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인기도
발행사항
원주 :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15
청구기호
577.7 -16-8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ix, 342 p. : 삽화, 지도, 표 ; 30 cm
총서사항
NPRI ; 2015-34
제어번호
MONO1201621067
주기사항
판권기표제: (2015년)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연구책임: 이창래
부록: 동계 조사정점의 위도, 경도 및 수심(m) ; 춘계 조사정점의 위도, 경도 및 수심(m) ; 하계 조사정점의 위도, 경도 및 수심(m) 외
참고문헌 수록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Ⅰ. 요약문 13

Ⅱ. 조사개요 19

1. 조사배경 20

2. 조사목적 20

3. 조사시기 21

4. 조사해역의 물리적 해황 22

Ⅲ. 분야별 조사 결과 25

제1장 물리환경 26

가. 서론 26

나. 재료 및 방법 26

다. 결과 28

라. 고찰 80

마. 참고문헌 82

제2장 해양지질 84

가. 서론 84

나. 재료 및 방법 84

다. 결과 93

라. 고찰 104

마. 참고문헌 108

제3장 식물플랑크톤 109

가. 서론 109

나. 조사방법 109

다. 결과 111

라. 고찰 117

마. 참고문헌 118

제4장 중형동물플랑크톤 119

가. 서론 119

나. 조사방법 119

다. 결과 121

라. 고찰 142

마. 참고문헌 144

제5장 해양 저서무척추동물 146

가. 서론 146

나. 재료 및 방법 147

다. 결과 150

라. 고찰 178

마. 참고문헌 181

제6장 해조류 183

가. 서론 183

나. 조사방법 185

다. 결과 186

라. 고찰 194

마. 참고문헌 195

제7장 해초류 198

가. 서론 198

나. 조사내용 및 방법 198

다. 결과 202

라. 고찰 212

마. 참고문헌 214

제8장 해양어류 215

가. 서론 215

나. 연구방법 216

다. 결과 217

라. 고찰 254

마. 참고문헌 255

Ⅳ. 종합고찰 256

Ⅴ. 부록 262

[부록 Ⅴ.1.1] 동계 조사정점의 위도 경도 및 수심 263

[부록 Ⅴ.1.2] 춘계 조사정점의 위도 경도 및 수심 264

[부록 Ⅴ.1.3] 하계 조사정점의 위도 경도 및 수심 265

[부록 Ⅴ.1.4] 추계 조사정점의 위도 경도 및 수심 266

[부록 Ⅴ.2.1] 동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 및 세포수 267

[부록 Ⅴ.2.2] 춘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 및 세포수 269

[부록 Ⅴ.2.3] 하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 및 세포수 272

[부록 Ⅴ.2.4] 추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 및 세포수 276

[부록 Ⅴ.3.1] 동계에 출현한 중형 동물플랑크톤 종목록 및 개체수 278

[부록 Ⅴ.3.2] 춘계에 출현한 중형 동물플랑크톤 종목록 및 개체수 282

[부록 Ⅴ.3.3] 하계에 출현한 중형 동물플랑크톤 종목록 및 개체수 286

[부록 Ⅴ.3.4] 추계에 출현한 중형 동물플랑크톤 종목록 및 개체수 292

[부록 Ⅴ.4.1] 동계 해양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 및 개체수 300

[부록 Ⅴ.4.2] 2015년 춘계 해양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 및 개체수 307

[부록 Ⅴ.4.3] 2015년 하계 해양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 및 개체수 314

[부록 Ⅴ.4.4] 2015년 추계 해양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 및 개체수 321

[부록 Ⅴ.4.5] 해양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 사진 328

[부록 Ⅴ.5.1] 태안해안국립공원 통개 해조군집 종조성 및 생물량 332

[부록 Ⅴ.5.2] 변산반도국립공원 하섬 해조군집 종조성 및 생물량 334

[부록 Ⅴ.5.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서부 진도 남동리 해조군집 종조성 및 생물량 336

[부록 Ⅴ.5.4]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완도 소안도 이월리 해조군집 종조성 및 생물량 339

[부록 Ⅴ.5.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여수 안도 해조군집 종조성 및 생물량 341

[부록 Ⅴ.5.6]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 통영 신전리 해조군집 종조성 및 생물량 344

[부록 Ⅴ.5.7] 태안해안국립공원 통개 해조류 계절별 중요치 347

[부록 Ⅴ.5.8] 변산반도국립공원 하섬 해조류 계절별 중요치 349

[부록 Ⅴ.5.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서부 진도 남동리 해조류 계절별 중요치 350

[부록 Ⅴ.5.10]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완도 소안도 해조류 계절별 중요치 352

[부록 Ⅴ.5.1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여수 안도 계절별 해조류 중요치 353

[부록 Ⅴ.5.12]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 통영 신전리 해조류 계절별 355

판권기 357

표 Ⅱ.1.1. 각 분야별 조사시기 및 정점 수 22

표 Ⅲ.1.1. 동계 표층, 저층 수온, 염분 결과 32

표 Ⅲ.1.2. 춘계 표층, 저층 수온, 염분 결과 45

표 Ⅲ.1.3. 하계 표층, 저층 수온, 염분 결과 58

표 Ⅲ.1.4. 추계 표층, 저층 수온, 염분 결과 72

표 Ⅲ.2.1. 동계 조사지점의 위치, 조사일시, 조사 수심과 수온 및 염분(psu) 87

표 Ⅲ.2.2. 춘계 조사지점의 위치, 조사일시, 조사 수심과 수온 및 염분(psu) 88

표 Ⅲ.2.3. 하계 조사지점의 위치, 조사일시, 조사 수심과 수온 및 염분(psu) 89

표 Ⅲ.2.4. 추계 조사지점의 위치, 조사일시, 조사 수심과 수온 및 염분(psu) 90

표 Ⅲ.2.5. 해양퇴적물 입자크기 분류표 91

표 Ⅲ.2.6. 분급도의 분류 및 그에 따른 각각의 표현법 92

표 Ⅲ.2.7. 동계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 분급도와 자갈, 모래, 실트, 점토 함량 95

표 Ⅲ.2.8. 춘계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 분급도와 자갈, 모래, 실트, 점토 함량 96

표 Ⅲ.2.9. 하계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 분급도와 자갈, 모래, 실트, 점토 함량 97

표 Ⅲ.2.10. 추계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 분급도와 자갈, 모래, 실트, 점토 함량 98

표 Ⅲ.2.11. 계절별 표층퇴적물의 입도특성, 유기물과 COD의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99

표 Ⅲ.3.1. 식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12

표 Ⅲ.3.2. 유해성 적조종의 출현 비율 114

표 Ⅲ.4.1. 태안해안~한려해상국립공원 내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22

표 Ⅲ.4.2. 한려해상국립공원 내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23

표 Ⅲ.4.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내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23

표 Ⅲ.4.4.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24

표 Ⅲ.4.5. 태안해안국립공원 내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24

표 Ⅲ.4.6. 동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별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25

표 Ⅲ.4.7. 동계 해양ㆍ해안국립공원 외측해역(대조구)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26

표 Ⅲ.4.8. 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별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28

표 Ⅲ.4.9. 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외측해역(대조구)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28

표 Ⅲ.4.10. 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별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30

표 Ⅲ.4.11. 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외측해역(대조구)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30

표 Ⅲ.4.12. 추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별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32

표 Ⅲ.4.13. 추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외측해역(대조구)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32

표 Ⅲ.5.1. 저서무척추동물 분야 조사시기 및 조사정점수 147

표 Ⅲ.5.2. AMBI와 BPI 저서 건강도 지수의 분류 기준 149

표 Ⅲ.5.3. 동계 저서무척추동물 종조성 150

표 Ⅲ.5.4. 동계 공원 내ㆍ외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53

표 Ⅲ.5.5. 동계 SIMPER 분석에 의한 그룹별 상위 기여종 155

표 Ⅲ.5.6. 동계 공원 지구별 AMBI와 BPI 건강도 평가 156

표 Ⅲ.5.7. 춘계 저서무척추동물 종조성 157

표 Ⅲ.5.8. 춘계 공원 내 외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60

표 Ⅲ.5.9. 춘계 SIMPER 분석에 의한 그룹간 상위 기여종 162

표 Ⅲ.5.10. 춘계 공원 지구별 AMBI와 BPI 건강도 평가 163

표 Ⅲ.5.11. 하계 저서무척추동물 종조성 164

표 Ⅲ.5.12. 하계 공원 내 외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67

표 Ⅲ.5.13. SIMPER 분석에 의한 그룹간 상위 기여종 169

표 Ⅲ.5.14. 하계 공원 지구별 AMBI와 BPI 건강도 평가 170

표 Ⅲ.5.15. 추계 저서무척추동물 종조성 171

표 Ⅲ.5.16. 추계 공원 내ㆍ외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74

표 Ⅲ.5.17. SIMPER 분석에 의한 그룹간 상위 기여종 176

표 Ⅲ.5.18. 추계 국립공원 지구별 AMBI와 BPI 건강도 평가 177

표 Ⅲ.5.19. 2015년 해양국립공원 내ㆍ외해역에서의 저서무척추동물 군집정보 요약 179

표 Ⅲ.5.20. 2015년도 공원별, 계절별 AMBI 지수 평균값 180

표 Ⅲ.5.21. 2015년도 공원별, 계절별 BPI 지수 평균값 180

표 Ⅲ.6.1. 해조류 조사일정 및 지점 186

표 Ⅲ.6.2. 해조류 조사지점별 우점종 및 준우점종 193

표 Ⅲ.6.3. 과거 연구결과와 해조류 출현종수 비교 194

표 Ⅲ.7.1. 해초류 조사일정 및 지점 199

표 Ⅲ.7.2. 해초류 분포 및 생육환경 202

표 Ⅲ.7.3. 거머리말의 생육밀도와 생물량 204

표 Ⅲ.7.4. 거머리말의 형태적 특징 205

표 Ⅲ.8.1. 해양 어류 조사지점 및 서식지 특성 216

표 Ⅲ.8.2. 출현어류의 분류군별 구성 및 표본확보 현황 218

표 Ⅲ.8.3. 해상해안 국립공원 지역의 미발굴종 목록 253

표 Ⅳ.1.1. 해양생태축 주요 생물분류군별 생물량 및 종수 258

표 Ⅳ.1.2. 2015년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지표별 결과 259

그림 Ⅱ.1.1. 2015년 해양생태축 연구해역 및 정점 21

그림 Ⅱ.1.2/그림 Ⅱ.1.1. 한국 인근의 수심도(Peng et al., 2004) 및 해류 분포 (배와 김, 2012) 24

그림 Ⅲ.1.1. 동계(◆), 춘계(■), 하계(●), 추계(●) CTD 정점 27

그림 Ⅲ.1.2. 광역 위성영상 합성 표면수온 분포도(국립수산과학원, 2015c) 29

그림 Ⅲ.1.3. 동계 조사기간 동안의 바람장미도 30

그림 Ⅲ.1.4. 동계 표층 수온, 염분, 용존산소 분포도 32

그림 Ⅲ.1.5. 동계 저층 수온, 염분, 용존산소 분포도 33

그림 Ⅲ.1.6. 동계 정점별 수온 염분 밀도(σt) 수직 분포도 34

그림 Ⅲ.1.7. 동계 국립공원 구역 내 수온-염분도(T-S 다이어그램). 등치선은 σt(시그마티)를 나타냄 39

그림 Ⅲ.1.8. 동계 국립공원 구역 외 수온-염분도(T-S 다이어그램). 등치선은 σt(시그마티)를 나타냄 40

그림 Ⅲ.1.9. 광역 위성영상 합성 표면수온 분포도(국립수산과학원, 2015d) 42

그림 Ⅲ.1.10. 춘계 조사기간 동안의 바람장미도 43

그림 Ⅲ.1.11. 춘계 표층 수온, 염분, 용존산소 분포도 45

그림 Ⅲ.1.12. 춘계 저층 수온, 염분, 용존산소 분포도 46

그림 Ⅲ.1.13. 춘계 정점별 수온, 염분, 밀도(σt) 수직 분포도 47

그림 Ⅲ.1.14. 춘계 공원 구역 내 수온-염분도(T-S 다이어그램). 등치선은 σt(시그마티)를 나타냄 52

그림 Ⅲ.1.15. 춘계 공원 구역 외 수온-염분도(T-S 다이어그램). 등치선은 σt(시그마티)를 나타냄 53

그림 Ⅲ.1.16. 광역 위성영상 합성 표면수온 분포도(국립수산과학원, 2015e) 55

그림 Ⅲ.1.17. 하계 조사기간 동안의 바람장미도 56

그림 Ⅲ.1.18. 하계 표층 수온, 염분, 용존산소 분포도 59

그림 Ⅲ.1.19. 하계 저층 수온, 염분, 용존산소 분포도 60

그림 Ⅲ.1.20. 2015년 6월(위)과 8월(아래) 표층염분 분포도(국립수산과학원, 2015a, b) 61

그림 Ⅲ.1.21. 하계 정점별 수온 염분 밀도(σt) 수직 분포도 62

그림 Ⅲ.1.22. 하계 공원 구역 내 수온-염분도(T-S 다이어그램). 등치선은 σt(시그마티)를 나타냄 66

그림 Ⅲ.1.23. 하계 공원 구역 외 수온-염분도(T-S 다이어그램). 등치선은 σt(시그마티)를 나타냄 67

그림 Ⅲ.1.24. 광역 위성영상 합성 표면수온 분포도(국립수산과학원, 2015f) 69

그림 Ⅲ.1.25. 추계 조사기간 동안의 바람장미도 70

그림 Ⅲ.1.26. 추계 표층 수온, 염분, 용존산소 분포도 72

그림 Ⅲ.1.27. 추계 저층 수온, 염분, 용존산소 분포도 73

그림 Ⅲ.1.28. 추계 정점별 수온, 염분, 밀도(σt) 수직 분포도 74

그림 Ⅲ.1.29. 추계 공원 구역 내 수온-염분도(T-S 다이어그램). 등치선은 σt(시그마티)를 나타냄 78

그림 Ⅲ.1.30. 추계 공원 구역 외 수온-염분도(T-S 다이어그램). 등치선은 σt(시그마티)를 나타냄 79

그림 Ⅲ.1.31/그림 Ⅲ.1.32. 2015년도 계절별(동계, 춘계, 하계, 추계) 수온, 염분의 평균(●) 및 표준편차(⌶). ▲는 최대, ▼는 최소를 나타냄 80

그림 Ⅲ.2.1. 해양퇴적물 조사 정점도 85

그림 Ⅲ.2.2. 자갈-모래-펄 혼합퇴적물의 삼각분류도(Folk, 1968) 92

그림 Ⅲ.2.3.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Ø) 분포도 100

그림 Ⅲ.2.4. 표층퇴적물의 분급도(Ø) 분포도 101

그림 Ⅲ.2.5. 표층퇴적물의 유기물 함량 분포도 102

그림 Ⅲ.2.6. 표층퇴적물의 COD(mg/kg) 함량 분포도 103

그림 Ⅲ.2.7. 남해안과 서해안에서 동계(A)와 춘계(B)의 표층퇴적물 C-M도 106

그림 Ⅲ.2.8. 남해안과 서해안에서 하계(A)와 추계(B)의 표층퇴적물 C-M도 107

그림 Ⅲ.3.1. 식물플랑크톤의 조사정점 110

그림 Ⅲ.3.2.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 113

그림 Ⅲ.3.3.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별 분포(a: 동계, b: 춘계, c: 하계, d: 추계) 115

그림 Ⅲ.3.4.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별 우점종 분포(a: 동계 , b: 춘계, c: 하계, d: 추계) 116

그림 Ⅲ.4.1. 중형 동물플랑크톤 조사정점 120

그림 Ⅲ.4.2. 동계에 출현한 주요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야광충, b: 전체 중형동물플랑크톤, c: 요각류, d: 중형동물플랑크톤중 요각류 비율) 126

그림 Ⅲ.4.3. 춘계에 출현한 주요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야광충, b: 전체 중형동물플랑크톤, c: 요각류, d: 중형동물플랑크톤중 요각류 비율) 129

그림 Ⅲ.4.4. 하계에 출현한 주요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야광충, b: 전체 중형동물플랑크톤, c: 요각류, d: 중형동물플랑크톤중 요각류 비율) 131

그림 Ⅲ.4.5. 추계에 출현한 주요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야광충, b: 전체 중형동물플랑크톤, c: 요각류, d: 중형동물플랑크톤중 요각류 비율) 133

그림 Ⅲ.4.6. 동계에 출현한 주요 우점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Paracalanus parvus s.l., b: Acartia hongi, c: Euphausiid larvae, d: Oikopleura spp., e: Oithona similis, f: Oithona fallax) 135

그림 Ⅲ.4.7. 춘계에 출현한 주요 우점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Paracalanus parvus s.l., b: Calanus sinicus, c: Acartia hongi, d: Oithona similis, e: Pleopis polyphaemoides, f: Cirripedia larvae ) 136

그림 Ⅲ.4.8. 하계에 출현한 주요 우점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Paracalanus parvus s.l., b: Oikopleura spp., c: Oithona similis, d: Sagitta juvenile, e: Corycaeus affinis, f: Cirripedia larvae) 137

그림 Ⅲ.4.9. 추계에 출현한 주요 우점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Paracalanus parvus s.l., b: Oikopleura spp., c: Sagitta juvenile, d: Echinodermata larvae, e: Corycaeus affinis, f: Cirripedia larvae) 138

그림 Ⅲ.4.10. 정점 간 유사도에 근거한 중형동물플랑크톤 집괴분석(Cluster analysis) 결과(A: 동계 B: 춘계 C: 하계, D: 추계) 140

그림 Ⅲ.5.1. 동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 151

그림 Ⅲ.5.2. 동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 공간분포 152

그림 Ⅲ.5.3. 동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54

그림 Ⅲ.5.4. 동계에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의 집괴분석 결과.(빨간점선: SIMPROF 분석에 의한 같은 그룹임을 표시) 154

그림 Ⅲ.5.5. 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 158

그림 Ⅲ.5.6. 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 공간분포 159

그림 Ⅲ.5.7. 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60

그림 Ⅲ.5.8. 춘계에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의 집괴분석 결과.(빨간점선: SIMPROF 분석에 의한 같은 그룹임을 표시) 161

그림 Ⅲ.5.9. 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 165

그림 Ⅲ.5.10. 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 공간분포 166

그림 Ⅲ.5.11. 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67

그림 Ⅲ.5.12. 하계에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의 집괴분석 결과.(점선: SIMPROF 분석에 의한 같은 그룹임을 표시) 168

그림 Ⅲ.5.13. 추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 172

그림 Ⅲ.5.14. 추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 공간분포 173

그림 Ⅲ.5.15. 추계 저서무척동물의 생태학적 지수 174

그림 Ⅲ.5.16. 추계에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을 대상으로 한 집괴분석 결과 수지도.(빨간점선: SIMPROF 분석에 의한 같은 그룹임을 표시) 175

그림 Ⅲ.6.1. 해조류 조사지점 184

그림 Ⅲ.6.2. 조사지점별 해조류 출현종수 및 연 평균 생물량 187

그림 Ⅲ.6.3. 동계 조사지점별 해조류 출현종수 및 생물량 188

그림 Ⅲ.6.4. 동계 조사지점별 종다양성지수(H') 변동 188

그림 Ⅲ.6.5. 춘계 조사지점별 해조류 출현종수 및 생물량 189

그림 Ⅲ.6.6. 춘계 조사지점별 종다양성지수(H') 변동 189

그림 Ⅲ.6.7. 하계 조사지점별 해조류 출현종수 및 생물량 190

그림 Ⅲ.6.8. 하계 조사지점별 종다양성지수(H') 변동 190

그림 Ⅲ.6.9. 추계 조사지점별 해조류 출현종수 및 생물량 191

그림 Ⅲ.6.10. 추계 조사지점별 종다양성지수(H') 변동 191

그림 Ⅲ.7.1. 해초류 조사지점 200

그림 Ⅲ.7.2. 거머리말 외부 형태 201

그림 Ⅲ.7.3. 지역별 동계 거머리말 생육 밀도 및 생물량 203

그림 Ⅲ.7.4. 지역별 동계 거머리말 형태학적 특성 206

그림 Ⅲ.7.5. 지역별 춘계 거머리말 생육 밀도 및 생물량 207

그림 Ⅲ.7.6. 지역별 춘계 거머리말 형태학적 특성 208

그림 Ⅲ.7.7. 지역별 하계 해초류 생육 밀도 및 생물량 209

그림 Ⅲ.7.8. 지역별 하계 거머리말 형태학적 특징 209

그림 Ⅲ.7.9. 지역별 추계 거머리말 생육 밀도 및 생물량 211

그림 Ⅲ.7.10. 지역별 추계 거머리말 형태학적 특징 211

그림 Ⅲ.7.11. 지역별 거머리말 개체군 분포 면적 변화 213

그림 Ⅲ.8.1. 해양 어류 조사 지점 217

그림 Ⅲ.8.2. Mustelus manazo (KNPS-P233) 219

그림 Ⅲ.8.3. Triakis scyllium (KNPS-P232) 219

그림 Ⅲ.8.4. Setipinna tenuifilis (KNPS-P144) 220

그림 Ⅲ.8.5. Konosirus punctatus (KNPS-P205) 221

그림 Ⅲ.8.6. Sardinella zunasi (KNPS-P107) 221

그림 Ⅲ.8.7. Lophiomus setigerus (KNPS-P234) 222

그림 Ⅲ.8.8. Mugil cephalus (KNPS-P109) 223

그림 Ⅲ.8.9. Aulichthys japonicus (KNPS-P84) 223

그림 Ⅲ.8.10. 가. Hippocampus sindonis (KNPS-P244); 나. Hippocampus trimaculatus(KNPS-P238); 다. Hippocampus sp. (KNPS-P68) 224

그림 Ⅲ.8.11. Syngnathus schlegeli (KNPS-P47) 224

그림 Ⅲ.8.12. Urocampus nanus (KNPS-P9) 225

그림 Ⅲ.8.13. Hypodytes rubripinnis (KNPS-P11) 225

그림 Ⅲ.8.14. Minous monodactylus (KNPS-P143) 226

그림 Ⅲ.8.15. Sebastes koreanus (KNPS-P62) 226

그림 Ⅲ.8.16. Sebastiscus marmoratus (KNPS-P8) 227

그림 Ⅲ.8.17. Erisphex pottii (KNPS-P71) 228

그림 Ⅲ.8.18. Platycephalus indicus (KNPS-P135) 228

그림 Ⅲ.8.19. Hexagrammos agrammus (KNPS-P101) 229

그림 Ⅲ.8.20. Hexagrammos otakii (KNPS-P27) 229

그림 Ⅲ.8.21. Furcina osimae (KNPS-P116) 230

그림 Ⅲ.8.22. Pseudoblennius cottoides (KNPS-P135) 230

그림 Ⅲ.8.23. Lethotremus awae (KNPS-P65) 231

그림 Ⅲ.8.24. Apogon lineatus (KNPS-P18) 232

그림 Ⅲ.8.25. Seriola lalandi (KNPS-P132) 232

그림 Ⅲ.8.26. Nuchequula nuchalis (KNPS-P20) 233

그림 Ⅲ.8.27. Hapalogenys mucronatus (KNSP-P136) 233

그림 Ⅲ.8.28. Pagrus major (KNPS-P112) 234

그림 Ⅲ.8.29. Argyrosomus argentatus (KNPS-P230) 235

그림 Ⅲ.8.30. Larimichthys polyactis (KNPS-P21) 235

그림 Ⅲ.8.31. Upeneus japonicus (KNPS-P231) 236

그림 Ⅲ.8.32. Oplegnathus fasciatus (KNPS-P239) 236

그림 Ⅲ.8.33. Oplegnathus punctatus (KNPS-P137) 237

그림 Ⅲ.8.34. Ditrema viridis (KNPS-P78) 237

그림 Ⅲ.8.35. Halichoeres poecilepterus ♀ (KNPS-P63) 238

그림 Ⅲ.8.36. Dictyosoma burgeri (KNPS-P120) 238

그림 Ⅲ.8.37. Ernogrammus hexagrammus (KNPS-P86) 239

그림 Ⅲ.8.38. Zoarchias major (KNPS-P15) 239

그림 Ⅲ.8.39. Zoarchias uchidai (KNPS-P60) 239

그림 Ⅲ.8.40. Pholis crassispina (KNPS-P12) 240

그림 Ⅲ.8.41. Pholis nebulosa (KNPS-P48) 240

그림 Ⅲ.8.42. Omobranchus elegans (KNPS-P158) 241

그림 Ⅲ.8.43. Parablennius yatabei (KNPS-P25) 241

그림 Ⅲ.8.44. Acanthogobius flavimanus (KNPS-P61) 242

그림 Ⅲ.8.45. Acanthogobius lactipes (KNPS-P55) 242

그림 Ⅲ.8.46. Acentrogobius pflaumii (KNPS-P35) 243

그림 Ⅲ.8.47. Chaenogobius annularis (KNPS-P14) 243

그림 Ⅲ.8.48. Chaenogobius gulosus (KNPS-P52) 244

그림 Ⅲ.8.49. Luciobobius ama (KNPS-P242) 245

그림 Ⅲ.8.50. Luciogobius guttatus (KNPS-P32) 245

그림 Ⅲ.8.51. Luciogobius saikaiensis (KNPS-P33) 246

그림 Ⅲ.8.52. Pterogobius elapoides (KNPS-P13) 246

그림 Ⅲ.8.53. Pterogobius zacalles (KNPS-P31) 247

그림 Ⅲ.8.54. Pampus echinogaster (KNPS-P221) 248

그림 Ⅲ.8.55. Paralichthys olivaceus (KNPS-P139) 249

그림 Ⅲ.8.56. Eopsetta grigorjewi (KNPS-P243) 249

그림 Ⅲ.8.57. Pleuronectes yokohamae (KNPS-P142) 250

그림 Ⅲ.8.58. Rudarius ercodes (KNPS-P45) 251

그림 Ⅲ.8.59. Thamnaconus modestus (KNPS-P187) 251

그림 Ⅲ.8.60. Takifugu niphobles (KNPS-P75) 252

그림 Ⅲ.8.61. Takifugu pardalis (KNPS-P202) 252

그림 Ⅲ.8.62. Takifugu poecilonotus (KNPS-P82) 253

그림 Ⅲ.8.63. 해상ㆍ해안 국립공원 어류자원 사진 및 표본 관련 메타데이터 예시 254

그림 Ⅳ.1.1.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지표 259

그림 Ⅳ.1.2. 2015년도 국립공원별, 지구별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결과 260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91877 577.7 -16-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