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4)해양생태계 내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 조사 : 최종보고서 / 해양수산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해양수산부, 2016
청구기호
363.7394 -16-29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ii, 429 p. : 삽화, 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620802
주기사항
표지표제: (2014년)해양생태계 내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 조사
주관연구기관: 한양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연구책임자: 문효방
참고문헌: p. 407-429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서론 15

1.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7

1.1.1. 연구 배경 17

1.1.2. 연구의 필요성 20

1.2. 연구의 국내·외 동향 21

1.3. 연구의 목표 31

제2장 신규잔류성유기오염물질 분석법 매뉴얼 작성 33

2.1. 연구개발의 필요성 35

2.2. 분석법 선택 근거 36

2.2.1. 추출 및 정제과정 36

2.2.2. 분석 37

2.3. 분석법 비교 38

2.4. 제안된 매체별·대상물질별 분석 매뉴얼 40

2.4.1. 측정원리 40

2.4.2. 측정범위 및 정밀도 40

2.4.3. 기구 및 장치 40

2.4.4.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er, GC/MS) 41

2.4.5. 시약 42

2.4.6. 표준용액과 내부표준용액 43

2.4.7. 시료의 보관 및 전처리 45

2.4.8. 시험방법 46

2.4.9. 정도보증/정도관리(QA/QC) 47

2.4.10. 정확도(Accuracy) 49

2.4.11. 정밀도(Precision) 50

2.4.12. 결과 50

2.4.13. 측정원리 52

2.4.14. 측정범위 및 정밀도 52

2.4.15. 기구 및 장치 52

2.4.16. 시약 54

2.4.17. 시료의 보관 및 전처리 55

2.4.18. 추출(고상추출방법) 56

2.4.19. 시험방법 56

2.4.20. 검량선 57

2.4.21. 농도의 환산 58

제3장 전국연안 기존/신규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 실태 조사 59

3.1. 시료 채취 61

3.2. 조사 대상물질 68

3.3. 시료 분석 73

3.3.1. 다이옥신/퓨란류(PCDD/Fs) 73

3.3.2. 폴리염화비페닐류(PCBs) 78

3.3.3. 유기염소계농약류(OCPs) 82

3.3.4.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85

3.3.5. 유기주석화합물(TBT) 88

3.3.6. 클로로벤젠(CLBz) 92

3.3.7. 브롬화난연제(PBDEs) 95

3.3.8. 브롬화난연제(HBCDs) 98

3.3.9. 과불화화합물(PFCs) 101

3.4. 자료질검정 104

3.4.1. 폴리염화비페닐류(PCBs)와 유기염소계농약(OCPs) 104

3.4.2.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105

3.5.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의 농도 106

3.5.1. 대상 물질별 농도 106

3.5.2. 대상 매체별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 분포 108

3.6. 외국자료와의 비교 111

3.6.1. 다이옥신/퓨란류(PCDD/Fs) 111

3.6.2. 폴리염화비페닐류(PCBs) 113

3.6.3. DDTs 115

3.6.4.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117

3.6.5. 유기주석화합물(TBT) 121

3.6.6. 브롬화난연제(PBDEs) 123

3.6.7. 브롬화난연제(HBCDs) 125

3.6.8. 과불화화합물(PFCs) 126

3.7.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의 공간적 분포 128

3.8.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의 매체별 조성비 137

3.8.1. 다이옥신/퓨란류(PCDD/Fs) 137

3.8.2. 폴리염화비페닐류(PCBs) 150

3.8.3. DDTs 163

3.8.4.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176

3.8.5. 클로로벤젠(CLBz) 189

3.8.6. 브롬화난연제(PBDEs) 202

3.8.7. 브롬화난연제(HBCDs) 216

3.8.8. 과불화화합물(PFCs) 229

3.9.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농도의 경년 변화 249

3.9.1. 다이옥신/퓨란류(PCDD/Fs) 249

3.9.2. 폴리염화비페닐류(PCBs) 258

3.9.3. DDTs 266

3.9.4. HCHs 274

3.9.5.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282

3.9.6. 유기주석화합물(TBT) 290

3.10. 결론 및 제언 298

제4장 울산만 기존/신규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 실태 조사 301

4.1. 시료채취 303

4.2. 조사 대상물질 312

4.3. 시료의 전처리 318

4.3.1. 다이옥신/퓨란(PCDD/Fs) 318

4.3.2. 폴리염화비페닐(PCBs) 323

4.3.3. 유기염소계농약(OCPs) 및 클로로벤젠(CLBz) 327

4.3.4. 브롬화난연제(PBDEs) 332

4.3.5. 브롬화난연제(HBCDs) 337

4.3.6. 과불화화합물(PFCs) 341

4.3.7.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345

4.4. 대상 매체별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의 분포 349

4.5. 대상 매체별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의 공간 분포 및 농도 비교 352

4.6. 대상 매체별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의 조성비 366

4.7. 울산만의 시간에 따른 오염도 변화 380

4.8. 먹이망 구조에 따른 대상 물질별 농도 385

4.8.1. 대상어종의 물질별 생물축적계수 385

4.8.2. 먹이망 영양단계 측정 387

4.8.3. 먹이영양단계에 따른 대상 물질별 농도 391

4.8.4. 먹이영양단계별 기존/신규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의 먹이망을 통한 생물확대(trophic magnification) 399

4.9. 퇴적물 위해도 평가(Sediment risk assessment) 413

4.9.1. 울산만 퇴적물 위해도 평가 413

4.10. 요약 및 결론 417

참고문헌 419

표 2.1. 해수 중 브롬화난연제(PBDEs) 분석법 비교 38

표 2.2. 해수 중 과불화화합물(PFCs) 분석법 비교 39

표 2.3. PBDEs의 분석방법 검출한계(MDL) 40

표 2.4. 측정에 사용하는 PBDEs 표준물질 44

표 2.5. 측정에 사용하는 PBDEs 내부표준물질 44

표 2.6. PBDEs 분석을 위한 GC/MS의 분석조건 46

표 2.7. PFCs의 분석방법 검출한계(MDL) 52

표 2.8. 측정에 사용하는 PFCs 표준물질 55

표 2.9. 측정에 사용하는 PFCs 내부표준물질 55

표 2.10. PFCs 분석을 위한 LC/MS/MS의 분석조건 56

표 3.1.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 해역별 조사정점 정보 63

표 3.2. 조사 정점별 퇴적물 정보 64

표 3.3. 조사 정점별 생물 정보 66

표 3.4. 다이옥신/퓨란류(PCDD/Fs) 17종과 사용된 독성등가환산계수(TEF) 68

표 3.5. 폴리염화비페닐류(PCBs) 22종 69

표 3.6. 유기염소계 농약류(OCPs; DDTs: 6종, HCHs: 3종, CHLs: 5종) 69

표 3.7.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16종 70

표 3.8. 클로로벤젠류(CLBz) 8종 70

표 3.9. 브롬화난연계(PBDEs) 22종 71

표 3.10. 브롬화난연계(HBCDs) 3종 72

표 3.11. 과불화화합물(PFCs) 16종 72

표 3.12. 다이옥신/퓨란류(PCDD/Fs) 분석에 사용된 내부표준물질 74

표 3.13. 다이옥신/퓨란류(PCDD/Fs)의 기기분석조건 75

표 3.14. 다이옥신류/퓨란류(PCDD/Fs) 분석에 사용한 분자량 76

표 3.15. 폴리염화비페닐류(PCBs) 분석에 사용된 내부표준물질 78

표 3.16. 폴리염화비페닐류(PCBs)의 기기 분석조건 79

표 3.17. 폴리염화비페닐류(PCBs) 분석에 사용한 분자량 80

표 3.18. 유기염소계농약류(OCPs) 분석에 사용된 내부표준물질 82

표 3.19. 유기염소계농약류(OCPs)의 기기 분석조건 83

표 3.20. 유기염소계농약류(OCPs) 분석에 사용한 분자량 83

표 3.21.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분석에 사용된 내부표준물질 85

표 3.22.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의 기기 분석조건 86

표 3.23.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분석에 사용한 분자량 86

표 3.24. 유기주석화합물(TBT) 분석에 사용된 내부표준물질 89

표 3.25. 유기주석화합물(TBT)의 기기 분석조건 90

표 3.26. 클로로벤젠류(CLBz) 분석에 사용된 내부표준물질 92

표 3.27. 클로로벤젠류(CLBz)의 기기 분석조건 93

표 3.28. 브롬화난연제(PBDEs) 분석에 사용된 내부표준물질 95

표 3.29. 브롬화난연제(PBDEs) 분석조건 96

표 3.31. 브롬화난연제(HBCDs)의 기기 분석조건 99

표 3.32. 브롬화난연제(HBCDs) 분석에 사용한 분자량 99

표 3.33. 과불화화합물(PFCs)의 분석에 사용된 내부표준물질 102

표 3.34. 2014년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 모니터링 농도(평균±표준편차) 107

표 3.35. 국내 자료와 외국 자료와의 퇴적물 중 다이옥신/퓨란류... 111

표 3.36. 국내 자료와 외국 자료와의 생물 중 다이옥신/퓨란류... 112

표 3.37. 국내 자료와 외국 자료와의 퇴적물 중 폴리염화비페닐류... 113

표 3.38. 국내 자료와 외국 자료와의 생물 중 폴리염화비페닐류... 114

표 3.39. 국내 자료와 외국 자료와의 퇴적물 중 DDTs(ng/g dry weight) 농도의 비교 115

표 3.41. 미국해양대기청(NOAA)에서 제안하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의 ERL과 ERM 값 118

표 3.42. 국내 자료와 외국 자료와의 퇴적물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 119

표 3.43. 국내 자료와 외국 자료와의 생물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 120

표 3.44. 국내 자료와 외국 자료와의 퇴적물 중 TBT(ng Sn/g dry weight) 농도의 비교 121

표 3.45. 국내 자료와 외국 자료와의 생물 중 TBT(ng Sn/g dry weight) 농도의 비교 122

표 3.46. 퇴적물 중 국내와 외국 자료와의 PBDEs(ng/g dry wt.) 농도 비교 123

표 3.47. 해양생물 중 국내와 외국 자료와의 PBDEs(ng/g dry wt.) 농도 비교 124

표 3.48. 퇴적물 중 국내와 외국 자료와의 HBCDs(ng/g dry wt.) 농도 비교 125

표 3.49. 표층수 중 국내와 외국 자료와의 PFOS(ng/L) 농도 비교 126

표 3.50. 표층수 중 국내와 외국 자료와의 PFOA(ng/L) 농도 비교 127

표 4.1. 울산만 내측 조사 정점별 해수 중 유기탄소 및 부유물질량 307

표 4.2. 울산만 내측 조사 정점별 해양퇴적물 정보 308

표 4.3. 경남지역 서식 생물 정보(경남지역 수협 월별 판매고, 2014) 309

표 4.4. 수집된 생물 시료 정보(총 24종) 310

표 4.5. 다이옥신/퓨란(PCDD/Fs) 17종과 사용된 독성등가환산계수(TEF) 312

표 4.6. 폴리염화비페닐(PCBs) 25종 313

표 4.7. 유기염소계 농약(OCPs) 17종(OCPs; DDTs: 6종, HCHs: 4종, CHLs: 5종, HCB, Heptachlor) 314

표 4.8. 클로로벤젠류(CLBz) 8종 314

표 4.9. 브롬화난연계(PBDEs) 22종 315

표 4.10. 브롬화난연계(HBCDs) 3종 316

표 4.11. 과불화화합물(PFCs) 17종 316

표 4.12.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22종 317

표 4.13. 다이옥신/퓨란(PCDD/Fs) 분석에 사용된 내부표준물질 320

표 4.14. 다이옥신/퓨란(PCDD/Fs)의 기기분석조건 321

표 4.15. 다이옥신/퓨란(PCDD/Fs) 분석에 사용한 분자량 321

표 4.16. 폴리염화비페닐(PCBs) 분석에 사용된 내부표준물질 324

표 4.17. 폴리염화비페닐(PCBs)의 기기 분석조건 324

표 4.18. 폴리염화비페닐(PCBs) 분석에 사용한 분자량(총 25종) 325

표 4.19. 유기염소계농약류(OCPs)의 기기 분석조건 328

표 4.20. 유기염소계농약류(OCPs) 분석에 사용한 분자량(총 17종) 329

표 4.21. 클로로벤젠류(CLBz)의 기기 분석조건 329

표 4.22. 클로로벤젠류(CLBz) 분석에 사용한 분자량 330

표 4.23. 브롬화난연제(PBDEs) 분석에 사용된 내부표준물질 333

표 4.24. 브롬화난연제(PBDEs) 분석에 사용한 분자량(총 22종) 334

표 4.25. 브롬화난연제(PBDEs)의 기기 분석조건 335

표 4.26. 브롬화난연제(HBCDs) 분석에 사용된 내부표준물질 338

표 4.27. 브롬화난연계(HBCDs)의 기기 분석조건 338

표 4.28. 브롬화난연계(HBCDs) 분석에 사용한 분자량 339

표 4.29. 과불화화합물류(PFCs) 분석에 사용된 내부표준물질 342

표 4.30. 과불화화합물류(PFCs)의 기기 분석조건 342

표 4.31. 과불화화합물류(PFCs) 분석에 사용한 분자량 343

표 4.32.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분석에 사용된 내부표준물질 346

표 4.33.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의 기기 분석조건 346

표 4.34.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분석에 사용한 분자량 347

표 4.35. 울산만 POPs의 해수(동계 및 하계), 해양퇴적물, 해양생물 중 농도(평균 ± 표준편차) 350

표 4.36. 대상 생물의 질소안정동위원소 값과 영양단계 390

표 4.37. 대상생물의 서식환경에 따른 저서성(benthic)과 표영성(pelagic)의 구분 400

표 4.38. 대상물질과 영양단계(trophic level) 간 회귀분석 결과 401

표 4.39. 대상물질과 영양단계(trophic level) 간 회귀분석 결과(Benthic) 401

표 4.40. 대상물질과 영양단계(trophic level) 간 회귀분석 결과(Pelagic) 402

표 4.41. 울산만 먹이망 내 TMF 값 410

표 4.42. 기존 연구들과의 Trophic magnification factor(TMF) 비교 410

그림 1.1.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에 의한 피해로 추정되는 전세계 주요 사례 19

그림 1.2. 프랑스 연안에서 채취된 진주담치(Mytilus edulis)에서의 다이옥신류 축적 농도의 연변화 27

그림 1.3. 일본 연안에서 채취된 진주담치(Mytilus edulis)에서의 난연제 화합물(HBCDs와 PBDEs)과... 28

그림 1.4. 참치(skipjack tuna)를 이용한 다이옥신류의 global monitoring 결과 29

그림 1.5. 캐나다 바다사자 지방층 중 POPs 장기 모니터링 결과와 배출량 변동 30

그림 1.6. 본 연구사업의 목표 31

그림 2.1. 제안된 해수 내 PBDEs 표준분석법 흐름도 51

그림 2.2. 제안된 해수 내 PFCs 표준분석법 흐름도 58

그림 3.1.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 조사 정점도 62

그림 3.2. 다이옥신/퓨란류(PCDD/Fs) 분석을 위한 전처리 흐름도 77

그림 3.3. 폴리염화비페닐류(PCBs) 분석을 위한 전처리 흐름도 81

그림 3.4. 유기염소계농약류(OCPs) 분석을 위한 전처리 흐름도 84

그림 3.5.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분석을 위한 전처리 흐름도 87

그림 3.6. 유기주석화합물(TBT) 분석을 위한 전처리 흐름도 91

그림 3.7. 클로로벤젠(CLBz) 분석을 위한 전처리 흐름도 94

그림 3.8. 브롬화난연제(PBDEs) 분석을 위한 전처리 흐름도 97

그림 3.9. 브롬화난연제(HBCDs) 분석을 위한 전처리 흐름도 100

그림 3.10. 해수시료 중 과불화화합물(PFCs) 전처리 흐름도 102

그림 3.11. 해양퇴적물시료 중 과불화화합물(PFCs) 전처리 흐름도 103

그림 3.12. 해양생물시료 중 과불화화합물(PFCs) 전처리 흐름도 103

그림 3.13. 해저퇴적물 공인표준물질(NIST 1941b) 분석결과 104

그림 3.14. 해양생물 공인표준물질(NIST 2974a) 분석결과 104

그림 3.15. 해저퇴적물 공인표준물질(NIST 1941b) 분석결과 105

그림 3.16. 해양생물 공인표준물질(NIST 2974a) 분석결과 105

그림 3.17. 매체별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에 대한 오염도(n.d.: 불검출) 109

그림 3.18. 해저퇴적물과 해양생물 중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에 대한 퍼센타일 누적분포 110

그림 3.19. 해저퇴적물과 해양생물 중 다이옥신/퓨란류(PCDD/Fs)의 공간 분포 131

그림 3.20. 해저퇴적물과 해양생물 중 폴리염화비페닐류(PCBs)의 공간 분포 131

그림 3.21. 해저퇴적물과 해양생물 중 유기염소계농약류(DDTs)의 공간 분포 132

그림 3.22. 해저퇴적물과 해양생물 중 유기주석화합물(TBT)의 공간 분포 132

그림 3.23. 해저퇴적물과 해양생물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의 공간 분포 133

그림 3.24. 해저퇴적물과 해양생물 중 클로로벤젠(CLBz)의 공간 분포 134

그림 3.25. 해저퇴적물과 해양생물 중 브롬화난연제(PBDEs)의 공간 분포 135

그림 3.26. 해저퇴적물과 해양생물 중 브롬화난연제(HBCDs)의 공간 분포 135

그림 3.27. 해수 중 과불화화합물(PFCs)의 공간 분포 136

그림 3.28. 해저퇴적물, 해양생물 중 과불화화합물(PFCs)의 공간 분포 136

그림 3.29. 해저퇴적물 중 다이옥신/퓨란류(PCDD/Fs)의 조성비 137

그림 3.30. 조사 정점별 해저퇴적물 중 다이옥신/퓨란류(PCDD/Fs)의 조성비 142

그림 3.31. 해양생물 중 다이옥신/퓨란류(PCDD/Fs)의 조성비 143

그림 3.32. 조사 정점별 해양생물 중 다이옥신/퓨란류(PCDD/Fs)의 조성비 148

그림 3.33. 해저퇴적물 중 폴리염화비페닐류(PCBs)의 조성비 150

그림 3.34. 조사 정점별 해저퇴적물 중 폴리염화비페닐류(PCBs)의 조성비 155

그림 3.35. 해양생물 중 폴리염화비페닐류(PCBs)의 조성비 156

그림 3.36. 조사 정점별 해양생물 중 폴리염화비페닐(PCBs)의 조성비 161

그림 3.37. 해저퇴적물 중 DDTs의 조성비 163

그림 3.38. 조사 정점별 해저퇴적물 중 DDTs의 조성비 168

그림 3.39. 해양생물 중 DDTs의 조성비 169

그림 3.40. 조사 정점별 해양생물 중 DDTs의 조성비 174

그림 3.41. 해저퇴적물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의 조성비 176

그림 3.42. 조사 정점별 해저퇴적물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의 조성비 181

그림 3.43. 해양생물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의 조성비 182

그림 3.44. 조사 정점별 해양생물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의 조성비 187

그림 3.45. 해저퇴적물 중 클로로벤젠(CLBzs)의 조성비 189

그림 3.46. 조사 정점별 해저퇴적물 중 클로로벤젠(CLBz)의 조성비 194

그림 3.47. 해저생물 중 브롬화난연제(PBDEs)의 조성비 195

그림 3.48. 조사 정점별 해저퇴적물 중 클로로벤젠(CLBz)의 조성비 200

그림 3.49. 해저퇴적물 중 브롬화난연제(PBDEs)의 조성비 202

그림 3.50. 조사 정점별 해저퇴적물 중 브롬화난연제(PBDEs)의 조성비 207

그림 3.51. 해양생물 중 브롬화난연제(PBDEs)의 조성비 209

그림 3.52. 조사 정점별 해양생물 중 브롬화난연제(PBDEs)의 조성비 214

그림 3.53. 해저퇴적물 중 브롬화난연제(HBCDs)의 조성비 216

그림 3.54. 조사 정점별 해저퇴적물 중 브롬화난연제(HBCDs)의 조성비 221

그림 3.55. 해양생물 중 브롬화난연제(HBCDs)의 조성비 222

그림 3.56. 조사 정점별 해양생물 중 브롬화난연제(HBCDs)의 조성비 227

그림 3.57. 해수 중 과불화화합물(PFCs)의 조성비 229

그림 3.58. 조사 정점별 해수 중 과불화화합물(PFCs)의 조성비 234

그림 3.59. 해저퇴적물 중 과불화화합물(PFCs)의 조성비 235

그림 3.60. 조사 정점별 해저퇴적물 중 과불화화합물(PFCs)의 조성비 240

그림 3.61. 해양생물 중 과불화화합물(PFCs)의 조성비 242

그림 3.62. 조사 정점별 햐양생물 중 과불화화합물(PFCs)의 조성비 247

그림 3.63. 해저퇴적물 중 다이옥신/퓨란류(PCDD/Fs) 농도의 시간적 변화 250

그림 3.64. 조사 정점별 해저퇴적물 중 다이옥신/퓨란류(PCDD/Fs) 농도의 시간적 변화 253

그림 3.65. 해양생물 중 다이옥신/퓨란류(PCDD/Fs) 농도의 시간적 변화 254

그림 3.66. 조사 정점별 해양생물 중 다이옥신/퓨란류(PCDD/Fs) 농도의 시간적 변화 257

그림 3.67. 해저퇴적물 중 폴리염화비페닐류(PCBs) 농도의 시간적 변화 258

그림 3.68. 조사 정점별 해저퇴적물 중 폴리염화비페닐류(PCBs) 농도의 시간적 변화 261

그림 3.69. 해양생물 중 폴리염화비페닐류(PCBs) 농도의 시간적 변화 262

그림 3.70. 조사 정점별 해양생물 중 폴리염화비페닐류(PCBs) 농도의 시간적 변화 265

그림 3.71. 해저퇴적물 중 DDTs 농도의 시간적 변화 266

그림 3.72. 조사 정점별 해저퇴적물 중 DDTs 농도의 시간적 변화 269

그림 3.73. 해양생물 중 DDTs 농도의 시간적 변화 270

그림 3.74. 조사 정점별 해양생물 중 DDTs 농도의 시간적 변화 273

그림 3.75. 해저퇴적물 중 HCHs 농도의 시간적 변화 274

그림 3.76. 조사 정점별 해저퇴적물 중 HCHs 농도의 시간적 변화 277

그림 3.77. 해양생물 중 HCHs 농도의 시간적 변화 278

그림 3.78. 조사 정점별 해저퇴적물 중 HCHs 농도의 시간적 변화 281

그림 3.79. 해양퇴적물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농도의 시간적 변화 282

그림 3.80. 조사 정점별 해양퇴적물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농도의 시간적 변화 285

그림 3.81. 해양생물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농도의 시간적 변화 286

그림 3.82. 조사 정점별 해양생물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농도의 시간적 변화 289

그림 3.83. 해저퇴적물 중 유기주석화합물(TBT) 농도의 시간적 변화 290

그림 3.84. 조사 정점별 해저퇴적물 중 유기주석화합물(TBT) 농도의 시간적 변화 293

그림 3.85. 해양생물 중 유기주석화합물(TBT) 농도의 시간적 변화 294

그림 3.86. 조사 정점별 해양생물 중 유기주석화합물(TBT) 농도의 시간적 변화 297

그림 4.1. 울산만 내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 조사 정점도 304

그림 4.2. 울산만 현장 조사 및 시료 채취 305

그림 4.3. 울산만 대상 생물 시료 수집(방어진 수협) 306

그림 4.4. 서식환경 별 울산만 생물시료 수집현황(총 24종) 311

그림 4.5. 다이옥신/퓨란류(PCDD/Fs) 분석을 위한 전처리 흐름도 322

그림 4.6. 폴리염화비페닐(PCBs) 분석을 위한 전처리 흐름도 326

그림 4.7. 유기염소계농약류(OCPs) 및 클로로벤젠류(CLBz) 분석을 위한 전처리 흐름도 331

그림 4.8. 브롬화난연계(PBDEs) 분석을 위한 전처리 흐름도 336

그림 4.9. 브롬화난연계(HBCDs) 분석을 위한 전처리 흐름도 340

그림 4.10. 과불화화합물류(PFCs) 분석을 위한 전처리 흐름도 344

그림 4.11.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분석을 위한 전처리 흐름도 348

그림 4.12. 매체별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에 대한 오염도 351

그림 4.13. 울산만의 해양퇴적물 중 TOC(%)의 공간분포 352

그림 4.14. 울산만의 해양퇴적물 중 PCDD/Fs의 공간분포 353

그림 4.15. 해양퇴적물 중 국내·외 PCDD/Fs(pg-TEQ/g dw)의 농도 비교 354

그림 4.16. 울산만의 해수 및 해양퇴적물 중 PCBs의 공간분포 355

그림 4.17. 울산만의 해수 및 해양퇴적물 중 DDTs의 공간분포 356

그림 4.18. 울산만의 해수 및 해양퇴적물 중 CLBz의 공간분포 357

그림 4.19. 울산만의 해수 및 해양퇴적물 중 PBDEs의 공간분포 359

그림 4.20. 해양퇴적물 중 국내·외 PBDEs(ng/g dw)의 농도 비교 360

그림 4.21. 울산만의 해수 및 해양퇴적물 중 HBCDs의 공간분포 362

그림 4.22. 해양퇴적물 중 국내·외 HBCDs(ng/g dw)의 농도 비교 362

그림 4.23. 울산만의 해수 및 해양퇴적물 중 PFCs의 공간분포 363

그림 4.24. 해수 중 국내·외 PFCs(ng/L)의 농도 비교 364

그림 4.25. 울산만의 해수 및 해양퇴적물 중 PAHs의 공간분포 365

그림 4.26. 울산만의 해양퇴적물, 해양생물 중 PCDD/Fs의 축적패턴 367

그림 4.27. 울산만의 해수, 해양퇴적물, 해양생물 중 PCBs의 축적패턴 368

그림 4.28. 울산만의 해수, 해양퇴적물, 해양생물 중 OCPs의 축적패턴 370

그림 4.29. 울산만의 해수, 해양퇴적물, 해양생물 중 CLBz의 축적패턴 371

그림 4.30. 울산만의 해수, 해양퇴적물, 해양생물 중 PBDEs의 축적패턴 373

그림 4.31. 울산만 내 정점에 따른 해양퇴적물 중 PBDEs 분포 특성 374

그림 4.32. 울산만의 해수, 해양퇴적물, 해양생물 중 HBCDs의 축적패턴 375

그림 4.33. 울산만의 해수, 해양퇴적물, 해양생물 중 PFCs의 축적패턴 377

그림 4.34. 우리나라 연안에서 혼획된 밍크고래(minke whale)와 참돌고래(common dolphin) 중... 378

그림 4.35. 울산만의 해수, 해양퇴적물, 해양생물 중 PAHs의 축적패턴 379

그림 4.36. 시간경과에 따른 울산/온산만 퇴적물 37개 정점 별 PCDD/Fs 농도변화 382

그림 4.37. 시간경과에 따른 울산/온산만 퇴적물 37개 정점 별 PAHs 농도변화 382

그림 4.38. 시간경과에 따른 울산/온산만 퇴적물 38개 정점 별 PBDEs 농도변화 383

그림 4.39. 시간경과에 따른 울산만 37개 퇴적물 내 PCDD/Fs 농도변화 383

그림 4.40. 시간경과에 따른 울산만 37개 퇴적물 내 PAHs 농도변화 384

그림 4.41. 시간경과에 따른 울산만 38개 퇴적물 내 PBDEs 농도변화 384

그림 4.42. 캘리포니아 주에서의 수은, PCBs 농도를 기반으로 한 어류 섭취량 권고 기준(SAFE... 385

그림 4.43. 대상물질에 대한 생물농축 계수(BAF) 측정 386

그림 4.44. 울산만 내 수집된 생물의 질소안정동위원소 비 388

그림 4.45. 질소, 탄소 안정동위원소비를 이용한 먹이망 구조 예측 389

그림 4.46. 울산만 대상 생물종 중 PCDD/Fs 농도 393

그림 4.47. 울산만 대상 생물종 중 PCBs 농도 393

그림 4.48. 울산만 대상 생물종 중 DDTs 농도 394

그림 4.49. 울산만 대상 생물종 중 HCHs 농도 394

그림 4.50. 울산만 대상 생물종 중 CHLs 농도 395

그림 4.51. 울산만 대상 생물종 중 HCB 농도 395

그림 4.52. 울산만 대상 생물종 중 CLBz 농도 396

그림 4.53. 울산만 대상 생물종 중 PBDEs 농도 396

그림 4.54. 울산만 대상 생물종 중 PFCs(M-근육부) 농도 397

그림 4.55. 울산만 대상 생물종 중 PFCs(L-간) 농도 397

그림 4.56. 울산만 대상 생물종 중 HBCDs 농도 398

그림 4.57. 울산만 대상 생물종 중 PAHs 농도 398

그림 4.58. PCDD/Fs의 영양단계에 따른 생물확대 분석 결과 403

그림 4.59. PCBs의 영양단계에 따른 생물확대 분석 결과 403

그림 4.60. DDTs의 영양단계에 따른 생물확대 분석 결과 404

그림 4.61. HCHs의 영양단계에 따른 생물확대 분석결과 404

그림 4.62. CHLs의 영양단계에 따른 생물확대 분석결과 405

그림 4.63. HCB의 영양단계에 따른 생물확대 분석 결과 405

그림 4.64. CLBz의 영양단계에 따른 생물확대 분석 결과 406

그림 4.65. PBDEs의 영양단계에 따른 생물확대 분석 결과 406

그림 4.66. PFCs(M-근육부)의 영양단계에 따른 생물확대 분석 결과 407

그림 4.67. PFCs(L-간)의 영양단계에 따른 생물확대 분석 결과 407

그림 4.68. HBCDs의 영양단계에 따른 생물확대 분석 결과 408

그림 4.69. PAHs의 영양단계에 따른 생물확대 분석 결과 408

그림 4.70. 먹이영양단계의 종류에 따른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의... 412

그림 4.71. 먹이영양단계의 종류에 따른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의 생물확대 412

그림 4.72. 울산만 퇴적물 중 PCBs 농도와 전세계 기준치와의 비교 414

그림 4.73. 울산만 퇴적물 중 DDTs 농도와 전세계 기준치와의 비교 414

그림 4.74. 울산만 퇴적물 중 HCHs 농도와 전세계 기준치와의 비교 415

그림 4.75. 울산만 퇴적물 중 HCB 농도와 전세계 기준치와의 비교 415

그림 4.76. 울산만 퇴적물 중 CHLs 농도와 전세계 기준치와의 비교 416

그림 4.77. 울산만 퇴적물 중 PAHs 농도와 전세계 기준치와의 비교 41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55817 363.7394 -16-2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55818 363.7394 -16-2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EM0000061800 363.7394 -16-29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