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만성퇴행성신경질환 직업성 노출에 대한 환자대조군연구 : 최종보고서 / 김인아, 송재철, 권순찬, 김승현, 김미경 [저] 인기도
발행사항
울산 :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5
청구기호
613.62 -16-4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vi, 111 p. : 표 ; 26 cm
총서사항
연구원 ; 2015-1082
제어번호
MONO1201629538
주기사항
표지표제: 만성퇴행성신경질환 직업성 노출에 대한 환자대조군연구 : 2015년 연구보고서
책등표제: (2015)만성퇴행성신경질환 직업성 노출에 대한 환자대조군연구
참고문헌: p. 101-103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2

Ⅰ. 서론 13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13

2. 연구목표 19

Ⅱ. 연구내용 및 방법 20

1. 연구내용 및 범위 20

1)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에 대한 지역기반 환자-대조군 연구 모형 설계 20

2) 직업적 위험요인 노출 평가를 위한 설문도구 확정 21

3)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의 위험요인에 대한 문헌 검토 21

4)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환자의 특성 및 직업관련 위험요인 확인 22

5) 알려진 직업적 위험요인 또는 직업의 오즈비 계산 22

6)/9) 후속 연구의 필요성 및 가능성 평가 23

2. 연구방법 24

1) 문헌고찰 24

2) 전문가 자문 24

3) 예비조사 25

4) 환자-대조군 연구 수행 25

5) 환자-대조군 연구 결과 분석 26

3. 연구추진체계 27

Ⅲ. 연구결과 28

1. ALS의 일반적인 발병요인과 병태생리 28

2. ALS의 직업적 노출에 대한 국내 연구 36

3. ALS의 직업적 노출에 대한 국외 연구 38

1) 농약 38

2) 중금속과 화학물질 43

3) 납 46

4) 셀레늄 46

5) 전자기장 47

6) 위험 가능 직업군 48

7) 흡연 52

8) 그 외의 위험요인 53

4. ALS의 직업적 위험요인의 평가 61

1) 환자-대조군 연구 사례 61

2) ALS의 직업적 위험요인 조사항목 선정 65

5. 노출 평가 방법 67

1) 노출 평가 방법 관련 문헌 고찰 67

2) 노출 평가 방법 결정 관련 고려 사항 73

3) 노출 평가 방법 77

6. ALS 위험요인 평가도구 제작 78

7. 연구 대상자 수 산출 80

1) 샘플 사이즈 산출 근거 80

2) 대상자 확보 및 조사 방법 81

8. ALS 위험요인 평가도구에 의한 예비조사 결과 82

1) 예비조사 진행 82

2) 예비조사 결과 82

9. 환자군의 특성 84

10. 환자군/대조군 비교 및 위험요인별 오즈비 97

11. 후속 연구 설계 및 실행 방안 105

Ⅳ. 결론 및 요약 110

Ⅴ. 참고문헌 113

[별첨 1] 연구 절차 설명문 116

[별첨 2] 연구 동의서 118

[별첨 3] 설문지 119

판권기 126

〈표 Ⅰ-1〉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심의한 ALS의 유해인자/작업과 업무관련성 17

〈표 Ⅲ-1〉 ALS 연간 10만명 당 발생률(45-74세, 미국 2000년도 인구로 표준화) 31

〈표 Ⅲ-2〉 ALS의 인종별 발생률과 사망률 연구들 32

〈표 Ⅲ-3〉 ALS와 관계된 유전자 33

〈표 Ⅲ-4〉 ALS의 개정판 EL-Escorial 진단 기준 35

〈표 Ⅲ-5〉 직업적 노출에 의한 ALS 국내 연구 고찰결과 37

〈표 Ⅲ-6〉 AHS cohort 1993-2010의 기능별 농약 그룹 사용과 ALS 41

〈표 Ⅲ-7〉 미시간대학병원 기반 환자-대조군 연구 결과 42

〈표 Ⅲ-8〉 노출 평가 점수 기준 43

〈표 Ⅲ-9〉 노출평가와 방법론이 우수한 화학물질과 중금속 노출의 ALS 발병에 관한 연구들 (by Nadia A. Sutedja et al., 2009) 44

〈표 Ⅲ-10〉 다양한 노출에 의한 ALS 발병의 위험도 48

〈표 Ⅲ-11〉 직업과 ALSa의 위험도 49

〈표 Ⅲ-12〉 두 개 이상의 연구에서 위험도가 1.5배 이상의 증가 또는 감소를 보이는 직업들 50

〈표 Ⅲ-13〉 네덜란드의 ALS 환자대조군 연구 결과 51

〈표 Ⅲ-14〉 ALS의 위험요인에 대한 외국 연구 요약 (운동선수, 어머니 나이, 전자기파, 인종) 55

〈표 Ⅲ-15〉 ALS의 위험요인 65

〈표 Ⅲ-16〉 List of Exposure Reconstruction Modeling Components to Derive the Solvent Exposure Index for Construction Painters 69

〈표 Ⅲ-17〉 샘플 사이즈 산출 80

〈표 Ⅲ-18〉 ALS 환자군의 일반적 특성 85

〈표 Ⅲ-19〉 ALS 환자군의 진단 연도 및 진단 시 연령분포 86

〈표 Ⅲ-20〉 ALS 환자군의 취미생활 분포 87

〈표 Ⅲ-21〉 ALS 환자군이 가장 오랫동안 종사한 직업군 분포 88

〈표 Ⅲ-22〉 ALS 환자군이 가장 오랫동안 종사한 직업 분포 90

〈표 Ⅲ-23〉 ALS 환자군의 직업적 화학물질, 중금속 노출 및 위험업무 종사여부 92

〈표 Ⅲ-24〉 농약 노출군과 비노출군의 일반적 특성 93

〈표 Ⅲ-25〉 유기용제 노출군과 비노출군의 일반적 특성 94

〈표 Ⅲ-26〉 위험업무 노출군과 비노출군의 일반적 특성 95

〈표 Ⅲ-27〉 직업적 위험요인 노출군과 비노출군의 일반적 특성 96

〈표 Ⅲ-28〉 환자군 및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97

〈표 Ⅲ-29〉 환자군 및 대조군의 취미생활 분포 98

〈표 Ⅲ-30〉 환자군 및 대조군이 가장 오랫동안 종사한 직업군 분포 99

〈표 Ⅲ-31〉 환자군 및 대조군의 직업적 화학물질, 중금속 노출 및 위험업무 종사여부 100

〈표 Ⅲ-32〉 위험요인에 따른 오즈비 102

〈표 Ⅲ-33〉 위험업무별 오즈비 103

〈표 Ⅲ-34〉 노출률과 최소 오즈비에 따른 연구대상자 수 산출 결과 108

[그림 Ⅰ-1] 한양대학교 루게릭병 클리닉의 연간 ALS 신환 추이 14

[그림 Ⅰ-2] 한양대학교병원 루게릭병 클리닉 환자의 주소지 분포 15

[그림 Ⅱ-1] 연구의 추진 체계 27

[그림 Ⅲ-1] Ireland의 1995-1997년의 연령별 성별 ALS 발생률 29

[그림 Ⅲ-2] Ireland의 1996년 12월 31일의 연령별 성별 ALS 유병률 30

[그림 Ⅲ-3] 직업적 농약 노출에 대한 ALS 위험도의 메타분석 결과 40

[그림 Ⅲ-4] 화학물질과 중금속의 ALS 발병위험도 45

[그림 Ⅲ-5] 납의 ALS 발병 위험도 메타분석 결과 46

[그림 Ⅲ-6] ELF-EMF노출에 의한 ALS발병의 메타분석 결과 47

[그림 Ⅲ-7] COPD의 위험요인 조사 설문(예) 7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80443 613.62 -16-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80444 613.62 -16-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