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후곡천 하천기본계획. [1], 보고서 / 경상북도 [편] 인기도
발행사항
안동 : 경상북도, 2016
청구기호
627.12 -16-63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1책(면수복잡) : 삽화, 지도, 표 ; 30 cm
총서사항
경상북도 고시 ; 제2016-157호
도보 ; 제6041호
제어번호
MONO1201630260
주기사항
[용역기관]: (주)삼안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과업의 개요 29

1.1. 과업의 목적 30

1.2. 과업의 범위 30

1.3. 과업의 내용 32

제2장 하천측량 35

2.1. 일반사항 36

2.2. 지형현황측량 36

2.3. 종·횡단측량 38

2.3.1. 종단측량 38

2.3.2. 횡단측량 39

2.4. 지적도 복사 및 축도 39

제3장 유역 기초자료 조사 40

3.1. 유역의 일반현황 41

3.1.1. 유역의 일반현황 41

3.1.2. 유역 특성분석 45

3.1.3. 유역의 자연현황 55

3.1.4. 유역의 사회·문화적 현황 64

3.2. 수문조사 68

3.2.1. 수문관측 현황 68

3.2.2. 기상 70

3.2.3. 유출 및 유황 78

3.3. 하도특성 조사 89

3.3.1. 하도현황 조사 89

3.3.2. 하도특성량 조사 94

3.3.3. 하상변동량 조사 104

3.4. 하천사업의 연혁 및 피해 현황 112

3.4.1. 하천개수 현황 112

3.4.2. 제방공사 연혁 112

3.4.3. 댐(저수지), 하구둑, 배수펌프장 연혁 112

3.4.4. 수해 및 가뭄피해 현황 112

3.5. 하천의 이용현황 155

3.5.1. 유수이용실태 조사 155

3.5.2. 용도지역구분 등 토지이용 조사 158

3.5.3. 관광·위락 등 공간이용 조사 159

3.6. 하천의 환경현황 164

3.6.1. 유역의 오염원 조사 164

3.6.2. 환경질 현황 176

3.6.3. 하천의 생태 환경 194

3.7. 타 계획과의 조정 275

3.7.1. 상위계획 및 관련계획 275

3.7.2. 기타 관련계획 280

제4장 수문분석 283

4.1. 강우특성 검토 284

4.1.1. 강우 경향성 검토 284

4.1.2. 집중호우 및 태풍현황 검토 287

4.2. 확률강우량 산정 290

4.2.1. 우량관측소 현황 및 강우자료 수집 290

4.2.2. 지점확률강우량 산정 303

4.2.3. 강우강도식 유도 316

4.2.4.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321

4.2.5.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323

4.2.6. 강우의 시간분포 326

4.3. 기본홍수량 산정 329

4.3.1. 홍수량 산정방법 329

4.3.2. 기본 이론 332

4.3.3. 유효우량 340

4.3.4. 빈도별 홍수량 산정 344

4.3.5. 기분석 성과 비교 348

4.4. 계획홍수량 산정 351

4.4.1. 계획빈도의 결정 351

4.4.2. 계획홍수량 351

4.5. 홍수위 산정 354

4.5.1. 기점홍수위 및 조도계수 354

4.5.2. 빈도별 홍수위 361

4.5.3. 계획하폭 366

4.5.4. 계획홍수위 368

제5장 하상변동 분석 371

5.1. 하상재료 조사 372

5.1.1. 조사방법 372

5.1.2. 조사 지점과 시료 채취 373

5.1.3. 실험실 분석 374

5.2. 하천 유사량 376

5.2.1. 실측에 의한 유사량 산정 376

5.2.2. 유사량 산정공식 선정 376

5.3. 하상변동 및 하도안정 분석 382

5.3.1. 하상변동원인 분석 382

5.3.2. 장래 하상변동 예측 및 평형하상경사 검토 384

제6장 용수수요량 산정 397

6.1. 수자원 부존량 398

6.2. 용수수요량 산정 399

6.2.1. 소유역 구분 399

6.2.2. 생활용수 수요량 예측 401

6.2.3. 공업용수 수요량 예측 404

6.2.4. 농업용수 수요량 예측 404

6.2.5. 용수 수요량 예측 406

6.3. 갈수량 및 물수지분석 407

6.3.1. 갈수량 407

6.3.2. 물수지분석 407

6.4. 유량확보방안 검토 413

제7장 하천의 종합적인 정비방향 설정 415

7.1. 하천의 종합적인 정비 및 이용에 관한 기본방향 416

7.2. 바람직한 하천모습 설정 416

7.3. 홍수처리 계획의 기본방향 418

7.4. 유수의 합리적인 이용에 관한 기본방향 419

7.5. 하천환경관리에 관한 기본방향 419

7.5.1. 하천환경관리 수립방향 설정 420

7.5.2. 수환경관리 방안 423

7.5.3. 공간 환경 427

제8장 하천의 정비·이용·보전에 관한 사항 435

8.1. 하천 공간관리 계획 436

8.1.1. 지구별 관리계획 수립절차 436

8.1.2. 지구 구분 437

8.1.3. 지구별 공간관리 계획 447

8.1.4. 주요 하천공간 요소별 관리계획 449

8.2. 하도 계획 453

8.2.1. 일반사항 453

8.2.2. 평면 계획 454

8.2.3. 종단 계획 455

8.2.4. 횡단 계획 455

8.2.5. 하도정비 계획 455

8.3. 기존 시설물 능력검토 456

8.3.1. 기존 시설물 현황 456

8.3.2. 기존 시설물 능력검토 456

8.3.3. 배수시설 464

8.3.4. 하천 횡단 시설물의 관리계획 수립 469

8.4. 하천시설물 설치계획 496

8.4.1. 제방 및 호안 설치 계획 497

8.4.2. 하천개수계획 총괄 502

8.4.3. 토사유출저감계획 수립 503

8.5. 치수경제성 분석 507

8.5.1. 목적과 범위 507

8.5.2. 피해액 조사 509

8.5.3. 치수경제성 분석 520

제9장 하천의 환경에 관한 사항 528

9.1. 수환경 보전계획 529

9.1.1. 기본방향 529

9.1.2. 수환경 보전계획의 목표 설정 530

9.1.3. 수량확보 대책 534

9.1.4. 장래 수질예측 542

9.2. 환경영향 검토 565

9.2.1. 자연환경분야 565

9.2.2. 생활환경분야 582

9.2.3. 사회·경제환경분야 591

제10장 하천의 유지관리에 관한 사항 592

10.1. 하천구역 및 홍수관리구역 결정 593

10.1.1. 하천구역 593

10.1.2. 홍수관리구역 594

10.2. 고수부지 폐천부지 현황 및 활용방안 595

10.2.1. 고수부지 이용현황 및 보전방안 595

10.2.2. 폐천부지 595

10.3. 골재 활용가능량 조사 595

10.4. 하도유지관리 596

10.4.1. 목적 및 범위 596

10.4.2. 유지관리 596

제11장 효과분석 및 결론 601

11.1. 종합적인 효과분석 602

11.1.1. 기본사항 602

11.1.2. 종합적인 효과분석 602

11.1.3. 하천환경보전과 이용에 관한 효과 603

11.2. 결론 및 건의사항 603

11.2.1. 사업시행 방향 603

11.2.2. 건의사항 604

제12장 기타사항 606

12.1. 과업추진 관련공문 607

12.2. 관계기관 협의 633

12.3.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 638

12.4. 주민설명회 개최 648

12.5. 경상북도 지방하천관리위원회 심의 652

12.6. 고시문 692

12.7. 과업참여자명단 708

부도(내용없음) 9

〈표 1.2-1〉 과업의 범위 30

〈표 2.1-1〉 측량 현황 36

〈표 2.2-1〉 기준점 성과 37

〈표 2.2-2〉 표석 성과표 38

〈표 3.1-1〉 수계현황 43

〈표 3.1-2〉 소하천 현황 및 위치 44

〈표 3.1-3〉 하천 및 유역의 특성 47

〈표 3.1-4〉 유역의 특성 48

〈표 3.1-5〉 표고별 누가면적 및 구성비 49

〈표 3.1-6〉 하천 유역의 경사별 누가면적 및 구성비 50

〈표 3.1-7〉 유역의 평균경사 및 평균고도 51

〈표 3.1-8〉 후곡천 경사향분포 및 구성비 51

〈표 3.1-9〉 합·분류 지점의 하천구간 경계설정(지방하천) 53

〈표 3.1-10〉 합·분류 지점의 하천구간 경계설정(소하천) 53

〈표 3.1-11〉 지질 종류별 구성광물 56

〈표 3.1-12〉 지질분포 현황 57

〈표 3.1-13〉 토양의 수문학적 토양군으로의 분류 기준 58

〈표 3.1-14〉 토양의 수문학적 토양유형 비교 59

〈표 3.1-15〉 토양의 수문학적 토양유형의 분류 60

〈표 3.1-16〉 주요하천 수문학적 토양군 구성비 61

〈표 3.1-17〉 소유권별 임야면적 62

〈표 3.1-18〉 임상별 임야면적 62

〈표 3.1-19〉 토지피복 분류기준 62

〈표 3.1-20〉 후곡천 토지피복 현황 63

〈표 3.1-21〉 행정구역 현황 64

〈표 3.1-22〉 문화재 현황 66

〈표 3.1-23〉 문화재 개요 66

〈표 3.2-1〉 기상관측소 현황 68

〈표 3.2-2〉 강우관측소 현황 68

〈표 3.2-3〉 수위관측소 및 현황 69

〈표 3.2-4〉 기상적요표 71

〈표 3.2-5〉 월별강수량(울진관측소) 72

〈표 3.2-6〉 주요호우시 강우관측기록(울진관측소) 74

〈표 3.2-7〉 월별강수량(서면관측소) 75

〈표 3.2-8〉 주요호우시 강우관측기록(서면관측소) 75

〈표 3.2-9〉 울진관측소 수위-유량 관계곡선식 77

〈표 3.2-10〉 울진관측소 연도별 최고수위 77

〈표 3.2-11〉 유출량 산정모형 비교 78

〈표 3.2-12〉 Tank모형 매개변수의 결정 84

〈표 3.2-13〉 월평균 유출고 및 유출률 85

〈표 3.2-14〉 월평균 유출량 86

〈표 3.2-15〉 수자원부존량 86

〈표 3.2-16〉 유황분석 결과 88

〈표 3.3-1〉 만곡부 현황 90

〈표 3.3-2〉 구간별 하상경사 92

〈표 3.3-3〉 구간별 대표횡단형 93

〈표 3.3-4〉 하도특성량 기초적 요소 95

〈표 3.3-5〉 지배유량 산정결과 98

〈표 3.3-6〉 유량규모별 하도특성량 101

〈표 3.3-7〉 종단적 하상변화 비교 106

〈표 3.3-8〉 주요지점 횡단변화 비교 109

〈표 3.4-1〉 후곡천 개수현황 112

〈표 3.4-2〉 최근 15년간 재해 피해액 113

〈표 3.4-3〉 최근 15년 재해현황(울진군) 114

〈표 3.4-4〉 태풍 발생 현황(1981년~2014년) 117

〈표 3.4-5〉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태풍수(1981년~2014년) 118

〈표 3.4-6〉 최근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주요 태풍 총괄(1987년~2014년) 119

〈표 3.4-7〉 GLADYS 홍수위 표석 120

〈표 3.4-8〉 2002년 피해 현황 분석 125

〈표 3.4-9〉 2003년 피해 현황 분석 129

〈표 3.4-10〉 가뭄의 정의 133

〈표 3.4-11〉 과우일수에 의한 가뭄빈도(과우량 70mm 기준) 135

〈표 3.4-12〉 과우일수(울진관측소) 135

〈표 3.4-13〉 연도별 최저 저수율(경상북도) 136

〈표 3.4-14〉 저수율에 의한 가뭄빈도 136

〈표 3.4-15〉 SPI에 따른 가뭄정도 137

〈표 3.4-16〉 주요 가뭄발생 년도 140

〈표 3.4-17〉 과거 봄 가뭄의 피해이력 142

〈표 3.4-18〉 가뭄발생현황과 가뭄대책 143

〈표 3.4-19〉 우리나라 5대 가뭄 144

〈표 3.4-20〉 주요 가뭄 발생 현황 145

〈표 3.4-21〉 우리나라 주요 가뭄 발생년도 및 유역, 해갈 직전의 월 145

〈표 3.4-22〉 최근 10년간의 가뭄 사례 146

〈표 3.4-23〉 2012년 전국 강수량 현황 147

〈표 3.4-24〉 2012년 경북지역 강수량 현황 147

〈표 3.4-25〉 2012년 전국 저수율 현황 149

〈표 3.4-26〉 2012년 경북지역 저수율 현황 149

〈표 3.4-27〉 2012년 6월 용수부족 면적 150

〈표 3.5-1〉 상수도 현황 155

〈표 3.5-2〉 간이상수도 현황 156

〈표 3.5-3〉 취수장 현황 156

〈표 3.5-4〉 정수장 현황 157

〈표 3.5-5〉 산업 및 농공단지 현황 157

〈표 3.5-6〉 울진군의 용도지역 현황 158

〈표 3.5-7〉 울진군의 지목별 토지이용 현황 159

〈표 3.5-8〉 후곡천 유역내 주요 관광·위락 등 공간이용 현황 159

〈표 3.5-9〉 조망점 선정기준 161

〈표 3.6-1〉 과업구간 소유역별 면적 및 점유율 164

〈표 3.6-2〉 소유역별 인구현황(2009~2025) 166

〈표 3.6-3〉 사업구간 수질 배출시설 현황 166

〈표 3.6-4〉 사업구간 축산계현황(2013) 167

〈표 3.6-5〉 사업구간 토지이용현황(2013) 167

〈표 3.6-6〉 사업구간 양식계 현황(2013) 167

〈표 3.6-7〉 생활계 가정인구 발생부하 원단위 168

〈표 3.6-8〉 시가지 및 비시가지 인구현황 168

〈표 3.6-9〉 생활계 발생부하량 산정결과 168

〈표 3.6-10〉 업종별 산업폐수 표준발생농도(1) 169

〈표 3.6-11〉 업종별 산업폐수 표준발생농도(2) 170

〈표 3.6-12〉 업종별 산업폐수 표준발생농도(3) 171

〈표 3.6-13〉 산업계 발생부하량 산정결과 171

〈표 3.6-14〉 축산분뇨 발생원단위 172

〈표 3.6-15〉 축산계 발생부하량 산정결과 172

〈표 3.6-16〉 토지계 지목별 발생부하 원단위 173

〈표 3.6-17〉 토지계 발생부하량 산정결과 173

〈표 3.6-18〉 양식장 발생부하 원단위 173

〈표 3.6-19〉 양식장 사료투여량 대비 발생부하비 174

〈표 3.6-20〉 양식계 발생부하량 산정결과 174

〈표 3.6-21〉 생활계 배출부하량 산정결과 174

〈표 3.6-22〉 산업계 배출부하량 산정결과 175

〈표 3.6-23〉 축산계 배출부하량 산정결과 175

〈표 3.6-24〉 토지계 발생부하량 산정결과 175

〈표 3.6-25〉 양식계 발생부하량 산정결과 176

〈표 3.6-26〉 대기질 측정위치 및 측정지점 176

〈표 3.6-27〉 대기질 측정항목 및 측정방법 177

〈표 3.6-28〉 측정시 기상 개황 177

〈표 3.6-29〉 대기질 측정결과 178

〈표 3.6-30〉 대기질 환경기준 178

〈표 3.6-31〉 하천수질 및 하천저질 측정지점 180

〈표 3.6-32〉 수질 조사항목 180

〈표 3.6-33〉 하천수질 분석방법 182

〈표 3.6-34〉 하천저질 분석방법 184

〈표 3.6-35〉 하천수질 측정결과(후곡천) 186

〈표 3.6-36〉 하천수질기준(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제2조 관련 별표) 187

〈표 3.6-37〉 하천저질 측정결과 188

〈표 3.6-38〉 소음·진동 측정지점 189

〈표 3.6-39〉 소음·진동 측정기기 및 측정방법 191

〈표 3.6-40〉 소음 측정 결과 191

〈표 3.6-41〉 소음 환경 기준 192

〈표 3.6-42〉 진동 측정 결과 193

〈표 3.6-43〉 생활진동 규제기준 193

〈표 3.6-44〉 조사분야 및 세부조사내용 194

〈표 3.6-45〉 조사분야별 조사시기 194

〈표 3.6-46〉 식물상 및 식생 조사방법 196

〈표 3.6-47〉 우점도 및 군도의 판정기준 197

〈표 3.6-48〉 녹지자연도 등급의 사정기준 198

〈표 3.6-49〉 녹지자연도에 의한 현존량, 순생산량 산정기준 199

〈표 3.6-50〉 도시화지수 및 귀화율 산출 199

〈표 3.6-51〉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의 등급 및 평가 체계 199

〈표 3.6-52〉 하천식생의 자연도 평가기준 200

〈표 3.6-53〉 평가항목 및 평가요령 201

〈표 3.6-54〉 식생보전등급분류 기준 202

〈표 3.6-55〉 생태·자연도 구분 203

〈표 3.6-56〉 육상동물상 조사방법 204

〈표 3.6-57〉 육수동물상 조사방법 205

〈표 3.6-58〉 계획하천(후곡천) 조사지역 내 식물상 208

〈표 3.6-59〉 계획하천(후곡천) 조사지역 내 식물의 생활형분포 210

〈표 3.6-60〉 계획하천(후곡천) 조사지역 일대에서 조사된 귀화식물 211

〈표 3.6-61〉 계획하천(후곡천) 조사지역 내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및 평가표 213

〈표 3.6-62〉 계획하천(후곡천) 조사지역의 식생유형과 분포면적 217

〈표 3.6-63〉 제 1 조사지점의 특성표(후곡천) 219

〈표 3.6-64〉 제 2 조사지점의 특성표(후곡천) 220

〈표 3.6-65〉 제 3 조사지점의 특성표(후곡천) 221

〈표 3.6-66〉 제 4 조사지점의 특성표(후곡천) 222

〈표 3.6-67〉 계획하천(후곡천) 조사지역의 녹지자연도 분포현황 223

〈표 3.6-68〉 계획하천(후곡천) 조사지역의 녹지자연도 분포현황 223

〈표 3.6-69〉 계획하천(후곡천) 녹지자연도 등급에 의한 식물현존량 및 순생산량 225

〈표 3.6-70〉 생태자연도 1등급(지형) 현황 227

〈표 3.6-71〉 현지조사 및 문헌조사에서 확인된 포유류 목록(후곡천) 229

〈표 3.6-72〉 현지조사에서 관찰된 조류의 주요 우점종 현황(후곡천) 232

〈표 3.6-73〉 현지조사에서 관찰된 조류의 군집구조 분석(후곡천) 233

〈표 3.6-74〉 현지조사 및 문헌조사에서 확인된 조류 목록(후곡천) 233

〈표 3.6-75〉 현지조사 및 문헌조사에서 확인된 양서·파충류 목록(후곡천) 237

〈표 3.6-76〉 현지조사에서 나타난 육상곤충류 출현 분류군 현황(후곡천) 239

〈표 3.6-77〉 육상곤충 출현 현황 및 목록(후곡천) 240

〈표 3.6-78〉 계획하천(후곡천) 일대 수계 조사지점 현황 255

〈표 3.6-79〉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 분류군 현황(후곡천) 257

〈표 3.6-80〉 조사지점에 따른 분류군별 종수 및 개체수 구성(후곡천) 261

〈표 3.6-81〉 조사지점별 군집지수 및 우점종(후곡천) 264

〈표 3.6-82〉 조사지점별 ESB지수에 따른 오수생물계열 및 환경질 평가(후곡천) 265

〈표 3.6-83〉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 현황 및 목록(후곡천) 265

〈표 3.6-84〉 분류군별 출현 현황(후곡천) 270

〈표 3.6-85〉 조사지점별 군집지수 및 우점종(후곡천) 273

〈표 3.6-86〉 어류 종 목록(후곡천) 273

〈표 3.7-1〉 수자원계획의 부문별 추진계획 276

〈표 4.1-1〉 울진관측소 강수량 286

〈표 4.1-2〉 서면관측소 강수량 286

〈표 4.1-3〉 울진관측소별 집중호우 발생빈도 288

〈표 4.2-1〉 우량관측소 현황 291

〈표 4.2-2〉 관련계획의 확률강우량 산정시 적용 관측소 현황 293

〈표 4.2-3〉 관할기관별 우량자료 현황 294

〈표 4.2-4〉 관측소별 보유자료 현황 294

〈표 4.2-5〉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 296

〈표 4.2-6〉 울진관측소 지속시간별 연최대값(고정시간) 297

〈표 4.2-7〉 울진관측소 지속시간별 연최대값(임의시간) 299

〈표 4.2-8〉 서면관측소 지속시간별 연최대값(고정시간) 301

〈표 4.2-9〉 서면관측소 지속시간별 연최대값(임의시간) 302

〈표 4.2-10〉 확률분포형별 적합도 검정결과(울진관측소) 310

〈표 4.2-11〉 확률분포형별 적합도 검정결과(서면관측소) 311

〈표 4.2-12〉 울진관측소 적합도 검정결과(Gumbel 분포) 312

〈표 4.2-13〉 서면관측소 적합도 검정결과(Gumbel 분포) 312

〈표 4.2-14〉 지속기간별 고정시간 지점확률강우량(울진관측소) 313

〈표 4.2-15〉 지속기간별 임의시간 지점확률강우량(울진관측소) 313

〈표 4.2-16〉 지속기간별 고정시간 지점확률강우량(서면관측소) 314

〈표 4.2-17〉 지속기간별 임의시간 지점확률강우량(서면관측소) 314

〈표 4.2-18〉 확률강우량(울진관측소) 315

〈표 4.2-19〉 울진관측소 빈도별 확률강우강도식 317

〈표 4.2-20〉 서면관측소 빈도별 확률강우강도식 317

〈표 4.2-21〉 지속기간별 원자료 및 강우강도식으로 유도된 확률강우량 비교(울진관측소) 319

〈표 4.2-22〉 지속기간별 원자료 및 강우강도식으로 유도된 확률강우량 비교(서면관측소) 320

〈표 4.2-23〉 홍수량 산정지점별 Thiessen 면적비율 321

〈표 4.2-24〉 산정지점별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322

〈표 4.2-25〉 ARF곡선식의 매개변수 324

〈표 4.2-26〉 산정지점별 면적우량환산계수 325

〈표 4.2-27〉 산정지점별 면적확률강우량 325

〈표 4.2-28〉 울진관측소의 분위별 무차원 누가강우분포 327

〈표 4.2-29〉 무차원누가우량곡선의 회귀계수 328

〈표 4.3-1〉 홍수량 산정지점 330

〈표 4.3-2〉 후곡천 도달시간 337

〈표 4.3-3〉 후곡천 도달시간 방법별 평균유속 337

〈표 4.3-4〉 후곡천 저류상수 339

〈표 4.3-5〉 선행 토양함수조건의 분류 340

〈표 4.3-6〉 토양군의 분류 341

〈표 4.3-7〉 유출곡선지수(AMC-II) 342

〈표 4.3-8〉 후곡천 유출곡선지수 343

〈표 4.3-9〉 기본홍수량 산정결과 345

〈표 4.3-10〉 금회홍수량-비홍수량 결과 비교 348

〈표 4.3-11〉 유역별 100년 빈도 홍수량 경험식 349

〈표 4.3-12〉 금회홍수량-유역별경험식 결과 비교 350

〈표 4.4-1〉 하천의 중요도에 따른 계획규모 351

〈표 4.4-2〉 설계빈도의 채택 351

〈표 4.4-3〉 계획홍수량 결정 352

〈표 4.5-1〉 빈도별 기점홍수위 354

〈표 4.5-2〉 자연하천의 상태에 따른 조도계수 355

〈표 4.5-3〉 하천 및 수로의 조도계수 356

〈표 4.5-4〉 Cowan의 조도계수의 산정을 위한 각 계수값의 기준 358

〈표 4.5-5〉 하천 구간별 조도계수 360

〈표 4.5-6〉 빈도별홍수위 363

〈표 4.5-7〉 홍수량 규모별 하폭결정기준 366

〈표 4.5-8〉 하상경사에 따른 α값 367

〈표 4.5-9〉 구간별 계획하폭 367

〈표 4.5-10〉 계획홍수위, 하폭, 기설제방고 368

〈표 5.1-1〉 하상재료 조사방법 372

〈표 5.1-2〉 하상재료 조사지점 373

〈표 5.1-3〉 하상재료 입도분석 성과표 374

〈표 5.1-4〉 하상구성재료 분류 및 특성 375

〈표 5.2-1〉 각 유사량 공식의 적정적용 한계 377

〈표 5.2-2〉 총유사량 공식의 특징 377

〈표 5.2-3〉 후곡천 유량규모에 따른 경험공식별 유사량 381

〈표 5.3-1〉 평형하상경사 산정방법 385

〈표 5.3-2〉 입력변수의 수집 및 적용사항 386

〈표 5.3-3〉 이동상 모형의 적용사항 387

〈표 5.3-4〉 후곡천 평형하상고 산정 결과 389

〈표 6.1-1〉 수자원부존량 398

〈표 6.2-1〉 소유역별 행정구역 편입 면적 400

〈표 6.2-2〉 행정구역별 과거 인구 추이 401

〈표 6.2-4〉 소유역별 장래인구 추정 402

〈표 6.2-5〉 단위급수량 403

〈표 6.2-6〉 목표연도별 인구현황 403

〈표 6.2-7〉 목표연도별 생활용수 수요량 403

〈표 6.2-8〉 장래 경지면적 전망 405

〈표 6.2-9〉 가축 사육두수 현황 405

〈표 6.2-10〉 농업용수 원단위 405

〈표 6.2-11〉 장래 농업용수 수요량 406

〈표 6.2-12〉 용수수요량 예측 406

〈표 6.3-1〉 유황분석 407

〈표 6.3-2〉 갈수량과 물수지(2011년) 408

〈표 6.3-3〉 갈수량과 물수지(2016년) 408

〈표 6.3-4〉 갈수량과 물수지(2020년) 408

〈표 6.3-5〉 갈수량과 물수지(2025년) 409

〈표 6.4-1〉 확보방안별 비교 413

〈표 7.2-1〉 분야별 정비방안 417

〈표 7.5-1〉 수질 등급별 특성과 지표어종 424

〈표 7.5-2〉 유기물질에 따른 수생 동·식물과 수질오염의 정도 425

〈표 7.5-3〉 경관측면의 목표수질 425

〈표 7.5-4〉 친수환경 측면의 목표수질 426

〈표 7.5-5〉 하천의 수질환경기준 적용등급 426

〈표 7.5-6〉 목표수질 설정 427

〈표 7.5-7〉 수변식생대의 기능과 이점 431

〈표 7.5-8〉 하도정비의 기본방향 434

〈표 8.1-1〉 공간정비 기본방침 436

〈표 8.1-2〉 지구지정 기준(법령) 437

〈표 8.1-3〉 지구지정 기준 438

〈표 8.1-4〉 지구지정 판별기준 438

〈표 8.1-5〉 하천자연도 세부 평가항목 440

〈표 8.1-6〉 후곡천의 하천자연도 등급별 비율 442

〈표 8.1-7〉 하천자연도 등급별 하천관리방향 443

〈표 8.1-8〉 후곡천 지구 구분 결과 443

〈표 8.1-9〉 후곡천 지구 구분 현황 445

〈표 8.1-10〉 후곡천 공간관리 계획 448

〈표 8.2-1〉 하도계획 기본방향 454

〈표 8.3-1〉 기존 시설물 현황 456

〈표 8.3-2〉 계획홍수량별 여유고 457

〈표 8.3-3〉 계획홍수량에 따른 둑마루폭 457

〈표 8.3-4〉 허용소류력 459

〈표 8.3-5〉 소류력에 대한 안전성(하안공법) 459

〈표 8.3-6〉 유속에 대한 안정성(하안공법) 459

〈표 8.3-7〉 비탈덮기 공법분류 및 기준항력 460

〈표 8.3-8〉 유속에 따른 밑다짐 폭 기준 461

〈표 8.3-9〉 축제 대상지구 461

〈표 8.3-10〉 축제 대상지구 검토 462

〈표 8.3-11〉 지구별 밑다짐폭 463

〈표 8.3-12〉 관측소별 확률강우강도식 465

〈표 8.3-13〉 후곡천 배수시설물 능력검토 총괄표 465

〈표 8.3-14〉 배수시설물 능력검토 467

〈표 8.3-15〉 배수시설 계획(증설) 468

〈표 8.3-16〉 배수시설 계획(신설) 468

〈표 8.3-17〉 계획홍수량에 따른 교량 여유고 469

〈표 8.3-18〉 교량능력 검토 결과 총괄표 471

〈표 8.3-19〉 교량능력 검토 471

〈표 8.3-20〉 K1, K2값 결정 475

〈표 8.3-21〉 세굴심도 산정결과 478

〈표 8.3-22〉 세굴방호공(사석공) 설치범위(세굴반경) 검토 478

〈표 8.3-23〉 세굴방호공(사석공) 사석직경 검토 478

〈표 8.3-24〉 블라이(Bligh) 계수 482

〈표 8.3-25〉 직류 하천의 상·하류 바닥보호공 길이 산정 공식표 487

〈표 8.3-26〉 보·낙차공 검토 결과 총괄표 487

〈표 8.3-27〉 보·낙차공 검토 결과 487

〈표 8.3-28〉 어도의 분류 488

〈표 8.3-29〉 자연친화적인 어도 형식 비교 489

〈표 8.3-30〉 어도 형식별 장·단점 489

〈표 8.3-31〉 후곡천 출연어류 현황 492

〈표 8.3-32〉 상황별 어도 형식 선정 기준표 493

〈표 8.3-33〉 어종별 입지 특성 493

〈표 8.3-34〉 어종별 서식조건 494

〈표 8.3-35〉 후곡천 어도형식 총괄표 494

〈표 8.4-1〉 하천시설물 계획 개요 496

〈표 8.4-2〉 축제계획 498

〈표 8.4-3〉 하천개수계획 총괄 502

〈표 8.4-4〉 토사유출량 산정 505

〈표 8.5-1〉 치수경제성 대상지구 507

〈표 8.5-2〉 계획빈도 범람구역 개요(80년빈도) 509

〈표 8.5-3〉 지구별 및 유량 규모별 침수면적 509

〈표 8.5-4〉 단위 침수면적당 손실 인명수 511

〈표 8.5-5〉 침수면적당 발생 이재민수 511

〈표 8.5-6〉 직접피해의 대상자산과 피해액 산정방법 512

〈표 8.5-7〉 건축연면적별 가구수비 513

〈표 8.5-8〉 건축형태별 건축단가 513

〈표 8.5-9〉 연도별 건설업 Deflator 보정지수 514

〈표 8.5-10〉 도시분류별 가정용품 평가액 515

〈표 8.5-11〉 연도별 소비자물가지수 515

〈표 8.5-12〉 농작물별 생산비 516

〈표 8.5-13〉 년도별 생산자물가지수 516

〈표 8.5-14〉 사업체별 항목 및 사업체 1인당 자산 517

〈표 8.5-15〉 침수심별 건물 피해율 518

〈표 8.5-16〉 침수심별 건물내용물 피해율 518

〈표 8.5-17〉 침수심별 농경지 피해율 518

〈표 8.5-18〉 침수심별 농작물 피해율 518

〈표 8.5-19〉 침수심별 유형자산·재고자산 피해율 519

〈표 8.5-20〉 일반자산피해액에 대한 공공시설물의 피해액 비율 519

〈표 8.5-21〉 빈도규모별 총 피해액 519

〈표 8.5-22〉 지구별 총공사비(총투자액) 520

〈표 8.5-23〉 경제성 분석결과 521

〈표 8.5-24〉 평가기준의 요약 523

〈표 8.5-25〉 생태자연도 등급기준 525

〈표 8.5-26〉 지역낙후도 선정지표 526

〈표 9.1-1〉 중권역별 수질 및 수생태계 목표기준 530

〈표 9.1-2〉 목표수질 설정 530

〈표 9.1-3〉 후곡천 수질개선 목표 531

〈표 9.1-4〉 후곡천 공간관리 지구별 수질개선방향 532

〈표 9.1-5〉 대표어종과 대리어종 일람표 535

〈표 9.1-6〉 주요어종의 생태적 요구조건 536

〈표 9.1-7〉 주요어종의 서식처 수리조건 537

〈표 9.1-8〉 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산정결과 538

〈표 9.1-9〉 유속에 따른 흐름의 느낌 상태 539

〈표 9.1-10〉 경관측면을 고려한 필요유량 산정결과 539

〈표 9.1-11〉 친수활동과의 관련사항 540

〈표 9.1-12〉 친수활동을 위한 수리제원(1) 540

〈표 9.1-13〉 친수활동을 위한 수리제원(2) 541

〈표 9.1-14〉 친수활동을 고려한 필요유량 산정결과 541

〈표 9.1-15〉 후곡천 유지유량 결정 542

〈표 9.1-16〉 과업구간 소유역별 면적 및 점유율 543

〈표 9.1-17〉 소유역별 인구현황(2009~2025) 545

〈표 9.1-18〉 사업구간 수질 배출시설 현황 545

〈표 9.1-19〉 사업구간 축산계현황(2013) 546

〈표 9.1-20〉 사업구간 토지이용현황(2013) 546

〈표 9.1-21〉 사업구간 양식계 현황(2013) 546

〈표 9.1-22〉 생활계 가정인구 발생부하 원단위 547

〈표 9.1-23〉 시가지 및 비시가지 인구현황 547

〈표 9.1-24〉 생활계 발생부하량 산정결과 547

〈표 9.1-25〉 업종별 산업폐수 표준발생농도 548

〈표 9.1-26〉 산업계 발생부하량 산정결과 550

〈표 9.1-27〉 축산분뇨 발생원단위 551

〈표 9.1-28〉 축산계 발생부하량 산정결과 551

〈표 9.1-29〉 토지계 지목별 발생부하 원단위 552

〈표 9.1-30〉 토지계 발생부하량 산정결과 552

〈표 9.1-31〉 양식장 발생부하 원다위 552

〈표 9.1-32〉 양식장 사료투여량 대비 발생부하비 553

〈표 9.1-33〉 양식계 발생부하량 산정결과 553

〈표 9.1-34〉 생활계 배출부하량 산정결과 553

〈표 9.1-35〉 산업계 배출부하량 산정결과 554

〈표 9.1-36〉 축산계 배출부하량 산정결과 554

〈표 9.1-37〉 토지계 발생부하량 산정결과 554

〈표 9.1-38〉 양식계 발생부하량 산정결과 555

〈표 9.1-39〉 국내에 적용된 수질모델의 구분 555

〈표 9.1-40〉 QUALKO2 하천수질모델에서 사용되는 기본요소 556

〈표 9.1-41〉 QUALKO2 모델에 대한 구간 구분 558

〈표 9.1-42〉 Head water 입력자료 558

〈표 9.1-43〉 Point source 입력자료 559

〈표 9.1-44〉 소구간별 수리학적 계수 559

〈표 9.1-45〉 주요 매개변수 보정결과 561

〈표 9.1-46〉 후곡천 거리별 수질보정결과 563

〈표 9.1-47〉 모의 시나리오 구성 563

〈표 9.1-48〉 후곡천 거리별 장래수질예측 결과 564

〈표 9.2-1〉 육상동물 법적보호종의 영향예측 572

〈표 9.2-2〉 하천의 지구 구분 형태 573

〈표 9.2-3〉 귀화식물의 관리방안 574

〈표 9.2-4〉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야생생물 제거방안 575

〈표 9.2-5〉 어도 설치 계획 579

〈표 9.2-6〉 목표종 선정사유 580

〈표 9.2-7〉 목표종 모니터링 계획 580

〈표 9.2-8〉 하천현황 581

〈표 9.2-9〉 후곡천 지구 구분 결과 582

〈표 9.2-10〉 구간별 식재계획 584

〈표 9.2-11〉 배출공정별 억제계획 585

〈표 9.2-12〉 가정생활폐기물 발생량 및 처리현황 588

〈표 10.1-1〉 하천법에 따른 하천구역 결정방법 593

〈표 10.1-2〉 하천구역 현황 594

〈표 10.1-3〉 홍수관리구역 현황 594

〈표 11.1-1〉 계획시설물에 의한 효과 602

〈그림 1.2-1〉 과업위치도 31

〈그림 1.3-1〉 하천기본계획 수립 흐름도 34

〈그림 2.2-1〉 표석매설 및 수준점망도 37

〈그림 2.3-1〉 종단측량 실시장면 38

〈그림 2.3-2〉 수심측량 장비 및 실시장면 39

〈그림 3.1-1〉 유역도 42

〈그림 3.1-2〉 후곡천유역 하천모식도 43

〈그림 3.1-3〉 후곡천 표고 분포도 49

〈그림 3.1-4〉 후곡천 경사 분포도 50

〈그림 3.1-5〉 후곡천 방향성 분포도 52

〈그림 3.1-6〉 후곡천 유역 사면방향 분포도 52

〈그림 3.1-7〉 합·분류지점 하천구간 경계설정 현황도 54

〈그림 3.1-8〉 면적-고도곡선(Hypsometric-Curve) 56

〈그림 3.1-9〉 지질도 58

〈그림 3.1-10〉 후곡천 유역의 토양도 61

〈그림 3.1-11〉 후곡천 유역의 토지이용 현황도 64

〈그림 3.1-12〉 행정구역도 65

〈그림 3.1-13〉 문화재 현황 67

〈그림 3.2-1〉 수문관측소 위치도 69

〈그림 3.2-2〉 기상현황 71

〈그림 3.2-3〉 월별 강우량 현황 76

〈그림 3.2-4〉 탱크모형의 구조 80

〈그림 3.2-5〉 강우량에 따른 탱크의 거동 82

〈그림 3.2-6〉 수자원 부존량 모식도(후곡천) 87

〈그림 3.2-7〉 유황곡선(후곡천) 88

〈그림 3.3-1〉 유로의 평면적 변화 105

〈그림 3.3-2〉 최심하상고 변화 108

〈그림 3.3-3〉 하폭변화 비교도 111

〈그림 3.4-1〉 년도별 울진군 홍수피해 현황 115

〈그림 3.4-2〉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태풍 진로도 116

〈그림 3.4-3〉 2002년 태풍 '루사' 위성영상 123

〈그림 3.4-4〉 2002년 태풍 '루사' 진로 및 태풍 반경 125

〈그림 3.4-5〉 2003년 제14호 태풍 '매미' 진로도 126

〈그림 3.4-6〉 2003년 태풍 '매미' 위성영상 127

〈그림 3.4-7〉 2004년 태풍 '메기' 위성영상 130

〈그림 3.4-8〉 2004년 제15호 태풍 '메기' 진로도 131

〈그림 3.4-9〉 가뭄의 특징 및 진행과정 133

〈그림 3.4-10〉 울진관측소 지속시간별 표준강수지수(SPI) 137

〈그림 3.4-11〉 2002년~2007년 표준강수지수(SPI)-6개월(울진관측소) 139

〈그림 3.4-12〉 2008년~2014년 표준강수지수(SPI)-6개월(울진관측소) 139

〈그림 3.4-13〉 가뭄대책 관리 체계 151

〈그림 3.4-14〉 순환 Feedback 구조의 항구적인 가뭄 대응 체계 수립 153

〈그림 3.4-15〉 항구적인 가뭄대책의 분류와 종류 154

〈그림 3.5-1〉 후곡천 유역내 주요 관광·위락 등 공간이용 현황 160

〈그림 3.5-2〉 경관유형의 구분 161

〈그림 3.5-3〉 조망점 위치도 162

〈그림 3.5-4〉 경관현황 163

〈그림 3.6-1〉 광천 수계 유역도(후곡천 H1~H3) 164

〈그림 3.6-2〉 오염원의 분류 165

〈그림 3.6-3〉 대기질 측정지점 위치도 179

〈그림 3.6-4〉 수질 측정지점 위치도 181

〈그림 3.6-5〉 소음·진동 측정지점 위치도 190

〈그림 3.6-6〉 계획하천(후곡천) 및 조사지역 전경 195

〈그림 3.6-7〉 현장 조사 사진 206

〈그림 3.6-8〉 계획하천(후곡천) 조사지점도 207

〈그림 3.6-9〉 계획하천(후곡천) 조사지역에서의 출현식물에 대한 생활형 비교 210

〈그림 3.6-10〉 계획하천(후곡천) 조사지역 내 식물사진 214

〈그림 3.6-11〉 계획하천(후곡천)의 식생구계도와 수림대 215

〈그림 3.6-12〉 계획하천(후곡천)과 조사지역의 현존식생도 및 녹지자연도 218

〈그림 3.6-13〉 계획하천(후곡천)과 조사지역의 식생보전등급 224

〈그림 3.6-14〉 계획하천(후곡천)과 주변지역의 생태자연도 226

〈그림 3.6-15〉 계획하천(후곡천) 내 생태자연도 1등급(지형) 현황 227

〈그림 3.6-16〉 계획하천(후곡천)에서 관찰된 육상동물 247

〈그림 3.6-17〉 계획하천(후곡천)에서 확인된 육상동물 분포도(1차 조사) 249

〈그림 3.6-18〉 계획하천(후곡천)에서 확인된 육상동물 분포도(2차 조사) 251

〈그림 3.6-19〉 계획하천(후곡천)에서 확인된 육상동물 분포도(3차 조사) 253

〈그림 3.6-20〉 문별 출현 종 구성 비율(%) - 후곡천 257

〈그림 3.6-21〉 분류군별 종 구성 비율(%) - 후곡천 259

〈그림 3.6-22〉 분류군별 개체수 현존량(%) - 후곡천 260

〈그림 3.6-23〉 조사지점별 종수 및 개체수 구성(후곡천) 262

〈그림 3.6-24〉 분류군별 종수 비율 및 개체수 비율(%) 비교 - 후곡천 270

〈그림 3.6-25〉 어종별 개체수 출현 현황 - 후곡천 271

〈그림 3.6-26〉 계획하천(후곡천) 일대에서 확인된 육수동물상 274

〈그림 3.7-1〉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의 비전 275

〈그림 4.1-1〉 울진관측소 강우량의 경년변화 284

〈그림 4.1-2〉 서면관측소 강우량의 경년변화 285

〈그림 4.1-3〉 울진관측소 집중호우의 평균발생빈도 288

〈그림 4.1-4〉 월별 태풍 진로도 및 내습 경로도 289

〈그림 4.2-1〉 우량관측소 위치도 292

〈그림 4.2-2〉 Thiessen Network 295

〈그림 4.2-3〉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 회귀곡선 296

〈그림 4.2-4〉 강우빈도해석 흐름도 303

〈그림 4.2-5〉 관측소별 강우강도 곡선 318

〈그림 4.2-6〉 빈도별 ARF 곡선식 323

〈그림 4.2-7〉 울진관측소 무차원 누가우량곡선 328

〈그림 4.3-1〉 홍수량 산정지점도 331

〈그림 4.3-2〉 Clark 단위도법 개념도 334

〈그림 4.3-3〉 연속형 Kraven 공식 유도에 필요한 경사구간별 유속분포 336

〈그림 4.3-4〉 주요지점 임계지속기간 그래프 344

〈그림 4.3-5〉 유역별 100년 빈도 홍수량 349

〈그림 4.4-1〉 계획홍수량 배분도(후곡천) 353

〈그림 4.5-1〉 에너지 방정식의 도해 361

〈그림 5.1-1〉 후곡천 하상재료 주요 입경의 종단변화 375

〈그림 5.2-1〉 후곡천 유량-유사량 관계곡선 추정 381

〈그림 5.3-1〉 유량 입력 예 388

〈그림 5.3-2〉 후곡천 평형하상고 분석결과 392

〈그림 6.1-1〉 수자원 부존량 모식도(후곡천) 398

〈그림 6.2-1〉 소유역 구분도 400

〈그림 6.3-1〉 물수지 모식도 409

〈그림 7.5-1〉 하천환경관리 계획수립 흐름도 422

〈그림 7.5-2〉 수질보전 전략 수립 체계 423

〈그림 7.5-3〉 공간환경 관리 방향 428

〈그림 7.5-4〉 하천공간 정비계획 흐름도 429

〈그림 7.5-5〉 수변식생대의 모식도 431

〈그림 7.5-6〉 생태네트워크의 개념 및 하천통로의 공간구조 432

〈그림 8.1-1〉 후곡천 자연도 등급 분포도 441

〈그림 8.1-2〉 지구구분도 444

〈그림 8.1-3〉 추이대 개선 450

〈그림 8.1-4〉 생태이동 통로 및 서식지 개선 사례 451

〈그림 8.1-5〉 생물서식처 조성방향 451

〈그림 8.1-6〉 여울과 소 452

〈그림 8.3-1〉 후곡천 배수유역도 466

〈그림 8.3-2〉 아치교의 여유고 특성 469

〈그림 8.3-3〉 세굴 방호 계획 흐름도 473

〈그림 8.3-4〉 교각 주위의 세굴 현상 모식도 474

〈그림 8.3-5〉 세굴방호공 480

〈그림 8.3-6〉 어도 형식별 일반도 490

〈그림 8.3-7〉 자연형 어도(사례) 495

〈그림 8.4-1〉 호안 종류별 표준단면도 499

〈그림 8.4-2〉 산사태 위험지구 506

〈그림 8.5-1〉 치수경제성 분석대상지구 위치도 508

〈그림 8.5-2〉 다차원법의 개념도(일반자산 피해액의 산정방법) 510

〈그림 8.5-3〉 AHP기법의 분석과정 522

〈그림 8.5-4〉 치수사업 투자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계층도 523

〈그림 8.5-5〉 사전가중치의 부여 527

〈그림 9.1-1〉 후곡천 하천수질개선 방안 532

〈그림 9.1-2〉 광천 수계 유역도(후곡천 H1~H3) 543

〈그림 9.1-3〉 오염원의 분류 544

〈그림 9.1-4〉 QUALKO2 하천수질모델의 수질 항목 반응도 557

〈그림 9.1-5〉 QUALKO2 모델모식도 559

〈그림 9.1-6〉 수리학적 계수 산정 560

〈그림 9.1-7〉 후곡천 모델 보·검정결과 562

〈그림 9.2-1〉 비산먼지 방지대책 576

〈그림 9.2-2〉 오염물질 유출 방지 저감시설 설치 예 578

〈그림 9.2-3〉 여울 조성의 예 579

〈그림 9.2-4〉 하천 모식도 581

〈그림 10.1-1〉 하천법에 따른 하천구역의 결정 594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93976 627.12 -16-63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93977 627.12 -16-63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EM0000064222 627.12 -16-63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