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구조물 붕괴메커니즘 등을 고려한 지진위험 평가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seismic risk evalution[실은 evaluation] technique accounting for collapse mechanism of facilities / 국민안전처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국민안전처, 2016
청구기호
624.1762 -16-7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xvii, 729 p. : 삽화, 지도, 표 ; 26 cm
총서사항
MPSS-자연 ; 2013-70
자연재해예측및저감연구개발사업
재난안전술개발사업단
제어번호
MONO1201640250
주기사항
대등표제: Development of seismic risk evaluation technique accounting for collapse mechanism of facilities
주관연구기관: 한국교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관연구책임자: 경재복
참고문헌: p. 700-715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54

1.1. 연구의 필요성 54

1.2. 연구 목적 55

1.3. 연구범위 56

제2장 확률론적 지진위험지도(최대지반가속도: PGA) 작성 및 분석 (주관연구기관: 한국교원대학교) 59

2.1. 연구 배경 및 연구 목표 59

2.2. 확률론적 지진위험지도 61

2.3. 지진위험지도 산출에 활용된 지진기록 63

2.4. 지진위험지도 입력자료 66

2.4.1. 입력 파라메타 도출 66

2.4.2. 지진원 모델 67

2.4.3. 지진활동 변수(a, b) 값[내용누락;p.17] 68

2.4.4. 최대지진 규모(Mmax) 및 최소지진 규모(Mmin) 72

2.4.5. 지진동 감쇠식 73

2.4.6. 전문가별 지진입력 파라메타 75

2.5. 지진위험지도 입력자료의 민감도 분석 89

2.5.1. 지진활동 변수(a, b) 값 89

2.5.2. 최대지진 규모(Mmax) 91

2.5.3. 지진동 감쇠식 93

2.5.4. 지진원(지지체구조구) 모델 95

2.6. 한반도 PGA 지진위험지도 98

2.6.1. 전문가별 PGA(Peak Ground Acceleration) 분포 98

2.6.2. 한반도 PGA 지진위험지도 결과 108

2.7. 지진위험지도(PGA)의 비교 평가 117

2.7.1. 해외 PGA 지진위험지도와 비교 검토 117

2.7.2. 국내 PGA 지진위험지도와 비교 검토 131

2.8. 결론 140

제3장 확률론적 지진위험지도 (Spectral Acc.) 방법 분석 및 지도 작성 (공동연구기관: 세명대학교) 142

3.1. 연구 목표 142

3.1.1. 최종 목표 및 연차별 연구개발 추진체계 142

3.1.2. 당해연도 연구 목표 143

3.2. 내진관련 산업계에서의 확률론적 지진위험도 최신 동향 분석 143

3.2.1. 개요 143

3.2.2. 최근 확률론적 지진위험도 평가 절차 144

3.2.3. 미국 원자력위원회(US NRC)의 SSHAC에 의한 재해도 평가 절차 149

3.2.4. 국내 지진위험도 평가 사례 155

3.3. 국내외 주파수별 지진위험지도 최신 분석 방법론 조사·분석 163

3.3.1. 이론적 배경 165

3.4. 지진재해도 분석 입력자료 및 수행절차 168

3.4.1. 전문가 의견 도출 169

3.5. 지진원 특성 170

3.5.1. 지진원 특성 분석 170

3.5.2. 지진활동성 분석 171

3.6. 지진동 감쇠식 특성 172

3.6.1. 지진동 감쇠 특성 172

3.6.2. 국내 부지 증폭 특성 분석 174

3.7. 지진위험도 논리수목 및 불확실성 178

3.7.1. 논리수목 178

3.7.2. 팀별 재해도 곡선 및 불확실성 178

3.7.3. 최종 지진위험도 곡선 179

3.8. 지진위험도 분석을 위한 지진동 감쇠식 특성 변수에 대한 조사 및 분석 179

3.8.1. CEUS, South Korea Groound Motion Atte. Model 179

3.8.2. CEUS GMPE 모델 설명 180

3.8.3. Key Data Selection Differences 184

3.8.4. 국내 GMPE 모델 185

3.8.5. 국내 전문가 10인 제시 GMPE 모델 요약 188

3.8.6. 국외 규모별 GMPE 모델 비교 189

3.8.7. Spectral PSHA 예제(기존연구) 191

3.9. Spectral PSHA 결과 194

3.9.1. 분석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전제 조건(기본 가정) 194

3.9.2. 일부(6인) 전문가에 대한 분석 결과 예시 195

3.10. 민감도 분석(1차 분석) 213

3.10.1. 지진원에 의한 지진위험도 민감도 분석 213

3.10.2. 감쇠공식에 의한 지진위험도 민감도 분석 216

3.10.3. 구조물 고유주기(고유진동수) 별 지진위험 민감도 분석 220

3.11. 민감도 분석(2차 분석) 224

3.11.1. 지진위험값 민감도 분석 224

3.11.2. 지진원 모델에 의한 지진위험값 민감도 분석(x; Hz yi; Seismic source Model) 224

3.11.3. 지반진동 감쇠식 모델(GMPE) 변화에 의한 지진위험값 민감도 분석(x; Hz yi; GMPE Model) 228

3.11.4. 지반진동 감쇠식 모델(GMPE) 변화에 의한 지진위험값 민감도 분석(x; GMPE yi; Seismic Source Model) 231

3.11.5. 최대지진규모(Mmax) 변화에 의한 영향 민감도 분석 233

3.12. 고유 진동수별 재래주기에 의한 지진위험도 분석 238

3.12.1. 10Hz(=0.1sec) Spectral Seismic Hazard 238

3.12.2. 10인 전문가별 10Hz(=0.1sec) Spectral Seismic Hazard 241

3.13. 고유 진동수별 재래주기 지진위험도(안) 247

3.13.1. 10Hz(=0.1sec) Spectral Seismic Hazard 247

3.13.2. 5Hz(=0.2sec) Spectral Seismic Hazard 249

3.13.3. 2Hz(=0.5 sec) Spectral Seismic Hazard 250

3.13.4. 1Hz(=1.0 sec) Spectral Seismic Hazard 252

3.13.5. 0.5 Hz(=2.0 sec) Spectral Seismic Hazard 253

3.14. 등지진위험도(Uniform Hazard Spectrum) 분석 255

3.14.1. 등지진위험도 분석 257

3.15. 결론 261

제4장 국가지진위험지도 웹서비스 개발 및 매뉴얼 작성 (케이아이티밸리(주)) 263

4.1. 서론 263

4.2. 지진재해대응시스템 GIS MAP 구축 현황 264

4.2.1. 검토사항 264

4.2.2. 국가지진위험지도 및 지진구역·지진구역계수 적용 내용 264

4.3. 국가지진위험지도 구축 266

4.3.1. 개요 266

4.3.2. 자료 수집 및 주제도별 GIS MAP 작성 266

4.3.3. GIS MAP 배경데이터 구축 267

4.3.4. 국가지진위험도 GIS 구축 271

4.3.5. 국가지진위험도 GIS 표출 및 검색 기능 개발 275

4.4. 국가지진위험지도 279

4.4.1. 국가지진위험지도 100년 주기(PGA) 279

4.4.2. 국가지진위험지도 200년 주기(PGA) 280

4.4.3. 국가지진위험지도 500년 주기(PGA) 281

4.4.4. 국가지진위험지도 1000년 주기(PGA) 282

4.4.5. 국가지진위험지도 2400년 주기(PGA) 283

4.4.6. 국가지진위험지도 4800년 주기(PGA) 284

4.4.7. 국가지진위험지도 100년 주기 0.5HZ 285

4.4.8. 국가지진위험지도 200년 주기 0.5HZ 286

4.4.9. 국가지진위험지도 500년 주기 0.5HZ 287

4.4.10. 국가지진위험지도 1000년 주기 0.5HZ 288

4.4.11. 국가지진위험지도 2400년 주기 0.5HZ 289

4.4.12. 국가지진위험지도 4800년 주기 0.5HZ 290

4.4.13. 국가지진위험지도 100년 주기 1HZ 291

4.4.14. 국가지진위험지도 200년 주기 1HZ 292

4.4.15. 국가지진위험지도 500년 주기 1HZ 293

4.4.16. 국가지진위험지도 1000년 주기 1HZ 294

4.4.17. 국가지진위험지도 2400년 주기 1HZ 295

4.4.18. 국가지진위험지도 4800년 주기 1HZ 296

4.4.19. 국가지진위험지도 100년 주기 2HZ 297

4.4.20. 국가지진위험지도 200년 주기 2HZ 298

4.4.21. 국가지진위험지도 500년 주기 2HZ 299

4.4.22. 국가지진위험지도 1000년 주기 2HZ 300

4.4.23. 국가지진위험지도 2400년 주기 2HZ 301

4.4.24. 국가지진위험지도 4800년 주기 2HZ 302

4.4.25. 국가지진위험지도 100년 주기 5HZ 303

4.4.26. 국가지진위험지도 200년 주기 5HZ 304

4.4.27. 국가지진위험지도 500년 주기 5HZ 305

4.4.28. 국가지진위험지도 1000년 주기 5HZ 306

4.4.29. 국가지진위험지도 2400년 주기 5HZ 307

4.4.30. 국가지진위험지도 4800년 주기 5HZ 308

4.4.31. 국가지진위험지도 100년 주기 10HZ 309

4.4.32. 국가지진위험지도 200년 주기 10HZ 310

4.4.33. 국가지진위험지도 500년 주기 10HZ 311

4.4.34. 국가지진위험지도 1000년 주기 10HZ 312

4.4.35. 국가지진위험지도 2400년 주기 10HZ 313

4.4.36. 국가지진위험지도 4800년 주기 10HZ 314

4.5. 국가지진위험지도 시스템 사용자 매뉴얼 작성 315

4.5.1. 개요 315

4.5.2. 국가지진위험지도 시스템 사용자 매뉴얼-표출기능(1) 316

4.5.3. 국가지진위험지도 시스템 사용자 매뉴얼-표출기능(2) 317

4.5.4. 국가지진위험지도 시스템 사용자 매뉴얼-표출기능(3) 318

4.5.5. 국가지진위험지도 시스템 사용자 매뉴얼-검색기능(1) 319

4.5.6. 국가지진위험지도 시스템 사용자 매뉴얼-검색기능(5) 320

4.5.7. 국가지진위험지도 시스템 사용자 매뉴얼-검색기능(6) 321

제5장 우리나라 구조물의 지진취약도를 고려한 국가 내진성능 목표 설정 (협동연구기관: 고려대학교) 322

5.1. 연구 배경 및 목표 322

5.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322

5.1.2. 최종 목표 324

5.2. 연차별 주요 연구 내용 325

5.2.1. 1차년도 주요 연구 내용(2013.05. ~ 2014.04.) 325

5.2.2. 2차년도 주요 연구 내용(2014.05. ~ 2015.04.) 326

5.2.3. 3차년도 주요 연구 내용(2015.05. ~ 2016.04.) 327

5.3. 국내외 내진성능목표 및 설계기준의 현황 329

5.3.1. 국내 내진성능목표 및 설계기준의 현황 329

5.3.2. 국외 내진성능목표 및 내진설계기준 현황 338

5.3.3. 국내외 내진성능목표 및 설계기준의 비교 분석을 통한 추진전략 수립 390

5.4. 구조물의 붕괴메커니즘 분석 396

5.4.1. 과거 지진에 의한 피해 사례 398

5.4.2. 지진 시 시설물별 파괴 및 붕괴 유형 분석 399

5.5. 지진 취약도 분석 및 지진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사회·경제적 피해 예측 443

5.5.1. 선행연구분석 443

5.5.2. 건축물 지진 취약도 분석 및 시나리오 분석 456

5.5.3. 도로교의 취약도 분석 및 지진피해 분석 507

5.5.4. 지진 시나리오 연구의 결과 및 활용 517

5.6. 국가내진성능목표(안) 518

5.6.1. 국가내진성능목표 설정의 필요성 518

5.6.2. 국가내진성능목표(안) 제안 배경 및 최초안 523

5.6.3. 국가내진성능목표 최종안 도출을 위한 전문가 의견수렴 과정 545

5.6.4. 토론회(16.03.18) 이후의 최종 자문내용 569

5.6.5. 최종 결론 601

5.6.6. 국가내진성능목표(안) 적용 시 건축물의 내진성능 변화 608

5.6.7. 부록 632

참고문헌 753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서 769

기술 요약서 777

표 1.1.1. 제1세부 및 2세부 과제 연차별 연구 범위 및 내용 58

표 2.3.1. Lists of earthquake catalogues in this study 65

표 2.4.1. 전문가 인적사항 67

표 2.4.2. 전문가 A의 입력자료 75

표 2.4.3. 전문가 B의 입력자료 76

표 2.4.4. 전문가 C의 입력자료 78

표 2.4.5. 전문가 D의 입력자료 80

표 2.4.6. 전문가 E의 입력자료 81

표 2.4.7. 전문가 F의 입력자료 82

표 2.4.8. 전문가 G의 입력자료 83

표 2.4.9. 전문가 H의 입력자료 84

표 2.4.10. 전문가 I의 입력자료 86

표 2.4.11. 전문가 J의 입력자료 88

표 2.5.1. Input parameters for seismic hazard analysis 89

표 3.1.1. 연차별 연구개발 세부내용 142

표 3.2.1. 결정론적 및 확률론적 방법 비교 146

표 3.2.2. SSHAC 단계구분 150

표 3.2.3. 원전 부지의 연초과확률 162

표 3.8.1. 2008년 및 2012년 미국 중동부 지역 확률론적 지진 위험도... 180

표 3.8.2. CEUS GMPE Model-1 181

표 3.8.3. CEUS GMPE Model-2 182

표 3.8.4. CEUS GMPE Model-3 183

표 3.8.5. 국내 연구자가 개발한 지진동 감쇠식 종류 185

표 3.8.6. 국내 전문가 10인 제시 GMPE 모델 요약 188

표 3.14.1. An Example of Input parameters for PSHA for Expert Panel... 257

표 3.14.2. Seismic Hazard at Seoul, Daejeon, and Daegu 260

표 3.14.3. Seismic Hazard at Busan and Gwangju 261

표 4.1. 재현 주기별 위험도 계수 264

표 4.2. 지진구역 및 지진구역계수(평균재현주기 500년 기준임) 265

표 4.3. 기초데이터 수집 내역 267

표 4.4. 축척바 표출 내용 316

표 5.1.1. 주거용 및 비주거 시설의 지진 피해액 323

표 5.1.2. 미국의 시나리오 지진에 대한 예상 경제 손실 323

표 5.1.3. 연차별 연구개발 세부내용 324

표 5.3.1. 국가목표내진성능기준(안) 333

표 5.3.2. 댐의 내진등급 336

표 5.3.3. 단락된 성능수준을 연속화하는 성능수준 344

표 5.3.4. 지진하중에 대한 요구성능 매트릭스 355

표 5.3.5. 건축물의 내진성능목표 및 설계기준특징 - 미국 357

표 5.3.6. 건축물의 내진성능목표 및 설계기준특징 - 일본 358

표 5.3.7. 건축물의 내진성능목표 및 설계기준특징 - 유럽 360

표 5.3.8. 건축물의 내진성능목표 및 설계기준특징 - 뉴질랜드 362

표 5.3.9. 건축물의 내진성능목표 및 설계기준특징 - 캐나다 363

표 5.3.10. Seismic Performance Criteria 365

표 5.3.11. 설계지진동과 교량의 목표내진성능 366

표 5.3.12. 댐의 내진성능목표(일본) 371

표 5.3.13. 국제항해협회에서 정의한 내진성능목표 373

표 5.3.14. 일본의 내진성능목표에 따른 항만 시설물 설계지진의 정의 373

표 5.3.15. 관로의 기능별 등급 분류 376

표 5.3.16. 수도시설의 중요도 구분 377

표 5.3.17. 중요한 수도시설 377

표 5.3.18. 일본 수도시설의 내진성능목표 분류 378

표 5.3.19. 일본 철도구조물 내진설계기준(1999)에서 설계지진동과... 384

표 5.3.20. 일본 철도구조물... 384

표 5.3.21. 일본 철도구조물... 384

표 5.3.22. 일본 철도구조물 내진설계기준(1999)에서... 386

표 5.3.23. 일본 철도구조물 내진설계기준(1999)에서... 386

표 5.3.24. 미국의 내진성능목표 및 설계기준 현황 비교 391

표 5.3.25. 일본의 내진성능목표 및 설계기준 현황 비교 392

표 5.3.26. 유럽의 내진성능목표 및 설계기준 현황 비교 393

표 5.3.27. 우리나라의 내진성능목표 및 설계기준 현황 비교 394

표 5.4.1. 최근 5년간 규모 6.0 이상 지진에 의한 피해 비교 398

표 5.4.2. 교량부재별 피해 및 원인 412

표 5.4.3. 댐의 지진피해유형 426

표 5.4.4. 항만시설의 지진피해 432

표 5.5.1. 퀘벡주의 경제적 손실 추정 450

표 5.5.2. KBC 2009에 따라 산정한 15층 대상 모델의 설계 지진 하중 458

표 5.5.3. 한계상태(Limit state, LS) 의 정의 462

표 5.5.4. IDA 해석 시 사용된 입력 기록 지진파 470

표 5.5.5. 우리나라 설계지진 및 최대지진 시 LS1-3을 초과할 확률 473

표 5.5.6. PACT에서 제공하는 RC 건물의 요소별 수량 및 요구 변수 481

표 5.5.7. 우리나라 설계지진에 상응하는 지진 시나리오 489

표 5.5.8. 구조 형식에 따른 건물 분류 492

표 5.5.9. 용도에 따른 건물 분류 493

표 5.5.10. 손상 상태에 도달할 확률(예: 압구정동) 498

표 5.5.11. 시나리오 2의 각 구조 형식 별 재건비용 비율(압구정동) 503

표 5.5.12. 직접적 경제 손실 503

표 5.5.13. Hazus의 교량형식 분류 508

표 5.5.14. 강남구에 위치한 교량의 형식 509

표 5.5.15. 취약도곡선의 Median과 beta값 510

표 5.5.16. 교량 분류를 위한 변수 A, B, N 511

표 5.5.17. 지진의 최대지반가속도와 스팩트럼 가속도 512

표 5.5.18. 표준 Median 및 보정계수 값 513

표 5.5.19. 취약도곡선의 보정 Median 514

표 5.5.20. 교량형식별 손상확률 514

표 5.5.21. 손상비율 515

표 5.5.22. 교량의 지진 손실추정액 516

표 5.6.1. 내진설계기준연구II의 내진성능목표 524

표 5.6.2. 국가내진성능 목표설정 연구개발의... 525

표 5.6.3. Rehabilitation Objectives (FEMA273) 529

표 5.6.4. ASCE 7-10의 신축건축물의 내진성능목표 530

표 5.6.5. ASCE 41-13의 기존건축물 내진성능목표 및 성능평가기준 530

표 5.6.6. Eurocode 8에서 신축건축물의 내진성능목표 531

표 5.6.7. Eurocode 8에서 기존건축물의 내진성능목표 532

표 5.6.8. Eurocode 8에서 교량구조물의 내진성능목표 533

표 5.6.9. Consequences of failure ofr importance levels 534

표 5.6.10. Importance levels for buildings types-New Zealand... 535

표 5.6.11. Annual Probability of exceedance (AS/NZS1170.0) 536

표 5.6.12. 법정관리대상 시설물의 유효사용기간에 따른 분류 542

표 5.6.13. 현행 내진성능목표 543

표 5.6.14. 자문회의1(151026)의 국가내진성능목표(안) 544

표 5.6.15. 국가내진성능목표 최종안 도출을 위한 전문가 합의 과정 545

표 5.6.16. 공청회(151127)의 국가내진성능목표(안) 551

표 5.6.17. 시설물 내진등급 및 의미 552

표 5.6.18. 우리나라 현행 내진설계기준에서의 내진등급 체계 및... 553

표 5.6.19. 자문회의 2에서 제안한 국가내진성능목표(안) 567

표 5.6.20. 토론회에서 고려대와 지진공학회가 제안한... 568

표 5.6.21. 토론회에서 합의된 사항 569

표 5.6.22. 내진설계 체계 572

표 5.6.23. 주요시설물의 내진성능목표 비교 573

표 5.6.24. 내진성능목표 577

표 5.6.25. 내진성능목표 579

표 5.6.26. 내진성능목표(고려대안) 579

표 5.6.27. R-factor 581

표 5.6.28. Seismic performance requirements (+NZS 1170 part 5) 582

표 5.6.29. Return period factor (+NZS 1170 Part5) 583

표 5.6.30. 일본 교량의 중요도에 따른 요구성능 584

표 5.6.31. 성능비교 585

표 5.6.32. 내진성능목표 수정 제시안 587

표 5.6.33. NEHRP Guidelines (ATC, 1996)과 Vision 2000 (SEAOC,... 590

표 5.6.34. NEHRP Guidelines (ATC, 1996)의 정량적 성능수준 정의 590

표 5.6.35. 구조요소 성능수준 (ASCE 41-13) 591

표 5.6.36. 비구조요소 성능수준 (ASCE 41-13) 592

표 5.6.37. 신축건축물 성능과의 비교 (ASCE 41-13) 592

표 5.6.38. Basic Performance Objective Equivalent to New Building... 595

표 5.6.39. ASCE 41-13 신축건축물에 상응하는 기본성능목표 재표현 595

표 5.6.40. Basic Performance Objective Equivalent to New Building... 596

표 5.6.41. ASCE 41-13 기존건축물 기본성능목표 재표현 596

표 5.6.42. KBC(2016) 건축물 성능기반내진설계를 위한 내진성능목표 597

표 5.6.43. KBC(2016)에 준하는 내진설계기준(안) 건축물 내진성능목표... 598

표 5.6.44. 국가내진성능목표 최종안 603

표 5.6.45. 우리나라 법정 시설물 내진등급 체계 제안 604

표 5.6.46. 건축물 기존 내진설계기준(KBC2009)과... 613

표 5.6.47. 대상 건축물의 개요 613

표 5.6.48. 내진 II 등급 건축물의 설계지진 및 관련 계수와 지진하중 615

표 5.6.49. 내진 I 등급 건축물의 설계지진 및 관련 계수와 지진하중 616

표 5.6.50. 적용 설계지진에 따른 모델 번호 618

표 5.6.51. 붕괴취약도 결과 621

표 5.6.52. 500년 재현주기 지진에 대한 모델 ①의 층간변위율... 622

표 5.6.53. 기준 지진 별 모델들의 최대 층간변위율 622

표 5.6.54. 경제적 손실 평가를 위해 입력된 Component 623

표 5.6.55. 경제적 손실예측 결과 624

그림 1.1.1. 본 연구 과제의 구성도 56

그림 1.1.2. 제1세부과제 및 제2세부과제의 유기적 관계 모식도 57

그림 2.1.1. 연차별 연구 목표 60

그림 2.2.1. The flow chart for making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map 63

그림 2.3.1. The epicentral distribution of historical earthquake catalogues... 65

그림 2.3.2. The epicentral distribution of instrumental earthquake catalogue... 66

그림 2.4.1. Several types of seismic zonation map applied for this study 69

그림 2.4.2. Several attenuation curves applied to the seismic... 74

그림 2.4.3. 전문가 A가 선택한 지진원도 75

그림 2.4.4. 전문가 B가 선택한 지진원도 76

그림 2.4.5. 전문가 C가 선택한 지진원도 77

그림 2.4.6. 전문가 D가 선택한 지진원도 79

그림 2.4.7. 전문가 E가 선택한 지진원도 81

그림 2.4.8. 전문가 F가 선택한 지진원도 82

그림 2.4.9. 전문가 G가 선택한 지진원도 83

그림 2.4.10. 전문가 H가 선택한 지진원도 84

그림 2.4.11. 전문가 I가 선택한 지진원도 85

그림 2.4.12. 전문가 J가 선택한 지진원도 87

그림 2.5.1. Seismic hazard curve with the range of a value from 3.0 to... 90

그림 2.5.2. Seismic hazard curve with the range of b value from 0.6 to... 91

그림 2.5.3. Sensitivity of seismic hazard curves by different Mmax... 92

그림 2.5.4. Sensitivity of seismic hazards to the attenuation... 94

그림 2.5.5. continued 96

그림 2.5.6. Sensitivity of seismic hazards to the seismo-tectonic models for... 97

그림 2.6.1. 전문가 A의 입력자료로 구한 재래주기별 PGA(Peak Ground... 98

그림 2.6.2. 전문가 B의 입력자료로 구한 재래주기별 PGA(Peak Ground... 99

그림 2.6.3. 전문가 C의 입력자료로 구한 재래주기별 PGA(Peak Ground... 100

그림 2.6.4. 전문가 D의 입력자료로 구한 재래주기별 PGA(Peak Ground... 101

그림 2.6.5. 전문가 E의 입력자료로 구한 재래주기별 PGA(Peak Ground... 102

그림 2.6.6. 전문가 F의 입력자료로 구한 재래주기별 PGA(Peak Ground... 103

그림 2.6.7. 전문가 G의 입력자료로 구한 재래주기별 PGA(Peak Ground... 104

그림 2.6.8. 전문가 H의 입력자료로 구한 재래주기별 PGA(Peak Ground... 105

그림 2.6.9. 전문가 I의 입력자료로 구한 재래주기별 PGA(Peak Ground... 106

그림 2.6.10. 전문가 J의 입력자료로 구한 재래주기별 PGA(Peak Ground... 107

그림 2.6.11. 재현 주기 50년(Peak Acceleration (%g) with 10% Probability... 110

그림 2.6.12. 재현 주기 100년(Peak Acceleration (%g) with 10%... 111

그림 2.6.13. 재현 주기 200년(Peak Acceleration (%g) with 10% Probability... 112

그림 2.6.14. 재현 주기 500년(Peak Acceleration (%g) with 10% Probability... 113

그림 2.6.15. 재현 주기 1000년(Peak Acceleration (%g) with 10% Probability... 114

그림 2.6.16. 재현 주기 2400년(Peak Acceleration (%g) with 10% Probability... 115

그림 2.6.17. 재현 주기 4800년(Peak Acceleration (%g) with 10% Probability... 116

그림 2.7.1. Maps showing Peak Ground... 121

그림 2.7.2. (A) A grid seismicity-rate model of the central and... 122

그림 2.7.3. (A) Background source model in the central and... 123

그림 2.7.4. (A) Instrumental seismicity density map of Korea(한수원,... 124

그림 2.7.5. Central and Eastern United States 1-s spectral... 124

그림 2.7.6. The seismic source belts(and... 128

그림 2.7.7. The seismic sources used in the... 128

그림 2.7.8. The seismic hazard map of Asia depicting Peak Ground... 129

그림 2.7.9. The seismic hazard map of Peak Ground Acceleration(PGA)... 130

그림 2.7.10. 재현주기 50년 PGA (%g) 값의 분포. 본 연구(상)와... 133

그림 2.7.11. 재현주기 100년 PGA (%g) 값의 분포. 본 연구(상)와... 134

그림 2.7.12. 재현주기 200년 PGA (%g) 값의 분포. 본 연구(상)와... 135

그림 2.7.13. 재현주기 500년 PGA (%g) 값의 분포. 본 연구(상)와... 136

그림 2.7.14. 재현주기 1000년 PGA (%g) 값의 분포. 본 연구(상)와... 137

그림 2.7.15. 재현주기 2400년 PGA (%g) 값의 분포. 본 연구(상)와... 138

그림 2.7.16. 재현주기 4800년 PGA (%g) 값의 분포. 본 연구(상)와... 139

그림 3.2.1. SSHAC 수행을 위한 구성원과 평가 절차 흐름도 153

그림 3.2.2. 고리, 울진, 월성 및 영광 부지의 PGA에 대한 지진위험도 곡선... 163

그림 3.3.1. Elements of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164

그림 3.3.2. Schematic Expression of Governing Equation of... 164

그림 3.3.3. Four Steps in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166

그림 3.3.4. Typical Example of Logic Tree 168

그림 3.6.1. H/V Spectral Ratio... 176

그림 3.6.2. H/V Spectral Ratio... 176

그림 3.6.3. H/V Spectral Ratio... 176

그림 3.6.4. H/V Spectral Ratio... 176

그림 3.6.5. H/V Spectral... 177

그림 3.6.6. H/V Spectral Ratio... 177

그림 3.6.7. H/V Spectral Ratio... 177

그림 3.6.8. H/V Spectral Ratio... 177

그림 3.8.1. 국내 지진동 감쇠식 개발을 위한 지진... 186

그림 3.8.2. 국내 지진동 감쇠식 개발을 위한 관측소 분포도 186

그림 3.8.3. 국내 지진동 감쇠식 개발을 위한 지진 관측소 시스템 구성도 187

그림 3.8.4. 지진동 감쇠식 비교(규모 7.5) 189

그림 3.8.5. 지진동 감쇠식 비교(규모 6.5) 190

그림 3.8.6. 지진동 감쇠식 비교(규모 6.0) 191

그림 3.8.7. 임의 지점의 PGA, 50 Hz, 25 Hz, 10 Hz,... 192

그림 3.8.8. 미국의 주파수별 지진위험도 지도 192

그림 3.8.9. 미국의 주파수별 지진위험도 지도 193

그림 3.8.10. 미국의 주파수별 지진위험도 지도 193

그림 3.8.11. 미국의 주파수별 지진위험도 지도 194

그림 3.9.1. 전문가 1 감쇠식 및 가중치 195

그림 3.9.2. 전문가 1 고유주기별 감쇠식 195

그림 3.9.3. 전문가 1; 1Hz Spectral... 196

그림 3.9.4. 전문가 1; 3Hz Spectral... 196

그림 3.9.5. 전문가 1; 5Hz Spectral... 197

그림 3.9.6. 전문가 1; 10Hz Spectral... 197

그림 3.9.7. 전문가 1; pga(1.0E10-3) 198

그림 3.9.8. 전문가 2 감쇠식 및 가중치 198

그림 3.9.9. 1Hz Spectral Acc.(1.0E10-3) 199

그림 3.9.10. 3Hz Spectral Acc.(1.0E10-3) 199

그림 3.9.11. 5Hz Spectral Acc.(1.0E10-3) 200

그림 3.9.12. 10Hz Spectral Acc.(1.0E10-3) 200

그림 3.9.13. pga(1.0E10-3) 201

그림 3.9.14. 전문가 3 감쇠식 및 가중치 202

그림 3.9.15. 1Hz Spectral Acc.(1.0E10-3) 202

그림 3.9.16. 3Hz Spectral Acc.(1.0E10-3) 203

그림 3.9.17. 5Hz Spectral Acc.(1.0E10-3) 203

그림 3.9.18. 10Hz Spectral Acc.(1.0E10-3) 204

그림 3.9.19. pga(1.0E10-3) 204

그림 3.9.20. 전문가 4 감쇠식 및 가중치 205

그림 3.9.21. 1Hz Spectral Acc.(1.0E10-3) 206

그림 3.9.22. 3Hz Spectral Acc.(1.0E10-3) 206

그림 3.9.23. 5Hz Spectral Acc.(1.0E10-3) 207

그림 3.9.24. 10Hz Spectral Acc.(1.0E10-3) 207

그림 3.9.25. pga(1.0E10-3) 208

그림 3.9.26. 전문가 5 감쇠식 및 가중치 209

그림 3.9.27. 1Hz Spectral Acc.(1.0E10-3) 210

그림 3.9.28. 3Hz Spectral Acc.(1.0E10-3) 210

그림 3.9.29. 5Hz Spectral Acc.(1.0E10-3) 211

그림 3.9.30. 10Hz Spectral Acc.(1.0E10-3) 211

그림 3.9.31. pga(1.0E10-3) 212

그림 3.10.1. 전문가 선정 지진원 모델 종류에 대한 각각... 213

그림 3.10.2. 전문가 선정 지진원 모델 종류에 대한 각각... 214

그림 3.10.3. 임의 지역 1,000년 재래주기... 215

그림 3.10.4. 임의 지역 2,500년 재래주기 등지진위험도 216

그림 3.10.5. 전문가 선정 감쇠식 대표 모델에 대한 각각... 217

그림 3.10.6. 전문가 선정 감쇠식 대표 모델에 대한 각각... 218

그림 3.10.7. 전문가 선정 감쇠식 대표 모델에 대한 각각... 219

그림 3.10.8. 전문가 선정 감쇠식 대표 모델에 대한 각각... 220

그림 3.10.9. 고유주기에 대한 각각 감쇠식 변화에 해당하는... 221

그림 3.10.10. 고유주기에 대한 각각 감쇠식 변화에... 222

그림 3.10.11. 고유주기에 대한 각각 감쇠식 변화에 해당하는... 223

그림 3.10.12. 고유주기에 대한 각각 감쇠식 변화에... 223

그림 3.11.1. 주요 고유주기에 대한 각각 지진원 모델... 226

그림 3.11.2. 주요 고유주기에 대한 각각 지진원 모델... 226

그림 3.11.3. 주요 고유주기에 대한 각각 지진원 모델... 227

그림 3.11.4. 주요 고유주기에 대한 각각 지진원 모델... 227

그림 3.11.5. 주요 고유주기에 대한 각각 지진원 모델... 228

그림 3.11.6. 주요 고유주기에 대한 각각 GMPE모델 변화에... 229

그림 3.11.7. 주요 고유주기에 대한 각각 GMPE모델 변화에... 229

그림 3.11.8. 주요 고유주기에 대한 각각 GMPE모델 변화에... 230

그림 3.11.9. 주요 고유주기에 대한 각각 GMPE모델 변화에... 230

그림 3.11.10. 주요 GMPE모델 변화에 해당하는 지진위험도값... 231

그림 3.11.11. 주요 GMPE모델 변화에 해당하는... 232

그림 3.11.12. 주요 GMPE모델 변화에 해당하는... 232

그림 3.11.13. 최대지진값(7.0)에 해당하는... 233

그림 3.11.14. 최대지진값(6.75)에 해당하는 해당하는... 234

그림 3.11.15. 최대지진값(6.5)에 해당하는... 235

그림 3.11.16. 최대지진값(7.5)에 해당하는... 236

그림 3.11.17. 최대지진값(7.0)에 해당하는... 237

그림 3.11.18. 최대지진값(6.4)에 해당하는 지진위험도값... 237

그림 3.12.1. 지진위험도값 분포... 238

그림 3.12.2. 지진위험도값 분포... 239

그림 3.12.3. 지진위험도값 분포... 239

그림 3.12.4. 지진위험도값 분포... 240

그림 3.12.5. 전문가A 지진위험도값 분포... 242

그림 3.12.6. 전문가B 지진위험도값 분포... 242

그림 3.12.7. 전문가C 지진위험도값 분포... 243

그림 3.12.8. 전문가D 지진위험도값 분포... 243

그림 3.12.9. 전문가E 지진위험도값 분포... 244

그림 3.12.10. 전문가F 지진위험도값 분포... 244

그림 3.12.11. 전문가G 지진위험도값 분포... 245

그림 3.12.12. 전문가H 지진위험도값 분포... 245

그림 3.12.13. 전문가I 지진위험도값 분포... 246

그림 3.12.14. 전문가J 지진위험도값 분포... 246

그림 3.13.1. Spectral Seismic... 247

그림 3.13.2. Spectral Seismic... 247

그림 3.13.3. Spectral Seismic... 248

그림 3.13.4. Spectral Seismic... 248

그림 3.13.5. Specttral Seismic... 248

그림 3.13.6. Spectral Seismic... 248

그림 3.13.7. Spectral... 249

그림 3.13.8. Spectral... 249

그림 3.13.9. Spectral Seismic... 249

그림 3.13.10. Spectral Seismic... 249

그림 3.13.11. Spectral Seismic... 250

그림 3.13.12. Spectral Seismic... 250

그림 3.13.13. Spectral Seismic... 250

그림 3.13.14. Spectral... 250

그림 3.13.15. Spectral Seismic... 251

그림 3.13.16. Spectral Seismic... 251

그림 3.13.17. Spectral Seismic... 251

그림 3.13.18. Spectral Seismic... 251

그림 3.13.19. Spectral Seismic... 252

그림 3.13.20. Spectral Seismic... 252

그림 3.13.21. Spectral Seismic... 252

그림 3.13.22. Spectral Seismic... 252

그림 3.13.23. Spectral Seismic... 253

그림 3.13.24. Spectral Seismic... 253

그림 3.13.25. Spectral... 253

그림 3.13.26. Spectral Seismic... 253

그림 3.13.27. Spectral Seismic... 254

그림 3.13.28. Spectral... 254

그림 3.13.29. Spectral Seismic... 254

그림 3.13.30. Spectral Seismic... 254

그림 3.14.1. UHS for return... 258

그림 3.14.2. UHS for return... 258

그림 3.14.3. UHS for return... 259

그림 3.14.4. UHA for return... 259

그림 3.14.5. UHS for return... 260

그림 4.1. Geologic Hazard Map(USGS) 263

그림 4.2. 지진재해대응시스템 지진위험도 265

그림 4.3. GIS MAP 구성 화면 267

그림 4.4. GIS 구축 및 타일맵 생성 268

그림 4.5. GIS MAP 축척 269

그림 4.6. 원시데이터 271

그림 4.7. 위치정보 생성(POINT) 272

그림 4.8. 위치정보(POINT)를 RASTER 파일로 변환 273

그림 4.9. RASTER 파일을 이용 등고(LINE, POLYGON) 생성 274

그림 4.10. 국가지진위험도 웹서비스 화면 275

그림 4.11. 국가지진위험지도 100년 주기(PGA) 279

그림 4.12. 국가지진위험지도 200년 주기(PGA) 280

그림 4.13. 국가지진위험지도 500년 주기(PGA) 281

그림 4.14. 국가지진위험지도 1000년 주기(PGA) 282

그림 4.15. 국가지진위험지도 2400년 주기(PGA) 283

그림 4.16. 국가지진위험지도 4800년 주기 284

그림 4.17. 국가지진위험지도(100년 주기 0.5HZ) 285

그림 4.18. 국가지진위험지도(200년 주기 0.5HZ) 286

그림 4.19. 국가지진위험지도(500년 주기 0.5HZ) 287

그림 4.20. 국가지진위험지도(1000년 주기 0.5HZ) 288

그림 4.21. 국가지진위험지도(2400년 주기 0.5HZ) 289

그림 4.22. 국가지진위험지도(4800년 주기 0.5HZ) 290

그림 4.23. 국가지진위험지도(100년 주기 1HZ) 291

그림 4.24. 국가지진위험지도(200년 주기 1HZ) 292

그림 4.25. 국가지진위험지도(500년 주기 1HZ) 293

그림 4.26. 국가지진위험지도(1000년 주기 1HZ) 294

그림 4.27. 국가지진위험지도(2400년 주기 1HZ) 295

그림 4.28. 국가지진위험지도(4800년 주기 1HZ) 296

그림 4.29. 국가지진위험지도(100년 주기 2HZ) 297

그림 4.30. 국가지진위험지도(200년 주기 2HZ) 298

그림 4.31. 국가지진위험지도(500년 주기 2HZ) 299

그림 4.32. 국가지진위험지도(1000년 주기 2HZ) 300

그림 4.33. 국가지진위험지도(2400년 주기 2HZ) 301

그림 4.34. 국가지진위험지도(4800년 주기 2HZ) 302

그림 4.35. 국가지진위험지도(100년 주기 5HZ) 303

그림 4.36. 국가지진위험지도(200년 주기 5HZ) 304

그림 4.37. 국가지진위험지도(500년 주기 5HZ) 305

그림 4.38. 국가지진위험지도(1000년 주기 5HZ) 306

그림 4.39. 국가지진위험지도(2400년 주기 5HZ) 307

그림 4.40. 국가지진위험지도(4800년 주기 5HZ) 308

그림 4.41. 국가지진위험지도(100년 주기 10HZ) 309

그림 4.42. 국가지진위험지도(200년 주기 10HZ) 310

그림 4.43. 국가지진위험지도(500년 주기 10HZ) 311

그림 4.44. 국가지진위험지도(1000년 주기 10HZ) 312

그림 4.45. 국가지진위험지도(2400년 주기 10HZ) 313

그림 4.46. 국가지진위험지도(4800년 주기 10HZ) 314

그림 4.47. 국가지진위험지도 시스템 초기 화면 315

그림 4.48. 국가지진위험지도 시스템 매뉴얼 - 표출기능(1) 316

그림 4.49. 국가지진위험지도 시스템 매뉴얼 - 표출기능(2) 317

그림 4.50. 국가지진위험지도 시스템 매뉴얼 - 표출기능(3) 318

그림 4.51. 국가지진위험지도 시스템 매뉴얼 - 검색기능(1) 319

그림 4.52. 국가지진위험지도 시스템 매뉴얼 - 검색기능(2) 320

그림 4.53. 국가지진위험지도 시스템 매뉴얼 - 검색기능(3) 321

그림 5.2.1. 지진취약도 분석 326

그림 5.3.1. 내진성능기준 및 내진설계기준기준 관계도... 331

그림 5.3.2. 댐시설기준내 우리나라의 지진구역도 335

그림 5.3.3. NEHRP 참여기관과 활동 342

그림 5.3.4. PBD 흐름도 348

그림 5.3.5.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구조 348

그림 5.3.6. 댐 기초에 대한 설계지진계수의 구역화(일본) 371

그림 5.3.7. Seismic performance objectives from Vision 372

그림 5.3.8. 설계지진에 대해 요구되는 성능조건 374

그림 5.3.9. 미국 캘리포니아주 고속철도 노선 계획 380

그림 5.3.10. 자유장변위 구속하중법 381

그림 5.3.11. 지중 직사각형 프레임구조물의 구조 안정 평가 사례 382

그림 5.3.12. 일본 철도구조물 내진설계기준(1999)에서... 385

그림 5.3.13. 일본 철도구조물 내진설계기준(1999)에서... 387

그림 5.3.14. 일본 철도구조물 내진설계기준(1999)의 내진설계 절차 388

그림 5.3.15. 일본 철도구조물 설계기준의 지진응답 평가 방법 389

그림 5.4.1. 연도별 우리나라 지진발생횟수 397

그림 5.4.2. 아파트 재건축 및 수직증축 허용 보도 기사 397

그림 5.4.3.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대표적인 손상 및 파괴유형 399

그림 5.4.4. 전단경간비에 따른 기둥의 파괴모드 400

그림 5.4.5. 단주효과에 의한 기둥 파괴 401

그림 5.4.6. 부적절한 횡철근 사용에 의한 기둥 전단파괴 후 압축파괴,... 401

그림 5.4.7. 부적절한 전단철근으로 인한 보·기둥 접합부 파괴 402

그림 5.4.8. 전형적인 전단벽 파괴 모드 403

그림 5.4.9. 전단벽체 파괴 403

그림 5.4.10. 벽식 구조물의 손상 및 붕괴 메커니즘 404

그림 5.4.11. 2010년 칠레지진에 의한 얇은 벽체의 파괴모드 405

그림 5.4.12. 연약층(soft story)에 의한 1층 붕괴, 파키스탄 발라코트 거리 406

그림 5.4.13. 인방보 피해 및 연약층(soft story)에 의한 중간층 붕괴, 칠레 지진 406

그림 5.4.14. 건물의 비틀림에 의한 피해, 인도네시아 지진 407

그림 5.4.15. 철골조 및 합성구조 건축물의 손상 및 파괴유형 408

그림 5.4.16. 접합부의 항복 및 파괴모드 409

그림 5.4.17. 조적조 건축물의 손상 및 파괴유형 410

그림 5.4.18. 교량의 대표적인 손상 및 파괴유형 411

그림 5.4.19. 상부구조의 낙교 413

그림 5.4.20. 지진력에 의한 받침부 반력 414

그림 5.4.21. 받침의 주요 피해부위 414

그림 5.4.22. 기동받침부의 손상 415

그림 5.4.23. 고정단 받침부 손상 415

그림 5.4.24. 교각두부의 파손 416

그림 5.4.25. 교각 두부의 손상 416

그림 5.4.26. 이동제한장치의 손상 417

그림 5.4.27. 교각의 피해 패턴 418

그림 5.4.28. 단면강도와 파괴모드의 관계 418

그림 5.4.29. 교각의 피해-휨파괴 419

그림 5.4.30. 교각의 피해-전단파괴 420

그림 5.4.31. 교각의 피해-부착파괴 421

그림 5.4.32. 교대의 피해 422

그림 5.4.33. 기초의 하중분포 422

그림 5.4.34. 기초의 파괴양상 423

그림 5.4.35. 기초파괴로 인한 교각... 424

그림 5.4.36. 거더의 손상 425

그림 5.4.37. 횡형의 손상 425

그림 5.4.38. Chi-Chi 지진(1999) 시 Shih-Gang 댐의 댐체붕괴모습... 427

그림 5.4.39. Koyna 지진시(1967) Koyna 댐의 균열 및 누수피해 모식도... 428

그림 5.4.40. San Fernando 지진(1971)에 의해 San Fernando 하부댐이... 429

그림 5.4.41. Yellowstone 지진(1959)에 의해 Hebgen 댐에 월류가 발생한 모습 430

그림 5.4.42. 필댐의 균열 431

그림 5.4.43. 항만 안벽 및 크레인의 붕괴(고베 지진) 434

그림 5.4.44. 항만 안벽 및 크레인의 붕괴(칠레 지진) 434

그림 5.4.45. 케이슨 안벽의 변형(고베 항) 437

그림 5.4.46. 중력식 안벽의 변형/파괴모드 438

그림 5.4.47. 쉬트파일 안벽의... 439

그림 5.4.48. 파일지지 안벽의 변형/파괴모드 440

그림 5.4.49. 항만크레인의 변형모드 442

그림 5.5.1. 우리나라 자연재해대응시스템 손상평가 절차 443

그림 5.5.2. Hazus에서 산정한 취약도 곡선 445

그림 5.5.3. Hazus의 피해예측 절차 446

그림 5.5.4. ATC-58 프로젝트의 피해예측 절차 448

그림 5.5.5. Inventory의 체계분류 449

그림 5.5.6. 퀘벡지역의 재건비용 도식화 450

그림 5.5.7. Global Earthquake Model(GEM)의 프레임워크 체계 451

그림 5.5.8. OpenQuake의 구성 453

그림 5.5.9. CAPRA의 손실 평가 절차 455

그림 5.5.10. 대상모델 457

그림 5.5.11. 1:5 축소 10층 벽식 아파트 진동대 실험 전경 459

그림 5.5.12. 우리나라 최대지진 시 10층... 460

그림 5.5.13. 15층 대상건물의... 460

그림 5.5.14. 한계 상태(LS1, LS2, LS3)의 정량적 수준 462

그림 5.5.15. SEC/FEMA 방식에서 사용된 입력 기록 지진파의 PGA, 규모,... 464

그림 5.5.16. SAC/FEMA method에서 사용된 입력 기록 지진파의 응답... 465

그림 5.5.17. SAC/FEMA 해석법을 통해 얻어진 1층 벽체 요소 W1(그림... 466

그림 5.5.18. SAC/FEMA 해석법에서의 IM과 EDP의 관계 468

그림 5.5.19. SAC/FEMA 해석을 통해 얻어진 지진 취약도 곡선 468

그림 5.5.20. IDA 해석 시 사용된 입력 기록 지진파의 응답 스펙트럼 471

그림 5.5.21. 1초 주기의 값을 0.1g에 맞춘 응답 스펙트럼 471

그림 5.5.22. IDA 해석법에서의 IM과 EDP(IDR)의 관계 472

그림 5.5.23. IDA 해석을 통해 얻어진 지진 취약도 곡선 472

그림 5.5.24. SAC/FEMA 및 IDA 방법을 통해 얻은 지진 취약도 곡선의 비교 474

그림 5.5.25. FEMA P-58의 사회·경제적 피해 예측 분석 절차 477

그림 5.5.26. 우리나라 최대예상지진의 가속도, 속도, 변위 응답스펙트럼 478

그림 5.5.27. 우리나라 최대예상지진의 가속도 응답스펙트럼과 생성된... 478

그림 5.5.28. 사회·경제적 손실예측 과정 479

그림 5.5.29. Wall(B1044.011)의 취약도 함수 482

그림 5.5.30. Wall(B1044.011)의 손실 평가 함수 482

그림 5.5.31. 시간에 따른 인구 분포 모델 482

그림 5.5.32. 경제적 손실예측함수 곡선 483

그림 5.5.33. 보수기간에 따른 사회적 손실예측함수 곡선 484

그림 5.5.34. 우리나라 최대지진 시 대상 건물의 수리비용 및 보수기간 485

그림 5.5.35. 시나리오 지진과 우리나라 설계지진(KBC 2009)의 응답 스펙트럼 비교 488

그림 5.5.36. HAZUS 지진 피해 예측 방법의 흐름도 490

그림 5.5.37. 구조 형식 및 용도에 따른 건물 분포도 494

그림 5.5.38. 가속도-변위 응답 스펙트럼(ADRS) 496

그림 5.5.39. 구조 형식 C2H에 대한 성능점 계산 예 496

그림 5.5.40. 손상 수준에 도달할 확률 계산을 위한 취약도 곡선... 497

그림 5.5.41. 각 손상 상태별 건물의 수 분포도 499

그림 5.5.42. Extensive 손상 상태를 초과할 비율 500

그림 5.5.43. 시나리오 2에서 각 구조 형식별로 손상상태에 도달할 비율 501

그림 5.5.44. 구조 형식 및 사용 용도에 따른 직접적 경제 손실의 분포 504

그림 5.5.45. 교량의 분포도(서울시) 507

그림 5.6.1. 내진성능수준 비교 539

그림 5.6.2. 극한한계상태설계 540

그림 5.6.3. 붕괴방지 해석 - 최대변형 및 강도 평가(비선형해석을 수행함) 540

그림 5.6.4. 자문회의 1(151026) 546

그림 5.6.5. 공청회 (151127) 550

그림 5.6.6. 설문참여자의 활동분야 분포 557

그림 5.6.7. 내진등급 분류체계(안)에 대한 찬반의견 분포 558

그림 5.6.8. 설계지진 분류체계(안)에 대한 찬반의견 분포 560

그림 5.6.9. 내진성능수준 분류체계(안)에 대한 찬반의견 분포 561

그림 5.6.10. 국가내진 성능목표(안)에 대한 찬반의견 분포 562

그림 5.6.11. 자문회의 2 (160303) 565

그림 5.6.12. 토론회 (160318) 568

그림 5.6.13. 국가내진성능목표 및 시설물의 내진성능목표 설정 절차 예 575

그림 5.6.14. 붕괴방지수준의 설계개념 578

그림 5.6.15. 붕괴방지수준의 설계 시 손상수준 578

그림 5.6.16. Performance와 Damage (ATC-58 Project) 584

그림 5.6.17. 해외 내진등급별 지반운동과 성능수준과의 관계(FEMA... 594

그림 5.6.18. FEMA P58 예제건물 도면 609

그림 5.6.19. 비선형 정적해석을 통한 예제건물의 Pushover 곡선 610

그림 5.6.20. SPO2IDA툴에 예제건물의 Pushover 곡선을 입력 및 결과 611

그림 5.6.21. 예제건물의 경제적 피해 예측 결과 612

그림 5.6.22. RC 모멘트 저항골조 건물 평면 및 입면도 617

그림 5.6.23. RC MRF 건물의 비선형 정적해석결과 618

그림 5.6.24. IDA의 분위곡선(84%, 50%, 16%) 및 SDOF의 연성도 vs... 619

그림 5.6.25. SPO2IDA에서 비선형 정적해석결과의 Fitting 620

그림 5.6.26. SPO2IDA에서의 IDA의 분위곡선(84%, 50%, 16%) 및... 620

그림 5.6.27. 붕괴취약도 곡선 621

그림 5.6.28. 500년 재현주기 지진에 의한 건축물의 경제적 손실... 626

그림 5.6.29. 1000년 재현주기 지진에 의한 건축물의 경제적 손실... 627

그림 5.6.30. 2400년 재현주기 지진에 의한 건축물의 경제적 손실... 628

그림 5.6.31. 500년 재현주기 지진으로 인한 피해 발생시 건축물의 예상... 629

그림 5.6.32. 1000년 재현주기 지진으로 인한 피해 발생시 건축물의 예상... 630

그림 5.6.33. 2400년 재현주기 지진으로 인한 피해 발생시 건축물의 예상... 63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96623 624.1762 -16-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96624 624.1762 -16-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