈그림 2-35〉 조차정보 서비스화면(15시간) 532

〈그림 2-36〉 설치 첫 화면 533

〈그림 2-37〉 설치 폴더 선택 534

〈그림 2-38〉 설치 준비 확인 534

〈그림 2-39〉 설치 시작 535

〈그림 2-40〉 설치 완료 535

〈그림 2-41〉 서비스 운영 536

〈그림 2-42〉 서비스 실행 및 중지 536

〈그림 2-43〉 서비스 제거 선택 537

〈그림 2-44〉 서비스 제거 시작 537

〈그림 2-45〉 서비스 제거 완료 537

〈그림 2-46〉 Nginx 압축 푼 화면 538

〈그림 2-47〉 웹서비스 실행 화면 538

〈그림 2-48〉 웹서비스 설정 539

〈그림 2-49〉 NodeJS 홈페이지 540

〈그림 2-50〉 NodeJS 홈페이지 540

〈그림 2-51〉 NodeJS 홈페이지 541

〈그림 2-52〉 실시간 고조정보 웹서비스 운영 542

〈그림 2-53〉 조위관측소 정보 수정 543

〈그림 2-54〉 조위관측소 정보 수정 543

〈그림 2-55〉 중요시설물 정보 수정 544

〈그림 2-56〉 홈페이지에 배너를 통한 연계 방안 546

〈그림 2-57〉 자료 연계 방안 546

〈그림 3-1〉 장기조석관측 위치도 548

〈그림 3-2〉 조석 자료 처리 절차 550

〈그림 3-3〉 장기조석관측 시계열 자료 555

〈그림 3-4〉 기준항과 관측항의 편차 비교 556

〈그림 3-5〉 수위자료와 표척자료와의 상관관계 557

〈그림 4-1〉 신규 기준면 결정 위치도 571

〈그림 4-2〉 기본수준점 현황조사(예시) 572

〈그림 4-3〉 수준측량(예시) 573

〈그림 4-4〉 표척관측(예시) 573

〈그림 4-5〉 GNSS 관측(예시) 574

〈그림 4-6〉 백령도 표척관측 자료 576

〈그림 4-7〉 연평도 표척관측 자료 578

〈그림 4-8〉 경인항 표척관측 자료 580

〈그림 4-9〉 삼천포항 표척관측 자료 582

〈그림 4-10〉 교본초 표척관측 자료 583

〈그림 5-1〉 도농탄 해양관측소 위치도와 전경 600

〈그림 5-2〉 부대장비 사진 606

〈그림 5-3〉 연도별 조위 609

〈그림 5-4〉 연도별 잔차 610

〈그림 5-5〉 도농탄 해양관측소 주변의 수심도 616

〈그림 5-6〉 도농탄 해양관측소의 품질 저하 기간의 관측치, 예측치, 잔차 617

〈그림 5-7〉 재생산된 도농탄 해양관측소의 소조기 조위자료와 관측자료의 비교 619

〈그림 5-8〉 재생산된 도농탄 해양관측소의 대조기 조위자료와 관측자료의 비교 619

〈그림 5-9〉 속초등표 해양관측소 위치도 및 전경 620

〈그림 5-10〉 부대장비 사진 624

〈그림 5-11〉 연도별 조위 627

〈그림 5-12〉 연도별 잔차 628

〈그림 5-13〉 속초등표 해양관측소 주변의 수심도 634

〈그림 5-14〉 속초등표 해양관측소의 품질 저하 기간의 관측치, 예측치, 잔차 635

〈그림 5-15〉 재생산된 속초등표 해양관측소의 소조기 조위자료와 관측자료의 비교 637

〈그림 5-16〉 재생산된 속초등표 해양관측소의 대조기 조위자료와 관측자료의 비교 637

〈그림 5-17〉 쌍정초 해양관측소 위치도와 전경 638

〈그림 5-18〉 부대장비 사진 642

〈그림 5-19〉 연도별 조위 645

〈그림 5-20〉 연도별 잔차 646

〈그림 5-21〉 쌍정초 해양관측소 주변의 수심도 652

〈그림 5-22〉 쌍정초 해양관측소의 품질 저하 기간의 관측치, 예측치, 잔차 653

〈그림 5-23〉 재생산된 쌍정초 해양관측소의 소조기 조위자료와 관측자료의 비교 655

〈그림 5-24〉 재생산된 쌍정초 해양관측소의 대조기 조위자료와 관측자료의 비교 655

〈그림 6-1〉 통합조위 제작 조위관측소 위치도 657

〈그림 6-2〉 원시조위자료 표준화 과정 658

〈그림 6-3〉 통합조위자료 제작과정 모식도 659

〈그림 6-4〉 인천 통합조위, 시스템조위, 편차 683

〈그림 6-5〉 제주 통합조위, 시스템조위, 편차 684

〈그림 6-6〉 부산 통합조위, 시스템조위, 편차 685

〈그림 6-7〉 묵호 통합조위, 시스템조위, 편차 686

〈그림 7-1〉 해양기상관측 위치도 694

〈그림 7-2〉 풍향, 풍속 센서 설치 699

〈그림 7-3〉 기상센서 및 차광통 설치 699

〈그림 7-4〉 일사계 설치 700

〈그림 7-5〉 기압센서(우), 센서 신호 변환장치(좌) 설치 700

〈그림 7-6〉 풍속, 풍향 센서 점검 703

〈그림 7-7〉 일사 센서 점검 703

〈그림 7-8〉 시정 센서 점검 703

〈그림 8-1〉 종이조류도 제작구역도 724

〈그림 8-2〉 해안선 및 수심 자료 작업 흐름도 725

〈그림 8-3〉 조석 관측 위치도 726

〈그림 8-4〉 조류개황 세분 해역(620) 735

〈그림 8-5〉 조류개황 세분 해역(620-1) 736

〈그림 8-6〉 조류개황 세분 해역(620-2) 737

〈그림 8-7〉 조류개황 세분 해역(620-3) 738

〈그림 8-8〉 유속자료 도식 예시(610도엽) 739

〈그림 8-9〉 태음시별 유속자료 도식 예시(610도엽) 740

〈그림 8-10〉 항류도 도식 예시(610도엽) 741

〈그림 8-11〉 등조석도 도식 예시(610도엽) 742

〈그림 8-12〉 조석·조류곡선 도식 예시(610도엽) 744

〈그림 9-1〉 24절기의 각도와 위치 753

〈그림 9-2〉 달의 위상변화와 조석주기 754

〈그림 9-3〉 너울성 고파 760

〈그림 9-4〉 고조침수 761

〈그림 9-5〉 기상해일 763

〈그림 9-6〉 바다갈라짐 764

〈그림 9-7〉 우리나라 바다갈라짐 위치도 764

〈그림 9-8〉 지진해일 765

〈그림 9-9〉 조석전선 766

〈그림 9-10〉 연안냉수대(용승) 767

〈그림 9-11〉 이안류 768

〈그림 9-12〉 적조 770

〈그림 9-13〉 해무 774

〈그림 9-14〉 바다의 형성과정 776

〈그림 9-15〉 지구의 수권 776

〈그림 9-16〉 마리아나 해구 777

〈그림 9-17〉 해저 지형 778

〈그림 9-18〉 해저 수심 측정 방법 778

〈그림 9-19〉 파랑의 구조 779

〈그림 9-20〉 해파리 접촉피해 응급대처법 780

〈그림 9-21〉 엘니뇨현상 781

〈그림 9-22〉 해빙에 따른 해수면 상승 변화 782

〈그림 10-1〉 조위 자료 827

〈그림 10-2〉 조위 잔차의 시계열 변화 835

〈그림 10-3〉 조위 예보치와 관측치의 상관관계 842

〈그림 10-4〉 조위관측소의 연 평균해면 852

〈그림 10-5〉 '추자도'의 년별 천문조평균해면(위)과 지각(아래)의 변화 862

〈그림 10-6〉 '완도'의 년별 천문조평균해면(위)과 지각(아래)의 변화 863

〈그림 10-7〉 순천만 조위관측소의 관측 조위 866

〈그림 11-1〉 바다갈라짐 조사 지역 879

〈그림 11-2〉 바다갈라짐 현상 발생시작 시 전경(실미도, 2015.06.18. 09:44) 880

〈그림 11-3〉 실미도 바다갈라짐 Network-RTK 측량성과 881

〈그림 11-4〉 예보 검증 결과(실미도) 882

〈그림 11-5〉 바다갈라짐 현상 발생시작 시 전경(소야도, 2015.06.17. 13:46) 883

〈그림 11-6〉 소야도 바다갈라짐 RTK 측량성과 884

〈그림 11-7〉 예보 검증 결과(소야도) 885

〈그림 11-8〉 바다갈라짐 현상 발생시작 시 전경(제부도, 2015.06.19. 08:26) 886

〈그림 11-9〉 제부도 바다갈라짐 Network-RTK 측량성과 887

〈그림 11-10〉 예보 검증 결과(제부도) 888

〈그림 11-11〉 바다갈라짐 현상 발생시작 시 전경(웅도, 2015.06.12. 13:30) 889

〈그림 11-12〉 웅도 바다갈라짐 Network-RTK 측량성과 890

〈그림 11-13〉 예보 검증 결과(웅도) 891

〈그림 11-14〉 바다갈라짐 현상 발생시작 시 전경(무창포, 2015.09.01. 10:35) 892

〈그림 11-15〉 무창포 바다갈라짐 Network-RTK 측량성과 893

〈그림 11-16〉 예보 검증 결과(무창포) 894

〈그림 11-17〉 바다갈라짐 현상 발생시작 시 전경(하섬, 2015.09.02. 11:22) 895

〈그림 11-18〉 하섬 바다갈라짐 Network-RTK 측량성과 896

〈그림 11-19〉 예보 검증 결과(하섬) 897

〈그림 11-20〉 바다갈라짐 현상 발생시작 시 전경(우도, 2015.08.07. 12:31) 898

〈그림 11-21〉 우도 바다갈라짐 Network-RTK 측량성과 899

〈그림 11-22〉 예보 검증 결과(우도) 900

〈그림 12-1〉 1주야조류 관측 위치도 906

〈그림 12-2〉 조류관측 세부 위치도(SC-01 자월도 북측, SC-02 이작도 서측) 906

〈그림 12-3〉 1주야 조류 유속(SC-01 자월도북측) 912

〈그림 12-4〉 관측치와 비교(SC-01 자월도 북측, SC-02 이작도 서측) 924

〈그림 12-5〉 최강유속 비교 (SC-01 자월도 북측) 928

〈그림 12-6〉 조류 예보 지점 936

〈그림 12-7〉 정점별 유속, 유향, 벡터 시계열 그래프 937

〈그림 12-8〉 동방 및 북방 유속 예보치와 관측치의 관계 944

〈그림 12-9〉 조석과 조류의 관계 951

〈그림 12-10〉 조석과 조류의 관계 954

〈그림 12-11〉 조류예보 지점 963

〈그림 12-12〉 조석과 조류의 관계 1018

〈그림 12-13〉 조석과 조류의 관계 1041

〈그림 13-1〉 인천 조위곡선(예시) 1058

〈그림 13-2〉 고·저조위 산출 알고리즘 1058

〈그림 13-3〉 비대칭 조위 곡선(예시) 1059

〈그림 13-4〉 예보잔차 합성 조석예보 방법 1060

〈그림 13-5〉 강화대교의 기존 방법과 잔차 합성 조석예보 조위와 관측 조위의 관계 1061

〈그림 13-6〉 목포의 기존 방법과 잔차 합성 조석예보 조위와 관측 조위의 관계 1061

〈그림 14-1〉 속초등표 해양관측소 및 주변 조위관측소 위치 1063

〈그림 14-2〉 속초등표 시설 점검 수행사진 1064

〈그림 14-3〉 속초등표(MIROS)와 속초 조위관측소(OTT)의 조위자료 비교 1066

〈그림 14-4〉 기압에 대한 속초등표(MIROS) 조위관측치의 영향 1067

〈그림 14-5〉 풍속에 대한 속초등표(MIROS) 조위관측치의 영향 1068

〈그림 14-6〉 유의파주기에 대한 속초등표(MIROS) 조위관측치의 영향 1068

〈그림 14-7〉 유의파고에 대한 속초등표(MIROS) 조위관측치의 영향 1069

〈그림 14-8〉 조위 관측값 이상 기간에 따른 영향인자 분석(2015 3월 22일~3월 27일) 1070

〈그림 14-9〉 파랑 수치모델 결과 2015년 3월 22일 21시(KMA, RWW3) 1070

〈그림 14-10〉 파랑 수치모델 결과 2015년 3월 26일 3시(KMA, RWW3) 1071

〈그림 14-11〉 조위 관측값 이상 기간에 따른 영향인자 분석(2015년 4월 2일~4월 4일) 1072

〈그림 14-12〉 파랑 수치모델 결과 2015년 4월 2일 21시(KMA, RWW3) 1072

〈그림 14-13〉 조위 관측값 이상 기간에 따른 영향인자 분석(2015년 4월 20일~4월 22일) 1073

〈그림 14-14〉 파랑 수치모델 결과 2015년 4월 20일 15시(KMA, RWW3) 1074

〈그림 14-15〉 유의파고와 유의파주기에 따른 속초등표(MIROS) 조위관측치의 영향 1075

〈그림 14-16〉 쇄파대 내에서의 쇄파대 순환(wave setup-down) 1075

〈그림 14-17〉 속초등표 인근의 수심도 1076

〈그림 14-18〉 속초등표 인근의 수심 1077

〈그림 14-19〉 조위값과 유의파고 관측자료(2015년 4월 19일~2015년 4월 22일) 1079

〈그림 14-20〉 FFT 분석결과 1080

〈그림 14-21〉 파랑에 영향을 받지 않는 파수와 수심의 관계 1081

〈그림 14-22〉 항주파에 의한 관측자료 노이즈 1082

〈그림 14-23〉 조위값 샘플링 주기의 변경(2015년 4월 20일~2015년 4월 22일) 1083

〈그림 14-24〉 조위값 샘플링 주기의 변경(2015년 5월 11일~2015년 5월 13일) 1084

〈그림 14-25〉 속초등표 인근 AWAC 설치위치 1085

〈그림 14-26〉 너울성 파랑 내습시 파랑 관측자료 1085

〈그림 14-27〉 2015년 7월 태풍파 관측자료 1087

〈그림 14-28〉 태풍 찬홈(CHAN-HOM)과 낭카(NANGKA)의 이동경로 1087

〈그림 14-29〉 파랑 수치모델 결과(KMA, GWW3) 1088

〈그림 14-30〉 2015년 8월 태풍파 관측자료 1089

〈그림 14-31〉 태풍 고니(GONI)의 이동경로 1089

〈그림 15-1〉 과업구역 1110

〈그림 15-2〉 VOD촬영 모식도 1112

〈그림 15-3〉 표척관측과 기준검조소 조위비교 1113

〈그림 16-1〉 현장조사 위치도 1115

〈그림 16-2〉 작업흐름도 1116

〈그림 16-3〉 RTK-GNSS 작업 1117

〈그림 16-4〉 UAV 현장작업 1117

〈그림 16-5〉 Initial Processing 예시 1118

〈그림 16-6〉 Point Cloud and Mesh 예시 1118

〈그림 16-7〉 3차원 갯벌 영상(웅도) 1119

〈그림 16-8〉 3차원 갯벌 영상(우도) 1120

〈그림 16-9〉 3차원 갯벌 영상(무안) 1121

〈그림 16-10〉 3차원 갯벌 영상(냉천) 1122

〈그림 16-11〉 3차원 갯벌 영상(하섬) 1123

〈그림 16-12〉 고해상도 영상 1124

〈그림 17-1〉 조석·조류 가시화 대상지역 1128

〈그림 17-2〉 조류 가시화 작업 흐름도 1129

〈그림 17-3〉 대·중·소조시 고·저조 사진(평택) 1130

〈그림 17-4〉 대·중·소조시 고·저조 사진(대산) 1131

〈그림 17-5〉 대·중·소조시 고·저조 사진(태안) 1132

〈그림 17-6〉 대·중·소조시 고·저조 사진(서천마량) 1133

〈그림 17-7〉 대·중·소조시 고·저조 사진(거제도) 1134

〈그림 17-8〉 소조기, 중조기, 대조기 3차원 가시화(홍도항로) 1135

〈그림 17-9〉 소조기, 중조기, 대조기 3차원 가시화(독거군도) 1136

〈그림 17-10〉 소조기, 중조기, 대조기 3차원 가시화(금당수도) 1137

〈그림 17-11〉 소조기, 중조기, 대조기 3차원 가시화(여수해협) 1138

〈그림 17-12〉 소조기, 중조기, 대조기 3차원 가시화(거차수도) 1139

〈그림 18-1〉 지역특화 조석예보 대상 지역 1141

〈그림 18-2〉 지형측량 결과 1143

〈그림 18-3〉 창원시 마산 합포구 해운동 침수사진 1143

〈그림 18-4〉 마산 조위비교(조위관측소 조위-조위계 조위) 1143

〈그림 18-5〉 목포시 대반동 일대 침수 발생 RTK 지형측량 1144

〈그림 18-6〉 목포시 대반동 해안로 침수발생 지역 사진 1144

〈그림 18-7〉 목포 조위비교(조위관측소 조위-조위계 조위) 1145

〈그림 18-8〉 무의도 침수사진 1145

〈그림 18-9〉 인천 무의도 지형측량 결과 1146

〈그림 18-10〉 인천 조위관측소와 잠진도 표척자료와 비교 1146

〈그림 18-11〉 3단계 고조정보 기준조위 설정 순서도와 방법별 결과 조위 1149

〈그림 18-12〉 대상지역의 3단계 고조정보 기준 조위 설정 모식도 1149

〈그림 19-1〉 재난관리 체계도 및 조수대응 표준절차도 1162

〈그림 19-2〉 「조수」 위기관리를 위한 국립해양조사원의 임무 및 역할 1165

〈그림 19-3〉 위기경보 발령체계 1167

〈그림 20-1〉 1주야 조류 관측 지점 1174

〈그림 20-2〉 일주야조류 유속계 설치도 1175

〈그림 20-3〉 1주야 조류 유속(15HD01) 1178

〈그림 20-4〉 일주야 최강유속(하동항 부근) 1195

〈그림 20-5〉 30야 조류 관측 지점 1198

〈그림 20-6〉 유속관측 모식도 및 현장사진 1199

〈그림 20-7〉 연속조류의 전산처리 순서도 1200

〈그림 20-8〉 유향과 유속의 경시 변화도 1203

〈그림 20-9〉 유향·유속별 출현율도 1212

〈그림 20-10〉 유향·유속 분포도 1217

〈그림 20-11〉 연속조류의 조류와 항류의 시간변화도 1222

〈그림 20-12〉 연속유속벡터도 1227

〈그림 20-13〉 연속조류의 회전성 유속벡터도 1232

〈그림 20-14〉 평균대조기 최강유속도(하동항) 1257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51111 551.4607 -16-5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51112 551.4607 -16-5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51113 551.4607 -16-5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51114 551.4607 -16-5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