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빛공해 인체 및 생태 위해성 평가기술과 위해성 평가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health risk assessment technology and system of light pollution / 환경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환경부 ; 서울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15
청구기호
628.161 -16-4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691 p. : 삽화, 표 ; 30 cm
총서사항
생활환경 유해인자 위해관리 기술 = Management of hazardous factors in living environment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최종보고서
제어번호
MONO1201623079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총괄)연구책임자: 이은일
부록: 빛 공해 위험인식에 관한 설문조사 ; 일반인을 위한 빛공해 건강영향 가이드라인 ; 전문가를 위한 빛공해 노출 및 건강위해성평가 가이드라인 외
참고문헌 수록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1. 빛공해 인체 및 생태 위해성 평가기술과 위해성 평가시스템 개발(Development of Health Risk Assessment Technology and System of Light Pollution) / 이은일 3

제출문 5

요약서 7

요약문 9

SUMMARY 14

제1장 서론 23

제1절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25

제2절 연구개발의 국내외 현황 35

제3절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45

제2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55

제1절 연구개발 결과 및 토의 55

제2절 연구개발 결과 요약 133

제3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137

제1절 연도별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137

제2절 관련분야의 기술발전 기여도(환경적 성과 포함) 141

제4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147

제1절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147

제2절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정보 148

제3절 연구개발결과의 보안등급 150

제4절 NTIS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현황 151

제5장 참고문헌 153

부록 165

〈부록 1〉 빛 공해 위험인식에 관한 설문조사 167

〈부록 2〉 일반인을 위한 빛공해 건강영향 가이드라인 191

〈부록 3〉 전문가를 위한 빛공해 노출 및 건강위해성평가 가이드라인 205

2. 생활환경 유해인자 위해관리(Management of hazardous factors in living environment) / 한봉호 263

제출문 265

요약서 267

요약문 269

SUMMARY 274

제1장 서론 287

제1절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289

제2절 연구개발의 국내외 현황 291

제3절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293

제2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299

제1절 연구개발 결과 및 토의 299

제2절 연구개발 결과 요약 396

제3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407

제1절 연도별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409

제2절 관련분야의 기술발전 기여도(환경적 성과 포함) 411

제4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등 413

제1절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415

제2절 향후 연구과제 제안 418

제3절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정보 424

제4절 연구개발결과의 보안등급 424

제5장 참고문헌 425

부록 433

3. 빛 공해 인체 및 생태 위해성 인자평가(The Factor of Health and Ecology Risk Assessment of Laght Pollution) 487

제출문 489

요약서 491

요약문 493

SUMMARY 495

제1장 서론 503

제1절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505

제2절 연구개발의 국내외 현황 512

제3절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523

제2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531

제1절 연구개발 결과 및 토의 533

제2절 연구개발 결과 요약 585

제3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589

제1절 연도별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591

제2절 관련분야의 기술발전 기여도(환경적 성과 포함) 594

제4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등 595

제1절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597

제2절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정보 599

제3절 연구개발결과의 보안등급 599

제4절 NTIS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현황 599

제5장 참고문헌 601

부록 607

1. 빛공해 인체 및 생태 위해성 평가기술과 위해성 평가시스템 개발(Development of Health Risk Assessment Technology and System of Light Pollution) 20

〈표 1.1.1〉 조명환경관리구역 지정 예시 31

〈표 1.1.2〉 국제조명위원회의 빛공해 관련 기준 41

〈표 1.1.3〉 미국 캘리포니아의 Lighting Zone 분류 41

〈표 1.1.4〉 이탈리아 Lombardy Law 주요 내용 42

〈표 1.1.5〉 사례 국가별 관리제도 및 규제요소 42

〈표 1.1.6〉 환경구역의 분류 43

〈표 1.1.7〉 보행자를 위한 보도의 권장조도(lux) 43

〈표 1.1.8〉 일본 지역조명계획의 4단계 조명환경 45

〈표 2.1.1〉 눈피로도 설문지 항목 74

〈표 2.1.2〉 시각기능 및 눈피로도 분석결과 74

〈표 2.1.3〉 5 lux 노출 시 시각기능 및 눈피로도 분석결과 75

〈표 2.1.4〉 10 lux 노출 시 시각기능 및 눈피로도 분석결과 76

〈표 2.1.5〉 시각기능 및 눈피로도 분석결과(여성) 77

〈표 2.1.6〉 5 lux 노출 시 시각기능 및 눈피로도 분석결과(여성) 77

〈표 2.1.7〉 10 lux 노출 시 시각기능 및 눈피로도 분석결과(여성) 78

〈표 2.1.8〉 시각기능 및 눈피로도 분석결과(여성) 79

〈표 2.1.9〉 5 lux 노출 시 시각기능 및 눈피로도 분석결과(여성) 79

〈표 2.1.11〉 10 lux 노출 시 시각기능 및 눈피로도 분석결과(여성) 80

〈표 2.1.11〉 1000 lux 노출 전 후 시각기능 분석결과 81

〈표 2.1.12〉 수면 구조 분석 결과 91

〈표 2.1.13〉 Go/NoGo task 수행 결과 93

〈표 2.1.14〉 연구대상자 96

〈표 2.1.15〉 만성질환과 빛공해와의 관련성 연구 96

〈표 2.1.16〉 대조군과 비만여성노인 집단의 혈액검사결과를 포함한 일반적 현황 97

〈표 2.1.17〉 대조군과 비만여성노인 집단에서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98

〈표 2.1.18〉 만성질환과 빛공해와의 관련성 연구 99

〈표 2.1.19〉 빛공해 건강영향 평가를 위한 관찰연구 설계 방식과 특성 109

〈표 2.1.20〉 관찰연구에서의 개별 및 노출수준 평가 110

〈표 2.1.21〉 밝은 빛 노출평가를 통한 실험연구의 설계 시 고려사항 110

〈표 2.1.22〉 빛의 밝기에 대한 양-반응 평가 연구설계 시 고려사항 111

〈표 2.1.23〉 빛 노출 실험연구 시 통제되어야 하는 조건들 111

2. 생활환경 유해인자 위해관리(Management of hazardous factors in living environment) 282

〈표 1.3.1〉 생태계 위해성 평가 분야 연도별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293

〈표 1.3.2〉 식물 위해성 평가 분야 연도별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294

〈표 2.1.1〉 광공해를 일으키는 간섭광의 3가지 유형 299

〈표 2.1.2〉 빛공해에 의한 식물생태계 영향 300

〈표 2.1.3〉 빛공해에 의한 동물생태계 영향 300

〈표 2.1.4〉 빛공해에 의한 식물생태계 영향 모니터링 항목 도출 301

〈표 2.1.5〉 빛공해에 의한 동물의 생태계 영향 모니터링 항목 도출 302

〈표 2.1.6〉 빛공해 생태계 영향 예상 분류군별 생물종 목록(안) 303

〈표 2.1.7〉 개화율, 잎 생장률, 단풍률 등급 구분 및 점수 기준 306

〈표 2.1.8〉 토지이용유형 구분 311

〈표 2.1.9〉 빛공해 위성영상 지도정보 311

〈표 2.1.10〉 생태계 위해성 평가시 지역별 온도변화 및 생태계 종 차이 통제방법 312

〈표 2.1.11〉 연구대상지의 온도 및 습도 313

〈표 2.1.12〉 연구대상지 조사구 그룹별 조도 313

〈표 2.1.13〉 조도 ANOVA 분석 314

〈표 2.1.14〉 조도 LSD 사후검정 314

〈표 2.1.15〉 조도 던컨(Duncan)의 사후검정 315

〈표 2.1.16〉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개화율 316

〈표 2.1.17〉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개화율 사후검정 316

〈표 2.1.18〉 철쭉류(Rhododendron spp.) 개화율 317

〈표 2.1.19〉 철쭉류(Rhododendron spp.) 개화율 사후검정 318

〈표 2.1.20〉 느티나무(Zelkova serrata) 잎 생장률 319

〈표 2.1.21〉 느티나무(Zelkova serrata) 잎 생장률 사후검정 320

〈표 2.1.22〉 은행나무(Ginkgo biloba) 잎 생장률 320

〈표 2.1.23〉 은행나무(Ginkgo biloba) 잎 생장률 사후검정 321

〈표 2.1.24〉 단풍나무(Acer palmatum) 잎 생장률 322

〈표 2.1.25〉 단풍나무(Acer palmatum) 잎 생장 사후검정 323

〈표 2.1.26〉 수종별 단풍률 324

〈표 2.1.27〉 봄철 서울시 둔촌동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습지지역 비오톱유형별 면적 및 비율 325

〈표 2.1.28〉 고덕동 생태경관보전지역 가을철 비오톱 유형별 면적 및 비율 328

〈표 2.1.29〉 오금공원 비오톱 유형별 면적 및 비율 330

〈표 2.1.30〉 산림 내 습지의 조도에 반응하는 직박구리 울음소리 시간차 336

〈표 2.1.31〉 하천의 조도에 반응하는 까치 울음소리 시간차 341

〈표 2.1.32〉 산림의 조도에 반응하는 박새 울음소리 시간차 346

〈표 2.1.33〉 2000년과 2009년 경기도 의정부시 토지이용 변화분석 347

〈표 2.1.34〉 서울에 식재된 가로수의 현재 상황 354

〈표 2.1.35〉 식물종의 리스트 및 종자 이력 356

〈표 2.1.36〉 우리나라 대표 산림수종과 가로수종 9수종에 대한 형태생물측정 특성 364

〈표 2.1.37〉 야간의 인공조명에 의한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리기테다소나무 등 침엽수종에 있어서 발아특성 365

〈표 2.1.38〉 수종별 종자의 전자전도도 측성을 통한 활력도 비교 370

〈표 2.1.39〉 빛공해 식물위해성평가를 위한 식물의 생장, 생리, 생화학, 해부학적 및 형태학적 영향인자 비교분석 392

〈표 2.2.1〉 빛공해에 따른 조도별 개화율 및 잎 생장률 396

〈표 2.2.2〉 산림 내 습지의 조도에 반응하는 직박구리 울음소리 시간차 397

〈표 2.2.3〉 하천의 조도에 반응하는 까치 울음소리 시간차 397

〈표 2.2.4〉 산림의 조도에 반응하는 박새 울음소리 시간차 398

〈표 2.2.5〉 연차별 주요 연구 결과 404

〈표 4.1.1〉 착수 당초 실적목표 및 최종 달성도 415

〈표 4.1.2〉 향후 3년 내 성과계획 415

〈표 4.2.1〉 도시계획법 상 용도지역 및 조명환경관리구역 지정 기준과 현장 업무 한계점 418

〈표 4.2.2〉 빛공해 생태 위해성 평가기술의 환경영향평가등 분야별 세부평가항목 적용 검토 421

〈표 4.2.3〉 빛공해 환경영향평가 자연생태환경 분야 작성 내용 422

3. 빛 공해 인체 및 생태 위해성 인자평가(The Factor of Health and Ecology Risk Assessment of Light Pollution) 499

〈표 1.2.1〉 지자체별 빛공해 조례 512

〈표 1.2.2〉 조명환경관리구역 513

〈표 1.2.3〉 빛 방사 허용기준 514

〈표 1.2.4〉 경기도 조명환경관리구역의 분류 516

〈표 1.2.5〉 경기도 조명환경관리구역의 지역 특성 517

〈표 1.2.6〉 경기도 조명환경관리구역별 빛 방사 허용기준 518

〈표 1.2.7〉 경기도 빛공해 관리계획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양식 518

〈표 1.2.8〉 경기도 빛공해 자가진단 옥외공간조명 체크리스트 520

〈표 1.2.9〉 미국의 Lighting Zone 분류 521

〈표 1.2.10〉 영국 빛공해 기준 522

〈표 2.1.1〉 국가별 침입광 관련 규정 537

〈표 2.1.2〉 빛공해 국제 협회 침입광 관련 규정 537

〈표 2.1.3〉 각 적용광원의 기능 및 파장 분석 538

〈표 2.1.4〉 빛공해 측정 시료의 특성 및 시뮬레이션 분석 539

〈표 2.1.5〉 설치지원 및 현장 조도 측정 542

〈표 2.1.6〉 자문위원 명단 543

〈표 2.1.7〉 환경에 따른 조명구역 546

〈표 2.1.8〉 대지에 대한 연직면 조도의 최대치 546

〈표 2.1.9〉 지정된 방향에서의 조명기구 광도의 최대치 546

〈표 2.1.10〉 평균 표면휘도의 최대 허용치 547

〈표 2.1.11〉 조닝 시스템에 의한 환경적 구역의 설명 547

〈표 2.1.12〉 산란광 제한에 대한 권고사항 547

〈표 2.1.13〉 가로등, 보안등, 공원등기구 적용광원 분석 548

〈표 2.1.14〉 옥외 가로등의 배광 및 광속 값 분석 548

〈표 2.1.15〉 옥외 이면도로 가로등 배광 및 광속 값 분석 549

〈표 2.1.16〉 옥외 보안등 배광 및 광속 값 분석 549

〈표 2.1.17〉 옥외 공원등 배광 및 광속 값 분석 550

〈표 2.1.18〉 옥내용 광원 및 등기구 551

〈표 2.1.19〉 옥외용 광원 552

〈표 2.1.20〉 옥외용 등기구 552

〈표 2.1.21〉 시립대학교 생태팀 지원 554

〈표 2.1.22〉 IESNA BUG 등급 기준 555

〈표 2.1.23〉 상향광속율 기준 556

〈표 2.1.24〉 가로등기구 Cut Off 형 557

〈표 2.1.25〉 가로등기구 Semi-Cut Off 형 557

〈표 2.1.26〉 보안등기구 Semi-Cut Off 형 558

〈표 2.1.27〉 공원등기구 Non-Cut Off 형 A 558

〈표 2.1.28〉 공원등기구 Non-Cut Off 형 B 559

〈표 2.1.29〉 가로등 설치높이에 따른 주거지 적정 이격거리 559

〈표 2.1.30〉 용도지역에 따른 평가인자 560

〈표 2.1.31〉 생태 및 녹지 공원등 현황 561

〈표 2.1.32〉 공원등 바닥면 조도 측정 값 562

〈표 2.1.33〉 형광등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에너지 스타 자료 569

〈표 2.1.34〉 IDA 제공 주거용 조명 제품 570

〈표 2.1.35〉 자문회의 참석 전문가 573

〈표 2.1.36〉 우리나라 공간조명 빛공해 실태 574

〈표 2.1.37〉 시뮬레이션 변수 설정 개요 578

〈표 2.1.38〉 빛공해 방지 시뮬레이션 설치조건 결과 (가로등) 579

〈표 2.1.39〉 빛공해 방지 시뮬레이션 설치조건 결과 (보안등) 580

〈표 2.1.40〉 빛공해 방지 시뮬레이션 설치조건 결과 (공원등) 580

〈표 2.2.1〉 설치높이 8m 기준 적정이격거리 (가로등) 585

〈표 2.2.2〉 설치높이 10m 기준 적정이격거리 (가로등) 585

〈표 2.2.3〉 설치높이 12m 기준 적정이격거리 (가로등) 586

〈표 2.2.4〉 설치높이 4m 기준 적정이격거리 (보안등) 586

〈표 2.2.5〉 설치높이 5m 기준 적정이격거리 (보안등) 587

〈표 2.2.6〉 설치높이 6m 기준 적정이격거리 (보안등) 587

〈표 2.2.7〉 설치높이 4/5/6 m 기준 적정이격거리 (공원등) 587

〈표 3.1.1〉 1차년도 연구개발 목표대비 달성도 591

〈표 3.1.2〉 2차년도 연구개발 목표대비 달성도 592

〈표 3.1.3〉 3차년도 연구개발 목표대비 달성도 593

1. 빛공해 인체 및 생태 위해성 평가기술과 위해성 평가시스템 개발(Development of Health Risk Assessment Technology and System of Light Pollution) 21

〈그림 1.1.1〉 빛과 생체시계에 의하여 생리기능 및 행동에 생물학적 리듬이 만들어지는 과정 26

〈그림 1.1.2〉 생체의 시간에 따른 특성 27

〈그림 1.1.3〉 멜라토닌의 항독소 효과들 28

〈그림 1.1.4〉 빛 공해에 의한 멜라토닌 감소 36

〈그림 1.1.5〉 색온도에 따른 멜라토닌 감소 37

〈그림 2.1.1〉 수면 중, 인공조명에 의한 빛 공해 노출이 인간의 수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평가 연구 계획 55

〈그림 2.1.2〉 수면다원검사의 개요 56

〈그림 2.1.3〉 fMRI 및 N-back test 58

〈그림 2.1.4〉 야간수면다원검사 (Nocturnal Polysomnography) 결과 60

〈그림 2.1.5〉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야간수면다원검사 분석 결과 61

〈그림 2.1.6〉 성인을 대상으로 한 야간수면다원검사 분석 결과 62

〈그림 2.1.7〉 N-back test의 반응 정확도 및 반응 시간 분석 결과 63

〈그림 2.1.8〉 fMRI 결과 분석 65

〈그림 2.1.9〉 멜라토닌 분석 결과 66

〈그림 2.1.10〉 빛공해 2차년도 실험스케줄 67

〈그림 2.1.11〉 생체 호르몬농도의 일주기 리듬 분석 70

〈그림 2.1.12〉 시간유전자의 일주기리듬 분석 71

〈그림 2.1.13〉 Actigraphy를 활용한 일주기 리듬의 분석 72

〈그림 2.1.14〉 맥락막 두께 및 시세포 외절 빛간섭 단층 촬영 81

〈그림 2.1.15〉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간 빛세기 차이 83

〈그림 2.1.16〉 주거형태에 따른 빛공해 차이 83

〈그림 2.1.17〉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간 근시 차이 84

〈그림 2.1.18〉 주거형태에 따른 근시 차이 84

〈그림 2.1.19〉 빛공해와 근시 유병률 상관성분석 85

〈그림 2.1.20〉 황반부 및 시신경 유두 주위의 맥락막 두께 분석 86

〈그림 2.1.21〉 드루젠 분포범위에 따른 맥락막 두께 변화 87

〈그림 2.1.22〉 환자분류에 따른 맥락막 두께 변화 88

〈그림 2.1.23〉 빛공해에 의한 뇌혈류변화 실험 개요 89

〈그림 2.1.24〉 Go/NoGo task 수행 방법 90

〈그림 2.1.25〉 수면 단계에 따른 HbO Power 92

〈그림 2.1.26〉 수면 중 vasomotor activity의 변화 92

〈그림 2.1.29〉 빛 세기의 따른 여러 지표들의 변화 100

〈그림 2.1.30〉 남성대상 야간 빛 인체위해성 실험 일정 101

〈그림 2.1.31〉 빛 노출 전 후 대사물질 및 면역지표 검사 101

〈그림 2.1.32〉 약한 빛 (150lux)와 1000 lux 노출군에서의 대사물질 지표 검사 102

〈그림 2.1.33〉 수면 전 야간의 강한 빛 노출에 따른 여러 지표들의 변화 103

〈그림 2.1.34〉 수면 전 야간의 강한 빛 조명 노출 실험 스케줄 103

〈그림 2.1.35〉 야간 빛 노출에 따른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의 패턴 변화 105

〈그림 2.1.36〉 야간 빛 노출에 따른 밤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수치 변화 105

〈그림 2.1.37〉 설문지를 통한 야간 빛 노출에 따른 피험자의 스트레스 수치의 변화 106

〈그림 2.1.38〉 야간 빛 노출에 따른 혈압의 변화 107

〈그림 2.1.39〉 야간 빛 노출에 따른 대사 교란 107

〈그림 2.1.40〉 야간 빛 노출에 따른 인체 내 DNA 복구능력 저하 108

〈그림 2.1.41〉 건강한 조명 생활을 위한 자가점검표 112

〈그림 2.1.42〉 일반인 대상 빛공해 인식 및 실천 수준 변화 113

〈그림 2.1.43〉 일반인 대상 빛공해 인식 및 실천 수준 변화 114

〈그림 2.1.44〉 빛 세기에 따른 일주기성 행동 변화 115

〈그림 2.1.45〉 광원에 따른 일주기성 행동양상 115

〈그림 2.1.46〉 빛노출에 따른 일주기성 유전자의 변화 116

〈그림 2.1.47〉 빛공해가 초파리 수면에 미치는 영향 117

〈그림 2.1.48〉 빛공해가 스트레스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118

〈그림 2.1.49〉 빛공해가 생체대사에 미치는 영향 119

〈그림 2.1.50〉 빛공해에 의한 대사체 변화 120

〈그림 2.1.51〉 아밀로이드-베타 과발현 AD 모델 초파리 제작 120

〈그림 2.1.52〉 아밀로이드-베타 과발현 AD 모델 초파리의 형질 분석 121

〈그림 2.1.53〉 아밀로이드-베타 축적 및 신경퇴행 유발관찰 122

〈그림 2.1.54〉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 과발현이 초파리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 123

〈그림 2.1.55〉 타우 독성이 관찰 123

〈그림 2.1.56〉 타우 독성에 따른 수명변화 124

〈그림 2.1.57〉 AD 모델 초파리의 일주기성 행동변화 125

〈그림 2.1.58〉 타우 과발현 초파리의 일주기성 행동변화 125

〈그림 2.1.59〉 빛공해와 아밀로이드-베타 과발현 AD 모델 초파리의 수면 126

〈그림 2.1.60〉 빛공해와 타우 단백질 과발현 AD 모델 초파리의 수면 127

〈그림 2.1.61〉 빛공해가 AD 모델 초파리의 운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127

〈그림 2.1.62〉 빛공해 표지 유전자 선발 128

〈그림 2.1.63〉 빛공해 표지 유전자 선발 결과 129

〈그림 2.1.64〉 빛공해 표지 유전자의 AD 증상과 관련성 연구 130

〈그림 2.1.65〉 AD 증상에 영향을 주는 빛공해 표지 유전자 선발 131

〈그림 2.1.66〉 빛공해 표지 유전자 유용성 검증 132

2 .생활환경 유해인자 위해관리(Management of hazardous factors in living environment) 284

〈그림 1.3.1〉 생태계 위해성 평가기술 개발 단계별 연구 추진체계도 295

〈그림 1.3.2〉 식물 위해성 평가기술 개발 단계별 연구 추진체계도 296

〈그림 2.1.1〉 빛공해에 의한 식물의 생태계 영향 기작 개념도 301

〈그림 2.1.2〉 빛공해에 의한 동물의 생태계 영향 기작 개념도 302

〈그림 2.1.3〉 연구대상지 위치도 304

〈그림 2.1.4〉 연구대상지 내 조도측정 위치도 305

〈그림 2.1.5〉 그룹 설정도 307

〈그림 2.1.6〉 왕벚나무 조사지점 307

〈그림 2.1.7〉 철쭉류 조사지점 307

〈그림 2.1.8〉 느티나무 조사지점 308

〈그림 2.1.9〉 은행나무 조사지점 308

〈그림 2.1.10〉 단풍나무 조사지점 308

〈그림 2.1.11〉 빛공해에 의한 동물 생태계 영향 모니터링 대상지 위치 309

〈그림 2.1.12〉 2000년과 2009년 대한민국 빛공해 위성영상지도 311

〈그림 2.1.13〉 둔촌동 생태경관보전지역 봄철 비오톱 현황도 326

〈그림 2.1.14〉 고덕동 생태경관보전지역 가을철 비오톱 현황 329

〈그림 2.1.15〉 오금공원 비오톱 현황도 및 자생종 분포 현황도 331

〈그림 2.1.16〉 둔촌동 생태경관보전지역 저녁 조도 및 야생조류 울음소리 332

〈그림 2.1.17〉 송추 울대습지 저녁 조도 및 야생조류 울음소리 333

〈그림 2.1.18〉 둔촌동 생태경관보전지역 새벽 조도 및 야생조류 울음소리 334

〈그림 2.1.19〉 송추 울대습지 새벽 조도 및 야생조류 울음소리 334

〈그림 2.1.20〉 산림 내 습지 유형 직박구리 울음소리 종료시각 비교 335

〈그림 2.1.21〉 산림 내 습지 유형 직박구리 울음소리 시작시각 비교 336

〈그림 2.1.22〉 고덕동 생태경관보전지역 저녁 조도 및 야생조류 울음소리 337

〈그림 2.1.23〉 가평삼회지구 저녁 조도 및 야생조류 울음소리 338

〈그림 2.1.24〉 고덕동 생태경관보전지역 새벽 조도 및 야생조류 울음소리 339

〈그림 2.1.25〉 가평삼회지구 새벽 조도 및 야생조류 울음소리 339

〈그림 2.1.26〉 하천 유형 까치 울음소리 종료시각 비교 340

〈그림 2.1.27〉 하천 유형 까치 울음소리 시작시각 비교 341

〈그림 2.1.28〉 오금공원 저녁 조도 및 야생조류 울음소리 342

〈그림 2.1.29〉 송추계곡 산림 저녁 조도 및 야생조류 울음소리 343

〈그림 2.1.30〉 오금공원 새벽 조도 및 야생조류 울음소리 344

〈그림 2.1.31〉 송추계곡 산림 새벽 조도 및 야생조류 울음소리 344

〈그림 2.1.32〉 산림 유형 박새 울음소리 종료시각 비교 345

〈그림 2.1.33〉 산림 유형 박새 울음소리 시작시각 비교 346

〈그림 2.1.34〉 2000년과 2009년 경기도 의정부시 토지이용 변화분석도 348

〈그림 2.1.35〉 2000년과 2009년 경기도 의정부시 빛공해 분포도 348

〈그림 2.1.36〉 2000년과 2009년 경기도 의정부시 빛공해 변화분석도 349

〈그림 2.1.37〉 토지이용유형별 빛공해 등급 산정도 350

〈그림 2.1.38〉 토지이용유형별 빛공해 등급 분포현황 350

〈그림 2.1.39〉 토지이용과 빛공해 변화 현황 종합 352

〈그림 2.1.40〉 가로수 수종별 조성 현황 및 추이('08년 기준)도(65) 353

〈그림 2.1.41〉 야간의 인공조명 노출에 의한 소나무(P. densiflora), 리기다소나무(P. rigida), 리기테다소나무(P. rigida × P. taeda)의 종자발아유 365

〈그림 2.1.42〉 야간의 인공조명 노출에 의한 소나무(P. densiflora) 종자의 발아특성 366

〈그림 2.1.43〉 야간의 인공조명 노출에 의한 리기다소나무(P. rigida) 종자의 발아특성 366

〈그림 2.1.45〉 대조구 조건하에서 잣나무(P. koraiensis, 위)와 상수리나무(Q. acutissima, 아래)의 종자에 있어서 적외선 열화상 이미지 368

〈그림 2.1.46〉 고압나트륨(High pressure sodium, HPS) 램프에서 잣나무(P. koraiensis)의 종자에 있어서 적외선 열화상 이미지 368

〈그림 2.1.47〉 고압나트륨(High pressure sodium, HPS) 램프에서 상수리나무(Q. acutissima)의 종자에 있어서 적외선 열화상 이미지 369

〈그림 2.1.48〉 메탈할라이드(Metal Halide, MH) 램프에서 잣나무(P. koraiensis, 위)와 상수리나무(Q. acutissima, 아래)의 종자에 있어서 열화상 이미지 369

〈그림 2.1.49〉 야간의 인공조명 처리에 의한 백합나무(L. tulipifera)의 상대수고생장률과 상대근원경생장률 371

〈그림 2.1.50〉 야간의 인공조명 노출에 따른 소나무(P. densiflora)의 상대수고생장률과 상대근원경생장률 371

〈그림 2.1.51〉 야간의 인공조명 노출 시 백합나무의(L. tulipifera)의 생체중(fresh weight)과 건물중(dry weight) 372

〈그림 2.1.52〉 야간의 인공조명 노출에 따른 소나무(P. densiflora)의 생체중(fresh weight)과 건물중(dry weight) 373

〈그림 2.1.53〉 야간의 인공조명 노출에 따른 백합나무(L. tulipifera)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비(S/R dry weight ratio) 374

〈그림 2.1.54〉 야간의 인공조명 노출에 따른 소나무(P. densiflora)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비(S/R dry weight ratio) 374

〈그림 2.1.55〉 야간의 인공조명 노출에 따른 백합나무(L. tulipifera), 소나무(P. densiflora), 은행나무(G. biloba), 느티나무(Z. serrata), 벚나무(P. yedoensis)의 광합성률 376

〈그림 2.1.56〉 야간의 인공조명 노출에 따른 백합나무(L. tulipifera), 소나무(P. densiflora), 은행나무(G. biloba), 느티나무(Z. serrata), 벚나무(P. yedoensis)의 기공전도도(Gs) 376

〈그림 2.1.57〉 야간의 인공조명 노출에 따른 백합나무(L. tulipifera), 소나무(P. densiflora), 은행나무(G. biloba), 느티나무(Z. serrata), 벚나무(P. yedoensis)의 증산속도(Tr) 377

〈그림 2.1.58〉 야간의 인공조명 노출에 따른 백합나무(L. tulipifera), 소나무(P. densiflora), 은행나무(G. biloba), 느티나무(Z. serrata), 벚나무(P. yedoensis)의 수분이용효율 378

〈그림 2.1.59〉 야간의 인공조명 노출에 따른 백합나무(L. tulipifera)의 엽록소와 카로티노이드의 함량 379

〈그림 2.1.50〉 야간의 인공조명 노출에 따른 백합나무(L. tulipifera)의 탄질비(carbon-nitrogen ratio: C/N ratio) 380

〈그림 2.1.61〉 야간의 인공조명 노출에 따른 백합나무(L. tulipifera)의 ABA 함량 381

〈그림 2.1.62〉 기공반응 통로(57) 382

〈그림 2.1.63〉 ABA(Absisic Acid) 대사과정(58) 383

〈그림 2.1.64〉 야간의 인공조명 노출에 따른 백합나무(L. tulipifera)의 O-J-I-P 곡선 및 형광변수의 변화 384

〈그림 2.1.65〉 야간의 인공조명 노출에 따른 백합나무(L. tulipifera)의 기공관찰 386

〈그림 2.1.66〉 야간의 인공조명 처리에 의한 백합나무(L. tulipifera)의 엽록체 미세구조의 변화 387

〈그림 2.1.67〉 야간의 인공조명 처리에 의한 소나무(P. densiflora)의 엽록체 미세구조의 변화 387

〈그림 2.1.68〉 야간의 인공조명 노출에 따른 백합나무(L. tulipifera)의 열화상이미지 389

〈그림 2.1.69〉 야간의 인공조명 처리에 의한 소나무(P. densiflora)의 열화상이미지 389

〈그림 2.1.70〉 백합나무와 소나무의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엽온과 대기온도 측정 390

〈그림 2.1.71〉 야간의 인공조명 노출에 의한 백합나무 잎의 기형 390

〈그림 2.1.72〉 야간의 인공조명 조도 >1000lx 처리구의 백합나무와 소나무의 잎의 노화 391

〈그림 2.1.73〉 빛공해에 따른 식물생리 분야 조도별 영향 메커니즘 393

〈그림 2.1.74〉 빛공해에 따른 식물생태 분야 조도별 영향 메커니즘 394

〈그림 2.1.75〉 빛공해에 따른 동물생태 분야 조도별 영향 메커니즘 395

〈그림 2.2.1〉 비오톱 지도와 빛공해 영상지도 분석을 통한 조명관리구역 설정기준 연구 종합 399

〈그림 2.2.2〉 야간의 인공조명에 의해 유도된 식물 피해에 대한 기작들 간의 잠재적인 관계 400

〈그림 4.2.1〉 도시생태현황지도와 빛공해 자료를 활용한 조명환경관리구역 지정 연구 방향 419

〈그림 4.2.2〉 도시생태현황지도 토지이용현황도(서울시 사례) 419

〈그림 4.2.3〉 도시생태현황지도 현존식생도(서울시 사례) 420

〈그림 4.2.4〉 도시생태현황지도 비오톱유형도(서울시 사례) 420

〈그림 4.2.5〉 빛공해에 따른 식물생태 분야 조도별 영향 메커니즘 423

〈그림 4.2.6〉 빛공해에 따른 동물생태 분야 조도별 영향 메커니즘 423

3. 빛 공해 인체 및 생태 위해성 인자평가(The Factor of Health and Ecology Risk Assessment of Light Pollution) 501

〈그림 1.1.1〉 년도별 서울시 빛공해 민원 수 506

〈그림 1.1.2〉 우리나라 빛공해 실태 507

〈그림 1.1.3〉 공간조명으로 인한 눈부심 507

〈그림 1.1.4〉 침입광 실태 및 개요 508

〈그림 1.1.5〉 우리나라 광고조명 및 장식조명 실태 508

〈그림 1.1.6〉 과도한 빛 사례 509

〈그림 1.2.1〉 국가 등의 책무 512

〈그림 1.2.2〉 경기도 인공 빛공해 관리계획 공간적 범위 516

〈그림 1.3.1〉 실내조명 Test-bed 추진사례 526

〈그림 2.1.1〉 국제 컨퍼런스 참석 544

〈그림 2.1.2〉 국내 논문 발표 544

〈그림 2.1.3〉 국내 학술대회 발표 545

〈그림 2.1.4〉 고려대 정신과, 예방의학과 실험실 시료 및 조도계 지원 553

〈그림 2.1.5〉 가로등이 설치된 주택가의 전경 560

〈그림 2.1.6〉 공원등의 바닥면 조도 측정지점 561

〈그림 2.1.7〉 대상지의 연직면 조도 측정 값 562

〈그림 2.1.8〉 전광류 조명으로 위한 고휘도 563

〈그림 2.1.9〉 전광류 광고물의 빛공해 평가 563

〈그림 2.1.10〉 광고조명으로 인한 빛공해 평가 563

〈그림 2.1.11〉 인공조명에 의한 빛공해 심포지엄 564

〈그림 2.1.12〉 KBS 굿모닝대한민국 방송보도자료 564

〈그림 2.1.13〉 환경일보 신문보도자료 565

〈그림 2.1.14〉 국제 컨퍼런스 참석 565

〈그림 2.1.15〉 국내 학술대회 발표 566

〈그림 2.1.16〉 IDA 주유소 캐노피 조명 제안, 환경적 중책, 호소하는... 568

〈그림 2.1.17〉 IDA 다크스카이 친환경 장치 소개, 고 휘도의 백색 LED의 효과 569

〈그림 2.1.18〉 보안등이 설치된 주택가 전경 576

〈그림 2.1.19〉 가로등기구의 사진 576

〈그림 2.1.20〉 보안등 및 공원등기구의 사진 577

〈그림 2.1.21〉 가로등기구의 배광형태 577

〈그림 2.1.22〉 보안등 및 공원등기구의 배광형태 577

〈그림 2.1.23〉 설치 가이드 라인 어플 디자인 581

〈그림 2.1.24〉 국내·외 학술지 게재 결과 582

〈그림 2.1.25〉 국내 학술발표대회 발표 결과 582

〈그림 2.1.26〉 국제 학술발표대회 발표 결과 583

〈그림 2.1.27〉 지적재산권 디자인등록 결과 583

〈그림 2.1.28〉 빛공해 홍보 기사 결과 584

〈그림 4.1.1〉 설치 가이드 라인 어플 디자인 597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60989 628.161 -16-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60990 628.161 -16-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