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4대강 주변 지하수 관리방안 수립 연구 : 보고서 / 국토해양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국토해양부, 2013
청구기호
628.114 -16-30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iv, 366 p. : 삽화, 지도, 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641905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수자원공사
참고문헌: p. 365-366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개요 17

1.1. 추진배경 19

1.2. 과업의 목적 및 범위 20

1.3. 조사 대상 지역 22

1.3.1. 선정 기준 22

1.3.2. 선정 지역 현황 22

제2장 신천 유역 조사 25

2.1. 지형 및 수문 27

2.2. 토지이용 분석 33

2.3. 지하수 현황 35

2.4. 지질 분포 36

2.4.1. 지질특성 36

2.4.2. 시추자료 분석 37

2.5. 지하수 수위 조사 40

2.5.1. 현장 지하수 조사(2010.3) 40

2.5.2. 현장 지하수 조사(2011.6) 42

2.5.3. 현장 지하수 조사(2011.10) 45

2.5.4. 현장 지하수 조사(2012.4) 47

2.5.5. 현장 지하수 조사(2012.9) 49

2.5.6. 시기별 수위 변화 분석 51

2.6. 지하수 수질 조사 54

2.6.1. 지하수 수질 분석 결과(2010.8) 54

2.6.2. 지하수 수질 분석 결과(2011.6) 55

2.6.3. 지하수 수질 분석 결과(2012.9) 60

2.6.4. 시기별 지하수 수질 변화 66

2.7. 하천 및 수문 조사 73

2.7.1. 낙동강 수위 73

2.7.2. 2011년 신천 및 농수로 수위 74

2.7.3. 2012년 신천 및 농수로 수위 78

2.8. 지하수 관측 및 변동 특성 81

2.8.1. 지하수 관측망 구축 81

2.8.2. 지하수위 변동 특성 82

2.8.3. 모델을 활용한 지표수-지하수 연계 평가 90

제3장 광려천 유역 조사 105

3.1. 지형 및 수문 107

3.2. 토지이용 분석 109

3.3. 지하수 현황 111

3.4. 지질 분포 112

3.4.1. 지질특성 112

3.4.2. 시추자료 분석 113

3.4.3. 대수층 특성 114

3.5. 지하수 수위 조사 119

3.5.1. 2010년 지하수 수위 조사 119

3.5.2. 2011년 지하수 수위 조사 121

3.5.3. 2012년 지하수위 조사 126

3.5.4. 시기별 수위 변화 분석 128

3.6. 지하수 수질 조사 131

3.6.1. 2011년 수질 분석 결과 132

3.6.2. 2012년 수질 분석 결과 139

3.6.3. 시기별 지하수 수질 변화 147

3.7. 하천 및 수문 조사 153

3.7.1. 낙동강 수위 153

3.7.2. 광려천 및 농수로 수위 154

3.8. 지하수 관측 및 변동 특성 160

3.8.1. 지하수 관측망 구축 160

3.8.2. 지하수위 변동 특성 161

3.8.3. 모델을 활용한 지표수-지하수 연계 평가 176

제4장 지하수 조사 분석 및 평가 기법 189

4.1. 하천변 지하수 조사.연구 방안 191

4.1.1. 개요 191

4.1.2. 보 상하류 지하수 조사연구 방안 191

4.1.3. 지하수 모델링 방안 217

제5장 지하수 활용 관리 방안 수립 229

5.1. 지하수 관측망 관리 방안 231

5.1.1. 개요 231

5.1.2. 국내 지하수 관측망 현황 231

5.1.3. 4대강 지하수 관측망 설치 현황 235

5.1.4. 4대강 지하수 관측망 관리 방안 281

5.2. 하천변 지하수 활용 증대 방안 306

5.2.1. 개요 306

5.2.2. 강변여과수 현황 307

5.2.3. 강변여과 개발 가능성 평가 319

5.2.4. 지하수열 에너지 활용 방안 343

제6장 하천변 지하수 사업 방안 365

6.1. 하천변 지하수 연구.조사 사업 367

6.1.1. 필요성 367

6.1.2. 사업 내용 368

6.1.3. 기대 효과 372

6.2. 4대강 지하수 관측망 사업 374

6.2.1. 4대강 지하수 관측망 설치 374

6.2.2. 4대강 지하수 관측망 운영관리 사업 375

6.2.3. 4대강 지하수 관측망 관리 시스템 구축 사업 377

참고문헌 379

표 1.1. 과업의 범위 20

표 1.2. 조사지역 선정 기준 22

표 2.1. 왜관관측소의 2011년 강우 현황 29

표 2.2. 성주관측소의 2011년 강우 현황 30

표 2.3. 왜관관측소의 2012년 강우 현황 31

표 2.4. 성주관측소의 2012년 강우 현황 32

표 2.5. 연구지역 토지이용 현황 34

표 2.6. 성주군 및 용암면의 지하수 현황 35

표 2.7. 기산리 및 문명리의 지하수 관정 갯수 35

표 2.8. 시추자료에 의한 충적층 특성 37

표 2.9. 기존 시추자료 현황 37

표 2.10. 시추조사 결과 층후 분포 39

표 2.11. 관측공 설치 당시의 지하수위 39

표 2.12. 2010년 지하수위 조사 결과 41

표 2.13. 2011년 6월 지하수위 조사 결과 44

표 2.14. 2011년 10월 지하수위 조사 결과 46

표 2.15. 2012년 4월 지하수위 조사 결과 48

표 2.16. 2012년 9월 지하수위 조사 결과 50

표 2.17. 2010년 8월 지하수 수질검사 결과 54

표 2.18. 조사지역 지하수 시료의 지화학 분석 결과(2011.6) 57

표 2.19. 2011년 지하수 현장수질 조사자료(2011.6) 59

표 2.20. 2012년 조사지역 지하수 시료의 지화학 분석 결과 61

표 2.21. 지하수 현장수질 조사자료(2012.09) 65

표 2.22. 2011년 지화학 분석 통계 66

표 2.23. 2012년 지화학 분석 통계 66

표 2.24. 현장 수질 분석값 72

표 2.25. 2011년 6월 조사지역내 하천의 수문특성 조사 75

표 2.26. 2011년 6월 조사지역내 배수로의 수문특성 조사 75

표 2.27. 2012년 조사지역 내 하천의 수문특성 조사 78

표 2.28. 2012년 배수로의 수문특성 조사 78

표 2.29. 연구 지역 지하수 자동 관측정 현황 81

표 2.30. W-5(GJM-16) 관측정의 담수 전·후 지하수위 87

표 2.31. W-6(GJM-17) 관측정의 담수 전·후 지하수위 87

표 2.32. GJA-1 관측정의 담수 전·후 지하수위 88

표 2.33. GJA-24 관측정의 담수 전·후 지하수위 88

표 2.34. GJA-26 관측정의 담수 전·후 지하수위 89

표 2.35. GJB-27 관측정의 담수 전·후 지하수위 89

표 2.36. 지층의 수직적 구조 92

표 2.37. 모델링 영역 내 수리전도도 입력 값 94

표 2.38. 물수지 분석 결과 95

표 2.39. 신천지역 지하수 함양량 추정 99

표 3.1. 진동강우관측소의 2007년 ~ 2011년 강우 현황 108

표 3.2. 연구지역 토지이용 현황 110

표 3.3. 경상남도 함안군의 지하수 이용 현황 111

표 3.4. 경상남도 함안군 칠북면, 칠서면, 칠원면의 지하수이용 현황 111

표 3.5. 연구지역 일대의 시추자료에 의한 충적층 층후 분포 114

표 3.6. 양수시험에 의한 HAM-042 공의 수리전도도 115

표 3.7. 순간충격시험에 의한 자동관측정의 수리전도도 117

표 3.8. 2010년 지하수위 조사 결과 120

표 3.9. 2011년 지하수위 조사 결과 124

표 3.10. 2012년 지하수위 조사 결과 127

표 3.11. 담수 전·후 시기별 수위 변동량 분석 130

표 3.12. 조사지역 지하수 시료의 지화학 분석 결과 133

표 3.13. 2011년 지하수 현장수질 측정 결과 136

표 3.14. 담수 후 조사지역 지하수 시료의 지화학 분석 결과 140

표 3.15. 2012년 11월 지하수 현장수질 측정 결과 142

표 3.16. 2011년과 2012년의 주요 이온 농도 비교 147

표 3.17. 2011년과 2012년의 현장 수질 분석 결과 비교 148

표 3.18. 1차 하천 수문특성 조사 155

표 3.19. 2차 하천 수문특성 조사 156

표 3.20. 2012년 하천 수문특성 조사 157

표 3.21. 담수 전.후 동일시간의 강우량 및 광려천과 농수로 수위 비교 159

표 3.22. 연구 지역 지하수 자동 관측정 현황 160

표 3.23. HAM-038 관측정의 담수 이전의 교차상관분석 결과 165

표 3.24. HAM-038 관측정의 담수 이후의 교차상관분석 결과 166

표 3.25. HAM-040 관측정의 담수 이전의 교차상관분석 결과 166

표 3.26. HAM-040 관측정의 담수 이후의 교차상관분석 결과 167

표 3.27. HAM-042 관측정의 담수 이전의 교차상관분석 결과 168

표 3.28. HAM-042 관측정의 담수 이후의 교차상관분석 결과 169

표 3.29. HAM-043 관측정의 담수 이전의 교차상관분석 결과 170

표 3.30. HAM-045 관측정의 담수 이후의 교차상관분석 결과 171

표 3.31. HAM-046 관측정의 담수 이전의 교차상관분석 결과 172

표 3.32. HAM-046 관측정의 담수 이후의 교차상관분석 결과 173

표 3.33. 창녕함안보 담수 전·후 호우기의 지하수 및 지표수 연계 특성 비교 175

표 3.34. 지층의 수직적 구조 177

표 3.35. 모델링 영역 내 수리전도도 입력 값 179

표 3.36. 물수지 분석 결과 181

표 3.37. 지하수 함양량 산정(2012년 8월 22일 ~ 2012년 9월 20일) 186

표 3.38. 실제 자동관측정과 모델링 평균 지하수위의 비교 187

표 4.1. 유량 측정 방법과 적용 대상 194

표 4.2. 잠재오염원(점오염원) 자료 수집대상 목록 196

표 4.3. 잠재오염원 현장조사표 197

표 4.4. 지하수 개발·이용시설 현황조사표 200

표 4.5. 지구물리탐사법의 종류와 적용대상 및 적용한계 202

표 4.6. 지구물리검층의 종류별 세부 내용 204

표 4.7. 기존 우물에서의 지하수위 조사 양식 209

표 4.8. 추세성 평가를 위한 방법들 210

표 4.9. 항목별 시료 보존 방법 213

표 4.10. 수질 조사 결과의 분석 방법 214

표 4.11. 지하수 모델링의 종류 218

표 4.12. 주요 지하수 유동 모델링 소프트웨어 사례 219

표 4.13. 세부용도별 지하수 월이용량 추정값 224

표 5.1. 지하수 관측망의 분류 및 특성 232

표 5.2. 국내 설치 운영 중인 지하수 관측망 현황 233

표 5.3. 4대강 16개 보 상하류 지하수 관측정 설치 계획 237

표 5.4. 관측정 설치 현황 238

표 5.5. 창녕함안보의 4대강 지하수 관측정 현황 245

표 5.6. 합천창녕보의 4대강 지하수 관측정 현황 248

표 5.7. 달성보의 4대강 지하수 관측정 현황 248

표 5.8. 강정고령보의 4대강 지하수 관측정 현황 249

표 5.9. 칠곡보의 4대강 지하수 관측정 현황 249

표 5.10. 구미보의 4대강 지하수 관측정 현황 250

표 5.11. 낙단보의 4대강 지하수 관측정 현황 250

표 5.12. 상주보의 4대강 지하수 관측정 현황 250

표 5.13. 죽산보의 4대강 지하수 관측정 현황 251

표 5.14. 승촌보의 4대강 지하수 관측정 현황 252

표 5.15. 창녕함안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의 시설 제원 254

표 5.16. 합천창녕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의 시설 제원 257

표 5.17. 달성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의 시설 제원 257

표 5.18. 강정고령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의 시설 제원 258

표 5.19. 칠곡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의 시설 제원 258

표 5.20. 구미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의 시설 제원 259

표 5.21. 낙단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의 시설 제원 259

표 5.22. 상주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의 시설 제원 259

표 5.23. 죽산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의 시설 제원 260

표 5.24. 승촌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의 시설 제원 261

표 5.25. 창녕함안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 지점의 수리지질 상태 262

표 5.26. 합천창녕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 지점의 수리지질 상태 265

표 5.27. 달성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 지점의 수리지질 상태 266

표 5.28. 강정고령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 지점의 수리지질 상태 267

표 5.29. 칠곡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 지점의 수리지질 상태 267

표 5.30. 구미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 지점의 수리지질 상태 268

표 5.31. 낙단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 지점의 수리지질 상태 268

표 5.32. 상주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 지점의 수리지질 상태 268

표 5.33. 죽산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 지점의 수리지질 상태 269

표 5.34. 승촌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 지점의 수리지질 상태 270

표 5.35. MK-15CTD의 측정 항목별 기본 사양 272

표 5.36. WM4100(센서 프로브)의 측정 항목별 기본 사양 272

표 5.37. EB-5000의 측정 항목별 기본 사양 272

표 5.38. 창녕함안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내 장비 설치 현황 273

표 5.39. 합천창녕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내 장비 설치 현황 275

표 5.40. 달성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내 장비 설치 현황 275

표 5.41. 강정고령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내 장비 설치 현황 275

표 5.42. 칠곡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내 장비 설치 현황 276

표 5.43. 구미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내 장비 설치 현황 276

표 5.44. 낙단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내 장비 설치 현황 276

표 5.45. 상주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내 장비 설치 현황 276

표 5.46. 죽산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내 장비 설치 현황 277

표 5.47. 승촌보 4대강 지하수 관측정내 장비 설치 현황 277

표 5.48. 4대강 지하수 관측정 운영관리 및 지하수 관련 업무 수행 조직 (안) 288

표 5.49. 유역통합물관리센터의 4대강 지하수 관측망 시설 관리 및 업무사항 294

표 5.50. 물관리센터에 구축 중인 지하수 관측 Database 테이블 현황 295

표 5.51. 4대강 지하수 관측망의 DB 테이블 구축(안) 297

표 5.52. 4대강 지하수 수위 관측 자료의 관리 및 활용 299

표 5.53. 유역별 국가지하수관측망 충적층 관측정의 지하수위 변동 304

표 5.54. 강변여과수 개발의 장단점 307

표 5.55. 강변여과수 개발 사례 311

표 5.56. 국내 주요 강변여과수 시설의 규모 요약 312

표 5.57.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 사업단내 강변여과 관련 연구 현황 315

표 5.58. 수변지하수활용 고도화 연구단의 연구과제 구성 318

표 5.59. Petrovic의 상수 320

표 5.60. 강변여과 개발가능 검토 지역 322

표 5.61. 강변여과 후보지의 수리상수 332

표 5.62. 낙동강변 간접취수 개발가능량 산정 결과 333

표 5.63. 강변여과 개발가능량 평가 후보지 적용 수위국 335

표 5.64. 보 건설 전.후의 대수층 수위 변화 336

표 5.65. Petrovic 경험식 적용 인자 337

표 5.66. Petrovic 경험식으로 산정된 개발가능량 338

표 5.67. Millojevic 경험식 적용 인자 339

표 5.68. Millojevic 경험식으로 산정된 개발가능량 340

표 5.69. 강변여과 개발가능량 평가 및 비교 342

표 5.70. 국내 지열분야 기술 개발 현황 346

표 5.71. 국가지하수관측정 충적층 평균 수온 분포 347

표 5.72. 국가지하수관측정 충적층 수온 분포(한강, 낙동강) 348

표 5.73. 국가지하수관측정 충적층 수온 분포(금강, 영산강-섬진강) 349

표 5.74. 국내 충적층 지하수 부존량과 최대 개발가능량 350

표 5.75. 30RT 열펌프의 계절별 평균 입출구 온도 351

표 5.76. 4대강 보 구간의 하도 분할 353

표 5.77. 낙동강 변 2 km 이내 구간 별 충적층 면적 354

표 5.78. 구간 누적 하도 거리 별 충적층 두께 354

표 5.79. 보 건설 전 대수층 두께 358

표 5.80. 보 건설 전 구간 별 지하수 부존량 358

표 5.81. 보 건설 전 하천 5년 평균 평수위 359

표 5.82. 구간 별 회귀분석 평수위와 대수층 두께 변화량 360

표 5.83. 보 건설 후 구간 별 지하수 증가량 361

표 5.84. 보 건설 후 구간 별 지하수 부존량 362

표 5.85. 보 건설 전·후 지하수 부존량 변화량 362

표 6.1. 대하천변 지하수 기초 연구 세부 내용 369

표 6.2. 대하천변 지하수 기초 연구 표준사업비 산정 내역(100 ㎢ 기준) 371

표 6.3. 대하천변 지하수 기초 연구 소요 예산(안) 372

표 6.4. 4대강 지하수 관측정의 추가 설치 계획 및 소요예산 374

표 6.5. 4대강 지하수 관측망 운영관리비 추정(기 설치된 137개소 기준) 376

표 6.6. 4대강 지하수 관측망 관리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사업 377

그림 1.1. 연구지역 위치도 23

그림 2.1. 연구지역의 지형도 27

그림 2.2. 연구지역 토지이용 현황 33

그림 2.3. 연구지역의 과거 위성사진과 토지이용 34

그림 2.4. 연구지역 지질도 36

그림 2.5. 2010년 지하수 조사 위치도 41

그림 2.6. 2010년 3월 조사 지하수위 분포도 42

그림 2.7. 연구지역 수위조사 지점 43

그림 2.8. 2011년 6월 조사 지하수위 분포도 43

그림 2.9. 2011년 10월 조사 지하수위 분포도 45

그림 2.10. 2012년 4월 조사 지하수위 분포도 47

그림 2.11. 2012년 9월 조사 지하수위 분포도 49

그림 2.12. 지역별 Box-plot 52

그림 2.13. 측정 시기에 따른 지역별 Box-plot 53

그림 2.14. 2011년 지하수 지화학 분석을 위한 시료 채취 지점 55

그림 2.15. 조사지역 지하수 시료의 Piper diagram(2011.06) 56

그림 2.16. 2011년 6월 현장 지하수 수질 분포현황도 60

그림 2.17. 2012년 지하수 지화학 분석을 위한 시료 채취 지점 61

그림 2.18. 조사지역 지하수 시료의 Piper diagram(2012.09) 62

그림 2.19. 2012년 9월 현장 지하수 수질 분포현황도 64

그림 2.20. 전체 자료의 수질 Box-plot 67

그림 2.21. 지하수 수질 Box-plot 68

그림 2.22. 지표수 수질 Box-plot 69

그림 2.23. 지역별 현장 수질 Box-plot 70

그림 2.24. 시기별 현장 수질 Box-plot 71

그림 2.25. 2011년 4월 이후의 하천 수위 변화 73

그림 2.26. 신천 및 배수로 조사 지점 74

그림 2.27. 신천 지역 하천 및 배수로 75

그림 2.28. 하천 조사지점의 사진(2011.06) 76

그림 2.29. 농업용 배수로 사진(2011.06) 77

그림 2.30. 하천 조사지점의 사진(2012.05) 79

그림 2.31. 농업용 배수로 사진(2012.05) 80

그림 2.32. 강정고령보 상하류 지하수 관측정 설치 현황 및 현장 사진 81

그림 2.33. W-5 관측정의 수위 변화 82

그림 2.34. W-6 관측정의 수위 변화 83

그림 2.35. GJA-1 관측정의 수위 변화 84

그림 2.36. GJA-24 관측정의 수위 변화 85

그림 2.37. GJA-26 관측정의 수위 변화 85

그림 2.38. GJB-27 관측정의 수위 변화 86

그림 2.39. 모델영역 90

그림 2.40. 모델 영역 지형 형상 91

그림 2.41. 격자망 구성 91

그림 2.42. A-A'에 대한 수직단면 91

그림 2.43. 경계조건 설정 92

그림 2.44. 수리전도도 분포 93

그림 2.45. 모델영역 내 관측정 위치도 95

그림 2.46. 모델 보정 후 계산된 지하수위와 관측된 지하수위의 비교 95

그림 2.47. 정류모사를 통한 지하수위 분포도 96

그림 2.48. 정류모사를 통한 지하수 유동방향 97

그림 2.49. 일강우량과 W-5 지하수관측공의 지하수위 변화 100

그림 2.50. 시간에 따른 지하수위 변화 100

그림 2.51. 실제 자동계측에 의한 지하수위 변화 102

그림 2.52. 모델을 통해 계산된 지하수위 변화와 실제 계측된 지하수위 102

그림 2.53. 계절변화에 따른 W-5, W-6 관측정의 수위변화 103

그림 3.1. 연구지역 위치도 107

그림 3.2. 2007년 ~ 2011년 진동 관측소 월평균 강우량 빈도분포도 108

그림 3.3. 연구지역 토지이용 현황 110

그림 3.4. 연구지역 지질도 113

그림 3.5. HAM-042 관정의 양수시험 해석 결과(AqteSolv. 이용) 116

그림 3.6. 자동관측정의 순간충격시험 해석 결과(AqteSolv. 이용) 118

그림 3.7. 2010년 4월의 지하수 조사 위치도 120

그림 3.8. 2010년 4월 조사 지하수위 분포도 121

그림 3.9. 2011년 7월의 지하수 조사 위치도 122

그림 3.10. 2011년 9월 지하수 조사 위치도 123

그림 3.11. 2011년 11월 수위조사 지점 123

그림 3.12. 2011년 7월 지하수위 분포도 125

그림 3.13. 2011년 9월 지하수위 분포도 125

그림 3.14. 2011년 11월 지하수위 분포도 126

그림 3.15. 조사월별 지하수 심도 변화 128

그림 3.16. 담수 이전과 후의 지하수위 변동 특성 130

그림 3.17. 지화학 분석을 위한 시료 채취 위치도 131

그림 3.18. 조사지역 지하수 시료의 Piper diagram 132

그림 3.19. 지하수 관정별 양.음이온의 함량 분포 곡선 134

그림 3.20. 지하수 온도 등치선도(2011년 9월) 137

그림 3.21. 지하수 pH 등치선도(2011년 9월) 137

그림 3.22. 지하수 EC 등치선도(2011년 9월) 138

그림 3.23. 지하수 Eh 등치선도(2011년 9월) 138

그림 3.24. 지하수 DO 등치선도(2011년 9월) 139

그림 3.25. 담수 후 수질유형 분석 Piper diagram 140

그림 3.26. 담수 후 수질분석 결과 141

그림 3.27. 지하수 온도 등치선도(2012년 11월) 143

그림 3.28. 지하수 pH 등치선도(2012년 11월) 143

그림 3.29. 지하수 EC 등치선도(2012년 11월) 144

그림 3.30. 지하수 Eh 등치선도(2012년 11월) 144

그림 3.31. 지하수 DO 등치선도(2012년 11월) 145

그림 3.32. 지하수 TDS 등치선도(2012년 11월) 145

그림 3.33. 지하수 염분농도(Salinity) 등치선도(2012년 11월) 146

그림 3.35. 지하수 탁도 등치선도(2012년 11월) 146

그림 3.35. 2011년과 2012년의 지하수 수온 변화 149

그림 3.36. 2011년과 2012년의 지하수 pH 변화 149

그림 3.37. 2011년과 2012년의 지하수 Eh 변화 150

그림 3.38. 2011년과 2012년의 지하수 EC 변화 150

그림 3.39. 2011년과 2012년의 지하수 DO 변화 151

그림 3.40. 2011년과 2012년의 지하수 염도 변화 151

그림 3.41. 2011년과 2012년의 지하수 TDS 변화 152

그림 3.42. 담수 이전의 낙동강 수위 변동 그래프 153

그림 3.43. 담수 이후의 낙동강 수위 변동 그래프 153

그림 3.44. 하천 수위 조사 지점 155

그림 3.45. 담수 전.후의 농수로 내 수위 변화 그래프 158

그림 3.46. 담수 전.후의 농수로의 평균 수위 비교 158

그림 3.47. 2011년과 2012년의 월별 누적강우량 비교 159

그림 3.48. 연구지역 내 지하수 자동 관측정 위치도 160

그림 3.49. HAM-038 관측정의 지하수위 변화 161

그림 3.50. HAM-040 관측정의 지하수위 변화 162

그림 3.51. HAM-042 관측정의 지하수위 변화 162

그림 3.52. HAM-043 관측정의 지하수위 변화 163

그림 3.53. HAM-045 관측정의 지하수위 변화 163

그림 3.54. HAM-046 관측정의 지하수위 변화 164

그림 3.55. HAM-038 관측정의 담수 이전 교차상관분석 그래프 165

그림 3.56. HAM-038 관측정의 담수 이후 교차상관분석 그래프 166

그림 3.57. HAM-040 관측정의 담수 이전 교차상관분석 그래프 167

그림 3.58. HAM-040 관측정의 담수 이후 교차상관분석 그래프 168

그림 3.59. HAM-042 관측정의 담수 이전 교차상관분석 그래프 169

그림 3.60. HAM-042 관측정의 담수 이후 교차상관분석 그래프 170

그림 3.61. HAM-043 관측정의 담수 이전 교차상관분석 그래프 171

그림 3.62. HAM-045 관측정의 담수 이후 교차상관분석 그래프 172

그림 3.63. HAM-046 관측정의 담수 이전 교차상관분석 그래프 173

그림 3.64. HAM-046 관측정의 담수 이후 교차상관분석 그래프 174

그림 3.65. 담수 전.후의 지연 시간(Lag time)의 변화 175

그림 3.66. 담수 전.후의 교차상관계수의 변화 175

그림 3.67. 2010년 관측망 구축을 위한 지하수조사 시 설정된 모델 영역 176

그림 3.68. 모델 영역 177

그림 3.69. 격자망의 구성 177

그림 3.70. 경계조건의 설정 178

그림 3.71. Layer 구분 및 수리전도도의 분포 179

그림 3.72. 모델영역 내 관측정 위치도 180

그림 3.73. 모델 보정 후 계산된 지하수위와 관측된 지하수위의 비교 181

그림 3.74. 정류모사를 통한 지하수 유동방향 182

그림 3.75. 부정류모사를 통한 지하수 유동방향 184

그림 3.76. 부정류 모델에서의 시간-수위 변화 모식도 185

그림 3.77. 담수 이후 집중강우시기의 부정류 모델 보정 185

그림 3.78. 자동관측정과 모델링과의 강우 및 지하수위 상관관계 187

그림 4.1. 일반적인 지하수 모델링의 과정 220

그림 4.2. 하천 및 수로내의 수위 측정 사례 222

그림 4.3. 모델링에서의 그리드 구성 사례 223

그림 4.4. 하천 퇴적층 수직수리전도도 측정 개념(a) 및 현장 사진(b) 226

그림 4.5. 모델링 예측의 기간별 모의 사례 227

그림 5.1. 창녕함안보의 지하수 관측망 설치 위치 239

그림 5.2. 합천창녕보의 지하수 관측망 설치 위치 240

그림 5.3. 달성보의 지하수 관측망 설치 위치 240

그림 5.4. 강정고령보의 지하수 관측망 설치 위치 241

그림 5.5. 칠곡보의 지하수 관측망 설치 위치 241

그림 5.6. 구미보의 지하수 관측망 설치 위치 242

그림 5.7. 낙단보의 지하수 관측망 설치 위치 242

그림 5.8. 상주보의 지하수 관측망 설치 위치 243

그림 5.9. 죽산보의 지하수 관측망 설치 위치 243

그림 5.10. 승촌보의 지하수 관측망 설치 위치 244

그림 5.11. 계측업체에서 제공하는 4대강 지하수 관측망 DB 시스템 화면(바이텍 코리아) 279

그림 5.12. 계측업체에서 제공하는 4대강 지하수 관측망 DB 시스템 화면(하이드로넷) 280

그림 5.13. 물관리센터내 HDAPS의 지하수 관측정 표출 이미지 280

그림 5.14. 국가지하수관측망의 관리 체계 282

그림 5.15. 국가지하수관측망의 설치 흐름도 284

그림 5.16. 국가지하수관측망 시설 및 자료관리 업무 284

그림 5.17. 국가 지하수관측망 점검정비 업무 흐름 285

그림 5.18. 4대강 지하수 관측망 현장 야장 작성(안) 290

그림 5.19. 4대강 지하수 관측정 제원표(안) 291

그림 5.20. 4대강 지하수 관측정 시추주상도 작성(안) 292

그림 5.21. 4대강 지하수 관측망 시스템의 주요 업무 분류(안) 298

그림 5.22. 슬로바키아 Gabcikovo 보 주변의 지하수 관측 현황 및 지하수 변화 301

그림 5.23. 슬로바키아 Gabcikovo 보 건설 전·후의 지하수 수질 변화 사례 302

그림 5.24. 슬로바키아 Gabcikovo 보 건설 이후의 지하수 수질의 분포 단면 303

그림 5.25. 강변여과 개발 가능 지역(구미 가산) 323

그림 5.25. 강변여과 개발 가능 지역(구미 낙산) 323

그림 5.25. 강변여과 개발 가능 지역(구미 괴평) 324

그림 5.25. 강변여과 개발 가능 지역(칠곡 남율) 324

그림 5.25. 강변여과 개발 가능 지역(고령 호촌) 325

그림 5.25. 강변여과 개발 가능 지역(고령 부리) 325

그림 5.25. 강변여과 개발 가능 지역(합천 앙진) 326

그림 5.25. 강변여과 개발 가능 지역(의령 여의) 326

그림 5.25. 강변여과 개발 가능 지역(창녕 월하) 327

그림 5.25. 강변여과 개발 가능 지역(창녕 남지) 327

그림 5.25. 강변여과 개발 가능 지역(창녕 증산) 328

그림 5.25. 강변여과 개발 가능 지역(창원 하천) 328

그림 5.25. 강변여과 개발 가능 지역(창녕 학포) 329

그림 5.25. 강변여과 개발 가능 지역(밀양 백산) 329

그림 5.25. 강변여과 개발 가능 지역(김해 가동) 330

그림 5.25. 강변여과 개발 가능 지역(밀양 명례) 330

그림 5.25. 강변여과 개발 가능 지역(양산 용당) 331

그림 5.26. 우리나라의 지열 개발 및 업체 현황 343

그림 5.27. Galt House hotel, USA 344

그림 5.28. 네덜란드 개방형 지열시스템을 이용한 공동 에너지 보급... 345

그림 5.29. 충적층 지하수 부존량 평가 모식도(수평 모식도) 352

그림 5.30. 충적층 지하수 부존량 평가 모식도(수직 모식도) 353

그림 5.31. 창녕함안보-합천창녕보 구간 충적층 분포 및 관정 위치도 355

그림 5.32. 합천창녕보-달성보 구간 충적층 분포 및 관정 위치도 355

그림 5.33. 달성-강정고령보 구간 충적층 분포 및 관정 위치도 355

그림 5.34. 강정고령보-칠곡보 구간 충적층 분포 및 관정 위치도 356

그림 5.35. 칠곡보-구미보 구간 충적층 분포 및 관정 위치도 356

그림 5.36. 구미보-낙단보 구간 충적층 분포 및 관정 위치도 356

그림 5.37. 낙단보-상주보 구간 충적층 분포 및 관정 위치도 356

그림 5.38. 상주보-영강합류점 구간 충적층 분포 및 관정 위치도 357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02068 628.114 -16-3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