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교사의 학교 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 강화 방안(III) : 교사 학습공동체 모델 개발 및 실행 / 연구책임자: 곽영순 ; 공동연구자: 김종윤, 황필아, 백종민, 서용선, 정성식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청구기호
379.155 -16-28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iii, 331 p. : 삽화 ; 26 cm
총서사항
연구보고 ; RRC 2015-4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7881994
제어번호
MONO1201620314
주기사항
부록: 심층면담 질문지
참고문헌: p. 309-321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6

Ⅰ. 서론 14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

2. 연구 내용 17

가. 1, 2차년도 연구 결과 18

나. 3차년도 연구 내용 21

3. 연구 방법 24

가. 문헌 연구 24

나. '학습공동체 구축을 통한 교사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역량 강화 모형'의 현장적합성 탐색을 위한 사례연구(현장조사 및 심층면담) 24

다. 설문조사: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 모델 도출 25

라. 국외 사례연구(문헌 자료 수집 및 분석) 25

마. 전문가 협의회 및 정책 협의회 26

바. 워크숍 및 정책토론회 26

Ⅱ. 단위학교 학습공동체 구축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27

1. 단위학교의 학습공동체 전환 29

2. 학습공동체의 역할 36

Ⅲ.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 모델 도출을 위한 기초연구 41

1. '교사역량강화 모형'의 현장적합성 탐색 42

가. 경기지역 사례연구 결과: 학습공동체에서 마을교육공동체로 47

나. 서울지역 사례연구 결과: 자치ㆍ생활공동체에서 초기 단계 학습공동체로 69

다. '교사역량강화 모형'의 수정ㆍ보완 및 모형의 활용 방안 91

2. 설문조사: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의 실태와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126

가. 설문문항 개발 및 설문조사 과정 126

나. 설문조사 결과 129

3. 국외 사례의 교사 학습공동체 양상과 학교교육과정 편성ㆍ운영 160

가. 교육과정 자율화의 의미와 유형 161

나. 학교교육 책무성의 의미와 유형 166

다. 학습공동체 해외 사례 169

Ⅳ.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 모델 도출 195

1.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 모델 제안 196

가. 학교생태계 회복 203

나. 생활공동체 210

다. 학습공동체 215

라.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자율성-책무성 제고 218

2.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 모델의 특징 220

가. 실천공동체로서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 221

나. 상향식 교사 운동으로서의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 226

다. 범교과 수업컨설팅을 통한 학습공동체와 생활공동체 구축 232

3.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의 역할: 학습공동체를 통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구현 251

가.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학교 교육과정 설계 251

나. 역량기반 교육과정 구현을 위한 교사 학습공동체의 역할과 기능 256

다. 범교과 수업컨설팅을 통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구현 258

Ⅴ. 요약 261

1. 1~3차년도 연구의 연계성 262

가. 1차년도 연구: 교사의 교육과정 역량의 의미 규명 262

나. 2차년도 연구: 교사의 교육과정 역량 제고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262

다. 3차년도 연구: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 모델의 도출 및 관련 정책 제언 263

2. 요약 264

가. 서론 264

나. 단위학교의 학습공동체 전환 및 학습공동체의 역할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264

다.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 모델 도출을 위한 기초연구 265

라.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 모델 도출 269

3. 7대 정책 과제 274

참고문헌 313

ABSTRACT 326

[부록] 심층면담 질문지 330

판권기 2

〈표 Ⅰ-1〉 1~2차년도 연구 결과 및 3차년도 연구 내용 17

〈표 Ⅰ-2〉 교사의 학교 수준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역량 19

〈표 Ⅰ-3〉 학습공동체 구축을 통한 교사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역량 강화 모형의 구성 20

〈표 Ⅰ-4〉 전문가 협의회 및 심층면담 참여자 26

〈표 Ⅱ-1〉 교사 학습공동체의 특성 31

〈표 Ⅱ-2〉 단위학교 교사 학습공동체(PLC) 구성 단계 34

〈표 Ⅲ-1〉 사례연구 학교 및 워킹 그룹 구성 43

〈표 Ⅲ-2〉 심층면담 질문 내용 44

〈표 Ⅲ-3〉 사례연구 학교별 '교사역량강화 모형' 현장적합성 탐색 결과 46

〈표 Ⅲ-4〉 사례연구 학교별 참여자 47

〈표 Ⅲ-5〉 경기지역 사례연구 결과 48

〈표 Ⅲ-6〉 A중학교 교과통합 수업 연간 운영 계획(일부 예시) 63

〈표 Ⅲ-7〉 D중학교 교과융합 수업 연간 운영 계획(일부 예시) 64

〈표 Ⅲ-8〉 서울지역 사례연구 결과 70

〈표 Ⅲ-9〉 B중학교 '탄소 줄이기' 통합교과 프로젝트 운영 계획(일부 예시) 89

〈표 Ⅲ-10〉 배움의공동체 수업 참관에서 관찰 관점 104

〈표 Ⅲ-11〉 교육과정-교수ㆍ학습(수업)-평가의 연계성 확보 방안 122

〈표 Ⅲ-12〉 설문 영역 및 내용 126

〈표 Ⅲ-13〉 설문조사 참여 교원 현황 128

〈표 Ⅲ-14〉 소재지역과 혁신학교 여부 교차표 129

〈표 Ⅲ-15〉 학교 현장 학습공동체의 위상 129

〈표 Ⅲ-16〉 학습공동체의 위상과 혁신학교 여부 교차표 130

〈표 Ⅲ-17〉 학습공동체의 위상과 소재 지역 교차표 130

〈표 Ⅲ-18〉 학습공동체의 위상과 학급규모 교차표 131

〈표 Ⅲ-19〉 학습공동체의 촉진 요인 132

〈표 Ⅲ-20〉 학습공동체의 장애 요인 134

〈표 Ⅲ-21〉 학습공동체의 특징 136

〈표 Ⅲ-22〉 자율경영 체제 구축 138

〈표 Ⅲ-23〉 민주적 자치공동체 139

〈표 Ⅲ-24〉 전문적 학습공동체 형성 141

〈표 Ⅲ-25〉 창의적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143

〈표 Ⅲ-26〉 학습공동체 활동 145

〈표 Ⅲ-27〉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내용 148

〈표 Ⅲ-28〉 지난 1년간 전문성 개발 영역의 참여여부와 학습공동체의 위상 간 교차표 151

〈표 Ⅲ-29〉 필요로 하는 전문성 개발 영역의 기술통계치 152

〈표 Ⅲ-30〉 전문성 개발이 필요한 영역 153

〈표 Ⅲ-31〉 학습공동체 참여에 따른 신념 및 태도의 변화 155

〈표 Ⅲ-32〉 학습공동체 참여에 따른 교수활동의 변화 157

〈표 Ⅲ-33〉 학습공동체의 위상과 학습공동체 형성ㆍ발달단계와의 상관 158

〈표 Ⅲ-34〉 국외 사례 선정 근거 161

〈표 Ⅲ-35〉 2007년 OECD 국가의 교육과정 자율성과 관련된 수준과 유형(Kärkkäinen, 2012: 19) 165

〈표 Ⅲ-36〉 학교책무성의 유형 167

〈표 Ⅲ-37〉 국가별 성과 책무성(송경오ㆍ정지선, 2011: 523) 168

〈표 Ⅲ-38〉 교육책무성 정책 시행 강도에 따른 국가 구분 168

〈표 Ⅲ-39〉 교사 공동체의 반성적 사고를 이끌어 내는 교원 연수 프로그램(Kim et al., 2013: 26-27) 186

〈표 Ⅳ-1〉 교사역량강화 모형과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 모델의 비교 198

〈표 Ⅳ-2〉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 모델 202

〈표 Ⅴ-1〉 7대 정책 과제 275

〈표 Ⅴ-2〉 한국형 학교개선 종합계획(KMPSI)의 2단계(학습공동체 활성화 프로젝트) 예시 279

〈표 Ⅴ-3〉 범교과 수업컨설팅의 특징과 장점 285

〈표 Ⅴ-4〉 교장ㆍ원장 자격연수 표준교육과정에 제시된 역량(교육부, 2014) 288

〈표 Ⅴ-5〉 PISA 2015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 분류표 및 목표 역량별 비중 307

〈표 Ⅴ-6〉 거점학교의 역할 310

[그림 Ⅰ-1] 연구 개관 22

[그림 Ⅱ-1] 교사 학습공동체의 역할과 효과 36

[그림 Ⅲ-1] 학습공동체 구축을 통한 교사의 학교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역량 강화 모형 개요 45

[그림 Ⅲ-2] 주제중심 교과통합 프로젝트 수업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융합) 교육과정 템플릿 65

[그림 Ⅲ-3] 교사역량강화 모형의 수정ㆍ보완 92

[그림 Ⅲ-4] 학습공동체의 촉진요인과 장애 요인 135

[그림 Ⅲ-5] 핀란드 교사의 수업 관련 토의 사례(출처: Kim, et al., 2013: 10-11) 187

[그림 Ⅲ-6] 알버타 교사들의 학습공동체에 대한 경험 192

[그림 Ⅳ-1]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 모델 200

[그림 Ⅳ-2]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 모델이 구현된 사례 예시 201

[그림 Ⅴ-1]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 구축의 전제 조건(MAW 모형) 274

[그림 Ⅴ-2] 7대 정책 과제의 실행 주체와 추진 일정 275

[그림 Ⅴ-3] 한국형 학교개선 종합계획(KMPSI)의 단계 및 하위 프로젝트 277

[그림 Ⅴ-4] 한국형 학교개선 종합계획(KMPSI)의 1단계 프로젝트: 학교생태계 복원 프로그램(Cross et al., 2012: 343의 모형을 학교 상황에 맞게 변형함) 278

[그림 Ⅴ-5] 범교과 수업컨설팅의 과정 285

[그림 Ⅴ-6] 교사 리더십 기준 개발 및 활용 절차(안) 291

[그림 Ⅴ-7] OECD의 Education GPS 사이트 302

[그림 Ⅴ-8] 단위학교 학습공동체와 교사임용 체제 개선 로드맵 305

[그림 Ⅴ-9] 신규교사 시보교육을 담당할 거점학교 교사 학습공동체의 역할 31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90372 379.155 -16-2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90373 379.155 -16-2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