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프로그램 4

환영사 / 김주한 7

기조강연 9

1. 변화하는 과학과 대중의 참여 / 버나드 쉴 11

2.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진화 : 재미를 넘어 의미로 / 장대익 23

주제강연 27

1. 대중과 소통 가능한 연구 / 전치형 29

01. 박물관 관람객들의 현행 과학연구 참여에 관하여 : 과제와 기회 / 요하네스 기어트 하그만 35

02. 자원봉사자와 과학보조도구를 이용한 우스키(Usuki) 마애불상군 보존 모니터링 시스템 / 마사유키 모리 43

03. 시민과학 : 실제 과학연구에서의 대중 참여 / 루시D.로빈슨 51

04. 방문객들은 어떻게 전시 디자인 과정에 기여할수 있을까? / 에이마 드 머잔 57

2. 모두를 위한 다차원적 교육 / 전영석 67

01. 모두를 위한 과학교육 / 앨런 브라이언 73

02. 새로운 관객의 발견 / 유미 미야하라 83

03. 금요일 밤이다, 박물관으로 가자! / 수오 87

04. 일본 과학관들의 과학 커뮤니케이션 활동 / 마사타카 와타나베 93

3. 창조와 혁신을 위한 융합 / 문정묵 101

01. '사람들에 의한 과학' 보여주기 : 학제적 접근법 / 앨리슨 보일 107

02. 과학전시에 예술 통합하기 : "물 이야기" 전시와 "곤충의 숨겨진 코드 드러내기" 전시 / 스테파니 우 119

03. 자연사박물관의 순회전시 / 윌리엄 청 129

04. 대중과학기술의 시대, 과학관의 역할은 무엇인가? / 정지훈 137

4. 지속 가능한 운영 / 장인경 139

01. 공장에서 연구실로 : 코페르니쿠스 과학센터 사례연구 / 로버트 펌호퍼 145

02. 박물관 운영 강화를 위한 말레이시아 박물관부(DMM)와 정부기관들의 통합적 협력체계 / 오렝얀 153

03. 마인드 뮤지엄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특징 : 건물 자체의 과학 전시 역할 / 존 애덤 썸빌로 161

04. 모든 사람이 과학의 경이를 느끼도록 만드는 방법 / 칼레드 엘 하니 167

워크숍 173

1. 소화기관, 공기, 꽃의 구조에 관한 유아실험수업 / 조성희 ; 이미화 175

2. 혁신적 사고 증진 활동 / 트리샤 에드워즈 189

Contents

Program 206

Welcome Message / Joohan Kim 207

Plenary 211

1. Science in the Making and Public Engagement / Bernard Schiele 213

2. Evolution of Science Communications: From Curiosity to Meaning / Dayk Jang 223

Panel Session 227

1. Public Engagement with Scientific Research 229

01. On the Engagement with Contemporary Scientific Research in Museum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 Johannes-Geert Hagmann 235

02. Monitoring System for Preservation of the Usuki Stone Buddha by Volunteer and Scientific Supports / Masayuki Morii 241

03. Citizen Science: Public Participation in Real Scientific Research / Lucy D. Robinson 247

04. How can Visitors Contribute to the Process of Designing an Exhibition? / Aymard de Mengin 253

2. Science Education for All 263

01. Science Education for All / Alan Brien 269

02.Discovering New Audiences / Yumi Miyahara 277

03. It's Friday Night, Let's Go to the Museum / Su Oh 281

04. Science Communication Activities at Japanese Science museums / Masataka Watanabe 285

3. Convergence for Creativity and Innovation 291

01. Showing 'Science-by-People':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 Alison Boyle 297

02. Integrating Art in Science Exhibitions / Stephanie Wu 307

O3. Convergence for Creative and Innovative Exhibition Touring exhibitions at the Natural History Museum / William Cheung 315

04. What is the Role of Science Museums in the New Era of Pop Science and Technology? / Jihoon Jeong 321

4. Sustainable Science Museum Management 323

01. From Factofy to Laboratory: Copernicus Science Centre case study / Robert Firmhofer 329

O2. Integrated Cooperation Between the Department of Museums Malaysia and Government Agencies in Strengthening Museum Management / Eyo Leng Yan 335

03. Sustainability Features of The Mind Museum: A Science Exhibit |n Itself / John Adam P. Sumbillo 341

04. How to Make Science an Amazing Experience for All / Khaled El Hani 347

Workshop 351

1. Pre-school Experiment Classes on Digestive System, Air and the Structure of Flowers / Sunghee Cho ; Mihwa Lee 353

2. Activities to Foster Innovative Thinking / Tricia Edwards 359

Copyright 202

vol.2

표제지

목차

Session 1 398

한국 고유 석교의 축조기법과 겨레과학기술원리 규명(Identification of Scientific Principles and Construction Technology for Korean Traditional Stone Bridges) / 이찬희 ; 윤성희 ; 진홍주 399

Ⅰ. 서론 399

Ⅱ. 연구방법 399

Ⅲ. 결과 400

Ⅳ. 고찰 및 결론 402

구리 갈매 보금자리주택지구 내 회곽묘 회곽의 성분 및 강도분석(Analysis for the Component and Strength of Lime-soil Mixture Barrier Tombs from the Bogeumjari Housing Area, Guri, Korea) / 이찬희 ; 어언일 ; 이주목 ; 윤성희 403

Ⅰ. 서론 403

Ⅱ. 시료선정 및 연구방법 403

Ⅲ. 결과 405

Ⅳ. 고찰 및 결론 406

19세기 한국의 시각제도와 달력의 변화(The change of the Timekeeping(時刻制度) and Almanacs in the 19th century Korea) / 최고은 ; 민병희 407

Ⅰ. 서론 407

Ⅱ. 한국의 역일과 시각제도의 변화 407

Ⅲ. 결론 409

Ⅳ. 참고문헌 409

이탈리아 건축문화유산의 안전관리 동향(The Current Trend of Safety Management for Architectural Heritage in Italy) / 이젬마 ; 김사덕 ; 지성진 410

Ⅰ. 서론 410

Ⅱ. 현황 및 연구방법 410

Ⅲ. 결론 412

사사 412

4단 물시계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Four-Stage Inflow Clepsydra) / 함선영 ; 김상혁 ; 이용삼 413

Ⅰ. 서론 413

Ⅱ. 실험방법 413

Ⅲ. 결과 414

Ⅳ. 결론 414

Ⅴ. 참고문헌 415

입체사진측량기법을 이용한 마애불의 물리적 풍화훼손 진단 활용(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hysical Weathering Damage Diagnosis using Stereophotogrammetry for Rock-carved Buddha) / 박성철 ; 좌용주 416

Ⅰ. 서론 416

Ⅱ. 연구 대상 및 실험 방법 416

Ⅲ. 결과 417

Ⅳ. 고찰 및 결론 418

Ⅴ. 참고문헌 419

요람에서 무덤까지 미라에 담겨 있는 과거 생활상 - '과학, 미라를 만나다'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Reconstructing individual's lifestyle from cradle to grave recorded in mummy - Introducing the exhibition "Science meets mummy" -) / 신지영 ; 강소영 ; 조은민 ; 김수훈 ; 김윤자 ; 이정원 420

Ⅰ. 서론 420

Ⅱ. 재료 및 방법 420

Ⅲ. 결과 421

Ⅳ. 고찰 및 결론 422

Ⅴ. 참고문헌 422

한국의 전통발효과학 – 전통술씨, 누룩을 중심으로(Korean Traditional fermentation science - Traditional Koreqn Koji, NURUK -) / 김종애 423

Ⅰ. 서론 423

Ⅱ. 본론 423

Ⅲ. 결론 427

하이퍼스펙트럴 이미지분석 및 GIS를 활용한 석조문화재 보존관리 시스템(Conservation Management of Stone Cultural Heritages Using Hyperspectral Image Analysis and GIS) / 전유근 ; 이미혜 ; 김유리 ; 최명주 ; 이명성 428

Ⅰ. 서론 428

Ⅱ. 하이퍼스펙트럴 이미지분석 428

Ⅲ. 석조문화재 GIS 430

Ⅳ. 고찰 및 결론 431

사사 431

조선후기의 해시계 양천척 연구(A study on the Yang-cheon-chok, the sundial in the late Joseon Dynasty) / 김상혁 ; 민병희 ; 이용삼 432

Ⅰ. 서론 432

Ⅱ. 유물조사 및 구조분석 432

Ⅲ. 유물분석 435

Ⅳ. 고찰 및 결론 436

Ⅴ. 참고문헌 436

조선전기의 앙부일구의 구조 연구(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Angbu-ilgu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민병희 ; 김상혁 ; 이기원 ; 이용삼 437

초록 437

Ⅰ. 서론 437

Ⅱ. 앙부일구 유물조사 437

Ⅲ. 세종 대 앙부일구 439

Ⅳ. 고찰 및 결론 440

Ⅴ. 참고문헌 440

실린더 표면의 레이저 투영을 이용한 2차곡선과 그 응용(Conic Curve using Laser Trajection and Its Applications) / 서호성 442

Ⅰ. 서론 442

Ⅱ. 재료 및 방법 442

Ⅲ. 결과 442

Ⅳ. 고찰 및 결론 442

세종시대 해시계 복원(A study on Sundials and Restoration in Sejong Era) / 이용삼 ; 김상혁 443

Ⅰ. 서론 443

Ⅱ. 정오에 측정하는 규표(圭表) 443

Ⅲ. 해시계 기능을 갖는 천체관측 의기(儀器) 445

Ⅳ. 다목적 해시계 앙부일구와 정남일구 446

Ⅴ. 휴대용 적도면 해시계 현주일구(懸珠日晷)와 천평일구(天平日晷) 447

Ⅵ. 고찰 및 결론 447

Ⅶ. 참고문헌 448

해시계 체험활동을 위한 교재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material teaching and the application for the sundial experiential activity) / 황운구 449

Ⅰ. 서론 449

Ⅱ. 해시계 체험학습을 위한 교재 개발 449

Ⅲ. 결과 451

Ⅳ. 결론 452

Ⅴ. 참고문헌 452

국내외 전통 아교 현황 및 제작 방법 조사(Survey on current cond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raditional animal glue in Korea and Japan) / 유지아 ; 한예빈 ; 김지은 ; 정지혜 ; 정용재 454

Ⅰ. 서론 454

Ⅱ. 본론 454

Ⅲ. 고찰 및 결론 455

Ⅳ. 사사 455

입지 환경에 따른 목조건축물의 생물분포 모니터링 연구 - 여주 신륵사와 합천 해인사를 중심으로(Study on bio-distribution monitoring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 by location environment -Focused on Silleuksa in Yeoju-si and Haeinsa in Hapcheon-gun-) / 김시현 ; 이현주 ; 정선혜 ; 이민영 ; 임익균 ; 이채훈 ; 정용재 456

Ⅰ. 서론 456

Ⅱ. 연구 대상 및 내용 456

Ⅲ. 연구 결과 457

Ⅳ. 고찰 및 결론 457

사사 458

함포(艦砲)의 배치를 중심으로 본 거북선의 구조 연구(A Study on the Turtle Ship Structure Related to the Deployment of Naval Gun) / 채연석 459

Ⅰ. 서론 459

Ⅱ. 본론 459

Ⅲ. 결과 462

Ⅳ. 고찰 및 결론 462

토기 제작기술의 발전과정과 재료적 특성 연구(Research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material properties of pottery making skills.) / 나건주 ; 진홍주 ; 윤성희 ; 신영순 ; 류기정 463

Ⅰ. 서론 463

Ⅱ. 재료 및 방법 463

Ⅲ. 결과 465

Ⅳ. 고찰 및 결론 466

한국 출토 포타쉬유리군의 특성(Property of Potash Glass Groups Excavated from Korea) / 김나영 ; 김규호 467

Ⅰ. 서론 467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467

Ⅲ. 결과 및 고찰 468

Ⅳ. 결론 470

남원 운봉고원에 분포하는 제철유적의 성격과 조업방식 검토(Study on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iron smelting furnaces of Unbong highlands in Namwon) / 이재성 471

Ⅰ. 서론 471

Ⅱ. 연구방법 472

Ⅲ. 결과 472

Ⅳ. 결론 474

Ⅴ. 참고문헌 475

전통 수리도구 '무자위'의 구조와 원리 연구(A Study on the Principle and Structure of a Traditional Irrigation Tool, Mujawi) / 신영순 ; 김인화 ; 김효경 476

Ⅰ. 서론 476

Ⅱ. 무자위의 도입과 구조 476

Ⅲ. 무자위의 작동원리 480

Ⅳ. 결론 481

Ⅴ. 참고문헌 481

Session 2 482

STEAM교육 기반 이동 과학관 및 주니어 공학교실(Mobile science museum & junior engineering school based upon STEAM education concept) / 최정훈 ; 황북기 483

Ⅰ. 서론 483

Ⅱ. 결과 484

Ⅲ. 고찰 및 결론 487

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창의성 발현 행동 및 활동결과물 연구(Th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reativity Emergence Behavior and the Products of Activities of th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 In Regular class of the 6th graders -) - 초등학교 6학년 정규수업과정에서 / 이화영 ; 전영석[이미지참조] 488

Ⅰ. 서론 488

Ⅱ. 연구방법 489

초등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비형식 과학교육 경험과 그에 따른 감정적 인식 비교 연구((A) Comparative Study on the Types of Informal Science Education Experience and Student' Emotional Attitude between the Gifted and the Gene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주하늬 ; 조성민 493

Ⅰ. 서론 493

Ⅱ. 재료 및 방법 494

Ⅲ. 결과 497

Ⅳ. 고찰 및 결론 498

Ⅴ. 참고문헌 499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다중지능 발달 특성에 대한 사례연구(A Case Study of Multiple Intelligences Developmental Trait of 3rd Grade Student in the Elementary School) / 김미경 500

Ⅰ. 서론 500

Ⅱ. 연구 방법 501

Ⅲ. 참고문헌 505

초등과학영재들의 개방적 탐구에서 동료평가의 효과(The Effect of Peer Assessment in Open Inquiry of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 김수연 ; 전영석 506

Ⅰ. 서론 506

Ⅱ. 연구방법 507

Ⅲ. 참고문헌 510

초등영재학생의 성별에 따른 골드버그 장치 활동 수행과정 분석(Analysis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Goldberg Machine Task Activities According to Gender) / 남소라 ; 전영석 511

Ⅰ. 서론 511

Ⅱ. 연구방법 512

Ⅲ. 결과 514

Ⅳ. 참고문헌 515

초등학교에서의 에너지 학습이 학생의 에너지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Impact on Energy Concept Forms of Energy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서빈 ; 서영선 516

Ⅰ. 서론 516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517

Ⅲ. 결과 517

Session 3 520

국립과천과학관 1미터 광학망원경의 대중천문학적 활용(Utilization of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1-Meter Telescope for Public Astronomy) / 하상현 521

Ⅰ. 서론 521

Ⅱ. 국립과천과학관 관측 시스템 특성 연구 521

Ⅲ. 국립과천과학관 천체관측 시스템의 활용 523

Ⅳ. 고찰 및 결론 524

자연과학과 문화예술의 융합, STEAM교육 - 계룡산자연사박물관을 중심으로(Natural and cultural convergence of art) / 조한희 526

Ⅰ. 서론 526

Ⅱ. 융합(STEAM)교육프로그램 526

Ⅲ. 결과 530

전기와 자기에서 SI 단위계 명칭으로 사용한 과학자들(Scientists whose names are used as electrical and magnetic SI-units) / 이건용 ; 이현석 ; 피터 리 531

Ⅰ. 서론 531

Ⅱ. 정전기, 동전기와 자기 531

Ⅲ. 결론 533

Ⅳ. 참고문헌 534

냉동기로 냉풍건조와 데시칸트건조하여 에너지절약 30%이상 하는 하이브리드건조기 개발(Refrigerator with desiccant and cold air drying build a hybrid dryer to more than 30 percent energy-saving initiatives) / 박승태 535

Ⅰ. 서론 535

Ⅱ. 하이브리드건조기 제작 535

Ⅲ. 건조시험 결과 538

Ⅳ. 고찰 및 결론 538

Ⅴ. 참고문헌 538

Ⅵ. 감사의 글 538

빠른 다국어 사이트 제작을 위한 프레임워크 설계에 관한 연구(Framework Design for fast multi-language sites building) / 김시우 ; 방가영 ; 손혜진 ; 신아엘 539

Ⅰ. 서론 539

Ⅱ. 본론 540

Ⅱ-2. 재료 및 방법 542

Ⅲ. 결과 542

Ⅳ. 고찰 및 결론 543

Ⅴ. 참고문헌 543

국내 건설 환경(특성)과 사망재해 감소 해법(Construction environment in Korea and Solution for fatal occupational accident reduction) / 최돈흥 544

Ⅰ. 서론 544

Ⅱ. 재료 및 방법 545

Ⅲ. 결과 549

Ⅳ. 고찰 및 결론 549

어떻게 음악은 새로운 행성을 찾고 생태를 보존할 수 있을까?(How Can Music Find New Planets and Conserve Ecology?) / 김종우 551

Ⅰ. 서론 551

Ⅱ. 하모니 서치의 기본적 구조 551

Ⅲ. 하모니 서치의 응용예 552

Ⅳ. 하모니 서치의 행성탐색과 생태보존 553

Ⅴ. 결론 553

국립중앙과학관 큐레이터의 심층해설현황과 개선방안연구(An Investigations on Curator System of National Science Museum) / 노홍구 ; 탁기수 554

Ⅰ. 서론 554

Ⅱ. 큐레이터의 심층해설 개선방안 고찰 556

Ⅲ. 결론 558

과학관과 과학꿈나무 키우기(과학꿈나무 지식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The Effects of a Mentoring Program on Scientific Talented Students in Science Museums) / 주진구 ; 이복권 ; 민태식 ; 김상우 ; 오재협 560

Ⅰ. 서론 560

Ⅱ. 과학관에서 과학꿈나무 키우기의 의미와 특성 560

Ⅲ. 과학관에서 과학꿈나무 키우기 성과 561

Ⅳ. 결론 562

Ⅴ. 과학꿈나무 키우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과 학부모들의 의견 562

Ⅵ. 참고문헌 563

과학관 체험학습을 통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으로서의 과학교육 - 공룡화석 체험프로그램의 사례(Science education as a career exploration program through hands-on education programs of science museums - a case study on dinosaur hands-on programs -) / 임종덕 564

Ⅰ. 서론 564

Ⅱ. 연구 대상 565

Ⅲ. 결과 566

Ⅳ. 고찰 및 결론 566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과학관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Science Museums from Korean Journals) / 탁현수 ; 김홍정 567

Ⅰ. 연구목적 및 방법 567

Ⅱ. 연구결과 567

Ⅲ. 결론 및 제언 569

한국 과학관의 전시 현황 분석(Analysis on the status of exhibitions in Korean Science Museums) / 오재협 ; 안태범 ; 정소진 570

Ⅰ. 서론 570

Ⅱ. 국립과학관 570

Ⅲ. 공·사립과학관 572

Ⅳ. 결론 572

자연사 관련 성인교육프로그램의 적용사례(The Application of Educational program for Adults Example Introduction in connection with the History of Nature) / 홍성찬 573

Ⅰ. 목적 573

Ⅱ. 프로그램 운영 방법 573

Ⅲ. 프로그램 운영 현황 573

Ⅳ. 프로그램 운영의 활용 574

Ⅴ. 녹색사업단 사업비를 지원받아 활동한 실적 574

Ⅵ. 최근 활동 상황 576

Ⅶ. 프로그램 운영의 활동 사진 - 별첨(PPT 자료) 576

Ⅷ. 자연사연구회 활동의 의미(기여도) 576

Ⅸ. 자연사연구회 활동의 활성화 방안 및 기대 효과 576

과학 전시품제작 아이디어 경진대회 성과분석을 통한 대회 개선방안(A way of Improving Competition Process through Analyzing the Result of Science Exhibition Idea Olympiad) / 탁현수 ; 임정민 578

Ⅰ. 서론 578

Ⅱ. 대회의 개요 578

Ⅲ. 성과분석 580

Ⅳ. 결론 581

과학해설과 관람객과의 관계 - 국립대구과학관 중심으로(Relations with scientific commentary and spectators : Focused on the Daegu National Science Museum) / 도재국 582

Ⅰ. 서론 582

Ⅱ. 관람객 현황과 해설프로그램에 대한 조사 583

Ⅲ. 고찰 및 결론 586

Ⅳ. 참고문헌 587

국내 4대 과학관 전시품 목록화 현황 분석 및 과학관 전시콘텐츠 통합 분류 체계 제안(Analysis of the current enumeration of exhibits in the major national science museum in Korea and suggestion on the unified classification system of exhibits) / 최현숙 ; 탁현수 ; 민병철 588

Ⅰ. 서론 588

Ⅱ. 재료 및 방법 588

Ⅲ. 결과 589

Ⅳ. 고찰 및 결론 590

과학관 활성화를 위한 과학관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 구성요소 분석 및 발전 방향 모색(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educators training program for their expertise and suggesting its implication in revitalizing science museums) / 박영신 ; 정다혜 ; 유지연 ; 김희경 ; 이명아 592

천체투영관 운영에 관한 설문조사 연구(Survey Study about Planetarium Operation) / 백창현 593

Ⅰ. 서론 593

Ⅱ. 설문조사 593

Ⅲ. 설문조사 결과 및 분석 595

Session 4 598

국내분포 52수종의 흉고직경과 수관폭 상관관계 분석a(The Correlation of DBH and Width of Crown for 52 Tree Species in Korea) / 김세훈 ; 오충현 599

우리나라 꼬리말발도리(Deutzia paniculata Nakai) 개체군의 생육환경특성(Growth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Deutzia Paniculata Nakai Populations in Korea) / 박진선 ; 김용식 600

층층나무속(Coruns) 4수종의 수분매개자에 관한 연구(A Study on Pollinators of Four Species of Coruns) / 서진수 ; 김갑태 ; 이준우 ; 조민영 603

내장산 굴거리나무군락(천연기념물 제91호)의 분포 연구a(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Daphniphyllum macropodum Miq.(Natural Monument No. 91)a) / 신진호 ; 손지원 ; 전용삼 605

가리왕산 장전이끼계곡의 선류식물상 연구(Floristics of bryophyta in Griwangsan at Jangieon moss valley) / 이준우 ; 김갑태 ; 서진수 ; 조민영 607

깽깽이풀의 Diaspore특성과 종자산포에 관한 연구(A Study on Seed Dispersion and Diaspore Characteristic of Jeffersonia dubia) / 조민영 ; 김갑태 ; 서진수 ; 이준우 609

생물다양성관리계약제도 현황과 개선방안(A Present Condition Research of Biodiversity Management Contract Scheme And Proposal for Improvement Measurements) / 이승은 ; 오충현 611

한양도성 주변 보전대상 수종 선정 및 관리방안a(Conservation Target Species Selection and Management Methods Around Seoul City Walla) / 최수정 ; 오충현 613

야생조류가 선호하는 식생 층위에 대한 연구(Relationships between Bird Species and Vegetation Layer) / 김지석 615

계곡산개구리 번식울음의 생물음향학적 특성에 관한 첫 보고a(The First Report on the Bio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Huanren brown frog, Rana huarenensis) / 기경석 ; 김지연 ; 강지현 ; 이혁제 ; 이재윤 617

토종남생이와 외래종, 교잡종의 형태적 분류a(Classification of Native, Introduced, Hybrid of Reeve's turtle(Mauremys reevesii)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a) / 오부균 ; 강정훈 ; 남상헌 ; 이유진 ; 이성경 ; 현보라 ; 양호열 ; 임종덕 619

물거미(Argyroneta aquatica)의 번식 생태a(Breeding Ecology of Water Spider(Argyroneta aquatica)) / 이유진 ; 강정훈 ; 오부균 ; 이성경 ; 현보 621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 번식울음의 음향특성과 미기후 인자간의 관계a(The Relathonship Between Acoustic Characteristics of Breeding Call and Microclimate Factors of Oriental firebelly toad, Bombina orientalisa) / 기경석 ; 이재윤 ; 김지연 623

개미가 며느리밥풀속 종자의 운명을 결정하나?(Does the ants determine the seedfate of Melampyrum species?) / 이재현 ; 류동표 ; 김갑태 624

몽골의 양서·파충류상과 보전 이슈a(Amphibians and reptiles of Mongolia and Coservation issues a) / M. Munkhbaatar1 626

한반도 해안림 관리실태 및 보전방안a(Study on the actual status and conservation considerations of the coastal forests in Korean Peninsulaa) / 김도균 ; 김용식 628

신불산 습지보호지역의 생태적 특성(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Wetland Protected Area in Sinbul Mountain) / 김미정 ; 이수동 631

도립공원의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management-maintenance system in provincial parkaa) / 성욱 ; 김동필 633

지리산국립공원 노고단 일원 생태복원지 식생회복과정 평가(Evaluation of Vegetation Restoration in the Nogodan area, Jirisan National Park) / 최대훈 ; 박석곤 ; 오구균 635

조성된 습지의 서식처 유형에 따른 잠자리 분포 특성(Dragonfly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Habitat types of Constructed Wetland) / 배순형 ; 이수동 ; 김지석 637

광주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특성을 이용한 수생태 건강성 평가a(Aquatic Ecosystem Health Assessment of using Distribution Characterisitic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in Gwangju Rivera) / 윤상훈 ; 정숙경 ;위환 ; 안상수 ; 장서은 ; 조영관 639

최상위 포식자인 외래종 큰입배스가 호수생태계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Exotic species, Micropterus salmoides as a Key Top-carnivore Influencing the Reservoir Healtha) / 한정호 ; 안광국 ; 백운기 641

제12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 주요 논의동향 고찰(A Review on the Progress and Main Results of the Ramsar COP 12 in Uruguay, 2015) / 박선영 ; 김경원 642

도시산림 식생유형변화와 온도 관계 연구(Relationship between Changing Vegetation Type and Temperature in Urban Forest) / 안미연 ; 홍석환 644

도심지 열대야 및 빛공해에 의한 매미 울음 영향a - 서울시 아파트단지 녹지를 사례로(Effects of Tropical Night and Light Pollution on Cicada's Call in Downtown - In Case of Apartment Greenery in Seoul City, South Korea -) / 기경석 ; 김지연 ; 윤기상 646

성인 여성의 숲 방문 빈도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반응 사이의 관계a(Relationships between Forest Visit Frequency and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Stress Response Inventory of Adult Womenla) / 김윤희 648

도시 하천에서 CEPA 적용 방안 - 중랑천을 대상으로(A Study for Applying CEPA on Urban River - In the Case of Junnang River in Korea-) / 김진원 ; 오충현 649

창원시 노거수 입지환경 분석을 통한 보호수 지정 및 관리 개선 방안 연구(A Study on Management Improvent Plan and Reserved Tree Designation through Analysis Location Environment of Big and Old Tree in changwonsi, Korea) / 박정가 ; 최송현 651

국내 외 농업 직불제 비교 분석(Comparison Analysis of Agriculture Direct Payment Program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 이윤환 ; 오충현 653

생태계서비스 가치의 제도화(Institutionalization of the Value of Ecosystem ServicesaChun Jaekyong) / 전재경 ; 황은주 654

숲의 소리의 1/f변동파동성과 산림치유를 위한 소리환경 구축a(1/f Fluctuation Characteristics of Forest Sounds and the Construction of Soundscape for Forest Therapya) / 최병진 ; 김동준 ; 김윤희 656

Session 5 658

순천만에서 월동하는 흑두루미(Grus monacha) 먹이자원과 섭식행동 분석(Food resource and Foraging behavior analyses of wintering Hooded Crane (Grus monacha) in Suncheon Bay) / 이승희 ; 김인철 ; 최원석 ; 이주현 ; 성하철 659

Ⅰ. 서론 659

Ⅱ. 연구 재료 및 방법 659

Ⅲ. 결과 660

Ⅳ. 고찰 및 결론 662

한국에서 새매의 첫 번식기록 보고(First Breeding Record of Eurasian Sparrowhawk Accipiter nisus in Korea) / 강승구 ; 김화정 ; 김동원 ; 황종경 ; 이정연 ; 김진한 663

Ⅰ. 서론 663

Ⅱ. 재료 및 방법 663

Ⅲ. 결과 및 고찰 663

The geographic variation and individual distinctiveness of the Daurian Redstart's songs, Phoenicurus auroreus / 이주현 ; 김인철 ; 박윤정 ; 성하철 664

Ⅰ. Introduction 664

Ⅱ. Materials & Methods 664

Ⅲ. Results 665

Ⅳ. Discussion 667

한국에서 월동하는 개리 Anser cygnoides의 이동경로(Migration route of endangered Swan Geese Anser cygnoides wintering in Korea) / 최유성 ; 김면식 ; 김달호 ; 주성배 ; 조해진 ; 김인규 ; 김우열 ; 이상연 ; 정길상 ; 김창회 ; 한동욱 668

Ⅰ. 서론 668

Ⅱ. 연구 방법 668

Ⅲ. 결과 669

Ⅳ. 고찰 및 결론 669

까치의 사회행동 발달에 대한 연구(Development of social behavior in the Eurasian Magpie(Pica pica)) / 이상임 ; 노두리 ; 이영주 ; 이현나 ; 이은옥 ; Potr G. Jablonsko ; 최재천 670

Ⅰ. 서론 670

Ⅱ. 재료 및 방법 670

Ⅲ. 결과 671

Ⅳ. 고찰 및 결론 671

한국에 번식하는 뻐꾸기(Cuculus) 종의 기원 : 안정성 동위원소 분석을 통한 추론 / 김경회 ; 이진원 ; 유정칠 672

Ⅰ. 서론 672

Ⅱ. 재료 및 방법 672

Ⅲ. 결과 672

Ⅳ. 고찰 및 결론 672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조류 조사방법 개선을 위한 적정 조사 지속시간 선정 및 제안(The Suggestion and Monitoring Duration Selection for the Bird Survey of the Nationwide Investigation of Natural Environment) / 유승화 ; 이상연 ; 김진금 ; 이명란 ; 김영덕 673

Ⅰ. 서론 673

Ⅱ. 연구 및 분석방법 673

Ⅲ. 결과 및 고찰 674

Ⅳ. 결론 및 제언 676

Ⅴ. 사사 676

Ⅵ. 참고문헌 676

판권기 677

vol.3

표제지

목차

Session 1 687

저품위 석회석을 이용한 조적용 전통회 제작기법 분석(Analysis of Manufacturing Techniques about Traditional Lime Mortars for Brick Building using Limestone) / 이상옥 ; 정광용 689

라만분광분석을 통한 출토 청동유물의 부식층 연구(Raman Spectroscopic Study on the Corrosion Layers of Archaeological Bronzes) / 김범준 ; 정광용 690

현대 단청안료 장단육색(長丹肉色)에 쓰이는 이산화티타늄(Ti02)종류별 특성 및 비교 연구(Basic Characteristics and Standard Research of Modern Dancheong Pigment Jangdanyuksaek(Incarnadine)) / 김은지 ; 이한형 ; 한민수 ; 정광용 691

고구려 벽화 마감칠과 무덤 환경 연구(The research on the environment and coating Materials used to paint on the wall inside the Goguryeo tomb) / 채미영 692

불교 경판 소장처의 보존환경조사 연구- -경기도 의왕시 청계사를 중심으로(Study on conservation environment of storage place of Buddhist wood block -Focusing on Gyeonggi-do Uiwangsi Chungkeisa-) / 이현주 ; 김시현 ; 한예빈 ; 정용재 693

전통 아교 재현을 위한 국내외 시판 아교 특성 분석(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 of domestic and foreign products for reproduction of animal glue) / 한예빈 ; 유지아 ; 김태리 ; 정용재 694

우리나라 고대 칠층 구조 연구(Study Regarding Lacquer Layer Structure of Ancient Time) / 최재완 ; 장한을 ; 김수철 695

청동거울의 경면 연마방법 재현을 위한 기초실험연구(Basic experiment for reproduction of polishing method on surface bronze mirror.) / 배채린 ; 윤용현 ; 조현경 696

Session 2 697

창의성 증진을 위한 과학교육체험 공간 프로그램 제안(A study of space program for enhancing creativity in science education) / 윤혜정 ; 안주미 699

Utilizing Fruit waste as Bio-ethanol Substrate by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 심규보 700

스마트폰을 이용한 공시청 앱에 관한 연구(An app for hearing public television's sound using smart phone and wireless transmitter) / 이후원 701

구 매립지의 주변 환경에 대한 영향 조사 및 고찰(Reseach On the Effect of Old Landfill) / 정현림 ; 백성열 ; 강기태 702

식물의 기관에 따른 캘러스 분화속도 비교(COMPARED CALLUS DIFFERENTIATION RATES ACCORDING TO THE INSTITUTION OF PLANTS) / 조은해 703

The Impact of Heavy Metals in Atmospheric Fine Dust on the Ground Water Contamination and the alteration of Soil Microbial Ecosystem / 이정현 704

친환경디자인 STEAM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 친환경디자인 STEAM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2차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Eco-Friendly Design STEAM Education Program -Focus on the 2nd Pilot Study for the STEAM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the Eco-Friendly Design-) / 한혜련 ; 이윤희 ; 반자연 ; 이명아 ; 이재경 ; 이주형 705

Session 3 707

국내외 자연사박물관에 반영된 과학커뮤니케이션 분석에 따른 국내 과학관교육의 활성화 발전 방향 모색 / 박영신 ; 정다혜 ; 유지연 709

간경화 환자의 사물놀이 의존적 체험 보고(Samulnori-dependence experience report of cirrhosis patient) / 고경자 710

손소독제와 구강청결제의 세균 항균력 연구(Antimicrobial effects of hand disinfectants and oral hygine solutions on E. coli and S. aureus) / 한수민 ; 김해인 ; 양태은 ; 전성빈 ; 이복권 711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for science education / Amel M'RAD 712

Challenge and Creativity towards the Ideal! / 김승태 713

로봇셔틀버스 실용화 운영방안 연구(A Study of Operation Solution for the Robot Shuttle Bus) / 이석태 ; 유원필 ; 오석균 ; 오재협 ; 박동진 714

소유즈 로켓 3단을 활용한 우주인증 및 실험 방법 연구(Study of Space Qualification and Experiment Using 3rd Stage of Soyuz Rocket) / 홍기한[이미지참조] 715

빅데이터 기법을 이용하여 SNS에 나타난 대중들의 과학관에 대한 인식 조사(Investigation of public's perception about science museum in SNS using big data method) / 윤은정 ; 박주은 ; 박윤배 716

Session 4 717

백두대간 소나무 군락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Ecological characteristic in communities of Pinus densiflora at the Mt. Beakdudaegan - Between Cheonghwasan and Namdeogyusan -) / 김동효 ; 김세훈 ; 오충현 719

전남 편백림에서의 입지환경요인과 연륜생장량의 상관성 분석(Analysis of Correlativity between Factors of Location Environment and Tree Ring Growth in Chamaecyparis obtusa Stands) / 박석곤 ; 유한춘 ; 오찬진 ; 최우경 720

편백림의 하층식생 특성 분석(Studies on the Understory Vegetation in Chamaecyparis obtusa Forest) / 박석곤 ; 강현미 721

완전 기생식물인 미국실새삼(Cuscuta pentagona Engelm)의 기초생태연구(The study on the basic ecology of Cuscuta pentagons Engelm, parasitic plant) / 박재훈 ; 이재근 ; 정영호 ; 이승언 ; 유영한 722

생태계 교란종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의 생리·생태에 광량이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the ecophysiological responses of Ambrosia trifida L., Korean invaded species) / 박재훈 ; 유영한 723

기후 변화와 토양 내 질소가 낙엽성 교목 은단풍(Acer saccharinum L.)과 관목 족제비싸리(Amorpha fruticosa L.)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이승연 ; 오한상 ; 이승혁 ; 유영한 724

CO₂ 농도와 온도 그리고 질소농도가 멸종위기종 단양쑥부쟁이(Aster altaicus var. uchiyamae) 생육에 미치는 영향 / 이승연 ; 고동엽 ; 윤지영 ; 유영한 725

수분과 유기물에 따른 멸종위기종 큰바늘꽃 (Epilobium hirsutum L.)의 생태적 반응(Ecological response of endangered species, Epilobium hirsutum L. under moisture and nutrient conditions) / 이응필 ; 유영한 726

외래식물 종지나물(Viola papilionacea Pursh)이 CO₂ 농도가 증가된 조건에서 수분, 유기물, 광량변화에 대해 받는 영향 / 이응필 ; 이형석 ; 홍용식 ; 유영한 727

기후변화와 토양 내 질소가 상록침엽수인 소나무와 잣나무 그리고 낙엽활엽수인 신갈나무의 생육반응에 미치는 영향(Effect on the growth response of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and Quercus mongolica by nitrogen of soli under climate change) / 장래하 ; 박완우 ; 유영한 728

멸종위기식물 선제비꽃(Viola raddenana Regel)의 지구온난화 조건에서 수분, 유기물, 광량차이에 따른 번식생태학적 영향(Effect on the growth and reproductive response of Viola raddenana Regel by treating water, organism, light gradient under global warming) / 장래하 ; 김영진 ; 유영한 729

기후변화환경 하에서 멸종위기식물 섬시호(산형과)의 보전을 위한 환경요인에 대한 반응 연구 / 조규태 ; 표재훈 ; 유영한 730

북방산개구리 증양식장과 야외개체군에서 발견되는 양서류 질병 연구(A Stud on the Amphibian Disease from Dybowskii's Frog Farms and Near Field Populations) / 구교성 ; 권세라 ; 이진구 ; 박대식 731

참갈겨니와 피라미의 화학적 내성과 영양 구배 분석(Chemical Tolerance and Trophic Gradient Analysis of Zacco temminckii vs. Zacco platypus) / 구연아 ; 안광국 732

무당개구리 수면파장 의사소통의 정량적 분석(Quantitative Aanalysis of Water Wave Communication, Korean Fire-bellied toad(Bombina orientalls) / 기경석 ; 김지연 ; 이재윤 733

다변수 어류평가모델을 이용한 하천 생태건강도 평가 및 화학적 수질 특성 분석(Stream Ecosystem Health, based on Multimetric Fish Model and Chemical Water Quality in a Small Stream) / 김선영 ; 안광국 734

우리나라 주요 인공호의 큰입배스, 파랑볼우럭 모니터링(Monitoring of Micropterus salmoides and Lepomis macrochirus In Major Artificial Reservoirs, Korea.) / 김현맥 ; 김수환 ; 송해룡 ; 안광국 735

인공둥지(Artificial Wood Box)에 서식하는 조류의 번식생태 및 둥지의 입구크기가 조류의 번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breeding ecology and the effects of bird on entrance size in artificial wood boxes) / 노선호 ; 김영진 ; 남지연 ; 심예은 ; 고준서 ; 정범준 ; 최한이 ; 조삼래 ; 유영한 736

세종보 건설에 따른 어류상 변화 / 이상재 ; 안광국 737

태안군 일대의 수서곤충 다양성 및 특이종 분포 양상(Diversity of Aquatic Insects of Taean Area in South Korea, with Notes on Species-Specific Distribution) / 정상우 ; 민홍기 ; 황호성 ; 서예지 ; 배연재 ; 백운기 738

4대강 수계를 대상으로 어류 다변수 평가 모델 개발 및 생태건강도 평가(The Development of a Regional Multimetric Fish Model and Ecological Health Assessments for Four Major Watersheds in Korea) / 최지웅 ; 안광국 739

유부도에 도래하는 도요·물떼새의 군집 변화 연구(A Study on the Community Variation of Shorebirds in Yubu Island, South Korea) / 유재평 ; 백인환 ; 강정훈 ; 진선덕 ; 백운기 740

Two New Species of Tanaidacea(Arthropoda: Crustacea) from Korea / Hosung Hwang ; H Hoi Kim 741

죽산보에 설치된 어도에서의 단기간 어류 이동성 현황 및 다변수 평가모델에 대한 예비적 고찰(Preliminary Implications of Short-term Fish Movements and the Multi-metric Model in the Fishway of Juksan Weir) / 박찬서 ; 백운기 ; 안광국 742

한반도 서식 너도고하과 (Parabathynellidae)의 DNA 바코드 연구(A DNA Barcode Study on the Parabathynellidae from South Korea) / 송지훈 ; 한영덕 ; 권재인 ; 양희민 ; 조주래 ; 이치우 ; 민기식 743

백두대간보호지역의 외래침입식물(Invasive Alien Plant In Baekdudaegan Protection Area, Korea) / 송홍선 ; 조우 744

덕유산 백두대간보호지역의 한반도 전통의학 약용식물 - 동의보감, 방약합편, 향약집성방 -(Medicinal Plant of Traditional Medicine in Mt.Deokyu Baekdudaegan, Korea - Donguibogam, Bangyakhappyeon, Hyangyakjipseongbang -) / 송홍선 ; 김명혜 ; 김남옥 745

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활용한 국립공원 자원관리 방안(Natural Ecosystem Health Assessment of Korea National Parks Resource Management Plan) / 오장근 ; 원혁재 ; 명현호, 김종완 746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의 생태계 서비스 증진을 위한 보호 및 관리 방안(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plans to promote ecosystem services in Han river wetland conservation area) / 이은혜 ; 정흥락 ; 오충현 747

한국의 정맥 내 훼손지 현황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Deterioration Status in the Jeongmaek of South Korea) / 최태진 ; 최윤호 ; 김동필 748

백두대간 훼손지와 관리방안(The Status of Baekdudaegan Mountains Deterioration and Management) / 최윤호 ; 최태진 ; 강현미 ; 조우 749

한강수계의 시공간적 수질변화 특성 및 연속적 인공호의 경험적 모델(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Han-River Watershed and Empirical Models of Serial Impoundment Reservoirs) / 최지웅 ; 안광국 750

Trophic State of Agricultural Reservoirs and The Ecosystem Health Assessments / 한정호 ; 박찬서 ; 안광국 ; 백운기 751

조경용 상록활엽수의 식재가능범위 분석(An analysis of possible planting range of Gardening Evergreen Broad-leaved Trees) / 박석곤 ; 명유정 ; 주슬기 ; 백규석 752

식물공장에서 광질에 따른 멸종위기식물 분홍장구채 (Silene capitata Kom.)의 생육, 생리 및 번식생태학적 반응 연구(The study on the growth, physiological and reproductive responses of Silene capitata Kom. by light quality in the plant factory) / 박재훈 ; 유영한 753

Distribution of Plants Disturbing Ecosystem in Seoul Metropolitan Area / 김기대 ; 정성찬 ; 이단형 ; 이정연 ; 유인선 ; 서경옥 754

적색+청색과 적색+청신+백색 혼합 LED광원에서 Duty비와 Hertz에 따른 식물공장 내 인삼(Panax ginseng)의 최적 환경조건에 대한 연구(A Stud on optimum environmental condition of Panax ginseng by LED Sources, Duty ratio and Hertz in the Plant Factory) / 이수인 ; 임진혜 ; 윤단비 ; 최재윤 ; 유영한 755

식물공장 내 LED 광원, Duty비 및 Hertz에 따른 인삼(Panax ginseng)의 엽록소 형광 및 함량 연구(A Study on the Chlorophyll Fluorescent and Content of the Panax ginseng by LED sources, Duty ratio and Hertz) / 임진혜 ; 이수인 ; 최재윤 ; 윤단비 ; 유영한 756

LED광원과 Duty ratio 처리에 따른 인삼(Panax ginseng)의 생리·생태학적 반응 / 최재윤 ; 임진혜 ; 이수인 ; 윤단비 ; 유영한 757

A Study on the Butterfly Garden Landscaping for Ecologlcal Experience / 공민재 ; 손진관 ; 이시영 ; 강동현 ; 한송희 ; 강방훈 ; 김난춘 758

지방대학 특성화사업을 통한 자연대 학생들의 현장실습 및 동아리 활동의 역할과 과제(The Roles and tasks of the field training internships and club activities of natural science students through CK-1(University for Creative Korea) project) / 박완우 ; 윤단비 ; 김해란 ; 유영한 759

The Suitability Site Selection by meteorological factors and GIS for the protected horticulture complex In Saemanguem / 손진관 ; 이시영 ; 강동현 ; 연제성 760

Cooperation and prospects between Mongoli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National Science Museum of Korea / Kh. Tamir. O. Altangoo, M. Munkhbaatar 761

A new species of the genus Pholcus Walckenaer, 1805 (Araneae : Pholcidae) from Korea / 김주필 ; 예성훈 762

One new record species of the genus Trochosa C. L. Koch, 1847 (Araneae : Lycosidae) from Korea / 김주필 ; 예성훈 ; 김대희 763

A new species of the genus Atypus Latreille, 1804 (Araneae : Atypidae) from Korea / 김주필 ; 예성훈 ; 노광래 764

A new species of the Genus Leptoneta Simon, 1872 (Araneae : Leptonetidae) from Korea / 김주필 ; 예성훈 ; 김태우 765

One new record species of the genus Rhomphaea L. Koch, 1872 (Araneae : Theridiidae) from Korea / 김주필 ; 예성훈 ; 김태우 ; 지승환 766

The Spider Fauna of Upo Wetland (Gyeongsangnam-do, Changnyeong-gun) from Korea / 김주필 ; 예성훈 ; 김태우 ; 김대희 ; 이형민 767

덕유산국립공원 아고산대 식생(Vegetation of Subalpine Zone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 김현숙 ; 이상명 ; 배광석 768

Session 5 769

Individual human recognition in a wild Antarctic bird / 이원영 ; 한영덕 ; 김정훈 771

산란기의 미기상 차이에 대한 젠투팽귄 Pygoscelis papua과 턱끈팽귄 P. antarcticus의 서로 다른 번식집단 형성 전략 / 정진우 ; 이원영 ; 한영덕 ; 김지형 ; 김정훈 772

제비의 자손양육(Parental care in the barn swallow (Hirundo rustica)) / 노두리 ; 이상임 ; 이원영 ; Piotr Matyjasiak ; Piotr G. Jablonski ; 최재천 773

제주도에서 나무의 열매와 종자를 섭식하는 조류 현황(The Status of fruit- and seed-eating birds in Jeju Island, Korea) / 김은미 ; 원현규 ; 강창완 774

흰물떼새의 생체량과 알과 둥지(Body, Egg and Nest Size of Kentish plover) / 김우열 ; 배소연 ; 성하철 775

Mercury, Oranic mercury, and selenium in blood of four bird species from South Korea / 김보영 ; 주수지 ; 이지윤 ; 김은빈 ; 강태한 ; 이한수 ; 남동하 776

Delta-aminolevulinic acid dehydratase(δ-ALAD)activity and ALA level in four bird species to assess lead exposure in South Korea / 김보영 ; 강태한 ; 이한수 ; 남동하 777

Responses of the Eurasian Magpie (Pica pica) and the Jungle Crow (Corvus macrorhynchos) to frightening stimuli / 이영주 ; 이상임 ; 피오트르 야브원스키 ; 최재천 778

플라스틱 캡 크기에 따른 조류와 곤충에 의한 과수피해 정도 / 박윤정 ; 이승희 ; 신은결 ; 성하철 779

음성분석 기법을 활용한 올빼미(Strix aluco)의 개체 식별 연구 / 최원석 ; 이주현 ; 이지용 ; 성하철 780

유부도 검은머리물떼새(Haematopus ostralegus)의 번식실패 원인 / 이상연 ; 최유성 ; 주성배 ; 김면식 ; 김우열 ; 정길상 ; 김창회 ; 유영한 ; 한동욱 781

Session 6 783

공간의 실타래(Skeins of space) / 김지수 785

Surface / 김지현 786

피노키오의 꿈(Dreams of Pinocchio) / 김철중 ; 최현철 787

디자인의 의도와 결과(Intention and result of design) / 김형자 788

과학과 통하다(Science go through) / 나지영 789

과학의 힘(The Power of Science) / 나혜영 790

빅 크리에이티브, 빅스(Big Creative. Bigs) / 성정아 791

놀자마을로 떠나는 과학여행(Science trip to the Nol-Ja village) / 성정아 792

사이언스 캠핑(Science Camping) / 성정아 793

스퀘어 벤치 & 플랜터(Square Bench & Planter) / 박필제 794

블루오우션(Blue Ocean) / 김지인 795

미래안 : 현재를 함께 보는 고리(The Eye To The Future Currently viewing with ring) / 권영재 796

모던 체어(Modern Chairs(GE209 Chairs & Red & Blue Chair) / 김혁기 797

뮤제오그래피(MUSEOGRAPHY) / 김경진 798

선에서 점으로(From line to dot) / 김경환 799

쌓아올리다(STACKING) / 박혜원 800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내 디자인 놀이터(Dongdaemun Design Plaza Design Playground) / 소병완 801

부산과학체험관(SIGONGTECH) / 시공테크 802

서울시립과학관(SIGONGTECH) / 시공테크 803

한수원홍보관(SIGONGTECH) / 시공테크 804

마음의 조각을 맞추다(아동범죄로 인해 상처받은 아이들을 위한 심리치유 홍보관)(Adjust a piece of mind) / 심언혜 805

공이(共利)(Gong-E) / 오근호 806

MET_For(가치이상을 위한 재능나눔 메타커뮤니티의 장) / 이기현 807

ICT 통합디자인(ICT store's commercialization of integrated space.) / 이돈일 808

옷고름을 풀다(Untying a breast-tie) / 임다인 809

브랜드 팝업 스페이스 Ⅱ(Brand Pop Up Space Ⅱ) / 임민택 810

Universal Design 2015 / 임진이 811

山香(San Hyang) / 정현아 812

인공지반의 갭을 활용한 교차로 전유계획(Foot+Road) / 정형원 ; 이창환 813

아이들의 주라기 공원(Kids' Jurassic Park) / 지용규 814

도하의 빛의 오케스트라(Lighting Orchestra of DOHA) / 지재훈 815

에코하우스(ECO House) / 하숙녕 816

반타의 삼각천장(Triangle Ceiling of Vantaa) / 한영호 817

Inter-Space / 한정엽 818

숨겨진 공간(Hidden space) / 황연숙 819

판권기 820

이용현황보기

(제5회)세계과학관심포지엄 : 발표논문집 = International Symposium of Science Museums : proceedings. 1-3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54143 507.4 -16-1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54144 507.4 -16-1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54145 507.4 -16-1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54146 507.4 -16-1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54149 507.4 -16-1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54150 507.4 -16-1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