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청주시 환경보전계획 : 2016∼2025. [1-2] / 환경부, 청주시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환경부 ; 청주 : 청주시, 2016
청구기호
354.3 -16-1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책 : 삽화, 지도, 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641485
주기사항
[연구기관]: 충북연구원
1권 부록: 1. 설문조사 내용 ; 2. 퍼실리테이션 내용 ; 3. 주요 회의 내용
내용: [1]. 종합계획서 -- [2]. 종합계획요약보고서 : 공간환경계획지도집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계획의 개요 23

I. 계획의 배경 및 목적 25

II. 계획의 범위 27

III. 계획의 지위와 성격 29

IV. 계획수립의 기본원칙 30

V. 계획 수립체계 32

제2장 청주시 환경현황 및 진단 분석 33

I. 청주시 현황 및 특성 35

1. 자연환경 35

2. 인문환경 42

II. 지속가능지표에 따른 현황분석 57

1. 총괄 분석 58

2. 사회영역 59

3. 환경영역 73

4. 경제영역 79

III. 청주시 생태발자국 분석 82

1. 음식부문 84

2. 건조환경부문 85

3. 산림부문 86

4. 에너지 부문 86

5. 청주시의 생태적자 추정 87

제3장 관련계획의 검토 89

I. 환경여건 및 정책 트렌드 91

1. 주요 대외적 여건변화 91

2. 대내적 여건 97

3. 대내외 여건에 대한 주요 시사점 103

4. 국가 환경 주요 지표 105

II. 상위계획 검토 106

1. 국가환경종합계획(2016-2035) 106

2.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15) 109

3. 제5차 환경보전중기종합계획(2013-2017) 111

4.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2016~2025) 113

5. 충청북도 환경보전종합계획(2007-2015) 117

6. 충청북도 종합계획(2011-2020) 120

7. 충청북도 제2차 녹색성장 추진 5개년 계획(2014-2018) 121

III. 청주시 계획 검토 122

1. 2030 청주도시기본계획(2012-2030) 122

2. 2020년 청주권 광역도시계획(변경)(2009-2020) 125

3. 청주시 공원녹지기본계획(2008-2025) 128

4. 청주시 도시교통정비 기본계획 및 중기계획(2010-2030) 130

IV. 환경보전계획의 성과평가 133

1. 제2차 환경보전계획 평가 133

2. 제2차 환경보전계획 총괄평가 및 시사점 134

제4장 환경 의식 조사 137

I. 조사개요 139

1. 조사목적 139

2. 조사설계 및 표본수집 방법 139

3. 분석절차 및 통계처리 도구 140

4. 조사의 내용 140

5. 응답자 특성 142

II. 조사결과 146

1. 환경의식에 대한 조사 146

2. 환경질 및 관리수준에 대한 조사 147

3. 청주시의 각 부문별 환경의 중요도 및 성취도 평가 148

4. 자연생태에 대한 질문 156

5. 자연경관에 대한 질문 158

6. 대기에 대한 질문 160

7. 물관리에 대한 질문 162

8. 토양·지하수에 대한 질문 164

9. 폐기물처리에 대한 질문 166

10. 악취, 실내공기질, 유해화학물질, 소음·진동에 대한 질문 168

11. 기후변화에 대한 질문 170

12. 지속가능한 환경에 대한 질문 173

13. 기타 175

제5장 청주시 미래 환경비전과 전략 181

I. 미래 환경트렌드 고찰 183

II. 잠재력 분석 187

1. SWOT 분석 187

2. 계획 수립을 위한 종합여건 189

3. 전략 구상 191

III. 미래환경비전 설정을 위한 합의 도출 193

IV. 환경비전 196

1. 기본방향 196

2. 환경비전 197

3. 분야별 계획지표 199

V. 핵심 약속프로젝트 201

제6장 부문별 계획 203

I. 자연생태계 보전 205

1. 정책여건 및 추진방향 205

2. 자연생태 현황 227

3. 자연생태계부문 비전 및 목표 243

4. 자연생태계 추진전략 및 주요사업 245

II. 자연경관보전 및 관리 249

1. 정책여건 및 추진방향 249

2. 자연경관 현황 254

3. 자연경관부문 비전 및 목표 261

4. 자연경관 추진전략 및 주요사업 263

III. 토양 및 지하수 관리 269

1. 정책여건 및 추진방향 269

2. 토양·지하수 현황 279

3. 토양 및 지하수 관리를 위한 비전 및 목표 305

4. 토양 및 지하수 관리를 위한 추진전략 및 주요사업 307

IV. 대기환경의 관리 311

1. 정책여건 및 추진방향 311

2. 대기환경 현황 324

3. 대기환경부문 비전 및 목표 335

4. 대기환경 추진전략 및 주요사업 337

V. 물환경 관리 및 상·하수도의 보급 341

1. 정책여건 및 추진방향 341

2. 물환경 관리 및 상·하수도의 보급 현황 361

3. 물환경 관리 및 상·하수도의 보급부문 비전 및 목표 385

4. 물환경 관리 및 상·하수도의 보급 추진전략 및 주요사업 388

VI. 폐기물 처리 및 관리 392

1. 정책여건 및 추진방향 392

2. 폐기물 처리 및 관리 현황 401

3. 폐기물처리 및 관리부문 비전 및 목표 413

4. 폐기물 처리 및 관리 추진전략 및 주요사업 415

VII. 소음·진동·악취·실내공기질·유해화학물질의 관리 418

1. 정책여건 및 추진방향 418

2. 소음·진동·악취·실내공기질·유해화학물질 현황 425

3. 소음·진동·악취·실내공기질·유해화학물질부문 비전 및 목표 445

4. 소음·진동·악취·실내공기질·유해화학물질 추진전략 및 주요사업 447

VIII. 에너지,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451

1. 정책여건 및 추진방향 451

2. 신재생에너지 현황 459

3. 기후변화 현황 467

3. 에너지, 기후변화 부문 비전 및 목표 521

4. 에너지, 기후변화 추진전략 및 주요사업 523

IX. 환경, 경제, 사회 통합기반의 지속가능 환경 527

1. 정책여건 및 추진방향 527

2. 지속가능환경 현황 540

3. 지속가능환경 부문 비전 및 목표 552

4. 지속가능환경 추진전략 및 주요사업 555

제7장 공간환경계획 561

I. 국내외 공간환경계획 고찰 563

1. 독일 환경계획('14년 11월 기준) 563

2. 영국의 계획체계 564

3. 미국의 계획체계 565

4. 세종특별자치시 공간환경계획 566

5. 대구시 공간환경계획 567

6. 부산시 공간환경계획 568

II. 청주시 공간환경계획의 개요 569

1. 공간환경계획의 필요성 569

2. 공간환경계획의 정의 571

3. 공간환경계획의 기본원칙 572

4. 공간환경계획의 목적 573

5. 공간환경계획의 한계 575

6. 청주시 공간환경계획의 모범적 의미 577

III. 공간환경계획 수립절차 579

IV. 공간환경계획을 위한 청주시 환경이슈와 계획항목 581

1. 청주시 주요 환경이슈 도출 581

2. 부문별 주요 계획항목 설정과 공간화 585

V. 국토계획과의 연계를 위한 공간DB 구축 590

VI. 부문별 공간환경DB 구축 596

1. 자연생태부문 596

2. 자연경관부문 603

3. 토양과 지하수 부문 606

4. 대기환경 부문 609

5. 물환경 부문 612

6. 자원순환 부문 (폐기물) 615

7. 소음·진동·악취·유해화학물질 부문 617

8. 에너지, 기후변화부문 공간환경계획 619

9. 지속가능 환경부문 622

10. 부문별 공간환경계획 주요 방향 624

VII. 부문별 공간환경계획 629

1. 자연생태 부문 공간환경계획 629

2. 자연경관 부문 공간환경계획 적용 642

3. 토양 및 지하수 부문 공간환경계획 647

4. 대기환경 부문 공간환경계획 658

5. 물환경 부문 공간환경계획 670

6. 자원순환 부문 공간환경계획 673

7. 소음·진동·악취·유해화학물질 부문 공간환경계획 677

8. 기후변화 부문 공간환경계획 적용 687

9. 공간환경계획을 통해 논의가능한 정책방향 692

제8장 미래상 구현을 위한 핵심프로젝트 697

I. 생태도시 699

II. 시민도시 718

III. 청정도시 749

IV. 건강안전도시 779

V. 순환도시 791

제9장 계획의 추진 및 재정계획 805

I. 계획의 추진체계 807

1. 환경행정조직 807

2. 환경자치법규 809

3. 미래의 환경행정 수요 811

II. 재정계획 815

1. 총괄 투자계획 815

2. 부문별 투자계획 817

2. 재원조달방안 822

부록 827

부록1. 설문조사 내용 829

부록2. 퍼실리테이션 내용 835

부록3. 주요 회의 내용 858

연구진 875

〈표 2-1〉 행정구역 면적 36

〈표 2-2〉 표고 분석 37

〈표 2-3〉 경사도 분석 38

〈표 2-4〉 청주시 연도별 평균 기온 및 강수량 39

〈표 2-5〉 국토환경성평가등급 현황 39

〈표 2-6〉 행정구역 면적별 산림면적 비율 41

〈표 2-7〉 청주시 인구 및 세대 현황 43

〈표 2-8〉 청주시 연령별 인구 현황 43

〈표 2-9〉 연도별 총인구 및 계획인구 44

〈표 2-10〉 청주시 용도지역 현황 45

〈표 2-11〉 지목 현황 45

〈표 2-12〉 청주시 토지이용 현황 46

〈표 2-13〉 1인당 녹지면적 47

〈표 2-14〉 산업대분류별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2013) 50

〈표 2-15〉 산업단지 현황 51

〈표 2-16〉 자동차 등록 현황 53

〈표 2-17〉 주차장 현황 53

〈표 2-18〉 도로 현황 54

〈표 2-19〉 행정구역 면적별 도로면적 비율 55

〈표 2-20〉 청주시 지속가능발전 지표 57

〈표 2-21〉 청주시의 음식부문 생태발자국 84

〈표 2-22〉 청주시의 건조환경부문 생태발자국 85

〈표 2-23〉 청주시의 산림부문 생태발자국 86

〈표 2-24〉 청주시의 에너지부문 생태발자국 86

〈표 2-25〉 청주시의 ED지수 87

〈표 2-26〉 청주시 EF 및 ED지수 87

〈표 3-1〉 장기적인 미래사회의 변화 및 환경이슈 104

〈표 3-2〉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2016-2025) 주요 추진계획 113

〈표 3-3〉 국내 중장기 환경관련 계획(장기) 114

〈표 3-4〉 국내 중장기 환경관련 계획(중기) 115

〈표 3-5〉 국내 중장기 환경관련 종합계획 116

〈표 3-6〉 주요지표 119

〈표 3-7〉 환경분야 정책 및 전략사업 123

〈표 3-8〉 실천계획 127

〈표 4-1〉 환경의식조사의 내용 141

〈표 4-2〉 응답자 특성(전체) 142

〈표 4-3〉 응답자 특성(시민) 143

〈표 4-4〉 응답자 특성(전문가) 144

〈표 4-5〉 응답자 특성(공무원) 145

〈표 4-6〉 전체 응답자의 IP분석 결과 150

〈표 4-7〉 공무원 응답자의 IP분석 결과 152

〈표 4-8〉 전문가 응답자의 IP분석 결과 153

〈표 4-9〉 시민 응답자의 IP분석 결과 155

〈표 4-10〉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156

〈표 4-11〉 자연경관 보전을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158

〈표 4-12〉 대기질 개선을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160

〈표 4-13〉 물관리를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162

〈표 4-14〉 토양·지하수 관리를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164

〈표 4-15〉 폐기물 처리를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166

〈표 4-16〉 악취, 유해화학물질 등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168

〈표 4-17〉 소음·진동의 관리를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169

〈표 4-18〉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171

〈표 4-19〉 지속가능한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173

〈표 4-20〉 청주시의 바람직한 환경미래상과 이미지에 대한 적합성 176

〈표 4-21〉 청주시 환경보전 및 개선을 이끌어 가야 하는 주체에 대한 인식도 177

〈표 4-22〉 환경질의 개선을 위한 청주시의 최우선 과제에 대한 인식도 178

〈표 5-1〉 주요 환경이슈를 반영한 전략요소 및 전략 184

〈표 5-2〉 주요 환경이슈를 반영한 정책 키워드 186

〈표 6-1〉 주요 과제별 목표 및 이행방안 205

〈표 6-2〉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2016-2025) 주요 추진계획 215

〈표 6-3〉 전라북도 자연환경보전실천계획 추진전략 215

〈표 6-4〉 세종시 자연환경보전실천계획 추진전략 216

〈표 6-5〉 주요 추진사업 및 세부내용 218

〈표 6-6〉 청주시 환경보전계획 자연생태 부문 주요과제 및 추진방안 219

〈표 6-7〉 무심천종합계획 대상지 현황 220

〈표 6-8〉 주요 보전축 설정 내용 223

〈표 6-9〉 토지피복(이용) 현황 227

〈표 6-10〉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유형분류 229

〈표 6-11〉 공원 현황 230

〈표 6-12〉 녹지 현황 231

〈표 6-13〉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현황 232

〈표 6-14〉 임상 구분 234

〈표 6-15〉 생태자연도 등급 기준 235

〈표 6-16〉 청주시 생태자연도 등급별 현황 236

〈표 6-17〉 법정보호지역 237

〈표 6-18〉 청주시 공원녹지네트워크 현황 239

〈표 6-19〉 경관관련지구 면적 현황 256

〈표 6-20〉 토양통별 면적 280

〈표 6-21〉 토양오염물질별 토양오염 우려기준 및 대책기준 282

〈표 6-22〉 측정목적에 따른 토양측정망 지점별 기준 283

〈표 6-23〉 2013년 토양오염측정망 284

〈표 6-24〉 토양오염측정망별 오염도(2013) 286

〈표 6-25〉 토양오염측정망별 오염도(2013)(계속) 287

〈표 6-26〉 토양오염실태조사 측정지점(2014) 288

〈표 6-27〉 토양오염실태조사 측정지점별 오염도(2014) 290

〈표 6-28〉 토양오염실태조사 측정지점별 오염도(2014)(계속) 291

〈표 6-29〉 청주시 수문지질 분포 293

〈표 6-30〉 지하수이용현황 295

〈표 6-31〉 지하수시설 밀도 및 단위면적당 이용량 297

〈표 6-32〉 지하수시설 공당 이용량 및 개발가능량 대비 이용량 298

〈표 6-33〉 지하수수질검사 결과 299

〈표 6-34〉 국가지하수수질 측정망 301

〈표 6-35〉 지역지하수수질 측정망 302

〈표 6-36〉 지하수오염 취약지역 303

〈표 6-37〉 지하수공 현황 304

〈표 6-38〉 지하수 보조관측망 현황 304

〈표 6-39〉 지하수 개발 이용허가 및 신고처리 현황 304

〈표 6-40〉 지하수 이용부담금 부과.징수 현황 304

〈표 6-41〉 지하수 수질검사 현황 304

〈표 6-42〉 충청북도 지역 대기환경기준 달성을 위한 세부실천 목표 315

〈표 6-43〉 충청북도와 청주시 인구 추이 316

〈표 6-44〉 충청북도와 청주시 자동차 등록 추이 316

〈표 6-45〉 충청북도와 청주시 대기환경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수 추이 316

〈표 6-46〉 대기환경기준 319

〈표 6-47〉 대기환경기준 324

〈표 6-48〉 연도별 일반대기오염물질 현황 325

〈표 6-49〉 대기오염측정망 종류별 설치 목적 326

〈표 6-50〉 청주시 대기오염측정망 설치·운영 현황 327

〈표 6-51〉 측정소별 아황산가스(SO2) 오염도 변화 328

〈표 6-52〉 측정소별 일산화탄소(CO) 오염도 변화 328

〈표 6-53〉 측정소별 이산화질소(NO2) 오염도 변화 329

〈표 6-54〉 측정소별 미세먼지(PM-10) 오염도 변화 330

〈표 6-55〉 측정소별 오존(O3) 오염도 변화 330

〈표 6-56〉 연도별 대기중금속 현황 331

〈표 6-57〉 연도별 강우산도 현황 331

〈표 6-58〉 유해대기물질 현황(2014) 332

〈표 6-59〉 측정소별 환경기준 초과횟수(2014) 333

〈표 6-60〉 배출허용기준 대비 자체배출기준 339

〈표 6-61〉 우리나라 하천관련 법정계획의 비교 343

〈표 6-62〉 청주시 상수도보급률 현황 347

〈표 6-63〉 청주시 구별 상수도보급률 현황 347

〈표 6-64〉 청주시 상수 생산시설 및 이용률 현황 348

〈표 6-65〉 청주시 취수시설 현황 349

〈표 6-66〉 청주시 광역 및 지방상수도 사용량 현황 349

〈표 6-67〉 청주시 상수도관 및 노후관로 현황(2014) 349

〈표 6-68〉 청주시 상수도 노후관로 개량실적(2014) 350

〈표 6-69〉 청주시 인구기준 하수도 보급률(옛 청주시 기준) 350

〈표 6-70〉 청주시 하수관로기준 하수도 보급률(옛 청주시 기준) 350

〈표 6-71〉 청주시 하수처리장 이용률 현황(옛 청주시 기준) 351

〈표 6-72〉 청주시 하수관로 개량을 위한 연차별 계획 352

〈표 6-73〉 청주시 하수관거 배제방식 현황 352

〈표 6-74〉 통합청주시 총량관리 단위유역 목표수질(BOD) 353

〈표 6-75〉 통합청주시 총량관리 단위유역 목표수질(TP) 353

〈표 6-76〉 유역 현황 361

〈표 6-77〉 하천 현황 364

〈표 6-78〉 측정망의 종류 366

〈표 6-79〉 등급별 수질 상태 367

〈표 6-80〉 하천 수질환경 기준(생활환경) 367

〈표 6-81〉 호소 수질환경 기준(생활환경) 368

〈표 6-82〉 수질측정망 368

〈표 6-83〉 하천 수질 측정 결과(2015) 370

〈표 6-84〉 호소 수질 측정결과 372

〈표 6-85〉 하천수질측정지점 374

〈표 6-86〉 청주시 하천 수질 현황(2015) 375

〈표 6-87〉 취·정수시설 현황 376

〈표 6-88〉 하수관련시설 현황 378

〈표 6-89〉 청주시 상수도 시설별 이용인구 현황(2013) 380

〈표 6-90〉 청주시 상수도 보급 및 용도별 급수사용량(2014) 380

〈표 6-91〉 청주시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 급수시설 현황 380

〈표 6-92〉 청주시 배수지 시설현황 381

〈표 6-93〉 청주시 하수 및 분뇨발생량(2013) 382

〈표 6-94〉 청주시 가축분뇨발생량 및 처리현황(2013) 382

〈표 6-95〉 하수관거 현황 382

〈표 6-96〉 하수도 보급률 (인주 및 관거기준) 382

〈표 6-97〉 하수도정비 추진현황 383

〈표 6-98〉 하수처리현황 384

〈표 6-99〉 분뇨.정화조 반입 및 징수현황 384

〈표 6-100〉 수질현황 384

〈표 6-101〉 폐기물 분류 401

〈표 6-102〉 폐기물발생량 및 처리현황 변화 402

〈표 6-103〉 청주시 폐기물종류별 발생량 비율 403

〈표 6-104〉 청주시 폐기물종류별 발생량 403

〈표 6-105〉 생활쓰레기 발생량 404

〈표 6-106〉 재활용품 처리량 404

〈표 6-107〉 청주시 폐기물처리방법별 비율 404

〈표 6-108〉 불법쓰레기 단속 (년도별) 405

〈표 6-109〉 청주시 광역폐기물매립장 현황 405

〈표 6-110〉 청주시 광역폐기물소각시설 현황 406

〈표 6-111〉 청주시 기타폐기물시설 현황(2013) 406

〈표 6-112〉 가정생활폐기물 발생량 예측 407

〈표 6-113〉 사업장생활폐기물 발생량 예측 407

〈표 6-114〉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 발생량 예측 408

〈표 6-115〉 건설폐기물 발생량 예측 408

〈표 6-116〉 지정폐기물 발생량 예측 409

〈표 6-117〉 소각시설 운영현황 409

〈표 6-118〉 2015년 청주권 광역매립장 폐기물 반입현황 410

〈표 6-119〉 생활쓰레기 처리(소각, 매립) 411

〈표 6-120〉 음식물쓰레기 처리 411

〈표 6-121〉 재활용 선별장 운영 412

〈표 6-122〉 소음환경기준 426

〈표 6-123〉 공장소음의 배출허용기준 427

〈표 6-124〉 공장진동의 배출허용기준 427

〈표 6-125〉 생활소음의 규제기준 428

〈표 6-126〉 생활진동의 규제기준 428

〈표 6-127〉 교통 소음·진동의 관리기준 429

〈표 6-128〉 항공기 소음대책지역의 기준 429

〈표 6-129〉 전국 소음·진동 측정망 운영현황 430

〈표 6-130〉 소음·진동 측정망 현황 430

〈표 6-131〉 소음자동측정망 및 항공기소음측정망 측정 결과(2014) 433

〈표 6-132〉 소음·진동 측정 결과(2014년 4분기) 434

〈표 6-133〉 복합악취의 배출허용기준 및 엄격한 배출허용기준 436

〈표 6-134〉 지정악취물질의 배출허용기준 및 엄격한 배출허용기준 437

〈표 6-135〉 가축분뇨배출시설 현황 439

〈표 6-136〉 화학물질 배출량 및 이동량(2013) 441

〈표 6-137〉 화학물질별 배출량 및 이동량(2013) 441

〈표 6-138〉 청주시 지온경사에너지 측정자료 459

〈표 6-139〉 청주시 지열류량에너지 측정자료(2009) 460

〈표 6-140〉 바이오매스에너지 측정자료(2010) 460

〈표 6-141〉 (옛)청주시 태양광에너지 연별 통계자료 461

〈표 6-142〉 (옛)청주시 태양열에너지 연별 통계자료 462

〈표 6-143〉 청주시 수력에너지 행정구역별 예상량 463

〈표 6-144〉 청주시 폐기물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현황 467

〈표 6-145〉 청주시 폐기물 부문 에너지 사용량 현황 469

〈표 6-146〉 연도별/부문별 청주시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471

〈표 6-147〉 연도별 에너지 부문별 청주시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473

〈표 6-148〉 에너지 산업부문의 석유류 소비량 475

〈표 6-149〉 산업부문의 석유류 소비량 476

〈표 6-150〉 수송부문의 석유류 소비량 477

〈표 6-151〉 상업부문의 석유류 소비량 478

〈표 6-152〉 가정부문의 석유류 소비량 479

〈표 6-153〉 공공부문의 석유류 소비량 480

〈표 6-154〉 청주시의 민수용 무연탄 소비량 추정 481

〈표 6-155〉 청주시의 민수용 무연탄 소비량 추정을 위한 주민등록인구자료 481

〈표 6-156〉 청주시의 도시가스 소비량 482

〈표 6-157〉 청주시의 전기 소비량 482

〈표 6-158〉 청주시 온실가스 배출량(간접배출 제외) 483

〈표 6-159〉 청주시 온실가스 배출량(간접배출 포함) 484

〈표 6-160〉 기후변화 취약성평가 항목 487

〈표 6-161〉 곤충 및 설치류에 의한 전염병 건강 취약성 평가 결과 489

〈표 6-162〉 기타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 결과 490

〈표 6-163〉 미세먼지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 결과 491

〈표 6-164〉 수인성 매개 질환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 결과 492

〈표 6-165〉 오존농도 상승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 결과 493

〈표 6-166〉 태풍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 결과 494

〈표 6-167〉 폭염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 결과 495

〈표 6-168〉 한파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 결과 496

〈표 6-169〉 홍수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 결과 497

〈표 6-170〉 폭설에 대한 기반시설 취약성 평가 결과 498

〈표 6-171〉 폭염에 대한 기반시설 취약성 평가 결과 499

〈표 6-172〉 홍수에 대한 기반시설 취약성 평가 결과 500

〈표 6-173〉 가축 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 501

〈표 6-174〉 농경지 토양침식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502

〈표 6-175〉 벼 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 503

〈표 6-176〉 사과 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 504

〈표 6-177〉 재배·사육시설 붕괴의 취약성 평가 결과 505

〈표 6-178〉 가뭄에 의한 산림식생의 취약성 평가 결과 506

〈표 6-179〉 병해충에 의한 소나무의 취약성 평가 결과 507

〈표 6-180〉 산림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 508

〈표 6-181〉 산불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509

〈표 6-182〉 산사태에 의한 임도의 취약성 평가 결과 510

〈표 6-183〉 소나무와 송이버섯의 취약성 평가 결과 511

〈표 6-184〉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 취약성 평가 결과 512

〈표 6-185〉 수질 및 수생태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513

〈표 6-186〉 이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514

〈표 6-187〉 치수의 취약성 평가 결과 515

〈표 6-188〉 곤충의 취약성 평가 결과 516

〈표 6-189〉 침엽수의 취약성 평가 결과 517

〈표 6-190〉 청주시 산불위험 9등급지역 행정동별 분포 519

〈표 6-191〉 연구대상지의 대형산불 위험지수별 분포 519

〈표 6-192〉 해외 주요기관들의 유망기술(2013-2014) 529

〈표 6-193〉 국내 주요기관들의 유망기술(2014-2015) 535

〈표 6-194〉 특허청 5대 산업분야별 10대 미래 유망기술(2014) 536

〈표 6-195〉 취약계층 현황 540

〈표 6-196〉 건강위해환경 현황 543

〈표 6-197〉 응급의료사업 목표 546

〈표 6-198〉 감염병 예방·관리사업 목표 546

〈표 6-199〉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사업목표 546

〈표 6-200〉 방문건강관리사업 목표 546

〈표 6-201〉 도시공원의 유형별 설치 및 규모기준 548

〈표 7-1〉 공간계획에서 기존계획과의 차별성 577

〈표 7-2〉 기존 유사계획과의 차이점 578

〈표 7-3〉 청주시의 주요 환경이슈 (문제점) 582

〈표 7-4〉 부문별 주요 계획 항목 585

〈표 7-5〉 부문별 공간DB중 주요 활용도면 586

〈표 7-6〉 부문별 주요 계획 방향 587

〈표 7-7〉 개발가능지 분석 기준 590

〈표 7-8〉 개발가능지 분석 결과 591

〈표 7-9〉 청주시 주거환경정비예정구역 현황 595

〈표 7-10〉 자연생태부문 공간도면자료 597

〈표 7-11〉 자연생태부문 공간환경계획 기준 598

〈표 7-12〉 자연경관부문 공간도면자료 604

〈표 7-13〉 자연경관부문 공간환경계획 기준 605

〈표 7-14〉 토양과 지하수부문 공간도면자료 607

〈표 7-15〉 토양 및 지하수부문 공간환경계획 기준 608

〈표 7-16〉 대기환경부문 공간도면자료 610

〈표 7-17〉 대기환경 부문 공간환경계획 기준 611

〈표 7-18〉 물환경부문 공간도면자료 613

〈표 7-19〉 물환경부문 공간환경계획 기준 614

〈표 7-20〉 자원순환부문 공간도면자료 615

〈표 7-21〉 자원순환부문 공간환경계획 기준 616

〈표 7-22〉 자원순환부문 공간도면자료 617

〈표 7-23〉 소음·진동·악취·유해화학물질부문 공간환경계획 기준 618

〈표 7-24〉 에너지,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부문 공간도면자료 620

〈표 7-25〉 에너지, 기후변화 부문 공간환경계획 기준 621

〈표 7-26〉 지속가능부문 공간도면자료 622

〈표 7-27〉 지속가능 환경부문 공간환경계획 기준 623

〈표 7-28〉 부문별 공간DB중 활용도면 624

〈표 7-29〉 비오톱 1등급지역 반경 100m 이내의 토지이용현황 638

〈표 7-30〉 부문별 공간환경계획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내용과 제안가능한 주요 정책방향 (총괄) 692

〈표 8-1〉 권역별 핵심프로젝트(예시) 743

〈표 9-1〉 청주시 환경분야 관련 주요 조례 현황 810

〈표 9-2〉 연도별 투자계획 815

〈표 9-3〉 재원별 투자계획 816

〈표 9-4〉 생태도시 부문 세부 투자계획 817

〈표 9-5〉 시민도시 부문 세부 투자계획 818

〈표 9-6〉 청정도시 부문 세부 투자계획 819

〈표 9-7〉 건강안전도시 부문 세부 투자계획 820

〈표 9-8〉 순환도시 부문 세부 투자계획 821

〈표 9-9〉 청주시 일반회계 세출예산 현황 822

〈표 9-10〉 청주시 연도별 재정전망 823

〈표 9-11〉 청주시 환경보호분야 중기재정계획 824

〈그림 1-1〉 환경계획과 국토계획의 연계 체계 29

〈그림 1-2〉 계획의 수립체계 32

〈그림 2-1〉 청주시 지리적 위치 35

〈그림 2-2〉 행정구역 현황 36

〈그림 2-3〉 표고 및 경사도 현황 38

〈그림 2-4〉 국토환경성평가등급 40

〈그림 2-5〉 행정구역 면적별 산림면적 비율 42

〈그림 2-6〉 용도지역 및 지목 현황 46

〈그림 2-7〉 토지이용 현황 47

〈그림 2-8〉 1인당 녹지면적 현황 49

〈그림 2-9〉 산업단지 분포 현황 52

〈그림 2-10〉 행정구역 면적별 도로면적 비율 56

〈그림 3-1〉 2015년 환경부 업무계획 100

〈그림 3-2〉 우리나라의 환경상태에 대한 만족도 102

〈그림 3-3〉 제4차 국가환경종합계획의 주요 지표 105

〈그림 3-4〉 제4차 국가환경종합계획의 비전과 목표 106

〈그림 3-5〉 정책방향의 변화 112

〈그림 3-6〉 충청북도 2차 녹색성장 계획의 기본체계 121

〈그림 3-7〉 청주시 공원·녹지 미래상 129

〈그림 3-8〉 공원·녹지 기본구상 130

〈그림 4-1〉 환경의식에 대한 인식도 146

〈그림 4-2〉 환경질 및 관리수준에 대한 조사 147

〈그림 4-3〉 중요도-성취도 분석의 실행격자 148

〈그림 4-4〉 전체 환경이슈의 실행격자 분석 151

〈그림 4-5〉 공무원 응답자의 실행격자 분석 152

〈그림 4-6〉 전문가 응답자의 실행격자 분석 154

〈그림 4-7〉 시민 응답자의 실행격자 분석 155

〈그림 4-8〉 자연생태에 대한 지식정도 156

〈그림 4-9〉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157

〈그림 4-10〉 자연경관에 대한 지식정도 158

〈그림 4-11〉 자연경관 보전을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159

〈그림 4-12〉 대기에 대한 지식정도 160

〈그림 4-13〉 대기질 개선을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161

〈그림 4-14〉 물관리에 대한 지식정도 162

〈그림 4-15〉 물관리를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163

〈그림 4-16〉 토양·지하수 용어에 대한 지식정도 164

〈그림 4-17〉 토양·지하수 관리를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165

〈그림 4-18〉 폐기물처리를 대한 지식정도 166

〈그림 4-19〉 폐기물 처리를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167

〈그림 4-20〉 악취, 실내공기질, 유해화학물질, 소음·진동에 대한 지식정도 168

〈그림 4-21〉 악취, 유해화학물질 등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169

〈그림 4-22〉 소음·진동의 관리를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170

〈그림 4-23〉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정도 171

〈그림 4-24〉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172

〈그림 4-25〉 지속가능한 환경에 대한 지식정도 173

〈그림 4-26〉 지속가능한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174

〈그림 4-27〉 환경보전 정책, 행동, 참여 등에 대한 인식도 175

〈그림 4-28〉 청주시의 바람직한 환경미래상과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 176

〈그림 4-29〉 환경정책에 대한 인식도 177

〈그림 4-30〉 청주시 환경보전 및 개선을 이끌어 가야 하는 주체에 대한 인식도 178

〈그림 4-31〉 환경질의 개선을 위한 청주시의 최우선 과제에 대한 인식도 179

〈그림 5-1〉 SWOT 분석 189

〈그림 5-2〉 통합환경관리법의 목적 190

〈그림 5-3〉 전략 구상 192

〈그림 5-4〉 각 팀별로 도출된 미래환경 비전(공무원-시민단체-전문가) 195

〈그림 5-5〉 청주시 미래환경비전 설정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개최 195

〈그림 5-6〉 미래상 198

〈그림 5-7〉 핵심 약속프로젝트 201

〈그림 6-1〉 바이오블리츠 프로그램 211

〈그림 6-2〉 국제사회 변화에의 시사점 212

〈그림 6-3〉 사업대상지 현황 217

〈그림 6-4〉 무심천종합계획 현황도 221

〈그림 6-5〉 청주시 주요 보전축 설정도 223

〈그림 6-6〉 대분류토지피복도 228

〈그림 6-7〉 중분류토지피복도 228

〈그림 6-8〉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분포 233

〈그림 6-9〉 임상 분포 현황 234

〈그림 6-10〉 생태자연도 등급별 분포 236

〈그림 6-11〉 법정보호지역 분포 현황 237

〈그림 6-12〉 청주시 공원녹지네트워크 240

〈그림 6-13〉 청주시 토지피복도를 통해 본 자연경관구조 254

〈그림 6-14〉 경관관련 지역지구 현황 255

〈그림 6-15〉 3개의 켜로 구성되는 청주시 경관구조 255

〈그림 6-16〉 청주시 경관 종합 현황도 257

〈그림 6-17〉 청주시 경관구조 계획 258

〈그림 6-18〉 경관권역의 구분 258

〈그림 6-19〉 경관축 기본구상 259

〈그림 6-20〉 경관거점 기본구상 260

〈그림 6-21〉 청주시 경관계획의 미래상 261

〈그림 6-22〉 자연경관 우수지역 관리(대청호지역) 263

〈그림 6-23〉 자연경관 우수지역 관리(무심천 및 미호천 지역) 264

〈그림 6-24〉 자연경관 우수지역 관리(비도시지역 산림경관-국도 17호선) 264

〈그림 6-25〉 훼손된 자연경관 보전(상당산성 옛길 복원) 265

〈그림 6-26〉 청주시 토양통 분포(정밀토양도) 281

〈그림 6-27〉 토양측정망 분포 285

〈그림 6-28〉 토양오염실태조사 측정지점 분포 289

〈그림 6-29〉 청주시 수문지질도 294

〈그림 6-30〉 용도별 지하수이용 현황 296

〈그림 6-31〉 지하수수질측정망 구성 300

〈그림 6-32〉 지하수수질 측정망 301

〈그림 6-33〉 지하수오염취약성도 303

〈그림 6-34〉 시대별 대기오염 특징 312

〈그림 6-35〉 부산광역시 환경보전종합계획의 대기질 관련 목표 및 지표 314

〈그림 6-36〉 청주 및 주변지역 산업단지 분포현황 317

〈그림 6-37〉 대기오염물질의 연평균 농도 분포 317

〈그림 6-38〉 2014년 측정소별 환경기준농도 초과현황 318

〈그림 6-39〉 전국 대기오염 자동측정망 위치와 오존경보권역 320

〈그림 6-40〉 대기측정소 분포 327

〈그림 6-41〉 청주시 도심 열섬지도 (여름철기준) 334

〈그림 6-42〉 수원시 장안구청의 그린빗물 인프라 유형 345

〈그림 6-43〉 청주시 상수도 취수 및 정수시설 현황 348

〈그림 6-44〉 통합이전 청원군 하수처리구역 현황도 351

〈그림 6-45〉 제1단계 청주시 수질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 354

〈그림 6-46〉 제2단계 통합청주시 수질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 354

〈그림 6-47〉 옛 청주시·청원군의 가축사육 분포현황 355

〈그림 6-48〉 청주시 농촌지역의 가축분뇨오염원 현황(미원면 지역) 356

〈그림 6-49〉 충청북도 한강수계 총량관리 단위유역도 357

〈그림 6-50〉 대청호 수질보전특별대책지역 358

〈그림 6-51〉 청주시 대·중·소권역 현황 362

〈그림 6-52〉 청주시 총량관리단위유역 현황 363

〈그림 6-53〉 하천 현황 365

〈그림 6-54〉 하천 생활환경 기준별 수질 측정망 측정 결과 371

〈그림 6-55〉 호소 생활환경 기준별 수질 측정망 측정 결과 374

〈그림 6-56〉 하천별 BOD 및 T-P 현황 376

〈그림 6-57〉 취수 및 정수시설 분포 377

〈그림 6-58〉 하수관련처리시설 분포 379

〈그림 6-59〉 폐기물정책 패러다임 전환 394

〈그림 6-60〉 청주시 제2매립장 조감도 397

〈그림 6-61〉 폐기물종류별 발생량 비율 403

〈그림 6-62〉 폐기물발생량 대비 처리방법별 비율 405

〈그림 6-63〉 화학물질관리법 체계도 420

〈그림 6-64〉 자동측정망 및 항공기소음측정망 분포 433

〈그림 6-65〉 중앙수동측정망(좌) 및 지방수동측정망(우) 분포 436

〈그림 6-66〉 가축분뇨배출시설 분포 440

〈그림 6-67〉 화학물질배출 업체 분포 444

〈그림 6-68〉 2020년 배출전망(BAU) 453

〈그림 6-69〉 태양에너지의 시기별 변화 463

〈그림 6-70〉 신재생에너지 지표 비교 465

〈그림 6-71〉 연도별 청주시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472

〈그림 6-72〉 산업부문의 석유류 소비량 추이(2008-2013) 476

〈그림 6-73〉 수송부문의 석유류 소비량 추이(2008-2013) 477

〈그림 6-74〉 상업부문의 석유류 소비량 추이(2008-2013) 478

〈그림 6-75〉 가정부문의 석유류 소비량 추이(2008-2013) 479

〈그림 6-76〉 공공부문의 석유류 소비량 추이(2008-2013) 480

〈그림 6-77〉 청주시 온실가스 배출 추이(간접배출 제외, 2008-2013) 483

〈그림 6-78〉 청주시 온실가스 배출 추이(간접배출 포함, 2008-2013) 484

〈그림 6-79〉 기후변화 취약성평가 개념도 486

〈그림 6-80〉 곤충 및 설치류에 의한 전염병 건강 취약성 평가 결과 489

〈그림 6-81〉 기타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 결과 490

〈그림 6-82〉 미세먼지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 결과 491

〈그림 6-83〉 수인성 매개 질환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 결과 492

〈그림 6-84〉 오존농도 상승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 결과 493

〈그림 6-85〉 태풍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 결과 494

〈그림 6-86〉 폭염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 결과 495

〈그림 6-87〉 한파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 결과 496

〈그림 6-88〉 홍수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 결과 497

〈그림 6-89〉 폭설에 대한 기반시설 취약성 평가 결과 498

〈그림 6-90〉 폭염에 대한 기반시설 취약성 평가 결과 499

〈그림 6-91〉 홍수에 대한 기반시설 취약성 평가 결과 500

〈그림 6-92〉 가축 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 501

〈그림 6-93〉 농경지 토양침식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502

〈그림 6-94〉 벼 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 503

〈그림 6-95〉 사과 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 504

〈그림 6-96〉 재배·사육시설 붕괴의 취약성 평가 결과 505

〈그림 6-97〉 가뭄에 의한 산림식생의 취약성 평가 결과 506

〈그림 6-98〉 병해충에 의한 소나무의 취약성 평가 결과 507

〈그림 6-99〉 산림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 508

〈그림 6-100〉 산불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509

〈그림 6-101〉 산사태에 의한 임도의 취약성 평가 결과 510

〈그림 6-102〉 소나무와 송이버섯의 취약성 평가 결과 511

〈그림 6-103〉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 취약성 평가 결과 512

〈그림 6-104〉 수질 및 수생태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513

〈그림 6-105〉 이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514

〈그림 6-106〉 치수의 취약성 평가 결과 515

〈그림 6-107〉 곤충의 취약성 평가 결과 516

〈그림 6-108〉 침엽수의 취약성 평가 결과 517

〈그림 6-109〉 산불발생위험 지수 및 등급 분포도 518

〈그림 6-110〉 대형산불위험 평가지수 및 등급 분포도 520

〈그림 6-111〉 과거 산불발생지점과 산불관리 우선지역과의 위치비교 520

〈그림 6-112〉 글로벌 환경시장 규모 530

〈그림 6-113〉 환경보건기술 영역 532

〈그림 6-114〉 취약계층 분포 542

〈그림 6-115〉 건강위해환경 분포 현황 545

〈그림 6-116〉 청주시 도시공원 확충 대안 549

〈그림 7-1〉 프라이부르크시의 공간생태계획 564

〈그림 7-2〉 Berlin-Brandenburg 564

〈그림 7-3〉 세종시 공간환경계획 사례 도면 567

〈그림 7-4〉 대구시 공간환경계획 권역별 및 종합도면 567

〈그림 7-5〉 부산시 공간환경계획 사례 도면 568

〈그림 7-6〉 공간환경계획 과정 580

〈그림 7-7〉 청주시 개발가능지 분석과정 결과도면 591

〈그림 7-8〉 청주시 개발가능지역 현황도 592

〈그림 7-9〉 청주시 토지이용(주거 및 농업지역) 현황도 593

〈그림 7-10〉 청주시 주거환경정비예정구역 현황도 594

〈그림 7-11〉 녹지자연도 597

〈그림 7-12〉 공원녹지네트워크 현황 597

〈그림 7-13〉 청주시 도심 생태녹지축 구성요소 601

〈그림 7-14〉 청주시 도심 보호종 분포 예측도 602

〈그림 7-15〉 중점경관관리구역 604

〈그림 7-16〉 경관거점 및 축 현황 604

〈그림 7-17〉 가축분뇨배출시설 608

〈그림 7-18〉 지하수 관정위치 608

〈그림 7-19〉 교통현황 610

〈그림 7-20〉 사업체 및 산업단지 610

〈그림 7-21〉 대기질모니터링 측정지점 611

〈그림 7-22〉 대기오염배출업체 611

〈그림 7-23〉 폐수배출시설 613

〈그림 7-24〉 기타수질오염원 613

〈그림 7-25〉 폐기물 처리시설 616

〈그림 7-26〉 폐기물 재활용업소 616

〈그림 7-27〉 소음발생 현황(수동측정망 전체) 618

〈그림 7-28〉 소음진동발생업체 618

〈그림 7-29〉 풍수해위험지구 620

〈그림 7-30〉 산림침식지역 620

〈그림 7-31〉 대형산불위험지구 621

〈그림 7-32〉 급경사지 위치 621

〈그림 7-33〉 공시지가 623

〈그림 7-34〉 의료시설 현황 623

〈그림 7-35〉 문화재 현황 623

〈그림 7-36〉 문학예술자원 및 시설현황 623

〈그림 7-37〉 절대보전지역 공간환경계획도 629

〈그림 7-38〉 탄력적 보전지역 공간환경계획도 630

〈그림 7-39〉 절대보전지역과 개발가능지역간의 공간해석 631

〈그림 7-40〉 탄력적 보전지역과 개발가능지역간의 공간해석 632

〈그림 7-41〉 청주시 도심 생태녹지축 지역 634

〈그림 7-42〉 청주시 도심 생태녹지축 634

〈그림 7-43〉 청주시 도심 생태복원이 필요한 지역 635

〈그림 7-44〉 공원녹지 우선 고려지역 635

〈그림 7-45〉 청주시 도심 생태통로 설치가 필요한 지점 636

〈그림 7-46〉 청주시 도심 비오톱 유형도 (세분류) 637

〈그림 7-47〉 청주시 도심 비오톱 등급도 637

〈그림 7-48〉 비오톱 1등급 지역반경 100m 이내의 토지이용 639

〈그림 7-49〉 공원녹지(비오톱 1~3등급 포함)지역과 산업단지와의 공간관계 640

〈그림 7-50〉 비오톱 1등급지역과 개발가능지와의 공간관계 641

〈그림 7-51〉 자연경관 부문 공간환경계획도 642

〈그림 7-52〉 중점경관관리구역내 토지이용현황 (전체) 644

〈그림 7-53〉 중점경관관리구역내 토지이용현황 (부분) 644

〈그림 7-54〉 중점경관관리구역과 개발가능지와의 공간해석 645

〈그림 7-55〉 중점경관관리구역과 주거환경정비 예정구역간의 공간해석 646

〈그림 7-56〉 토양 부문 공간환경계획도 647

〈그림 7-57〉 토양오염측정지점과 특정토양오염관리시설의 분포관계 648

〈그림 7-58〉 보전지역(1등급)과 특정토양오염관리시설간의 공간해석 650

〈그림 7-59〉 농경지와 특정오염관리시설간의 공간해석 650

〈그림 7-60〉 보전지역과 개발가능지역간의 공간해석 651

〈그림 7-61〉 특정토양오염관리시설과 주거환경정비 예정구역간의 공간해석 652

〈그림 7-62〉 지하수분야 공간환경계획도 653

〈그림 7-63〉 지하수오염과 폐수배출시설간의 공간해석 654

〈그림 7-64〉 지하수 오염취약성이 높은 지역내의 토지이용현황 (전체) 655

〈그림 7-65〉 지하수 오염취약성이 높은 지역내의 토지이용현황 (부분) 656

〈그림 7-66〉 지하수 오염취약성이 높은 지역과 개발가능지간의 공간해석 657

〈그림 7-67〉 대기환경 부문 공간환경계획도 658

〈그림 7-68〉 대기오염물질 배출업체와 주거지역간의 공간해석 660

〈그림 7-69〉 대기오염물질 배출업체와 개발가능지간의 공간해석 661

〈그림 7-70〉 대기오염물질 배출업체와 주거환경정비 예정구역과의 공간해석 662

〈그림 7-71〉 청주시 주요 바람길 모의(30년 평균 기상 적용) 663

〈그림 7-72〉 청주시 바람정체지역과 토지이용(공업지역) 666

〈그림 7-73〉 청주시 지표면(5m 높이) 바람과 기온모의 (30년 평균 기상 적용) 667

〈그림 7-74〉 청주시 열섬지도 668

〈그림 7-75〉 청주시 도심 온도 변화 (여름철 30년 기상 평균값 적용) 669

〈그림 7-76〉 물환경 부문 공간환경계획도 670

〈그림 7-77〉 읍면동별 배출부하량과 개발가능지간의 공간해석 672

〈그림 7-78〉 자원순환 부문 공간환경계획도 673

〈그림 7-79〉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업체와 주거지와의 공간해석 674

〈그림 7-80〉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업체와 개발가능지와의 공간해석 675

〈그림 7-81〉 폐기물처리 및 재활용업체와 주거환경정비 예정구역과의 공간해석 676

〈그림 7-82〉 소음진동악취 부문 공간환경계획도 (측정망과 업체위치와의 관계) 677

〈그림 7-83〉 소음진동 및 악취배출업체와 주거지역간의 공간해석 679

〈그림 7-84〉 소음진동발생 및 악취배출업체와 개발가능지간의 공간해석 680

〈그림 7-85〉 소음진동발생 및 악취배출업체와 주거환경정비 예정구역과의 공간해석 681

〈그림 7-86〉 유해화학물질 부문 공간환경계획도 682

〈그림 7-87〉 유해화학물질 배출 및 취급업체와 주거지간의 공간해석 (전체) 683

〈그림 7-88〉 유해화학물질 배출 및 취급업체와 주거지간의 공간해석 (부분) 684

〈그림 7-89〉 유해화학물질 배출 및 취급업체와 개발가능지간의 공간해석 685

〈그림 7-90〉 유해화학물질 배출 및 취급업체와 주거환경정비 예정구역간의 공간해석 686

〈그림 7-91〉 기후변화 중 재난재해 분야 공간환경계획도 687

〈그림 7-92〉 산불관리우선지역 분포 688

〈그림 7-93〉 재난재해관련 지역과 주거지간의 공간해석 689

〈그림 7-94〉 재난재해관련 지역과 개발가능지간의 공간해석 690

〈그림 7-95〉 재난재해관련 지역과 주거환경정비 예정구역간의 공간해석 691

〈그림 8-1〉 주거환경개선사업 추진체계 통합관리방안(안) 727

〈그림 8-2〉 에너지절약마을 사업추진체계(안) 731

〈그림 8-3〉 주민참여형 미호천유역관리 기본개념 746

〈그림 8-4〉 물수지분석의 사례-하천유량관리시스템 770

〈그림 8-5〉 블록시스템 구축사례(충북 제천시) 772

〈그림 8-6〉 물 순환 도시 개념도(환경부) 774

〈그림 8-7〉 물 순환 도시를 위한 사업 사례 774

표제지

목차

제1장 계획의 개요 887

I. 계획의 배경 및 목적 889

II. 계획의 범위 890

III. 계획 수립체계 891

제2장 청주시 환경현황 및 진단 분석 893

I. 청주시 현황 및 특성 895

II. 지속가능지표에 따른 현황분석 901

III. 청주시 생태발자국 분석 901

제3장 관련계획의 검토 903

I. 환경여건 및 정책 트렌드 905

II. 상위계획 검토 908

III. 청주시 계획 검토 910

IV. 기존 환경보전계획의 성과평가 911

제4장 환경 의식 조사 913

I. 조사개요 915

II. 조사결과 916

제5장 청주시 미래 환경비전과 전략 925

I. 미래 환경트렌드 고찰 927

II. 잠재력 분석 930

1. SWOT 분석 930

2. 전략 구상 932

III. 미래환경비전 설정을 위한 합의 도출 934

IV. 환경비전 936

V. 핵심 약속프로젝트 939

제6장 부문별 계획 941

I. 자연생태계 보전 943

II. 자연경관보전 및 관리 954

III. 토양 및 지하수 관리 959

IV. 대기환경의 관리 972

V. 물환경 관리 및 상·하수도의 보급 977

VI. 자원순환(폐기물 처리 및 관리) 991

VII. 소음·진동·악취·실내공기질·유해화학물질의 관리 995

VIII. 에너지,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1001

IX. 환경, 경제, 사회 통합기반의 지속가능 환경 1007

제7장 공간환경계획 1013

I. 청주시 공간환경계획의 개요 1015

1. 공간환경계획의 목적 1015

2. 청주시 공간환경계획의 모범적 의미 1017

3. 공간환경계획 수립의 절차 1018

II. 부문별 공간환경계획 1021

1. 자연생태 부문 1021

2. 자연경관 부문 1031

3. 토양 및 지하수 부문 1035

4. 대기환경 부문 1044

5. 물환경 부문 1055

6. 자원순환부문 (폐기물처리) 1058

7. 소음·진동·악취·유해화학물질 부문 1061

8. 기후변화 부문 공간환경계획 적용 1069

제8장 미래상 구현을 위한 핵심프로젝트 1073

제9장 계획의 추진 및 재정계획 1077

I. 계획의 추진체계 1079

II. 재정계획 1081

1. 총괄 투자계획 1081

2. 재원조달방안 1082

연구진 1085

〈표 2-1〉 청주시 EF 및 ED지수 901

〈표 3-1〉 장기적인 미래사회의 변화 및 환경이슈 907

〈표 4-1〉 전체 응답자의 IP분석 결과 917

〈표 4-2〉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918

〈표 4-3〉 자연경관 보전을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918

〈표 4-4〉 대기질 개선을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919

〈표 4-5〉 물관리를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919

〈표 4-6〉 토양·지하수 관리를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920

〈표 4-7〉 폐기물 처리를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920

〈표 4-8〉 악취, 유해화학물질 등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921

〈표 4-9〉 소음·진동의 관리를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921

〈표 4-10〉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922

〈표 4-11〉 지속가능한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922

〈표 4-12〉 환경질의 개선을 위한 청주시의 최우선 과제에 대한 인식도 923

〈표 5-1〉 주요 환경이슈를 반영한 전략요소 및 전략 927

〈표 5-2〉 주요 환경이슈를 반영한 정책 키워드 929

〈표 6-1〉 자연생태부문 공간도면자료 945

〈표 6-2〉 자연생태분야 공간환경계획 기준 950

〈표 6-3〉 자연경관부문 공간도면자료 956

〈표 6-4〉 토양과 지하수부문 공간도면자료 961

〈표 6-5〉 대기환경부문 공간도면자료 974

〈표 6-6〉 물환경부문 공간도면자료 980

〈표 6-7〉 자원순환부문 공간도면자료 993

〈표 6-8〉 소음·진동·악취·실내공기질·유해화학물질의 관리부문 공간도면자료 997

〈표 6-9〉 에너지,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부문 공간도면자료 1003

〈표 6-10〉 환경, 경제, 사회 통합기반의 지속가능 환경부문 공간도면자료 1010

〈표 7-1〉 공간계획에서 기존계획과의 차별성 1017

〈표 7-2〉 부문별 공간DB중 주요 활용도면 1020

〈표 9-1〉 연도별 투자계획 1081

〈그림 1-1〉 계획의 수립체계 891

〈그림 2-1〉 청주시 행정구역도 897

〈그림 2-2〉 청주시 지목 현황 897

〈그림 2-3〉 청주시 토지이용현황 898

〈그림 2-4〉 청주시 용도지역 898

〈그림 2-5〉 청주시 경사도 899

〈그림 2-6〉 청주시 표고 899

〈그림 2-7〉 청주시 도로 및 철도 현황 900

〈그림 4-1〉 전체 환경이슈의 실행격자 분석 917

〈그림 5-1〉 SWOT 분석 932

〈그림 5-2〉 청주시 미래환경비전 설정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개최 935

〈그림 5-3〉 미래상 937

〈그림 5-4〉 핵심 약속프로젝트 939

〈그림 6-1〉 토지피복지도(중분류) 945

〈그림 6-2〉 생태자연도 946

〈그림 6-3〉 국토환경성 평가 946

〈그림 6-4〉 임상도 947

〈그림 6-5〉 공원녹지 분포 947

〈그림 6-6〉 법정보호지역 지정 현황 948

〈그림 6-7〉 공원녹지네트워크 현황 948

〈그림 6-8〉 하천 현황도 949

〈그림 6-9〉 청주시 자연생태분야 공간환경계획 기준도면 사례(주요) 951

〈그림 6-10〉 청주시 도심 생태녹지축 구성요소 953

〈그림 6-11〉 중점경관관리구역 956

〈그림 6-12〉 경관거점 957

〈그림 6-13〉 경관 축 957

〈그림 6-14〉 경관관련 지역지구_1 958

〈그림 6-15〉 경관관련 지역지구_2 958

〈그림 6-16〉 정밀토양도 962

〈그림 6-17〉 토양오염측정망 962

〈그림 6-18〉 토양오염실태조사 측정지점 963

〈그림 6-19〉 폐기물 매립시설 963

〈그림 6-20〉 특정토양오염관리시설 964

〈그림 6-21〉 토양특성도(유효토심) 964

〈그림 6-22〉 토양특성도(배수등급) 965

〈그림 6-23〉 토양특성도(토양유형) 965

〈그림 6-24〉 토지적성 1등급지역(보전지역) 966

〈그림 6-25〉 산업단지 위치 966

〈그림 6-26〉 지하수수질 측정망(국가) 967

〈그림 6-27〉 지하수수질 측정망(지역) 967

〈그림 6-28〉 수문 지질도 968

〈그림 6-29〉 지하수 오염 취약성도 968

〈그림 6-30〉 지하수 관정위치 969

〈그림 6-31〉 폐수배출시설 969

〈그림 6-32〉 가축분뇨배출시설 970

〈그림 6-33〉 분뇨처리시설 970

〈그림 6-34〉 가축매몰지 971

〈그림 6-35〉 대기오염측정망 974

〈그림 6-36〉 대기질모니터링 측정지점 975

〈그림 6-37〉 대기오염물질배출업체 975

〈그림 6-38〉 수치고도 자료 976

〈그림 6-39〉 사업체(제조업) 976

〈그림 6-40〉 상수원보호구역도 981

〈그림 6-41〉 공공하수처리시설 981

〈그림 6-42〉 하천 생활환경 기준별 수질측정망 측정결과 983

〈그림 6-43〉 호소 생활환경 기준별 수질측정망 측정결과 985

〈그림 6-44〉 청주시 총량관리단위 유역도 986

〈그림 6-45〉 기타수질오염원 986

〈그림 6-46〉 하천별 수질현황(BOD) 987

〈그림 6-47〉 하천별 수질현황(T-P) 987

〈그림 6-48〉 취·정수 시설 위치 988

〈그림 6-49〉 하수관련 처리시설 988

〈그림 6-50〉 배출부하량(BOD) 989

〈그림 6-51〉 배출부하량(TN) 989

〈그림 6-52〉 배출부하량(TP) 990

〈그림 6-53〉 폐기물 처리시설 993

〈그림 6-54〉 폐기물 재활용업소 994

〈그림 6-55〉 가축분뇨 재활용 신고업체 994

〈그림 6-56〉 소음측정망(자동 및 항공기) 997

〈그림 6-57〉 소음측정망(수동-중앙) 998

〈그림 6-58〉 소음측정망(수동-지방) 998

〈그림 6-59〉 소음발생 현황(수동측정망 전체) 999

〈그림 6-60〉 공항 및 도로망도 999

〈그림 6-61〉 소음진동발생업소 1000

〈그림 6-62〉 유해화학물질 배출업소 위치 1000

〈그림 6-63〉 대형산불위험지구 1003

〈그림 6-64〉 홍수관리구역 1004

〈그림 6-65〉 풍수해 위험지구 1004

〈그림 6-66〉 산림 침식지역 1005

〈그림 6-67〉 급경사지 위치 1005

〈그림 6-68〉 재난관리용 CCTV 위치 1006

〈그림 6-69〉 무더위 쉼터 위치 1006

〈그림 6-70〉 의료시설 현황 1010

〈그림 6-71〉 문화예술자원 및 시설현황 1011

〈그림 6-72〉 문화재 현황 1011

〈그림 6-73〉 공시지가 1012

〈그림 6-74〉 녹색기업지정 현황 1012

〈그림 7-1〉 청주시 공간환경계획 수립절차 1019

〈그림 7-2〉 절대보전지역 공간환경계획도 1021

〈그림 7-3〉 탄력적 보전지역 공간환경계획도 1022

〈그림 7-4〉 탄력적 보전지역과 개발가능지역과의 공간해석 1023

〈그림 7-5〉 청주시 도심 생태녹지축 지역 1025

〈그림 7-6〉 청주시 도심 생태녹지축 1025

〈그림 7-7〉 청주시 도심 생태복원이 필요한 지역 1026

〈그림 7-8〉 공원녹지 우선 고려지역 1026

〈그림 7-9〉 청주시 도심 생태통로 설치가 필요한 지점 1027

〈그림 7-10〉 청주시 도심 비오톱 유형도 (세분류) 1028

〈그림 7-11〉 청주시 도심 비오톱 등급도 1028

〈그림 7-12〉 비오톱 1등급 지역반경 100m 이내의 토지이용 1029

〈그림 7-13〉 공원녹지(비오톱 1~3등급 포함)지역과 산업단지와의 공간관계 1030

〈그림 7-14〉 자연경관 부문 공간환경계획도 1031

〈그림 7-15〉 중점경관관리구역내 토지이용현황 (전체) 1032

〈그림 7-16〉 중점경관관리구역내 토지이용현황 (부분) 1032

〈그림 7-17〉 중점경관관리구역과 개발가능지역과의 공간해석 1033

〈그림 7-18〉 중점경관관리구역과 주거환경정비예정구역과의 공간해석 1034

〈그림 7-19〉 토양 부문 공간환경계획도 1035

〈그림 7-20〉 토양오염측정지점과 특정토양오염관리시설의 분포관계 1036

〈그림 7-21〉 토양보전지역과 특정토양오염관리시설과의 공간해석 1037

〈그림 7-22〉 농경지와 특정토양오염관리시설과의 공간해석 1037

〈그림 7-23〉 토양보전지역과 개발가능지역과의 공간해석 1038

〈그림 7-24〉 특정토양오염관리시설과 주거환경정비예정구역과의 공간해석 1039

〈그림 7-25〉 지하수분야 공간환경계획도 1040

〈그림 7-26〉 지하수 오염취약성과 폐수배출시설과의 공간해석 1041

〈그림 7-27〉 지하수 오염취약성이 높은 지역내 토지이용현황 1042

〈그림 7-28〉 지하수 오염취약성이 높은 지역내의 토지이용현황 (부분) 1042

〈그림 7-29〉 지하수 오염취약성이 높은 지역과 개발가능지역과의 공간해석 1043

〈그림 7-30〉 대기환경 부문 공간환경계획도 1044

〈그림 7-31〉 대기오염물질 배출업체와 주거지역과의 공간해석 1045

〈그림 7-32〉 대기오염물질 배출업체와 개발가능지역과의 공간해석 1046

〈그림 7-33〉 대기오염물질 배출업체와 주거환경정비예정구역과의 공간해석 1046

〈그림 7-34〉 청주시 주요 바람길 모의(30년 평균 기상 적용) 1048

〈그림 7-35〉 청주시 바람정체지역과 토지이용(공업지역) 1051

〈그림 7-36〉 청주시 지표면(5m 높이) 바람과 기온모의 (30년 평균 기상 적용) 1052

〈그림 7-37〉 청주시 열섬지도 1053

〈그림 7-38〉 청주시 도심 온도 변화 (여름철 30년 기상 평균값 적용) 1054

〈그림 7-39〉 물환경 부문 공간환경계획도 1055

〈그림 7-40〉 읍면동별 배출부하량과 개발가능지역과의 공간해석 1056

〈그림 7-41〉 자원순환 부문 공간환경계획도 1058

〈그림 7-42〉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업체와 주거지역과의 공간해석 1059

〈그림 7-43〉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업체와 개발가능지역과의 공간해석 1059

〈그림 7-44〉 폐기물처리 및 재활용업체와 주거환경정비 예정구역과의 공간해석 1060

〈그림 7-45〉 소음진동악취 부문 공간환경계획도(측정망과 업체위치와의 관계) 1061

〈그림 7-46〉 소음진동 및 악취배출업체와 주거지역과의 공간해석 1063

〈그림 7-47〉 소음진동발생 및 악취배출업체와 개발가능지역과의 공간해석 1063

〈그림 7-48〉 소음진동발생 및 악취배출업체와 주거환경정비예정구역과의 공간해석 1064

〈그림 7-49〉 유해화학물질 부문 공간환경계획도 1065

〈그림 7-50〉 유해화학물질 배출 및 취급업체와 주거지역과의 공간해석 (전체) 1066

〈그림 7-51〉 유해화학물질 배출 및 취급업체와 주거지역과의 공간해석 (부분) 1067

〈그림 7-52〉 유해화학물질 배출 및 취급업체와 개발가능지역과의 공간해석 1067

〈그림 7-53〉 유해화학물질 배출 및 취급업체와 주거환경정비예정구역과의 공간해석 1068

〈그림 7-54〉 기후변화 부문 중 재난재해 분야 공간환경계획도 1069

〈그림 7-55〉 재난재해관련 지역과 주거지역과의 공간해석 1070

〈그림 7-56〉 재난재해관련 지역과 개발가능지역과의 공간해석 1071

〈그림 7-57〉 재난재해관련 지역과 주거환경정비예정구역과의 공간해석 107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01616 354.3 -16-12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01617 354.3 -16-12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01618 354.3 -16-12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01619 354.3 -16-12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