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경북 울진군 산포지구 연안정비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 보고서 / 해양수산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해양수산부, 2016
청구기호
627.58 -16-10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1책(면수복잡)(접지 6장) : 삽화, 지도, 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639345
주기사항
[연구기관]: (주)대영엔지니어링, (주)한국항만기술단, (주)세일종합기술공사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경상북도 울진군 산포지구 연안정비사업 조감도

목차

제1장 총설 45

1.1. 과업의 목적 46

1.2. 과업의 위치 46

1.3. 과업의 기간 46

1.4. 과업의 내용 및 범위 46

1.5. 과업추진 경위 47

1.6. 과업추진 현황 48

1.7. 과업 수행결과 요약 48

1.7.1. 침식원인 종합분석 48

1.7.2. 해안침식 방지대책 수립 51

제2장 기초자료조사 58

2.1. 자연조건조사 59

2.1.1. 지형 및 지세 59

2.1.2. 기상조건 59

2.1.3. 해상조건 71

2.1.4. 작업 가능일수 산정 80

2.2. 입지여건조사 83

2.2.1. 인문·사회현황 83

2.2.2. 산업 및 경제현황 85

2.2.3. 토지이용현황 88

2.2.4. 도로현황 89

2.2.5. 전력 및 수도현황 89

2.2.6. 기반시설여건 90

2.2.7. 문화관광현황 92

2.2.8. 하천현황 94

2.2.9. 광업권현황 99

2.3. 어항현황조사 101

2.3.1. 어항위치 101

2.3.2. 어항현황 102

2.3.3. 어업권현황 103

2.4. 기존자료검토 105

2.4.1. 2014년 연안침식 모니터링(경상북도, 2015) 105

2.4.2. 울진 해안도로(산포~오산) 긴급복구공사 실시설계(경상북도 종합건설사업소 북부지소, 2014.10) 108

2.5. 관련계획검토 114

2.5.1. 상위 관련계획 검토 114

2.5.2. 지역 관련계획 검토 130

2.6. 국내·외 연안정비사업 사례조사 142

2.6.1. 국내사례 1 - 구산항 해안침식 방지시설 142

2.6.2. 국내사례 2 - 죽변면 봉평지구 연안정비사업 144

2.6.3. 국내사례 3 - 강문지구 해안침식 방지시설 146

2.6.4. 해외사례 1 - 미국 하와이주 오하우 해안 148

제3장 현지조사 150

3.1. 지형 및 수심측량 151

3.1.1. 조사개요 151

3.1.2. 지형측량 153

3.1.3. 수심측량 171

3.1.4. 지장물조사 177

3.2. 지반조사 187

3.2.1. 조사개요 187

3.2.2. 지형 및 지질 189

3.2.3. 조사결과 190

3.2.4. 설계적용 지반정수 산정 195

3.3. 재료원조사 204

3.3.1. 조사목적 204

3.3.2. 석재원 선정 205

3.4. 공사용 작업장 조사 208

3.4.1. 개요 208

3.4.2. 공사용 작업장 선정 209

제4장 해양조사 210

4.1. 조사개요 211

4.1.1. 조사목적 211

4.1.2. 조사내용 211

4.2. 파랑관측 214

4.2.1. 관측개요 214

4.2.2. 관측 및 분석방법 215

4.2.3. 관측결과 비교 226

4.3. 연속조류관측 232

4.3.1. 관측개요 232

4.3.2. 관측 및 자료분석 232

4.3.3. 관측결과 233

4.4. 해빈류관측 262

4.4.1. 관측개요 262

4.4.2. 관측 및 분석방법 263

4.4.3. 기상자료 265

4.4.4. 분석결과 266

4.5. 해빈단면 및 해안선조사 269

4.5.1. 조사개요 269

4.5.2. 조사방법 269

4.5.3. 조사결과 270

4.6. 단면수심조사 298

4.6.1. 조사개요 298

4.6.2. 조사결과 299

4.7. 해저질조사 303

4.7.1. 조사개요 303

4.7.2. 조사방법 304

4.7.3. 분석방법 305

4.7.4. 분석결과 306

4.8. 하천조사 316

4.8.1. 조사개요 316

4.8.2. 하천개황 317

4.8.3. 하천단면조사 및 유속관측결과 319

4.8.4. 입경분석결과 321

제5장 침식원인분석 324

5.1. 대상지 현황 325

5.1.1. 피해현황조사 325

5.2. 하천영향분석 334

5.2.1. 유사량 추정결과 검토 334

5.2.2. 유사량 산정 335

5.2.2. 하천골재 채취 현황 339

5.2.3. 수중보 건설현황 340

5.3. 항공사진 영상분석 345

5.3.1. 개요 345

5.3.2. 정사보정 영상의 제작 345

5.3.3. 정사영상 347

5.3.4. 항공사진을 이용한 해안선 추출 및 면적변화 분석 353

5.4. 침식원인분석 355

5.4.1. 수중보 및 골재채취에 따른 표사공급 감소 355

5.4.2. 해안도로 건설 영향 357

5.4.3. 기후변화로 인한 파랑강화 영향 359

5.4.4. 해수면 상승에 의한 영향 364

5.4.5. 현 지형의 표사이동 경향 분석 366

5.4.6. 침식원인 종합분석 375

제6장 수치모형실험 376

6.1. 수치모형실험의 개요 377

6.1.1. 실험의 목적 377

6.1.2. 실험안 378

6.2. 파랑변형실험 379

6.2.1. 실험개요 379

6.2.2. 사용모형(SWAN 모형) 380

6.2.3. 모형수립 389

6.2.4. 실험결과 394

6.3. 해빈류실험 411

6.3.1. 실험개요 411

6.3.2. 사용모형(SWASH 모형) 412

6.3.3. 모형수립 414

6.3.4. 검증실험 415

6.3.5. 실험결과 416

6.4. 표사이동실험 425

6.4.1. 실험개요 425

6.4.2. 사용모형(BOUSS-2D 모형, SEDIM 모형) 426

6.4.3. 모형수립 434

6.4.4. 실험결과 435

6.5. 해안선변형실험 443

6.5.1. 실험개요 443

6.5.2. 사용모형 443

6.5.3. 실험조건 450

6.5.4. 실험결과 454

6.6. 해빈단면실험 459

6.6.1. 실험개요 459

6.6.2. 사용모형(SBEACH 모형) 460

6.6.3. 실험조건 462

6.6.4. 실험결과 464

6.7. 수치파동수조실험 468

6.7.1. 실험개요 468

6.7.2. 사용모형(CADMAS-Surf 모형) 468

6.7.3. 실험조건 473

6.7.4. 실험결과 476

6.8. 해수유동실험 483

6.8.1. 실험개요 483

6.8.2. 사용모형(EFDC 모형) 484

6.8.3. 모형수립 491

6.8.4. 검증실험 491

6.8.5. 실험결과 494

6.9. 부유사확산실험 512

6.9.1. 실험개요 512

6.9.2. 사용모형(EFDC 모형) 512

6.9.3. 실험조건 515

6.9.4. 실험결과 518

제7장 해안침식 방지대책 수립 525

7.1. 개요 526

7.2. 대책공법의 목표기능 설정 526

7.2.1. 호안 세굴방지 기능 526

7.2.2. 파랑, 해빈류 저감 기능 526

7.2.3. 표사이동제어 기능 527

7.3. 대책공법의 적용성 검토 527

7.3.1. 예비 검토 527

7.3.2. 적용 가능 공법별 목표기능 평가 및 검토 530

7.4. 평면배치계획 수립 531

7.4.1. 기본 목표 및 방향 531

7.4.2. 평면배치안별 비교 531

7.5. 해안선 목표유지 해안선 제시 544

7.5.1. 개요 544

7.5.2. 검토방법 544

7.5.3. 목표유지 해안선 산정결과 546

제8장 기본 및 실시설계 547

8.1. 개요 548

8.1.1. 기본방향 548

8.1.2. 기본목표 548

8.1.3. 기본 및 실시설계 범위 548

8.2. 설계조건 549

8.2.1. 주요 시방서 및 기준 549

8.2.2. 자연조건 551

8.2.3. 하중조건 552

8.2.4. 사용재료의 특성 553

8.2.5. 허용안전율 및 기타조건 555

8.2.6. 토질조건 556

8.2.7. 내진설계기준 557

8.3. 침식방지시설공(돌제+잠제) 558

8.3.1. 개요 558

8.3.2. 설계조건 559

8.3.3. 돌제 기본제원 결정 561

8.3.4. 잠제 기본제원 결정 565

8.3.5. 침식방지시설(돌제+잠제) 단면결정 569

8.3.6. 침식방지시설 세부단면 검토 574

8.4. 호안보강공 589

8.4.1. 개요 589

8.5. 구조물 안정검토 591

8.5.1. 과업구역 현황 591

8.5.2. 설계기준 592

8.5.3. 안정성 검토단면 596

8.5.4. 기초지반 안정성 평가 방법 600

8.5.5. 구간별 안정성 검토 601

8.5.6. 안정성 검토결과 607

8.5.7. 시공중 기존옹벽 안정 검토 609

8.5.8. 돌제 및 잠제구간 침하 검토 613

8.5.9. 기존호안 보강구간 침하 검토 617

8.5.10. 액상화 평가 619

8.6. 해빈복원공 625

8.6.1. 개요 625

8.6.2. 해빈복원 단면 제원 결정 625

8.7. 친수시설공 630

8.7.1. 진입계단 검토 631

8.8. 안전표지시설 632

8.8.1. 안전표지시설의 검토 632

8.8.2. 안전표지시설의 비교 634

8.8.3. 안전표지시설의 평면배치 636

8.9. 부대공 638

8.9.1. 블록 제작장 638

8.9.2. 공사용 적출장 및 임시 사토장 641

8.9.3. 오탁방지막 643

8.9.4. 공사용 등부표 649

8.9.5. 계측 및 사전 지반조사계획 650

제9장 건설계획 656

9.1. 개요 657

9.1.1. 개요 657

9.1.2. 수립단계별 검토사항 657

9.2. 단계별 건설계획 659

9.2.1. 건설계획 659

9.2.2. 단계별 건설계획 661

9.3. 건설관리 계획 664

9.3.1. 공사관리 운영계획 664

9.3.2. 공사관리 시행계획 664

9.4. 안전관리 계획 666

9.4.1. 개요 666

9.4.2. 공사장비의 안전관리 대책 667

9.4.3. 시공중 구조물의 피해예방 대책 668

9.4.4. 기타 안전관리 669

9.5. 품질관리 계획 671

9.5.1. 품질관리 목표 671

9.5.2. 품질관리 수행 흐름도 671

9.5.3. 공종별 품질관리 672

9.5.4. 품질시험 계획 673

9.6. 공사규모 674

9.6.1. 개요 674

9.6.2. 공사범위 674

9.6.3. 주요물공량 674

9.6.4. 건설 공사비 675

9.6.5. 시공 순서 677

9.6.6. 예정공정표 683

9.7. 모니터링 계획 685

9.7.1. 연안침식방지사업의 사업단계별 검토사항 685

9.7.2. 시공중 및 사후관리단계에서의 모니터링 계획 686

9.7.3. 모니터링 시행계획 주안점 687

제10장 해역이용협의 689

10.1. 해역이용협의 실시근거 690

10.2. 해역이용협의 대상지역 설정 690

10.2.1. 대상지역 설정 690

10.2.2. 예측기법 692

10.3. 평가항목 설정 692

10.4. 평가항목별 현황조사·영향예측·저감방안 693

10.4.1. 현황조사 693

10.4.2. 영향예측 715

10.4.3. 저감방안 718

10.5. 해양환경영향조사 계획 718

10.5.1. 조사기간 718

10.5.2. 해양환경조사 내용 718

10.6. 해역이용협의 협의의견 및 조치계획 721

10.6.1. 해역이용협의 협의의견 721

10.6.2. 해역이용협의 협의의견 조치계획 725

제11장 경제성검토(VE) 737

11.1. VE 개요 738

11.1.1. 경제성검토 배경 및 목적 738

11.1.2. 경제성검토 기본방향 738

11.1.3. 경제성검토 목표 738

11.2. 사업개요 및 설계VE 수행 739

11.3. VE 수행결과 742

11.4. 기술검토회의 744

제12장 별첨 746

12.1. 평면별 공사비 산정 747

12.1.1. 평면 1안 748

12.1.2. 평면 2안 753

12.1.3. 평면 3-1안 754

12.1.4. 평면 3-2안 756

12.2. 단면별 공사비 산정 763

12.2.1. 돌제 763

12.2.2. 잠제 766

12.3. 착수보고 및 제1차 자문보고회 768

12.3.1. 보고회 개요 768

12.3.2. 자문내용 768

12.3.3. 주요의견 및 조치계획 768

12.3.4. 참석자 명단 774

12.3.5. 현장사진첩 775

12.4. 제1차 주민설명회 776

12.4.1. 설명회 개요 776

12.4.2. 주요설명내용 776

12.4.3. 주요의견 및 조치계획 776

12.4.4. 참석자 명단 777

12.4.5. 현장사진첩 778

12.5. 중간보고회 및 제2차 자문보고회 779

12.5.1. 보고회 개요 779

12.5.2. 주요설명내용 779

12.5.3. 관계기관 및 관계자 주요의견 및 조치계획 780

12.5.4. 전문가 자문의견 및 조치계획 781

12.5.5. 참석자 명단 782

12.5.6. 현장사진첩 783

12.6. 제3차 전문가 자문 784

12.6.1. 회의 개요 784

12.6.2. 주요설명내용 784

12.6.3. 전문가 자문 주요내용 784

12.6.4. 전문가 자문 세부의견 및 조치계획 784

12.6.5. 참석자 명단 786

12.6.6. 현장사진첩 787

12.7. 제2차 주민설명회 788

12.7.1. 설명회 개요 788

12.7.2. 주요설명내용 788

12.7.3. 주요의견 및 조치계획 788

12.7.4. 참석자 명단 789

12.7.5. 현장사진첩 791

12.8. 최종보고회 792

12.8.1. 보고회 개요 792

12.8.2. 자문내용 792

12.8.3. 주요의견 및 조치계획 792

12.8.4. 향후 계획 794

12.8.5. 참석자 명단 795

12.8.6. 현장사진첩 796

참여기술자 명단 797

〈표 1.4.1〉 과업의 내용 및 범위 47

〈표 1.7.1〉 남대천 및 왕피천의 보 건설연도 49

〈표 1.7.2〉 건설 공사비 56

〈표 1.7.3〉 연차별 공사비 56

〈표 2.1.1〉 기상개요 60

〈표 2.1.2〉 월별기온 60

〈표 2.1.3〉 월평균 강수량 61

〈표 2.1.4〉 월별기압 62

〈표 2.1.5〉 월별습도 63

〈표 2.1.6〉 안개일수 64

〈표 2.1.7〉 천기일수 65

〈표 2.1.8〉 월별풍속 65

〈표 2.1.9〉 풍향별·계급별 출현율 66

〈표 2.1.10〉 태풍의 구분 68

〈표 2.1.11〉 울진지역에 영향을 미친 주요 태풍 69

〈표 2.1.12〉 조석의 조화상수 및 비조화상수 71

〈표 2.1.13〉 50년 빈도 심해설계파 제원 비교 73

〈표 2.1.14〉 50년 빈도 심해설계파 제원 73

〈표 2.1.15〉 10년 빈도 심해설계파 제원 비교 74

〈표 2.1.16〉 10년 빈도 심해설계파 제원 74

〈표 2.1.17〉 P6 격자점 월별-파향별 발생횟수 76

〈표 2.1.18〉 P6 격자점 월별-파향별 발생빈도 76

〈표 2.1.19〉 P6 격자점 파고-파향별 발생횟수 77

〈표 2.1.20〉 P6 격자점 파고-파향혈 발생빈도 77

〈표 2.1.21〉 산포지구 평상파랑 제원 79

〈표 2.1.22〉 산포지구 이상파랑 제원 80

〈표 2.1.23〉 작업 불가능일수 산정기준 80

〈표 2.1.24〉 작업 불가능일수 81

〈표 2.1.25〉 작업 가능일수 산정 82

〈표 2.2.1〉 세대 및 인구현황 83

〈표 2.2.2〉 행정구역현황 84

〈표 2.2.3〉 주택현황 및 보급 84

〈표 2.2.4〉 교육시설 및 학생수 현황 84

〈표 2.2.5〉 농가 및 경지면적 85

〈표 2.2.6〉 어가 및 어가인구 85

〈표 2.2.7〉 수산 어획고 86

〈표 2.2.8〉 어선보유현황 86

〈표 2.2.9〉 임상별 산림면적 87

〈표 2.2.10〉 광업 및 제조업 87

〈표 2.2.11〉 토지지목별 현황 88

〈표 2.2.12〉 도로현황 89

〈표 2.2.13〉 전력사용현황 90

〈표 2.2.14〉 급수사용량 90

〈표 2.2.15〉 자동차 등록현황 91

〈표 2.2.16〉 상수도현황 91

〈표 2.2.17〉 하수도현황 91

〈표 2.2.18〉 문화재현황 92

〈표 2.2.19〉 관광객현황 93

〈표 2.2.20〉 왕피천 수계 하천 현황 96

〈표 2.2.21〉 남대천 수계 하천 현황 98

〈표 2.2.22〉 울진군내 소하천 현황 98

〈표 2.2.23〉 광업권현황 99

〈표 2.2.24〉 채취현황 99

〈표 2.3.1〉 어업권현황 103

〈표 2.4.1〉 2013 ~ 2014년 측량결과 106

〈표 2.4.2〉 복구연장 111

〈표 2.5.1〉 추진전락별 세부과제(2001 ~ 2020) 118

〈표 2.5.2〉 제2차 연안정비 변경계획 선정사업의 지역별 분포 128

〈표 2.5.3〉 제2차 연안정비기본계획 울진군 사업지구 129

〈표 2.6.1〉 구산항 잠제 제원 142

〈표 2.6.2〉 봉평지구 잠제 제원 144

〈표 2.6.3〉 강문지구 잠제 제원 146

〈표 2.6.4〉 Ewa Beach T형 돌제 제원 148

〈표 3.1.1〉 측량과업 범위 151

〈표 3.1.2〉 조사장비 151

〈표 3.1.3〉 ProMark800 제원 154

〈표 3.1.4〉 기준점 좌표 157

〈표 3.1.5〉 점의조서 158

〈표 3.1.6〉 DiNi 12 제원 162

〈표 3.1.7〉 점검계산의 허용범위 162

〈표 3.1.8〉 기본수준점 성과표(죽변) 163

〈표 3.1.9〉 광파측정기(Total Station) 제원 165

〈표 3.1.10〉 수중 음속단면측정기 제원 171

〈표 3.1.11〉 인공위성위치측정기 제원 172

〈표 3.1.12〉 오·측심 및 위치오차 자료 제거 174

〈표 3.1.13〉 조위 관측자료 175

〈표 3.1.14〉 박스 조서 182

〈표 3.1.15〉 흄관 조서 182

〈표 3.1.16〉 표지판 조서 182

〈표 3.1.17〉 전력주 조서 183

〈표 3.1.18〉 통신맨홀 조서 184

〈표 3.1.19〉 통신주 조서 185

〈표 3.1.20〉 이정표 조서 185

〈표 3.1.21〉 제수변 조서 186

〈표 3.1.22〉 상수맨홀 조서 186

〈표 3.1.23〉 우수맨홀 조서 186

〈표 3.1.24〉 반사경 조서 186

〈표 3.2.1〉 조사기간 188

〈표 3.2.2〉 조사장비 188

〈표 3.2.3〉 지질특성 분석 189

〈표 3.2.4〉 공별 지층현황 190

〈표 3.2.5〉 N값 분포현황 193

〈표 3.2.6〉 기본물성시험 결과 194

〈표 3.2.7〉 토공 재료의 개략적인 단위중량(표준품셈) 195

〈표 3.2.8〉 토공재료의 개략적인 토질정수(일본) 196

〈표 3.2.9〉 원지반의 개략적인 토질정수 196

〈표 3.2.10〉 풍화토 및 풍화암의 개략적인 토질정수 197

〈표 3.2.11〉 N값으로 파악되는 지반공학적 특성 197

〈표 3.2.12〉 N값과 연경도 관계 198

〈표 3.2.13〉 N값과 모래의 상대밀도 및 내부마찰각 관계 198

〈표 3.2.14〉 흙 종류별 모래의 N값과 마찰각의 관계식 198

〈표 3.2.15〉 N값과 내부마찰각의 상관관계 199

〈표 3.2.16〉 내부마찰각 분석 200

〈표 3.2.17〉 풍화토의 일반적인 특성 201

〈표 3.2.18〉 풍화토의 설계지반정수 202

〈표 3.2.19〉 풍화암의 물성관련 문헌내용 202

〈표 3.2.20〉 풍화암의 설계지반정수 202

〈표 3.2.21〉 단위중량 202

〈표 3.2.22〉 강도정수 203

〈표 3.2.23〉 연암층의 설계지반정수 203

〈표 3.2.24〉 토질종류별 설계지반정수 203

〈표 3.3.1〉 석재원 비교표 205

〈표 3.4.1〉 제작장 후보지 검토 209

〈표 4.1.1〉 해향조사개요 211

〈표 4.2.1〉 파랑관측 개요 214

〈표 4.2.2〉 파고계의 제원 215

〈표 4.2.3〉 유의파의 파고·주기별 출현빈도(W-1, 하계) 216

〈표 4.2.4〉 유의파의 파고·주기별 출현율(W-1, 하계) 216

〈표 4.2.5〉 유의파의 파고·주기별 출현빈도(W-2, 동계) 217

〈표 4.2.6〉 유의파의 파고·주기별 출현율(W-2, 동계) 217

〈표 4.2.7〉 관측정점별 유의파고 출현빈도(W-1, 하계) 226

〈표 4.2.8〉 관측정점별 유의파고 출현율(W-1, 하계) 227

〈표 4.2.9〉 관측정점별 유의파고 출현빈도(W-2, 동계) 228

〈표 4.2.10〉 관측정점별 유의파고 출현율(W-2, 동계) 229

〈표 4.2.11〉 관측정점별 유의파고 현황 231

〈표 4.3.1〉 연속조류관측 개요 232

〈표 4.3.2〉 유속계 제원 233

〈표 4.3.3〉 유속·유향 출현율(PC-1, 표층, 하계) 241

〈표 4.3.4〉 유속·유향 출현율(PC-1, 중층, 하계) 241

〈표 4.3.5〉 유속·유향 출현율(PC-1, 저층, 하계) 241

〈표 4.3.6〉 유속·유향 출현율(PC-2, 표층, 동계) 242

〈표 4.3.7〉 유속·유향 출현율(PC-2, 중층, 동계) 242

〈표 4.3.8〉 유속·유향 출현율(PC-2, 저층, 동계) 242

〈표 4.3.9〉 유속 통계결과 245

〈표 4.3.10〉 조류 조화분해결과(PC-1, 표층, 하계) 248

〈표 4.3.11〉 조류 조화분해결과(PC-1, 중층, 하계) 249

〈표 4.3.12〉 조류 조화분해결과(PC-1, 저층, 하계) 250

〈표 4.3.13〉 조류 조화분해결과(PC-2, 표층, 동계) 251

〈표 4.3.14〉 조류 조화분해결과(PC-2, 중층, 동계) 252

〈표 4.3.15〉 조류 조화분해결과(PC-2, 저층, 동계) 253

〈표 4.4.1〉 해빈류관측 개요 262

〈표 4.4.2〉 해빈류관측 위치(하계) 262

〈표 4.4.3〉 해빈류관측 위치(동계) 263

〈표 4.4.4〉 해빈류관측 시 풍향, 풍속 자료(2015년 8월 20일, 하계) 265

〈표 4.4.5〉 해빈류관측 시 풍향, 풍속 자료(2016년 2월 22일, 동계) 266

〈표 4.4.6〉 해빈류 관측결과(하계) 267

〈표 4.4.7〉 해빈류 관측결과(동계) 268

〈표 4.5.1〉 해빈단면 및 해안선조사 개요 269

〈표 4.5.2〉 기선별 해빈폭 변화 271

〈표 4.5.3〉 기선별 단면수심 최대편차 및 발생위치(수심) 278

〈표 4.6.1〉 단면수심조사 개요 298

〈표 4.7.1〉 해저질조사 개요 303

〈표 4.7.2〉 해저질조사 정점 좌표 및 수심 304

〈표 4.7.3〉 분급도 및 편왜도의 분류 305

〈표 4.7.4〉 정점별 입경분석 결과 314

〈표 4.8.1〉 하천조사 개요 316

〈표 4.8.2〉 정점별 입경분석 결과 321

〈표 5.1.1〉 긴급복구공사 전경 및 복구 현황 330

〈표 5.1.2〉 긴급복구공사 전경 및 복구 현황 333

〈표 5.2.1〉 왕피천 경험공식별 유사량 334

〈표 5.2.2〉 남대천 경험공식별 유사량 334

〈표 5.2.3〉 강수량-유량 상관관계식 335

〈표 5.2.4〉 남대천 월별 유량 336

〈표 5.2.5〉 왕피천 월별 유량 336

〈표 5.2.6〉 유량-유사량 관계식 337

〈표 5.2.7〉 남대천 연간 월별 유사량 338

〈표 5.2.8〉 왕피천 연간 월별 유사량 338

〈표 5.2.9〉 하천유사량 추정결과 339

〈표 5.2.10〉 하천골재 채취현황 339

〈표 5.2.11〉 왕피천 수중보 현황 340

〈표 5.2.12〉 남대천 수중보 현황 342

〈표 5.3.1〉 항공사진의 제원 345

〈표 5.3.2〉 울진군 산포지구의 해빈면적 변화 354

〈표 5.4.1〉 남대천 및 왕피천의 보 건설현황 356

〈표 5.4.2〉 6개 파랑관측 지점의 이상파랑 관측 결과(2005년 10월 ~ 2008년 2월) 362

〈표 5.4.3〉 해역별 지각변동 속도 및 해수면 상승률 364

〈표 5.4.4〉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산포지구 해안선 후퇴율 366

〈표 5.4.5〉 구역별 수심변화량 및 태풍영향 횟수 368

〈표 5.4.6〉 장기파랑산출자료 분석결과 373

〈표 6.1.1〉 수치모형실험의 항목과 목적 377

〈표 6.1.2〉 실험안 378

〈표 6.2.1〉 파랑변형실험의 개요 379

〈표 6.2.2〉 50년 빈도 심해설계파 제원 비교 392

〈표 6.2.3〉 50년 빈도 심해설계파 제원 392

〈표 6.2.4〉 10년 빈도 심해설계파 제원 비교 393

〈표 6.2.5〉 10년빈도 심해설계파 제원 393

〈표 6.2.6〉 구조 설계파 산정결과 394

〈표 6.3.1〉 해빈류실험의 개요 411

〈표 6.3.2〉 관측위치별 해빈류 유속 검증결과 416

〈표 6.4.1〉 표사이동 실험의 개요 425

〈표 6.4.2〉 구역별 침식 및 퇴적량 산정결과 437

〈표 6.5.1〉 해안선변형실험의 개요 443

〈표 6.5.2〉 총유사량 산정 결과 452

〈표 6.5.3〉 하천 부유사, 소류사 및 하상토 입도 분석결과 452

〈표 6.5.4〉 월간 검증 유사량 453

〈표 6.5.5〉 연간 검증 유사량 453

〈표 6.5.6〉 실험안별 평균해빈폭 예측 결과 455

〈표 6.6.1〉 해빈단면실험의 개요 459

〈표 6.7.1〉 수치파동수조실험의 개요 468

〈표 6.7.2〉 공극률, 저항계수, 관성계수 값 474

〈표 6.7.3〉 배후지의 중요도 고려한 허용 월파랑 476

〈표 6.7.4〉 해안도로 영향 검토실험 월파랑 측정 결과 476

〈표 6.7.5〉 계획안 월파검토 실험결과(50년빈도 설계파) 477

〈표 6.8.1〉 해수유동실험의 개요 483

〈표 6.8.2〉 유속 및 수위 관측개요 492

〈표 6.8.3〉 해수유동 모델의 잔차류 검증 결과 494

〈표 6.9.1〉 부유사확산실험의 개요 512

〈표 6.9.2〉 부유사 발생원단의의 평균치 517

〈표 6.9.3〉 부유사 발생량 산정 517

〈표 6.9.4〉 농도별 확산면적 및 저감율 518

〈표 7.3.1〉 강성공법의 적용성 검토 528

〈표 7.3.2〉 연성공법의 적용성 검토 529

〈표 7.3.3〉 적용 가능 공법별 목표기능 평가 530

〈표 7.4.1〉 기본 목표 및 방향 구상안 531

〈표 7.4.2〉 시설 평면배치계획 개요 531

〈표 7.4.3〉 산포지구 해안침식 대책공법 평면배치안별 비교표 542

〈표 7.5.1〉 포물선식의 계수 545

〈표 7.5.2〉 평형해안선 산정에 사용 된 파랑조건 및 수직거리 545

〈표 7.5.3〉 목표 연도별 목표유지 해안선 산정 결과 546

〈표 8.1.1〉 기본 및 실시설계 범위 548

〈표 8.2.1〉 관련법규 549

〈표 8.2.2〉 국내시방서 및 기준서 550

〈표 8.2.3〉 국외 참고도서 550

〈표 8.2.4〉 설계조위 551

〈표 8.2.5〉 설계파랑 551

〈표 8.2.6〉 설계조류속 551

〈표 8.2.7〉 설계풍속 552

〈표 8.2.8〉 상재하중 552

〈표 8.2.9〉 재료의 단위체적중량 552

〈표 8.2.10〉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 553

〈표 8.2.11〉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 553

〈표 8.2.12〉 철근의 탄성계수 553

〈표 8.2.13〉 강재의 물리적특성 553

〈표 8.2.14〉 구조용 강재의 허용응력도 554

〈표 8.2.15〉 강재의 부식속도 554

〈표 8.2.16〉 기준 안전율 555

〈표 8.2.17〉 허용 지지력 555

〈표 8.2.18〉 허용 잔류침하량 555

〈표 8.2.19〉 마찰계수 556

〈표 8.2.20〉 토질별 안정경사 556

〈표 8.2.21〉 기초지반 설계적용 물성 556

〈표 8.2.22〉 축조재 설계적용 물성 556

〈표 8.2.23〉 내진설계기준 557

〈표 8.2.24〉 지반의 분류 557

〈표 8.3.1〉 침식방지시설(돌제+잠제) 설계파고 559

〈표 8.3.2〉 설계조위 산정 559

〈표 8.3.3〉 설계적용 조위 559

〈표 8.3.4〉 기준조의 560

〈표 8.3.5〉 한국 연안의 주요 항만의 최극조위 560

〈표 8.3.6〉 폭풍해일고 (후포항의 재기년도별 해일고 추산 결과) 561

〈표 8.3.7〉 지진해일고 (동해안 연안항 (5개) 최대 지진해일고) 561

〈표 8.3.8〉 돌제선단부(일반구간 및 두부구간) 마루높이 산정결과 562

〈표 8.3.9〉 돌제의 선단수심(길이)에 따른 연안표사 포착 산정결과 563

〈표 8.3.10〉 미국 하와이 EWA BEACH 돌제군 사례 564

〈표 8.3.11〉 산포지구 돌제군 간격 564

〈표 8.3.12〉 이동한계 수심 공식의 계수 n 및 α값 565

〈표 8.3.13〉 이동한계파고에 따른 목표파고 전달율(표층이동) 566

〈표 8.3.14〉 파고전달 산정을 위한 설계조건 566

〈표 8.3.15〉 설계파 적용시 잠제 규모별 파고전달률 567

〈표 8.3.16〉 이상파 적용시 잠제 규모별 파고전달률 567

〈표 8.3.17〉 목표 파고전달률을 만족하는 마루폭별 마루높이 568

〈표 8.3.18〉 마루높이 및 마루폭 적용사례 568

〈표 8.3.19〉 잠제의 마루폭, 마루높이 결정 568

〈표 8.3.20〉 돌제 단면형식 비교표 569

〈표 8.3.21〉 잠제 단면형식 비교표 572

〈표 8.3.22〉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방법에 의한 쇄파수심 판정 576

〈표 8.3.23〉 S.P.M 방법에 의한 쇄파고 판정 577

〈표 8.3.24〉 S.P.M 방법에 의한 쇄파대 범위 판정 579

〈표 8.3.25〉 쇄파대 검토 결과 579

〈표 8.3.26〉 피복재 산정 결과 581

〈표 8.3.27〉 중간 피복재 산정 결과 581

〈표 8.3.28〉 기준서별 형식 584

〈표 8.3.29〉 잠제 세굴방지공 비교 584

〈표 8.3.30〉 수심변화에 따른 세굴방지공 규모 585

〈표 8.3.31〉 세글방지공 규모 산정 588

〈표 8.5.1〉 기초지반 설계적용 물성 592

〈표 8.5.2〉 축조재 설계적용 물성 592

〈표 8.5.3〉 원호활동 허용안전울 593

〈표 8.5.4〉 허용침하기준 593

〈표 8.5.5〉 내진성능 목표 594

〈표 8.5.6〉 설계지반 운동수준 594

〈표 8.5.7〉 내진설계기준 595

〈표 8.5.8〉 지반의 분류 595

〈표 8.5.9〉 돌제 및 잠제구간 원호검토결과 607

〈표 8.5.10〉 적출장 구간 원호검토결과 607

〈표 8.5.11〉 기존호안 보강구간 원호검토결과 608

〈표 8.5.12〉 단위폭당 주동토압 및 전도모멘트 610

〈표 8.5.13〉 연직하중 및 저항모멘트 계산결과 611

〈표 8.5.14〉 단위폭당 수동토압 611

〈표 8.5.15〉 친수구간(시점부) 침하검토 결과 614

〈표 8.5.16〉 친수구간(1) 침하검토 결과 614

〈표 8.5.17〉 친수구간(2) 침하검토 결과 615

〈표 8.5.18〉 일반구간 침하검토 결과 615

〈표 8.5.19〉 두부구간 침하검토 결과 616

〈표 8.5.20〉 잠제구간 침하검토 결과 616

〈표 8.5.21〉 피복석 보강구간 침하검토 결과 618

〈표 8.5.22〉 액상화 검토 대상 선정기준 619

〈표 8.5.23〉 액상화 검토 대상지층 선정결과 621

〈표 8.5.24〉 액상화 검토결과 623

〈표 8.6.1〉 후빈고 산정제원 625

〈표 8.6.2〉 후빈고 산정을 위한 제안식 625

〈표 8.6.3〉 후빈고 검토결과 626

〈표 8.6.4〉 양빈경사 산정제원 627

〈표 8.6.5〉 양빈경사 검토결과 627

〈표 8.6.6〉 평균해빈폭 검토결과 628

〈표 8.6.7〉 해빈복원 단면 제원 628

〈표 8.7.1〉 하중조합 631

〈표 8.7.2〉 단면력도 631

〈표 8.7.3〉 단면력 집계 631

〈표 8.8.1〉 안전표지시설 비교 634

〈표 8.8.2〉 광파표지시설 비교 634

〈표 8.8.3〉 등표 기초영식에 따른 비교 635

〈표 8.9.1〉 BLOCK별 제작수량 638

〈표 8.9.2〉 제작상 후보지 검토 640

〈표 8.9.3〉 오탁방지막 설계기준 643

〈표 8.9.4〉 설계외력 644

〈표 8.9.5〉 막체제원 결정 644

〈표 8.9.6〉 돌망태 Anchor 제원 645

〈표 8.9.7〉 Wire Rope 결정 645

〈표 8.9.8〉 오탁방지막 단계별 계획 648

〈표 8.9.9〉 공사용등부표 선정 649

〈표 8.9.10〉 계측관리 목적별 주요 관리사항 650

〈표 8.9.11〉 계측항목 및 목적 652

〈표 8.9.12〉 계측항목 및 수량 653

〈표 8.9.13〉 계측기 측정빈도 654

〈표 8.9.14〉 계측기 보호방안 654

〈표 8.9.15〉 조사 항목 및 수량 655

〈표 9.2.1〉 사전조사 항목 및 내용 661

〈표 9.2.2〉 작업 가능일수 662

〈표 9.6.1〉 공사범위 674

〈표 9.6.2〉 주요 물공량 674

〈표 9.6.3〉 건설 공사비 675

〈표 9.6.4〉 연차별 공사비 676

〈표 9.6.5〉 주요 공종별 공사기간 산출근거 676

〈표 9.7.1〉 연안침식 단계별 관리내용 685

〈표 9.7.2〉 주요 검토항목 686

〈표 9.7.3〉 모니터링 계획 686

〈표 9.7.4〉 조사 수량 및 기간 687

〈표 9.7.5〉 모니터링 금액 688

〈표 10.1.1〉 해역이용협의 실시근거 690

〈표 10.2.1〉 환경영향 예측·분석 기법 692

〈표 10.3.1〉 평가항목 설정 693

〈표 10.4.1〉 현황조사 계획 693

〈표 10.4.2〉 해양화약 분석방법 및 측정원리 698

〈표 10.4.3〉 해향퇴적물 분석방법 701

〈표 10.4.4〉 해양화학 조사결과 706

〈표 10.4.5〉 해양환경기준(해수수질) 708

〈표 10.4.6〉 해향퇴적물 조사결과 711

〈표 10.4.7〉 수저준설토사 오염도 조사결과 712

〈표 10.4.8〉 해앙환경기준(해저퇴적물) 713

〈표 10.4.9〉 수저준설토사 오염도 기준 713

〈표 10.5.1〉 해향환경영향조사 계획 719

〈표 10.6.1〉 해역이용협의 협의의견 조치계획 725

〈그림 1.2.1〉 과업 위치도 46

〈그림 1.7.1〉 하천골재 채취현황 48

〈그림 1.7.2〉 남대천, 왕피천의 보 건설 연혁 49

〈그림 1.7.3〉 울진군 산포지구의 연도별 해빈면적변화 49

〈그림 1.7.4〉 해안도로 확장 및 직립·옹벽 영향검토 50

〈그림 1.7.5〉 연안표사량 추정결과 50

〈그림 1.7.6〉 연도별 3.0m 이상의 유의파고 출현횟수(동해부이) 51

〈그림 1.7.7〉 2.0m 이상 유의파고의 년평균치 증가율(동해부이) 51

〈그림 1.7.8〉 평면배치계획 52

〈그림 1.7.9〉 목표유지 해안선(평형해안선) 위치도 52

〈그림 1.7.10〉 돌제 표준단면도(천수구간) 53

〈그림 1.7.11〉 돌제 표준단면도(간부구간) 53

〈그림 1.7.12〉 돌제 표준단면도(두부구간) 53

〈그림 1.7.13〉 잠제 표준단면도 54

〈그림 1.7.14〉 호안보강 표준단면도(피목석 보강) 54

〈그림 1.7.15〉 호안보강 표준단면도(T.T.P 난적 보강) 54

〈그림 1.7.16〉 해빈복원 표준단면도(호안보강구간) 55

〈그림 1.7.17〉 해빈복원 표준단면도(기존호안보강 구간) 55

〈그림 1.7.18〉 해안 접근로 조성 위치도 55

〈그림 1.7.19〉 예정 공정표 57

〈그림 2.1.1〉 월별기온 분포도 61

〈그림 2.1.2〉 강수량 분포도 62

〈그림 2.1.3〉 월별기압 분포도 63

〈그림 2.1.4〉 습도 분포도 64

〈그림 2.1.5〉 바람장미도 67

〈그림 2.1.6〉 태풍경로도 (1993 ~ 2015년) 70

〈그림 2.1.7〉 심해설계파 격자점 72

〈그림 2.1.8〉 추산파랑 격자점 75

〈그림 2.1.9〉 P6 격자점 파랑강미도(2001.1.1 ~ 2013.12.31) 78

〈그림 2.2.1〉 근남면 국가지정문화재 92

〈그림 2.2.2〉 관광지현황 93

〈그림 2.2.3〉 왕피천 하천현황도 95

〈그림 2.2.4〉 남대천 하천현황도 97

〈그림 2.2.5〉 광업권 현황도 100

〈그림 2.3.1〉 어항위치도 101

〈그림 2.3.2〉 동정항 현황 102

〈그림 2.3.3〉 공세항 현황 102

〈그림 2.3.4〉 어업권 현황도 104

〈그림 2.4.1〉 울진군 근남면 산포리 해안 105

〈그림 2.4.2〉 해빈단면 측량기선위치 106

〈그림 2.4.3〉 침식발생 위치 및 현황 107

〈그림 2.4.4〉 울진 해안도로 복구공사 대상구간 108

〈그림 2.4.5〉 산포리 피해현황 109

〈그림 2.4.6〉 산포리 복구현황 109

〈그림 2.4.7〉 오산리 피해현황 110

〈그림 2.4.8〉 오산리 복구현황 110

〈그림 2.4.9〉 피해 예상지역 종합도 111

〈그림 2.4.10〉 복구 우선순위 111

〈그림 2.4.11〉 산포리 1구간 112

〈그림 2.4.12〉 산포리 2구간 112

〈그림 2.4.13〉 오산리 1구간 113

〈그림 2.4.14〉 오산리 2구간 113

〈그림 2.5.1〉 국가기간교통망계획 제2차 수정계획의 미래상 122

〈그림 2.5.2〉 울진군 해수욕장 발전 방향 133

〈그림 2.5.3〉 울진군 해수욕장 목표 134

〈그림 2.5.4〉 방향정 해수욕장 공간계획 134

〈그림 2.5.5〉 계획의 기조 및 목표 137

〈그림 2.6.1〉 구산항 잠제 평면도 142

〈그림 2.6.2〉 구산항 잠제 표준단면도 143

〈그림 2.6.3〉 구산해안 위성사진 143

〈그림 2.6.4〉 봉평지구 평면도 144

〈그림 2.6.5〉 잠제 표준단면도 145

〈그림 2.6.6〉 중항에드랜E(T형)표준단면도(제간부) 145

〈그림 2.6.7〉 중항해드랜드(T형)표준단면도(제두부) 145

〈그림 2.6.8〉 봉평지구 위성사진 146

〈그림 2.6.9〉 강문지구 평면도 146

〈그림 2.6.10〉 돌제 표준단면도 147

〈그림 2.6.11〉 잠제 표준단면도 147

〈그림 2.6.12〉 강문지구 위성사진 147

〈그림 2.6.13〉 T형 돌제평면도 148

〈그림 2.6.14〉 T영 돌제 표준단면도 149

〈그림 2.6.15〉 오하우 해안(구조물 설치 전) 149

〈그림 2.6.16〉 오하우 해안(구조물 설치 후) 149

〈그림 3.1.1〉 조사범위 152

〈그림 3.1.2〉 위성기준점 네트위크 153

〈그림 3.1.3〉 VRS-RTK 개념도 156

〈그림 3.1.4〉 GPS 기준점 망도 157

〈그림 3.1.5〉 SP.1 설치전경 158

〈그림 3.1.6〉 SP.2 설치전경 159

〈그림 3.1.7〉 SP.4 설치전경 159

〈그림 3.1.8〉 SP.5 설치전경 159

〈그림 3.1.9〉 수준 망도(죽변항-울진4) 160

〈그림 3.1.10〉 기분수준점 약도(죽변) 164

〈그림 3.1.11〉 지형종합도 166

〈그림 3.1.12〉 Bar-Check 및 기록지 172

〈그림 3.1.13〉 항적도 173

〈그림 3.1.14〉 수심분포도 176

〈그림 3.1.15〉 지장물 위치도 177

〈그림 3.1.16〉 지장물 조사 결과 181

〈그림 3.2.1〉 과업위치 187

〈그림 3.2.2〉 지반조사 위치도 187

〈그림 3.2.3〉 현장 현황 188

〈그림 3.2.4〉 지층단면도(A-A) 192

〈그림 3.2.5〉 지층단면도(B-B) 192

〈그림 3.2.6〉 지층단면도(C-C, D-D, E-E) 193

〈그림 3.2.7〉 사질토층 강도특성 관계도 199

〈그림 3.2.8〉 과업부지에 분포하는 모래현황 200

〈그림 3.2.9〉 내부마찰각 분석 201

〈그림 3.3.1〉 석재원 위치 204

〈그림 3.3.2〉 석산 전경 205

〈그림 3.3.3〉 토석채취허가증 206

〈그림 3.3.4〉 사업자 등록증 207

〈그림 3.4.1〉 공사용 작업장 후보지 위치 208

〈그림 4.1.1〉 해앙조사 위치도(하계) 212

〈그림 4.1.2〉 해향조사 위치도(동계) 213

〈그림 4.2.1〉 파랑관측 정점 214

〈그림 4.2.2〉 파고계 설치도 215

〈그림 4.2.3〉 파고관측결과(W-1, 하계) 218

〈그림 4.2.4〉 파고관측결과(W-2, 동계) 219

〈그림 4.2.5〉 주기관측결과(W-1, 하계) 220

〈그림 4.2.6〉 주기관측결과(W-2, 동계) 221

〈그림 4.2.7〉 파향관측결과(W-1, 하계) 222

〈그림 4.2.8〉 파향관측결과(W-2, 동계) 223

〈그림 4.2.9〉 유의파와 유의주기의 상관관계(W-1, 하계) 224

〈그림 4.2.10〉 유의파와 유의주기의 상관관계(W-2, 동계) 224

〈그림 4.2.11〉 유의파고의 파향분포(W-1, 하계) 225

〈그림 4.2.12〉 유의파고의 파향분포(W2, 동계) 225

〈그림 4.2.13〉 산포지구 전면과 동해부이 및 포청부이와의 유의파고 비교(W-1, 하계) 230

〈그림 4.2.14〉 산포지구 전면과 동해부이 및 포항부이와의 유의파고 비교(W-2, 동계) 230

〈그림 4.3.1〉 유속계 설치도 233

〈그림 4.3.2〉 조류관측결과(PC-1, 하계) 234

〈그림 4.3.3〉 조류관측결과(PC-2, 동계) 235

〈그림 4.3.4〉 조류관측결과(PC-1, 표층, 하계) 236

〈그림 4.3.5〉 조류관측결과(PC-1, 중층, 하계) 236

〈그림 4.3.6〉 조류관측결과(PC-1, 저층, 하계) 237

〈그림 4.3.7〉 조류관측결과(PC-2, 표층, 동계) 237

〈그림 4.3.8〉 조류관측결과(PC-2, 중층, 동계) 238

〈그림 4.3.9〉 조류관측결과(PC-2, 저층, 동계) 238

〈그림 4.3.10〉 조류 분산도(PC-1, 하계) 239

〈그림 4.3.11〉 조류 분산도(PC-2, 동계) 240

〈그림 4.3.12〉 유속·유향별 분산도(PC-1, 하계) 243

〈그림 4.3.13〉 유속·유향별 분산도(PC-2, 동계) 244

〈그림 4.3.14〉 조류타원도 모식도 247

〈그림 4.3.15〉 조류 타원도(PC-1, 표층, 하계) 254

〈그림 4.3.16〉 조류 타원도(PC-1, 중층, 하계) 255

〈그림 4.3.17〉 조류 타원도(PC-1, 저층, 하계) 256

〈그림 4.3.18〉 조류 타원도(PC-2, 표층, 동계) 257

〈그림 4.3.19〉 조류 타원도(PC-2, 중층, 동계) 258

〈그림 4.3.20〉 조류 타원도(PC-2, 저층, 동계) 259

〈그림 4.3.21〉 조류 진행 벡터도(PC-1, 하계) 260

〈그림 4.3.22〉 조류 진행 벡터도(PC-2, 동계) 261

〈그림 4.4.1〉 해빈류관측기 구성도 264

〈그림 4.4.2〉 해빈류관측 사진 264

〈그림 4.4.3〉 죽변관측소의 풍향·풍속 분산도 및 로즈다이어그램(하계) 265

〈그림 4.4.4〉 죽변관측소의 풍향·풍속 분산도 및 로즈다이어그램(동계) 266

〈그림 4.5.1〉 해빈단면 및 해안선조사 범위 269

〈그림 4.5.2〉 단면적 분석 범위 270

〈그림 4.5.3〉 기선 위치 및 기선별 해빈폭 변화(CP01 ~ CP08) 273

〈그림 4.5.4〉 기선 위치 및 기선별 해빈폭 변화(CP09 ~ CP16) 274

〈그림 4.5.5〉 기선 위치 및 기선별 해빈폭 변화(CP17 ~ CP24) 275

〈그림 4.5.6〉 기선 위치 및 기선별 해빈폭 변화(CP25 ~ CP32) 276

〈그림 4.5.7〉 기선 위치 및 기선별 해빈폭 변화(CP33 ~ CP37) 277

〈그림 4.5.8〉 기선별 단면변화(CP01) 279

〈그림 4.5.9〉 기선별 단면변화(CP02 ~ CP03) 280

〈그림 4.5.10〉 기선별 단면변화(CP04 ~ CP05) 281

〈그림 4.5.11〉 기선별 단면변화(CP06 ~ CP07) 282

〈그림 4.5.12〉 기선별 단면변화(CP08 ~ CP09) 283

〈그림 4.5.13〉 기선별 단면변화(CP10 ~ CP11) 284

〈그림 4.5.14〉 기선별 단면변화(CP12 ~ CP13) 285

〈그림 4.5.15〉 기선별 단면변화(CP14 ~ CP15) 286

〈그림 4.5.16〉 기선별 단면변화(CP16 ~ CP17) 287

〈그림 4.5.17〉 기선별 단면변화(CP18 ~ CP19) 288

〈그림 4.5.18〉 기선별 단면변화(CP20 ~CP21) 289

〈그림 4.5.19〉 기선별 단면변화(CP22 ~ CP23) 290

〈그림 4.5.20〉 기선별 단면변화(CP24 ~ CP25) 291

〈그림 4.5.21〉 기선별 단면변화(CP26 ~ CP27) 292

〈그림 4.5.22〉 기선별 단면변화(CP28 ~ CP29) 293

〈그림 4.5.23〉 기선별 단면변화(CP30 ~ CP31) 294

〈그림 4.5.24〉 기선별 단면변화(CP32 ~ CP33) 295

〈그림 4.5.25〉 기선별 단면변화(CP34 ~ CP35) 296

〈그림 4.5.26〉 기선별 단면변화(CP36 ~ CP37) 297

〈그림 4.6.1〉 단면수심조사 범위(항적도) 298

〈그림 4.6.2〉 단면수심조사 현장사진 299

〈그림 4.6.3〉 수심분포도(2015년 7월) 299

〈그림 4.6.4〉 수심분포도(2015년 10월) 300

〈그림 4.6.5〉 수심분포도(2015년 12월) 300

〈그림 4.6.6〉 수심분포도(2016년 2월) 301

〈그림 4.6.7〉 수심편차도(2015년 7월 ~ 2015년 10월) 301

〈그림 4.6.8〉 수심편차도(2015년 10월 ~ 2015년 12월) 302

〈그림 4.6.9〉 수심편차도(2015년 12월 ~ 2016년 2월) 302

〈그림 4.7.1〉 해저질조사 정점 303

〈그림 4.7.2〉 해저질조사 사진 304

〈그림 4.7.3〉 입도누적곡선(A01 ~ A03) 306

〈그림 4.7.4〉 입도누적곡선(B01 ~ B03) 307

〈그림 4.7.5〉 입도누적곡선(C01 ~ C03) 308

〈그림 4.7.6〉 입도누적곡선(D01 ~ D03) 309

〈그림 4.7.7〉 입도누적곡선(E01 ~ E03) 310

〈그림 4.7.8〉 입도누적곡선(F01 ~ F03) 311

〈그림 4.7.9〉 입도누적곡선(G01 ~ G03) 312

〈그림 4.7.10〉 입도누적곡선(H01 ~ H03) 313

〈그림 4.7.11〉 정점별 중앙입경 분포 315

〈그림 4.8.1〉 하천조사 수행범위 316

〈그림 4.8.2〉 하천조사 사진 317

〈그림 4.8.3〉 남대천 하구 단면 조사결과(1차 및 2차) 319

〈그림 4.8.4〉 왕피천 하구 단면 조사결과(1차 및 2차) 320

〈그림 4.8.5〉 입도누적곡선(남대천) 322

〈그림 4.8.6〉 입도누적곡선(왕피천) 323

〈그림 5.1.1〉 울진해안도로 피해구간 위치도(2012~2013년) 325

〈그림 5.1.2〉 피해현황 325

〈그림 5.1.3〉 계획평면도(산포리 1공구) 326

〈그림 5.1.4〉 표준단면도(산포리 1공구) 326

〈그림 5.1.5〉 계획경면도(산포리 2공구) 327

〈그림 5.1.6〉 표준단면도(산포리 2공구) 328

〈그림 5.1.7〉 표준단면도(산포리 2공구) 328

〈그림 5.1.8〉 울진해안도로 피해구간 위치도(2013~2014년) 329

〈그림 5.1.9〉 피해현황 329

〈그림 5.1.10〉 계획평면도(산포리 2공구) 330

〈그림 5.1.11〉 표준단면도(산포리 2공구) 330

〈그림 5.1.12〉 계획평면도 331

〈그림 5.1.13〉 표준단면도 332

〈그림 5.2.1〉 유량-유사량 회귀분석 결과 337

〈그림 5.3.1〉 수치지형도와 항공사진 보정(Global Mapper) 346

〈그림 5.3.2〉 항공 LIDAR 측량시 해안선 지표인 Wet/Dry 경계선 347

〈그림 5.3.3〉 1988년 10월 해안선 추출(A구역) 349

〈그림 5.3.4〉 1991년 05월 해안선 추출(A구역) 349

〈그림 5.3.5〉 1995년 10월 해안선 추출(A구역) 349

〈그림 5.3.6〉 2005년 05월 해안선 추출(A구역) 349

〈그림 5.3.7〉 2009년 10월 해안선 추출(A구역) 350

〈그림 5.3.8〉 2010년 10월 해안선 추출(A구역) 350

〈그림 5.3.9〉 2011년 10월 해안선 추출(A구역) 350

〈그림 5.3.10〉 2013년 10월 해안선 추출(A구역) 350

〈그림 5.3.11〉 1988년 10월 해안선 추출(B, C구역) 351

〈그림 5.3.12〉 1991년 05월 해안선 추출(B, C구역) 351

〈그림 5.3.13〉 1995년 10월 해안선 추출(B, C구역) 351

〈그림 5.3.14〉 2005년 05월 해안선 추출(B, C구역) 351

〈그림 5.3.15〉 2009년 10월 해안선 추출(B, C구역) 352

〈그림 5.3.16〉 2010년 10월 해안선 추출(B, C구역) 352

〈그림 5.3.17〉 2011년 10월 해안선 추출(B, C구역) 352

〈그림 5.3.18〉 2013년 10월 해안선 추출(B, C구역) 352

〈그림 5.3.19〉 울진군 산포지구의 연도별 해빈면적변화 353

〈그림 5.4.1〉 남대천, 왕피천의 보 건설 연혁 및 위치도 355

〈그림 5.4.2〉 하천골재 채취 현황 356

〈그림 5.4.3〉 해안도로 건설에 의한 해빈면적 감소(1988년 항공사진) 357

〈그림 5.4.4〉 해안도로 과거 피해 및 보강현황 358

〈그림 5.4.5〉 직립호안 전면 침식 및 호안붕괴 발생 모식도 359

〈그림 5.4.6〉 해안도로 확장 및 직립옹벽이 해빈에 미치는 영향 검토결과 359

〈그림 5.4.7〉 장기파랑산출자료(1979~2002)를 이용한 우리나라 유의파고 경향 360

〈그림 5.4.8〉 2005년 10월 21일~25일 관측결과 361

〈그림 5.4.9〉 2006년 10월 22일~26일 관측결과 361

〈그림 5.4.10〉 2008년 2월 22일~26일 관측결과 361

〈그림 5.4.11〉 월별 최대유의파고(동해부이) 363

〈그림 5.4.12〉 연도별 3.0m 이상의 유의탁고 출현횟수(동해부이) 363

〈그림 5.4.13〉 2.0m 이상 유의파고의 년평균치 증가을(동해부이) 363

〈그림 5.4.14〉 해수면 상승과 해안선변화의 관계 모식도 365

〈그림 5.4.15〉 해안선 및 해빈단면측량 기선 367

〈그림 5.4.16〉 기선별 연평균 해빈폭 변화(2012~2014) 367

〈그림 5.4.17〉 수심변화 분석결과 368

〈그림 5.4.18〉 하계 파랑관측 결과(2015년 7월 15일~10월9일) 369

〈그림 5.4.19〉 하계 2차원 수심변화 분석결과(2015년 7월 22일~10월7일) 369

〈그림 5.4.20〉 하계 3차원 수심변화 분석결과(2015년 12월 22일~2016년 2월 18일) 370

〈그림 5.4.21〉 동계 파랑관측 결과(2015년 12월 22일~2016년 2월 18일) 371

〈그림 5.4.22〉 동계 2차원 수심변화 분석결과(2015년 12월 22일~2016년 2월 18일) 371

〈그림 5.4.23〉 동계 3차원 수심변화 분석결과(2015년 12월 22일~2016년 2월 18일) 371

〈그림 5.4.24〉 연안표사량 추정결과 372

〈그림 5.4.25〉 해빈류 실험결과(현재상태) 374

〈그림 5.4.26〉 침식원인 분석 375

〈그림 6.2.1〉 광역 수심도 및 격자망도 390

〈그림 6.2.2〉 중간역 수심도 및 격자망도 390

〈그림 6.2.3〉 상세역 수심도 및 격자망도 391

〈그림 6.2.4〉 심해설계파 추산격자점 391

〈그림 6.2.5〉 광역 파향백터 및 등파고선도(50년빈도) 395

〈그림 6.2.6〉 중간역 파향백터 및 등파고선도(50년빈도) 396

〈그림 6.2.7〉 상세역 파향백터 및 등파고선도(50년빈도, 현재상태) 397

〈그림 6.2.8〉 상세역 파고분포도(50년빈도, 현재상태) 399

〈그림 6.2.9〉 상세역 파향백터 및 등파고선도(50년빈도, 잠제 설치) 401

〈그림 6.2.10〉 상세역 파고분포도(50년빈도, 잠제 설치) 403

〈그림 6.2.11〉 광역 파향백터 및 등파고선도(10년빈도) 405

〈그림 6.2.12〉 중간역 탁향백터 및 등파고선도(10년빈도) 406

〈그림 6.2.13〉 상세역 파향백터 및 등파고선도(10년빈도) 407

〈그림 6.2.14〉 상세역 파고분포도(10년빈도) 409

〈그림 6.3.1〉 해빈류실험 수심도 및 격자망도 414

〈그림 6.3.2〉 해빈류 흐름분포 검증결과 415

〈그림 6.3.3〉 해빈류 실험결과(현재상태, 제2안) 417

〈그림 6.3.4〉 해빈류 실험결과(제1안) 419

〈그림 6.3.5〉 해빈류 실험결과(제3-1안) 421

〈그림 6.3.6〉 해빈류 실험결과(제3-2안) 423

〈그림 6.4.1〉 표사이동실험의 수심도 434

〈그림 6.4.2〉 표사이동실험의 격자망도 434

〈그림 6.4.3〉 수심편차도(2015.07~2015.10) 435

〈그림 6.4.4〉 검증실험결과 435

〈그림 6.4.5〉 수심편차도 (2015.07 ~ 2015.10 - 과업대상지 확대) 436

〈그림 6.4.6〉 검증실험결과(과업대상지 확대) 436

〈그림 6.4.7〉 침·퇴적량 산정구역 437

〈그림 6.4.8〉 NE 이상파랑 표사이동 실험결과 (현재상태) 438

〈그림 6.4.9〉 ENE 이상파랑 표사이동 실험결과 (현재상태) 439

〈그림 6.4.10〉 E 이상파랑 표사이동 실험결과 (현재상태) 439

〈그림 6.4.11〉 NE 이상파랑 표사이동 실험결과 (제3-1안) 440

〈그림 6.4.12〉 ENE 이상파랑 표사이동 실험결과 (제3-1안) 440

〈그림 6.4.13〉 E 이상파랑 표사이동 실험결과 (제3-1안) 441

〈그림 6.4.14〉 NE 이상파랑 표사이동 실험결과 (제3-2안) 441

〈그림 6.4.15〉 ENE 이상파랑 표사이동 실험결과 (제3-2안) 442

〈그림 6.4.16〉 E 이상파랑 표사이동 실험결과 (제3-2안) 442

〈그림 6.5.1〉 파랑과 흐름방향의 정의 445

〈그림 6.5.2〉 STWAVE 격자의 개님도 446

〈그림 6.5.3〉 GENESIS 계산 흐름도 447

〈그림 6.5.4〉 해안선 변형모델의 Definition Sketch 448

〈그림 6.5.5〉 파랑변형 모델 특성(Internal, External) 449

〈그림 6.5.6〉 유한차분 격자 449

〈그림 6.5.7〉 입력 파랑자료(2013.9 ~ 2014.8) 450

〈그림 6.5.8〉 입력파랑자료 분석결과(파향-파고) 450

〈그림 6.5.9〉 입력파랑자료 분석결과(빈도) 451

〈그림 6.5.10〉 해안선변형실험 월간검증 결과(2015.7 ~ 2015.10) 456

〈그림 6.5.11〉 해안선변형실험 연간검증 결과(2013.10 ~ 2015.7) 456

〈그림 6.5.12〉 해안선변형실험 결과(현재상태 및 제2안) 457

〈그림 6.5.13〉 해안선변형실험 결과(제1안, 10년후) 457

〈그림 6.5.14〉 해안선변형실험 과(제3-1안, 10년후) 458

〈그림 6.5.15〉 해안선변형실험 결과(제3-2안, 10년후) 458

〈그림 6.6.1〉 S-BEACH 모형의 개념도 461

〈그림 6.6.2〉 해빈단면실험 실험안 463

〈그림 6.6.3〉 검증실험 결과(CP 5) 464

〈그림 6.6.4〉 검증실험 결과(CP 14) 464

〈그림 6.6.5〉 검증실험 결과(CP 19) 465

〈그림 6.6.6〉 해안도로에 의한 해빈단면변화 영향 검토실험 결과(1988년) 465

〈그림 6.6.7〉 해안도로에 의한 해빈단면변화 영향 검토실험 결과(2005년) 466

〈그림 6.6.8〉 해안도로에 의한 해빈단면변화 영향 검토실험 결과(2014년) 466

〈그림 6.6.9〉 해안도로에 의한 해빈단면변화 영향 검토실험 결과(2015년) 466

〈그림 6.6.10〉 자연해빈복원 계획실험 결과(제1안) 467

〈그림 6.6.11〉 자연해빈복원 계획실험 결과(제2안) 467

〈그림 6.7.1〉 좌표계와 물리량의 정의 469

〈그림 6.7.2〉 수치파동수조 개념도 474

〈그림 6.7.3〉 입사 불규칙파랑의 시계열 474

〈그림 6.7.4〉 수치파동수조실험 실험안 475

〈그림 6.7.5〉 해안도로 영향 검토실험 월파량 측정 시계열 477

〈그림 6.7.6〉 해안도로에 의한 월파 영향 검토실험 결과 (1988년) 478

〈그림 6.7.7〉 해안도로에 의한 월파 영향 검토실험 결과 (2005년) 479

〈그림 6.7.8〉 해안도로에 의한 월파 영향 검토실험 결과 (2014년) 480

〈그림 6.7.9〉 해안도로에 의한 월파 영향 검토실험 결과 (2015년) 481

〈그림 6.7.10〉 계획안 월파검토 실험결과(50년빈도 설계파) 482

〈그림 6.8.1〉 EFDC 모형의 구조 485

〈그림 6.8.2〉 EFDC 모형의 좌표계 및 변수 계산위치 490

〈그림 6.8.3〉 실험영역 격자방도 및 등수심도 491

〈그림 6.8.4〉 유속 및 수위 관측 정점 492

〈그림 6.8.5〉 정점 PC1의 수위 검증결과 493

〈그림 6.8.6〉 정점 PC1의 유속 검증결과 493

〈그림 6.8.7〉 광역 북향류 및 남향류 벡터도 495

〈그림 6.8.8〉 과업대상지 인근 고조위 및 저조위 분포도(현재상태, 제2안 - 호안보강) 496

〈그림 6.8.9〉 과업대상지 인근 북향류 및 남향류 벡터도(현재상태, 제2안 - 호안보강) 497

〈그림 6.8.10〉 과업대상지 인근 북향류 및 남향류 유속분포도(제2안 - 호안보강, 현재상태) 498

〈그림 6.8.11〉 과업대상지 인근 최강유속 분포도(현재상태, 제2안 - 호안보강) 499

〈그림 6.8.12〉 과업대상지 인근 고조위 및 저조위 분포도(제1안 - 자연해빈복원) 500

〈그림 6.8.13〉 과업대상지 인근 북향류 및 남향류 벡터도(제1안 - 자연해빈복원) 501

〈그림 6.8.14〉 과업대상지 인근 북향류 및 남향류 유속분포도(제1안 - 자연해빈복원) 502

〈그림 6.8.15〉 과업대상지 인근 최강유속 분포도(제1안 - 자연해빈복원) 503

〈그림 6.8.16〉 과업대상지 인근 최강유속 변화도(제1안 - 제2안) 503

〈그림 6.8.17〉 과업대상지 인근 고조위 및 저조위 분포도(제3-1안 - 이안제+해빈복원) 504

〈그림 6.8.18〉 과업대상지 인근 북향류 및 남향류 벡터도(제3-1안 - 이안제+해빈복원) 505

〈그림 6.8.19〉 과업대상지 인근 북향류 및 남향류 분포도(제3-1안 - 이안제+해빈복원) 506

〈그림 6.8.20〉 과업대상지 인근 최강유속 분포도(제3-1안 - 이안제+해빈복원) 507

〈그림 6.8.21〉 과업대상지 인근 최강유속 변화도(제3-1안 - 제2안) 507

〈그림 6.8.22〉 과업대상지 인근 고조위 및 저조의 분포도(제3-2안 - 돌제+잠제+해빈복원) 508

〈그림 6.8.23〉 과업대상지 인근 북향류 및 남향류 벡터도(제3-2안 - 돌제+잠제+해빈복원) 509

〈그림 6.8.24〉 과업대상지 인근 북향류 및 남향류 분포도(제3-2안 - 돌제+잠제+해빈복원) 510

〈그림 6.8.25〉 과업대상지 인근 최강유속 분포도(제3-2안 - 돌제+잠제+해빈복원) 511

〈그림 6.8.26〉 과업대상지 인근 최강유속 변화도(제3-2안 - 제2안) 511

〈그림 6.9.1〉 퇴적물 입경에 따른 침강속도 514

〈그림 6.9.2〉 계획평면도 516

〈그림 6.9.3〉 예정 공정표 516

〈그림 6.9.4〉 최대 부유사 확산범위(SS-1a, 적출장 사석공, 오탁방지막 설치 전) 519

〈그림 6.9.5〉 최대 부유사 확산범의(SS-1b, 적출장 사석공, 오탁방지막 설치 후) 520

〈그림 6.9.6〉 최대 부유사 확산범의(SS-2a, 잠제1구간 굴착공, 오탁방지막 설치 전) 521

〈그림 6.9.7〉 최대 부유사 확산범위(SS-2b, 잠제1구간 굴착공, 오탁방지막 설치 후) 522

〈그림 6.9.8〉 최대 부유사 확산범익(SS-3a, 잠제4구간 굴착공, 오탁방지막 설치 전) 523

〈그림 6.9.9〉 최대 부유사 확산범위(SS-3b, 잠제4구간 굴착공, 오탁방지막 설치 후) 524

〈그림 7.4.1〉 평면배치계획(제1안) 532

〈그림 7.4.2〉 파랑저감효과(제1안, NE 이상파랑) 532

〈그림 7.4.3〉 해빈류 저감효과(제1안, NE 이상파랑) 533

〈그림 7.4.4〉 해안선변형실험 결과(제1안, 10년후) 533

〈그림 7.4.5〉 평면배치계획(제2안) 534

〈그림 7.4.6〉 평면배치계획(제3-1안) 535

〈그림 7.4.7〉 파랑저감효과(제3-1안, NE 이상파랑) 535

〈그림 7.4.8〉 해빈류 저감효과(제3-1안, NE 이상파랑) 536

〈그림 7.4.9〉 해안선변형실험 결과(제3-1안, 10년후) 536

〈그림 7.4.10〉 평면배치계획(제3-2안) 537

〈그림 7.4.11〉 파랑저감효과(제3-2안, NE 이상파랑) 538

〈그림 7.4.12〉 해빈류 저감효과(제3-2안, NE 이상파랑) 538

〈그림 7.4.13〉 해안선변형실 험과(제3-2안, 10년후) 539

〈그림 7.5.1〉 평형해안선 검토 개념도 544

〈그림 7.5.2〉 목표유지 해안선 위치도(내용없음) 41

〈그림 8.3.1〉 침식방지시설(돌제+잠제) 계획평면도 558

〈그림 8.3.2〉 돌제 단면형식 비교 1안(TRIPOD 경사제) 570

〈그림 8.3.3〉 돌제 단면 형식 비교2안(스톤블록 경사제) 570

〈그림 8.3.4〉 돌제단면형식 비교3안(T.T.P 경사제) 570

〈그림 8.3.5〉 돌제 연결부 표준단면도(DL(+)3.00) 571

〈그림 8.3.6〉 돌제 제간부 표준단면도(DL(+)2.00) 571

〈그림 8.3.7〉 돌제 제두부 표준단면도(DL(+)2.00) 571

〈그림 8.3.8〉 잠제 단면형식 비교1안(TRIPOD 경사제) 572

〈그림 8.3.9〉 잠제 단면형식 비교2안(스톤블록 경사제) 573

〈그림 8.3.10〉 잠제 단면형식 비교3안(T.T.P 경사제) 573

〈그림 8.3.11〉 잠제표준단면도(DL(-)0.50) 573

〈그림 8.3.12〉 돌제 및 잠제 종단면도 574

〈그림 8.3.13〉 시설별 수심변화 586

〈그림 8.3.14〉 돌제 세굴방지공 표준단면도 588

〈그림 8.3.15〉 잠제 세굴방지공 표준단면도 588

〈그림 8.4.1〉 호안보강 평면도 589

〈그림 8.4.2〉 호안보강 구분도 589

〈그림 8.4.3〉 호안보강 표준단면도(피력석 보강) 590

〈그림 8.4.4〉 호안보강 표준단면도(T.T.P 난적 보강) 590

〈그림 8.5.1〉 전체 평면 계획 591

〈그림 8.5.2〉 현장 현황 591

〈그림 8.5.3〉 검토위치도 596

〈그림 8.5.4〉 돌제 및 잠제공 구간 검토단면도 596

〈그림 8.5.5〉 적출장 구간 검토단면도 598

〈그림 8.5.6〉 기존호안 보강구간 검토단면도 599

〈그림 8.5.7〉 절편법 개님도 600

〈그림 8.5.8〉 돌제 및 잠제공 구간 원호활동 검토결과 601

〈그림 8.5.9〉 적출장 구간 원호활동 검토결과 603

〈그림 8.5.10〉 피복석 보강구간 원호활동 검토결과 604

〈그림 8.5.11〉 T.T.P 난적 보강구간 원호활동 검토결과 606

〈그림 8.5.12〉 중력식 옹벽의 안정검토 개념도 609

〈그림 8.5.13〉 검토 대표단면(피목석 보강구간, BH-2) 610

〈그림 8.5.14〉 호안 보강구간 피해현황 612

〈그림 8.5.15〉 호안 보강구간 굴착계획 단면도 612

〈그림 8.5.16〉 친수구간(시점부) 침하검토 단면 613

〈그림 8.5.17〉 친수구간(1) 침하검토 단면 614

〈그림 8.5.18〉 친수구간(2) 침하검토 단면 614

〈그림 8.5.19〉 일반구간 침하검토 단면 615

〈그림 8.5.20〉 두부구간 침하검토 단면 615

〈그림 8.5.21〉 잠제구간 침하검토 단면 616

〈그림 8.5.22〉 피복석 보강구간 침하검토 단면 617

〈그림 8.5.23〉 T.T.P 난적 보강구간 침하검토 단면 618

〈그림 8.5.24〉 액상화 검토 흐름도 620

〈그림 8.6.1〉 해빈복원 계획 평면도 628

〈그림 8.6.2〉 해빈복원 종단면도 629

〈그림 8.6.3〉 해빈복원 표준단면도(호안보강구간) 629

〈그림 8.6.4〉 해번복원 표준단면도(기존호안보강 구간) 629

〈그림 8.7.1〉 해안 접근로 조성 위치도 630

〈그림 8.7.2〉 해안접근로 단면도 630

〈그림 8.8.1〉 광파 표지시설 종류 632

〈그림 8.8.2〉 형상 표지시설 종류 632

〈그림 8.8.3〉 음파 표지시설 종류 633

〈그림 8.8.4〉 전파 표지시설 종류 633

〈그림 8.8.5〉 특수신호 표지시설 종류 633

〈그림 8.8.6〉 안전표지시설 위치 평면도 637

〈그림 8.8.7〉 안전표지시설 일반도 637

〈그림 8.9.1〉 공사용 적출장 위치도 641

〈그림 8.9.2〉 공사용 적출장 평면 및 단면도 641

〈그림 8.9.3〉 임시 사토장 위치도 642

〈그림 8.9.4〉 오탁방지막 시공방법의 흐름도 646

〈그림 8.9.5〉 1단계 오탁방지막 계획평면도 646

〈그림 8.9.6〉 2단계 오탁방지막 계획평면도 647

〈그림 8.9.7〉 3단계 오탁방지막 계획평면도 647

〈그림 8.9.8〉 4단계 오탁방지막 계획평면도 648

〈그림 8.9.9〉 계측관리 수행계획 651

〈그림 8.9.10〉 계측자료 수집 및 관리체계 652

〈그림 8.9.11〉 계측기 설치계획 평면도 653

〈그림 8.9.12〉 사전 지반조사 위치도 655

〈그림 9.6.1〉 시공 순서도 677

〈그림 9.6.2〉 시공 흐름도 (돌제) 679

〈그림 9.6.3〉 예정 공정표 683

〈그림 9.7.1〉 조사 위치 687

〈그림 10.2.1〉 대상지역 설정도 691

〈그림 10.4.1〉 해양화학 조사정점도 695

〈그림 10.4.2〉 해향퇴적물 조사정점도 696

〈그림 10.4.3〉 해양동·식물상 조사정점도 697

〈그림 10.5.1〉 해양환경영향 조사정점도 720

〈그림 10.6.1〉 해역이용협의 협의의견 72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95450 627.58 -16-1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95451 627.58 -16-1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