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한국교육분류(영역) 개정 [전자자료] : 최종결과보고서 / 통계청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통계청, 2015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 통계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한국교육분류(영역) 개정 연구용역 ; 2015
면수
396
제어번호
MONO1201629521
주기사항
연구기관: 건국대학교
연구책임자: 박종효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연구개요 7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7

가. 연구 필요성 7

나. 연구 목적 8

2. 연구 내용 9

가. 2013 ISCED-F 매뉴얼 분석 9

나. 한국의 전공 및 학과 분류 현황 분석 9

다. 한국교육분류(영역) 쟁점 확인 및 개선방안 탐색 9

라. 한국교육분류(영역) 개정안 작성 및 시뮬레이션 평가 9

3. 연구 방법 10

가. 문헌 연구 10

나. 데이터 분석 작업 10

다. 연구진 및 전문가 협의회 11

라. 연구 절차 14

마. 용어 정의 15

II. 국제표준교육분류 개정 이해 16

1. 2013 국제표준교육분류 매뉴얼 개요 16

가. 2013 국제표준교육분류(영역) 개정 배경 16

나. ISCED의 목적 16

다. 분류 단위 17

라. 분류 범위 및 구조 17

마. 분류의 기준 및 논리 17

바. 분류 적용: 몇 가지 예들 18

사. 통합학문 분야 또는 대분류 프로그램 19

아. 기타 어려운 사례 분류 20

2. 국제표준교육분류 개정 주요 변동사항 21

III. 국내 통계 적용 시 쟁점 분석 23

1. 고등 통계 23

가. 매핑 실시 및 결과 23

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7

다. KEDI 분류 학과단위 수준의 국제분류 매핑의 예 28

2. 국제 통계 31

가. 개정 국제표준교육분류를 반영한 UOE 학과 분류 적용 31

나. 추가 분류 코드 설명 및 예시 32

IV. 한국교육분류(영역) 개정안 타당성 분석 37

1. 통계 및 지표의 타당성 37

가. OECD 교육지표 산출 37

나. 고등교육 학과 및 전공별 통계 산출 39

2. 한국교육분류(영역)와 KEDI 분류, 대교협, 교육부 분류체계의 연계 40

V. 논의 및 제언 44

1. 논의 44

2. 제언 46

VI. 한국교육분류(영역) 개정안 해설서 50

1. 한국교육분류(영역) 개요 50

가. 분류 목적 50

나. 분류 구성 50

다. 분류 범위 50

라. 분류 체계 50

마. 국제표준교육분류와의 관련성 58

2. 한국교육분류(영역) 해설 59

00. 일반프로그램 및 자격 59

01. 교육 60

02. 예술, 인문학 62

03. 사회과학, 언론 및 정보 67

04. 경영, 행정 및 법 70

05. 자연과학, 수학 및 통계학 74

06. 정보통신기술(ICTs) 78

07. 공학, 제조 및 건설 80

08. 농림어업 및 수의학 86

09. 보건 및 복지 88

10. 서비스 93

참고문헌 98

[부록 1] 국제표준교육분류(영역) 개정 101

0. 배경 101

1. 소개 101

2. 매뉴얼의 목적 102

3. 분류 단위 102

4. 분류 범위 및 구조 103

5. 분류의 논리배경 104

6. 분류 종류의 적용: 몇 가지 예들 105

7. 통합학문 또는 대분류 프로그램 108

8. 기타 어려운 사례 분류 109

9. 분석을 위한 합계와 출판 110

10. ISCED 2011과 다른 분류와의 관련성 111

Appendix 1: ISCED 교육훈련 분야 116

00. 일반 프로그램 및 자격(Generic programmes and qualifications) 119

01. 교육 121

02. 예술 및 인문학 123

03. 사회과학, 언론 및 정보 131

04. 경영, 행정과 법 135

05. 자연과학, 수학 및 통계학 141

06. 정보 통신 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146

07. 공학, 제조 및 건설(Engineering,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148

08. 농림어업 및 수의학(Agriculture, Forestry, Fishery, and Veterinary) 158

09. 보건 및 복지 162

10. 서비스(Services) 168

[부록 2] KEDI 7대 학과계열 연도별 현황 분석 176

1. 연도별 KEDI 학과분류 대계열 분석(2012-2014) 176

2. 연도별 KEDI 학과분류 중계열 분석(2012-2014) 177

3. 연도별 KEDI 학과분류 소계열 분석(2012-2014) 180

[부록 3] 국제표준교육분류(영역)와 KEDI 분류 간의 소분류별 매핑 191

[부록 4] 개정 국제표준교육분류(영역)를 반영한 UOE 교육통계조사 학과분류(안) 199

[부록 5] KEDI 세부분류(학과수준)와 국제표준교육분류(영역) 간 매핑 224

01. 가정관리학계열 학과단위 세부분류 224

02. 가족ㆍ사회ㆍ복지학계열 학과단위 세부분류 226

03. 관광학 계열 학과단위 세부분류 237

04. 광학공학 계열 학과단위 세분류 240

05. 교양 인문학 계열 학과단위 세부분류 242

06. 국제 지역학 계열 학과단위 세부분류 245

07. 금융ㆍ회계ㆍ세무학 계열 학과단위 세부분류 249

08. 도시공학 계열 학과단위 세부분류 254

09. 보건학 계열 학과단위 세부분류 256

10. 산림ㆍ원예학 계열 학과단위 세부분류 260

11. 생명과학 계열 학과단위 세부분류 262

12. 생물학 계열 학과단위 세부분류 271

13. 식품영양학 계열 학과단위 세부분류 274

14. 신소재공학 계열 학과단위 세부분류 281

15. 의료공학 계열 학과단위 세부분류 285

16. 자원학 계열 학과단위 세부분류 287

17. 재료공학 계열 학과단위 세부분류 290

18. 정치외교학 계열 학과단위 세부분류 292

19. 천문기상학 계열 학과단위 세부분류 295

20. 체육 계열 학과단위 세부분류 296

21. 행정학 계열 학과단위 세부분류 306

22. 환경학 계열 학과단위 세부분류 316

[부록 6] 국제표준교육분류(영역) 개정 전후 분야별 재학생수 비율 비교 320

(1) 재적학생수 전체(대학+전문대학+대학원) 320

(2) 전문대학_재적학생수 322

(3) 대학_재적학생수 324

(4) 대학원_재적학생수 326

[부록 7] 매핑결과 한국교육분류(영역) 상 비율 높은 소계열 예시 328

1. 영미어ㆍ문학계열 329

2. 경영학 336

3. 전산학ㆍ컴퓨터공학 355

4. 의학계열 363

5. 뷰티아트계열 367

[부록 8] 한국교육분류(영역) 신구연계표 373

[부록 9] 교육 프로그램별 분류코드 색인 377

〈표 II-1〉 ISCED-F 2013과 ISCED 1997의 분류체계 비교 22

〈표 III-1〉 분류체계 비교 23

〈표 III-2〉 국제분류와 KEDI 분류 고등교육 분류 매핑결과 25

〈표 III-3〉 국제분류와 KEDI 분류의 1:1 매핑 예시 25

〈표 III-4〉 국제분류와 KEDI 분류의 1:N 매핑 예시 26

〈표 III-5〉 국제분류와 KEDI 분류의 N:1 매핑 예시 26

〈표 III-6〉 국제분류와 KEDI 분류의 매핑 불가 예시 27

〈표 III-7〉 KEDI 분류와 국제분류 연계를 위한 신규코드 예시 28

〈표 III-8〉 KEDI 분류와 국제분류 학과수준 연계 29

〈표 IV-1〉 한국교육분류(영역) 개정 전과 개정 후 학생 비율 변화:대분류 37

〈표 IV-2〉 한국교육분류(영역)와 KEDI 계열 분류 연계시 비중 높은 학과 39

〈표 IV-3〉 교육부 5대 대계열과 소계열 분류 41

〈표 IV-4〉 한국교육분류(영역), KEDI 분류, 대교협분류, 교육부5대 계열 분류 연계 예시 43

〈표 VI-1〉 한국교육분류(영역) 분류체계 51

[그림 I-1] 한국교육분류(영역) 개정안 개발 연구 추진 절차 14

표 1. ISCED-F 및 ISCED 1997 (및 2011) 교육의 분야 비교 113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