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Ⅰ. 요약문 13
Ⅱ. 조사개요 19
1. 조사배경 20
2. 조사목적 20
3. 조사시기 21
4. 조사해역의 물리적 해황 22
Ⅲ. 분야별 조사 결과 25
제1장 물리환경 26
가. 서론 26
나. 재료 및 방법 26
다. 결과 28
라. 고찰 80
마. 참고문헌 82
제2장 해양지질 84
가. 서론 84
나. 재료 및 방법 84
다. 결과 93
라. 고찰 104
마. 참고문헌 108
제3장 식물플랑크톤 109
가. 서론 109
나. 조사방법 109
다. 결과 111
라. 고찰 117
마. 참고문헌 118
제4장 중형동물플랑크톤 119
가. 서론 119
나. 조사방법 119
다. 결과 121
라. 고찰 142
마. 참고문헌 144
제5장 해양 저서무척추동물 146
가. 서론 146
나. 재료 및 방법 147
다. 결과 150
라. 고찰 178
마. 참고문헌 181
제6장 해조류 183
가. 서론 183
나. 조사방법 185
다. 결과 186
라. 고찰 194
마. 참고문헌 195
제7장 해초류 198
가. 서론 198
나. 조사내용 및 방법 198
다. 결과 202
라. 고찰 212
마. 참고문헌 214
제8장 해양어류 215
가. 서론 215
나. 연구방법 216
다. 결과 217
라. 고찰 254
마. 참고문헌 255
Ⅳ. 종합고찰 256
Ⅴ. 부록 262
[부록 Ⅴ.1.1] 동계 조사정점의 위도 경도 및 수심 263
[부록 Ⅴ.1.2] 춘계 조사정점의 위도 경도 및 수심 264
[부록 Ⅴ.1.3] 하계 조사정점의 위도 경도 및 수심 265
[부록 Ⅴ.1.4] 추계 조사정점의 위도 경도 및 수심 266
[부록 Ⅴ.2.1] 동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 및 세포수 267
[부록 Ⅴ.2.2] 춘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 및 세포수 269
[부록 Ⅴ.2.3] 하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 및 세포수 272
[부록 Ⅴ.2.4] 추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 및 세포수 276
[부록 Ⅴ.3.1] 동계에 출현한 중형 동물플랑크톤 종목록 및 개체수 278
[부록 Ⅴ.3.2] 춘계에 출현한 중형 동물플랑크톤 종목록 및 개체수 282
[부록 Ⅴ.3.3] 하계에 출현한 중형 동물플랑크톤 종목록 및 개체수 286
[부록 Ⅴ.3.4] 추계에 출현한 중형 동물플랑크톤 종목록 및 개체수 292
[부록 Ⅴ.4.1] 동계 해양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 및 개체수 300
[부록 Ⅴ.4.2] 2015년 춘계 해양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 및 개체수 307
[부록 Ⅴ.4.3] 2015년 하계 해양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 및 개체수 314
[부록 Ⅴ.4.4] 2015년 추계 해양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 및 개체수 321
[부록 Ⅴ.4.5] 해양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 사진 328
[부록 Ⅴ.5.1] 태안해안국립공원 통개 해조군집 종조성 및 생물량 332
[부록 Ⅴ.5.2] 변산반도국립공원 하섬 해조군집 종조성 및 생물량 334
[부록 Ⅴ.5.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서부 진도 남동리 해조군집 종조성 및 생물량 336
[부록 Ⅴ.5.4]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완도 소안도 이월리 해조군집 종조성 및 생물량 339
[부록 Ⅴ.5.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여수 안도 해조군집 종조성 및 생물량 341
[부록 Ⅴ.5.6]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 통영 신전리 해조군집 종조성 및 생물량 344
[부록 Ⅴ.5.7] 태안해안국립공원 통개 해조류 계절별 중요치 347
[부록 Ⅴ.5.8] 변산반도국립공원 하섬 해조류 계절별 중요치 349
[부록 Ⅴ.5.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서부 진도 남동리 해조류 계절별 중요치 350
[부록 Ⅴ.5.10]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완도 소안도 해조류 계절별 중요치 352
[부록 Ⅴ.5.1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여수 안도 계절별 해조류 중요치 353
[부록 Ⅴ.5.12]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 통영 신전리 해조류 계절별 355
판권기 357
그림 Ⅱ.1.1. 2015년 해양생태축 연구해역 및 정점 21
그림 Ⅱ.1.2/그림 Ⅱ.1.1. 한국 인근의 수심도(Peng et al., 2004) 및 해류 분포 (배와 김, 2012) 24
그림 Ⅲ.1.1. 동계(◆), 춘계(■), 하계(●), 추계(●) CTD 정점 27
그림 Ⅲ.1.2. 광역 위성영상 합성 표면수온 분포도(국립수산과학원, 2015c) 29
그림 Ⅲ.1.3. 동계 조사기간 동안의 바람장미도 30
그림 Ⅲ.1.4. 동계 표층 수온, 염분, 용존산소 분포도 32
그림 Ⅲ.1.5. 동계 저층 수온, 염분, 용존산소 분포도 33
그림 Ⅲ.1.6. 동계 정점별 수온 염분 밀도(σt) 수직 분포도 34
그림 Ⅲ.1.7. 동계 국립공원 구역 내 수온-염분도(T-S 다이어그램). 등치선은 σt(시그마티)를 나타냄 39
그림 Ⅲ.1.8. 동계 국립공원 구역 외 수온-염분도(T-S 다이어그램). 등치선은 σt(시그마티)를 나타냄 40
그림 Ⅲ.1.9. 광역 위성영상 합성 표면수온 분포도(국립수산과학원, 2015d) 42
그림 Ⅲ.1.10. 춘계 조사기간 동안의 바람장미도 43
그림 Ⅲ.1.11. 춘계 표층 수온, 염분, 용존산소 분포도 45
그림 Ⅲ.1.12. 춘계 저층 수온, 염분, 용존산소 분포도 46
그림 Ⅲ.1.13. 춘계 정점별 수온, 염분, 밀도(σt) 수직 분포도 47
그림 Ⅲ.1.14. 춘계 공원 구역 내 수온-염분도(T-S 다이어그램). 등치선은 σt(시그마티)를 나타냄 52
그림 Ⅲ.1.15. 춘계 공원 구역 외 수온-염분도(T-S 다이어그램). 등치선은 σt(시그마티)를 나타냄 53
그림 Ⅲ.1.16. 광역 위성영상 합성 표면수온 분포도(국립수산과학원, 2015e) 55
그림 Ⅲ.1.17. 하계 조사기간 동안의 바람장미도 56
그림 Ⅲ.1.18. 하계 표층 수온, 염분, 용존산소 분포도 59
그림 Ⅲ.1.19. 하계 저층 수온, 염분, 용존산소 분포도 60
그림 Ⅲ.1.20. 2015년 6월(위)과 8월(아래) 표층염분 분포도(국립수산과학원, 2015a, b) 61
그림 Ⅲ.1.21. 하계 정점별 수온 염분 밀도(σt) 수직 분포도 62
그림 Ⅲ.1.22. 하계 공원 구역 내 수온-염분도(T-S 다이어그램). 등치선은 σt(시그마티)를 나타냄 66
그림 Ⅲ.1.23. 하계 공원 구역 외 수온-염분도(T-S 다이어그램). 등치선은 σt(시그마티)를 나타냄 67
그림 Ⅲ.1.24. 광역 위성영상 합성 표면수온 분포도(국립수산과학원, 2015f) 69
그림 Ⅲ.1.25. 추계 조사기간 동안의 바람장미도 70
그림 Ⅲ.1.26. 추계 표층 수온, 염분, 용존산소 분포도 72
그림 Ⅲ.1.27. 추계 저층 수온, 염분, 용존산소 분포도 73
그림 Ⅲ.1.28. 추계 정점별 수온, 염분, 밀도(σt) 수직 분포도 74
그림 Ⅲ.1.29. 추계 공원 구역 내 수온-염분도(T-S 다이어그램). 등치선은 σt(시그마티)를 나타냄 78
그림 Ⅲ.1.30. 추계 공원 구역 외 수온-염분도(T-S 다이어그램). 등치선은 σt(시그마티)를 나타냄 79
그림 Ⅲ.1.31/그림 Ⅲ.1.32. 2015년도 계절별(동계, 춘계, 하계, 추계) 수온, 염분의 평균(●) 및 표준편차(⌶). ▲는 최대, ▼는 최소를 나타냄 80
그림 Ⅲ.2.1. 해양퇴적물 조사 정점도 85
그림 Ⅲ.2.2. 자갈-모래-펄 혼합퇴적물의 삼각분류도(Folk, 1968) 92
그림 Ⅲ.2.3.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Ø) 분포도 100
그림 Ⅲ.2.4. 표층퇴적물의 분급도(Ø) 분포도 101
그림 Ⅲ.2.5. 표층퇴적물의 유기물 함량 분포도 102
그림 Ⅲ.2.6. 표층퇴적물의 COD(mg/kg) 함량 분포도 103
그림 Ⅲ.2.7. 남해안과 서해안에서 동계(A)와 춘계(B)의 표층퇴적물 C-M도 106
그림 Ⅲ.2.8. 남해안과 서해안에서 하계(A)와 추계(B)의 표층퇴적물 C-M도 107
그림 Ⅲ.3.1. 식물플랑크톤의 조사정점 110
그림 Ⅲ.3.2.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 113
그림 Ⅲ.3.3.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별 분포(a: 동계, b: 춘계, c: 하계, d: 추계) 115
그림 Ⅲ.3.4.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별 우점종 분포(a: 동계 , b: 춘계, c: 하계, d: 추계) 116
그림 Ⅲ.4.1. 중형 동물플랑크톤 조사정점 120
그림 Ⅲ.4.2. 동계에 출현한 주요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야광충, b: 전체 중형동물플랑크톤, c: 요각류, d: 중형동물플랑크톤중 요각류 비율) 126
그림 Ⅲ.4.3. 춘계에 출현한 주요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야광충, b: 전체 중형동물플랑크톤, c: 요각류, d: 중형동물플랑크톤중 요각류 비율) 129
그림 Ⅲ.4.4. 하계에 출현한 주요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야광충, b: 전체 중형동물플랑크톤, c: 요각류, d: 중형동물플랑크톤중 요각류 비율) 131
그림 Ⅲ.4.5. 추계에 출현한 주요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야광충, b: 전체 중형동물플랑크톤, c: 요각류, d: 중형동물플랑크톤중 요각류 비율) 133
그림 Ⅲ.4.6. 동계에 출현한 주요 우점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Paracalanus parvus s.l., b: Acartia hongi, c: Euphausiid larvae, d: Oikopleura spp., e: Oithona similis, f: Oithona fallax) 135
그림 Ⅲ.4.7. 춘계에 출현한 주요 우점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Paracalanus parvus s.l., b: Calanus sinicus, c: Acartia hongi, d: Oithona similis, e: Pleopis polyphaemoides, f: Cirripedia larvae ) 136
그림 Ⅲ.4.8. 하계에 출현한 주요 우점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Paracalanus parvus s.l., b: Oikopleura spp., c: Oithona similis, d: Sagitta juvenile, e: Corycaeus affinis, f: Cirripedia larvae) 137
그림 Ⅲ.4.9. 추계에 출현한 주요 우점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Paracalanus parvus s.l., b: Oikopleura spp., c: Sagitta juvenile, d: Echinodermata larvae, e: Corycaeus affinis, f: Cirripedia larvae) 138
그림 Ⅲ.4.10. 정점 간 유사도에 근거한 중형동물플랑크톤 집괴분석(Cluster analysis) 결과(A: 동계 B: 춘계 C: 하계, D: 추계) 140
그림 Ⅲ.5.1. 동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 151
그림 Ⅲ.5.2. 동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 공간분포 152
그림 Ⅲ.5.3. 동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54
그림 Ⅲ.5.4. 동계에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의 집괴분석 결과.(빨간점선: SIMPROF 분석에 의한 같은 그룹임을 표시) 154
그림 Ⅲ.5.5. 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 158
그림 Ⅲ.5.6. 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 공간분포 159
그림 Ⅲ.5.7. 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60
그림 Ⅲ.5.8. 춘계에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의 집괴분석 결과.(빨간점선: SIMPROF 분석에 의한 같은 그룹임을 표시) 161
그림 Ⅲ.5.9. 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 165
그림 Ⅲ.5.10. 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 공간분포 166
그림 Ⅲ.5.11. 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67
그림 Ⅲ.5.12. 하계에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의 집괴분석 결과.(점선: SIMPROF 분석에 의한 같은 그룹임을 표시) 168
그림 Ⅲ.5.13. 추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 172
그림 Ⅲ.5.14. 추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 공간분포 173
그림 Ⅲ.5.15. 추계 저서무척동물의 생태학적 지수 174
그림 Ⅲ.5.16. 추계에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을 대상으로 한 집괴분석 결과 수지도.(빨간점선: SIMPROF 분석에 의한 같은 그룹임을 표시) 175
그림 Ⅲ.6.1. 해조류 조사지점 184
그림 Ⅲ.6.2. 조사지점별 해조류 출현종수 및 연 평균 생물량 187
그림 Ⅲ.6.3. 동계 조사지점별 해조류 출현종수 및 생물량 188
그림 Ⅲ.6.4. 동계 조사지점별 종다양성지수(H') 변동 188
그림 Ⅲ.6.5. 춘계 조사지점별 해조류 출현종수 및 생물량 189
그림 Ⅲ.6.6. 춘계 조사지점별 종다양성지수(H') 변동 189
그림 Ⅲ.6.7. 하계 조사지점별 해조류 출현종수 및 생물량 190
그림 Ⅲ.6.8. 하계 조사지점별 종다양성지수(H') 변동 190
그림 Ⅲ.6.9. 추계 조사지점별 해조류 출현종수 및 생물량 191
그림 Ⅲ.6.10. 추계 조사지점별 종다양성지수(H') 변동 191
그림 Ⅲ.7.1. 해초류 조사지점 200
그림 Ⅲ.7.2. 거머리말 외부 형태 201
그림 Ⅲ.7.3. 지역별 동계 거머리말 생육 밀도 및 생물량 203
그림 Ⅲ.7.4. 지역별 동계 거머리말 형태학적 특성 206
그림 Ⅲ.7.5. 지역별 춘계 거머리말 생육 밀도 및 생물량 207
그림 Ⅲ.7.6. 지역별 춘계 거머리말 형태학적 특성 208
그림 Ⅲ.7.7. 지역별 하계 해초류 생육 밀도 및 생물량 209
그림 Ⅲ.7.8. 지역별 하계 거머리말 형태학적 특징 209
그림 Ⅲ.7.9. 지역별 추계 거머리말 생육 밀도 및 생물량 211
그림 Ⅲ.7.10. 지역별 추계 거머리말 형태학적 특징 211
그림 Ⅲ.7.11. 지역별 거머리말 개체군 분포 면적 변화 213
그림 Ⅲ.8.1. 해양 어류 조사 지점 217
그림 Ⅲ.8.2. Mustelus manazo (KNPS-P233) 219
그림 Ⅲ.8.3. Triakis scyllium (KNPS-P232) 219
그림 Ⅲ.8.4. Setipinna tenuifilis (KNPS-P144) 220
그림 Ⅲ.8.5. Konosirus punctatus (KNPS-P205) 221
그림 Ⅲ.8.6. Sardinella zunasi (KNPS-P107) 221
그림 Ⅲ.8.7. Lophiomus setigerus (KNPS-P234) 222
그림 Ⅲ.8.8. Mugil cephalus (KNPS-P109) 223
그림 Ⅲ.8.9. Aulichthys japonicus (KNPS-P84) 223
그림 Ⅲ.8.10. 가. Hippocampus sindonis (KNPS-P244); 나. Hippocampus trimaculatus(KNPS-P238); 다. Hippocampus sp. (KNPS-P68) 224
그림 Ⅲ.8.11. Syngnathus schlegeli (KNPS-P47) 224
그림 Ⅲ.8.12. Urocampus nanus (KNPS-P9) 225
그림 Ⅲ.8.13. Hypodytes rubripinnis (KNPS-P11) 225
그림 Ⅲ.8.14. Minous monodactylus (KNPS-P143) 226
그림 Ⅲ.8.15. Sebastes koreanus (KNPS-P62) 226
그림 Ⅲ.8.16. Sebastiscus marmoratus (KNPS-P8) 227
그림 Ⅲ.8.17. Erisphex pottii (KNPS-P71) 228
그림 Ⅲ.8.18. Platycephalus indicus (KNPS-P135) 228
그림 Ⅲ.8.19. Hexagrammos agrammus (KNPS-P101) 229
그림 Ⅲ.8.20. Hexagrammos otakii (KNPS-P27) 229
그림 Ⅲ.8.21. Furcina osimae (KNPS-P116) 230
그림 Ⅲ.8.22. Pseudoblennius cottoides (KNPS-P135) 230
그림 Ⅲ.8.23. Lethotremus awae (KNPS-P65) 231
그림 Ⅲ.8.24. Apogon lineatus (KNPS-P18) 232
그림 Ⅲ.8.25. Seriola lalandi (KNPS-P132) 232
그림 Ⅲ.8.26. Nuchequula nuchalis (KNPS-P20) 233
그림 Ⅲ.8.27. Hapalogenys mucronatus (KNSP-P136) 233
그림 Ⅲ.8.28. Pagrus major (KNPS-P112) 234
그림 Ⅲ.8.29. Argyrosomus argentatus (KNPS-P230) 235
그림 Ⅲ.8.30. Larimichthys polyactis (KNPS-P21) 235
그림 Ⅲ.8.31. Upeneus japonicus (KNPS-P231) 236
그림 Ⅲ.8.32. Oplegnathus fasciatus (KNPS-P239) 236
그림 Ⅲ.8.33. Oplegnathus punctatus (KNPS-P137) 237
그림 Ⅲ.8.34. Ditrema viridis (KNPS-P78) 237
그림 Ⅲ.8.35. Halichoeres poecilepterus ♀ (KNPS-P63) 238
그림 Ⅲ.8.36. Dictyosoma burgeri (KNPS-P120) 238
그림 Ⅲ.8.37. Ernogrammus hexagrammus (KNPS-P86) 239
그림 Ⅲ.8.38. Zoarchias major (KNPS-P15) 239
그림 Ⅲ.8.39. Zoarchias uchidai (KNPS-P60) 239
그림 Ⅲ.8.40. Pholis crassispina (KNPS-P12) 240
그림 Ⅲ.8.41. Pholis nebulosa (KNPS-P48) 240
그림 Ⅲ.8.42. Omobranchus elegans (KNPS-P158) 241
그림 Ⅲ.8.43. Parablennius yatabei (KNPS-P25) 241
그림 Ⅲ.8.44. Acanthogobius flavimanus (KNPS-P61) 242
그림 Ⅲ.8.45. Acanthogobius lactipes (KNPS-P55) 242
그림 Ⅲ.8.46. Acentrogobius pflaumii (KNPS-P35) 243
그림 Ⅲ.8.47. Chaenogobius annularis (KNPS-P14) 243
그림 Ⅲ.8.48. Chaenogobius gulosus (KNPS-P52) 244
그림 Ⅲ.8.49. Luciobobius ama (KNPS-P242) 245
그림 Ⅲ.8.50. Luciogobius guttatus (KNPS-P32) 245
그림 Ⅲ.8.51. Luciogobius saikaiensis (KNPS-P33) 246
그림 Ⅲ.8.52. Pterogobius elapoides (KNPS-P13) 246
그림 Ⅲ.8.53. Pterogobius zacalles (KNPS-P31) 247
그림 Ⅲ.8.54. Pampus echinogaster (KNPS-P221) 248
그림 Ⅲ.8.55. Paralichthys olivaceus (KNPS-P139) 249
그림 Ⅲ.8.56. Eopsetta grigorjewi (KNPS-P243) 249
그림 Ⅲ.8.57. Pleuronectes yokohamae (KNPS-P142) 250
그림 Ⅲ.8.58. Rudarius ercodes (KNPS-P45) 251
그림 Ⅲ.8.59. Thamnaconus modestus (KNPS-P187) 251
그림 Ⅲ.8.60. Takifugu niphobles (KNPS-P75) 252
그림 Ⅲ.8.61. Takifugu pardalis (KNPS-P202) 252
그림 Ⅲ.8.62. Takifugu poecilonotus (KNPS-P82) 253
그림 Ⅲ.8.63. 해상ㆍ해안 국립공원 어류자원 사진 및 표본 관련 메타데이터 예시 254
그림 Ⅳ.1.1.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지표 259
그림 Ⅳ.1.2. 2015년도 국립공원별, 지구별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결과 260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191877 | 577.7 -16-8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