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서울대학교의 오픈 액세스 정책 수립에 대한 연구 [전자자료] : 최종보고서 / 서울대학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 2016
청구기호
ER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6870876
제어번호
MONO1201633549
주기사항
연구책임자: 서정욱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목차

요약문 8

짧은 요약문 16

Abstract 20

제1장 연구과제의 개요 23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3

1.2. 연구의 목적과 내용 25

1.3.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5

제2장 오픈 액세스의 개념 및 선행 연구 분석 27

2.1. 오픈 액세스의 개념 27

2.1.1. 오픈 액세스 이전의 학술지 출판 27

2.1.2. 오픈 액세스 운동 29

2.1.3. OA2020(부록 1.3 참조) 32

2.2. 오픈 액세스에 대한 국제적 합의 36

2.2.1. 2002년 Budapest Open Access Initiative 선언 36

2.2.2. 2003년 베를린 오픈 액세스 선언 36

2.2.3. 2004년 OECD 과학기술정책위원회 37

2.2.4. 2013년 Global Research Council(GRC. 부록 1.2. 참조) 37

2.3 오픈 액세스 정책 관련 연구(2014) 40

2.3.1. 오픈 액세스에서 연구자의 역할 40

2.3.2. 오픈 액세스에서 도서관의 역할 41

2.3.3. 오픈 액세스에서 인터넷 포털의 역할 41

제3장 해외 오픈 액세스 현황 42

3.1. 해외 학술지 출판/유통 현황 42

3.1.1. 개요 42

3.1.2. 오픈 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의 비율 42

3.1.3. 오픈 액세스 학술지 수록 논문과 hybrid 학술지에 실린 오픈 액세스 논문의 합산한 비중 44

3.1.4. 골드 오픈 액세스와 그린 오픈 액세스 논문의 합산 비율 45

3.1.5. DOAJ(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의 오픈 액세스 학술지 45

3.1.6. 기관 리포지토리 현황 45

3.2. Harvard 대학교의 오픈 액세스 사업 46

3.2.1. Harvard 대학교 오픈 액세스 정책 선언 46

3.2.2. Harvard 대학교의 Office for Scholarly Communication(OSC) 50

3.2.3. Compact for Open-Access Publishing Equity(COPE) 50

3.2.4. The Harvard Open-Access Publishing Equity(HOPE) fund 51

3.2.5. Digital Access to Scholarship at Harvard(DASH) 52

3.2.6. Journal Flipping Project 53

3.3. 미국 타 기관의 오픈 액세스 정책 53

3.3.1. MIT의 DSpace 개발과 학내자료의 오픈 액세스 의무화 정책 54

3.3.2.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오픈 액세스 정책 54

3.4. 영국의 오픈 액세스 55

3.5. 네덜란드의 오픈 액세스 정책 56

3.6. 독일의 OA2020(부록 2.2. 부록 2.3. 참조) 59

3.7. offset 계약에 대한 내용(부록1.6. 참조) 61

3.7.1. 협정의 배경 62

3.7.2. 오프셋 시스템의 원칙 63

3.8. SCOAP3 64

3.9. 일본의 오픈 액세스 정책 69

제4장 국내 오픈 액세스 현황 70

4.1. 서울대학교의 오픈 액세스 활동 70

4.2. 국가 주도의 오픈 액세스 활동 71

4.3. 민간 영역에서의 오픈 액세스 활동 72

4.3.1.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와 한국과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의 오픈 액세스 활동 73

4.3.2. 대한의학회와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의 오픈 액세스 활동 74

4.3.3. 우리나라 도서관의 오픈 액세스 활동 74

4.3.4. 우리나라 출판사의 오픈 액세스 활동 75

4.3.5. 우리나라 인터넷 기업의 오픈 액세스 활동 75

4.3.6. 개인자격의 연구 활동 76

4.4. 국내 학술지의 오픈 액세스 76

4.5. 국내 기관 리포지토리 현황 78

4.6. 국내 오픈 액세스의 연구 문헌 79

제5장 서울대학교 연구처의 학술논문 지원 현황 80

5.1. 논문 게재료 지원 규정 80

5.1.1. 우수학술지 논문 게재료 지원 사업 개요 80

5.1.2. 연도별 논문게재료 지원기준의 변화 81

5.2. 논문 게재료 지원 현황 83

제6장 우리나라 도서관의 학술논문 구독·출판 현황 87

6.1. 대학총예산대비 도서관 자료구입비의 비율 추이 87

6.2. 우리나라 도서관의 전자자료 구입비 비율 87

6.3. 오픈 액세스 학술논문 게재료 지원 현황 88

6.4. 기관 리포지토리 S-Space 88

제7장 서울대학교 연구자의 오픈 액세스 인식 조사 90

7.1. 설문조사 방법과 응답자 구성 90

7.2. 오픈 액세스에 대한 서울대학교 구성원의 인식 91

7.3. 서울대학교 학술 저널의 구성에 대한 만족도 조사 93

7.4. 서울대학교 연구자의 문헌 검색 방법 94

7.5.서울대학교 연구자의 오픈 액세스 출판 선호도 96

7.6. 서울대학교 연구처의 논문 출판 비용 지원에 대한 의견 98

7.7. 서울대학교 교직원이 생각하는 오픈 액세스 강제화 정책 101

7.8. 서울대학교의 오픈 액세스 활동에 대한 의견 104

7.9. 자유 의견 106

7.9.1. 투고료 지원을 늘려서 현실적인 도움을 주자(35명, 31.3%) 106

7.9.2. 오픈 액세스는 매우 중요한 사업입니다.(33명, 29.5%) 106

7.9.3. 서울대학교의 선도적 역할이 필요하다(29명, 25.9%) 108

7.9.4. 오픈 액세스에 대한 홍보가 필요합니다(30명, 26.8%) 108

7.9.5. 오픈 액세스에 대한 국제 활동이 필요합니다.(10명, 8.9%) 110

7.9.6. 기타 의견 111

제8장 서울대학교 오픈 액세스 정책 제안 112

8.1. 오픈 액세스 정책의 방향 및 주체 112

8.1.1. 왜(Why)? 112

8.1.2. 무엇을(What)? 112

8.1.3. 누가 어떻게(Who and How)? 113

8.2. 오픈 액세스 선언이 필요한가? 113

8.3. 오픈 액세스 의무조항(Open access mandate) 114

8.4. 전자저널 구독 정책 115

8.4.1. 배경 115

8.4.2. 글로벌 오픈 액세스의 관점에서의 전자저널 구독 116

8.4.3. 서울대학교의 관점에서의 전자저널 구독 117

8.4.4. 빅딜 계약과 오픈 액세스 118

8.5. 오픈 액세스 재원 조달 119

8.6. 오픈 액세스 기관 리포지토리 121

제9장 서울대학교 오픈 액세스 정책의 구체적인 내용과 논리 122

9.1. 오픈 액세스 선언 추진을 통한 연구자의 오픈 액세스 이해 증진 122

9.2. 기존 유료 학술지를 오픈 액세스로 전환하는 것을 촉구하는 국제 협력 사업 참여 124

9.3. 컨소시엄 빅딜을 통한 출판사와의 협력 126

9.4. 오픈 액세스 출판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 127

9.5. 오픈 사이언스/오픈 액세스 데이터베이스 사업 128

9.6. 국내 학술지의 오픈 액세스 128

9.7. 기타 추진 사업 129

9.8. 오픈 액세스 정책 기획팀 130

참고문헌 131

부록 1. 오픈 액세스 관련 중요 문서 번역 소개 134

부록 1.1. 연구결과 출판의 오픈 액세스(전문가 자문)(Open access to research publications(Independent advice)) 135

부록 1.2. Global Research Council(GRC: 글로벌 연구위원회) 출판물에 대한 오픈 액세스 실천 계획 160

부록 1.3. Disrupting the subscription journals' business model for the necessary large-scale transformation to open access(오픈 액세스로의 필연적인 대규모 전환을 위한 구독 학술지 비즈니스 모델의 붕괴) 170

부록 1.4. 오픈 액세스 정책선언문(표준안)(A Model Open Access Policy) 188

부록 1.5. 오픈 액세스를 향한 네덜란드의 준비(The Netherlands : paving the way for open access) 194

부록 1.6. 오프셋협정을 위한 원칙(Principles for Offset Agreements) 215

부록 1.7. Elsevier와의 협정에 대한 Q & A(Q&A's for the agreement with Elsevier(VSNU, Netherlands)) 223

부록 2. 오픈 액세스 관련 홍보 자료 소개 227

부록 2.1. Schmitt J. Can't Disrupt This: Elsevier and the 25.2 Billion Dollar A Year Academic Publishing Business. Medium.com on 22 December, 2015(연간 30조원 수익을 내는 엘스비어의 학술저널 출판 사업을 혁신할 수 있을까?) 228

부록 2.2. 서정욱, OA2020의 의미를 설명합니다. 2016. 240

부록 2.3. 서정욱, 오픈 액세스를 향한 새로운 발걸음: 학술 저널의 비용 부담 방식 전환에 대한 베를린 회의. Open and Creative. December 24, 2015. 243

부록 2.4. 서정욱, 학술저널 출판의 새로운 변화: 기존 학술지의 오픈 액세스 전환을 주제로 열린 베를린 오픈 액세스 컨퍼런스. 246

부록 2.5. 서정욱, 점유에서 합리적 공유로…'오픈 액세스’와 출판 패러다임 변화. 블로터닷넷. 2016. 250

판권기 255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EM0000065053 ER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