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신원천 하천기본계획 보고서 / 경상북도 [편] 인기도
발행사항
안동 : 경상북도, 2016
청구기호
627.12 -16-27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1책(면수복잡) : 삽화, 지도, 표 ; 30 cm
총서사항
경상북도 고시 ; 제2016-28호
도보 ; 제6001호
제어번호
MONO1201621650
주기사항
[연구기관]: (주)도화엔지니어링, (주)보원, (주)현대기술개발, (주)금일엔지니어링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과업의 개요 24

1.1. 과업의 목적 25

1.2. 과업의 범위 25

1.3. 과업의 내용 27

제2장 하천 측량 29

2.1. 일반사항 30

2.2. 지형 현황 측량 30

2.2.1. 항공사진 촬영 31

2.2.2. 기준점 측량 33

2.2.3. 사진기준점 측량 34

2.2.4. 수치도화 35

2.2.5. 현지조사 35

2.2.6. 도면편집 및 도면출력 35

2.3. 거리표(종단측점)의 설치 36

2.4. 측량 내용 38

2.4.1. 수준 및 종단측량 38

2.4.2. 하천 횡단측량 38

2.4.3. 홍수 흔적측량 38

제3장 유역 및 하천특성 조사 40

3.1. 일반현황 41

3.1.1. 유역의 일반현황 41

3.1.2. 유역의 자연현황 53

3.1.3. 유역의 사회·문화적 현황 62

3.2. 수문 조사 67

3.2.1. 수문관측소 현황 67

3.2.2. 수문관측기록 70

3.2.3. 기상 73

3.3. 하도특성 조사 76

3.3.1. 하도 현황 조사 76

3.3.2. 하도 특성량 조사 81

3.3.3. 하상변동 조사 90

3.4. 하천사업의 연혁 및 피해현황 101

3.4.1. 하천개수현황 101

3.4.2. 제방공사 연혁 102

3.4.3. 저수지 및 배수펌프장 연혁 102

3.4.4. 수해 및 가뭄피해현황 103

3.5. 하천의 이용현황 128

3.5.1. 유수이용 실태 128

3.5.2. 용도지역 구분 131

3.5.3. 관광, 위락 등 공간이용현황 132

3.6. 하천의 생태환경 138

3.6.1. 환경질 조사 138

3.6.2. 동·식물상 159

3.7. 타 계획과의 조정 249

3.7.1. 수자원장기종합계획 2006~2020(2006, 건설교통부) 249

3.7.2. 영양군 풍수해저감종합계획(2012, 영양군) 252

3.7.3. 왕피천 하천기본계획(변경)(2013, 경상북도) 253

3.7.4. 영양군 소하천정비종합계획 255

제4장 홍수량 및 홍수위 산정 257

4.1. 기본홍수량 및 계획홍수량 258

4.1.1. 홍수량 산정지점 258

4.1.2. 기왕홍수분석 260

4.1.3. 강우분석 269

4.1.4. 확률강우량 산정 287

4.1.5. 강우의 시간분포 결정 292

4.1.6. 유효우량 분석 306

4.1.7. 홍수량 산정 315

4.2. 홍수위산정 338

4.2.1. 기점홍수위 338

4.2.2. 조도계수 339

4.2.3. 하도정비계획 346

4.2.4. 재현기간별 홍수위 351

4.2.5. 계획하폭 및 계획홍수위 359

제5장 하상변동 분석 368

5.1. 하상재료조사 369

5.2. 하천유사량 조사 372

5.2.1. 유사량 산정 372

5.2.2. 유사량 산정 결과 377

5.2.3. 유사량 산정 결과 비교 379

5.3. 하상변동 및 하도안정 분석 380

5.3.1. 장래하상변동 예측 380

5.3.2. 안정하도 유지 대책 398

제6장 용수수요량 예측 및 물수지분석 401

6.1. 수자원 부존량 산정 402

6.1.1. 유출분석 및 산정 402

6.2. 용수수요량 예측 415

6.2.1. 용수량 산정지구 구분 415

6.2.2. 유수의 이용현황 417

6.2.3. 용수수요량 추정 423

6.3. 물수지 분석 446

6.3.1. 물수지분석 방법 및 기본가정 446

6.3.2. 자연 유하량 산정 448

6.3.3. 순물소모량 및 회귀수량 448

6.3.4. 물수지 분석 449

6.4. 용수수급 계획 455

6.4.1. 용수수급 방안 455

6.4.2. 갈수대책 456

제7장 하천의 종합적인 정비 방향 설정 459

7.1. 하천의 종합적인 정비 및 이용에 관한 기본방향 460

7.1.1. 치수측면의 기본 방향 461

7.1.2. 이수측면의 기본 방향 462

7.1.3. 환경측면의 기본 방향 462

7.2. 바람직한 하천모습의 설정 464

7.2.1. 치수측면 464

7.2.2. 이수측면 465

7.2.3. 환경측면 466

7.3. 홍수처리계획의 기본방향 467

7.4. 유수의 합리적인 이용에 관한 기본방향 469

7.5. 하천환경관리에 관한 기본방향 470

7.5.1. 수환경 측면 470

7.5.2. 공간환경 측면 472

7.6. 장래 하천의 발전방향 475

제8장 하천의 정비·이용·보전에 관한 사항 476

8.1. 하천의 지구별 관리계획 수립 477

8.1.1. 하천공간지구지정의 기본방침 479

8.1.2. 하천공간 정비목표 479

8.1.3. 하천공간지구 구분 481

8.1.4. 지구별 관리계획 정비방향 485

8.2. 하도계획 498

8.2.1. 하도계획의 기본방향 498

8.2.2. 평면계획 499

8.2.3. 종단계획 502

8.2.4. 횡단계획 503

8.3. 하천시설물 계획 504

8.3.1. 하천종단 시설물의 능력검토 및 설치방향 504

8.3.2. 하천횡단 시설물의 능력검토 및 설치방향 522

8.3.3. 토사유출저감계획 수립 550

8.4. 치수경제성 분석 556

8.4.1. 자산 및 피해액 조사 556

8.4.2. 투자효율 분석 566

8.4.3. 소요사업비 산정 577

제9장 하천의 환경에 관한 사항 578

9.1. 수환경 보전계획 579

9.1.1. 기본방향 579

9.1.2. 수환경보전 계획의 목표설정 581

9.1.3. 수량 확보방안 594

9.1.4. 장래수질예측 597

9.1.5. 수질 예측 및 분석 610

9.1.6. 하천수질 보전 및 개선대책 621

9.2. 환경 영향 검토 631

9.2.1. 자연환경,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예측 및 저감대책 631

제10장 하천의 유지관리에 관한 사항 635

10.1. 고수부지, 폐천부지 현황 및 보전방안 636

10.1.1. 고수부지 현황 및 보전방안 636

10.1.2. 폐천부지 현황 및 보전방안 636

10.2. 하도유지관리 계획 636

10.2.1. 유지관리 목적 637

10.2.2. 유지관리 종류 637

10.2.3. 빈도에 따른 유지관리의 종류 640

10.2.4. 유지관리 방법 641

10.2.5. Monitoring 계획 645

10.3. 하천기본계획 고시현황 및 구간조정 651

10.3.1. 하천기본계획 고시현황 변천과정 조사 651

10.3.2. 구간조정 652

제11장 효과분석 및 결론 653

11.1. 효과분석 654

11.1.1. 기본사항 654

11.1.2. 기본계획 수립에 의한 개선 효과 654

11.1.3. 효과분석 655

11.2. 결론 656

제12장 기타사항 657

12.1. 자문의견(1차)에 대한 조치계획 658

12.2. 주민설명회 및 자문의견(2차) 조치결과 668

12.3. 관계기관 협의의견에 대한 조치계획 675

12.4. 자문의견(3차)에 대한 조치계획 679

12.5. 지방하천관리위원회 심의 688

12.6. 참고문헌 732

12.7. 참여자 명단[개인신상정보 삭제] 736

부도 740

지평평면일람도 741

종단면도 759

횡단면도 768

〈표 1.2-1〉 과업구간 25

〈표 2.2-1〉 항공사진 측량에 사용된 장비 제원 31

〈표 2.2-2〉 통합기준점 성과 33

〈표 2.2-3〉 수준점 성과 33

〈표 2.3-1〉 표석매설 성과 36

〈표 2.4-1〉 홍수흔적 측량 39

〈표 3.1-1〉 수계의 구성 42

〈표 3.1-2〉 유역의 평면적 특성 45

〈표 3.1-3〉 표고별 누가면적 및 구성비 47

〈표 3.1-4〉 유역의 평균경사 48

〈표 3.1-5〉 합·분류지점 하천구간 경계설정 현황 51

〈표 3.1-6〉 토양형별 면적 분포 55

〈표 3.1-7〉 토양의 수문학적 토양유형 비교 57

〈표 3.1-8〉 토양통별 수문학적 구분 58

〈표 3.1-9〉 토지이용현황 59

〈표 3.1-10〉 임상별 임야면적 61

〈표 3.1-11〉 행정구역 현황 62

〈표 3.1-12〉 읍·면별 인구 현황 62

〈표 3.1-13〉 인근 주요 역사자원 현황 64

〈표 3.1-14〉 인근 지정문화재 현황 64

〈표 3.1-15〉 주요문화재 현황 및 내용 65

〈표 3.2-1〉 기상관측소 현황 67

〈표 3.2-2〉 우량관측소 현황 68

〈표 3.2-3〉 수위관측소 현황 69

〈표 3.2-4〉 월별강수량(일월관측소) 70

〈표 3.2-5〉 주요호우시 강우관측기록(일월관측소) 71

〈표 3.2-6〉 울진관측소 연도별 최고수위 72

〈표 3.2-7〉 울진관측소 수위-유량관계곡선식 72

〈표 3.2-8〉 월별 기상현황 75

〈표 3.3-1〉 유로의 만곡부 현황 77

〈표 3.3-2〉 주요지점별 하상경사 77

〈표 3.3-3〉 하천의 횡단 특징 79

〈표 3.3-4〉 하도 특성 기초 인자 82

〈표 3.3-5〉 지배 유량 산정결과 84

〈표 3.3-6〉 하천 밀도 85

〈표 3.3-7〉 지배 유량에 따른 하도수리량 89

〈표 3.3-8〉 계획 홍수량에 따른 하도수리량 89

〈표 3.3-9〉 하폭 현황 92

〈표 3.3-10〉 최심하상고 및 평균하상고 96

〈표 3.4-1〉 하천개수현황 101

〈표 3.4-2〉 제방공사 연혁 102

〈표 3.4-3〉 저수지 현황 102

〈표 3.4-4〉 주요태풍별 피해내용 103

〈표 3.4-5〉 영양군 연도별 재해 현황 105

〈표 3.4-6〉 가뭄의 정의 107

〈표 3.4-7〉 과우일수에 의한 가뭄빈도(과우량 70㎜ 기준) 109

〈표 3.4-8〉 과우일수(일월관측소) 110

〈표 3.4-9〉 연도별 최저 저수율(경상북도) 111

〈표 3.4-10〉 저수율에 의한 가뭄빈도 111

〈표 3.4-11〉 주요 가뭄발생 년도 112

〈표 3.4-12〉 과거 봄 가뭄의 피해이력 114

〈표 3.4-13〉 가뭄발생현황과 가뭄대책 115

〈표 3.4-14〉 우리나라 5대 가뭄 116

〈표 3.4-15〉 주요 가뭄 발생 현황 117

〈표 3.4-16〉 우리나라 주요 가뭄 발생년도 및 유역, 해갈 직전의 월 117

〈표 3.4-17〉 최근 10년간의 가뭄 사례 118

〈표 3.4-18〉 2012년 전국 강수량 현황 119

〈표 3.4-19〉 2012년 경북지역 강수량 현황 119

〈표 3.4-20〉 2012년 전국 저수율 현황 121

〈표 3.4-21〉 2012년 경북지역 저수율 현황 122

〈표 3.4-22〉 2012년 6월 용수부족 면적 123

〈표 3.5-1〉 상수도 보급현황 128

〈표 3.5-2〉 미급수지역 세부현황 129

〈표 3.5-3〉 저수지 현황 130

〈표 3.5-4〉 양수장 현황 130

〈표 3.5-5〉 취입보 현황 130

〈표 3.5-6〉 용도별 토지이용 현황 131

〈표 3.6-1〉 취수장 현황 139

〈표 3.6-2〉 정수장 현황 139

〈표 3.6-3〉 상수원보호구역 지정 현황 140

〈표 3.6-4〉 배출허용기준(폐수) 적용지역 지정현황 141

〈표 3.6-5〉 수질오염물질 배출시설 현황 141

〈표 3.6-6〉 하수처리시설 현황 142

〈표 3.6-7〉 분뇨처리시설 현황 142

〈표 3.6-8〉 수질 조사지점 144

〈표 3.6-9〉 분석방법 및 측정원리 145

〈표 3.6-10〉 측정결과 149

〈표 3.6-11〉 수질측정망 지점 151

〈표 3.6-12〉 왕피천 지점 수질측정 망 조사결과 151

〈표 3.6-13〉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하천, 생활환경기준) 152

〈표 3.6-14〉 사람의 건강보호 기준(하천) 153

〈표 3.6-15〉 저질 조사지점 154

〈표 3.6-16〉 분석방법 및 측정원리 154

〈표 3.6-17〉 측정결과 156

〈표 3.6-18〉 토양오염 우려기준 및 대책기준 157

〈표 3.6-19〉 오염 퇴적물의 항목별 기준 158

〈표 3.6-20〉 오대호(greart호) 담수퇴적물 오염도 평가기준 158

〈표 3.6-21〉 조사분야 및 세부조사내용 159

〈표 3.6-22〉 조사분야별 조사시기 160

〈표 3.6-23〉 식물상 및 식생 조사방법 160

〈표 3.6-24〉 우점도 및 군도의 판정기준 162

〈표 3.6-25〉 녹지자연도 등급의 사정기준 163

〈표 3.6-26〉 녹지자연도에 의한 현존량, 순생산량 산정기준 163

〈표 3.6-27〉 도시화지수 및 귀화율 164

〈표 3.6-28〉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의 등급 및 평가체계 164

〈표 3.6-29〉 하천식생의 자연도 평가기준 164

〈표 3.6-30〉 생태자연도 구분 165

〈표 3.6-31〉 육상동물상 조사방법 166

〈표 3.6-32〉 육수동물상 조사방법 167

〈표 3.6-33〉 조사지역 내 식물상 170

〈표 3.6-34〉 조사지역 내 식물의 생활형 분포 171

〈표 3.6-35〉 조사지역 일대에서 조사된 귀화식물 173

〈표 3.6-36〉 조사지역 내 식물구계 학적 특정 식물종 및 평가표 174

〈표 3.6-37〉 계획하천과 조사지역의 식생 유형과 분포면적 178

〈표 3.6-38〉 제1조사지점의 특성표 179

〈표 3.6-39〉 제2조사지점의 특성표 180

〈표 3.6-40〉 제3조사지점의 특성표 181

〈표 3.6-41〉 제4조사지점의 특성표 182

〈표 3.6-42〉 제5조사지점의 특성표 183

〈표 3.6-43〉 조사지역의 녹지자연도 분포 현황 186

〈표 3.6-44〉 녹지자연도 등급에 의한 식물현존량 및 순생산량 187

〈표 3.6-45〉 조사지역 내 보호수 현황 187

〈표 3.6-46〉 현지조사 및 문헌조사에서 확인된 포유류 목록 191

〈표 3.6-47〉 현지조사에서 확인된 조류 주요 우점종 현황 192

〈표 3.6-48〉 현지조사 및 문헌조사에서 확인된 조류 목록 193

〈표 3.6-49〉 현지조사 및 문헌조사에서 확인된 양서·파충류 목록 196

〈표 3.6-50〉 현지조사에서 확인된 육상곤충류의 출현 현황 197

〈표 3.6-51〉 현지조사와 문헌조사에서 관찰된 육상곤충 목록 198

〈표 3.6-52〉 계획하천 주변 조사지점 개황 209

〈표 3.6-53〉 현지조사에서 나타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 분류군 현황 211

〈표 3.6-54〉 조사지점에 따른 분류군별 종 및 개체수 구성 215

〈표 3.6-55〉 조사지점별 우점종 및 지수 218

〈표 3.6-56〉 조사지점별 ESB지수 및 환경질 평가 219

〈표 3.6-57〉 조사지점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 현황 및 목록 220

〈표 3.6-58〉 분류군별 종수 및 개체수 현황 비교 224

〈표 3.6-59〉 조사지점별 우점종 및 지수 227

〈표 3.6-60〉 현지조사와 문헌조사에서 나타난 조사지점별 어류 목록 227

〈표 3.6-61〉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조사 지점 233

〈표 3.6-62〉 귀화식물 관리방안 240

〈표 3.6-63〉 법적보호종의 생태적 특성 및 저감·보존방안 246

〈표 3.7-1〉 수자원계획의 부문별 추진계획 251

〈표 3.7-2〉 공간적 범위 252

〈표 3.7-3〉 과업의 범위 253

〈표 3.7-4〉 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 253

〈표 3.7-5〉 빈도별 홍수량 산정결과 254

〈표 3.7-6〉 소하천정비종합계획 수립 현황 255

〈표 3.7-7〉 과업유역내 소하천현황 255

〈표 4.1-1〉 홍수량 산정지점 258

〈표 4.1-2〉 우량관측소 현황 261

〈표 4.1-3〉 2014년 8월 집중호우시 시우량 현황 262

〈표 4.1-4〉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 및 추정 빈도(우량관측소별) 265

〈표 4.1-5〉 홍수량 산정결과 및 추정빈도 266

〈표 4.1-6〉 흔적수위 조사 및 홍수위 계산 267

〈표 4.1-7〉 관측소별 강우자료 검토결과 271

〈표 4.1-8〉 일월관측소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고정시간) 274

〈표 4.1-9〉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 275

〈표 4.1-10〉 일월관측소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임의시간) 276

〈표 4.1-11〉 FARD2006의 적용분포형 277

〈표 4.1-12〉 확률분포형별 적합도 검정결과(일월관측소) 286

〈표 4.1-13〉 일월관측소 적합도 검정결과(Gumbel 분포) 287

〈표 4.1-14〉 일월관측소 빈도별 지속기간별 임의시간 확률강우량 산정결과 288

〈표 4.1-15〉 확률강우량 분석방법 비교 289

〈표 4.1-16〉 기수립 계획과의 확률강우량 비교 289

〈표 4.1-17〉 재현기간별 확률강우강도식 계수값 291

〈표 4.1-18〉 무차원 누가분포 305

〈표 4.1-19〉 무차원 누가우량곡선 회귀계수 305

〈표 4.1-20〉 토양의 분류 308

〈표 4.1-21〉 선행토양함수조건의 분류 308

〈표 4.1-22〉 농경지역 및 임목지역의 유출곡선지수(AMC-II 조건) 309

〈표 4.1-23〉 도시지역의 유출곡선지수(AMC-II 조건) 310

〈표 4.1-24〉 우리나라 토지이용 분류기준에 따른 유출곡선지수 기준(AMC-II 조건) 312

〈표 4.1-25〉 산정지점별 유출곡선지수(CN) 313

〈표 4.1-26〉 산정지점별 Clark 유역추적법의 매개변수 산정 결과 320

〈표 4.1-27〉 NRCS 무차원단위도의 시간별 종거 321

〈표 4.1-28〉 산정지점별 NRCS 무차원단위도법의 매개변수 산정 결과 322

〈표 4.1-29〉 산정지점별 Snyder 합성단위도법의 매개변수 산정 결과 324

〈표 4.1-30〉 빈도별 홍수량 329

〈표 4.1-31〉 유역별 100년 빈도 홍수량 경험식 332

〈표 4.1-32〉 금회 홍수량-비홍수량 결과 비교 332

〈표 4.1-33〉 하천의 중요도에 따른 계획규모 334

〈표 4.1-34〉 설계빈도의 채택 334

〈표 4.1-35〉 기본홍수량 및 계획홍수량 335

〈표 4.2-1〉 빈도별 기점홍수위 338

〈표 4.2-2〉 흔적 수위에 의한 조도계수 추정 340

〈표 4.2-3〉 하천 및 수로의 상황에 따른 조도게 수 341

〈표 4.2-4〉 조도계수 표에 의한 조도계수 추정 342

〈표 4.2-5〉 Manning-Strickler 공식에 의해 산정된 조도계수 342

〈표 4.2-6〉 조도계수 n의 기본값 343

〈표 4.2-7〉 조도계수에 대한 식생의 영향 343

〈표 4.2-8〉 조도계수에 대한 수로 단면 불규칙성의 영향 344

〈표 4.2-9〉 조도계수에 대한 수로표면 불규칙성의 영향 344

〈표 4.2-10〉 장애물의 n값에 대한 영향 344

〈표 4.2-11〉 수로 선형 불규칙성의 n값에 대한 영향 344

〈표 4.2-12〉 NRCS 방법에 의해 산정된 조도계수 345

〈표 4.2-13〉 조도계수 총괄 345

〈표 4.2-14〉 하도계획 수립과 관련된 결정사항 347

〈표 4.2-15〉 빈도별 홍수위 354

〈표 4.2-16〉 계획홍수량 크기에 따른 계획하폭 359

〈표 4.2-17〉 계획하폭 361

〈표 4.2-18〉 계획홍수위, 하폭 및 기설제방고 362

〈표 5.1-1〉 입도분석 시험 결과 369

〈표 5.1-2〉 하상구성재료의 입도분포 특성 371

〈표 5.1-3〉 입경에 따른 흙의 분류방법 372

〈표 5.2-1〉 각 유사량 공식의 특성 376

〈표 5.2-2〉 각 유사량 공식의 적정적용 한계 376

〈표 5.2-3〉 유량별 유사량 산정 매개변수 377

〈표 5.2-4〉 유사량 산정공식(경험식)별 유사량 산정결과 378

〈표 5.2-5〉 연간 비유사량 비교표 379

〈표 5.3-1〉 하상변동 예측결과 386

〈표 5.3-2〉 하상변동에 따른 홍수위 변화 394

〈표 5.3-3〉 퇴적 및 세굴 관리 방안 399

〈표 6.1-1〉 Tank모형 매개변수의 결정 406

〈표 6.1-2〉 Tank모형에 의한 월별 평균유출량 407

〈표 6.1-3〉 비유량법 적용을 위한 유역면적 및 연평균강우량 409

〈표 6.1-4〉 비유량법에 의한 월별 평균유출량 409

〈표 6.1-5〉 방법별 평균 유출량 비교 410

〈표 6.1-6〉 울진관측소 월별 평균 증발량 411

〈표 6.1-7〉 손실량 411

〈표 6.1-8〉 유출량 및 손실량 보정 412

〈표 6.1-9〉 수자원 부존량 412

〈표 6.1-10〉 유황분석 결과 413

〈표 6.1-11〉 평균갈수량 및 기준갈수량 415

〈표 6.2-1〉 용수수요량 산정지구 구분 417

〈표 6.2-2〉 행정구역별 상수도 보급현황 418

〈표 6.2-3〉 생활용수 이용현황 418

〈표 6.2-4〉 관개용수 이용현황 420

〈표 6.2-5〉 양축용수의 축종별 원단위 421

〈표 6.2-6〉 가축사육 현황 421

〈표 6.2-7〉 축산용수 총괄 422

〈표 6.2-8〉 농업용수 이용현황 총괄 422

〈표 6.2-9〉 지구별 용수이용현황 총괄 423

〈표 6,2-10〉 지구별 장래인구 추정 426

〈표 6.2-11〉 목표연도별 급수보급률 및 단위급수량 427

〈표 6.2-12〉 영양군 상수도 급수 현황 427

〈표 6.2-13〉 지구별 생활용수 수요량 428

〈표 6.2-14〉 장래 경지면적 추정 431

〈표 6.2-15〉 묘대기간의 용수량 산정기준 433

〈표 6.2-16〉 작물 소비수량 계수 434

〈표 6.2-17〉 Thornthwhite 월열수지법에 의한 평균 증발산량 435

〈표 6.2-18〉 관개 효율의 적용사례 437

〈표 6.2-19〉 관개전의 월별 작물 성장계수 439

〈표 6.2-20〉 단위 용수량 440

〈표 6.2-21〉 장래 관계용수 수요량 441

〈표 6.2-22〉 지구별 장래가축사육두수 추정 442

〈표 6.2-23〉 축산용수 총괄 443

〈표 6.2-24〉 장래 농업용수 수요량 총괄 444

〈표 6.2-25〉 장래 용수수요량 총괄 445

〈표 6.3-1〉 평균 및 기준갈수량 448

〈표 6.3-2〉 물수지 분석방법의 수요측면 구분 450

〈표 6.3-3〉 물수지 분석 451

〈표 7.1-1〉 하천공간 구역의 설정 464

〈표 7.2-2〉 이수공급현황 466

〈표 7.5-1〉 목표수질 설정 471

〈표 7.5-2〉 하천유지유량 471

〈표 7.5-3〉 하천공간지구지정 기준 및 관리방향 473

〈표 8.1-1〉 하천공간지구지정 기준 및 관리방향 477

〈표 8.1-2〉 하천공간정비 기본방침 479

〈표 8.1-3〉 하천공간지구 평가항목 및 기준 481

〈표 8.1-4〉 하천공간지구 평가결과 483

〈표 8.1-5〉 하천공간지구 지정사유 483

〈표 8.1-6〉 보전 및 복원지구 기본시설 486

〈표 8.1-7〉 친수지구 도입 시설 486

〈표 8.1-8〉 지구별 유지관리 방향 487

〈표 8.1-9〉 자전거전용도로 폭 기준 494

〈표 8.1-10〉 관목류 군식·열식 시 ㎡당 기준 식재밀도 495

〈표 8.1-11〉 식재목적에 따른 조건검토 495

〈표 8.1-12〉 구간별 식재계획 497

〈표 8.2-1〉 하도계획 기본방향 498

〈표 8.2-2〉 계획지구 만곡부 편수위 상승량 비교 501

〈표 8.3-1〉 기존시설물 현황 504

〈표 8.3-2〉 계획홍수량에 따른 둑마루폭 505

〈표 8.3-3〉 계획 둑마루 폭 506

〈표 8.3-4〉 계획홍수량에 따른 여유고 506

〈표 8.3-5〉 계획여유고 507

〈표 8.3-6〉 분류기호의 설명 509

〈표 8.3-7〉 제체 재료별 제체누수에 대한 저항성 510

〈표 8.3-8〉 기성제 능력검토 510

〈표 8.3-9〉 소류력에 따른 비탈덮기 설치기준 511

〈표 8.3-10〉 하도분류별 수리 특성 511

〈표 8.3-11〉 유속에 따른 밑다짐폭 기준 511

〈표 8.3-12〉 홍수시 일시적 세굴깊이 512

〈표 8.3-13〉 허용 소류력 515

〈표 8.3-14〉 기성제 소류력 검토 516

〈표 8.3-15〉 제방 계획 516

〈표 8.3-16〉 호안 계획 516

〈표 8.3-17〉 기존 배수시설물 능력검토 520

〈표 8.3-18〉 배수시설물 계획 521

〈표 8.3-19〉 개수 계획 522

〈표 8.3-20〉 배수시설물 계획 522

〈표 8.3-21〉 기존교량 현황 523

〈표 8.3-22〉 계획홍수량에 따른 경간장 524

〈표 8.3-23〉 계획홍수량에 따른 여유고 525

〈표 8.3-24〉 교량능력 검토 525

〈표 8.3-25〉 교량 계획 527

〈표 8.3-26〉 세굴에 영향을 주는 와류계 529

〈표 8.3-27〉 국부세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529

〈표 8.3-28〉 국부세굴심 예측 공식 530

〈표 8.3-29〉 교각형상에 따른 보정계수 K₁ 531

〈표 8.3-30〉 흐름입사각에 대한 보정계수 K₂ 531

〈표 8.3-31〉 하상조건에 대한 보정계수 K₃ 531

〈표 8.3-32〉 하상재료의 크기에 대한 보정계수 K₄ 531

〈표 8.3-33〉 교각폭에 대한 보정계수 K₅ 532

〈표 8.3-34〉 교량별 세굴심 산정 533

〈표 8.3-35〉 교량별 세굴방지공 산정 535

〈표 8.3-36〉 보 및 낙차공 현황 536

〈표 8.3-37〉 Bligh 계수 537

〈표 8.3-38〉 보 및 낙차공 검토 538

〈표 8.3-39〉 보·낙차공 계획 540

〈표 8.3-40〉 어도의 설치목적별 분류 542

〈표 8.3-41〉 어도 설치위치 545

〈표 8.3-42〉 어도의 구조적 형식별 분류 546

〈표 8.3-43〉 어도 형식별 장단점 검토 547

〈표 8.3-44〉 상황별 어도선택 기준표 549

〈표 8.3-45〉 교량 계획 549

〈표 8.3-46〉 보 및 낙차공 계획 550

〈표 8.3-47〉 토사유출량 산정 553

〈표 8.4-1〉 치수경제성 분석 대상지구 현황 556

〈표 8.4-2〉 피해액의 종류 및 산정방법 559

〈표 8.4-3〉 단위침수면적당 손실인명수 및 손실원단위 560

〈표 8.4-4〉 도시의 유형별 구분 560

〈표 8.4-5〉 침수면적당 발생 이재민수 560

〈표 8.4-6〉 침수심별 건물 피해율 561

〈표 8.4-7〉 침수심별 건물내용물 피해율 561

〈표 8.4-8〉 침수심별 농경지 피해율 562

〈표 8.4-9〉 침수심별 농작물 피해율 562

〈표 8.4-10〉 침수심별 사업체 유형고정자산·재고자산의 피해율 563

〈표 8.4-11〉 일반자산피해액에 대한 공공시설물의 피해액 비율 563

〈표 8.4-12〉 연평균 피해경감기대액 산정방법 564

〈표 8.4-13〉 대상지구별 예상 연평균피해경감기대액(편익) 565

〈표 8.4-14〉 시설물별 잔존가치 567

〈표 8.4-15〉 경제성 분석 결과 569

〈표 8.4-16〉 평가기준의 요약 572

〈표 8.4-17〉 생태자연도 등급기준 574

〈표 8.4-18〉 사업투자 우선순위 576

〈표 8.4-19〉 지구별 소요 사업비(80년빈도) 577

〈표 9.1-1〉 중권역별 수질 및 수생태계 목표기준과 달성기간 581

〈표 9.1-2〉 유기물질에 따른 수생동식물과 수질오염의 정도 582

〈표 9.1-3〉 주요어족의 생태적 요구조건 583

〈표 9.1-4〉 경관측면의 목표수질 584

〈표 9.1-5〉 목표수질 등급 설정 584

〈표 9.1-6〉 유황 586

〈표 9.1-7〉 대표어종과 대리어종 일람표 587

〈표 9.1-8〉 주요어종의 서식처 수리조건 587

〈표 9.1-9〉 생태계를 고려한 하천관리 유량 590

〈표 9.1-10〉 유속에 따른 흐름의 느낌 상태 592

〈표 9.1-11〉 평가기준 및 필요유량 593

〈표 9.1-12〉 하천유지유량 594

〈표 9.1-13〉 오염원 그룹별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 구분 597

〈표 9.1-14〉 수학적 추정에 의한 인구 600

〈표 9.1-15〉 축종별 사육두수 현황 600

〈표 9.1-16〉 지목별 면적 현황 601

〈표 9.1-17〉 발생부하 원단위 및 분뇨발생부하비 602

〈표 9.1-18〉 신원천 생활계 발생부하량 및 배출부하량 603

〈표 9.1-19〉 축산분뇨 발생부하 원단위 604

〈표 9.1-20〉 신원천 축산계 발생부하량 및 배출부하량 605

〈표 9.1-21〉 토지계 지목별 연평균발생부하 원단위 606

〈표 9.1-22〉 신원천 토지계 발생부하량 및 배출부하량 607

〈표 9.1-23〉 신원천 전체 발생부하량 및 배출부하량 608

〈표 9.1-24〉 유달율 산정 609

〈표 9.1-25〉 수질모델의 종류 및 특성 611

〈표 9.1-26〉 수질모델의 입력자료 612

〈표 9.1-27〉 수리학적 특성치 615

〈표 9.1-28〉 수질예측조건 618

〈표 9.1-29〉 장래수질예측결과 619

〈표 9.1-30〉 관련법규에 따른 비점오염원 관리방법 625

〈표 9.1-31〉 식물 종류별 건물중, 질소, 인 흡수량 629

〈표 9.1-32〉 하천정화기법 630

〈표 9.2-1〉 자연환경,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예측 및 저감방향 631

〈표 10.2-1〉 기초터파기시 토사유출 저감대책 645

〈표 10.2-2〉 모니터링 요소별 내용 648

〈표 10.2-3〉 모니터링 분석 650

〈표 10.3-1〉 하천기본계획 고시현황 651

〈표 10.3-2〉 지정 내용 652

〈그림 1.2-1〉 과업위치도 26

〈그림 2.2-1〉 항공사진측량 작업 흐름도 30

〈그림 2.2-2〉 항공사진 촬영도 32

〈그림 2.3-1〉 표석 매설 위치도 37

〈그림 3.1-1〉 하천현황도 43

〈그림 3.1-2〉 하천모식도 44

〈그림 3.1-3〉 상대면적-상대고도 곡선(Hypsometric-Curve) 49

〈그림 3.1-4〉 유역의 입체적 특성도 49

〈그림 3.1-5〉 합·분류지점의 경계설정 현황 52

〈그림 3.1-6〉 지질계통도 53

〈그림 3.1-7〉 지질도 54

〈그림 3.1-8〉 수문학적 토양분포도 56

〈그림 3.1-9〉 토지이용도 60

〈그림 3.1-10〉 행정구역도 63

〈그림 3.1-11〉 문화재위치도 66

〈그림 3.2-1〉 수문관측소 위치도 69

〈그림 3.2-2〉 월별 강우량 현황 71

〈그림 3.2-3〉 기후도 73

〈그림 3.2-4〉 기상현황 75

〈그림 3.3-1〉 하천종단도 78

〈그림 3.3-2〉 유량에 따른 마찰속도 86

〈그림 3.3-3〉 유량에 따른 무차원 소류력 87

〈그림 3.3-4〉 유량에 따른 수면폭-수심비 88

〈그림 3.3-5〉 유량에 따른 수심-대표입경비 89

〈그림 3.3-6〉 유로의 평면적 변동 91

〈그림 3.3-7〉 하폭의 변화 94

〈그림 3.3-8〉 최심하상고 및 평균하상고 100

〈그림 3.4-1〉 과거 주요 태풍경로도 104

〈그림 3.4-2〉 가뭄의 특징 및 진행과정 108

〈그림 3.4-3〉 가뭄대책 관리 체계 124

〈그림 3.4-4〉 순환 Feedback 구조의 항구적인 가뭄 대응 체계 수립 126

〈그림 3.4-5〉 항구적인 가뭄대책의 분류와 종류 127

〈그림 3.5-1〉 영양 반딧불이 생태공원 132

〈그림 3.5-2〉 일월산 133

〈그림 3.5-3〉 조지훈 문학관 133

〈그림 3.5-4〉 두들마을 134

〈그림 3.5-5〉 산나물축제 135

〈그림 3.5-6〉 고추 페스티발 136

〈그림 3.5-7〉 김장축제 136

〈그림 3.5-8〉 관광·위락 공간위치도 137

〈그림 3.6-1〉 수질오염총량 단위유역도 143

〈그림 3.6-2〉 수질 및 저질 조사지점 위치도 148

〈그림 3.6-3〉 분류군별 조사장면 167

〈그림 3.6-4〉 조사범위 및 조사지점도 168

〈그림 3.6-5〉 조사지역에서의 출현 식물에 대한 생활형 비교 171

〈그림 3.6-6〉 조사지역 내 식물사진 174

〈그림 3.6-7〉 계획하천의 식생구계도와 수림대 175

〈그림 3.6-8〉 조사지역의 현존식생도 및 녹지자연도 184

〈그림 3.6-9〉 조사지역의 보호수 분포도 188

〈그림 3.6-10〉 계획하천과 주변지역의 생태자연도 189

〈그림 3.6-11〉 조사지역에서 관찰된 육상동물 206

〈그림 3.6-12〉 현지조사에서 관찰된 동물상 분포현황 207

〈그림 3.6-13〉 현지조사에서 관찰된 보호종 분포현황 208

〈그림 3.6-14〉 문별 출현 종 구성 비율 211

〈그림 3.6-15〉 분류군별 종 구성 비율 213

〈그림 3.6-16〉 분류군별 개체수 비율 214

〈그림 3.6-17〉 조사지점별 종 및 개체수 구성 비교 216

〈그림 3.6-18〉 조사지점별 군집지수 비교 218

〈그림 3.6-19〉 조사지점별 ESB지수 비교 219

〈그림 3.6-20〉 분류군별 종수 및 개체수 비율 224

〈그림 3.6-21〉 분류군별 개체수 비율 225

〈그림 3.6-22〉 조사수역에서 확인된 육수동물상 228

〈그림 3.6-23〉 문헌에서 확인된 보호종 분포도 236

〈그림 3.7-1〉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의 비전 250

〈그림 3.7-2〉 소하천 현황도(수비면) 256

〈그림 4.1-1〉 홍수량 산정지점도 259

〈그림 4.1-2〉 집중호우시 위성영상 260

〈그림 4.1-3〉 누가우량 분포 263

〈그림 4.1-4〉 Thiessen망도(기왕홍수분석) 264

〈그림 4.1-5〉 흔적수위 조사 및 계산수위 검토 결과 268

〈그림 4.1-6〉 강우분석 절차 269

〈그림 4.1-7〉 확률강우량 산정방법 270

〈그림 4.1-8〉 Thiessen 망도 273

〈그림 4.1-9〉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 275

〈그림 4.1-10〉 I-D-F 곡선 291

〈그림 4.1-11〉 Huff 방법의 무차원 누가곡선 306

〈그림 4.1-12〉 CN 분포도 314

〈그림 4.1-13〉 Clark 단위도의 개념 316

〈그림 4.1-14〉 연속형 Kraven 공식 유도에 필요한 경사구간별 유속분포 319

〈그림 4.1-15〉 NRCS 무차원단위도 321

〈그림 4.1-16〉 홍수위 상승시 및 하강시 하도구간 저류량의 형태 변화 325

〈그림 4.1-17〉 빈도별 첨두홍수량(SW0, Clark) 331

〈그림 4.1-18〉 홍수량 산정방법별 첨두홍수량(SW0, 80년빈도) 331

〈그림 4.1-19〉 인근 하천 기수립 하천기본계획과의 비유량 비교 333

〈그림 4.1-20〉 계획홍수량 배분도 337

〈그림 4.2-1〉 축차계산단면 352

〈그림 4.2-2〉 계획하폭 산정도 360

〈그림 4.2-3〉 현하폭 및 계획하폭 비교표 362

〈그림 5.1-1〉 하상재료채취 위치도 370

〈그림 5.2-1〉 유량-유사량 관계 곡선 378

〈그림 5.3-1〉 Sediment 모형의 계산 격자 구성 382

〈그림 5.3-2〉 수문 곡선의 분할 384

〈그림 5.3-3〉 장래하상변동 390

〈그림 6.1-1〉 Tank 모형의 저수유출과정 407

〈그림 6.1-2〉 수자원 부존량 모식도 412

〈그림 6.1-3〉 유황곡선 414

〈그림 6.2-1〉 용수량 산정지구 위치도 416

〈그림 6.2-2〉 생활용수 수요추정 흐름도 425

〈그림 6.2-3〉 공업용수 수요추정 흐름도 429

〈그림 6.2-4〉 관개용수 수요추정 흐름도 430

〈그림 6.2-5〉 관개용수 수요량 추정방법 431

〈그림 6.2-6〉 답단위용수량 산정방법 432

〈그림 6.3-1〉 물수지 분석 절차(방법) 447

〈그림 6.3-2〉 물수지 모식도(2020년) 452

〈그림 6.3-3〉 물수지 모식도(2025년) 453

〈그림 6.3-4〉 물수지 모식도(2030년) 454

〈그림 6.4-1〉 용수공급관리 대책방안 458

〈그림 7.1-1〉 하천의 기능 460

〈그림 7.3-1〉 홍수방어 및 조절 대책 468

〈그림 8.1-1〉 하천공간 정비계획의 전체 흐름도 480

〈그림 8.1-2〉 하천 관리지구 구분 484

〈그림 8.1-3〉 추이대 개선 489

〈그림 8.1-4〉 생태이동 통로 및 서식지 개선 사례 489

〈그림 8.1-5〉 생물서식처 조성 방향 490

〈그림 8.1-6〉 여울과 소 491

〈그림 8.1-7〉 하중도 및 습지 492

〈그림 8.1-8〉 친수공간 조성 사례 493

〈그림 8.1-9〉 하천내 도입가능 수종 496

〈그림 8.1-10〉 식재단면모식도 497

〈그림 8.2-1〉 하천 만곡부의 평면 흐름 501

〈그림 8.3-1〉 교행 공간의 형상 505

〈그림 8.3-2〉 제방표준단면도 517

〈그림 8.3-3〉 국부세굴 발생 mechanism 개념도 528

〈그림 8.3-4〉 자연형 보 및 낙차공 예시도 540

〈그림 8.3-5〉 어도의 입구가 적정한 예 543

〈그림 8.3-6〉 부적정한 어도의 위치 544

〈그림 8.3-7〉 영양군 사방댐 위치도 554

〈그림 8.3-8〉 영양군 토사재해 저감계획 555

〈그림 8.4-1〉 치수경제성분석지구 위치도 557

〈그림 8.4-2〉 피해액(일반자산 피해액)의 산정방법 558

〈그림 8.4-3〉 AHP 기법의 분석과정 570

〈그림 8.4-4〉 치수사업 투자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계층도 571

〈그림 8.4-5〉 평가기준별 가중치 575

〈그림 9.1-1〉 수질보전 전략의 형성체계 580

〈그림 9.1-2〉 유역의 오염원 597

〈그림 9.1-3〉 신원천 수질측정 위치도 599

〈그림 9.1-4〉 QUAL2E 모델의 반응 계통도 613

〈그림 9.1-5〉 수질예측 모의구간 분할도 614

〈그림 9.1-6〉 QUAL2E모형 보정 결과 616

〈그림 9.1-7〉 장래 수질변화 예측 619

〈그림 9.1-8〉 수질개선 대책사업의 분류 621

〈그림 9.1-9〉 마을하수처리장 처리계통 모식도 622

〈그림 9.1-10〉 정화시설 설치 모식도 628

〈그림 10.2-1〉 침사지 표준단면도 및 현황사진 643

〈그림 10.2-2〉 오탁방지막 표준단면도 및 현황사진 643

〈그림 10.2-3〉 모니터링 계획 647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58153 627.12 -16-2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58154 627.12 -16-2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