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폐 복합 젤리 충진 통신케이블에서 유용자원 회스를 위한 실용화 공정기술개발 = Development of practical process for valuable resources recovery from waste complex jelly-filled communication cable / 환경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환경부 ; 서울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16
청구기호
628.4458 -16-13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vii, 135 p. : 삽화, 표 ; 30 cm
총서사항
환경산업선진화기술개발사업 최종보고서 ; 3차년도
제어번호
MONO1201639479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명: 고등기술연구원
주관연구책임자: 조성수
부록: 1. 유지 제거율 성적서 ; 2. Cu, 수지(EP)회수율 인증서 ; 3. Cu, 수지(EP)분리율 인증서 외
참고문헌: 121-[122]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서

요약문

SUMMARY

목차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23

1-1. 연구개발 목적 23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23

가. 젤리 충진 통신케이블 구조 및 용도 23

나. 젤리 충진 통신케이블 발생 현황 24

다. 기존 처리 현황 및 문제점 25

1-3. 연구개발 범위 26

가. 1차년도 26

나. 2차년도 27

다. 3차년도 27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31

2-1. 해외 기술개발 동향 31

2-2. 국내 기술개발 동향 33

3. 연구수행내용 및 결과 41

3-1. 연구개발의 내용(범위) 및 최종목표 41

가. 최종목표 41

나. 연구개발 내용 41

3-2. 연구개발 결과 및 토의 102

3-3. 연구개발 결과 요약 104

4.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109

4-1. 목표달성도 109

가. 연구개발 최종 목표 109

나. 기술적 목표 달성 109

다. 평가의 착안점 및 기준 109

4-2. 관련분야 기여도 110

가. 개발공정 관련분야 기여도 110

5.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113

5-1.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113

6.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17

7. 연구개발결과의 보안등급 121

8. NTIS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125

9.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129

10.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133

11. 기타사항 137

12. 참고문헌 141

부록 143

부록 1. 유지 제거율 성적서 145

부록 2. Cu, 수지(PE)회수율 인증서 147

부록 3. Cu, 수지(PE)분리율 인증서 149

부록 4. 처리량 인증서 152

〈표 3.1.1〉 젤리케이블의 구성 성분 분석 42

〈표 3.1.2〉 젤리성분 분석 결과 42

〈표 3.1.3〉 젤리케이블 피복 분리 시험 77

〈표 3.1.4〉 젤리케이블 피복 분리 시험 78

〈표 3.1.5〉 젤리케이블 Cu 회수율 83

〈표 3.1.6〉 젤리케이블 PE 회수율 84

〈표 3.1.7〉 젤리케이블 처리량 84

〈표 3.1.8〉 주요 금속들의 승화에너지 및 열저항성 87

〈표 3.1.9〉 구리 나노분말 합성 조건 88

〈표 3.1.10〉 구리 나노입자의 원소 분석 91

〈표 3.1.11〉 종합 분석결과 및 고형연료제품 품질 기준과 비교 94

〈표 3.1.12〉 톱밥 혼합 전 후 및 고형연료제품 품질 분석 결과 비교 96

〈표 3.1.13〉 1차 성형 실험 조건 99

〈표 3.1.14〉 2차 성형 실험 조건 100

〈표 3.1.15〉 밀도 분석결과 100

〈표 3.1.16〉 저위발열량 분석결과 101

〈표 3.2.1〉 젤리 케이블 재활용 공정 비교 103

〈표 4.2.1〉 폐 복합 젤리 충진 통신케이블 자원화 기술 특징 비교 110

〈그림 1.2.1〉 젤리 충진 통신케이블의 실제 모습 및 구조 23

〈그림 1.2.2〉 젤리 충진 통신케이블의 제조 방법 24

〈그림 1.2.3〉 폐 젤리 충진 통신케이블 사회적 이슈 25

〈그림 2.1.1〉 엘단社 젤리 충진 통신케이블 재활용 라인 31

〈그림 2.1.2〉 Henan Jufeng社 젤리 충진 통신케이블 재활용 라인 32

〈그림 2.1.3〉 젤리 충진 통신케이블 재활용 장치 개략도 32

〈그림 2.1.4〉 젤리 충진 통신 케이블 제거장치 개략도 33

〈그림 2.2.1〉 구리 추출장치 개념도 35

〈그림 2.2.2〉 젤리케이블 세척분리 공정도 36

〈그림 2.2.3〉 연속식 저온열분해 탄화처리기 정면도 37

〈그림 3.1.1〉 젤리 성분이 제거된 케이블 43

〈그림 3.1.2〉 증류법을 활용한 용매 재생장치 44

〈그림 3.1.3〉 톨루엔을 이용한 폐 복합 젤리 충진 통신 케이블 재활용 공정도 44

〈그림 3.1.4〉 젤리 및 피복 동시 제거 실험 45

〈그림 3.1.5〉 분리된 피복과 회수된 Cu 45

〈그림 3.1.6〉 시료 노출 시간에 따른 분리 실험 결과 46

〈그림 3.1.7〉 50kg급 대형 close 시스템 개략도 47

〈그림 3.1.8〉 50kg급 대형 close 시스템 공정사진 48

〈그림 3.1.9〉 50kg급 대형 close 시스템 결과물 48

〈그림 3.1.10〉 공정 사진 및 실험 결과물 49

〈그림 3.1.11〉 고온/고압 열유체 분사 장치 모식도 50

〈그림 3.1.12〉 고온/고압 열유체 분사 장치 51

〈그림 3.1.13〉 고온/고압 열유체 분사 장치를 이용한 실험 51

〈그림 3.1.14〉 고온/고압 열유체 분사 장치를 이용한 실험 결과 52

〈그림 3.1.15〉 고압의 수 분사 장치를 이용한 젤리케이블 재활용 공정 사진 53

〈그림 3.1.16〉 고압의 수 분사 장치를 이용한 젤리케이블을 재활용 결과 53

〈그림 3.1.17〉 대량의 케이블을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 54

〈그림 3.1.18〉 고압 물 분사를 통한 재활용 공정 모식도 55

〈그림 3.1.19〉 고압 분사 펌프 시스템 55

〈그림 3.1.20〉 폐 케이블 재활용 장치 55

〈그림 3.1.21〉 분사 전 젤리 케이블 장착 사진 56

〈그림 3.1.22〉 분사 실험 후 피복이 분리된 젤리 케이블 사진 56

〈그림 3.1.23〉 분사각 90°, 분사 압력 400bar, 분사 노즐 사이의 거리 4cm 56

〈그림 3.1.24〉 실험 조건 변화에 따른 결과물 57

〈그림 3.1.25〉 실험 조건 변화에 따른 결과물 57

〈그림 3.1.26〉 인가압력이 500 kg/㎠으로 분사할 경우 노즐 출구에서 구리 와이어... 59

〈그림 3.1.27〉 케이블과 노즐 거리변화에 따른 케이블 상부면 압력을 200kg/㎠로 형성하기... 61

〈그림 3.1.28〉 고압 수 분사를 이용한 젤리케이블 재활용 시스템 전용 JIG 및 분사노즐 62

〈그림 3.1.29〉 피복 제거 실험 전/후 63

〈그림 3.1.30〉 Cutting 공정을 이용한 젤리케이블 재활용 장치 64

〈그림 3.1.31〉 Cutting 공정을 이용한 젤리케이블 재활용 실험 64

〈그림 3.1.32〉 Lab scale rolling 공정을 이용한 젤리케이블 재활용 장치 65

〈그림 3.1.33〉 rolling 공정에 의한 Cu/피복 분리 66

〈그림 3.1.34〉 rolling 공정에 의한 Cu/피복 분리 모식도 66

〈그림 3.1.35〉 rolling 공정에 의한 분리 전/후 젤리케이블 67

〈그림 3.1.36〉 젤리케이블 PE 띠 제거 후 꼬인 형상 67

〈그림 3.1.37〉 젤리케이블 사진 68

〈그림 3.1.38〉 PE띠 제거 tool 68

〈그림 3.1.39〉 PE띠 제거 후 커플형태의 젤리케이블 68

〈그림 3.1.40〉 젤리케이블 꼬임 해제 장치 69

〈그림 3.1.41〉 젤리케이블 꼬임 해제 장치 공급 롤러 69

〈그림 3.1.42〉 젤리케이블 꼬임 해제 장치 회전 지그 70

〈그림 3.1.43〉 커플 젤리케이블의 꼬임을 해제한 전 후 사진 70

〈그림 3.1.44〉 Pilot scale rolling 공정을 이용한 젤리케이블 재활용 장치 설계도 71

〈그림 3.1.45〉 Pilot scale rolling 공정을 이용한 젤리케이블 재활용 장치 사진 72

〈그림 3.1.46〉 Pilot scale rolling 재활용 장치로 젤리케이블 피복 제거 후 회수된 Cu 세선 73

〈그림 3.1.47〉 롤에 장착된 피복 제거용 스크립퍼 73

〈그림 3.1.48〉 스크립퍼에 의해 롤에서 제거된 피복 73

〈그림 3.1.49〉 pilot scale rolling 시스템에서 roller 후단에 설치된 브러시 74

〈그림 3.1.50〉 pilot scale rolling 시스템에서 rolling 장치에 의해 분리된 케이블 75

〈그림 3.1.51〉 pilot scale rolling 시스템에서 roller + 브러시 장치에 의해 분리된 케이블 75

〈그림 3.1.52〉 Cu/PE 분리용 컨베이어 76

〈그림 3.1.53〉 Cu/PE 분리용 컨베이어 장착 전 후 결과물 76

〈그림 3.1.54〉 컨베이어 피복 제거 장치 77

〈그림 3.1.55〉 젤리케이블 투입 장치 및 투입 공정 사진 79

〈그림 3.1.56〉 젤리케이블 피복 탈피시스템 유용자원 회수부 79

〈그림 3.1.57〉 분리 후 Cu/PE 회수조 80

〈그림 3.1.58〉 젤리케이블 공급부 81

〈그림 3.1.59〉 젤리케이블 공급 사진 82

〈그림 3.1.60〉 젤리케이블 연속 재활용 개념도 82

〈그림 3.1.61〉 1톤/일급 폐 복합 젤리 충진 통신케이블 자원화 플랜트 83

〈그림 3.1.62〉 고주파 유도로를 이용한 Cu 용해 실험 공정 85

〈그림 3.1.63〉 다양한 나노재료의 합성 방법 86

〈그림 3.1.64〉 전기폭발법을 통한 구리 나노분말 합성 과정 88

〈그림 3.1.65〉 합성된 구리 나노분말의 XRD 패턴 및 TGA 분석 결과 89

〈그림 3.1.66〉 합성된 구리 나노분말의 FESEM 이미지 89

〈그림 3.1.67〉 합성된 구리 나노분말의 TEM 이미지 90

〈그림 3.1.68〉 구리 나노입자 형성된 탄소막과 SAED 패턴 90

〈그림 3.1.69〉 젤리케이블 피복 FT-IR 분석결과 92

〈그림 3.1.70〉 금속 몰드와 유압프레스 92

〈그림 3.1.71〉 (a)성형 전, (b)성형 후, (c)일정 시간 경과 후의 피복 93

〈그림 3.1.72〉 (a) 젤리케이블 피복, (b) 톱밥, (c) 젤리케이블 피복과 톱밥 혼합 95

〈그림 3.1.73〉 젤리케이블 피복 DTA-TGA 분석결과 97

〈그림 3.1.74〉 온도에 따른 피복 변화 98

〈그림 3.1.75〉 열간 압출 실험에 사용된 몰드, 다이 98

〈그림 3.1.76〉 열간 압출 실험 순서 99

〈그림 3.1.77〉 1차 압출 실험 결과 99

〈그림 3.2.1〉 Cu/PE분리 메카니즘 10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95702 628.4458 -16-1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95703 628.4458 -16-1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