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6

Ⅰ. 서론 13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3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15

3. 연구 방법 16

4. 용어의 정의 17

5. 연구의 제한점 18

Ⅱ. 이론적 배경 19

1. 컴퓨팅 사고력 19

가. 컴퓨팅 사고력의 정의 19

나. 컴퓨팅 사고력의 구성 요소 23

2. 국내외 SW교육 교육과정 25

가. 해외 SW교육 정책 동향 25

나. 우리나라의 SW교육 교육과정 분석 26

다. SW교육 교재 개발 방향 37

3. 교수학습 모델 선행연구 분석 46

가. 문제 중심 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 47

나. 문제 해결 모델 48

다. 디자인 기반 학습(Design Based Learning, DBL) 50

라.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 57

Ⅲ.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모델 개발 65

1. 교수학습 모델의 개발 준거 65

가. 교수학습 모델의 설계 범위 65

나. 수업 모델 설계를 위한 이론적 근거 66

다. 수업 모델 설계의 기본 방향 68

2. 5가지 CT 신장 교수학습 모델 개발 69

가. 교수학습 모델 개발 개요 69

나. 시연중심모델(DMM 모델) 71

다. 재구성중심모델(UMC 모델) 74

라. 개발중심모델(DDD 모델) 77

마. 디자인중심모델(NDIS 모델) 82

바. CT 요소 중심모델(DPAA(P) 모델) 86

Ⅳ. 결론 및 제언 91

1. 요약 및 결론 91

2. 시사점 및 제언 93

참고문헌 94

Abstract 99

[부록 1] CT 신장 SW교육 교수학습모델을 적용한 수업 자료 101

[부록 2] SW교육 운영지침과 2015 개정 교육과정 비교 166

판권기 176

표목차

〈표 Ⅱ-1〉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다양한 논의 20

〈표 Ⅱ-2〉 컴퓨팅 사고력의 구성요소(교육부ㆍKERIS, 2015) 24

〈표 Ⅱ-3〉 CT 구성요소의 재정의 24

〈표 Ⅱ-4〉 해외 SW교육 동향(교육부ㆍKERIS, 2015; 성정숙, 김현철, 2015) 25

〈표 Ⅱ-5〉 소프트웨어교육 인재상(교육부ㆍKERIS, 2015) 26

〈표 Ⅱ-6〉 2015 개정 교육과정 주요 개편 사항(교육부 2015) 26

〈표 Ⅱ-7〉 소프트웨어교육 학교급별 교육 목표 28

〈표 Ⅱ-8〉 소프트웨어교육 초등학교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 29

〈표 Ⅱ-9〉 소프트웨어교육 중학교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 30

〈표 Ⅱ-10〉 소프트웨어교육 고등학교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 32

〈표 Ⅱ-11〉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소프트웨어교육 34

〈표 Ⅱ-12〉 초등학교 실과 기술시스템 영역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 35

〈표 Ⅱ-13〉 중ㆍ고등학교 정보과 영역별 내용 요소 36

〈표 Ⅱ-14〉 SW교육 교재의 모둠별 시수 39

〈표 Ⅱ-15〉 초등학교 모듈 구성안 39

〈표 Ⅱ-16〉 중학교 모듈 구성안 40

〈표 Ⅱ-17〉 지식ㆍ활동 모듈의 구성 요소 41

〈표 Ⅱ-18〉 The Big 6 Skills 49

〈표 Ⅱ-19〉 디자인 기반 학습의 단계(김수환, 한선관, 2012) 51

〈표 Ⅱ-20〉 UMC 모델 54

〈표 Ⅱ-21〉 DDC 모델 54

〈표 Ⅱ-22〉 DCC 모델 55

〈표 Ⅱ-23〉 창의 컴퓨팅 평가방법 55

〈표 Ⅱ-24〉 CT 역량 평가 루브릭 56

〈표 Ⅱ-25〉 기존 수업과 플립 러닝 적용 수업 구조 및 활동내용 비교(이지연, 김영환, 김영배, 2014) 59

〈표 Ⅱ-26〉 ADDIE 기반 플립 러닝 교수학습 설계 모델(이동엽, 2013을 재구성) 60

〈표 Ⅲ-1〉 전통적인 교수방법과 CT 신장 교수학습모델 비교 70

〈표 Ⅲ-2〉 DMM 모델 개요 72

〈표 Ⅲ-3〉 DMM 모델의 교수학습 절차 72

〈표 Ⅲ-4〉 발견학습법 수업 절차 74

〈표 Ⅲ-5〉 UMC 모델 개요 75

〈표 Ⅲ-6〉 UMC 모델의 교수학습 절차 76

〈표 Ⅲ-7〉 탐구학습법 수업 절차 78

〈표 Ⅲ-8〉 DDD 모델 개요 78

〈표 Ⅲ-9〉 DDD 모델의 교수학습 절차 80

〈표 Ⅲ-10〉 프로젝트학습법 수업 절차 82

〈표 Ⅲ-11〉 NDIS 모델 개요 83

〈표 Ⅲ-12〉 NDIS 모델의 교수학습 절차 84

〈표 Ⅲ-13〉 문제해결학습법 절차 87

〈표 Ⅲ-14〉 DPAA(P) 모델 개요 87

〈표 Ⅲ-15〉 DPAA(P) 모델의 교수학습 절차 89

〈표 Ⅲ-16〉 5가지 SW교육 교수학습 모델 90

그림목차

[그림 Ⅱ-1] 지식 모듈 예시 42

[그림 Ⅱ-2] 기능 모듈 예시 42

[그림 Ⅱ-3] 활동 모듈 예시 43

[그림 Ⅱ-4] 활동 모듈 개요 페이지 예시 44

[그림 Ⅱ-5] 문제해결 방법찾기 예시 45

[그림 Ⅱ-6] 알고리즘 만들기 예시 45

[그림 Ⅱ-7] 프로그래밍하기 예시(스크래치/엔트리를 같이 제공) 46

[그림 Ⅱ-8] 문제중심학습의 일반적 절차(조연순, 2006을 재구성) 48

[그림 Ⅱ-9] 디자인 사고의 개념 50

[그림 Ⅱ-10] 디자인 사고 교수학습 절차 52

[그림 Ⅱ-11] 창의 컴퓨팅 디자인 기반 학습 절차(Brennen 외, 2014) 53

[그림 Ⅱ-12] 플립 러닝의 개념도 58

[그림 Ⅱ-13]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수업모델(김상홍, 2015) 63

[그림 Ⅱ-14] SW교육을 위한 플립러닝의 수업 흐름 64

[그림 Ⅲ-1] CT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모델 개요도 71

[그림 Ⅲ-2] MIT의 Creative Computing 75

[그림 Ⅲ-3] 소프트웨어공학설계의 폭포수 모델(Naohisa, 2011) 79

[그림 Ⅲ-4] DBL 학습과정(http://dschool.stanford.edu/) 83

[그림 Ⅲ-5] KS3와 구글에서 제시한 CT의 구성요소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