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도서 앰블럼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이민정책론 = Immigration policy / 지은이: 한국이민재단 ; 집필: 이혜경, 이진영, 설동훈, 정기선, 이규용, 윤인진, 김현미, 한건수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박영사, 2016
청구기호
325.2 -16-3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viii, 508 p. : 삽화, 표 ; 26 cm
총서사항
한국이민재단총서 ; 1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30302683
제어번호
MONO1201623791
주기사항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목차보기더보기


제1부
이민과 이민정책_1

1장
이민과 이민정책의 개념3
1절―이민이란 무엇인가? 3
2절―전 지구적 이민의 최근 경향 10
3절―이민정책이란 무엇인가? 16
4절―이민정책의 경향 27
5절―맺는 글37

2장
이민의 역사41
1절―선사시대: 인류의 먼 조상부터 호모 사피엔스의 이주까지 42
2절―역사시대: 고대 왕국부터 중세까지45
3절―신대륙의 발견부터 세계대전까지53
4절―전후 세계화와 이민 62
5절―요약 및 전망 71

3장
이민정책 이론77
1절―전 세계의 이민현황78
2절―이민과 사회적 행위자 및 제도81
3절―송출국과 유입국의 이민정책89
4절―세계 각국의 이민정책97
5절―국가의 이민정책 결정 과정105
6절―요약 및 전망109

제2부
이민 관리의 실제_113

4장
이민행정 제도 및 조직115
1절―이민행정의 개요115
2절―이민정책과 이민행정 체계120
3절―이민행정 체계 사례 연구127
4절―한국의 이민행정과 추진체계145
5절―요약 및 전망 147


5장
이민자의 시민권151
1절―시민권 개념151
2절―이민자의 시민권155
3절―이민자의 시민권 관련 법제: 이민법과 국적법169
4절―외국인의 영주권과 국적 취득 요건175
5절―영주권자와 귀화자의 사회적 권리183
6절―이민자 시민권의 미래 188

6장
이민과 사회통합193
1절―사회통합의 개념과 이민자 편입194
2절―이민자 편입 유형으로서의 동화정책196
3절―이민자 편입 유형으로서의 다문화주의 유형200
4절―해외 각국의 이민자 편입 지원정책: 이민자 ‘통합’의 필요성 증가와 대책206
5절―한국의 이민자 편입 정책: 과제와 실천215
6절―요약 및 전망221

7장
이민과 안보 및 안전225
1절―이민에서의 안전 및 안보 논의의 대두226
2절―국가 내에서의 이민과 안보 논의232
3절―이민과 안보 논의의 국제적 확산240
4절―이민자 범죄와 한국의 이민과 안보 논의244
5절―맺는 글252

제3부
분야별 이민정책_255

8장
인구와 이민
1절―저출산·고령화 현황과 전망: 이민활용의 필요성 증가258
2절―인구문제 대응방안으로서 이민의 활용266
3절―주요 선진국의 인구규모 및 구성에 미치는 이민의 영향275
4절―한국의 저출산·고령화와 이민의 활용: 현황과 전망280
5절―맺는 글 286

9장
노동이민과 경제291
1절―노동이민의 개념과 유형291
2절―노동이민의 공급과 수요294
3절―노동이민의 추세와 특징298
4절―노동이민의 경제적 영향305
5절―요약 및 함의318

10장
외국인력정책323
1절―외국인력정책의 역사적 전개 323
2절―외국인력정책의 유형과 활용원칙 327
3절―외국인력정책의 주요 쟁점331
4절―한국의 외국인력정책340
5절―전망과 과제355

11장
결혼이민과 이민자 2세359
1절―국제결혼과 결혼이민의 개념359
2절―결혼이민의 원인과 체제364
3절―각국의 결혼이민 현황370
4절―한국의 결혼이민과 사회통합정책 377
5절―한국 결혼이민 정책의 쟁점385
6절―요약과 전망391

12장
재외동포와 재외동포정책
1절―재외동포의 중요성396
2절―재외동포의 이주와 정착398
3절―해외의 재외동포 405
4절―국내의 재외동포418
5절―재외동포정책428
6절―요약과 전망 432

13장
난 민437
1절―난민의 정의와 난민보호438
2절―각국의 난민 정책444
3절―난민 정책의 쟁점451
4절―한국의 난민 정책 457
5절―요약 및 함의463

14장
국제이민협력469
1절―전 지구적 사람의 이동과 국제이민협력의 대두470
2절―국제이민협력의 제도와 실제 474
3절―지역 내 국제이민협력의 사례: 유럽과 아시아482
4절―한국의 국제이민협력493
5절―국제이민협력의 방향과 도전 49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62876 325.2 -16-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62877 325.2 -16-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미국의 저명한 정치학자인 홀리필드는 국가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 18세기 이전까지는 안전유지였고, 18~19세기에는 무역과 투자 등 경제개발이었으나, 20~21세기에는 이민관리라고 주장한다. 국가의 성격으로 보자면, 국방국가에서 무역국가를 거쳐 지금의 이민국가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실로 이민은 20~21세기를 대표하는 가장 중요한 전 지구적인 현상이며, 이에 국가의 이민관리에 대한 중요성도 증가하였다. 그간 이민정책은 영주이민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졌으나, 최근 이민의 추세가 영주이민과 일시이민의 구분이 무너지면서 모든 국가에서 이민이 일상적이고 지속적인 현상이 되면서, 많은 국가들은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이민정책을 모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한국과 일본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한 대부분의 OECD 국가들에서는 전체 인구의 10% 이상이 이민자로 구성되어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도 급격한 저출산·고령화 현상으로 향후 인구감소가 예상되어, 생산인구는 물론 적정인구 유지를 위한 지속적인 이민자 유입에 대한 논의가 가열될 전망이다.
    이러한 시대적인 요구에 부응하여, 2014년 여름부터 한국이민학회와 한국이민법학회 소속 학자들이 모여서 [이민학]에 대한 시리즈 집필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두 학회는 이민정책과 이민법에 대한 길잡이를 제공하기로 했고, 한국이민재단의 지원을 받아 이민학 시리즈 작업에 착수하였다. 한국이민학회에서는 전반적인 이민현상을 이해하고 이에 정책적으로 대응하는데 기초가 되는 주요 개념과 이론적 논의들을 소개하는 [이민정책론]을 집필하기로 하였다. 수(십)차례에 걸친 집필진 회의와 토론을 거쳐 2016년 3월에 [이민정책론]을 발간하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이 책은 [이민학] 시리즈의 가장 첫 번째 책으로, 이민에 대해 관심이 있는 학생, 연구자, 공무원, 그리고 일반 시민들에게 이민과 이민정책에 대한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내용을 전달하고자 한다. 이민현상과 이민정책은 경제학, 정치학, 행정학, 사회학, 인구학, 문화인류학 등 여러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관심이 있는 다학제적인 주제이다. 그러므로 이 책은 다양한 전공의 집필진들이 모여서 이민정책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분석이 포함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었는데, 제1부에서는 이민과 이민정책에 대한 기초를 다진다. 이어지는 제2부에서는 이민 관리의 실제를 다루고, 제3부에서는 분야별 이민정책을 다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1장에서는 이민과 이민정책의 기초적인 개념들을 소개하고, 전 지구적 이민과 이민정책의 동향을 정리한다. 특히 최근 이민정책의 변화를 이민 유입국의 유형에 따라 그리고 쟁점별로 나누어 살펴본다. 2장은 이민의 역사를 다루는데, 특히 시·공간적인 지평을 확장하여 시간적으로는 멀리 선사시대부터 최근까지, 공간적으로는 그간 서구 중심적인 관점에서 탈피하여 아시아는 물론 중동과 아프리카를 아우르는 전 지구적인 이민의 역사를 다루고자 노력하였다. 3장은 이민정책에 관한 이론을 소개하는 장으로 전 세계 이민현황과 이민에 관여하는 행위주체를 국가, 사회, 시장의 측면에서 살펴본 후, 송출국과 유입국의 이민정책의 특성, 그리고 세계 각국의 구체적인 이민정책의 특성을 살펴본다. 나아가 국가의 이민정책 결정 과정에 관한 이론을 소개한다.
    이민 관리의 실제를 다루는 제2부의 4장에서는 이민행정 제도 및 조직을 다룬다. 현재 국제사회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이민행정 제도의 기본 개념과 내용을 살펴보고, 여러 나라의 이민행정 제도와 조직을 살핀 후 한국의 이민행정 제도를 소개한다. 5장은 이민자의 시민권을 다루는데, 비국민 또는 국적취득자의 시민권과 관련된 쟁점들을 살펴본다. 특히 독일과 일본 및 한국의 시민권 제도를 상호 비교하여 이민자의 시민권을 둘러싼 쟁점을 부각시킨다. 6장은 이민과 사회통합을 다루는데, 사회통합의 개념과 이민자 편입을 소개하고, 이민자 편입에 대한 국가별 원칙과 이에 근거한 정책들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한국사회에 적용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논의한다. 7장은 이민과 안보 및 안전에 대한 장으로 2015년에 발생한 유럽난민 사태와 파리 테러를 중심으로 이민과 관련하여 안전과 안보 논의가 어떻게 태동했고 전개되었는지 그 양상을 살펴본다. 나아가 이민문제가 왜 정치화되며, 이에 따라 이민과 안보가 국제적인 이슈가 되는지 등을 살펴본 후 한국에서의 이민과 안보 문제를 논의한다.
    제3부는 분야별 이민정책을 다루는데, 8장은 인구와 이민에 대한 장으로,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이민의 적극적 활용에 초점을 맞추어 인구변화에 대한 대응으로서 이민 수용의 필요성과 이를 둘러싼 논쟁들을 살펴본다. 특히 주요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대응적 이민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에서의 향후 정책적 과제를 탐색한다. 9장은 노동이민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장으로, 먼저 노동이민 관련 개념과 유형, 노동이민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발생하는 이유와 전 세계적인 흐름을 살펴보고, 한국 노동이민의 특징을 파악한다. 이후 노동이민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통해 노동이민이 갖는 경제적 의의를 진단한다. 10장은 외국인력정책을 다룬다. 우선 외국인력정책의 역사적 전개, 그 유형과 활용원칙, 주요 쟁점 등을 살펴보고, 한국 외국인력정책의 향후 전망과 과제를 다룬다. 11장은 최근 한국사회에 급증한 결혼이민을 다룬다. 결혼이민의 개념 및 원인과 체제, 특히 역사적인 과정과 각국의 결혼이민 현황을 분석한다. 이후 한국의 결혼이민과 사회통합정책을 그 쟁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고, 향후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정책의 비전과 방향을 모색한다. 12장은 재외동포와 재외동포정책을 다루는데, 우선 이민정책과 관련하여 재외동포를 다뤄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재외동포의 이주와 정착과정을 시기별로 살펴보고, 그 특징을 고찰한다. 그리고 재외동포가 거주하는 주요 국가별로 재외동포 사회의 현안 문제와 과제를 살펴보고, 최근 급증한 국내 재외동포에 대한 현황과 내국인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나아가 국내 재외동포정책의 내용과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향후 전망을 제시한다. 13장은 난민을 다루는데, 우선 난민의 정의와 난민보호 문제를 다루고, 각 국의 난민정책을 소개하며, 복합난민의 증가와 인간안보, 난민의 젠더 및 아동인권 등 난민정책의 쟁점을 논의한다. 이후 한국의 난민정책의 역사와 변화 그리고 현황을 살펴보고, 난민정책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한다. 14장은 국제이민협력에 관한 장으로, 이민 쟁점을 둘러싼 국제적인 공동노력을 다루었다. 우선 이민을 둘러싼 쟁점과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국제 이민협력의 변화를 개괄하고, 이민협력의 거버넌스를 글로벌 다자협력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를 통해 ‘개발과 이민’이 어떻게 글로벌 차원에서 논의되었는지를 살펴본다. 나아가 유럽연합(EU)과 아시아 지역의 이민협력 사례를 비교하면서, 한국의 이민과 국제협력 및 국제이민협력의 미래를 전망한다.
    이 책은 이민 정책과 관련된 각각의 주제를 소개하는데 그치지 않고 주제 간의 연관성을 강화하여 이민정책에 대한 포괄적이며 총체적인 개념과 논지를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각 장의 내용을 주요 개념, 전 세계적인 경향, 한국의 현황, 그리고 향후 전망의 순서대로 가급적 통일된 형식으로 집필하도록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 집필자들 간의 소통과 교감을 통해 이민과 이민정책을 둘러싼 가장 기본적이면서 핵심적인 내용과 쟁점들이 최대한 정리되고 내실 있게 소개되도록 노력하였다. 그러나 시간과 역량의 부족으로 충분히 다루어지지 못한 내용도 있을 것이다. 이는 향후 이어지는 [이민학] 시리즈를 통해 지속적으로 보완되기를 희망한다. 나아가 [이민학] 시리즈의 지속적인 발간을 통해 향후 이민과 이민정책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촉발되고, 한국 이민정책의 전문화와 체계화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이 책이 출판이 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신 한국이민재단과 박영사에 고마움을 전한다. 그리고 이 책의 교정 작업에 힘을 보태어준 대학원생 박미화씨(인하대학교)와 이상지씨(서강대학교)에게도 고마움을 표한다.

    2016년 3월

    집필진을 대표하여 이 혜 경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