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마이크로그리드 물 재이용 기술 개발 [전자자료] : 지능형 물 공급시설 건설기술 개발 / 연구책임자: 최준석 ; 연구수행자: 이창규, 박광덕 인기도
발행사항
고양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5
청구기호
ER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총서사항
KICT ; 2015-078
제어번호
MONO1201629273
주기사항
판권기표제: 마이크로그리드 물 재이용 기술 개발(Ⅴ)
2015년도 주요사업 단계보고서(기관고유임무형)
위탁연구기관: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24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4

1.1. 기후변화에 따른 물 부족 발생 24

1.2. 물 시장 성장 25

1.3. 정부정책 변화 26

1.4. 대체수자원 개발기술 관심 증대 26

1.5. 다중수원 확보 및 물 관리 효율화 필요 26

2. 연구동향 27

2.1. 국내현황 27

2.2. 국외 물 재이용 현황 48

2.3. 특허동향분석 66

2.4. 기술수준분석 72

제2장 주요 연구수행 방법 및 체계 74

1. 연차별 추진 목표 74

1.1. 정성적 목표 74

1.2. 정량적 목표 74

1.3. 대표적 성과물 75

2. 연차별 추진 계획 및 내용 75

제3장 연구 수행내용 및 결과 77

1. 다중수원 특성 분석 77

1.1. 다중수원별 물 재이용 현황 및 추이 77

1.2. 재이용수의 소독부산물 발생 특성(위탁연구:금오공대) 85

1.3. 소독부산물 최대생성능 평가 결과(위탁연구:금오공대) 90

1.4. 마이크로그리드 물 재이용 공정의 미량오염물질 제거 특성(위탁연구:금오공대) 93

1.5. 물재생시설 내 신규오염물질 거동(위탁연구:금오공대) 98

1.6. 실규모 물재생 공정별 신규오염물질 거동(위탁연구:금오공대) 104

1.7. 산화공정별 신종오염물질 제거(위탁 : 금오공대) 113

2. 다중수원별 최적 공정 선정 119

2.1. 다중수원별 적용 가능 공정 119

2.2. 용도별 적용 가능 공정 126

3. 다중수원 활용 하이브리드 공정 성능 평가 131

3.1. 세라믹 - 고도산화(AOP) 연계 공정 131

3.2. Membrane Distillation(MD) 148

4. 마이크로그리드 물 재이용 실증플랜트 구축 및 운영 181

4.1. 통일동산 파일럿플랜트 개요 181

4.2. 파일럿플랜트 제작 개요 182

4.3. 파일럿플랜트 운영 192

4.4. 파일럿플랜트 운영결과 202

5. KICT 테스트베드 구축 및 운영 221

5.1. 테스트베드 개요 221

5.2. 테스트베드 구축방향 221

5.3. 테스트베드 운영 223

5.4. 테스트베드 운영결과 226

6. 평가 인자 및 평가기법 도출 234

6.1. 평가인자 도출 234

6.2. 평가기법 도출 238

제4장 마이크로그리드 물 재이용 기술 실용화를 위한 최적관리기법 25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51

1.1. 연구 배경 251

1.2. 연구 목적 252

2. 하수 재이용 연구 동향 253

2.1. 하수처리 재이용수 시설 현황 255

2.2. 하수처리 재이용수 운영에 관한 국내 현황 261

2.3. 하수처리 재이용수 운영에 관한 해외 현황 267

3. 국내 물재이용시설의 생태독성관리 273

3.1. 물재이용시설 생태독성 관리제도 273

3.2. 향후 생태독성 관리 276

4. 하수처리수 재이용 시설 용량별 경제성 비교 279

4.1. 처리수 재이용 시설 경제성 비교 기준 279

4.2. 시설용량별 경제성 비교 281

5. 하수처리수 생태독성 실험 282

5.1. 물벼룩 실험 284

5.2. 식물 생태독성 실험 286

제5장 결론 290

제6장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293

참고문헌 295

서지자료 299

Bibliographic Data 300

판권기 301

〈표 1.1〉 하천 취수율에 따른 물 스트레스 구분 24

〈표 1.2〉 우리나라 수자원이용의 현황 및 변화 27

〈표 1.3〉 하수처리수 재이용사업 현황 30

〈표 1.4〉 우수 이용 사례 32

〈표 1.5〉 용도별 지하수 이용현황 33

〈표 1.6〉 2006년 하수처리수 재이용 시범사업 36

〈표 1.7〉 사업대상지역 및 사업비 39

〈표 1.8〉 인천 가좌 하수처리재이용시설 수질현황 44

〈표 1.9〉 제주시 판포 하수처리장 재이용시설 수질현황 46

〈표 1.10〉 국외의 하수처리수 재이용 현황 48

〈표 1.11〉 국가별 물 재이용 현황 49

〈표 1.12〉 국가별 물 재이용 용도 현황 50

〈표 1.13〉 국외 대표적 재이용 시설 현황 51

〈표 1.14〉 국외의 건축물별 빗물이용시설 사례 52

〈표 1.15〉 세계 물 재이용 기존 사업 현황 64

〈표 1.16〉 분석 대상 특허 66

〈표 2.1〉 연차별 추진계획 및 내용 75

〈표 3.1〉 우수이용시설 목표량 산정결과(목표년도 2020년까지) 78

〈표 3.2〉 목표연도별 우수이용시설 목표량 78

〈표 3.3〉 중수도로의 재이용 사례 79

〈표 3.4〉 중수도시설 목표량 산정결과(목표년도 2020년) 80

〈표 3.5〉 건축연면적 대비 물사용량 81

〈표 3.6〉 하수처리수 재이용 단계별 목표 82

〈표 3.7〉 목표연도별 물 재이용 목표 83

〈표 3.8〉 유량확보 수원별 내용 분석 84

〈표 3.9〉 대표적 소독부산물 87

〈표 3.10〉 THM 분석 조건 89

〈표 3.11〉 HAN 분석 조건 89

〈표 3.12〉 HAA 분석 조건 90

〈표 3.13〉 연구대상 신규오염물질 99

〈표 3.14〉 신규오염물질 별 특성 99

〈표 3.15〉 살균램프의 사양 102

〈표 3.16〉 물 재이용을 위한 실증 플랜트 내 신규오염물질 분석 결과(1차) 105

〈표 3.17〉 물 재이용을 위한 실증 플랜트 내 신규오염물질 분석 결과(2차) 106

〈표 3.18〉 물 재이용을 위한 실증 플랜트 내 신규오염물질 분석 결과(3차) 107

〈표 3.19〉 물 재이용을 위한 실증 플랜트 내 신규오염물질 분석 결과(4차) 108

〈표 3.20〉 물 재이용을 위한 실증 플랜트 내 신규오염물질 분석 결과(5차) 109

〈표 3.21〉 물 재이용을 위한 실증 플랜트 내 신규오염물질 분석 결과(6차) 110

〈표 3.22〉 국내 재처리공법 적용현황 119

〈표 3.23〉 용도별 재처리 공정 분류 120

〈표 3.24〉 용도별 지하수 이용현황 124

〈표 3.25〉 재이용수의 용도 구분 및 제한 조건 126

〈표 3.26〉 환경부 하수처리수 재이용 사업 128

〈표 3.27〉 국내 재이용사업 추진 사례 129

〈표 3.28〉 하수재이용수 처리 구분 130

〈표 3.29〉 세라믹막의 특징 132

〈표 3.30〉 하수 2차 처리수의 수질 133

〈표 3.31〉 막간차압에 따른 막여과 처리수 수질 136

〈표 3.32〉 수온에 따른 이론점도와 실험점도의 변화 138

〈표 3.33〉 수온에 따른 막여과 처리수 수질 139

〈표 3.34〉 평막의 재질적 특징 149

〈표 3.35〉 PVDF 온도별 실험 운전 사항 152

〈표 3.36〉 PVDF 온도별 평균 Flux 153

〈표 3.37〉 PTFE 온도별 실험 운전 사항 153

〈표 3.38〉 PTFE 온도별 평균 Flux 154

〈표 3.39〉 PVDF 와 PTFE 평막 실험 조건 156

〈표 3.40〉 막 재질별 Feed와 Permeate의 전기전도도 결과 157

〈표 3.41〉 유기물 주입에 따른 MD 실험 조건 158

〈표 3.42〉 평막의 재질적 특징 159

〈표 3.43〉 막재질에 따른 MD 실험 조건 159

〈표 3.44〉 모듈별 막 면적 159

〈표 3.45〉 RO농축수 합성수 조성 165

〈표 3.46〉 실제 RO농축수 처리 전·후 수질비교 167

〈표 3.47〉 실제 RO농축수와 합성수 처리 전·후 수질비교 167

〈표 3.48〉 용도별 하수처리수 재이용 수질권고기준 168

〈표 3.49〉 멤브레인 주요 특성 172

〈표 3.50〉 물재이용 파일럿 플랜트 상세 공정 183

〈표 3.51〉 MF membrane 모듈 사양 184

〈표 3.52〉 UF membrane 모듈 사양 186

〈표 3.53〉 파주 통일동산 파일럿 플랜트 현장 설치 사진 188

〈표 3.54〉 파일럿 플랜트 시운전 일지 193

〈표 3.55〉 파일럿 플랜트 NaOCl 주입농도 및 역세 간격에 따른 flux 변화표 207

〈표 3.56〉 파일럿 플랜트 bag filter 공극별 flux 감소 시간 208

〈표 3.57〉 파일럿 플랜트 CEB 최적화 실험 조건표 211

〈표 3.58〉 CEB test results 217

〈표 3.59〉 지하수 및 수돗물 분석결과 221

〈표 3.60〉 KICT 테스트베드 적용 세라믹 막 사양 224

〈표 3.61〉 중수도의 용도별 수질기준(법령 제8조제2항 관련) 233

〈표 3.62〉 Raw data 목표수준 평가인자 234

〈표 3.63〉 용도별 하수처리수 재이용 수질권고 기준 235

〈표 3.64〉 공정 평가 지표 236

〈표 3.65〉 WQI index 평가기준 237

〈표 3.66〉 회귀모형의 종류 240

〈표 3.67〉 공정능력 판단기준 245

〈표 3.68〉 RO 모듈 제어방식 문헌정리 249

〈표 4.1〉 국내 용도별 하수처리수 재이용 현황 257

〈표 4.2〉 국내 용도별 하수처리수 재이용 현황 257

〈표 4.3〉 시·도별 공공하수처리수 재이용 현황 258

〈표 4.4〉 국내 하수처리수 재처리공정 분류 사례 259

〈표 4.5〉 하수처리수 재이용 민간투자사업의 연차별 투자계획 261

〈표 4.6〉 삼성엔지니어링(주)의 폐수종류별 처리 및 재이용을 위한 시스템 개요 263

〈표 4.7〉 삼성엔지니어링(주) 폐수처리 및 재이용 시스템 사업화 실적 264

〈표 4.8〉 가좌하수처리장 하수재이용 현황 265

〈표 4.9〉 가좌하수처리장 하수재이용에 따른 경제적 효과 267

〈표 4.10〉 GWR 시스템 처리수 수질(2008년) 270

〈표 4.11〉 싱가포르의 물 관련 주요 수치 272

〈표 4.12〉 생태독성 배출허용기준 275

〈표 4.13〉 물재이용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독성물질과 발생원인 276

〈표 4.14〉 미국 물재이용시설의 독성원인 및 저감사례 276

〈표 4.15〉 하수처리수 공정별 수질 279

〈표 4.16〉 하수처리수 용도별 적용공정 281

〈표 4.17〉 처리공법의 시설용량별 경제성 비교 281

〈표 4.18〉 조사대상 물재이용시설 운영현황 282

〈표 4.19〉 물재이용시설 유입수 및 방류수의 수질 특성 282

〈표 4.20〉 물재이용시설 처리공정 별 일반수질항목 분석 결과 283

〈표 4.21〉 하수재이용수 물벼룩 생태독성 시험 결과 286

〈표 4.22〉 시험토양분석 결과 287

〈그림 1.1〉 세계 물 부족 현황 25

〈그림 1.2〉 물 시장 현황 25

〈그림 1.3〉 국내 용도별 하수처리수 재이용 현황 28

〈그림 1.4〉 국내 하수처리수 재이용율 추세 현황 28

〈그림 1.5〉 연도별 하수처리수 재이용 용도 변화 추이 29

〈그림 1.6〉 국내 대표적 하수처리 재이용 시설(왼쪽부터 인천 가좌 하수처리장, 굴포천... 30

〈그림 1.7〉 공동주택의 빗물... 31

〈그림 1.8〉 학교의 빗물 사용용도 31

〈그림 1.9〉 상업·업무용 건축물의... 32

〈그림 1.10〉 공공건축물의 빗물... 32

〈그림 1.11〉 경기도 S천의 하천유지용수 사례(하천수를 상류로 방류) 34

〈그림 1.12〉 안산 하수처리장 재이용시설 공정 42

〈그림 1.13〉 인천 가좌 하수처리재이용시설 처리공법(시계방향으로 취수시설, 여과시설,... 43

〈그림 1.14〉 제주시 판포하수처리장 재처리시설 공정도 45

〈그림 1.15〉 국내 하수재이용 시설 확대 계 47

〈그림 1.16〉 국외 지역별 및 용도별 물 재이용 현황 49

〈그림 1.17〉 미국, 일본 물 재이용 용도별 사용 현황 50

〈그림 1.18〉 Orange County(Water Factory 21) 하수 재처리 계통도 56

〈그림 1.19〉 NEWater 사업 하수 재처리 계통도 58

〈그림 1.20〉 NEWater 공업용수 이용현황 58

〈그림 1.21〉 세라믹 막과 오존을 활용한 개념도 59

〈그림 1.22〉 ISE의 Solar-MD 설비 60

〈그림 1.23〉 University of Nevada... 60

〈그림 1.24〉 광역단위 하수재이용과 Sewer Mining에 의한 하수재이용 비교 61

〈그림 1.25〉 Pennat Hills Golf... 62

〈그림 1.26〉 Sewer Mining System... 62

〈그림 1.27〉 세계 물 산업 전망 63

〈그림 1.28〉 국외 및 국내 물 산업시장 성장률 추이 63

〈그림 1.29〉 물재이용/재생 분야의 특허건수 추이 67

〈그림 1.30〉 물재이용/재생 분야의 전구간, 최근 5년간 점유율 67

〈그림 1.31〉 물재이용/재생 분야의 특허누적건수 추이 68

〈그림 1.32〉 물재이용/재생 분야의 각 국가별 출원인별 특허 동향 68

〈그림 1.33〉 물재이용/재생 분야의 전체 출원인별 특허 동향 69

〈그림 1.34〉 한국의 물재이용/재생 분야의 출원 기술 동향 70

〈그림 1.35〉 Ceramic Membrane과 Membrane Distillation의 특허동향 70

〈그림 1.36〉 포트폴리오로 본 기술 수준 현황 72

〈그림 1.37〉 포트폴리오로 본 기술 수준 현황 73

〈그림 3.1〉 하수처리수 재이용 목표량 82

〈그림 3.2〉 전형적 물 재이용을 위한 하수처리 공정 86

〈그림 3.3〉 물재이용 시설 공정별 THM 생성특성 91

〈그림 3.4〉 물재이용 시설 공정별 HAA 생성특성 92

〈그림 3.5〉 염소산화에 의한 Iopromide 제거 93

〈그림 3.6〉 염소산화에 의한 diclofenac 제거 94

〈그림 3.7〉 염소산화에 의한 lincomycin 제거 94

〈그림 3.8〉 염소산화에 의한 trimethoprim 제거 95

〈그림 3.9〉 염소산화에 의한 의약물질 제거 비교(Cl₂ dose = 5 mg/L) 95

〈그림 3.10〉 오존산화에 의한 Iopromide 제거 96

〈그림 3.11〉 오존산화에 의한 diclofenac 제거 96

〈그림 3.12〉 오존산화에 의한 lincomycin 제거 97

〈그림 3.13〉 오조산화에 의한 trimethoprim 제거 97

〈그림 3.14〉 오존산화에 의한 의약물질 제거 비교(O₃ dose = 5 mg/L) 98

〈그림 3.15〉 도심 지역의 실증 플랜트 공정도 100

〈그림 3.16〉 농촌 지역의 실증 플랜트 공정도 100

〈그림 3.17〉 오존 농축액 생성 실험 장치 101

〈그림 3.18〉 신규오염물질 분석 조건 103

〈그림 3.19〉 실규모 물재이용시설별 유입수 내 신규오염물질 농도 분포 111

〈그림 3.20〉 실규모 물재이용시설별 UV 처리수 내 신규오염물질 농도 분포 111

〈그림 3.21〉 실규모 물재이용시설별 신규오염물질 제거율 112

〈그림 3.22〉 염소산화에 의한 의약물질 제거 비교(Cl2 dose = 5 mg/L) 113

〈그림 3.23〉 염소농도(0-20 mg/L)에 따른 물질별 제거율 변화 115

〈그림 3.24〉 반응시간(0-60 min)에 따른 물질별 제거율 변화 116

〈그림 3.25〉 오존/과산화수소 산화에 의한 의약물질 제거 비교 117

〈그림 3.26〉 염소농도(0-20 mg/L)에 따른 물질별 제거율 변화 118

〈그림 3.27〉 대표적인 고준위 처리공정 121

〈그림 3.28〉 유량계를 이용한 초기빗물 배제방식 121

〈그림 3.29〉 홈통에서의 배제 방식 121

〈그림 3.30〉 부자를 이용한 초기우수 배제방식 122

〈그림 3.31〉 여재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122

〈그림 3.32〉 집수장소별·용도별 빗물처리방식의 관계 123

〈그림 3.33〉 실험장치 개념도 133

〈그림 3.34〉 막간차압에 따른 플럭스와 총 여과저항의 변화 135

〈그림 3.35〉 막간차압에 따른 Normalized flux의 변화 136

〈그림 3.36〉 막간차압에 따른 막여과 수질 137

〈그림 3.37〉 수온에 따른 막여과 수질 137

〈그림 3.38〉 수온에 따른 이론점도와 실험점도의 변화 138

〈그림 3.39〉 수온에 따른 Normalized flux의 변화 139

〈그림 3.40〉 수온에 따른 막여과 수질 140

〈그림 3.41〉 오존적용에 따른 Normalized flux의 변화 140

〈그림 3.42〉 오존적용에 따른 Reversibility 141

〈그림 3.43〉 오존적용에 따른 F-EEM 분석 결과 142

〈그림 3.44〉 9 mg/L 오존 적용 원수(왼), 막여과 처리수(오) 142

〈그림 3.45〉 12 mg/L 오존 적용 원수(왼), 막여과 처리수(오) 142

〈그림 3.46〉 실험장치 사진 143

〈그림 3.47〉 UV적용에 따른 Normalized flux의 변화 144

〈그림 3.48〉 UV적용에 따른 공극별, 유량별 플럭스 변화량 144

〈그림 3.49〉 TOC, COD, 색도, UV254 변화량 146

〈그림 3.50〉 DCMD 실험장치 구성 150

〈그림 3.51〉 AGMD 실험장치 구성 151

〈그림 3.52〉 PVDF 온도별 실험 Flux 결과 그래프 152

〈그림 3.53〉 PTFE 온도별 실험 Flux 결과 그래프 154

〈그림 3.54〉 Feed 온도별 실험 Flux 종합 결과 그래프 155

〈그림 3.55〉 순환유속에 따른 플럭스 차이 비교(그림없음) 156

〈그림 3.56〉 멤브레인 재질별 카올린 주입시 Flux 결과 그래프 157

〈그림 3.57〉 유기물 주입에 따른 Flux 결과 그래프 158

〈그림 3.58〉 분리막의 permeability 160

〈그림 3.59〉 DCMD 방식에서 막재질에 따른 Flux 결과 그래프 160

〈그림 3.60〉 AGMD 방식에서 막재질에 따른 Flux 결과 그래프 161

〈그림 3.61〉 모듈 형태 및 막증발 방식에 따른 flux 결과 그래프 162

〈그림 3.62〉 DCMD 방식에서 유속에 따른 Flux 결과 그래프 163

〈그림 3.63〉 유속에 따른 fouling 감소 경향 163

〈그림 3.64〉 유속에 따른 막 표면의 결정 SEM 분석 164

〈그림 3.65〉 RO농축수 합성수 Lab-test Flux 166

〈그림 3.66〉 실제 RO농축수 온도별 Flux 167

〈그림 3.68〉 실제 RO농축수와 합성수 Flux비교 168

〈그림 3.69〉 설비형 태양열 시스템의 구성도 170

〈그림 3.70〉 Lab-scale MD+태양열 구성도 171

〈그림 3.71〉 Lab-scale MD+태양열 장치 사진 171

〈그림 3.72〉 계절별 일사량 분포도 172

〈그림 3.73〉 태양자원시계열도-일조시간 173

〈그림 3.74〉 태양자원시계열도-일사량 173

〈그림 3.75〉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생산수 플럭스 변화 174

〈그림 3.76〉 유입수 및 생산수의 온도 변화 175

〈그림 3.77〉 유입수 및 생산수의 유속 변화 176

〈그림 3.78〉 수원 종류에 따른 영향 실험 결과 178

〈그림 3.79〉 기온에 따른 영향 실험 결과 179

〈그림 3.80〉 물재이용 파일럿 플랜트 공정구성 및 배치도 183

〈그림 3.81〉 8인치 MF 막모듈 외형도 185

〈그림 3.82〉 8인치 UF 막모듈 외형도 187

〈그림 3.83〉 파일럿 플랜트 컨트롤 HMI 화면 193

〈그림 3.84〉 UF membrane TMP 및 flux 194

〈그림 3.85〉 유입수 및 유출수 탁도 195

〈그림 3.86〉 유입수 및 유출수 전기전도도 195

〈그림 3.87〉 역세조건에 따른 TMP 196

〈그림 3.88〉 단기간 내의 TMP 변화 197

〈그림 3.89〉 Flow rate 변화 197

〈그림 3.90〉 파일럿 플랜트 막여과 운전 HMI 화면 198

〈그림 3.91〉 파일럿 플랜트 역세운전 HMI 화면 199

〈그림 3.92〉 파일럿 플랜트 CIP HMI 화면 200

〈그림 3.93〉 파일럿 플랜트 CEP HMI 화면 201

〈그림 3.94〉 가압식 UF/MF 유량, TMP, Flux 경향(2012.9.17.~2013.6.5.) 202

〈그림 3.95〉 가압식 UF/MF 유량, TMP, Flux 경향(2012.6.6.~2013.10.24.) 203

〈그림 3.96〉 가압식 UF/MF 계절변화에 따른 flux 경향(2012.9.17.~2013.6.5.) 203

〈그림 3.97〉 가압식 UF/MF 유입, 유출 탁도(2012.9.17.~2013.6.5.) 204

〈그림 3.98〉 가압식 UF/MF 유입, 유출 탁도(2012.11~2013.10) 205

〈그림 3.99〉 가압식 MF 연간 온도 및 pH 경향(2012.11~2013.10) 205

〈그림 3.100〉 가압식 MF 연간 온도, pH, 탁도 경향(2012.11~2013.10) 206

〈그림 3.101〉 가압식 MF NaOCl 주입농도 및 역세 간격 최적화 206

〈그림 3.102〉 파일럿 플랜트 NaOCl 주입농도 및 역세 간격에 따른 flux 변화표 207

〈그림 3.103〉 가압식 MF 전처리 bag filter 최적화 실험 207

〈그림 3.104〉 가압식 MF 전기전도도 경향 208

〈그림 3.105〉 가압식 MF CEB 최적화 실험(2013.6.3.~6.5) 209

〈그림 3.106〉 가압식 MF CEB 최적화 실험(2013.10.23.~10.24) 209

〈그림 3.108〉 가압식 MF CEB 최적화 실험(2013.6.7.~6.11) 211

〈그림 3.109〉 가압식 MF CEB 최적화 실험(2013.6.7. ~ 6.8.) 212

〈그림 3.110〉 가압식 MF CEB 최적화 실험(2013.6.7. : 3 cycles) 212

〈그림 3.111〉 가압식 MF CEB 최적화 실험(2013.7.24.~7.29.) 213

〈그림 3.112〉 가압식 MF CEB 최적화 실험(2013.7.24. ~ 7.25.) 213

〈그림 3.113〉 가압식 MF CEB 최적화 실험(2013.7.24. : 3 cycles) 214

〈그림 3.114〉 가압식 MF CEB 최적화 실험(2013.8.21.~8.26.) 214

〈그림 3.115〉 가압식 MF CEB 최적화 실험(2013.8.21. ~ 8.22.) 215

〈그림 3.116〉 가압식 MF CEB 최적화 실험(2013.8.21. : 3 cycles) 215

〈그림 3.117〉 가압식 MF CEB 최적화 실험(2013.10.14.~10.18.) 216

〈그림 3.118〉 가압식 MF CEB 최적화 실험(2013.10.14. ~ 10.15.) 216

〈그림 3.119〉 가압식 MF CEB 최적화 실험(2013.10.14. : 3 cycles) 217

〈그림 3.120〉 국산막 가압식 MF flux 및 TMP 테스트 218

〈그림 3.121〉 외산막 가압식 UF flux 및 TMP 테스트 219

〈그림 3.122〉 가압식 MF 성능 평가 220

〈그림 3.123〉 MF 테스트베드 모식도 222

〈그림 3.124〉 MF 테스트베드 P&ID 223

〈그림 3.125〉 KICT 테스트베드 적용 세라믹 막 224

〈그림 3.126〉 KICT 테스트베드 현장 설치 사진 225

〈그림 3.127〉 세라믹 MF 생산수 탱크 수위 226

〈그림 3.128〉 세라믹 MF 생산유량(Flux) 227

〈그림 3.129〉 세라믹 MF 생산유량(10~12월) 228

〈그림 3.130〉 세라믹 MF 주당 유량 생산 구분 229

〈그림 3.131〉 세라믹 MF flux 및 TMP(10~12월) 230

〈그림 3.132〉 세라믹 MF 처리수 탁도(10~12월) 231

〈그림 3.133〉 세라믹 MF 처리수 TOC & COD 232

〈그림 3.134〉 WQI 지표 활용 예시 238

〈그림 3.135〉 공정 관리한계선 예시 239

〈그림 3.136〉 이동평균법 및 회귀분석 예 240

〈그림 3.137〉 A histogram of TMP 241

〈그림 3.138〉 The fitting result of TMP 241

〈그림 3.139〉 가우시안 6차 회귀식 242

〈그림 3.140〉 도함수 분석 결과(TMP) 242

〈그림 3.141〉 The fitting result of permeate flux 243

〈그림 3.142〉 The derivatives of permeate flux 243

〈그림 3.143〉 공정지수 및 판단 예 244

〈그림 3.144〉 인자에 따른 효율(y) 반응표면 분석 예 246

〈그림 3.145〉 Model Predictive Control 개념도 249

〈그림 3.146〉 PI 제어에 따른 Set point 응답특성 예 250

〈그림 3.147〉 MPC 제어에 따른 Set point 응답특성 예 250

〈그림 4.1〉 국내 하수처리수 재이용률 증가추세 256

〈그림 4.2〉 탕정 Display City 산업폐수처리장 전경 262

〈그림 4.3〉 기술개발 전·후의 재이용률 변화 263

〈그림 4.4〉 가좌하수처리장 배수처리 구역도 265

〈그림 4.5〉 가좌하수처리장 처리수 공급 및 재처리 과정 266

〈그림 4.6〉 가좌하수처리장... 267

〈그림 4.7〉 가좌하수처리장... 267

〈그림 4.8〉 지하수 보충 시스템(GWR) 모식도 268

〈그림 4.9〉 오렌지카운티 수처리 단지 269

〈그림 4.10〉 지하수 보충 시스템(GWR) 공정도 269

〈그림 4.11〉 싱가포르 NEWater 플랜트 및 병입 NEWater 271

〈그림 4.12〉 싱가포르 NEWater 시스템 공정도 271

〈그림 4.13〉 DOC, UV 254 분석 장치 284

〈그림 4.14〉 물벼룩 생태독성 실험 사진 285

〈그림 4.15〉 식물 수분 공급 모습 288

〈그림 4.16〉 식물 건중량 측정기 288

〈그림 4.17〉 식물 생태독성 결과 사진 289

〈그림 4.18〉 식물의 생중량 및 건중량 결과 289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EM0000063813 ER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