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연구개요 14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5
Ⅱ. 연구 방법 16
Ⅲ. 연구 기대 효과 17
제2장 「전남도립미술관」 건립 필요성 및 기준 18
Ⅰ. 「전남도립미술관」 건립 필요성 19
Ⅱ. 「전남도립미술관」의 건립 기준 20
Ⅲ. 「전남도립미술관」 건립 부지 선정 20
1. 선정 기준 21
2. 선정 과정 21
Ⅳ. 부지 선정 평가 세부 항목 22
제3장 「전남도립미술관」 건립 환경 분석 33
Ⅰ. 「전남도립미술관」 건립 관련 법ㆍ제도 현황 34
1. 미술관 설치 관련 법ㆍ제도 현황 34
2. 지방자치단체 관련 조례 39
3. 전라남도 발전 계획 41
Ⅱ. 전라남도 미술관 현황 43
Ⅲ. 도립 「옥과미술관」 현황 44
1. 시설 및 운영 현황 44
2. 한계점 45
3. 활용방안 46
제4장 「전남도립미술관」 건립 지역(구 광양역사) 47
Ⅰ. 광양시의 인구구조 및 재정 현황 48
Ⅱ. 광양시의 문화예술 기반 및 자원 현황 50
1. 관련 조례 및 법령 50
2. 문화관광 자원 50
3. 문화시설 및 문화재 현황 51
4. 미술관련 활동 52
Ⅲ. 「전남도립미술관」 건립 부지 여건 53
1. 부지의 개발 여건 53
2. 부지 인근의 교통 여건 61
3. 부지 인근의 문화예술 여건 65
제5장 「전남도립미술관」 건립 방향 및 비전 67
Ⅰ. 국내 도립 미술관 건립 및 운영 현황 68
1. 건립 현황 68
2. 운영 예산 현황 70
3. 국내 도립미술관 운영 사례 71
Ⅱ. 국외 미술관 건립 배경 및 추진경과 74
Ⅲ. 「전남도립미술관」 건립의 기본 방향 77
1. 「전남도립미술관」의 비전 78
2. 「전남도립미술관」의 건립의 기본 전략 79
3. 「전남도립미술관」 운영의 기본 컨셉 80
Ⅳ. 「전남도립미술관」의 건축 및 공간구성 계획 88
1. 건축 설계의 기본 방향 88
2. 건물 구조 및 공간 구성계획 96
제6장 「전남도립미술관」 운영 방안 101
Ⅰ. 조직 구성 방안 102
Ⅱ. 인력 운영 방안 105
1. 경영 및 행정 인력 105
2. 전문인력 107
Ⅲ. 소장품 관리 방안 115
1. 미술관 소장품 관리 체계 115
2. 미술관 소장품 관리 방안 120
Ⅳ. 프로그램 운영방안 123
1. 전시프로그램 124
2. 교육프로그램 128
3. 연계 프로그램 132
Ⅴ/Ⅳ. 공간 및 시설 운영 방안 135
1. 전시 공간 136
2. 수장 및 아카이브 공간 137
3. 교육 및 편의 공간 140
Ⅵ/Ⅴ. 운영의 단계별 추진방안 142
1. 준비기: 미술관 부지 선정 및 설계공모 142
2. 건립기: 미술관 시공 및 개관 144
3. 안정기: 미술관 인지도 형성과 운영 시스템 정립 145
4. 자립기: 수익모델 다각화 및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 148
5. 확장기: 대내외적 협력 네트워크 구축 150
Ⅶ/Ⅵ. 비용 산출 및 추진 방안 152
1. 미술관 건립 예산 152
2. 연간 운영 예산 155
제7장/제5장 「전남도립미술관」 경제성 및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157
Ⅰ. 경제성 분석 158
1. 분석을 위한 전제 사항 158
2. 비용 추정 159
3. 편익 추정 162
4. 경제성 분석 166
Ⅱ/Ⅲ.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174
1. 분석 방법 174
2. 건설 및 방문객 지출액 추정 175
3.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결과 177
참고문헌 178
판권기 184
[그림 1] 지역에 보존되어 있는 근대 건축을 활용한 인천 아트플랫폼 건물 24
[그림 2] 무등산의 자연을 활용한 의재미술관의 외관과 내관 24
[그림 3] 보호전망(protectedvistas)의 구성도 25
[그림 4] Viewshaft 예시 25
[그림 5]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과 서울관의 접근성 비교 25
[그림 6] 제주현대미술관의 입지와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투어버스 운영 26
[그림 7] 환기미술관의 외관과 평면도 28
[그림 8] 국립중앙박물관의 현재와 건립공사 당시 논란이 되었던 인근의 한강과 헬기장 28
[그림 9] 금천예술공장의 위치와 외관 29
[그림 10] 문래예술공장의 위치와 철제종합상가(문래창작촌) 30
[그림 11] 가나자와 21세기 미술관의 외관 30
[그림 12] 전남도립도서관의 외관과 주민 자원봉사자 32
[그림 13] 이중섭미술관과 이중섭거리 전경 32
[그림 14] 전라남도 권역별 특성 42
[그림 15] 전남 전역의 종합적 동반 발전전략 추진 42
[그림 16] 전라남도 미술관 분포 지역 및 건립 예정 지역 43
[그림 17] 옥과미술관(우측)과 사무동(좌측) 44
[그림 18] 선풍기가 그대로 드러나 있는 전시장 46
[그림 19] 손상된 채 그대로 전시중인 작품 46
[그림 20] 광양시 문화관광 자원 51
[그림 21] 위치도 (25,000분의 1, 버스터미널 기차역 등과 교통접근로 표시) 54
[그림 22] 위성사진 54
[그림 23] 현장사진 55
[그림 24] 도시계획도 56
[그림 25] 근린공원 조성계획('15~'18) 59
[그림 26] 계획부지에서 광양시외버스터미널까지 거리 62
[그림 27] 계획부지에서 해당 광양 기차역까지 거리 62
[그림 28] 계획부지에서 고속도로 요금소까지 거리 63
[그림 29] 광양시 광역도로망 현황 65
[그림 30] 건립 부지 인근의 유당공원과 이팝나무 65
[그림 31] 광양읍 동ㆍ서천 생태 하천 66
[그림 32] 경남도립미술관 내부 71
[그림 33] 경남도립미술관 외관 71
[그림 34] 전북도립미술관 야외공간 72
[그림 35] 전북도립미술관 외관 72
[그림 36] 경기도립미술관 외부환경 73
[그림 37] 경기도립미술관 외부 설치물 73
[그림 38] 제주도립미술관 외부 설치물 73
[그림 39] 제주도립미술관 외관 73
[그림 40] 미국 네브래스카 주립미술관 외관 75
[그림 41] 미국 네브래스카 주립미술관 외부설치물 75
[그림 42] 일본 가나자와 21세기 미술관 외관 75
[그림 43] 일본 가나자와 21세기 미술관 내부 75
[그림 44] 라 피신느 미술관 외관 76
[그림 45] 라 피신느 미술관 내부 76
[그림 46] 발틱 현대미술센터 외관 77
[그림 47] 발틱 현대미술센터 내부 77
[그림 48] 전남도립미술관 건립의 기본 방향 79
[그림 49] 도쿄 롯본기 랜드마크 국립신미술관 외관 80
[그림 50] 국립신미술관 내부 80
[그림 51] 국제 레지던시 협력기관 ResArtis 80
[그림 52] 필라델피아 벽화 예술 프로그램(PhiladelphiaMuralArtsProgram ) 81
[그림 53] 서울에 위치한 현대카드 디자인 라이브러리 82
[그림 54] 뉴욕 MoMAPS1 83
[그림 55] 전남 동부권(여수, 순천, 광양) 문화관광 트라이앵글 84
[그림 56] 지역 프리즘 효과 84
[그림 57] 폐선 구간 연계 전략 87
[그림 58] 폐선부지 활용 마스터플랜 87
[그림 59] '숲속의 미술관' 컨셉에 따른 도립미술관 건축 설계(가안) 88
[그림 60] 도립미술관 인근 공간 설정(안) 88
[그림 61] '숲속의 미술관' 건축 컨셉에 따른 인근 인프라 구축 계획도(가안) 89
[그림 62] 덴마크의 Danish National Maritime Museum(건축가: BIG:Bjarke Ingles Group) 90
[그림 63] 스위스 바젤의 Fondation Beyeler(건축가: Renzo Piano) 91
[그림 64] 독일 뮌헨의 Goetz Collection(건축가: Herzog & de Meuro) 91
[그림 65] 부지 내 도립미술관 배치 계획(예상) 91
[그림 66] 대한민국역사박물관 92
[그림 67]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92
[그림 68] 파나마시티의 Biomuseo(건축가: Frank Gehry) 96
[그림 69] 난징의 Sifang Art Museum(건축가: Steven Hall, Li Hu) 96
[그림 70] 전시실 설계 및 시공 방향 98
[그림 71]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건축가: 최페레이라) 100
[그림 72] 미술관 조직 기본 구성 103
[그림 73] 미술관 내ㆍ외부 인력 간의 호혜적 관계 104
[그림 74] 전남도립미술관의 소장품 수집 방향 116
[그림 75] 전남도립미술관의 프로그램 운영 방향 123
[그림 76] 전시의 기능 및 역할 124
[그림 77] 교육프로그램의 기능 및 역할 128
[그림 78]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유형별 기능 129
[그림 79] 경기창작센터 국제교류프로그램 참여작가 활동 모습 132
[그림 80] 광원의 각도에 따른 그림의 크기 136
[그림 81] 미술관 정보화 4요소 146
[그림 82] 미술관 복합문화공간화 진행과정 148
[그림 83] 전남도립미술관 소장품 중심 이미지 뱅크 지원 플랫폼 비즈니스모델(안) 149
[그림 84] 인건비 포함한 전남도립미술관 운영비 세부비용 구성비율(안) 15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